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1148B1 - 댐퍼,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 Google Patents

댐퍼,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148B1
KR101411148B1 KR1020127016693A KR20127016693A KR101411148B1 KR 101411148 B1 KR101411148 B1 KR 101411148B1 KR 1020127016693 A KR1020127016693 A KR 1020127016693A KR 20127016693 A KR20127016693 A KR 20127016693A KR 101411148 B1 KR101411148 B1 KR 101411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viscous fluid
coil
cylinder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8825A (ko
Inventor
요시노리 가네다
신이치로 가와바타
고지 히사노
히로카즈 이자와
히로시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38631A external-priority patent/JP54891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86109A external-priority patent/JP512789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20098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2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16F9/535Magnetorheological [MR]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점성유체의 점성에 의한 마찰 저항으로 감쇠력을 얻는 댐퍼로, 하부 요크 및 상부 요크의 축방향의 외측 위치에, 그 일방(하측)에 시일을 배치하고 또한 타방(상측)에도 시일을 배치했다. 이에 의해, 자기점성유체를 자기점성유체 충전 부분의 축방향의 양 외측에서 봉입하여 그 누출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에 공기가 도입되지 않으므로 상기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에서의 자기점성유체의 밀도를 양호하에 유지할 수 있고, 감쇠력의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댐퍼,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DAMPER, WASHING MACHINE, AND WASHER/DRYER}
본 발명은 자기점성유체(MR유체)를 이용한 댐퍼, 세탁기 및 세탁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외부상자의 내부에 수조가 위치하고 상기 수조의 내부에 드럼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드럼이 수조 밖의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수조는 외부상자의 저판상에 서스펜션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고, 그 서스펜션에 드럼의 진동에 따른 수조의 진동을 감쇠하는 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도 29는 상기 댐퍼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주(主)부재로서 실린더(1)와, 이에 삽입된 샤프트(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실린더(1)는 상단부에 갖는 연결부재(3)에 의해 수조(도시 생략)에 연결되고, 샤프트(2)는 하단부의 연결부(2a)에 의해 외부상자의 저판(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실린더(1)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실린더(1)의 내부에 코일(4)이 보빈(5)에 수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코일(4)에 의해 샤프트(2)가 둘러싸여 있다. 실린더(1)의 내부에는 코일(4)의 축방향인 상하 방향의 양측 위치에, 자성재로 이루어진 링형상의 요크(6,7)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요크(6,7)에 의해 샤프트(2)와 상기 실린더(1) 사이에서 자기회로(M)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자기회로(M)는 상세하게는 코일(4)에 통전함으로써 샤프트(2)-상부 요크(6)-실린더(1)-하부 요크(7)-샤프트(2)의 폐로에 자속이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요크(6,7)는 코일(4)과 샤프트(2) 사이에는 자기점성유체(MR유체)(8)가 충전되어 있다. 자기점성유체(8)는 자계의 강도에 따라서 점성이 변화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오일 중에 철, 카르보닐철 등의 강자성 입자를 분산 혼입시킨 것이고, 자계가 인가되면 그 강자성 입자가 사슬형 클러스터를 형성함으로써 점도가 상승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1)의 내부에는, 하부 요크(7)의 축방향의 외측인 하측 위치에 시일(9)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시일(9)에 의해 상기 자기점성유체(8)가 요크(6,7) 및 코일(4)과 샤프트(2)와의 사이(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10))로부터 누출되어 떨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실린더(1)의 내부에는 상기 시일(9)의 축방향의 외측인 하측 위치에 하부 베어링(11)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상부 요크(6)의 축방향의 외측인 상측 위치에 상부 베어링(12)이 배치된다. 이들 베어링(11, 12)에 의해 샤프트(2)가 상대적으로 축방향 왕복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의 내부에는 상부 베어링(12)의 상방 위치에 리저브 스페이스(13)가 확보되어 있다. 상기 자기점성유체(8)는 상기 리저브 스페이스(13)에 소정량이 고이는 상태로, 상기 리저브 스페이스(13)로부터 상기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10)에 걸쳐 충전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2)는 상단부가 상기 리저브 스페이스(13) 내에 위치되어 있고, 따라서 자기점성유체(8) 중에 위치되어 있기도 하다.
이상으로 댐퍼(14)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샤프트(2) 중의 실린더(1) 밖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부(2a)의 바로 위 부분에, 스프링 시트(15)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시트(15)와 상기 하부 베어링(11) 사이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16)이 신축 자유롭게 개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서스펜션(17)이 구성되고, 상기 서스펜션(17)에 의해 수조가 탄성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드럼식 세탁기의 운전이 개시되면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수조가 상하 방향을 주체로 진동한다. 상기 수조의 상하 진동에 응동하여 서스펜션(17)에서는 수조에 연결된 실린더(1)가 상부 베어링(12), 상부 요크(6), 코일(4), 하부 요크(7), 시일(9) 및 하부 베어링(11)을 수반하여 스프링(16)을 신축시키면서 샤프트(2)의 주위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한다.
이와 같이 실린더(1)가 상기 각 부품을 수반하여 샤프트(2)의 주위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때 샤프트(2)와 요크(6, 7) 및 코일(4)과의 사이에 충전된 자기점성유체(8)가 그 점성에 의한 마찰저항으로 감쇠력을 부여하고, 수조의 진폭을 감쇠시킨다.
이 때, 상기 코일(4)에 통전함으로써 자기회로(M)가 형성되면, 자속이 통과하는 부분, 특히 자속 밀도가 높은 샤프트(2)와 상부 요크(6) 사이(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10)), 및 하부 요크(7)와 샤프트(2) 사이의, 각각 자기점성유체(8)의 점도가 대폭 높아지고 마찰저항이 크게 증가한다. 이렇게 하여, 실린더(1)가 상기 각 부품, 특히 코일(4)과 상부 요크(6) 및 하부 요크(7)를 수반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때의 마찰저항이 증가하여 감쇠력이 커진다.
코일(4)은 흐르는 전류값에 따른 자계를 발생하여 상기 자기점성유체(8)의 점성을 제어하는 것으로, 그 발생하는 자계는 전류값에 따라 가변하고, 자기점성유체(8)의 점성을 가변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기점성유체를 사용한 댐퍼로서는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단, 이것은 실린더와 샤프트의 상대 이동에 따른 자기점성유체의 유동에 억제력을 가하여 소요의 감쇠력을 얻는 것이고, 상술한, 실린더(1)와 샤프트(2)가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때,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10)에 충전된 자기점성유체(8)가 그 점성에 의한 마찰저항으로 감쇠력을 부여하는 것과는 감쇠력의 발생수단이 다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57766호
도 29에 도시한 종래예의 경우,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10)으로부터의 자기점성유체(8)의 누출을 방지하는 시일(9)은 실린더(1)의 하측에만 설치되고, 실린더(1)의 상측은 리저브 스페이스(13)에 자기점성유체(8)가 저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열팽창이나 진동 등에 의해 자기점성유체(8)가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10)으로부터 상부 베어링(12)과 샤프트(2) 사이를 지나 리저브 스페이스(13)에 누출되어도, 온도가 내려가면 리저브 스페이스(13)로부터 자기점성유체(8)가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10)으로 되돌아간다. 이 때문에,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10)에서의 자기점성유체(8)의 밀도가 유지되고, 감쇠력의 저하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다.
그러나, 자기점성유체(8)는 열화되면 점도가 높아지는 것이고, 예를 들어 마가린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이 자기점성유체(8)의 점도가 높아지면, 자기점성유체(8)는 리저브스페이스(13)에 누출되어, 리저브스페이스(13)의 내벽면에 도 6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되어 남는다. 이와 같이 되면, 상부 베어링(12)과 샤프트(2) 사이를 자기점성유체(8)로 봉할 수 없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자기점성유체(8)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함으로써, 그에 따라 리저브 스페이스(13) 내의 공기를 상부 베어링(12)과 샤프트(2) 사이로부터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10)에 인도하고, 그 결과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10)에서의 자기점성유체(8)의 밀도가 저하되어 감쇠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댐퍼의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으로부터 자기점성유체를 누출시키지 않게 하여,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에서의 자기점성유체의 밀도를 양호하게 유지하고, 감쇠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댐퍼, 세탁기 및 세탁건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댐퍼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된 샤프트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축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와 상기 실린더 사이에서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요크와, 상기 요크 및 상기 코일과 상기 샤프트와의 사이에 충전된 자기점성유체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각각 축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점성유체를 상기 요크 및 코일과 샤프트와의 사이에 봉입하는 시일과, 상기 시일의 각각 축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를 상대적으로 축방향 왕복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외부상자와, 상기 외부상자의 내부에 위치하는 조와, 상기 조의 내부에 위치하여 회전 구동되는 회전조와, 상기 조를 상기 외부상자의 내부에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조의 진동을 감쇠하는 댐퍼를 갖는 서스펜션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댐퍼를,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된 샤프트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축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와 상기 실린더 사이에서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요크와, 상기 요크 및 상기 코일과 상기 샤프트와의 사이에 충전된 자기점성유체와, 상기 요크의 각각 축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점성유체를 상기 요크 및 코일과 샤프트와의 사이에 봉입하는 시일과, 상기 시일의 각각 축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를 상대적으로 축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탁건조기는 외부상자와, 상기 외부상자의 내부에 위치하는 조와, 상기 조의 내부에 위치하여 회전 구동되는 회전조와, 상기 조를 상기 외부상자의 내부에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조의 진동을 감쇠하는 댐퍼를 갖는 서스펜션과, 온풍을 생성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온풍을 상기 회전조 내에 송풍하는 송풍장치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댐퍼를,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된 샤프트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축방향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와 상기 실린더 사이에서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요크와, 상기 요크 및 상기 코일과 상기 샤프트와의 사이에 충전된 자기점성유체와, 상기 요크의 각각 축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점성유체를 상기 요크 및 코일과 샤프트와의 사이에 봉입하는 시일과, 상기 시일의 각각 축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를 상대적으로 축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댐퍼에 의하면 자기점성유체의 점성에 의한 마찰저항에서 감쇠력을 얻는 것에 있어서, 요크의 축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그 일방(하측)뿐만 아니라 타방(상측)에도 배치한 시일에 의해, 자기점성유체를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의 축방향의 양외측에서 봉입하여 그 누출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에 공기가 도입되지 않아, 상기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에서의 자기점성유체의 밀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감쇠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드럼식 세탁기 전체의,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한 종단측면도이다.
도 3은 드럼식 세탁기의 내부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 1 상당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 3 상당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 1 상당도이다.
도 7은 도 2 상당도이다.
도 8은 코일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코일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2 요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코일 조립체에서의 리드선을 도출하는 부분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코일 조립체를 실린더에 수용한 상태의 것에서의 리드선을 도출하는 부분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댐퍼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도 13 상당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도시한 도 13 상당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도시한 도 13 상당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도시한 도 13 상당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도시한 도 8 상당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를 도시한 도 8 상당도이다.
도 20은 O링을 수용하고 있지 않은 환상 수용부의 주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O링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환상 수용부에 O링을 수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 20 상당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를 도시한 도 8 상당도이다.
도 24는 도 22 상당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를 도시한 도 8 상당도이다.
도 26은 도 22 상당도이다.
도 27은 O링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를 도시한 도 8 상당도이다.
도 29는 종래예를 도시한 도 1 상당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에는 드럼식 세탁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고 있고, 외부상자(21)를 외각으로 하고 있다. 상기 외부상자(21)의 전면부(도 2에서 우측)의 거의 중앙부에는 세탁물 출입구(22)를 형성하고, 상기 출입구(22)를 개폐하는 문(23)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외부상자(21)의 전면부의 상부에는 조작 패널(24)을 설치하고 있고, 그 이면측(외부상자(21)내)에 운전제어용 제어장치(25)를 설치하고 있다.
외부상자(21)의 내부에는 수조(조)(26)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수조(26)는 축방향이 전후(도 2에서 좌우)인 횡축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이를 외부상자(21)의 저판(21a)상에, 이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서스펜션(27)에 의해 전방으로 올라가는 경사상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서스펜션(27)의 상세 구조는 후에 설명한다.
수조(26)의 배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28)를 부착하고 있다. 상기 모터(28)는 직류의 브러시리스모터로 이루어진 것으로, 아우터로터형이며 로터(28a)의 중심부에 부착한 회전축(도시 생략)을 베어링 하우징(29)을 통하여 수조(26)의 내부에 삽입 통과시키고 있다.
수조(26)의 내부에는 드럼(회전조)(30)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드럼(30)도 축방향이 전후인 횡축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것을 후부의 중심부에서 상기 모터(28)의 회전축의 선단부에 부착함으로써 수조(26)와 동축의 전방으로 올라가는 경사상으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드럼(30)은 모터(28)에 의해 회전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모터(28)는 드럼(30)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 장치로서 기능한다.
드럼(30)의 둘레측부(몸통부)에는 소구멍(31)을 전역에 걸쳐서 다수 형성하고 있다. 드럼(30) 및 수조(26)는 전면부에 개구부(32,33)를 갖고 있고, 그 중 수조(26)의 개구부(33)에, 환상의 벨로우즈(34)를 통하여 상기 세탁물 출입구(22)를 연결하고 있다. 이 결과, 세탁물 출입구(22)는 벨로우즈(34), 수조(26)의 개구부(33), 및 드럼(30)의 개구부(32)를 통하여 드럼(30)의 내부에 연결되어 있다.
수조(26)의 최저부인 저부의 후부에는 배수밸브(35)를 통하여 배수관(36)을 접속하고 있다. 수조(26)의 배부로부터 상방 그리고 전방에는 건조 유닛(37)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건조 유닛(37)은 제습기(38)와, 송풍기(송풍장치)(39), 및 가열기(가열장치)(40)를 갖고 있고, 수조(26) 내의 공기를 제습하고, 이어서 가열하여 수조(26) 내에 되돌리는 순환을 실시하게 함으로써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여기에서, 서스펜션(27)의 상세 구조를 설명한다. 서스펜션(27)은 댐퍼(4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댐퍼(41)는 상기 수조(26)가 갖는 부착판(42)에 부착된 실린더(43)와, 상기 외부상자(21)의 저판(21a)이 갖는 부착판(44)에 부착된 샤프트(45)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실린더(43)의 상단부에 도 1에 도시한 연결부재(46)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46)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26)의 상기 부착판(42)에 탄성 좌판(47) 등을 통하여 너트(48)로 체결함으로써, 실린더(43)를 부착판(42)에 부착하여 수조(26)에 연결하고 있다. 한편, 샤프트(45)의 하단부에는 도 1에 도시한 연결부(45a)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45a)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판(21a)의 상기 부착판(44)에 고무 등의 탄성좌판(49) 등을 통하여 너트(50)로 체결함으로써 샤프트(45)를 부착판(44)에 부착하여 외부상자(21)에 연결하고 있다.
실린더(43)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43)의 내부에 코일(51)을 보빈(52)에 수납(권회)한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코일(51)에 의해 샤프트(45)를 둘러싸고 있다. 실린더(43)의 내부에는 코일(51)의 축방향인 상하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자성재로 이루어진 링형상의 요크(53, 54)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요크(53,54)에 의해 샤프트(45)와 상기 실린더(43) 사이에서 자기회로(M)를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자기회로(M)는 상세하게는 코일(51)에 통전함으로써 샤프트(45)-상부 요크(53)-실린더(43)-하부 요크(54)-샤프트(45)의 폐로에서 자속이 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요크(53,54) 및 코일(51)과 샤프트(45) 사이에는 자기점성유체(MR유체)(55)를 충전하고 있다. 자기점성유체(55)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자계의 강도에 따라서 점성이 변화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코일 중에 철, 카르보닐철 등의 강자성 입자를 분산 혼입시킨 것이다. 자기점성유체(55)는 자계가 인가되면, 그 강자성 입자가 사슬형의 클러스터를 형성함으로써 점도가 상승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43)의 내부에는 상부 요크(53)의 축방향의 외측인 상측과 하부 요크(54)의 축방향의 외측인 하측 위치에, 각각 시일(56, 57)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 시일(56, 57)에 의해 상기 자기점성유체(55)가 요크(53, 54) 및 코일(51)과 샤프트(45)와의 사이(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58))로부터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시일(56, 57)은 각각 샤프트(45)측에 샤프트(45)에 밀착되도록 압접하는 립부(56a, 57a)를 갖고, 이들의 각각 외측에 홈부(56b, 57b)를 갖고 있다.
또한, 실린더(43)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 시일(56)의 축방향의 외측인 상측 위치에 상부 베어링(59)을 배치하며, 또한 하부 시일(57)의 축방향의 외측인 하측 위치에 하부 베어링(60)을 배치한다. 이들 베어링(59, 60)에 의해 샤프트(45)를 상대적으로 축방향 왕복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베어링(59, 60)은 예를 들어 소결 함유 메탈로 이루어진 것이다. 실린더(43)의 내부에는, 상부 베어링(59)의 상방 위치에 스페이스(61)를 확보하고 있고, 샤프트(45)는 상단부를 상기 스페이스(61)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상으로 댐퍼(41)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샤프트(45)는 실린더(43) 밖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부(45a)의 바로 위 부분에 스프링 시트(62)를 장착하고 있고, 상기 스프링 시트(62)와 상기 하부 베어링(60) 사이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63)을 신축 자유롭게 개재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서스펜션(27)을 구성하고, 상기 서스펜션(27)에 의해 상기 수조(26)를 탄성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3에는 댐퍼(41)의 코일(51)에 통전하기 위한 실린더(43)로부터 도출시킨 리드선(64)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한 조작패널(24)의 조작에 기초하여 제어장치(25)가 운전을 개시하게 하면, 세탁물을 수용한 드럼(30)이 세탁공정이나 탈수공정 및 건조행정에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수조(26)가 상하 방향을 주체로 진동한다. 상기 수조(26)의 상하 진동에 응동하여 서스펜션(27)에서는 수조(26)에 연결된 실린더(43)가 상부 베어링(59), 상부 시일(56), 상부 요크(53), 코일(51), 하부 요크(54), 하부 시일(57), 및 하부 베어링(60)을 수반하여, 스프링(63)을 신축시키면서 샤프트(45)의 주위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한다.
이와 같이 실린더(43)가 상기 각 부품을 수반하여 샤프트(45)의 주위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때, 샤프트(45)와 요크(53, 54) 및 코일(51)과의 사이에 충전된 자기점성유체(55)가, 그 점성에 의한 마찰저항으로 감쇠력을 부여하고 수조의 진폭을 감쇠시킨다.
이 때, 상기 코일(51)에 통전하면 자장이 발생하여 자기점성유체(55)에 자계가 부여되고, 자기점성유체(55)의 점도가 높아진다. 즉, 코일(51)에 통전함으로써, 샤프트(45)-자기점성유체(55)-상부 요크(53)-실린더(43)-하부 요크(54)-자기점성유체(55)-샤프트(45)의 자기회로(M)가 발생하고 자속이 통과하는 부분, 특히 자속밀도가 높은 샤프트(45)와 상부 요크(53) 사이, 및 하부 요크(54)와 샤프트(45) 사이(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58))의, 각각 자기점성유체(55)의 점도가 대폭 높아지고, 마찰저항이 크게 증가한다. 이렇게 하여 실린더(43)가 상기 각 부품, 특히 코일(51)과 상부 요크(53) 및 하부 요크(54)를 수반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때, 마찰저항이 증가함으로써 감쇠력이 커진다.
또한, 코일(51)은 흐르는 전류값에 맞는 자계를 발생하여 상기 자기점성유체(55)의 점성을 제어하는 것이고, 그 발생하는 자계는 전류값에 따라 가변하고, 자기점성유체(55)의 점성을 가변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의 드럼식 세탁기는 자기점성유체(55)의 점성에 의한 마찰저항으로 감쇠력을 얻는 것이고, 그 구성에서 하부 요크(54) 및 상부 요크(53)의 축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그 일방(하측)에 시일(57)을 배치하고 또한 타방(상측)에도 시일(56)을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자기점성유체(55)를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58)의 축방향의 양외측에서 봉입하여 그 누출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58)에 공기가 도입되지 않게 하여 상기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58)에서의 자기점성유체(55)의 밀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감쇠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일(56, 57)에 대해서 샤프트(45)를 지지하는 베어링(59, 60)은 시일(56, 57)의 각각 축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베어링(59, 60)에 자기점성유체(55)가 도달하는 것도 저지할 수 있어, 자기점성유체(55)가 포함하는 자성입자가 베어링(59, 60)의 마모를 지연시킬 수 있다.
이상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각각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에서는 상부 요크(53)의 상부 시일(56)측이고 또한 샤프트(45)측과, 하부 요크(54)의 하부 시일(57)측이며 또한 샤프트(45)측에, 각각 오목부(71, 72)를 예를 들어 카운터보링 가공에 의해 형성한다. 상기 오목부(71, 72)에 의해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58)과 시일(56, 57)의 각 홈부(56b, 57b) 사이를 연통시키고 있다.
이 결과, 자기점성유체(55)는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58)으로부터 오목부(71, 72)에 충전되고 또한 오목부(71, 72)로부터 시일(56, 57)의 각 홈부(56b, 57b)에 수용되어 충전된다. 즉, 이 경우에는 시일(56, 57)이 각각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58)측에 유체 수용부로서의 홈부(56b, 57b)를 갖는다. 상기 유체수용부인 홈부(56b, 57b)와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58) 사이에, 그것들을 연통시키는 연통부로서의 오목부(71, 72)를 갖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58)으로부터 오목부(71, 72)를 거쳐 시일(56, 57)의 각 홈부(56b, 57b)에 충전되는 자기점성유체(55)에 의해 샤프트(45)에 대한 시일(56, 57)(특히 립부(56a, 57a))의 압접도를, 자기점성유체(55)의 열팽창 등에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균일하고 또한 확실하게 증가시키고, 자기점성유체(55)를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58)에 봉입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따라서, 자기점성유체(55)의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고,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58)에서의 자기점성유체(55)의 밀도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감쇠력의 저하를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시일(56, 57)의 홈부(56b, 57b)(유체 수용부)와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58) 사이를 연통시키는 연통부는 시일(56, 57)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고, 요크(53, 54)와 시일(56, 57)의 쌍방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도 5에 도시한 제 3 실시예에서는 댐퍼(41)를, 제 1 실시예와는 상하를 반대로 설치하며, 실린더(43)측에서 외부상자(21)와 연결하고 샤프트(45)측에서 수조(26)와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조(26)와 함께 진동하여 심하게 진동하는 것은 샤프트(45)측이 되고, 실린더(43)측이 심하게 진동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실린더(43)측의 특히 자기점성유체(55)가 심하게 진동하지 않게 되어, 그 진동에 의한 자기점성유체(55)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에도 자기점성유체(55)의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고,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58)에서의 자기점성유체(55)의 밀도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감쇠력의 저하를 한층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경우, 댐퍼(41)의 코일(51)에 통전하기 위해 실린더(43)로부터 도출시킨 리드선(64)이, 고정측으로부터 도출시키는 구성이 되므로 리드선(64)에 수조(26)의 진동에 따른 피로를 주는 일도 없어져 상기 리드선(64)의 단선(斷線)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치는 하부 요크(54) 및 상부 요크(53)의 축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그 일방(하측)에 시일(57)을 배치할 뿐만 아니라, 타방(상측)에도 시일(56)을 배치하고 있는 구조 때문에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하 제 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7에는 제 4 실시예의 드럼식 세탁기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외부상자(101)를 외각으로 하고 있다. 상기 외부상자(101)의 전방면부(도 2에서 우측)의 거의 중앙부에는 세탁물 출입구(102)를 형성하고, 상기 출입구(102)를 개폐하는 문(103)을 설치하고 있다. 외부상자(101)의 전면부의 상부에는 조작 패널(104)을 설치하고 있고, 그 이면측(외부상자(101)내)에 운전제어용 제어장치(105)를 설치하고 있다.
외부상자(101)의 내부에는 수조(106)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수조(106)는 축방향이 전후(도 7 중 좌우)인 횡축 원통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그것을 외부상자(101)의 저판(101a)상에 좌우 한쌍(한쪽만 도시)의 서스펜션(107)에 의해 전방으로 올라가는 경사상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서스펜션(107)의 상세 구조는 후에 설명한다.
수조(106)의 배부에는 모터(108)를 부착하고 있다. 상기 모터(108)는 이 경우, 예를 들어 직류의 브러시리스모터로 이루어진 것으로 아우터로터형이고, 로터(108a)의 중심부에 부착한 회전축(도시 생략)을, 베어링 브래킷(109)을 통하여 수조(106)의 내부에 삽입 통과하고 있다.
수조(106)의 내부에는 드럼(110)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드럼(110)도 축방향이 전후인 횡축 원통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것을 후부의 중심부에서 상기 모터(108)의 회전축의 선단부에 부착함으로써, 수조(106)와 동축의 전방으로 올라가는 경사상으로 지지하고 있다. 드럼(110)은 모터(108)에 의해 회전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드럼(110)은 회전조이고 모터(108)는 드럼(110)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장치로서 기능한다.
드럼(110)의 둘레측부(몸체부)에는 작은 구멍(111)을 전역에 걸쳐서 다수(일부만 도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드럼(110) 및 수조(106)는 전면부에 개구부(112, 113)를 갖고 있고, 그 중 수조(106)의 개구부(113)에, 환상의 벨로우즈(114)를 통하여 상기 세탁물 출입구(102)를 연결하고 있다. 이 결과, 세탁물 출입구(102)는 벨로우즈(114), 수조(106)의 개구부(113), 및 드럼(110)의 개구부(112)를 통하여 드럼(110)의 내부에 연결되어 있다.
수조(106)의 최저부인 저부의 후부에는 배수밸브(115)를 통하여 배수관(116)을 접속하고 있다. 수조(106)의 배부로부터 상방 그리고 전방에는 건조장치(117)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건조장치(117)는 제습기(118)와, 송풍기(송풍장치)(119), 및 가열기(가열장치(120))를 갖고 있고, 수조(106) 내의 공기를 제습하고, 이어서 가열하여 수조(106)내로 되돌리는 순환을 실시하게 함으로써,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서스펜션(107)의 상세 구조를 설명한다. 서스펜션(107)은 댐퍼(121)를 갖고 있고, 상기 댐퍼(12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부재로서 실린더(122)와 샤프트(12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실린더(122)는 하단부에 연결 부재(124)를 갖는다. 상기 연결부재(124)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상자(101)의 저판(101a)이 갖는 부착판(125)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통과시키고 탄성좌판(126) 등을 끼워 너트(127)로 체결함으로써, 외부상자(101)의 저판(101a)에 부착하고 있다.
또한, 샤프트(123)는 상단부에 연결부(123a)을 갖고, 상기 연결부(23a)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조(6)가 갖는 부착판(28)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통과시키고 탄성좌판(29) 등을 통하여 너트(30)로 체결함으로써 수조(6)에 부착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123)에서의 실린더(122)의 외부 상방에 위치한 상부 부분에는 스프링 시트(131)를 끼워 맞춤 고정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 시트(131)와 실린더(22)의 상단부 사이에는 샤프트(123)를 둘러싸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코일 스프링(132)을 장착하고 있다.
실린더(122)의 내부의 중간부에는 환상의 하부 브래킷(133)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하부 브래킷(133)의 외주부에는 홈(13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122)의 둘레벽부 중 상기 홈(133a)에 대응하는 부분을 내방으로 좁혀 코킹함으로써, 하부 브래킷(133)을 실린더(122)에 고정하고 있다. 하부 브래킷(133)의 내주부에는 샤프트(12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34)을 수용 고정하고 있다. 베어링(134)은 예를 들어 소결 함유 메탈로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122)의 내부의 상단부에는 환상의 상부 브래킷(135)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상부 브래킷(135)의 외주부에는 홈(135a)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22)의 둘레벽부 중 상기 홈(135a)에 대응하는 부분을 내방으로 좁혀 코킹함으로써, 상부 브래킷(135)을 고정하고 있다. 상부 브래킷(135)의 내주부에는 샤프트(12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36)을 수용 고정하고 있다. 베어링(136)은 예를 들어 소결 함유 메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브래킷(135)의 도 6 중의 상면부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통형상부(135b)는 실린더(122)의 상단부의 개구를 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실린더(122)의 내부에서의 하부 브래킷(133)과 상부 브래킷(135) 사이의 부분에는 코일 조립체(137)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코일 조립체(137)는 하부 브래킷(133)과 상부 브래킷(135)의 사이에 끼어 고정되어 있다. 코일 조립체(137)에는 샤프트(123)를 삽입 통과시키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관통구멍(1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 조립체(137)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조립체(137)는 제 1 요크(139)와, 상기 제 1 코일(140)을 감은 제 1 보빈(141)과, 제 2 요크(142)와, 제 2 코일(143)을 감은 제 2 보빈(144)과, 제 3 요크(14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140, 143), 보빈(141, 144) 및 요크(139, 142, 145)는 수지(146)로 몰드 성형(인서트 성형)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9는 코일 조립체(137)를 상하 반대로 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제 1 보빈(141) 및 제 2 보빈(144)의 도 8 중의 상하의 단판(147)에는 위치 결정용 볼록부(도시하지 않음)가 예를 들어 각 4개 거의 등간격으로 상하 방향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제 1 요크(139) 중 제 1 보빈(141)의 단판(147)에 대향하는 측의 측면에는 단판(147)의 상기 볼록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요크(142)에는 4개의 관통구멍(152)이 양측의 측면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고(도 9 참조), 이들 관통구멍(152)에 제 1 보빈(141) 및 제 2 보빈(144)의 단판(147)의 볼록부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요크(145) 중 제 2 보빈(144)의 단판(147)에 대향하는 측의 측면에는 단판(147)의 볼록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요크(139)의 도 8 중 하측면에는 환상의 오목부(14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상의 오목부(149) 내에 환상의 시일 부재(150)가 압입 고정되어 있다. 오목부(149)의 깊이 치수는 시일부재(150)의 도 8 중의 상하 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고, 시일부재(150)가 제 1 요크(139)의 측면(하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시일부재(150)는 고무(NBR)제로 그 짧은 통형상의 외주부(150a)가 환상 오목부(149)의 내주부에 압입되어 밀착되고 또한 상기 외주부(150a)의 선단(상단)이 오목부(149)의 내저부에 밀착되어 있다. 또한, 시일부재(150)의 짧은 통형상의 내주부(150b)에 샤프트(123)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밀착되어 있다. 상기 내주부(150b)에는 샤프트(123)를 향하여 주지의 립(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제 1 요크(139)와 샤프트(123) 사이로부터 후술하는 자기점성유체(164)가 실린더(122)내에 누출되지 않도록 시일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3 요크(145)의 도 8 중의 상측면에는 환상의 오목부(1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상의 오목부(153) 내에 환상의 시일부재(154)가 압입 고정되어 있다. 환상의 오목부(153)의 깊이 치수는 시일부재(154)의 도 8 중의 상하 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고, 시일 부재(154)가 제 3 요크(145)의 측면(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시일부재(154)도 고무(NBR)제로 그 짧은 통형상의 외주부(154a)가 환상 오목부(153)의 내주부에 밀착되고 또한 상기 외주부(154a)의 선단(하단)이 오목부(153)의 내저부에 밀착되어 있다. 또한, 시일부재(154)의 짧은 통형상의 내주부(154b)에, 샤프트(123)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밀착되어 있다. 상기 내주부(154b)에도 샤프트(123)를 향하여 주지의 립(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제 3 요크(145)와 샤프트(123) 사이로부터 자기점성유체(164)가 실린더(122) 내에 누출되지 않도록 시일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요크(139)의 측면에 제 1 보빈(141)의 단판(147)을 접촉시키고, 제 2 요크(142)의 양측면에 제 1 보빈(141) 및 제 2 보빈(144)의 각 단판(147)을 접촉시키며, 또한 제 3 요크(145)의 측면에 제 2 보빈(144)의 단판(147)을 접촉시킨다. 이 후, 조립한 요크(139, 142, 145)와 보빈(코일(140, 143))(141, 144)을 성형틀(도시하지 않음) 내에 수용하여 수지(146)로 몰드 성형(인서트 성형)한다. 수지(146)로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나일론, PBT, PET, PP 등)를 사용한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146)는 코일(140, 143) 및 보빈(141, 144)의 외주부를 덮고 또한 제 1 요크(139)의 외주부의 축방향의 상부를 덮으며, 제 3 요크(145)의 외주부의 축방향의 하부를 덮고 있다.
또한, 수지(146)는 제 1 요크(139)의 외주부에 형성된 링형상의 홈부(139a)내에 충전되고, 제 2 요크(142)의 외주부에 예를 들어 4개 거의 등간격으로 축방향으로 형성된 홈(142a)(도 10 참조) 내에 그 이외의 요크(142)의 외주면을 노출하는 형태로 충전되며, 제 3 요크(145)의 외주부에 형성된 링형상의 홈부(145a)내에 충전된다. 상기 요크(142)의 외주면의 노출부분은 후술하는 실린더와의 사이의 자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제 2 요크(142)의 4개의 홈(142a) 중, 도 10에서의 상부에 위치하는 홈(142a)은 다른 3개의 홈(142a)보다도 폭넓게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지 몰드된 코일 조립체(137)의 관통구멍(138)(샤프트(123)가 삽입되는 구멍)의 내경 치수에 대해서 설명한다. 3개의 요크(139, 142, 145)의 내경 치수는 거의 동일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고, 샤프트(123)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예를 들어 0.4㎜ 정도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보빈(141, 144)의 각 내경 치수는 거의 동일한 치수로 설정되고, 또한 3개의 요크(139, 142, 145)의 내경 치수보다도 약간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으며, 샤프트(123)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예를 들어 1.0㎜ 정도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요크(142)에서의 도 10 중의 상부의 큰 홈(142a)의 중앙부에는 도 9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요크(142)의 내주부와 외주부를 연통하도록 관통구멍(14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142b)내에 외주에 나사부가 형성된 파이프(155)가 체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155)는 자기점성유체(164)를 충전 주입하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2개의 코일(140, 143)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그 양단자에는 리드선(156)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들 리드선(156)은 수지(146)의 몰드(성형)부분 중 제 2 요크(142)의 도 5 중의 상부의 큰 홈(142a)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이 경우,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요크(142)의 상기 큰 홈(142a) 내에는 리드선(156)을 지지하는 고무 또는 수지제의 지지부품(157)이 설치되고, 수지(146)로 몰드되어 있다. 지지부품(157)에는 T자 형상의 지지구멍(157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구멍(157a) 내에 리드선(156)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품(157)은 리드선(156)을 지지구멍(157a)에 수용하기 위해 지지구멍(157a)을 따라서 2분할되어 있다. 또한, 리드선(156)은 코일(140, 143)로부터 보빈(141, 144)의 단판(147)에 형성된 안내홈(도시하지 않음)을 통과하여 지지부품(157)의 지지구멍(157a) 내에 인도되어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146)의 몰드 부분에서의 제 2 요크(142)의 관통구멍(142b)(홈(142a))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거의 원형의 오목부(15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58)로부터 하방(도 9 중에서는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리드선(156)을 수용하는 수용홈부(15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요크(139)의 외주부에서의 상기 수용홈부(159)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리드선(156)을 수용하는 수용홈부(139b)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하여 수지(146)로 몰드한 코일 조립체(137)를, 실린더(122) 내로 수납하는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베어링(136)을 장착한 상부 브래킷(135)을 실린더(122) 내로 수납해 두고, 실린더(12)의 둘레벽부 중의 상기 상부 브래킷(135)의 홈(135a)에 대응하는 부분을 내방으로 코킹함으로써 상부 브래킷(135)을 실린더(122) 내에 고정해 둔다(도 6에는 코킹 전의 상태를 도시함).
또한, 코일 조립체(137)에 대해서는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몰드 부분(지지부품(157))으로부터 도출된 리드선(156)을 오목부(158), 수용홈부(159) 및 수용홈부(139b) 내에 수용해 두고, 리드선(156)이 코일 조립체(137)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처치해 둔다. 또한, 코일 조립체(137)의 제 1 요크(139)의 오목부(149) 내에 시일부재(150)를 끼워 맞추어(압입) 고정해 두고 또한 제 3 요크(145)의 오목부(153)내에 시일 부재(154)를 끼워 맞추어(압입) 고정해 둔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선(156)을 처치하고, 시일부재(150, 154)를 부착한 코일 조립체(137)를, 실린더(122) 내에 수용한다(도 6 참조). 이 때, 코일 조립체(137)의 오목부(158)와, 실린더(122)의 둘레벽부에 형성된 구멍(160)(도 12 참조)이 일치하도록 위치 맞춤하여 코일 조립체(137)를 실린더(122) 내에 수용한다. 계속해서, 실린더(122)의 구멍(160)으로부터 리드선(156)을 인출하고 상기 리드선(156)을 상기 구멍(160)을 통하여 실린더(122)의 밖으로 도출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 또는 수지제의 부시(161)의 구멍에 상기 리드선(156)을 통과시킨 후, 상기 부시(161)를 실린더(122)의 구멍(160)에 끼워 맞추어 고정한다. 또한, 부시(161)로부터 도출된 리드선(156)은 코일(140, 143)을 통전 제어하는 제어 회로(제어 장치(105))에 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134)를 장착한 하부 브래킷(133)을 실린더(122) 내에 수용한 후, 실린더(122)의 둘레벽부 중의 상기 하부 브래킷(133)의 홈(133a)에 대응하는 부분을 내방으로 코킹함으로써 상부 브래킷(133)을 실린더(122) 내에 고정한다. 또한, 도 6은 코킹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후, 스프링 시트(131)를 부착하기 전의 샤프트(123)를 실린더(122) 내에 삽입하고 하부 브래킷(133)의 개구부, 베어링(134), 시일부재(150), 제 1 요크(139), 제 1 보빈(141)(제 1 코일(140)), 제 2 요크(142), 제 2 보빈(144)(제 2 코일(143), 제 3 요크(145), 시일부재(154), 베어링(136) 및 상부 브래킷(135)의 개구부를 차례로 관통시키고 실린더(122)의 상방으로 돌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샤프트(123)는 베어링(134, 136)에 지지되고 또한 그 베어링(134), 시일부재(150), 제 1 요크(139), 제 1 보빈(141)(제 1 코일(140)), 제 2 요크(142), 제 2 보빈(144)(제 2 코일(143)), 제 3 요크(145), 시일부재(154), 및 베어링(136)에 대하여 축방향(상하 방향)의 왕복운동이 상대적으로 가능해져 있다. 또한, 샤프트(123)의 하단부에는 빠짐 방지용 고정용 고리(162)가 부착되어 있고, 그보다 하방의 실린더(122)의 내부는 공동(163)으로 되어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샤프트(123)에서의 실린더(122)의 외부 상방에 위치한 하부 부분에는 스프링 시트(131)를 끼워 맞추어 고정하고, 또한 상기 스프링 시트(131)와 실린더(122)의 상단부 사이에, 샤프트(123)를 둘러싸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코일 스프링(132)를 장착한다.
또한, 샤프트(123)와 보빈(141, 144)(코일(140, 143))과의 각 사이, 및 그 근방인 샤프트(123)와 요크(139, 142, 145)의 각 사이에는 자기점성유체(164)를 주입하여 충전하고 있다(도 6 및 도 8 참조). 상기 자기점성유체(164)는 시일부재(150, 154)에 의해 요크(139, 145)와 샤프트(123) 사이로부터 실린더(122) 내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기점성유체(164)를 상기 각 사이에 주입할 때에는 도 12에 도시한 부시(161)를 실린더(122)의 둘레벽부의 구멍(16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파이프(155)에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고, 상기 튜브를 통하여 상기 각 사이내의 공기를 배기(진공처리)한 후, 자기점성유체(164)를 상기 튜브를 통하여 상기 각 사이내에 주입한다. 그리고, 자기점성유체(164)의 주입후에는 상기 파이프(155)의 개구를 시일부재(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밀봉한 후, 부시(161)를 실린더(122)의 구멍(160)에 끼워 맞추어 부착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한 서스펜션(107)을, 상기 수조(106)와 상기 외부상자(101)의 저판(101a)과의 사이에 편성하고, 외부상자(101)의 저판(101a)상에 수조(106)를 방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코일 조립체(137)의 제 1 요크(139) 및 제 3 요크(145)에 환상의 오목부(149, 153)를 형성하고, 이들 오목부(149, 153) 내에 시일 부재(150, 154)를 끼워 맞추어(압입) 고정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종래 구성과는 달리 시일부재(150, 154)의 내주부(150b, 154b)와 샤프트(123) 사이의 밀접 정도, 및 시일부재(150, 154)의 외주부(150a, 154a)와 오목부(149, 153) 사이의 밀접 정도를, 조립의 편차나 진동 등에 관계 없이,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종래 구성에서는 시일 부재를 축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가하여 시일 성능을 확보하도록 구성하고 있었지만,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그와 같은 축방향의 억압력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조립체(137)의 상하 어느 쪽의 요크(139, 145)와 샤프트(123)와의 사이로부터도 자기점성유체(164)가 실린더(122) 내에 누출되는 것을 시일 부재(150, 154)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자기점성유체(164)의 동력에 의한 하방향으로의 이동 뿐만 아니라, 샤프트(123)의 상하운동에 따라서 움직이는 상하방향 어떤 이동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진동감쇠력의 저하나 특성의 편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탈수운전의 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조립체(137)를 구성할 때 코일(140, 143), 보빈(141, 144) 및 요크(139, 142, 145)를 수지(146)로 몰드 성형했으므로, 보빈(141, 144)의 단부에 요크(139, 142, 145)를 부착하여 고정할 때, 보빈(141, 144) 및 요크(139, 142, 145)의 부품의 치수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가 저하되어 각 부품 사이에 간극이 발생했다고 해도, 그 간극을 몰드한 수지(146)로 밀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간극으로부터 자기점성유체(164)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빈(141, 144) 및 요크(139, 142, 145)의 고정 강도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조립체(137)의 상하 양단에 시일 부재(150, 154)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가령 서스펜션(107)을 상하 반대로 부착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도 자기점성유체(164)가 누출될 우려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요크(139) 및 제 3 요크(145)의 축방향(상하 방향)의 길이 치수를 길게 하고, 오목부(149, 153)의 깊이 치수(상하 방향 치수)를 깊게 하며, 오목부(149, 153) 내에 시일부재(150, 154)와 함께 베어링(134, 136)을 수용 고정하도록 구성했다. 또한, 베어링(134)에 대해서는 고정링(165)으로 빠짐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 브래킷(133)을 불필요하게 하고, 상부 브래킷(135)의 축방향(상하 방향)의 길이 치수를 짧게 했다. 또한, 요크(139, 145)의 외주부에 실린더(122)로부터 코킹용 홈(139c,145c)을 형성했다.
상술한 이외의 제 5 실시예의 구성은 제 4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 5 실시예에서도 제 4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 5 실시예에 의하면 샤프트(123)와 베어링(134, 135)의 정렬불량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정렬불량이 클 때 샤프트(123)와 시일부재(150, 154) 사이로부터 자기점성유체(164)가 누출되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브래킷(133)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도 14는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 6 실시예에서는 요크(139, 142, 145)와 보빈(141, 144)의 단판(147) 사이에 O링(166)을 설치했다. 구체적으로는 요크(139, 142, 145)의 측면(단판(147)에 접촉되는 측의 측면)에 환상의 홈부(오목부)(167)를 설치하고 상기 홈부(167) 내에 O링(166)을 수용하도록 구성했다.
상술한 이외의 제 6 실시예의 구성은 제 4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 6 실시예에서도 제 4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 6 실시예에 의하면 요크(139, 142, 145)와 보빈(141, 144)의 단판(147) 사이에 O링(166)을 설치했으므로, 요크(139, 142, 145)와 보빈(141, 144)의 단판(147) 사이로부터 자기점성유체(164)가 누출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제 7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 5 실시예 및 제 6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 7 실시예에서는 제 1 요크(139) 및 제 3 요크(145)의 오목부(149, 153)의 깊이 치수(상하 방향 치수)를 깊게 하여 베어링(134, 136)을 수용 고정하고 또한 요크(139, 142, 145)와 보빈(141, 144)의 단판(147) 사이에 O링(166)을 설치하도록 구성했다. 또한, 상술한 이외의 제 7 실시예의 구성은 제 5 실시예 및 제 6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7 실시예에서는 제 5 실시예 및 제 6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6은 제 8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 8 실시예에서는 요크(139, 142, 145)와 보빈(141, 144)의 단판(147) 사이를 접착제(168)에 의해 접착했다. 상술한 이외의 제 8 실시예의 구성은 제 4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8 실시예에서도 제 4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 8 실시예에 의하면 요크(139, 142, 145)와 보빈(141, 144)의 단판(147) 사이를 접착제(168)에 의해 접착하여 밀봉했으므로, 요크(139, 142, 145)와 보빈(141, 144)의 단판(147) 사이로부터 자기점성유체(164)가 누출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제 9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 5 실시예 및 제 8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 9 실시예에서는 제 1 요크(139) 및 제 3 요크(145)의 볼록부(149, 153)의 깊이 치수(상하 방향 치수)를 깊게 하여 베어링(134, 136)을 수용 고정하고 또한 요크(139, 142, 145)와 보빈(141, 144)의 단판(147) 사이를 접착제(168)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밀봉하도록 구성했다. 또한, 상술한 이외의 제 9 실시예의 구성은 제 5 실시예 및 제 8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9 실시예에서도 제 5 실시예 및 제 8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8은 제 10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 10 실시예에서는 요크(139, 142, 145)와 보빈(코일(140, 143)(141, 144)을 조립한 것을 수지(146)로 몰드 성형할 때,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크(139, 142, 145)의 외주면의 외측까지 수지(146)로 덮도록 구성했다. 또한, 상술한 이외의 제 10 실시예의 구성은 제 4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0 실시예에서도 제 4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 10 실시예에 의하면 요크(139, 142, 145)의 외주면까지 수지(146)로 덮도록 구성했으므로, 코일 조립체(137)의 강도(즉, 코일, 보빈 및 요크의 고정 강도)를 한층 더 높게 할 수 있고 또한 요크(139, 142, 145)와 보빈(141, 144)의 단판(147) 사이로부터 자기점성유체(164)가 누출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요크(139, 142, 145)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수지(146)는 실린더와의 사이에서 자기 저항이 되므로, 다른 부분의 수지 두께에 비하여 필요 최소한도로 매우 얇게 형성함으로써 자기저항의 증가를 최대한 방지하고 있다.
도 19 내지 도 22는 제 1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 11 실시예에서는 요크(139, 142, 145)와 보빈(141, 144)의 단판(147) 사이에 O링(171)을 설치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141, 144)의 단판(147)의 외면에는 보빈(141, 144)의 통부를 단판(147)의 외방으로 돌출시키도록 환상 볼록부(172)를 형성했다. 그리고, 요크(139, 142, 145)의 측면(단판(147)에 대향하는 측의 측면)에 상기 환상 볼록부(172)를 끼워 맞추는 환상 끼워 맞춤부(173)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환상 끼워맞춤부(173)에 계단 형상으로 연속되도록 환상 수용부(오목부)(174)를 설치했다. 상기 환상 수용부(174) 내에 상기 O링(171)을 수용했다(도 22 참조).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O링(171)의 두께 치수(즉, 링 절단 부분의 직경 치수)를 A로 하고, 환상 수용부(174)의 축방향(도 20 중의 상하 방향)의 깊이 치수를 B로 했을 때, A>B가 성립되도록 구성했다. 이에 의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O링(171)은 환상 수용부(174)의 내면(단판(147)과 대향하는 면)과 단판(147) 사이에 끼어 적절한 크기의 힘으로 억압 변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결과, 요크(139, 142, 145)와 보빈(141, 144)의 단판(147) 사이로부터 자기점성유체(164)가 누출되는 것을, 상기 O링(171)에 의해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경우, 환상 수용부(174)의 단면적을 S1(도 20 참조)으로 하고 O링(171)의 단면적을 S2(도 21 참조)로 했을 때, S1>S2가 성립하고 또한 S1이 S2에 가능한 가까운 값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O링(171)이 억압 변형되었을 때(또한, O링(171)은 변형되어도 그 단면적(S2)는 변화없음), O링(171)이 환상 수용부(174) 내로부터 불거져 나오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고, O링(171)의 시일 성능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O링(171)은 탄성을 갖고 또한 내열성이 높은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또는 불소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O링(171)이 충분한 내열성을 가지므로 코일(140, 143), 보빈(141, 144) 및 요크(139, 142, 145)를, 수지(146)로 몰드 성형했을 때, O링(171)이 200℃ 전후의 온도까지 가열되지만, O링(171)의 시일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이외의 제 11 실시예의 구성은 제 4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1 실시예에서도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 11 실시예에 의하면 요크(139, 142, 145)에 환상 수용부(174)를 설치하고, 상기 환상 수용부(174) 내에 O링(171)을 수용함으로써 요크(139, 142, 145)와 보빈(141, 144)의 단판(147) 사이에 O링(171)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요크(139, 142, 145)와 보빈(141, 144)의 단판(147)의 사이로부터 자기점성유체(164)가 누출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1 실시형태에서는 O링(171)의 직경 치수(즉, 두께 치수)를 A로 하고 환상 수용부(174)의 축방향(도 20 중의 상하 방향)의 깊이 치수를 B로 했을 때, A>B가 성립하도록 구성했으므로, O링(171)은 환상 수용부(174)의 내면과 단판(147) 사이에 끼어 적절한 크기의 힘으로 억압 변형되므로 충분한 시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환상 수용부(174)의 단면적을 S1으로 하고, O링(171)의 단면적을 S2로 했을 때 S1>S2가 성립하도록 구성했으므로, O링(171)이 변형되었을 때 O링(171)이 환상 수용부(174) 내로부터 불거져 나오지 않게 되어, O링(171)의 시일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O링(171)은 탄성을 갖고 또한 내열성이 높은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또는 불소 고무로 형성했으므로, 코일(140, 143), 보빈(141, 144) 및 요크(139, 142, 145)를 수지(146)로 몰드 성형했을 때 O링(171)이 가열되지만, O링(171)은 충분한 내열성을 가지므로 시일 성능이 열화되지 않는다.
도 23 및 도 24는 제 1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 1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 12 실시예에서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판(147)에서의 요크(139, 142, 145)의 환상 수용부(174)의 내면에 대향하는 부위에 환상 볼록부(175)를 형성했다. 그리고, 상기 환상 볼록부(175)에 의해 O링(171)을 억압하여 변형시키도록 구성했다.
또한, 상술한 이외의 제 12 실시예의 구성은 제 1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 12 실시예에서도 제 1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 12 실시예에 의하면 단판(147)의 환상 볼록부(175)에 의해 O링(171)을 억압하여 변형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 O링(171)의 변형량을 크게 할 수 있고, O링(171)의 시일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 실시예에서는 환상 볼록부(175)를 단판(147)에 설치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환상 볼록부(175)를 요크(139, 142, 145)의 환상 수용부(174)의 내면(단판(147)과 대향하는 면)에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25 내지 도 27은 제 1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 1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 13 실시예에서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141, 144)의 환상 볼록부(172)의 외경 치수를 D1으로 하고 요크(139, 142, 145)의 환상 수용부(174)의 내경 치수를 D2로 하며,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O링(171)의 내경 치수를 d1으로 하고, O링(171)의 외경 치수를 d2로 했을 때, d1<D1과, d2>D2가 성립되도록 구성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경우 환상 수용부(174)의 단면적을 S1으로 하고 O링(171)의 단면적을 S2로 했을 때, S1>S2가 성립되고 또한 S1이 S2에 가능한 가까운 값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d1<D1이므로, O링(171)의 내주부가 환상 볼록부(172)의 외주면에 밀착 접촉된다. 그리고, d2>D2이므로 O링(171)의 외주부가 환상 수용부(174)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즉, O링(171)은 내외경 끼워 맞춤(도 26 중의 좌우 방향의 끼워 맞춤)에 의해 억압 변형됨으로써, 시일 성능을 확보하고 요크(139, 142, 145)와 보빈(141, 144)의 단판(147)의 사이로부터 자기점성유체(164)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이외의 제 13 실시예의 구성은 제 1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3 실시예에서도 제 1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8은 제 1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 1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 14 실시예에서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141, 144)의 단판(147)의 외면에서의 O링(171)의 외주부에, 환상 볼록부(176, 177)를 외방으로 돌출시키도록 2중으로 형성했다. 그리고, 요크(139, 142, 145)의 측면(단판(147)에 대향하는 측의 측면)에, 상기 환상 볼록부(176, 177)를 끼워 맞추는 환상 끼워 맞춤부(178, 179)를 2중으로 설치했다. 상기 구성의 경우, O링(171)의 외주부에 O링(171)에 의한 시일 구조 이외에, 단판(147)의 환상 볼록부(176, 177)와 요크(139, 142, 145)의 환상 끼워 맞춤부(178, 179)가 끼워 맞춤에 의해 라비린스 시일 구조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이외의 제 14 실시예의 구성은 제 1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 14 실시예에서도 제 1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 14 실시예에 의하면 O링(171)에 의한 시일 구조 이외에, 단판(147)의 환상 볼록부(176, 177)와 요크(139, 142, 145)의 환상 끼워 맞춤부(178, 179)의 끼워 맞춤에 의한 라비린스 시일 구조를 설치했으므로 요크(139, 142, 145)와 보빈(141, 144)의 단판(147)의 사이로부터의 자기점성유체(164)의 누출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이상 설명한 복수의 실시 형태에 추가하여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코일(140, 143)(보빈(141, 144))을 2개 설치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코일(보빈)을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의해, 세탁 용량 등 사용 목적에 맞는 코일(보빈) 및 요크의 수로 함으로써, 진동 감쇠력을 사용 목적에 맞는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6, 7, 11~14의 각 실시예에서는 O링(166, 171)을 수용하는 오목부로서의 홈부(167), 환상 수용부(174)를 요크(139, 142, 145)에 설치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O링(166, 171)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보빈(141, 144)의 단판(147)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제 14 실시예에서는 라비린스 시일 구조를 O링(171)의 외주부에 설치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라비린스 시일 구조를 O링(171)의 내주부에 설치해도 좋고, O링(171)의 내주부 및 외주부의 양방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제 6, 7, 11~14의 각 실시예에서는 O링(166, 171)으로서 단면 형상이 원형(도 21 참조)인 것을 사용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면 형상이 예를 들어 정방형, 장방형, 5각형, 6각형, 타원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O링(166, 171)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상하 금형으로 성형하는 방법이나, 압출 성형한 끈 형상의 것을 링 형상에 연결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나, 판 부재를 링 형상으로 구멍을 뚫어 제조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세탁기용 댐퍼에 의하면, 수지로 몰드 성형된 것의 양단에 설치된 요크에 시일 부재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 내에 시일 부재를 압입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자기점성유체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하 어느 측에서도 누출의 염려가 없어지는 점에서, 서스펜션의 방향에 대해서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예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예는 그 밖의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댐퍼는 세탁기나 세탁건조기의 조를 탄성 지지하는 서스펜션에 유용하다.
21: 외부상자 26: 수조(조)
27: 서스펜션 30: 드럼(회전조)
41: 댐퍼 43: 실린더
45: 샤프트 51: 코일
53: 상부 요크 54: 하부 요크
55: 자기점성유체 56: 상부 시일
56b: 홈부(유체 수용부) 57: 하부 시일
57b: 홈부(유체 수용부) 58: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
59: 상부 베어링 60: 하부 베어링
71, 72: 오목부(연통부) 101: 외부상자
106: 수조(조) 107: 서스펜션
108: 모터 110: 드럼(회전조)
117: 건조장치 118: 제습기
119: 송풍기(송풍장치) 120: 가열기(가열장치)
121: 댐퍼 122: 실린더
123: 샤프트 124: 연결부재
125: 부착판 126: 탄성좌판
127: 너트 128: 부착판
129: 탄성좌판 130: 너트
131: 스프링 시트 132: 코일 스프링
133: 하부 브래킷 134: 베어링
135: 상부 브래킷 136: 베어링
137: 코일 조립체 138: 관통구멍
139: 제 1 요크 140: 제 1 코일
141: 제 1 보빈 142: 제 2 요크
143: 제 2 코일 144: 제 2 보빈
145: 제 3 요크 146: 수지
147: 단판 149: 오목부
150: 시일 부재 152: 관통구멍
153: 오목부 154: 시일 부재
156: 리드선 157: 지지부품
158: 오목부 159: 수용홈부
164: 자기점성유체 166: O링
167: 홈부(오목부) 168: 접착제
171: O링 173: 환상 끼워 맞춤부
174: 환상 수용부(오목부)
172, 175, 176, 177: 환상 볼록부 178: 환상 끼워 맞춤부
179: 환상 끼워 맞춤부

Claims (27)

  1.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축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된 요크,
    상기 요크 및 상기 코일의 내면에 충전된 자기점성유체,
    상기 요크의 각각 축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점성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요크 및 코일의 내측에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일,
    상기 요크, 상기 코일 및 상기 시일을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가능하게 관통하여 지지된 샤프트 및
    상기 시일의 각각 축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를 축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이로써, 상기 샤프트의 왕복운동시에 상기 자기점성유체는 이동하지 않는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이 감긴 보빈을 구비하며,
    상기 요크에 상기 시일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 내에 상기 시일이 압입된 댐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시일 및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상기 오목부 내에서 축방향으로 배열하여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깊이 치수를 갖는 댐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단판과 상기 요크 사이에 상기 자기점성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O링이 설치된 댐퍼.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단판과 상기 요크 사이가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된 댐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단판 또는 상기 요크 중 한쪽에 환상의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 내에 상기 O링이 수용된 댐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단판 또는 상기 요크 중 타방에, 상기 오목부 내에 수용된 O링을 억압하는 볼록부가 설치된 댐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깊이 치수를 상기 O링의 두께 치수보다 작게 한 댐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단면적을 상기 O링의 단면적보다 크게 한 댐퍼.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단판의 외면에 상기 보빈의 통부가 상기 단판의 외방으로 돌출되도록 환상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의 외주면과 상기 요크에 형성된 오목부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O링이 수용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보빈의 볼록부의 외경 치수를 D1으로 하고 상기 요크의 오목부의 내경 치수를 D2로 하며, 상기 O링의 내경 치수를 d1으로 하고 상기 O링의 외경 치수를 d2로 했을 때 d1<D1과, d2>D2가 성립하도록 구성된 댐퍼.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단판 및 상기 요크에서의 상기 O링의 내주부 또는 외주부에 라비린스 시일 구조가 설치된 댐퍼.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O링이, 탄성을 갖고 또한 내열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 댐퍼.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상기 보빈 및 상기 요크를 몰드 성형하는 수지와,
    상기 보빈의 단판과 상기 요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자기점성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O링이 구비된 댐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이 각각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측에 유체 수용부를 갖고 상기 유체수용부와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 사이에 이들을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갖는 댐퍼.
  15. 외부상자,
    상기 외부상자의 내부에 위치하는 조,
    상기 조의 내부에 위차하여 회전 구동되는 회전조, 및
    상기 조를 상기 외부상자의 내부에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조의 진동을 감쇠하는 댐퍼를 갖는 서스펜션을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축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된 요크,
    상기 요크 및 상기 코일의 내면에 충전된 자기점성유체,
    상기 요크의 각각 축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점성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요크 및 코일의 내측에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일,
    상기 요크, 상기 코일 및 상기 시일을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가능하게 관통하여 지지된 샤프트 및
    상기 시일의 각각 축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를 축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이로써, 상기 샤프트의 왕복운동시에 상기 자기점성유체는 이동하지 않는 세탁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이 감긴 보빈을 구비하며,
    상기 요크에 상기 시일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내에 상기 시일이 압입된 세탁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단판과 상기 요크의 사이에 상기 자기점성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O링이 설치된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단판 또는 상기 요크 중의 한쪽에 환상의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 내에 상기 O링이 수용된 세탁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깊이 치수를 상기 O링의 두께 치수보다 작게 한 세탁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단면적을 상기 O링의 단면적보다 크게 한 세탁기.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단판의 외면에 상기 보빈의 통부가 상기 단판의 외방으로 돌출되도록 환상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의 외주면과 상기 요크에 형성된 오목부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O링이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빈의 볼록부의 외경 치수를 D1으로 하고 상기 요크의 오목부의 내경 치수를 D2로 하며, 상기 O링의 내경 치수를 d1으로 하고 상기 O링의 외경 치수를 d2로 했을 때 d1<D1과, d2>D2가 성립하도록 구성된 세탁기.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O링이, 탄성을 갖고 또한 내열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 세탁기.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상기 보빈 및 상기 요크를 몰드 성형하는 수지와,
    상기 보빈의 단판과 상기 요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자기점성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O링이 구비된 세탁기.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이 각각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측에 유체 수용부를 갖고, 상기 유체 수용부와 자기점성유체 충전부분 사이에 이들을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구비한 세탁기.
  25. 제 15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가 상기 실린더측에서 상기 외부상자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측에서 상기 조와 연결되어 있는 세탁기.
  26. 외부상자,
    상기 외부상자의 내부에 위치하는 조,
    상기 조의 내부에 위치하고 회전 구동되는 회전조,
    상기 조를 상기 외부상자의 내부에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조의 진동을 감쇠하는 댐퍼를 갖는 서스펜션,
    온풍을 생성하는 가열장치, 및
    상기 온풍을 상기 회전조 내에 송풍하는 송풍장치를 구비한 세탁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축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된 요크,
    상기 요크 및 상기 코일의 내면에 충전된 자기점성유체,
    상기 요크의 각각 축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점성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요크 및 코일의 내측에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일,
    상기 요크, 상기 코일 및 상기 시일을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가능하게 관통하여 지지된 샤프트 및
    상기 시일의 각각 축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를 축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이로써, 상기 샤프트의 왕복운동시에 상기 자기점성유체는 이동하지 않는 세탁건조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에 상기 시일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내에 상기 시일이 압입된 세탁건조기.
KR1020127016693A 2010-02-24 2010-12-10 댐퍼,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KR101411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38631 2010-02-24
JP2010038631A JP5489102B2 (ja) 2010-02-24 2010-02-24 ドラム式洗濯機
JPJP-P-2010-127523 2010-06-03
JP2010127523 2010-06-03
JP2010186109A JP5127894B2 (ja) 2010-06-03 2010-08-23 洗濯機用のダンパ
JPJP-P-2010-186109 2010-08-23
PCT/JP2010/072240 WO2011104977A1 (ja) 2010-02-24 2010-12-10 ダンパ、洗濯機及び洗濯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825A KR20120098825A (ko) 2012-09-05
KR101411148B1 true KR101411148B1 (ko) 2014-06-23

Family

ID=4675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693A KR101411148B1 (ko) 2010-02-24 2010-12-10 댐퍼,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57335B2 (ko)
EP (1) EP2540898B1 (ko)
KR (1) KR101411148B1 (ko)
CN (1) CN102770594B (ko)
TW (1) TWI444517B (ko)
WO (1) WO20111049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7879B2 (ja) * 2010-05-21 2013-01-23 株式会社東芝 洗濯機用のダンパ
US9109650B2 (en) * 2013-04-12 2015-08-18 Washington State University Linear MR-brake as a high force and low off-state friction actuator
EP3078877B1 (en) * 2015-04-10 2017-12-27 Safran Landing Systems UK Limited Hydraulic shock absorber
CN105040347A (zh) * 2015-07-11 2015-11-11 晋江市池店镇筱秋电工机械专用设备设计工作室 一种双重避震合金洗衣机
CN105333053A (zh) * 2015-10-30 2016-02-17 合肥工业大学 无活塞式大行程磁流变阻尼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82A (ja) * 1994-07-04 1996-01-2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振動絶縁装置
JP2006029585A (ja) * 2004-07-13 2006-02-02 Lg Electronics Inc 振動減衰のためのダンパー及びこれを有する洗濯機
JP2006057766A (ja) * 2004-08-20 2006-03-02 Showa Corp Mr流体ダンパ
JP2006230591A (ja) * 2005-02-23 2006-09-07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1556B2 (ja) 1986-11-13 1995-08-02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
US5284330A (en) * 1992-06-18 1994-02-08 Lord Corporation Magnetorheological fluid devices
JPH0819687A (ja) * 1994-07-07 1996-01-23 Hitachi Ltd 全自動洗濯機の防振装置
US5492312A (en) 1995-04-17 1996-02-20 Lord Corporation Multi-degree of freedom magnetorheological devices and system for using same
DE19717692A1 (de) * 1997-04-26 1998-10-29 Schenck Ag Carl Feder-Massen-Schwingkraftkoppler
US6394239B1 (en) * 1997-10-29 2002-05-28 Lord Corporation Controllable medium device and apparatus utilizing same
US6202806B1 (en) * 1997-10-29 2001-03-20 Lord Corporation Controllable device having a matrix medium retaining structure
US6340080B1 (en) 1997-10-29 2002-01-22 Lord Corporation Apparatus including a matrix structure and apparatus
JPH10214715A (ja) 1998-01-05 1998-08-11 Kenji Masuda 比例電磁石
US6471018B1 (en) 1998-11-20 2002-10-29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And Community College System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Nevada-Reno, The University Of Reno Magneto-rheological fluid device
US6390253B1 (en) * 1999-10-05 2002-05-21 Delphi Technologies, Inc. Magneto-rheological damping apparatus
JP2002021902A (ja) * 2000-07-05 2002-01-23 Nifco Inc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4705714B2 (ja) * 2000-10-20 2011-06-22 オリエンタルモーター株式会社 簡易負荷装置
US20020130002A1 (en) * 2001-03-15 2002-09-19 Delphi Technologies, Inc. Gas cup seal for magneto-rheological damper
US6497309B1 (en) * 2001-08-13 2002-12-24 Delphi Technologies, Inc. Magneto-rheological damper with an external coil
DE10143980A1 (de) 2001-09-07 2003-03-27 Bosch Rexroth Ag Magneto-Rheologischer Dämpfer
JP2004097388A (ja) * 2002-09-06 2004-04-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4278783A (ja) * 2003-02-28 2004-10-07 Tokico Ltd 電磁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6883649B2 (en) * 2003-03-21 2005-04-26 Delphi Technologies, Inc. Closing system for a magneto-rheological damper
DE602005025321D1 (de) 2004-03-25 2011-01-27 Lord Corp Ein-aus-dämpfersystem, insbesondere für waschmaschine
JP2007115835A (ja) * 2005-10-19 2007-05-10 Denso Corp 樹脂モールド部品
CA2637511C (en) * 2006-02-09 2012-05-22 Central Research Institute Of Electric Power Industry Fluid damper
KR20080005743A (ko) * 2006-07-10 2008-01-15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유압실린더 내부 방청장치
JP2008208885A (ja) 2007-02-26 2008-09-11 Univ Kanagawa 粘性可変流体緩衝器
JP4857197B2 (ja) * 2007-06-04 2012-01-1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4674601B2 (ja) 2007-10-18 2011-04-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5127740B2 (ja) 2009-02-13 2013-01-23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CN101709761B (zh) 2009-12-23 2011-07-06 重庆仪表材料研究所 一种单出杆磁流变阻尼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82A (ja) * 1994-07-04 1996-01-2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振動絶縁装置
JP2006029585A (ja) * 2004-07-13 2006-02-02 Lg Electronics Inc 振動減衰のためのダンパー及びこれを有する洗濯機
JP2006057766A (ja) * 2004-08-20 2006-03-02 Showa Corp Mr流体ダンパ
JP2006230591A (ja) * 2005-02-23 2006-09-07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825A (ko) 2012-09-05
TW201200675A (en) 2012-01-01
EP2540898A4 (en) 2013-07-31
WO2011104977A1 (ja) 2011-09-01
CN102770594B (zh) 2015-03-25
EP2540898B1 (en) 2015-08-05
TWI444517B (zh) 2014-07-11
US20130042654A1 (en) 2013-02-21
CN102770594A (zh) 2012-11-07
EP2540898A1 (en) 2013-01-02
US8757335B2 (en)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7740B2 (ja) 洗濯機
KR101412935B1 (ko) 댐퍼, 세탁기 및 세탁건조기
KR101411148B1 (ko) 댐퍼,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KR101348432B1 (ko) 세탁기
JP6042138B2 (ja) 洗濯機用のダンパ
JP5854587B2 (ja) 洗濯機
JP5127909B2 (ja) サスペンション及び洗濯機
JP5330345B2 (ja) 洗濯機
KR101302247B1 (ko) 세탁기
JP5349424B2 (ja) 洗濯機
JP6223655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489102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931356B2 (ja) 洗濯機
KR101238127B1 (ko) 세탁기
JP5127894B2 (ja) 洗濯機用のダンパ
JP2012217756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3102803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