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702B1 - 복합수지 코팅 강판 - Google Patents
복합수지 코팅 강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6702B1 KR101436702B1 KR1020120154315A KR20120154315A KR101436702B1 KR 101436702 B1 KR101436702 B1 KR 101436702B1 KR 1020120154315 A KR1020120154315 A KR 1020120154315A KR 20120154315 A KR20120154315 A KR 20120154315A KR 101436702 B1 KR101436702 B1 KR 1014367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sheet
- weight
- parts
- composite resin
- conductive additiv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9000000805 composite resi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8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5
- 239000002482 conductive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10001335 Galvaniz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8397 galvanized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 silicate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50000003609 titan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JDSHMPZPIAZGSV-UHFFFAOYSA-N mel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N)=N1 JDSHMPZPIAZGS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3014 phosphoric acid ester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50000003673 urethan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NTHWMYGWWRZVTN-UHFFFAOYSA-N sod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Na+].[Na+].[O-][Si]([O-])=O NTHWMYGWWRZVT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210 therapy by ultrasoun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RYSXWUYLAWPLES-MTOQALJVSA-N (Z)-4-hydroxypent-3-en-2-one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C\C(O)=C\C(C)=O.C\C(O)=C\C(C)=O.C\C(O)=C\C(C)=O.C\C(O)=C\C(C)=O RYSXWUYLAWPLES-MTOQALJV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SRLPPRVVQNACSW-UHFFFAOYSA-L 2-hydroxypropanoate;titanium(2+) Chemical compound [Ti+2].CC(O)C([O-])=O.CC(O)C([O-])=O SRLPPRVVQNACSW-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1297 Zn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60 cold rolled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119 colloidal silica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1449 iso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FOZHTJJTSSSURD-UHFFFAOYSA-J titanium(4+);dicarbonate Chemical compound [Ti+4].[O-]C([O-])=O.[O-]C([O-])=O FOZHTJJTSSSURD-UHFFFAOYSA-J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225 biodies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02 gaso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23 met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PQQTUXANYXVAA-UHFFFAOYSA-N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O-][Si]([O-])([O-])[O-] BPQQTUXANYXV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115 Sod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51 bio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DAGIHXWWSANSR-UHFFFAOYSA-N metha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 BDAGIHXWWSANS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11 sod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NCADMBVWNPPIZ-UHFFFAOYSA-N 2-n,2-n,4-n,4-n,6-n,6-n-hexakis(methoxymethyl)-1,3,5-triazine-2,4,6-triamine Chemical compound COCN(COC)C1=NC(N(COC)COC)=NC(N(COC)COC)=N1 BNCADMBVWNPPI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XKOSHBFVWYVIH-UHFFFAOYSA-N 2-n-(butoxymethyl)-1,3,5-triazine-2,4,6-triamine Chemical compound CCCCOCNC1=NC(N)=NC(N)=N1 NXKOSHBFVWYVI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OSPVUKRNAQARI-UHFFFAOYSA-N 2-n-(trimethoxymethyl)-1,3,5-triazine-2,4,6-triamine Chemical compound COC(OC)(OC)NC1=NC(N)=NC(N)=N1 AOSPVUKRNAQA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SWFIVFLDKOXQC-UHFFFAOYSA-N 4-(3-methoxy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2C=CC(N)=CC=2)=C1 OSWFIVFLDKOXQ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0994 Sn-Z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9069 Sn—Z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9 bra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2 carbo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83 diese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53 for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41 quality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086 sid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18 spray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24 transition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3 welding typ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2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zinc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tallu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연 도금 강판 상에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전도성 첨가제가 함입된 수지 코팅층이 형성된 복합수지 코팅강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연 도금 강판 상에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전도성 첨가제가 함입된 수지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표면 전기전도성이 우수하여 용접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다종연료의 사용 시에도 내부식성이 우수하여 내연료성이 우수한 복합수지 코팅강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연료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복합수지 코팅 강판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연료탱크는 스폿(Spot)용접, 심(seam)용접, 브레이징(Brazing) 및 프로젝션(Projection) 용접 등 다양한 종류의 용접에 의해 만들어진다. 따라서 연료탱크용 강판은 용접특성이 우수해야 하고, 동시에 연료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해야 한다. 특히 최근에는 화석연료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바이오 연료를 기존 가솔린이나 디젤연료에 혼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연료탱크는 더욱 심한 부식환경에 도출되어 있다.
자동차용 연료탱크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계아연도금 코팅 강판은 내연료성과 내부식성은 우수한 반면, 코팅면이 절연특성을 가지므로 용접 특성이 나쁘다. 이와 같은 단점 때문에 고분자 수지 조성물에 금속입자를 혼합하여 전도성을 향상하여 용접성을 향상하는 기술들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도막 두께가 증가하여 제조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나쁘고 가공 시 가루가 발생하여 추가적인 불량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가의 Sn-Zn 합금 용융도금 강판을 적용하는 기술이 상용화되어 있으나 고가일 뿐만 아니라, 내연료성과 내부식성이 나쁜 단점이 있다.
최근 바이오 연료와 같은 다종연료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연료탱크의 사용 환경이 점점 더 나빠지고 있으므로 더 우수한 내연료성을 갖는 연료탱크용 강판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과 같이, 마이크론 사이즈의 금속 분말이 고분자 수지와 단순 혼합된 경우에는 방치하면 비중이 큰 금속이 가라앉게 되므로 고분자 매트릭스 외부에 금속 분말이 결합되어 있어, 건조도막 형성 시 내용제성과 내식성이 나쁘고, 가공 시에도 가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분자 매트릭스 내 전도성 첨가제를 함입시킨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수지 코팅 강판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연 도금 강판 상에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전도성 첨가제가 함입된 수지 코팅층이 형성된 복합수지 코팅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강판 상에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전도성 첨가제가 함입된 수지 코팅층이 형성된 복합수지 코팅강판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강판 상에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전도성 첨가제가 함입된 수지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코팅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고분자 매트릭스에 전도성 첨가제가 함입된 복합수지 코팅으로 제조한 연료탱크용 강판은 표면 전기전도성이 우수하여 용접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다종연료의 사용 시에도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내연료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수지 코팅강판의 단면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수지 코팅강판의 단면모식도이다.
도 3은 내연료성 평가를 위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수지 코팅강판의 단면모식도이다.
도 3은 내연료성 평가를 위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강판 상에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전도성 첨가제가 함입된 수지 코팅층이 형성된 복합수지 코팅강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강판은 연료탱크용 강판이면 모두 가능하며, 아연 도금 강판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연 도금 강판은 냉연강판에 아연 단독, 아연을 포함하는 2종 또는 3종 합금 도금 강판, 용융 도금 강판, 건식 도금 강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종 합금의 경우에는 Zn-X(X=Fe, Co, Ni, Mg), 상기 3종 합금의 경우에는 Zn-A-B(A=Al, B=Si,Mg)가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아연도금 강판으로는 냉연강판에 5 내지 60 g/m2의 도금 부착량으로 아연 또는 아연합금, 용융아연 또는 합금 용융아연이 도금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수지 코팅층은 우레탄 수지, 멜라민 경화제, 실리케이트 화합물, 티타늄 화합물, 인산에스테르 및 전도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강판 코팅 용액을 경화시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수지 코팅 용액에 사용되는 주제 수지는 내부식성과 내연료성이 우수한 우레탄 수지와 경화제로 멜라민 수지를 사용하며, 우레탄 수지로는 수분산된 페녹시 변성 우레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가 내연료성과 내식성에서 우수한 특징을 나타내는 이유는 페녹시 변성 우레탄 수지가 다른 고분자 수지와는 달리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가 높기 때문이다. Tg 가 높으면 사용 환경의 온도가 높아져도 고분자의 분자운동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외부의 부식인자(수분, 휘발유 등)에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Tg가 높으면 부식인자가 소지강판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폐 효가가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25,000 내지 70,000이 바람직하고, 35,000 내지 60,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이 25,000 미만이면 내연료성이 나빠지고, 70,000을 초과하면 조성물의 저장안정성 및 작업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멜라민 수지는 3 내지 4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건조도막의 경화반응이 완벽하게 않아 도막의 물성이 나쁘며, 40 중량부를 초과 사용하면 과량의 경화제에 의해 부반응이 일어나 도막의 가공물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경화제는 반응성이 우수한 것을 선정하는 것이 좋으며, 이로서 한정하는 것으로 아니지만, 멜라민, 부톡시메틸 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 멜라민 및 트리메톡시메틸 멜라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멜라민계 경화제는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수지 코팅 용액에는 건조도막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리케이트 화합물을 첨가한다. 상기 실리케이트 화합물의 예로는 이로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리튬 폴리실리케이트, 소듐 폴리실리케이트, 포타슘 폴리실리케이트 및 콜로이달 실리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단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케이트 화합물은 5 내지 6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실리케이트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함량이 너무 적어서 내부식성 효과가 미흡하고,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부식성은 향상되나 도막이 거칠어져서 좋지 않다.
상기 복합 수지 코팅 용액에는, 또한 건조도막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티타늄 화합물을 첨가한다. 상기 티타늄 화합물은 작은 함량을 투입하여도 가공부에 대한 내부식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티타늄 화합물로는 Dupont 사에서 제조하는 티타늄 카보네이트, 이소프로필디트리에탄올아미노 티타네이트, 락틱산 티타늄킬레이트 및 티타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티타늄 화합물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티타늄 화합물 함량은 3 내지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티타늄 화합물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함량이 너무 적어 내부식성 효과가 미흡하고, 20 중량부 초과하면 내부식성은 향상되나 제조원가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복합 수지 코팅 용액에는 소지강판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산 에스테르를 첨가한다. 인산 에스테르에 의한 도막밀착력은 계면에서 인산에스테르 작용기와 고분자 수지 및 도금층과의 다중결합에 의해 향상된다. 즉, 금속과 비금속과의 가교 역할을 함으로써 도막의 밀착력이 향상하고 이에 따라 가공성 및 내연료성이 향상된다.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인산에스테르는 1 내지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인산에스테르를 1 중량부 미만 사용하게 되면 함량이 너무 적어 효과가 미흡하고, 20 중량부를 초과 사용하면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저해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상기 복합 수지 코팅 용액에는 용접성 향상을 위하여 전도성 첨가체를 첨가한다. 전도성 첨가제가 고분자 수지와 단순 혼합된 경우에는 건조도막 형성 시 내용제성과 내식성이 나쁘고, 가공 시에도 가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전도성 첨가제를 고분자 수지 매트릭스에 함입하여 용액제조 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건조도막이 형성될 때 내부식성과 용접성이 동시에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되는 전도성 첨가제 함량은 1 내지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만일 전도성 첨가제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함량이 너무 적어 건조도막의 표면 전기전도성이 미흡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건조도막의 물성이 나빠져 내연료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전도성 첨가제로는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나노크기의 그라파이트,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 등의 탄소화합물과 나노 크기의 금속 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나노 금속의 종류로는 Ni, Zn, Al, Cu, Ag, W, Mo, Co, Pd, Au 등의 전이금속이 사용된다. 상기 나노 금속은 평균 입경이 0.5 내지 400 nm가 바람직하며, 1 내지 350 nm가 보다 바람직하며, 10 내지 300 nm가 더욱 바람직하다. 입경이 400 nm를 초과하면 비중이 커서 고분자 매트릭스에 혼입되지 않아 방치 시 침전되어 저장성이 문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복합 수지 코팅 용액에 사용될 수 있는 용제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함량은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50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강팡 상에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전도성 첨가제가 함입된 수지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코팅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우레탄 수지와 전도성 첨가제를 고속 혼합하고 초음파 처리하고, 멜라민 경화제, 실리케이트 화합물, 티타늄 화합물 및 인산에스테르를 혼합하여 복합수지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강판 상에 상기 복합수지 코팅 용액을 코팅하여 수지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복합수지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복합수지 코팅 용액은 기존 마이크로 사이즈의 금속 분말과 고분자 수지를 단순 혼합시켜 제조되는 것과 달리, 전도성 첨가제와 우레탄 수지를 비드(Bead)를 이용하여 고속 혼합하고 초음파 처리 과정을 거침으로써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전도성 첨가제가 함입된 수지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25,000 내지 7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도성 첨가제로 나노 사이즈의 나노 금속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속 혼합"이라 함은 500 내지 10000 rpm의 속도로 5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20 내지 30 ℃의 온도 조건 하에서 교반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초음파 처리는 1 KA 내지 10 KA 세기의 조건에서 24 내지 72시간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초음파 처리 후 24 내지 72시간 방치하여 입자가 큰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첨가제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에, 멜라민 경화제, 실리케이트 화합물, 티타늄 화합물 및 인산에스테르를 혼합하여 복합수지 코팅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수지 코팅 용액을 강판에 롤 코팅 혹은 스프레이 코팅방법으로 코팅한 다음 열풍 또는 유도가열로 오븐에서 소부경화하여 복합코팅 도막을 형성한다.
상기 복합수지 코팅층의 코팅량은 0.2 내지 2.5 g/m2이 바람직하며, 부착량이 0.2 g/m2 미만에서는 원하는 내식성과 내연료성 확보가 어렵게 되고, 2.5 g/m2 초과하면 절연성이 커져 용접성이 나빠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코팅도막의 소부 건조 온도는 강판온도(PMT, Peak Metal Temperature) 기준으로 160 내지 250 ℃의 온도범위가 바람직한데 온도가 160℃ 미만에서는 경화반응이 미흡하여 내부식성과 내연료성 확보가 곤란하다. 반대로 250 ℃를 초과할 경우에는 멜라민 경화제의 가교반응이 너무 증가하여 도막이 딱딱해져 가공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3 내지 2 ㎛인 것이 좋다. 코팅층 두께가 0.3 ㎛ 미만이면 도막 두께가 얇아 충분한 내부식성과 내연료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2 ㎛ 초과하면 내부식성과 내연료성은 향상되나 절연성이 커져 용접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복합수지 조성물을 강판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롤코팅, 스프레이 코팅, 침적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롤코팅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20: 복합수지 강판 제조
주제 수지로 수평균 분자량이 50,000인 페녹시 변성 우레탄 수지 및 입경이 200 nm인 Cu 분말을 5000 rpm의 속도로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비드를 이용하여 고속 교반하고, 5 KA 세기의 초음파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또한, 48시간 동안 방치한 후 입자가 큰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경화제로 멜라민 수지, 입경이 20 nm인 소듐 실리케이트, 티타네이트, 인산 에스테르 및 순수를 첨가하여 고형분이 10 내지 35 중량%가 되도록 복합수지 코팅을 제조하였다.
도금량이 30g/m2인 아연도금 강판 상에 상기 복합수지 코팅 용액을 롤 코팅 방법으로 코팅하고, 강판 온도가 190 ℃되게 소부 건조한 다음, 냉각하여 건조도막의 중량이 0.3 내지 2 g/m2인 복합수지 코팅 강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4: 마이크론 사이즈의 금속 분말을 사용하여 단순 혼합한 경우
주제 수지로 수평균 분자량이 50,000인 페녹시 변성 우레탄 수지, 입경이 1 마이크론 크기의 Cu 분말, 경화제로 멜라민 수지, 입경이 20 nm인 소듐 실리케이트, 티타네이트, 인산 에스테르 및 순수를 첨가하여 고형분이 10 내지 35 중량%가 되도록 복합수지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도금량이 30g/m2인 아연도금 강판 상에 상기 복합수지 코팅 용액을 롤 코팅 방법으로 코팅하고, 강판 온도가 190 ℃되게 소부 건조한 다음, 냉각하여 건조도막의 중량이 0.3 내지 2 g/m2인 복합수지 코팅 강판을 제조하였다.
[표 1]
실시예 1 내지 20은 나노 금속 분말이 주제 수지와 혼합 후 방치하면 침전이 일어나지 않아 용액 안정성이 우수하며, 가공 시 가루가 발생하는 문제가 없어 프로세스 작업성도 우수하다.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4는 마이크론 금속 입자가 주제 수지와 단순 혼합 후 방치하면 침전이 일어나 용액 안정성이 우수하지 못하며, 가공 시 가루가 발생하여 프로세스 작업성 역시 좋지 않다.
실험예
품질평가로는 도막 밀착성, 내식성, 표면 전기전도성, 내연료성 및 용접성 등 연료탱크 강판에 필요한 물성을 평가하였다.
강판의 건조도막의 밀착성 평가는 강판을 비등수에 넣고 끓인 후 내비등수성과 컵가공 후 가공부 도막 박리성 평가를 하였다.
내비등수 도막 밀착성은 비등수에 30분 동안 끓인 다음 5분간 자연 방치시켜 건조한 후, 스카치 테이프를 강판에 붙인 후 박리하여 평가하였다. 그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 박리된 면적이 0~5%
○ : 박리된 면적이 5~20%
△ : 박리된 면적이 20~50%
× : 박리된 면적이 50% 이상
컵가공 후의 도막 밀착성은 강판을 95mmφ 크기로 펀칭하고, 가공다이의 곡률반경이 4가 되도록 하여 높이 25mm로 컵가공한 다음 가공 벽면을 스카치 테이프로 강판에 붙인 후 박리하여 평가하였다. 그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 박리된 면적이 0~5%
○ : 박리된 면적이 5~20%
△ : 박리된 면적이 20~50%
× : 박리된 면적이 50% 이상
내식성은 염수농도 5%, 35℃에서 1kg/cm2의 분무압 조건에서 복합코팅한 강판이 1,000시간이 지난 후 표면에 발생한 적녹의 발생면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 부식 면적이 0%
○ : 부식 면적이 5% 이하
△ : 부식 면적이 5~30%
× : 부식 면적이 30% 이상
표면 전기전도성은 LORESTA EP (미씨비씨㈜) 기기를 이용하여 저항값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그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 저항 10mW 이하
○ : 10mW 이상 100mW 이하
△ : 100mW 이상 1000mW 이하
× : 1000mW 이상
내연료성은 에탄올과 바이오디젤의 고온 내연료성으로 평가하였다. 평가시편은 상기와 같이 컵 가공 후 도 3과 같이 컵에 연료를 넣고 오링과 유리판을 이용하여 덮어 고정하여 평가하였다.
에탄올 연료성은 85% 에탄올 (5% 순수) + 15% 무연휘발류 + 20ppm 개미산을 60 ℃에서 3개월 방치한 다음 강판의 부식상태를 평가하였다.
바이오 디젤의 경우에는 80% 경유(10% 순수 포함) + 20% 바이오 디젤을 90 ℃에서 3개월 방치 후 강판의 부식상태를 평가하였다. 그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 부식 면적이 0%
○ : 부식 면적이 5% 이하
△ : 부식 면적이 5~30%
× : 부식 면적이 30% 이상
용접성은 공압식 AC 스폿 용접기를 이용하여 가압력 250kg, 용접시간 15Cycle 통전전류는 7.5kA에서 스패이트(Spatter)가 없으며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용접이 가능한 점 용접타점 수로 평가하였다.
◎ : 1200 타점 이상
○ : 900 이상 1200 이하
△ : 600 이상 900 이하
× : 500 이하
[표 2]
하기 표 3은 강판 소재만을 변경시킨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수지 코팅 강판을 제조하였고, 물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3]
다양한 소재별 강판의 품질평가
Claims (19)
- 수평균 분자량이 25,000 내지 70,000인 우레탄 수지와 전도성 첨가제를 고속 혼합하고 초음파 처리하고, 멜라민 경화제, 실리케이트 화합물, 티타늄 화합물 및 인산에스테르를 혼합하여 복합수지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강판 상에 상기 복합수지 코팅 용액을 코팅하여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전도성 첨가제가 함입된 수지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코팅층은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멜라민 경화제 3 내지 40 중량부, 실리케이트 화합물 5 내지 60 중량부, 티타늄 화합물 3 내지 20 중량부, 인산에스테르 1 내지 20 중량부, 전도성 첨가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강판 코팅 용액을 경화시켜 형성된 복합수지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는 페녹시 변성 우레탄 수지인 복합수지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케이트 화합물은 리튬 폴리실리케이트, 소디움 폴리실리케이트, 포타슘 폴리실리케이트 및 콜로이달 실리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인 복합수지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 화합물은 티타늄 카보네이트, 이소프로필디트리에탄올아미노 티타네이트, 락틱산 티타늄킬레이트 및 티타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인 복합수지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첨가제는 나노 금속, 그라파이트, 탄소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인 복합수지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 삭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Ni, Zn, Al, Cu, Ag, W, Mo, Co, Pd 및 Au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복합수지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금속은 평균 입경이 0.1 내지 400 nm인 복합수지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 코팅 용액을 0.2 내지 2.5 g/m2의 코팅량으로 코팅하는 복합수지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3 내지 2μm 인 복합수지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아연 도금 강판인 복합수지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 도금 강판은 냉연강판에 아연 또는 아연합금, 용융아연 또는 합금 용융아연이 도금된 복합수지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혼합은 500 내지 10000 rpm의 속도로 5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20 내지 30 ℃의 온도 조건 하에서 교반하는 복합수지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는 1 KA 내지 10 KA 세기의 조건에서 24 내지 72시간 처리하는 복합수지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4315A KR101436702B1 (ko) | 2012-12-27 | 2012-12-27 | 복합수지 코팅 강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4315A KR101436702B1 (ko) | 2012-12-27 | 2012-12-27 | 복합수지 코팅 강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4643A KR20140084643A (ko) | 2014-07-07 |
KR101436702B1 true KR101436702B1 (ko) | 2014-09-18 |
Family
ID=5173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4315A KR101436702B1 (ko) | 2012-12-27 | 2012-12-27 | 복합수지 코팅 강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670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1512B1 (ko) * | 2018-09-28 | 2020-07-07 | 주식회사 포스코 | 연료탱크 강판용 복합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복합수지코팅강판 및 그 제조방법 |
KR20230099057A (ko) | 2021-12-27 | 2023-07-04 | 정대승 | 잔 사 절단용 절단 날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빈에 감긴 잔 사 자동 제거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2719B1 (ko) * | 2006-12-27 | 2007-12-05 | 주식회사 포스코 | 크롬프리 및 수지 처리된 강판, 그 제조방법 및 이에사용되는 수지처리액 |
KR20080086839A (ko) * | 2007-03-23 | 2008-09-26 |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 도전성 수지 도장 금속판 |
KR20080089290A (ko) * | 2007-03-30 | 2008-10-06 |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 전자파 흡수성이 우수한 적층형 수지 도장 금속판 |
-
2012
- 2012-12-27 KR KR1020120154315A patent/KR1014367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2719B1 (ko) * | 2006-12-27 | 2007-12-05 | 주식회사 포스코 | 크롬프리 및 수지 처리된 강판, 그 제조방법 및 이에사용되는 수지처리액 |
KR20080086839A (ko) * | 2007-03-23 | 2008-09-26 |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 도전성 수지 도장 금속판 |
KR20080089290A (ko) * | 2007-03-30 | 2008-10-06 |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 전자파 흡수성이 우수한 적층형 수지 도장 금속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4643A (ko) | 2014-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86814B2 (ja) | 容器用鋼板とその製造方法 | |
JP5607179B2 (ja) | 優れた溶接性、加工性、耐食性を有するプレコート鋼板用樹脂組成物、これを利用したプレコート鋼板の製造方法及び鋼板 | |
KR101436702B1 (ko) | 복합수지 코팅 강판 | |
KR101674749B1 (ko) | 도금강판용 피복 조성물,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782719B1 (ko) | 크롬프리 및 수지 처리된 강판, 그 제조방법 및 이에사용되는 수지처리액 | |
KR101696038B1 (ko) | 유무기 복합 피막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연료탱크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543893B1 (ko) |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피복 조성물 및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그 제조방법 | |
KR100396084B1 (ko) | 연료탱크용 표면처리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43905B1 (ko) | 내부식성 및 심 용접성이 우수한 복합수지 코팅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강판 | |
JP2690629B2 (ja) | 耐食性および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有機複合被覆鋼板 | |
JP4151228B2 (ja) | 高耐食性燃料タンク用鋼板 | |
CN109952350B (zh) | 燃料箱钢板用复合树脂组合物、利用该组合物的复合树脂涂覆钢板及其制造方法 | |
KR101842555B1 (ko) | 도금 강판의 표면처리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 |
CN112867767B (zh) | 燃油箱钢板用复合树脂组合物、利用该组合物的复合树脂涂覆钢板及其制造方法 | |
JP2011157576A (ja) | 熱間プレス鋼材の製造方法 | |
JP2001064486A (ja) | 鋼板被覆用樹脂組成物および鋼板およびタンク | |
JP3993815B2 (ja) | 導電性、耐食性、成形性に優れる被覆金属板 | |
JP5186815B2 (ja) | 容器用鋼板 | |
KR101639898B1 (ko) | 수지 처리 공정 생략형 크롬프리 표면처리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H11151778A (ja) | 高耐食性燃料タンク用鋼板 | |
TWI589362B (zh) | 抗高溫氧化塗裝鋼板及其製造方法與應用 | |
KR100928834B1 (ko) | 자동차 연료탱크용 수지피복강판 제조방법 | |
KR20160027294A (ko) | 우수한 심용접성 및 항곰팡이성을 부여하는 연료탱크 강판용 복합수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코팅된 강판 | |
JP4938054B2 (ja) | 有機被覆溶融Sn−Znめっき鋼板 | |
JPH11151776A (ja) | 高耐食性燃料タンク用鋼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