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1140B1 - 신규 화합물 로바린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 화합물 로바린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140B1
KR101481140B1 KR20100097678A KR20100097678A KR101481140B1 KR 101481140 B1 KR101481140 B1 KR 101481140B1 KR 20100097678 A KR20100097678 A KR 20100097678A KR 20100097678 A KR20100097678 A KR 20100097678A KR 101481140 B1 KR101481140 B1 KR 101481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barin
compound
diabetes
obesi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97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026A (ko
Inventor
임정한
김일찬
김덕규
한세종
이형석
오현철
조동규
박미라
박유경
김성진
김태경
강필성
박희용
박하주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20100097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140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CN201510552764.6A priority patent/CN105175371B/zh
Priority to EP13164471.8A priority patent/EP2617464B1/en
Priority to EP11830831.1A priority patent/EP2626070B1/en
Priority to CN2011800591843A priority patent/CN103249410A/zh
Priority to PCT/KR2011/004836 priority patent/WO2012046945A2/ko
Priority to JP2013532710A priority patent/JP5755749B2/ja
Priority to US13/878,196 priority patent/US8846750B2/en
Priority to EP13164475.9A priority patent/EP2617465B1/en
Publication of KR2012003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026A/ko
Priority to US13/900,361 priority patent/US8703814B1/en
Priority to US13/900,155 priority patent/US869774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140B1/ko
Priority to JP2015078174A priority patent/JP2015212255A/ja

Links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화합물 로바린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남극 지의류인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로부터 합성한 신규 화합물 로바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과,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유래 로바린은 단백질 타이로신 포스파타제 1B의 저해활성이 뛰어나며, 동물모델에 적용시에도 우수한 항당뇨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바, 당뇨병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신규 화합물 로바린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Containing Novel Compound Lobarin}
본 발명은 신규 화합물 로바린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남극 지의류인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로부터 합성한 신규 화합물 로바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과,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지의류는 고등 식물과 다른 독특한 이차대사 산물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Ingolfsdottir, K., Phytochemistry, 61:729, 2002), 이들 지의류가 생산하는 이차 대사산물은 대부분 뎁시드(depside), 뎁시돈(depsidone) 및 디벤즈푸란(dibenzfurane)에 속하고, 이러한 화합물들은 지의류의 낮은 성장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Kumar, K.C.S. et al ., J. Nat . Prod., 62:817, 1999; Huneck, S., Naturwissenschaften, 86:559, 1999). 또한, 항생제, 항마이코박테리아, 항바이러스, 진통 효과 및 해열작용 등을 포함하는 지의류 대사산물의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이 스크리닝 과정에 의해 확인되었다 (Ingolfsdottir, K., Phytochemistry, 61:729, 2002; Kumar, K.C.S. et al ., J. Nat . Prod., 62:817, 1999). 따라서, 지의류의 대사산물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당뇨병은 인슐린 작용, 인슐린 분비 또는 이러한 두 가지 모두의 결함으로 발생하는 고혈당을 비롯한 대사장애 증후군으로 장래 혈관합병증 가능성이 높은 질환으로, 크게 1형 당뇨병과 2형 당뇨병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제1형(인슐린 의존성)당뇨병은 면역에 의한 췌도의 베타세포 파괴와 이에 따른 인슐린의 절대적 부족이 원인이며, 제2형(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은 인슐린이 분비되기는 하지만, 양이 충분하지 않거나 우리 몸이 분비되는 인슐린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몸의 세포가 효과적인 작용을 못하는 '인슐린 내성 (Insulin resistance)'이라는 상태에서는, 몸속의 에너지원 특히 당분의 이용이 잘 되지 않아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하게 되며, 사용되지 못한 당분은 혈액 중에 필요 이상으로 많이 쌓여 결국은 소변으로 배출되는 질환으로서 근본적인 치유가 되지 않는 만성퇴행성 질환 중의 하나이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와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은 2007년 말에는 전 세계 당뇨병 환자가 약 2억 4600만 명이 될 것이며,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도 해마다 점차 증가하고 있어 당뇨병의 발병예방, 엄격한 혈당 조절과 합병증의 예방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대한당뇨병학회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2003년에 전체 당뇨병 환자가 401만 명이었으며, 2030년에는 당뇨병 환자가 720만 명에 이르러 국민 7명당 1명이 될 것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특히 급격한 의료비 증가는 당뇨병 환자 수의 폭발적 증가와 더불어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의 지속적 증가, 당뇨병 환자의 평균수명 증가와도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급속한 경제 발전에 따른 식생활의 변화로 평균수명은 연장되는 것에 반하여 당뇨병 등의 만성퇴행성질환은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당뇨병의 특징은 제2형 당뇨병이 99%이상을 차지하며, 제1형 당뇨병의 발병 확률이 약 1% 이하로, 외국에서 보고된 제2형 당뇨병이 90% 정도이고, 10%정도의 제1형 당뇨병인 것과는 다르다. 당뇨병의 발병 원인은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얽혀져 있으며 중요한 요인으로는 유전(가족력이 약 20%)과 환경, 나이(40-49세 사이 약 60% 내외), 비만, 신체의 저항력 저하, 약물남용, 그리고 스트레스에 의한 자극 등이 있다. 당뇨병의 발병 기전은 아직 상세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몇 가지 특별한 당뇨병(예 MODY 등)을 제외하고는 다유전자적인 원인으로 발병되는 질환으로 일관성 있는 연관 유전자를 찾기에 한계성이 있다. 즉, 당뇨병의 발병은 여러 가지 유전자들이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현재도 많은 수의 새로운 유전자들이 계속 밝혀지고 있다.
당뇨병은 다양한 발병 기전에 의하여 발병되므로 그 치료법 또한 다양할 수밖에 없으며, 더구나 기존의 고식적인 치료법만으로 만족할 만한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도 많기에 새로운 치료법이 요구된다. 당뇨병 치료제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90%이상을 차지하는 제 2형 당뇨병 치료제를 중심으로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표 1, 2).
국내 당뇨병 관련 의약품 개발 현황
회사명 개발테마명 개발단계 비고
삼진제약(주) 천연물로쿠터 당뇨병 치료제 개발 전임상 신약개발
배아줄기 세포로부터 췌장 베타세포로의 분화 탐색 신약개발
SK 주식회사 Diabetes 응용 신약개발
(주)유유 YYGG 탐색 신약개발
(주)유한양행 바이오칩 응용 개량, 진단
(주)종근당 유전자 재조합 사람 인슐린 Phases Ⅲ 개량신약
네오마릴정 제품출시 개량신약
한미약품(주) HM 80200 개발진행 원료의약품
자료 : 2004-백서 의약품 산업,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4, 12
인슐린분비 촉진물질 (pirogliride, linogliride, 2,4-디아미니노-5-시안-브로모리피딘, incretin, repaglinide, nateglinide), 인슐린 작용증강제 (troglitazone),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표적조직에서 인슐린 유사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 (pirogliride, linogliride, dichloroacetate, insulin lispro, insulin aspart), 포도당신합성 억제제 (지방분해억제제, 카르니틴 전이효소 억제제, 베타산화억제제), 탄수화물 흡수를 지연시키는 약제 (식이성 섬유, 알파글루코시테이즈 억제제), amylin 유사체 (pramlintide)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현재 시판되고 있으나, 상당수가 아직도 인체에 사용하기에는 미흡한 실험단계에 있거나 독성 검사단계에 있다. 특히, 생체리듬을 고려한 속효성 인슐린 분비촉진제와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는 당뇨병 치료수단에서 유효한 방법 중의 하나가 될 것이며, 향후 이러한 약제 개방이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제까지의 당뇨병 병인에 관한 연구는 인슐린 저항성의 원인이 인슐린 수용체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지난 10여 년간 연구를 계속해 왔으며, 현재는 인슐린의 신호전달 체계 쪽으로 연구방향이 전환되고 있다.
당뇨병 치료제 신약 개발현황
작용기전 임상단계 선두기업
L P
α-Glucosidase inhibitor 3 1 Bayer, Takeda, Chong Kun Dang
Insulin agonist 13 5 11 4 27 Chiron, Eli Lilly, IDEAZymo-Genet ics, Aventis, Novo Nordisk, Akzo Nobel, Biobras, Alkermes, Merk KGaA
Glucagon like peptide-1 agonist 1 4 1 4 Amylin, Eli Lilly, Novo Nordisk, Restoragen, Zealand Pharmaceuticals
β3-Adrenoreceptor agonist 1 2 1 Dainippon, Asahi Kasei, GlaxoSmithKline
Dipeptidyl peptide Ⅳinhibitor 2 1 Bristol-Myers Squibb, Novati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α agonist 2 2 6 Novatis, Kyorin, BMS, GlaxoSmithKlin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1B inhibitor 1 7 Wyeth, ISIS Pharmaceutical
Leptin stimulator 1 1 Amgen, Tularik
Melanocortin-4 agonist 1 Neurocrine Biosciences
AMPKstimulant 2 2 1 1 Andrx, Merck KGaA, Flamel Technologie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agonist 3 4 9 GlaxoSmithKline, Samchundang, BMS, Japan Tabacco, Dr Reddy's, Kyorin
자료 : 보건산업기술동향, "당뇨병 치료제의 최근 연구동향", 2003.
비만형 (obese type)및 비비만형 (non-obese type) 제 2형 당뇨병을 갖는 사람의 지방세포에 있는 PTP-1B의 활성을 검사한 결과, 정상군과 비교하여 단백질의 발현은 각각 3배, 5.5배로 증가하고, 활성은 71%, 88%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최근 protein tyrosine phosphatase-1B (PTP1B)를 knock-out시킨 마우스를 통하여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의 증가와 고지방식에 대한 저항성을 보인다는 실험결과가 보고되었다. 아울러, 최근 발표된 다수의 연구에 위하면 PTP-1B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이 표적세포에서 인슐린의 감수성의 증가시켜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도 한국화합물 은행에서 아직 약물로 개발되지 않은 수만 개의 화합물로부터 PTP1B 활성 저해제 개발을 위하여 무작위로 대량 스크리닝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렙틴(Leptin)은 지방세포에서 혈중으로 방출되어 뇌혈액막을 통과한 후 중추 신경계내의 수용체에서 작용하며, 음식물의 섭취를 억제하고, 체중을 감소시키며 에너지 소비를 촉진한다. 이에 PTP1B가 렙틴활성 자체를 조절한다는 새로운 발견이 나오면서 PTP1B가 렙틴 효능제와 함께 사용할 때 상승적 작용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Koren, S., Best Pract . Res . Clin . Endocrinol . Metab ., 21:621, 2007).
따라서, 비만 및 비만형 당뇨의 치료개발에 있어서 PTP-1B에 대한 억제제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HTS (hight throughput screening)를 통하여 발견된 선도물질에 대한 보고가 있다. 현재까지 PTP-1B에 대한 연구와 그 저해제의 개발은 임상적으로 성공한 예는 없으나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많은 연구단체와 기업에서 관심을 가지고 진행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발 중인 PTP-1B 억제제
기전 의약품명 개발회사 단계 기타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 Ertiprotafib Wyeth phase Ⅱ Benzenepropanoic acid (discontinued)
SIS-113718 ISIS Pharmaace uticals preclinical 2nd-generation antisense PTP-1B inhibitor
OC-86839 Ontogen preclinical selective non-peptide inhibitor of PTP-1B
PTP1B inhibitor Abbott preclinical phosphatase-1B inhibitor
PTP1B inhibitor Array BioPharma preclinical PTP-1B inhibitor
PTP1B inhibitor Structural Bioinformatics preclinical orally-active selective PTP-1B inhibitor
PTP1B inhibitor Kaken Pharmaceutical preclinical orally-active PTPase inhibitor
자료 : Pharmaproject, 2002
그러나, 대부분의 PTP1B의 억제제는 양전하로 충진된 PTP1B의 활성 부위를 타겟으로 하는 비가수분해성 포스포티로신 모방체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선택성과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Liu, S. et al ., J. Am . Chem . Soc ., 130:17075, 2008).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당뇨병 및 비만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남극 지의류인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에서 분리된 로바릭산으로부터 신규 합성한 화합물이 효과적으로 PTP1B를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고, 그 구조를 규명한 다음, 단백질타이로신탈인산화효소 family 중 PTP1B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며 질환모델동물 투여시 항당뇨효과를 보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에서 분리한 화합물로부터 합성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64766666-pat00001
.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을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b) (a)단계에서 수득된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메탄올 수용액에서 용출하는 단계;
(c) (b)단계에서 용출된 분획물을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아세토니트릴(CH3CN) 수용액으로 용출시켜 로바릭산(Lobaric acid)을 함유하는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로바릭산을 함유하는 분획을 용매에 용해한 후, NaOH 또는 KOH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산성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유래 신규 화합물 로바린은 단백질 타이로신 포스파타제 1B의 저해활성이 뛰어나며, 동물모델에 적용시에도 우수한 항당뇨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바, 당뇨병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HPLC 분석에 의한 로바린 (lobarin)의 정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로바린(Lobarin)의 HRESIMS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로바린(Lobarin)의 1H NMR 스펙트럼(400MHz, DMSO-d 6 )을 나타낸다.
도 4는 로바린(Lobarin)의 13C NMR 스펙트럼(400MHz, DMSO-d 6 )을 나타낸다.
도 5는 로바린(Lobarin)의 HSQC 데이터(400MHz, DMSO-d 6 )을 나타낸다.
도 6은 로바린(Lobarin)의 HMBC 데이터(400MHz, DMSO-d 6 )을 나타낸다.
도 7은 로바린(Lobarin)의 PTP1B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로바린(Lobarin)의 PTP1B, PTPN2, PTPN5, PTPN6, PTPN7, PTPN13에 대한 억제활성을 6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로바린(Lobarin)의 복강 투여 후 혈당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로바린(Lobarin)의 복강 투여에 따른 6시간 공복 후 혈당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도 11은 로바린(Lobarin)의 복강 투여에 따른 몸무게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로바린(Lobarin) 복강 투여 28일 후 혈당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의 추출물에서 분리한 로바릭산(lobaric acid)으로부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을 분리한 다음, 이를 로바린 (Lobarin)이라고 명명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64766666-pat00002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 로바린(Lobarin)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a)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을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b) (a)단계에서 수득된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메탄올 수용액에서 용출하는 단계; (c) (b)단계에서 용출된 분획물을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아세토니트릴(CH3CN) 수용액으로 용출시켜 로바릭산(Lobaric acid)을 함유하는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로바릭산을 함유하는 분획을 용매에 용해한 후, NaOH 또는 KOH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산성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이때, 상기 (d) 단계에서 산성용액은 수용액을 중화시킬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산성용액이 사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는 상기 로바릭산을 함유하는 분획을 아세톤에 용해한 후, NaOH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HCl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농축한 다음,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수용액 간의 분배를 통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해층을 획득하고 농축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의류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Hedw.) G.L. Sm.)은 2003년 1월 남극 킹조지섬의 세종기지(S 62°13.3', W58°47.0') 주위의 바튼 반도(Barton Peninsular)에서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로바릭산은 건조된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을 24시간 동안 메탄올로 추출한 후, 용매를 증류시켜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추출물은 실리카겔(C18)이 충진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 5×25㎝)에 로딩하고, 10%, 20%, 30%, 40%, 50%, 60%, 70%, 80%, 90% 및 100%(v/v) 메탄올(MeOH)을 순차적으로 주입시키고, 각각의 분획물을 수득한 다음, 상기 분획물 중 하기 화학식 2의 로바릭산을 분리하였다.
[화학식 2]
Figure 112010064766666-pat00003
로바릭산은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수득된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메탄올 수용액에서 용출하고, 용출된 분획물을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아세토니트릴(CH3CN) 수용액으로 용출시켜 수득할 수 있다. 그 다음, 수득한 로바릭산(lobaric acid)을 아세톤(acetone)에 용해한 후 NaOH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교반하고 HCl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반응혼합물은 농축한 뒤 Methylene chloride 및 수용액 (pH = 2)간의 분배를 통하여 methylene chloride 용해 층을 획득하여 하기 화학식 1의 로바린 (Lobarin)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64766666-pat00004
본 발명에서는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의 추출물에서 분리한 로바릭산(lobaric acid)의 신규 유도체인 로바린이 매우 뛰어난 PTP1B의 활성 억제능을 가지고 있어,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상기 화학식 1의 로바린(Lobarin)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로바린(Lobarin)은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로바린(Lobar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로바린의 PTP1B에 대한 억제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IC50 =149nM로 매우 뛰어난 PTP1B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이에 신규 화합물 로바린(Lobarin)이 당뇨병 및 비만에 대한 약학적인 치료 및 예방이 가능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로바린의 단백질타이로신탈인산화효소족에 대한 선택성을 조사한 결과, 아미노산 서열 및 3D 구조에서 PTP1B와 가장 유사하며, embrionic lethal이고, PTP1B와 유사한 효소특성을 가지고 2nd aryl-phosphate binding site를 포함한 활성화 부위(active site)가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TC-PTP(PTPN2)를 포함한 단백질타이로신탈인산화효소 족 중 PTP1B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함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실험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인 로바린이 PTP1B 저해제로 이형당뇨치료에 이용가능함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로바린을 질환동물모델인 db/db 마우스에 투여하여 식이섭취량 변화, 체중 변화, 혈중 포도당 농도, 혈중 인슐린 농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체중과 혈당, 인슐린 저항성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항당뇨 효과를 검증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상기 화학식 1의 로바린(Lobarin)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수소, 황산, 황산수소나트륨, 인산, 탄산 등의 무기산과의 염 또는 개미산, 초산, 옥살산, 벤조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글루콘산, 게스티스산, 푸마르산, 락토비온산, 살리실릭산, 또는 아세틸살리실릭산(아스피린)과 같은 유기산과 함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의 염을 형성하거나, 또는 소듐, 포타슘 등의 알칼리 금속이온과 반응하여 이들의 금속염을 형성하거나, 또는 암모늄 이온과 반응하여 또 다른 형태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0,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1~1000㎍/kg으로, 바람직하게는 1~100㎍/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경구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캔디, 초콜릿,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뇨 및 비만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신규 화합물 Lobarin 의 제조
1-1: 지의류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 Stereocaulon alpinum ) 추출물의 제조
지의류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Hedw.) G.L. Sm.)은 2003년 1월 남극 킹조지섬의 세종기지(S 62°13.3', W58°47.0') 주위의 바튼 반도(Barton Peninsular)에서 채취하였으며, 바튼반도에서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지의류이다.
건조된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50g을 24시간 동안 메탄올 1L로 2번 추출하여, 메탄올 추출물 3.6g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추출물을 실리카겔(C18)이 충진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 5×25㎝)에 로딩하고, 10%, 20%, 30%, 40%, 50%, 60%, 70%, 80%, 90% 및 100%(v/v) 메탄올(MeOH)으로 계단식으로 농도구배를 주어, 각각의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1-2: 지의류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 Stereocaulon alpinum ) 추출물로부터 Lobaric acid 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80% 메탄올로 용출하여 얻은 분획물 204.6㎎을 다시 실리카겔(C18)이 충진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 2.5×30㎝)에 로딩하여, TLC분석에 의해 수득한 8개의 주요한 분획을 수득하기 위해 각각 200㎖의 1%, 2%, 3%, 4%, 5%, 6%, 7%, 8%, 9% 및 10% 의 메탄올(in CH2Cl2)용액 및 100%(v/v) 메탄올을 주입시켜 각각의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9% 메탄올로 용출한 분획 59mg을 다시 반-분취 역상(semi-preparative reverse-phase) HPLC에 주입한 후, 0.1% 포름산(formic acid)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CH3CN)수용액을 75 내지 83%의 농도 그래디언트를 주면서 30분 이상 용출시켜 화학식 2의 로바릭산(lobaric acid)을 분리하였다(22.9mg; tR=39분).
[화학식 2]
Figure 112010064766666-pat00005

1-3: 로바릭산 ( Lobaric acid )로부터 신규 화합물의 합성
실시예 1-2의 로바릭산(lobaric acid) 50 mg을 5 mL의 아세톤(acetone)에 용해한 후 0.5 N NaOH를 1 mL 첨가하고 상온에서 5분간 교반하고 0.5 mL의 1N HCl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혼합물은 농축한 뒤 Methylene chloride 및 수용액 (pH = 2)간의 분배를 통하여 methylene chloride 용해 층을 획득하고 농축하여 하기 화학식 1의 신규 화합물을 50mg을 수득한 다음, 이를 "로바린 (Lobarin)"이라고 명명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64766666-pat00006
한편, 순도를 높이기 위하여 Agilent Eclipse XDB-C18 칼럼(4.6 x 150mm, 미국)를 사용하여 역상 (reverse phase) HPLC로 분석하였다. 사용한 용매 시스템은 0.1% 포름산이 섞인 물(A Line)과 0.1% 포름산이 섞인 아세토나이트릴(B line)을 사용하였다. 시작은 아세토나이트릴 40%에서 50%까지 5분, 50% 에서 80%까지 15분, 80%에서 90%까지 10분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최종 순도는 96.1%이었다 (도 1).
신규 화합물 Lobarin 의 구조분석
실시예 1에서 합성된 Lobarin의 분자구조는 고분해능 질량 분석 (HRESIMS) 및 NMR 분광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HRESIMS의 음이온 분석은 Q-TOF micro LC-MS/MS instrument (Waters, 미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바린은 m/z 473.1774의 분자이온 피크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Lobarin의 분자식이 C25H30O9임을 제시하였다.
로바린(Lobarin)의 NMR 스펙트라 (NMR spectra)는 로바린(Lobarin)을 DMSO-d6 용매에 용해한 후 JEOL ECP-400 spectrometer (JEOL, 일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화학적 이동값은 용매로 사용한 DMSO-d6의 화학적 이동값 (δC/δH = 40.0/2.50 ppm)을 기준으로 표시하였다. HMQC(1H-Detected heteronuclear Multiple-Quantum Coherence) 경우 1JCH = 140Hz로 설정하고 측정하였으며, HMBC(Heteronuclear Multiple-Bond Coherence) 실험은 nJCH = 8Hz로 설정한 후 실행하였다. 질량분석은 Q-TOF micro LC-MS/M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1H NMR 및 13C NMR 스펙트럼 결과를 보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Lobarin의 1H NMR 및 13C NMR spectra는 로바릭산(lobaric acid)의 NMR spectra와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Lobarin의 구조는 lobaric acid와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분자량의 차이가 18 dalton임을 감안하면 lobaric acid로부터 수화반응을 통하여 생성된 화합물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Lobaric acid의 NMR data 와 Lobarin의 NMR data를 비교하면 특히 13C NMR spectrum에서 lobaric acid에서 관찰되었던 ketone 작용기에 해당하는 13C peak가 사라지고 대신 106.3 ppm에서 13C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1H NMR에서 OH 작용기의 양성자에 해당하는 피크 (7.65 ppm)가 관찰 되었다. 이러한 NMR data의 차이를 근거로 Lobarin의 구조는 화학식 1에 보여 진 바와 같이 lobaric acid의 ketone 작용기가 수산화기의 친핵성 공격에 의하여 산소음이온으로 변하고 이는 연속적으로 이웃한 ester 작용기에 친핵성 첨가 반응이 발생하면서 에스터기가 분해된 화합물로 예측 되었다. 예측된 구조는 추가적인 이차원 NMR 분광 분석법인 HMQC 및 HMBC의 분석을 통하여 확정 되었다 (표 4).
HMQC data (도 5) 및 HMBC data(도 6)의 분석을 통하여 로바린의 각 탄소 및 수소에 해당하는 피크의 위치를 확인 하였으며 이러한 자료는 lobaric acid의 NMR 측정치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OH 작용기의 양성자에 해당하는 피크 (7.65 ppm)로부터 C-6, C-7, 및 C-8 위치에 해당하는 13C NMR 피크들로의 HMBC correlation들은 제시된 로바린(Lobarin)의 구조를 규명하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NMR Data for lobarin (400 MHz, DMSO-d 6 )
Position δ C δ H , mult. ( J in Hz) HMBC a
1 107.1 -- --
2 158.0 -- --
3 101.7 5.91, d (1.8) 1, 2, 4, 5
4 166.8 -- --
5 99.8 6.75, d (1.8) 3, 1, 4, 5
6 155.0 -- --
7 165.6 -- --
8 106.3 -- --
9 38.7 1.97, m
2.07,m
8
10 25.7 1.14, m
1.25, m
--
11 22.5 1.12, m
1.38,m
--
12 14.3 0.82, br t 10, 11
1' 109.4 -- --
2' 153.3 -- --
3' 102.2 6.32, s 1', 5', 2', 4', 7'
4' 160.7 -- --
5' 131.8 -- --
6' 138.5 -- --
7' 172.0 -- --
8' 27.7 2.78, m --
9' 30.2 1.14, m
2.24,m
--
10' 32.2 1.11, m
1.29, m
--
11' 22.1 1.23, m
1.27, m
--
12' 14.4 0.72, br s --
4-OCH3 56.7 3.74, s 4
8-OH -- 7.66, s 9, 8, 6
aHMBC correlations, optimized for 8 Hz, are from proton(s) stated to the indicated carbon(s).
로바린 ( Lobarin )의 PTP1B 억제 활성 분석
로바린 (Lobarin)의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 1B(PTP1B) 억제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광학적으로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0.5㎎/㎖농도의 PTP1B (바이오니아, 한국), PTP1B 완충용액 (20 mM Tris-Hcl, pH 8.0, 0.75 mM NaCl, 0.5 mM EDTA, 5 mM β-mercaptoethanol, 50% Glycerol)에 화합물 로바린 (Lobarin) 0, 1, 3, 10, 30, 100, 300, 1000, 3000 nM과 기질 [pTyr1146] Insulin Receptor (1142-1153, 산타크루즈, 미국)를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10~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Malachite Green-Molybdate Dye Solution (1142-1153, 산타크루즈, 미국)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켜 PTP1B, 화합물 (로바린) 및 기질과의 반응을 종료시킨 후 6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바린 (Lobarin)의 PTP1B에 대한 억제 활성도를 분석한 결과, IC50 = 149 nM로 뛰어난 PTP1B 억제효과를 보이며, 농도의존적으로 저해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여 당뇨병 및 비만에 대한 약학적인 치료 및 예방이 가능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로바린 ( Lobarin )의 단백질 타이로신 인산화효소( Protein tyrosin phophatase)에 대한 선택성 분석
로바린 (Lobarin)의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의 family에 대한 선택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PTP1B, PTPN2, PTPN5, PTPN6, PTPN7 및 PTPN13에 대한 억제활성을 분광학적으로 효소 활성을 측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먼저, 0.5/농도의 PTP1B, PTPN2, PTPN5, PTPN6, PTPN7, PTPN13 (바이오니아, 한국)와 단백질타이로신탈인산효소 완충용액 (20 mM Tris-Hcl, pH 8.0, 0.75 mM NaCl, 0.5 mM EDTA, 5 mM β-mercaptoethanol, 50% Glycerol)에 로바린 (Lobarin) 0, 50, 100, 200nM과 기질 [pTyr1146] Insulin Receptor (1142-1153,시그마, 미국)를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10~30 분 동안 반응시킨 후 Malachite Green-Molybdate Dye Solution (시그마, 미국)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켜 기질과의 반응을 종료시킨 후 6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로바린 (Lobarin)의 단백질타이로신탈인산화효소족에 대한 선택성을 조사한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바린 (Lobarin)은 PTP1B에 대한 IC50 200nM에서 저해율은 52.2%이었으며, 특히 TC-PTP(PTPN2)를 포함한 다른 family에 대한 저해활성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미노산 서열 및 3D 구조에서 PTP1B와 가장 유사한 인산화효소로 알려진 TC-PTP(PTPN2)는 embrionic lethal이며 PTP1B와 유사한 효소특성을 가지고 2nd aryl-phosphate binding site를 포함한 활성화 부위(active site)가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757개 물질이 PTP1B를 타겟으로 등록되어 있으나 PTP1B를 주타겟으로 임상에 진입한 화합물은 하나도 없고 PTP1B를 포함하여 여러 타겟에 작용하는 식물 추출물만이 출시되었거나 임상 중에 있는 상태이다.
이에, 단백질타이로신탈인산화효소 family 중 PTP1B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함을 보이는 상기 실험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인 로바린(Lobarin)이 PTP1B 저해제로 이형당뇨치료에 이용가능함을 제시한다.
질환모델동물에 대한 화합물 ( Lobarin )의 효능 검증
5-1: PTP1B 활성 억제 물질을 복강 투여한 후 혈당 변화 관찰
로바린 (Lobarin)에 대한 예비실험, 효력실험, 독성실험, 자료를 바탕으로 투여량 (실험 물질(mg)/실험동물의 체중(Kg)으로 표시함)을 결정하였다. 7주령된 수컷 db/db 마우스 (제 2형 당뇨 모델 동물, C57/BLKS/J-db/db,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대조군으로 PBS 200㎕를, 실험군으로 로바린(Lobarin) 10mg/kg을 매일 복강투여하여, 일주일에 두 번씩 혈당을 측정하였다.
7주령 된 수컷 db/db 마우스 (제 2형 당뇨 모델 동물, C57/BLKS/J-db/db,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로바린(Lobarin)의 복강 주사에 따른 혈당 변화를 측정한 결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n=6)에서는 평균 0일 268 mg/dL, 3일 381 mg/dL, 7일 404 mg/dL, 10일 432 mg/dL, 14일 454 mg/dL, 17일 479 mg/dL, 21일 482 mg/dL 로 급격한 혈당 증가 현상이 나타났으나, 로바린 (Lobarin) 10mg/kg를 복강 주사한 실험군(n=6)에서는 평균 0일 267 mg/dL, 3일 278 mg/dL, 7일 298 mg/dL, 10일 315 mg/dL, 14일 352 mg/dL, 17일 379 mg/dL, 21일 425 mg/dL로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혈당 증가 현상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5-2: 화합물 ( Lobarin )을 복강 투여한 후 6시간 공복 후 혈당 변화 관찰
화합물(Lobarin)에 대한 보다 정확한 항당뇨 효과 측정을 위하여, 7주령된 수컷 db/db 마우스 (제 2형 당뇨 모델 동물, C57/BLKS/J-db/db,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대조군으로 PBS 200㎕를, 실험군으로 로바린을 10mg/kg씩 매일 복강주사후, 일주일에 두 번씩 혈당을 측정하였다. 이때, 복강 주사 후 6시간 동안 금식시킨 후 혈당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n=6)에서는 평균 0일 151 mg/dL, 3일 199 mg/dL, 7일 262 mg/dL, 10일 291 mg/dL, 14일 397 mg/dL, 17일 455 mg/dL, 21일 483 mg/dL 로 급격한 혈당 증가하였으나, 로바린 (Lobarin) 10 mg/kg를 복강 주사한 실험군(n=6)에서는 평균 0일 152 mg/dL, 3일 141 mg/dL, 7일 155 mg/dL, 10일 198 mg/dL, 14일 261 mg/dL, 17일 287 mg/dL, 21일 340 mg/dL로 실시예 5-1과 마찬가지로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혈당 증가 현상을 보였다.
5-3: PTP1B 활성 억제 물질을 복강 투여한 후 몸무게 변화 관찰
7주령 된 수컷 db/db 마우스 (제 2형 당뇨 모델 동물, C57/BLKS/J-db/db,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대조군으로 PBS 200㎕를, 실험군으로 로바린 10mg/kg을 매일 복강주사후, 복강 주사 후 몸무게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일주일에 두 번씩 일정한 시간에 동물용 체중계를 사용하여 몸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n=6)에서는 평균 0일 30.8 g, 3일 35.1 g, 7일 38.7 g, 10일 39.4 g, 14일 40.3 g, 17일 41.1 g, 21일 41.3 g의 몸무게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로바린 (Lobarin) 10mg/kg를 복강 주사한 실험군(n=6)에서는 평균 0일 29.1 g, 3일 33.7 g, 7일 37.5 g, 10일 38.3 g, 14일 39.3 g, 17일 39.9 g, 21일 40.3 g의 몸무게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화합물(Lobarin)을 처리 한 2형 당뇨동물에서 몸무게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변화가 없음을 나타낸다.
5-4: 화합물 ( Lobarin ) 처리 28일 후 포도당 내성 검사 검증
화합물(Lobarin)의 동물모델에서의 복강 내 포도당 내성 검사(IPGTT, Intraperitoneal glucose tolerance test)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7주령 된 수컷 db/db 마우스 (제 2형 당뇨 모델 동물, C57/BLKS/J-db/db,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대조군으로 20% DMSO를, 실험군으로 로바린을 10mg/kg씩 매일 28일간 복강주사후, 20% DMSO 및 로바린을 각각 투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16시간 공복 후 포도당(500 ㎎/㎖, 투여 부피 200㎕)을 복강 주사의 방법으로 주입 한 후 0, 15, 30, 60, 90, 120분에 꼬리 정맥에서 채취한 혈액 샘플에서 혈당 변화를 관찰하였다.
제 2형 당뇨동물에서 글루코오즈 피하 투여에 따른 포도당 내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20% DMSO 복강투여)의 경우 포도당의 투여 후 0분 293 mg/dL, 15분 429 mg/dL, 30분 557 mg/dL, 60분 553 mg/dL, 90분 539 mg/dL, 120분 568 mg/dL을 나타내며 급격한 혈당증가 경향 및 매우 느린 혈당 강하 거동을 보이는 반면, PTP1B 활성 억제 물질 Lobarin 10 mg/kg를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각각 0분 153 mg/dL, 15분 358 mg/dL, 30분 436 mg/dL, 60분 390 mg/dL, 90분 335 mg/dL, 120분 290 mg/dL로 약물 농도 의존성으로 낮은 혈당증가 및 빠른 혈당 강하를 통한 혈당 정상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시예 5의 1 내지 4의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화합물 로바린(Lobarin)이 매우 우수한 항당뇨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부호 없음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10064766666-pat00007
    .
  2.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a)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을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b) (a)단계에서 수득된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Stereocaulon alpinum) 추출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메탄올 수용액에서 용출하는 단계;
    (c) (b)단계에서 용출된 분획물을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아세토니트릴(CH3CN) 수용액으로 용출시켜 로바릭산(Lobaric acid)을 함유하는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로바릭산을 함유하는 분획을 용매에 용해한 후, NaOH 또는 KOH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산성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화학식 1]
    Figure 112010064766666-pat00008
    .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로바릭산을 함유하는 분획을 아세톤에 용해한 후, NaOH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HCl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농축한 다음,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수용액 간의 분배를 통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해층을 획득하고 농축하여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0064766666-pat00009
    .
  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0064766666-pat00010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0064766666-pat00011
    .
KR20100097678A 2010-10-07 2010-10-07 신규 화합물 로바린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481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7678A KR101481140B1 (ko) 2010-10-07 2010-10-07 신규 화합물 로바린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13164475.9A EP2617465B1 (en) 2010-10-07 2011-07-01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EP11830831.1A EP2626070B1 (en) 2010-10-07 2011-07-01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CN2011800591843A CN103249410A (zh) 2010-10-07 2011-07-01 预防或治疗糖尿病或肥胖症的药物组合物和食品组合物
PCT/KR2011/004836 WO2012046945A2 (ko) 2010-10-07 2011-07-01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및 식품 조성물
JP2013532710A JP5755749B2 (ja) 2010-10-07 2011-07-01 糖尿病若しくは肥満の予防、または治療用医薬組成物及び食品組成物
CN201510552764.6A CN105175371B (zh) 2010-10-07 2011-07-01 预防或治疗糖尿病或肥胖症的药物组合物和食品组合物
EP13164471.8A EP2617464B1 (en) 2010-10-07 2011-07-01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US13/878,196 US8846750B2 (en) 2010-10-07 2011-07-01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US13/900,361 US8703814B1 (en) 2010-10-07 2013-05-22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US13/900,155 US8697745B2 (en) 2010-10-07 2013-05-22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JP2015078174A JP2015212255A (ja) 2010-10-07 2015-04-07 糖尿病若しくは肥満の予防、または治療用医薬組成物及び食品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7678A KR101481140B1 (ko) 2010-10-07 2010-10-07 신규 화합물 로바린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026A KR20120036026A (ko) 2012-04-17
KR101481140B1 true KR101481140B1 (ko) 2015-01-15

Family

ID=4613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97678A KR101481140B1 (ko) 2010-10-07 2010-10-07 신규 화합물 로바린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148A1 (ko) 2017-12-29 2019-07-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로바릭산 및 그 유사체의 합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141B1 (ko) * 2011-04-26 2015-01-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신규 화합물 로바스틴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 SEO et al,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09, 19(10), pp. 2801-3 *
C. SEO et al,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09, 19(10), pp. 2801-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148A1 (ko) 2017-12-29 2019-07-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로바릭산 및 그 유사체의 합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026A (ko) 201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670B1 (ko) 2,5-비스-아릴-3,4-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이엠피케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617464B1 (en)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CN108440292B (zh) 异序乌桕素a-h及其药物组合物和其应用
EP2821068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patic fibrosis and cirrhosis containing ramalin
KR101481140B1 (ko) 신규 화합물 로바린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481141B1 (ko) 신규 화합물 로바스틴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485162B1 (ko) 소듐 로바레이트를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3120847B1 (en) Glechoma longituba extract for the treatment of kidney diseases or diabetes mellitus
KR101706156B1 (ko) 청미래덩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79459B1 (ko) 근육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데이츄 추출물과이로부터 분리한 4h-크로멘-4-온 유도체
KR101185137B1 (ko) 스테레오카울론 알피넘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32074B1 (ko) 에스큘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손실 억제용 조성물
CN108314620B (zh) 异序乌桕素i和j及其药物组合物和其应用
KR101839313B1 (ko) 방사선 처리된 루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US8697745B2 (en)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KR20160096851A (ko)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160928B (zh) 辣木籽中新的酚苷类化合物及其应用
KR101132174B1 (ko) 에리스리나 아비시니카로부터 얻은 에이엠피케이를 활성화시키는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096350B (zh) 辣木籽中新的硫醚类化合物及其应用
CN108892651B (zh) 一种混源萜二聚体类化合物及其药物组合物和其应用
EP2617465B1 (en)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US8703814B1 (en) Pharmaceutical and food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obesity
CN109810084B (zh) Paeonilactiflorol及其药物组合物与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046149A (ko) 양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골격근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23249A (ko) Ptp-1b 억제활성을 가지는 신규 로바릭산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