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0736B1 -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 Google Patents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736B1
KR101420736B1 KR1020120030120A KR20120030120A KR101420736B1 KR 101420736 B1 KR101420736 B1 KR 101420736B1 KR 1020120030120 A KR1020120030120 A KR 1020120030120A KR 20120030120 A KR20120030120 A KR 20120030120A KR 101420736 B1 KR101420736 B1 KR 101420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bon
needle
guide
fabric
embroid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7925A (ko
Inventor
박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크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크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크로
Priority to KR1020120030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73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7/00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 D05C7/08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for attaching cords, tapes, ban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3/00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embroider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cillary apparatus for use with embroider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3/00Applied objects or articles
    • D05D2303/20Small textile objects e.g., labels, beltlo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본 봉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자수실이 결합된 바늘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직물에 설정된 자수 패턴이 봉착되는 자수기에 결합되는 리본 봉착기에 있어서, 상기 직물과 상기 바늘 사이에서 상기 바늘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직물에 봉착할 리본의 인입 방향을 안내하는 인입 방향 안내부; 및 상기 리본의 인입 방향이 상기 자수 패턴의 진행 방향과 대응하도록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의 구동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본의 공급 경로가 바늘의 이동 경로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리본의 인입 방향을 조절하며, 한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고, 제한한 각도 이상의 회전이 요구되면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리본이 접힌 채로 봉착되게 함으로써 리본의 접힘 형태를 통해 부가적인 디자인의 한 요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CORD OR RIBBON ATTA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자수기에 부가 설치하여 장식사 또는 리본을 선택적으로 직물에 설정 패턴에 따라 봉착하는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 원단에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고 장식 효과를 누리기 위한 수단으로서, 장식사 또는 스팽글을 직물 원단에 봉착(stitching or attaching)하는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식사 또는 스팽글은 각각의 장식사 봉착장치나 스팽글 봉착 장치를 이용하여 원단에 봉착하게 된다.
이러한 봉착 장치에 대한 기술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10-0502015호 및 특허등록 제10-0589639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0-0502015호 및 특허등록 제10-0589639호에 개시된 지지 구조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특허등록 제10-0502015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의 장식사와 스팽글 봉착장치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은 연결대(10) 배면에 상단이 체결 고정되고 전면에는 수직 방향에 대해 주기어 안착홈(21), 연결기어 안착홈(22), 봉착기어 안착홈(23)이 차례로 형성되는 봉착플레이트(20)와; 상기 주기어 안착홈(21)에 안착되고 좌우 이동하는 스틸밴드(91)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스틸밴드 기어(30b) 및 이 스틸밴드 기어(30b) 배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한 스틸밴드 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기어(30a)를 갖는 주기어(30)와; 상기 봉착기어 안착홈(23)에 안착되어 장식사 및 스팽글(90)이 원단에 선택적으로 봉착되게 하는 봉착기어(32)와; 상기 연결기어 안착홈(22)에 안착되어 주기어(30)의 구동력을 봉착기어(32)에 전달하는 연결기어(31)와; 상기 주기어(30) 전면에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간격리브(41)에 의해 주기어(30)와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단에 스틸밴드(91) 저면을 받쳐주는 안내턱(42)이 돌출 형성된 전면판(40)과; 상기 연결기어(31)와 봉착기어(32) 전면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한 연결기어와 봉착기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되게 하는 커버판(50)과; 상기 커버판(50) 전면에 체결 고정되고 피딩롤러(70)로 부터 공급되는 스팽글(90)을 안내하는 스팽글 안내판(60)이 상호 결합되어 디자인에 따라 한 개의 바늘로서 스팽글과장식사를 선택적으로 번갈아 봉착할 수 있는 장치의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장식사와 스팽글 봉착장치는, 고정된 형태를 가지는 스팽글 또는 장력에 의하여 형태를 유지하는 힘이 강한 장식사를 봉착하는 데에는 적합하지만, 리본(일정 폭을 가지며 띠 형태로 공급되는 원단을 말함)을 봉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았다. 도 2는 특허등록 제10-0589639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의 장식사 및 스팽글 자동봉착장치의 단위 장식사/스팽글 봉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종래기술 2의 장식사 및 스팽글 자동봉착장치는 장식사안내휠(5)을 회전 가능하도록 내부에 장착시킨 하우징(7)이 체결 볼트(9)에 의하여 메인프레임(1)에 장착된다. 하우징은 통상 체결 볼트(7)에 의해서 메인프레임에 직접 고정되는 외측 하우징(7A)과 외측 하우징에 볼트(18)에 의해서 고정되는 내측 하우징(7B)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식사안내휠(5)에는 장식사가 통과하여 삽입되는 장식사유도홀(6)과 바늘(15)과 스팽글(17)을 통과시킬 수 있는 중앙 통공(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식사안내휠(5)의 외주에는 구동벨트(3)와 맞물려 장식사안내휠(5)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치차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장식사/스팽글 봉착장치는 장식사안내휠(5)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에서 메인 프레임의 종축과 수직을 이루도록 스팽글유도홈(10)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스팽글유도홈(10) 내에는 스팽글 가이드 부재(12)가 설치되어 스팽글유도홈(10)과 스팽글 가이드 부재(12) 사이에 스팽글 유도 경로가 형성된다. 스팽글유도홈(10)은 장식사안내휠(5)에 근접하도록 스팽글을 유도하기 위해서 장식사 안내휠의 하우징(7)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팽글 가이드 부재의 다른 쪽 단부는 스팽글 피딩 롤러(13)와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팽글 유도 홈 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팽글과 가이드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팽글 이탈 방지 커버(11)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 형태에 따라 스팽글 가이드 부재(12)는 스팽글 이탈 방지 커버(11)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장식사/스팽글 봉착장치 장식사 또는 스팽글을 봉착하는 데에는 적합하지만 리본을 봉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자수 패턴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기계 자수 방식의 자수기에서 장식사 또는 스팽글 외에도 리본을 봉착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었다.
KR 10-0502015 B1 KR 10-0589639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 자수 방식의 장치에서, 장식사 또는 스팽글과 같이 형태가 고정된 재료 외에도 리본과 같이 형태가 가변적인 재료를 봉착 및 활용할 수 있는 봉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리본의 공급 경로가 바늘의 이동 경로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리본의 인입 방향을 조절하며, 한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고, 제한한 각도 이상의 회전이 요구되면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리본이 접힌 채로 봉착되게 함으로써 리본의 접힘 형태를 통해 부가적인 디자인의 한 요소로 활용할 수 있는 리본 봉착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자수기에 추가적 또는 선택적으로 간단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리본 봉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본을 긴장시키는 대기 위치에서 리본(ribbon) 자수 대신 밑바탕이 되는 노말(normal) 자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그 반대로도 활용할 수 있게 한 리본 봉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수실이 결합된 바늘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직물에 설정된 자수 패턴이 봉착되도록 자수기에 결합되는 리본 봉착기에 있어서, 상기 직물과 상기 바늘 사이에서 상기 바늘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직물에 봉착할 리본의 인입 방향을 안내하는 인입 방향 안내부; 및 상기 리본의 인입 방향이 상기 자수 패턴의 진행 방향과 대응하도록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의 구동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본 봉착기를 통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좌우로 운동하며,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와 결합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연동되도록 외주면에 방사상의 기어 이(齒)가 형성되고, 축 중심에 상기 바늘이 통과하는 바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바늘 구멍과 상기 기어 이의 사이에 리본 안내공이 상기 리본을 상기 바늘의 왕복 운동 경로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본 안내공은, 상기 바늘 구멍을 기점으로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바늘 구멍의 양측에 형성되어 각각의 형성 폭이 동일하게도 또는 상이하게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늘의 후퇴 경로와 상기 리본의 공급 경로를 고려하여,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수 패턴에 따라서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를 3/4바퀴 이상 회전시켜 상기 리본이 상기 직물 상에 접힌 채로 봉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본이 상기 바늘과 상기 직물 사이의 경로에서 벗어나 대기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고, 상기 리본이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리본(ribbon) 자수 대신 노말(normal) 자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 구멍을 기점으로 적어도 하나의 장식사공이 상기 리본 안내공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본의 공급 경로가 바늘의 이동 경로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리본의 인입 방향을 조절하며, 한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고, 제한한 각도 이상의 회전이 요구되면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리본이 접힌 채로 봉착되게 함으로써 리본의 접힘 형태를 통해 부가적인 디자인의 한 요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자수기에 추가적 또는 선택적으로 간단히 설치하여 리본 봉착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본을 긴장시키는 대기 위치에서 리본(ribbon) 자수 대신 밑바탕이 되는 노말(normal) 자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그 반대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고속 자수가 가능한 기계 자수 방식의 장치에서도 디자이너로 하여금 다양한 패턴을 자유롭게 디자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소비자들에게는 보다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인 장식사와 스팽글 봉착장치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인 장식사 및 스팽글 자동봉착장치의 단위 장식사/스팽글봉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에 적용되는 인입 방향 안내부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에서 대기 위치와 리본 자수 모드의 일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에 의해 제조된 리본 자수 패턴이 나타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에서 리본 자수 모드를 통해 8각 형태의 자수 패턴을 봉착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에서 리본의 인입 방향과 자수 패턴의 진행 방향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에 적용되는 인입 방향 안내부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에 적용되는 인입 방향 안내부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리본 봉착기에 대한 실시 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리본(ribbon)이라 함은,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띠 형태의 원단 재료를 말하는 것으로서, 직물에 봉착될 때에 일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봉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에 적용되는 인입 방향 안내부가 정면도 및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에서 대기 위치와 리본 자수 모드의 일례가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에 의해 제조된 리본 자수 패턴이 사진으로 나타나 있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100)는 구동부(200, 220), 메인 플레이트(230), 인입 방향 안내부(240), 하우징(250), 바늘대(260), 백롤러 구동부(270), 리본 권취롤(28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200, 220), 메인 플레이트(230), 바늘대(260), 백롤러 구동부(270) 및 리본 권취롤(280)은 일반 자수기의 구성을 나타내며, 상기 리본 권취롤(280) 및 제어부를 추가적 또는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리본 봉착 기능을 겸비하게 된다.
구동부(200, 220)는 외측 케이스(201, 221), 제1, 2 서보 모터(202, 222), 제1, 2 타이밍 풀리(203, 223), 제1, 2 타이밍 기어(204, 224), 제1, 2 타이밍 벨트(205, 225), 동력 전달부(206)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구동부(200, 220)는 저면이 수평 방향의 연결 프레임(110)에 체결 고정된다.
제1 서보 모터(202)는 외측 케이스(201)의 상부 벽면에 장착되고, 구동축 상에 제1 타이밍 풀리(203)가 장착된다. 이때, 제1 서보 모터(202)는 회전수 및 구동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모터로, 스텝 모터(step motor) 등으로 대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타이밍 풀리(203)는 제1 타이밍 기어(204)와 동일하게 외주면에 방사상의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타이밍 벨트(205)는 제1 서보 모터(202)의 구동축 상에 설치된 제1 타이밍 풀리(203)의 구동력을 제1 타이밍 기어(204)에 전달하는 매체로, 내면에 전달력 향상을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타이밍 기어(204)는 제1 타이밍 풀리(203)의 하측이면서 외측 케이스(201)의 하부에 수평 방향의 축을 통해 지지되며, 상기 축의 선단에 연동되는 제1 풀리가 장착된다.
제1 풀리는 뒤쪽에 배치된 제1 타이밍 기어(204)와 동일 축으로 연결되며, 외주면에 제1 스틸 와이어가 고정된다.
동력전달부(206)는 스틸(Steel)재 등으로 형성되면서 제1 스틸 와이어의 끝단과 후술할 제2 스틸 와이어의 끝단에 양단이 연결된 봉(棒) 형태로 형성되며,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안내 홈(206a)을 통해 후술한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연동되는 것이다.
제2 서보 모터(222)는 외측 케이스(221)의 상부 벽면에 장착되고, 구동축 상에 제2 타이밍 풀리(223)가 장착된다. 이때, 제2 서보 모터(222)는 회전수 및 구동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모터로, 스텝 모터 등으로 대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타이밍 풀리(223)는 제2 타이밍 기어(224)와 동일하게 외주면에 방사상의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타이밍 벨트(225)는 제2 서보 모터(222)의 구동축 상에 설치된 제2 타이밍 풀리(223)의 구동력을 제2 타이밍 기어(224)에 전달하는 매체로, 내면에 전달력 향상을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타이밍 기어(224)는 제2 타이밍 풀리(223)의 하측이면서 외측 케이스(221)의 하부에 수평 방향의 축을 통해 지지되며, 상기 축의 선단에 연동되는 제2 풀리가 장착된다.
제2 풀리는 뒤쪽에 배치된 제2 타이밍 기어(224)와 동일 축으로 연결되며, 외주면에 제2 스틸 와이어(227)가 고정된다.
메인 플레이트(230)는 이격된 구동부(200, 220)의 외측 케이스(201, 221) 배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직립한 수평 방향의 바(bar)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230)의 앞쪽으로 직물(10)이 배치되며, 상기 직물(10)은 각각의 구동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동시 이동된다.
인입 방향 안내부(240)는 직물(10)과 후술할 바늘대(260)의 바늘(262)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플레이트(230)의 외벽에 상기 바늘(262)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각각 배치되어 직물(10)에 봉착할 리본(20)의 인입 방향을 안내하도록 평기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인입 방향 안내부(240)는 전, 후면이 단차 형성되어 후술할 하우징(250)의 홀에 후면의 단차가 삽입되어 지지되고, 전면의 단차는 메인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단차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인입 방향 안내부(240)는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기어 이(齒)(241)와, 축 중심에 바늘(262)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수평 방향의 바늘 구멍(242) 및 상기 바늘 구멍(242)과 상기 기어 이(241)의 사이에 리본을 상기 바늘의 왕복 운동 경로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리본 안내공(24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리본 안내공(243)은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되어, 인입될 리본(2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리본(20) 역시 경사지게 원단(10)에 공급하게 된다. 특히, 상기 리본 안내공(243)은 30°내지 50°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38°가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240)는 볼트 체결되는 하우징(250)을 통해 메인 플레이트(23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단 기어 이(241)의 일부가 동력전달부(206)의 안내 홈(206a) 내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206)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두께 방향으로 안내 홈이 설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다르게는 래크(rack) 등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즉, 인입 방향 안내부(24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어 이(241)가 그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동력전달부(206)의 안내 홈(206a) 내에 상단이 치합(齒合)된다. 이를 통해 상기 동력전달부(206)가 구동부(200, 220)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240) 역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안내되어 각각의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일률적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다수개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인입 방향 안내부(240)를 통해 리본(20)이 동일한 방향으로 인입되어야 하므로 각각의 리본 안내공(243)의 각도를 동일하게 정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대(260)는 전면에 자수실을 꿴 바늘(262)이 다수 설치되어 바늘대 구동부(도면에 미도시)의 구동을 통해 전후진 하도록 되어 있다.
백롤러(back roller) 구동부(270)는 공급되는 자수실 또는 리본(2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모듈(도면에 미도시)의 구동력을 통해 적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바늘대(260)의 후방인 연결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있다.
리본 권취롤(280)은 백롤러 구동부(270)의 하측인 연결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봉착할 리본(20)이 권취되어 있다. 이때, 상기 리본 권취롤(280)은 백롤러 구동부(270)의 구동력을 통해 권출될 수 있으며, 별도의 구동부를 통해서도 권출될 수 있다.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는 구동부(200, 220)의 제1, 2 서보 모터(202, 222), 백롤러 구동부(270)의 구동모듈 등을 제어함과 동시에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리본 안내공(243)을 통해 인입되는 리본(20)의 인입 방향이 자수 패턴의 진행 방향과 대응하도록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구동 방향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는 바늘(262)의 후퇴 경로와 리본(20)의 공급 경로를 상호 간섭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는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어느 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서 바늘(262)을 직선 왕복운동시켜 리본(20)을 직물(10)에 봉착하는 경우, 상기 바늘(262)에 상기 리본(20)이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상기 제어부는 미리 데이터로 설정된 자수 패턴에 따라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240)를 3/4바퀴 내지 4/4(1) 바퀴, 즉 리본(20)이 12시 방향 또는 6시 방향에 위치(0°또는 180°)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좌우 ±180°이내로 회전시켜 상기 리본(20)이 바늘(262)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상기 리본(20)을 직물(10)에 봉착하는 것이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리본(20)이 바늘(262)과 직물(10) 사이의 경로에서 벗어나 대기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리본 안내공(243)에 대한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리본(20)이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리본(ribbon) 자수 모드 대신 밑바탕이 되는 노말(normal) 자수 모드가 수행된다.
여기서, 대기 위치라 함은 리본 안내공(243)에 인입된 리본(20)이 리본 권취롤(280)의 구동을 통해 긴장하고 있어 바늘(262)의 전후 경로에서 상기 리본(20)이 이격된 상태를 말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리본 권취롤(280)을 구동시켜 긴장된 리본(20)을 이완시키면 대기 위치가 해제되면서 노말 자수 모드 대신 리본 자수 모드가 수행되기 시작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설정된 자수 패턴을 데이터화시켜 리본 자수 모드를 통해 리본(20)이 접히는 패턴의 위치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 직선, 사선 및 곡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복합적으로 배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원단 디자인의 한 분류로 채택할 수 있다.
한편 바늘대(260)에 결합된 바늘(262)이 직물을 통과하기 전 노루발(press or presser, 도시되지 않음)이 전진하여 상기 직물(10)을 고정하고, 상기 바늘대(260)가 후퇴하여 상기 바늘(262)이 상기 직물(10)로부터 이탈하면 노루발이 후퇴시켜 직물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에서 리본 자수 모드를 통해 8각 형태의 자수 패턴을 봉착한 예시도로, 8각형 패턴에 대한 리본 자수 모드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이때, 리본(20)의 선단은 리본 권취롤(280)에서 백롤러 구동부(270)를 거쳐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리본 안내공(243)에 인입된 후 직물(10)에 고정시킨 상태이며, ① 지점이 대기 위치라 가정하였을 때 상기 리본(20)이 ① 지점에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다.
대기 위치인 12시 방향을 0°라고 가정하였을 때 상기 대기 위치를 기준으로 시계방향 회전에 의하여 90°회전하면 3시 방향이 된다. 설명의 편의상 시계 방향 회전을 정(+)방향 회전이라 표시하기로 하고, 반시계 방향 회전을 역(-)방향 회전이라 표시할 수 있다. 정방향으로 90°회전한 경우 이를 +90°회전하였다고 표시하고, 역방향으로 90°회전한 경우 이를 -90°회전하였다고 표시할 수 있다.
리본 자수 모드 실행 제1 단계(① 지점 ~ ② 지점)
직물(10)의 ① 지점에서 ② 지점까지 리본(20)을 봉착하기 위해서는 제어부에서 구동부(200, 220) 중 어느 하나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을 통해 동력전달부(206)가 이동하여 동력전달부(206)와 연동되는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3시 방향으로 정회전한다.
다음으로,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3시 방향으로 정회전하게 되면,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리본 안내공(243)에 인입된 봉착 전의 리본(20) 역시 3시 방향으로 회전한 채로 바늘(262) 앞으로 안내된다. 다음으로, 직물(10)이 수평 방향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9시 방향을 향하여 이동됨과 동시에 바늘대(260)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자수실은 바늘땀(stitch)마다 북실과 꼬여 리본(20)을 직물(10)에 봉착하게 된다. 직물(10)이 9시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자수 패턴은 3시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리본 자수 모드 실행 제2 단계(② 지점 ~ ③ 지점)
직물(10)의 ② 지점에서 ③ 지점까지 리본(20)을 봉착하기 위해서는 제어부에서 구동부(200, 220) 중 어느 하나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을 통해 동력전달부(206)가 이동하여 동력전달부(206)와 연동되는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4시 30분 방향으로 정회전한다.
다음으로,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4시30분 방향을 향하도록 정회전하게 되면,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리본 안내공(243)에 인입된 봉착 전의 리본(20) 역시 4시30분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직물(10)이 수평 및 수평 방향 구동부의 동시 구동에 의해 10시30분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바늘대(260)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자수실은 바늘땀마다 북실과 꼬여 리본(20)을 직물(10)에 봉착하게 된다. 직물(10)이 10시30분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자수 패턴은 4시30분 방향으로 진행된다.
리본 자수 모드 실행 제3 단계(③ 지점 ~ ④ 지점)
직물(10)의 ③ 지점에서 ④ 지점까지 리본(20)을 봉착하기 위해서는 제어부에서 구동부(200, 220) 중 어느 하나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을 통해 동력전달부(206)가 이동하여 동력전달부(206)와 연동되는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6시 방향으로 정회전한다.
다음으로,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6시 방향을 향하도록 정회전하게 되면,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리본 안내공(243)에 인입된 봉착 전의 리본(20) 역시 정방향 회전에 의하여 6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직물(10)이 수직 방향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12시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바늘대(260)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자수실은 바늘땀마다 북실과 꼬여 리본(20)을 직물(10)에 봉착하게 된다. 직물(10)이 12시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자수 패턴은 6시 방향으로 진행된다.
리본 자수 모드 실행 제4 단계(④ 지점 ~ ⑤ 지점)
직물(10)의 ④ 지점에서 ⑤ 지점까지 리본(20)을 봉착하기 위해서는 인입 방향 안내부(240)를 회전시켜 7시 30분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리본(20)을 봉착할 수 있다. 이 때, 리본(20)의 공급 방향과 바늘(262)의 후퇴 경로를 고려할 때, 공급되는 리본(20)이 바늘(262)의 후퇴 운동을 방해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리본(20)이 바늘(262)의 후퇴 운동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이러한 가능성을 고려하여 제어부는 인입 방향 안내부(240)를 6시 방향으로부터 7시 30분 방향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대신에 6시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7시 30분 방향에 도달하게끔 유도할 수 있다.
제어부에서 구동부(200, 220) 중 어느 하나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을 통해 동력전달부(206)가 이동하여 도면을 기준으로 봤을 때 상기 리본(20)이 반시계 방향으로 315° 회전하여 7시30분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동력전달부(206)의 구동에 의해 연동되는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7시30분 방향을 향하도록 역회전하게 되면,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리본 안내공(243)에 인입된 봉착 전의 리본(20)은 역방향 회전에 의하여 접힌 채로 바늘(262) 앞으로 안내된다.
이때, 리본(20)은 접힌 상태로 바늘(262) 앞으로 안내되고, ④ 지점에서 원단(20)에 접힌 상태로 봉착된다. 그 후, 직물(10)이 수직, 수평 방향 구동부의 동시 구동에 의해 1시30분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바늘대(260)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자수실은 바늘땀마다 북실과 꼬여 리본(20)을 직물(10)에 봉착하게 된다. 직물(10)이 1시30분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자수 패턴은 7시30분 방향으로 진행된다.
리본 자수 모드 실행 제5 단계(⑤ 지점 ~ ⑥ 지점)
직물(10)의 ⑤ 지점에서 ⑥ 지점까지 리본(20)을 봉착하기 위해서는 제어부에서 구동부(200, 220) 중 어느 하나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을 통해 동력전달부(206)가 이동하여 동력전달부(206)와 연동되는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9시 방향으로 정회전한다.
다음으로,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9시 방향으로 정회전하게 되면,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리본 안내공(243)에 인입된 봉착 전의 리본(20) 역시 9시 방향으로 회전된 채로 바늘(262) 앞으로 안내된다.
다음으로, 직물(10)이 수평 방향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3시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바늘대(260)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자수실은 바늘땀(stitch)마다 북실과 꼬여 리본(20)을 직물(10)에 봉착하게 된다.
리본 자수 모드 실행 제6 단계(⑥ 지점 ~ ⑦ 지점)
직물(10)의 ⑥ 지점에서 ⑦ 지점까지 리본(20)을 봉착하기 위해서는 제어부에서 구동부(200, 220) 중 어느 하나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을 통해 동력전달부(206)가 이동하여 동력전달부(206)와 연동되는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10시30분 방향으로 정회전한다.
다음으로,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10시30분 방향을 향하도록 정회전하게 되면,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리본 안내공(243)에 인입된 봉착 전의 리본(20) 역시 10시30분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직물(10)이 수평 및 수평 방향 구동부의 동시 구동에 의해 4시30분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바늘대(260)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자수실은 바늘땀마다 북실과 꼬여 리본(20)을 직물(10)에 봉착하게 된다.
리본 자수 모드 실행 제7 단계(⑦ 지점 ~ ⑧ 지점)
직물(10)의 ⑦ 지점에서 ⑧ 지점까지 리본(20)을 봉착하기 위해서는 제어부에서 구동부(200, 220) 중 어느 하나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을 통해 동력전달부(206)가 이동하여 동력전달부(206)와 연동되는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12시 방향으로 정회전한다.
다음으로,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12시 방향을 향하도록 정회전하게 되면,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리본 안내공(243)에 인입된 봉착 전의 리본(20) 역시 정방향 회전에 의하여12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직물(10)이 수직 방향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6시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바늘대(260)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자수실은 바늘땀마다 북실과 꼬여 리본(20)을 직물(10)에 봉착하게 된다.
리본 자수 모드 실행 제8 단계(⑧ 지점 ~ ① 지점)
직물(10)의 ⑧ 지점에서 ① 지점까지 리본(20)을 봉착하기 위해서는 제어부에서 구동부(200, 220) 중 어느 하나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을 통해 동력전달부(206)가 이동하여 동력전달부(206)와 연동되는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1시30분 방향으로 정회전한다.
다음으로,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1시30분 방향을 향하도록 정회전하게 되면,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리본 안내공(243)에 인입된 봉착 전의 리본(20) 역시 정방향 회전에 의하여1시30분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직물(10)이 수직 방향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7시30분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바늘대(260)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자수실은 바늘땀마다 북실과 꼬여 리본(20)을 직물(10)에 봉착하게 된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늘(262)의 후퇴 경로와 리본(20)의 공급 경로 간의 충돌을 예방하고자 제어부가 미리 6시 방향을 기준으로 리본(20)의 공급 경로를 반시계 방향으로 4분의3바퀴 이상 회전하도록 설정하였다. 이 때 반시계 방향으로 4분의3바퀴 이상 회전하면 리본(20)이 접힌 채로 바늘(262) 앞에 안내되므로, 접힌 상태로 직물(10)에 봉착된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④ 지점에서 리본(20)이 접힌 채로 봉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는 ③ 지점에서 리본원단(20)이 접히도록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바늘(262)과 리본(20)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리본(20)이 접히는 위치 및 방향에 대해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시 방향을 기준으로 6시 방향에 도달하기 전에 리본(20)이 접히도록 설정되었다면 ③ 지점에서, 6시 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리본(20)이 접히도록 설정되었다면 ④ 지점에서 리본(20)이 접힌 채로 봉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는 리본(20)이 접히는 위치 및 방향을 6시 방향이 아니라 3시 방향, 또는 9시 방향 등 자유롭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자수 패턴을 고려하여 리본(20)이 접히는 위치 및 방향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본(20)이 접히는 위치 및 방향이 자수 패턴의 일부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에서 리본의 인입 방향과 자수 패턴의 진행 방향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자수 패턴이 12시 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회전되어 리본 안내공(243)이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중심에 대하여 12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리본(20)이 직물(10)에 봉착된다.
마찬가지로, 자수 패턴이 1시 30분 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인입 방향 안내부(240)가 1시30분 방향으로 회전한 채로 리본(20)이 직물(10)에 봉착된다. 즉, 자수 패턴이 진행되는 방향을 고려하여 제어기는 인입 방향 안내부(240)를 회전하여 리본(20)의 공급 방향을 자수 패턴의 진행 방향과 대응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에 적용되는 인입 방향 안내부가 정면도 및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는 앞선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구성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한 구조와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인입 방향 안내부(240')는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기어 이(齒)(241')와, 축 중심에 바늘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수평 방향의 바늘 구멍(242') 및 상기 바늘 구멍(242')과 상기 기어 이(241')의 사이에 리본을 상기 바늘의 왕복 운동 경로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하 한 쌍의 리본 안내공(243a, 234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리본 안내공(243a, 234b)은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되어, 인입될 리본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리본 역시 경사지게 원단(10)에 공급하게 된다.
특히, 상기 리본 안내공(243a, 234b)은 형성 폭이 상이하여 폭이 다른 리본을 직물에 봉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폭이 좁은 리본 안내공(243b)의 폭은 8mm, 폭이 넓은 리본 안내공(243a)의 폭은 11mm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예로 든 리본 안내공(243a, 243b)의 폭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리본 안내공(243a, 234b)은 상기 바늘 구멍(242')을 기점으로 상, 하 종방향에 한 쌍이 바늘의 왕복 운동 경로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리본 안내공(243a, 234b)은 한 쌍이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폭이 상이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일한 폭을 가질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리본 안내공(243a, 234b)도 30°내지 50°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38°가 바람직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에 적용되는 인입 방향 안내부가 정면도 및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리본 봉착기는 앞선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인입 방향 안내부(240")의 구성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한 구조와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인입 방향 안내부(240")는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기어 이(齒)(241")와, 축 중심에 바늘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수평 방향의 바늘 구멍(242")과, 상기 바늘 구멍(242")과 상기 기어 이(241")의 사이에 리본을 상기 바늘의 왕복 운동 경로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하 한 쌍의 리본 안내공(243c, 234d) 및 상기 바늘 구멍(242")과 동심을 이루면서 상기 리본 안내공(243c, 234d)과 간섭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된 장식사공(243e)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리본 안내공(243c, 234d)은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되어, 인입될 리본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리본 역시 경사지게 원단(10)에 공급하게 된다. 특히, 상기 리본 안내공(243c)과 리본 안내공(234d)은서로 다른 폭을 가지고, 서로 폭이 다른 리본을 봉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리본 안내공(243c, 234d)은 상기 바늘 구멍(242")을 기점으로 상, 하에 한 쌍이 바늘의 왕복 운동 경로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리본 안내공(243c, 234d)은 폭도 상, 하가 상이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폭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장식사공(243e)은 장식사를 공급하도록 바늘 구멍(242")을 기점으로 횡 방향인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이렇게, 상기 바늘 구멍(242")의 양측에 장식사공(243e)을 형성하므로 상기 장식사공(243e)을 통해 장식사만 공급하여 원단에 장식사를 봉착하거나, 상기 리본 안내공(243c, 234d)을 통해 리본만을 공급하여 상기 원단에 리본을 봉착하거나, 장식사와 리본을 병행하여 원단에 봉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장식사와 리본 중 적어도 하나를 원단에 선택적으로 봉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10-0589639호의 “장식사 및 스팽글 자동봉착장치”를 참조하여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240")에 리본 안내공(243c, 234d)과 장식사공(243e)이 형성되는 경우 장식사/리본의 봉착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리본의 봉착 동작을 살펴보면, 리본 안내공(243c, 234d) 중 어느 하나의 리본 안내공을 통해 리본이 공급되면 바늘이 전진하면서 직물에 상기 리본을 봉착하게 된다. 리본 봉착 과정 동안 자수사는 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한편, 리본의 공급을 중단하면 상기 리본 봉착 동작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때 메인 플레이트를 좌우 이동시키면서 장식사안내휠(도면에 미도시)의 장식사유도홀에 끼워있는 장식사가 바늘 위치에 대하여 좌우로 요동하게 되고 이때 장식사안내휠의 회전 주기에 맞춰 바늘을 전후진 시키면 장식사를 직조원단에 대하여 감침질하여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리본 안내공(243c, 234d)과 장식사공(243e)이 동시 형성된 인입 방향 안내부(240")를 교체 사용하면 하나의 바늘로 하나의 단위 봉착기를 사용하여 장식사와 리본을 선택적으로 직물에 봉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직물 20: 리본
230: 메인 플레이트 240: 인입 방향 안내부
241: 기어 이 242: 바늘 구멍
243: 리본 안내공

Claims (7)

  1. 삭제
  2. 자수실이 결합된 바늘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직물에 설정된 자수 패턴이 봉착되도록 자수기에 결합되는 리본 봉착기에 있어서,
    상기 직물과 상기 바늘 사이에서 상기 바늘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직물에 봉착할 리본의 인입 방향을 안내하는 인입 방향 안내부;
    상기 리본의 인입 방향이 상기 자수 패턴의 진행 방향과 대응하도록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의 구동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좌우로 운동하며,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와 결합하는 동력전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연동되도록 외주면에 방사상의 기어 이(齒)가 형성되고, 축 중심에 상기 바늘이 통과하는 바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바늘 구멍과 상기 기어 이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본 안내공이 상기 리본을 상기 바늘의 왕복 운동 경로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리본 봉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는
    상기 바늘 구멍의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리본 안내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본 안내공 각각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리본 봉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늘의 후퇴 경로와 상기 리본의 공급 경로를 고려하여,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리본 봉착기.
  5. 자수실이 결합된 바늘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직물에 설정된 자수 패턴이 봉착되도록 자수기에 결합되는 리본 봉착기에 있어서,
    상기 직물과 상기 바늘 사이에서 상기 바늘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직물에 봉착할 리본의 인입 방향을 안내하는 인입 방향 안내부; 및
    상기 리본의 인입 방향이 상기 자수 패턴의 진행 방향과 대응하도록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의 구동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수 패턴에 따라서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를 3/4바퀴 이상 회전시켜 상기 리본이 상기 직물 상에 접힌 채로 봉착되도록 제어하는 리본 봉착기.
  6. 자수실이 결합된 바늘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직물에 설정된 자수 패턴이 봉착되도록 자수기에 결합되는 리본 봉착기에 있어서,
    상기 직물과 상기 바늘 사이에서 상기 바늘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직물에 봉착할 리본의 인입 방향을 안내하는 인입 방향 안내부; 및
    상기 리본의 인입 방향이 상기 자수 패턴의 진행 방향과 대응하도록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의 구동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본이 상기 바늘과 상기 직물 사이의 경로에서 벗어나 대기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고,
    상기 리본이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리본(ribbon) 자수 대신 노말(normal) 자수가 이루어지는 리본 봉착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방향 안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본 안내공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고, 장식사를 상기 바늘의 왕복 운동 경로 방향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식사공을 더 포함하는 리본 봉착기.

KR1020120030120A 2012-03-23 2012-03-23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KR101420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120A KR101420736B1 (ko) 2012-03-23 2012-03-23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120A KR101420736B1 (ko) 2012-03-23 2012-03-23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925A KR20130107925A (ko) 2013-10-02
KR101420736B1 true KR101420736B1 (ko) 2014-07-22

Family

ID=4963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120A KR101420736B1 (ko) 2012-03-23 2012-03-23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7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071B1 (ko) * 2015-07-15 2016-11-21 주식회사 미크로 중심축 이동이 가능한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KR101797452B1 (ko) 2016-07-08 2017-11-15 주식회사 미크로 동심 구조에 의하여 선택적 봉착이 가능한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KR101802878B1 (ko) * 2015-06-03 2017-11-29 주식회사 미크로 장식사 자수가 가능한 리본 봉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3274A1 (zh) * 2017-08-15 2019-02-21 蔡紫林 一种改进型绣花机
CN110067095A (zh) * 2019-05-22 2019-07-30 向康城 一种在绣品上缝制吊带的设备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351Y1 (ko) * 2001-06-23 2001-11-16 김기호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KR100846197B1 (ko) * 2007-07-14 2008-07-14 김충식 자수기용 코드사 공급장치 및 코드사 봉착 방법
KR200445722Y1 (ko) * 2007-10-17 2009-08-27 정장섭 자수기용 코드사 공급장치
KR20120000516U (ko) * 2010-07-12 2012-01-18 김충식 자수기용 코드사 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351Y1 (ko) * 2001-06-23 2001-11-16 김기호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KR100846197B1 (ko) * 2007-07-14 2008-07-14 김충식 자수기용 코드사 공급장치 및 코드사 봉착 방법
KR200445722Y1 (ko) * 2007-10-17 2009-08-27 정장섭 자수기용 코드사 공급장치
KR20120000516U (ko) * 2010-07-12 2012-01-18 김충식 자수기용 코드사 안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878B1 (ko) * 2015-06-03 2017-11-29 주식회사 미크로 장식사 자수가 가능한 리본 봉착기
KR101678071B1 (ko) * 2015-07-15 2016-11-21 주식회사 미크로 중심축 이동이 가능한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KR101797452B1 (ko) 2016-07-08 2017-11-15 주식회사 미크로 동심 구조에 의하여 선택적 봉착이 가능한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925A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736B1 (ko)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US6957615B1 (en) Method and device to apply cord thread or ribbons onto fabrics in a quilting machine
EP1709230B1 (en) Automatic multi-function multi-needle sewingmachine and relative sewing method
JP2009045468A (ja) ミシン及びこのタイプのミシンを用いてシームの初めを縫う方法
JP2007136136A (ja) ミシンの糸供給装置
US7488011B2 (en) Button wrapping and knot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N101343820A (zh) 用于绣花机的帘子线供给装置以及缝帘子线的方法
JP2019072466A (ja) ミシン
JP2006094918A (ja) 多針刺繍ミシン
KR101802878B1 (ko) 장식사 자수가 가능한 리본 봉착기
CN201864908U (zh) 具有金片绣功能的链式线迹绗缝机
JP3810422B2 (ja) ミシンの布張装置
JP7388809B2 (ja) 送り出し腕型二重環縫いミシン
KR100773819B1 (ko) 자수기용 장식사 공급장치
CN102433694B (zh) 一种三针锁式线迹平缝机的传动机构
KR20120009990A (ko) 멀티 스팽글 안내 장치 및 스팽글 공급 장치
KR101797452B1 (ko) 동심 구조에 의하여 선택적 봉착이 가능한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WO2019073922A1 (ja) ミシン
KR200209913Y1 (ko)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KR101678071B1 (ko) 중심축 이동이 가능한 장식사 또는 리본 봉착기
KR200465633Y1 (ko) 셔닐 자수기의 미싱헤드
KR950007654Y1 (ko) 자수기에서의 장식사 공급장치
KR200249351Y1 (ko) 자수기의 장식사 공급장치
JP2005095314A (ja) ミシンの天秤装置
CN202227103U (zh) 一种三针锁式线迹平缝机的传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