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4464B1 -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464B1
KR101624464B1 KR1020150093040A KR20150093040A KR101624464B1 KR 101624464 B1 KR101624464 B1 KR 101624464B1 KR 1020150093040 A KR1020150093040 A KR 1020150093040A KR 20150093040 A KR20150093040 A KR 20150093040A KR 101624464 B1 KR101624464 B1 KR 101624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time
strength
curing
qualit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호
정유석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3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1Devices or auxiliary means for setting-out or checking the configuration of new surfacing, e.g. templates, screed or reference line supports; Applications of apparatus for measu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existing surfacing, e.g. profilograph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7Apparatus combining measurement of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paving with application of material in proportion to the measured irregular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의 온도 및 양생 시간의 측정이 용이하고, 콘크리트의 온도 및 양생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을 관리함으로써 줄눈절삭시점 판단이나 거푸집 탈형시점, 도로교통개방시점 등을 판단하고, 또한 품질관리 예측기간을 산출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인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Concrete quality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된 시간데이터와 온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양생 중인 콘크리트의 강도를 예측하고 이를 통해 줄눈절삭시점 및 교통개방시점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콘크리트 품질을 관리 할 수 있는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건물의 구조체 및 도로를 구성하는 중요한 자재로서 그 중요성에 비해 품질 관리에 대한 인식이 미흡한 상태이다.
현재, 건설현장에서는 현장에 반입된 콘크리트가 강도 관리 재령이 경과한 후 필요 강도를 발현하는가에 대해서만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표준 양생 조건(20±3℃)에서 양생시켜 측정한 콘크리트 재령별 압축 강도 측정 결과를 적용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하지만, 실제 구조체 콘크리트의 양생시에는 다양한 환경 조건에 노출되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기간 동안의 외기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구조체 콘크리트의 강도를 추정하고 있을 뿐이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배합 조건이나 시공되는 부재의 크기, 시공시의 기상 조건에 따라 외기 온도와 콘크리트의 온도 이력은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온도 이력의 차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발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표준 시방서에서는, 이러한 콘크리트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조체와 동일한 양생 공간에서 양생된 공시체에 의해 강도 평가를 행하도록 하거나, 실제 구조체의 온도 이력을 추종한 온도 조건에서 양생된 공시체에 의한 강도 추정 개념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지만, 기존의 현장 품질 관리 방법으로는 실제 구조체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 특성을 제대로 추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줄눈절삭시점 판단이나 거푸집 탈형시점, 도로교통개방시점 등의 콘크리트 품질 관리는 현장에서 경험적으로 추정하고 시공될 뿐이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온도 및 양생 시간의록이 측정이 용이하고, 콘크리트의 온도 및 양생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을 관리함으로써 줄눈절삭시점 판단이나 거푸집 탈형시점, 도로교통개방시점 등을 판단하고, 또한 예측기간을 산출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인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은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제1 단계, 시간 측정이 가능한 타이머부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양생시간을 측정하는 제2 단계, 온도 측정이 가능한 온도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양생시간에 해당하는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온도를 측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양생시간 및 상기 양생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가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외부로 식별 가능하게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의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 범위 내이면,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이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를 위한 시점임을 외부로 식별 가능하게 출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의 상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 미만이면,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와 대응되는 시점과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과의 시간 차이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의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를 양생 중인 상기 콘크리트의 줄눈 형성을 위한 절삭 가능 강도로 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줄눈 형성을 위한 절삭 가능 강도와 대응되는 시점과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과의 시간 차이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의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를 양생 중인 상기 콘크리트의 교통개방 가능 강도로 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교통개방 가능 강도와 대응되는 시점과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과의 시간 차이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온도 및 양생 시간의 측정이 용이하고, 콘크리트의 온도 및 양생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을 관리함으로써 줄눈절삭시점 판단이나 거푸집 탈형시점, 도로교통개방시점 등을 판단하고, 또한 예측기간을 산출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인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관리 여부를 판단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관리 여부를 판단하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관리 시점을 판단하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은,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제1 단계(S11), 시간 측정이 가능한 타이머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양생시간을 측정하는 제2 단계(S12), 온도 측정이 가능한 온도센서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양생시간에 해당하는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온도를 측정하는 제3 단계(S13) 및 상기 양생시간 및 상기 양생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가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외부로 식별 가능하게 출력하는 제4 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S11)는 도로포장을 위해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일 수 있으며 또한, 건축물을 구현하기 위해 타설 및 양생되는 콘크리트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단계(S12)는 시간 측정이 가능한 타이머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양생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양생시간은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 된 직후인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13)는 온도 측정이 가능한 온도센서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양생시간에 해당하는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양생온도는 상기 양생시간에 따른 적산온도일 수 있으며, 양생중인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의 온도 또는 양생중인 상기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일 수 있다. 일예로 양생중인 상기 콘크리트의 내부에 미리 상기 온도센서부(120)를 삽입하여 그로부터 양생중인 상기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의 상기 양생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S14)는 상기 양생시간 및 상기 양생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가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외부로 식별 가능하게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생시간 및 상기 양생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가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제어부(130)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판단 결과를 식별가능하게 출력하는 것은 출력부(140)에서 실행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에서 상기 양생시간 및 상기 양생온도를 기초로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는 것은 콘크리트기준에 있는 적산온도와 압축강도 관계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일예로 아래의 식 1은 적산온도를 산정하는 식으로, 이 식은 콘크리트기준에 제시되어 있는 식이다.
식 1.
M = Σ(θ+A)Δt
(여기서, M은 적산온도로서 단위는 ‘℃일’ 또는 ‘℃시’, θ는 Δt시간 중의 일평균 양생온도로서 단위는 ‘℃’, A는 기준온도로서 일반적으로 ‘10’, Δt는 양생온도를 측정한 시간으로서 ‘일’ 또는 ‘시’)
상기 식 1에서 산정한 상기 적산온도(M)를 콘크리트기준에 제시되어 있는 아래의 식 2에 대입하여 콘크리트 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식 2.
S=a+b·log(M)
(여기서, S는 압축강도로서 단위는 ‘Mpa’, a와 b는 상수, M은 상기 식1에서 산출된 적산온도로서 단위는‘℃일’ 또는 ‘℃시’)
따라서, 상기 식 1 및 식 2를 이용하여 상기 양생시간 및 상기 양생온도를 기초로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는 식은 상기 식 1 및 식 2에 의해서만 산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일예로 이미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콘크리트의 성숙도 개념을 이용한 아래의 식 3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식 3.
Figure 112015063384699-pat00001
(여기서, Δti는 양생온도를 측정한 시간으로서 단위는 ‘일’ 또는 ‘시’, T(Δti)는 Δti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온도로서 단위는 ‘℃’, T0는 기준온도)
따라서, 상기 양생시간 및 상기 양생온도를 기초로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당업자는 쉽게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는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복수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기준 강도는 줄눈절삭가능한 강도일 수 있으며, 또는 콘크리트의 거푸집 탈형이 가능한 강도일 수 있고, 콘크리트의 도로교통개방이 가능한 강도일 수 있다. 각각의 콘크리트 품질관리 기준 강도는 콘크리트기준과 같은 본 발명의 공지기술로서 쉽게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양생시간 및 상기 양생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가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외부로 식별 가능하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는 상기 출력부(140)에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 또는 led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판단 결과를 식별 가능하다면 출력부(140)의 출력의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단계(S14)는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 범위 내이면,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이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를 위한 시점임을 외부로 식별 가능하게 출력할 수 있다.
일예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C)가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 범위 내(A-B)이면,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c) 즉, 현재 시점이 상기 품질관리를 위한 시점이며, 따라서 파란색 led등이 켜짐에 따라 시공자는 상기 품질관리에 맞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D)가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A) 미만이면, 현시점(d)에서는 붉은색 led등이 켜짐에 따라 시공자는 상기 품질관리에 맞는 작업을 실시 하지 않고 파란색 led등등 켜질 시점(a)까지 상기 품질관리에 대한 작업을 대기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관리 시점을 판단하는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은,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제1 단계(S21), 시간 측정이 가능한 타이머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양생시간을 측정하는 제2 단계(S22), 온도 측정이 가능한 온도센서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양생시간에 해당하는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온도를 측정하는 제3 단계(S23) 및 상기 양생시간 및 상기 양생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가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외부로 식별 가능하게 출력하는 제4 단계(S24)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S24)는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 미만이면,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와 대응되는 시점과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과의 시간 차이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A’) 미만이면, 시공자는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에 도달하는 시점(a’)을 예상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작업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A’)와 대응되는 시점(a’)과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d’)과의 시간 차이(K)를 알 수 있다면, 시공자는 더욱 효율적으로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생시간과 콘크리트 강도와의 관계는 콘크리트의 시멘트-물비, 혼화재 첨가 여부, 또는 환경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예로 제1 곡선(100) 또는 제2 곡선(200)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일예로 제1 곡선(100)을 가지는 콘크리트의 주변온도가 제2 곡선(200)을 가지는 콘크리트의 주변온도보다 낮아 상대적으로 제1 곡선(100)을 가지는 콘크리트가 제2 곡선(200)을 가지는 콘크리트보다 강도가 천천히 발현될 수 있다.
상기 양생시간 및 상기 양생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는 양생시간과 콘크리트 강도와의 관계에서 실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실선으로부터 점선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는 양생시간에 따른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의 정도는 이미 공지된 기술로부터 어느 정도 예측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마스터커브를 이용하여 실선으로부터 점선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실선으로부터 상기 제1 곡선(100) 또는 상기 제2 곡선(200)의 점선을 예상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곡선(100)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양생시간 및 양생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콘크리트의 강도(D’)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D’)가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A’) 미만이면,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A’)와 대응되는 시점(a’)과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d’)과의 시간 차이(K)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차이(K)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자는 상기 시간 차이(K)를 확인하고 상기 시간 차이(K)를 감안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준비를 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4 단계(S24)는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A’)를 양생 중인 상기 콘크리트의 줄눈 형성을 위한 절삭 가능 강도(A’)로 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줄눈 형성을 위한 절삭 가능 강도(A’)와 대응되는 시점(a’)과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d’)과의 시간 차이(K)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의 줄눈 형성을 위한 절삭 가능 강도(A’)는 이미 본 발명의 공지기술 또는 실험데이터로서, 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4 단계(S14)는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A’)를 양생 중인 상기 콘크리트의 교통개방 가능 강도(A’)로 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교통개방 가능 강도(A’)와 대응되는 시점(a’)과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d’)과의 시간 차이(K)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의 교통개방 가능 강도(A’)는 이미 본 발명의 공지기술 또는 실험데이터로서, 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는 상기 콘크리트의 줄눈 형성을 위한 절삭 가능 강도 및 상기 콘크리트의 교통개방 가능 강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한 기준 강도로 설정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B’) 초과이면,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B’)와 대응되는 시점(b’)과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과의 시간 차이를 역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은, 상기 판단 결과 또는 상기 시간 차이를 송신부(150)를 이용하여 외부로 무선 송신될 수 있으며, 상기 송신부(15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판단 결과 또는 상기 시간 차이를 수신하는 수신부(160)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송신부(150) 및 상기 수신부(160)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다만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기본체에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전자기기에 있을 수도 있다. 이는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제1 곡선
200: 제2 곡선
110: 타이머부
120: 온도센서부
130: 제어부
140: 출력부
150: 송신부

Claims (5)

  1.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제1 단계;
    시간 측정이 가능한 타이머부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양생시간을 측정하는 제2 단계;
    온도 측정이 가능한 온도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양생시간에 해당하는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온도를 측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양생시간 및 상기 양생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가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 미만이면,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 및 상기 양생시간을 기초로 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와 대응되는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에 대응되는 시점과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간의 시간 차이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 범위 내이면,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이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를 위한 시점임을 외부로 식별 가능하게 출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를 양생 중인 상기 콘크리트의 줄눈 형성을 위한 절삭 가능 강도로 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줄눈 형성을 위한 절삭 가능 강도와 대응되는 시점과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과의 시간 차이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의 기준 강도를 양생 중인 상기 콘크리트의 교통개방 가능 강도로 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교통개방 가능 강도와 대응되는 시점과 상기 양생시간과 대응되는 시점과의 시간 차이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
KR1020150093040A 2015-06-30 2015-06-30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 KR101624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040A KR101624464B1 (ko) 2015-06-30 2015-06-30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040A KR101624464B1 (ko) 2015-06-30 2015-06-30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464B1 true KR101624464B1 (ko) 2016-05-26

Family

ID=5610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040A KR101624464B1 (ko) 2015-06-30 2015-06-30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4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09111A1 (en) 2019-03-14 2020-09-16 Hi-Man Le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production history of concrete product
KR20200110129A (ko) 2019-03-14 2020-09-23 이희만 콘크리트 제품 생산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KR20220053826A (ko)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비엘 콘크리트 수화열 모니터링 기반의 공사 관리 방법 및 공사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806B1 (ko) 2003-06-10 2005-07-11 농업기반공사 콘크리트제품 양생온도 이력 기록장치
KR100625918B1 (ko) 2004-12-17 2006-09-20 한국농촌공사 현장타설 콘크리트구조물의 양생온도품질 검사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양생온도품질 검사시험방법
KR100983000B1 (ko) 2008-03-03 2010-09-17 (주)대우건설 적산 온도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온도 추종 공시체 양생장치
KR101091870B1 (ko) * 2009-02-20 2011-12-12 현대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양생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806B1 (ko) 2003-06-10 2005-07-11 농업기반공사 콘크리트제품 양생온도 이력 기록장치
KR100625918B1 (ko) 2004-12-17 2006-09-20 한국농촌공사 현장타설 콘크리트구조물의 양생온도품질 검사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양생온도품질 검사시험방법
KR100983000B1 (ko) 2008-03-03 2010-09-17 (주)대우건설 적산 온도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온도 추종 공시체 양생장치
KR101091870B1 (ko) * 2009-02-20 2011-12-12 현대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양생관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09111A1 (en) 2019-03-14 2020-09-16 Hi-Man Le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production history of concrete product
KR20200110129A (ko) 2019-03-14 2020-09-23 이희만 콘크리트 제품 생산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KR20220053826A (ko)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비엘 콘크리트 수화열 모니터링 기반의 공사 관리 방법 및 공사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4606B2 (en) Method and systems relating to construction material assessment
KR101624464B1 (ko)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
CA3099362C (en) Embedded wireless monitoring sensors
KR101091870B1 (ko) 콘크리트양생관리시스템
John et al. IoT enabled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early-ag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KR101082737B1 (ko) 구조체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평가방법
Sofi et al. Estimating early-age in situ strength development of concrete slabs
ATE257263T1 (de) Verfahren und gerät zur steuerung einesstrassennetzwerkes
KR100983000B1 (ko) 적산 온도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온도 추종 공시체 양생장치
US20170238073A1 (en) Concrete Maturity System
Vázquez-Herrero et al. A new procedure to ensure structural safety based on the maturity method and limit state theory
Ranz et al. Monitoring of the curing process in precast concrete slabs: An experimental study
JP2015203204A (ja) コンクリートの均し施工可能時間の予測方法および予測装置
Kampli et al. Real-time in-situ strength monitoring of concrete using maturity method of strength prediction via IoT
KR20120126559A (ko) 시멘트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5183028A (zh) 混凝土智能拌合温度控制系统和方法
JP2016183526A (ja) コンクリートの均し施工可能時間の調整方法
JPH11271301A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の圧縮強度推定方法及びシールド工法
Singh et al. In-situ assessment of stiffness during the construction of HMA pavements
US10947386B2 (en) Method and system of anti-stripping process using organosilanes and lime to manufacture asphalt
EP4024298C0 (en) SYSTEM FOR DETERMINING REPAIR OF DAMAGE TO A VEHICLE COMPONENT, DEVICE FOR DETERMINING ADMISSIBILITY OF A WARRANTY CLAIM FOR DAMAGE TO A VEHICLE COMPONENT,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FOR DETERMINING ADMISSIBILITY OF A WARRANTY CLAIM FOR DAMAGE TO A VEHICLE COMPONENT, AND PROGRAM
Buys Investigation of a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Maturity Method to estimate the early-age strength of concrete
Rahman et al. Spray water cooling of newly laid asphalt pavement for rapid opening to traffic
Meagher IV Effect of dosage of non-chloride accelerator versus chloride accelerator on the cracking potential of concrete repair slabs
Raoufi et al. Numerical assessment of saw-cutting: the influence on stress development and cr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