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866B1 -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6866B1 KR101406866B1 KR1020120125451A KR20120125451A KR101406866B1 KR 101406866 B1 KR101406866 B1 KR 101406866B1 KR 1020120125451 A KR1020120125451 A KR 1020120125451A KR 20120125451 A KR20120125451 A KR 20120125451A KR 101406866 B1 KR101406866 B1 KR 1014068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il
- soil particles
- stage
- pickling
- w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0—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수 분사에 의해 토양을 파쇄하는 습식 파쇄단계(100); 파쇄된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선별하는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에 의해 선별된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벨트식 자력 선별기(30)에 의해 자력 선별을 하는 1단계 자력 선별단계(310);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에 의해 분리된 입경 4.75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2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선별하는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에 의해 선별된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40)에 의해 자력 선별하는 2단계 자력 선별단계(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자력 폐기물이 혼재된 유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양의 정화가 가능하고, 연속적인 다단계 처리 시스템을 통해 정화 효율이 높으며, 경제성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목, 환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은 크게 대기오염, 수질오염 및 토양오염으로 구분되며, 특히 토양오염은 식량 생산에 매우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하수 오염으로 인한 식수원의 오염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오염된 토양은 빠른 시간내에 정화되어야 한다.
현재, 상당량의 유류 및 각종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및 광산에서 유출되는 광미에 함유된 중금속 등에 의해 토양이 오염되는 바, 오염된 토양의 복원을 위하여 각종 방법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토양 세척, 소각, 고형화, 안정화 및 용매 추출 등과 같은 물리, 화학적 방법과 토양 경작, 콤포스팅(composting), 바이오벤팅(bioventing), 식물 복원 등과 같은 생물학적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는 바, 상기와 같은 여러 방법들 중 비교적 쉬우며, 처리 시간이 짧기 때문에 오염된 토양을 신속히 복원할 수 있는 것은 토양 세척이다.
토양 세척이란 적절한 세척제를 사용하여 토양 입자에 결합된 유해한 유기오염 물질의 표면 장력을 약화시키거나 중금속을 액상으로 변화시켜 토양 입자로부터 분리시켜 처리하는 기법으로서 광범위한 유기 및 무기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종래의 토양 세척 방법은 주로 산세척에 의한 화학적 처리법에 집중되어 왔다.
그런데 입자상으로 존재하는 중금속은 이러한 산세척으로 제거하기에 한계가 있다.
또한, 광산 활동에 의한 중금속 오염토에 대한 정화기술은 물리적 선별법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물리적 선별법 만으로는 화학적 결합이 강한 오염토 및 고농도 오염토에 대해서는 법적 정화목표 달성에 한계가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토양 세척 방법만으로는 유류 및 중금속 등에 의해 오염된 토양의 정화가 가능할지라도, 자력 폐기물이 혼재된 오염 토양의 정화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부유 선별 등 고도 선별 처리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처리속도의 한계로 인하여 장시간, 고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할 때, 오염 토양의 정화 연구 및 기술개발은 시급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자력 폐기물이 혼재된 유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양의 정화가 가능하고, 연속적인 다단계 처리 시스템을 통해 정화 효율이 높으며, 경제성을 극대화한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고압수 분사에 의해 토양을 파쇄하는 습식 파쇄단계(100); 상기 파쇄된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선별하는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 상기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에 의해 선별된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벨트식 자력 선별기(30)에 의해 자력 선별을 하는 1단계 자력 선별단계(310); 상기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에 의해 분리된 입경 4.75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2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선별하는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 상기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에 의해 선별된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40)에 의해 자력 선별하는 2단계 자력 선별단계(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2단계 자력 선별단계(320) 이후, 상기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에 의해 분리된 입경 2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50)에 의해, 자력 선별하는 3단계 자력 선별단계(330); 상기 3단계 자력 선별단계(330)에 의해 자력 선별된 상기 입경 2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0.15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선별하는 3단계 습식 선별단계(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 이전에, 상기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에 의해 분리된 상기 입경 4.75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하이드로 사이클론을 통해 미세토를 분리하는 미세토 분리단계(7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단계 자력 선별단계(330) 이전에, 상기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에 의해 분리된 입경 2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하이드로 사이클론을 통해 미세토를 분리하는 미세토 분리단계(7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토 분리단계(700) 이후, 상기 미세토 분리단계(700)에 의해 분리된 미세토를 수처리 하는 수처리 단계(4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단계 자력 선별단계(320)에 의해 선별된 상기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산세척을 하는 산세척 단계(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세척 단계(600)는 세척액이 담긴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조(61)에 상기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를 투입하여 세척한 후, 배출하는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11); 상기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11)에 의해 배출된 토양 입자를 세척액이 담긴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조(62)에 투입하여 세척한 후, 배출하는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612); 상기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612)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탈수하는 탈수단계(6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11) 이후, 상기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11)에 의해 배출된 토양 입자 중, 하이드로 사이클론을 통해 분리된 미세토를 오버플로우에 의해 pH 조정조(81)로 배출하는 미세토 분리단계(7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단계 습식 선별단계(230)에 의해 선별된 상기 입경 0.15mm 내지 2mm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산세척을 하는 산세척 단계(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세척단계는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조(71)에 상기 0.15mm 내지 2mm의 토양 입자를 투입하여 세척한 후, 배출하는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21); 상기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21)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조(72)에 투입하여 세척한 후, 배출하는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622); 상기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622)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조(73)에 투입하여 세척한 후, 배출하는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 단계(623); 상기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 단계(623)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탈수하는 탈수단계(6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21) 내지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 단계(623)에 의해 각각 배출된 토양 입자 중, 하이드로 사이클론을 통해 분리된 미세토를 오버플로우에 의해 pH 조정조(81)로 배출하는 미세토 분리단계(7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세척 단계(600)는 상기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 단계(623) 이후, 추가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세척 단계(600)는 세척수와 함께 상기 탈수단계(630)에 의해 배출된 상기 토양 입자 및 미세토를 상기 pH 조정조(81)에 투입하여 중화에 의해 중금속이 침전되도록 하는 중화단계(810); 상기 중화 단계에 의해 중화된 상기 세척수, 상기 토양 입자 및 상기 미세토에 응집제를 투입 교반하는 응집 단계(820); 상기 응집 단계(820)에 의해 응집제가 투입된 상기 세척수, 상기 토양 입자 및 상기 미세토를 침전시켜 슬러지를 형성하여 분리하는 침전단계(830); 상기 침전단계(830)에 의해 응집된 상기 슬러지를 농축시킨 후, 탈수하는 탈수단계(840); 상기 탈수단계(840)에 의해 최종 탈수된 슬러지는 폐기물 처리하며, 상기 탈수단계(840)에 의해 걸러진 여액을 가압부상조(85)에 투입하여 미세토를 부상 분리하는 가압 부상 단계(8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을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으로서, 습식 파쇄기(15)에 토양 입자를 투입하는 투입호퍼(10); 상기 투입호퍼(10)에 의해 투입된 토양을 습식 파쇄하는 상기 습식 파쇄기(15); 상기 습식 파쇄된 토양 입자 중,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입자를 습식 선별하는 1단계 습식 스크린(21); 상기 1단계 습식 스크린(21)에 의해 선별된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자력 선별하는 벨트식 자력 선별기(30); 상기 1단계 습식 스크린에 의해 분리된 입경 4.75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2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습식 선별하는 2단계 습식 스크린(22); 상기 2단계 습식 스크린(22)에 의해 선별된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자력 선별하는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40); 상기 2단계 습식 스크린(22)에 의해 분리된 입경 2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자력 선별하는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50); 상기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50)에 의해 자력 선별된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0.15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선별하는 3단계 습식 스크린(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을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을 함께 제시한다.
상기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40)는 상기 벨트식 자력 선별기(30)보다 자력의 크기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50)는 상기 입경 2mm 미만의 토양 입자가 투입되어 회전하며 자력 선별되도록 상,하부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드럼(51); 상기 복수의 드럼(51) 중, 상부에 위치한 상기 드럼(51a)에 토양 입자가 투입되도록, 상기 드럼(51a)의 상부에 형성된 토양 입자 투입호퍼(52); 상기 드럼(51)의 내부에 토양 교반을 위한 복수개의 교반날이 부착된 회전축(53);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드럼(51)의 전방 상부 중앙을 따라 형성된 고압 분사 노즐(54); 상기 드럼(51)에서 자력 선별된 토양 입자가 배출되도록 상기 드럼(51)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토양 입자 배출구(55); 상기 드럼(51)에서 선별된 자성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드럼(51)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자성물 배출구(5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을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으로서, 상기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를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조(61)에 투입하는 투입 호퍼(10); 상기 투입 호퍼(10)에 의해 투입된 토양 입자를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하여 배출하도록 세척액이 담긴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조(61); 상기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조(61)에 의해 배출된 토양 입자를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하여 배출하도록 세척액이 담긴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조(62); 상기 입경 0.15mm 내지 2mm의 토양 입자를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하여 배출하도록,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조(71); 상기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조(71)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하여 배출하도록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조(72); 상기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조(72)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하여 배출하도록,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조(73); 상기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조(62) 및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조(73)에 의해 배출된 토양 입자를 탈수하는 탈수 스크린(63); 상기 세척수와 함께 상기 탈수 스크린(63)에서 탈수되어 배출된 상기 토양 입자 및 미세토를 중화시켜 중금속이 침전되도록 하는 pH 조정조(81); 상기 pH 조정조(81)에서 중화된 상기 세척수, 상기 토양 입자 및 상기 미세토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응집조(82); 상기 응집조(82)에서 응집된 상기 세척수, 상기 토양 입자 및 상기 미세토를 침전시켜 슬러지를 형성하는 침전조(83); 상기 침전조(83)에서 응집된 상기 슬러지를 농축시킨 후, 탈수하는 탈수기(84); 상기 탈수기(84)에서 걸러진 여액 중, 미세토를 부상 분리하는 가압부상조(8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자력 폐기물이 혼재된 유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양의 정화가 가능하고, 연속적인 다단계 처리 시스템을 통해 정화 효율이 높으며, 경제성을 극대화한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제 1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제 2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개요도.
도 4는 제 3실시예의 구성도.
도 5는 제 4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도 4 내지 5의 개요도.
도 7은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의 측면도.
도 8은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의 구조도.
도 9는 도 8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벨트식 자력 선별기의 단면도.
도 1은 제 1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제 2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개요도.
도 4는 제 3실시예의 구성도.
도 5는 제 4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도 4 내지 5의 개요도.
도 7은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의 측면도.
도 8은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의 구조도.
도 9는 도 8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벨트식 자력 선별기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은 고압수 분사에 의해 토양을 파쇄하는 습식 파쇄단계(100); 파쇄된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선별하는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에 의해 선별된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벨트식 자력 선별기(30)에 의해 자력 선별을 하는 1단계 자력 선별단계(310);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에 의해 분리된 입경 4.75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2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선별하는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에 의해 선별된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40)에 의해 자력 선별하는 2단계 자력 선별단계(320);로 구성된다(도 1,3).
즉, 본 발명은 토양 입자를 습식 선별단계를 통해 입경별로 분리한 후에, 각각의 입경별 토양 입자에 적합한 자력 선별기를 이용하여 자력 선별하는 단계로 구성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종래의 기술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오염 토양의 세척방법으로는 정화할 수 없는 자력 폐기물이 혼재된 오염 토양의 정화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은 다단계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입경별 분리 단계(200) 및 자력 선별단계(300)의 조합을 통해, 자력 폐기물이 혼재된 유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 토양의 정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자력 선별단계를 거친 토양 입자들은 산세척을 하게 되는데, 이미 물리적 선별단계를 거친 토양 입자이기 때문에, 오염 토양의 오염 농도가 충분히 감소된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 토양의 산세척 시, 산세척 부하량이 감소됨으로써 경제성을 화보하고, 산세척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위와 같이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 내지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에 의해 토양 입자는 입경 4.75mm 이상 및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로 분리되어 각각의 입경에 적합한 자력 선별단계(310,320)를 거치게 된다.
이는, 토양 입자의 자력 선별 효과를 높일 뿐 아니라, 자력 선별 단계 후 산세척 단계(600) 시, 입경별 정밀 세척에 의한 정화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 내지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에 의해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 입자와,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로 입자별 분리를 한다.
그리고, 상기 입자별로 나누어진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자력 선별을 한다.
여기서,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벨트식 자력 선별기(30)를 사용하며,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40)를 사용하여 각각 1단계 자력 선별단계(310) 및 2단계 자력 선별단계(320)를 거친다.
벨트식 자력 선별기(30)는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토양 입자로부터 자력 폐기물을 선별하며, 비교적 입자가 크고, 입도 및 두께가 고르지 않은 토양 입자를 대상으로 할 때 유용하다는 특징이 있다(도 10).
반면,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40)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토양 입자로부터 자력 폐기물을 선별하며, 자력의 크기가 크므로 비교적 강한 자력으로 선별 가능한 자성물을 대상으로 할 때 효과적이다(도 7).
여기서, 1단계 자력 선별단계(310)에 의해 자력 폐기물이 제거된 토양 입자는 정화토로 재활용하여 부지 내 되메움(500)을 한다.
2단계 자력 선별단계(320)에 의해 자력 폐기물이 제거된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는 산세척 단계(600)에 의해 산세척 한다.
또한,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 이전에,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에 의해 분리된 입경 4.75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하이드로 사이클론을 통해 미세토를 분리하는 미세토 분리단계(700);를 거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미세토는 자력 선별 효율이 매우 낮으므로, 따로 분리하여 수처리 단계(400)를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오염 토양 입자는 입경 2mm 미만의 자력 폐기물 및 미세토가 제거되어야 완전한 세척된 정화토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입경 2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습식드럼 자력 선별기(50)에 의해, 3단계 자력 선별(330)을 한다.
그리고, 3단계 자력 선별단계(330)에 의해 자력 선별된 입경 2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0.15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선별하는 3단계 습식 선별단계(230);를 거친다(도 2,3).
이 방법은 위에서 제시한 방법과는 달리, 3단계 자력 선별단계(330)를 먼저 거친 후에, 3단계 습식 선별단계(230)를 거치게 된다.
이는, 입경 0.15mm 미만의 미세분은 자력 선별 효율이 매우 낮은 것에 기인하여, 물리적 선별단계의 효율을 높이고자 이와 같은 순서로 실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비교적 가장 미세한 토양 입자에 혼재된 자력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선별하는 장치인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50)를 사용하여 자력 선별을 한다(도 8,9).
마찬가지로, 3단계 자력 선별단계(330) 이전에,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에 의해 분리된 입경 2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하이드로 사이클론을 통해 미세토를 분리하는 미세토 분리단계(700);를 거치는 것이 효과적이다.
미세토 분리단계(700)에 의해 분리된 미세토를 수처리 하는 수처리 단계(400)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미세토를 침전조에 투입하여 응집제에 의해 응집시켜 슬러지를 형성한다.
이 슬러지를 농축한 후, 탈수하여 최종 탈수된 탈수케익은 폐기물 처리하고, 나머지 여액은 가압부상조에 투입하여 미세토를 부상분리한다.
그리고 공정수 저장조로서 재활용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단계 자력 선별단계(320)에 의해 선별된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 및 3단계 습식 선별단계(230)에 의해 선별된 입경 0.15mm 내지 2mm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산세척(600)을 한다(도 4,5,6).
본 발명은 상기 산세척 단계(600)에서, 토양 입자를 입경 별로 나누어 실시하는 방법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즉, 각각의 입경 별로 적합한 산세척을 실시하여, 세척 효율을 높이는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토양 입자가 산세척 단계(600) 이전에, 미리 물리적 선별단계(100,200,300)를 거침으로써, 대상 토양 입자의 농도를 감소시켜 산세척 부하량을 감소시켜 효과를 높이고,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산세척 단계(600)에서 사용된 공정수를 100%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2차 오염 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먼저, 2단계 자력 선별단계(320)에 의해 선별된 상기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산세척을 하는 산세척 단계(6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를 세척액이 담긴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조(61)에 투입하여 세척한 후, 배출하는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11)를 실시한다.
그리고,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11)에 의해 배출된 토양 입자를 세척액이 담긴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조(62)에 투입하여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612)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세척 단계가 2단계에 걸쳐 반복되어 실시됨으로써, 세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612)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물과 석회수로 이루어진 중화용수가 분사되는 탈수 스크린에 의해 탈수한다(630).
이 탈수단계(630)에 의해 탈수된 토양 입자는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 배출하여 처리토로 재활용한다.
여기서,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11) 이후,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11)에 의해 배출된 토양 입자 중, 하이드로 사이클론을 통해 분리된 미세토를 분리(700)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미세토 분리단계(700)에 의해 분리된 미세토는 오버플로우에 의해 pH 조정조(81)로 배출한다.
다음으로, 3단계 습식 선별단계(230)에 의해 선별된 입경 0.15mm 내지 2mm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산세척을 하는 산세척 단계(600)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조(71)에 입경 0.15mm 내지 2mm의 토양 입자를 투입하여 세척한 후, 배출하는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21)를 실시한다.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21)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조(72)에 투입하여 세척한 후, 배출하는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622)를 실시한다.
그리고,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622)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조(73)에 투입하여 세척한 후, 배출하는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 단계(623)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입경이 작고, 단면적이 큰 소입자의 산세척 단계(620)는 대입자 산세척 단계(610)에 비하여, 더 많은 횟수로 산세척 함으로써, 정밀한 세척 효과를 확보한다.
또한, 세척 결과 및 토양 입자의 특성 또는 작업 여건에 따라,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 단계(623) 이후, 상기 소입자 산세척 단계(620)를 추가로 더 실시하여 세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 단계(623)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탈수하는 탈수단계(630)를 거쳐 처리토로 재활용한다.
여기서,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21) 내지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 단계(623)에 의해 각각 배출된 토양 입자 중, 하이드로 사이클론을 통해 분리된 미세토를 분리하는 미세토 분리단계(700)를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미세토 분리단계(700)에 의해 분리된 미세토는 오버플로우에 의해 pH 조정조(81)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 및 입경 0.15mm 내지 2mm의 토양 입자는 각각 탈수단계(630)를 거친 후, 세척수 및 미세토 분리단계(700)를 통해 분리된 미세토와 함께 pH 조정조(81)에 투입하여 중화에 의해 중금속이 침전되도록 하는 중화단계(810)를 거친다.
pH 조정조(81)에는 강염기 저장탱크로부터 강염기 성분이 투입되어 토양 입자, 세척수 및 미세토를 중화시킨다.
여기서, 강염기 성분은 NaOH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중화 단계(810)에 의해 중화된 세척수, 토양 입자 및 미세토에 응집제를 투입 교반하여 응집 시킨다(820).
이 응집 단계(820)에 의해 응집제가 투입된 세척수, 토양 입자 및 미세토를 침전시켜 슬러지를 형성한다(830).
이 슬러지를 형성하는 침전단계(830)에 의해 응집된 슬러지를 농축시킨 후, 탈수한다(840).
탈수단계(840)에 의해 최종 탈수된 슬러지 즉, 탈수케익은 폐기물 처리하며, 탈수단계(840)에 의해 걸리진 여액을 가압부상조(85)에 투입하여 미세토를 부상분리한다(850).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을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토양 입자를 투입호퍼(10)에 의해 투입된 토양 입자를 습식 파쇄기(15)를 이용해 습식 파쇄한다.
그리고 습식 파쇄된 토양 입자 중,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입자를 습식 선별하는 1단계 습식 스크린(21) 및 1단계 습식 스크린(21)에 의해 선별된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자력 선별하는 벨트식 자력 선별기(30)를 사용 한다.
1단계 습식 스크린에 의해 분리된 입경 4.75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2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습식 선별하는 2단계 습식 스크린(22)와 2단계 습식 스크린(22)에 의해 선별된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자력 선별하는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40) 및 2단계 습식 스크린(22)에 의해 분리된 입경 2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자력 선별하는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50)를 사용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40)는 벨트식 자력 선별기(30)보다 자력의 크기가 더 큰 것이 특징이다(도 7,8,9).
따라서, 자성물에 요구되는 자력의 크기에 적합하게 자력 선별기를 적용하여, 각 토양 입자의 입경별로 효과적인 자력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50)에 의해 자력 선별된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0.15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선별하는 3단계 습식 스크린(23)을 사용한다.
여기서,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50)는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경 2mm 미만의 토양 입자가 투입되어 회전하며 자력 선별되도록 드럼(51)이 상,하부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구조이다.
복수의 드럼(51) 중, 상부에 위치한 드럼(51a)에 토양 입자가 투입되도록, 드럼(51a)의 상부에는 토양 입자 투입호퍼(52)가 설치되고, 드럼(51)의 내부에 토양 교반을 위한 복수개의 교반날이 회전축(53)이 부착된다.
드럼(51)의 전방 상부 중앙을 따라 고압 분사 노즐(54)이 설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한다.
드럼(51)에서 자력 선별된 토양 입자가 배출되도록 드럼(51)의 후방 하부에는 토양 입자 배출구(55)가 형성되고, 자성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드럼(51)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자성물 배출구(56)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물리적 선별단계를 마친 토양 입자에 대하여 산세척 단계(600)를 실시하기 위한, 세척 시스템을 설명한다(도 6).
먼저, 투입 호퍼(10)에 의해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를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조(61)에 투입한다.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조(61)는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를 굵은모래 1단계 산세척하여 배출하도록 세척액이 담긴 산세척조이다.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조(61)에 의해 배출된 토양 입자를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하여 배출하도록, 세척액이 담긴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조(62)에 투입한다.
또한, 입경 0.15mm 내지 2mm의 토양 입자를 투입 호퍼(10)에 의해,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조(71)에 투입한다.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조(71)는 입경 0.15mm 내지 2mm의 토양 입자를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하여 배출하도록 세척액이 담긴 산세척조이다.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조(71)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하여 배출하도록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조(72)에 투입한다.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조(72)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하여 배출하도록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조(73)에 투입한다.
이와 같이, 각각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조(62) 및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조(73)에 의해 배출된 토양 입자를, 탈수 스크린(63)에 의해 탈수시킨다.
세척수와 함께 탈수 스크린(63)에서 탈수되어 배출된 토양 입자와 미세토를 중화시켜 중금속이 침전되도록 pH 조정조(81)에 투입한다.
pH 조정조(81)에서 중화된 세척수, 토양 입자 및 미세토를 응집조(82)에 투입하여 응집제와 교반한다.
응집조(82)에서 응집된 세척수, 토양 입자 및 미세토를 침전조(83)에서 침전시켜 슬러지를 형성한다.
침전조(83)에서 응집된 슬러지를 농축시킨 후, 탈수하기 위해 탈수기(84)에 투입한다.
이 탈수기(84)를 통해 최종 탈수된 슬러지는 폐기물 처리하며, 탈수기(84)를 통해 걸러진 여액은 미세토를 분리하기 위해 가압부상조(85)에 투입하여 부상 분리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투입호퍼 15 : 습식 파쇄기
21 : 1단계 습식 스크린 22 : 2단계 습식 스크린
23 : 3단계 습식 스크린 30 : 벨트식 자력 선별기
40 :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 50 :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
51 : 드럼 52 : 토양 입자 투입호퍼
53 : 회전축 54 : 고압 분사 노즐
55 : 토양 입자 배출구 56 : 자성물 배출구
61 :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조 62 :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조
63 : 탈수 스크린 71 :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조
72 :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조 73 :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조
81 : pH 조정조 82 : 응집조
83 : 침전조 84 : 탈수기
85 : 가압부상조 100 : 습식 파쇄단계
210 : 1단계 습식 선별단계 220 : 2단계 습식 선별단계
230 : 3단계 습식 선별단계 310 : 1단계 자력 선별단계
320 : 2단계 자력 선별단계 330 : 3단계 자력 선별단계
400 : 수처리 단계 600 : 산세척 단계
611 :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 612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
621 :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 622 :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
623 :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 단계 630 : 탈수단계
700 : 미세토 분리단계 810 : 중화단계
820 : 응집 단계 830 : 침전단계
840 : 탈수단계 850 : 가압 부상 단계
21 : 1단계 습식 스크린 22 : 2단계 습식 스크린
23 : 3단계 습식 스크린 30 : 벨트식 자력 선별기
40 :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 50 :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
51 : 드럼 52 : 토양 입자 투입호퍼
53 : 회전축 54 : 고압 분사 노즐
55 : 토양 입자 배출구 56 : 자성물 배출구
61 :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조 62 :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조
63 : 탈수 스크린 71 :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조
72 :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조 73 :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조
81 : pH 조정조 82 : 응집조
83 : 침전조 84 : 탈수기
85 : 가압부상조 100 : 습식 파쇄단계
210 : 1단계 습식 선별단계 220 : 2단계 습식 선별단계
230 : 3단계 습식 선별단계 310 : 1단계 자력 선별단계
320 : 2단계 자력 선별단계 330 : 3단계 자력 선별단계
400 : 수처리 단계 600 : 산세척 단계
611 :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 612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
621 :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 622 :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
623 :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 단계 630 : 탈수단계
700 : 미세토 분리단계 810 : 중화단계
820 : 응집 단계 830 : 침전단계
840 : 탈수단계 850 : 가압 부상 단계
Claims (15)
- 고압수 분사에 의해 토양을 파쇄하는 습식 파쇄단계(100);
상기 파쇄된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선별하는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
상기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에 의해 선별된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벨트식 자력 선별기(30)에 의해 자력 선별을 하는 1단계 자력 선별단계(310);
상기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에 의해 분리된 입경 4.75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2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선별하는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
상기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에 의해 선별된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40)에 의해 자력 선별하는 2단계 자력 선별단계(320);
상기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에 의해 분리된 입경 2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50)에 의해, 자력 선별하는 3단계 자력 선별단계(330);
상기 3단계 자력 선별단계(330)에 의해 자력 선별된 상기 입경 2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0.15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선별하는 3단계 습식 선별단계(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 이전에,
상기 1단계 습식 선별단계(210)에 의해 분리된 상기 입경 4.75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하이드로 사이클론을 통해 미세토를 분리하는 미세토 분리단계(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 자력 선별단계(330) 이전에,
상기 2단계 습식 선별단계(220)에 의해 분리된 입경 2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하이드로 사이클론을 통해 미세토를 분리하는 미세토 분리단계(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토 분리단계(700) 이후,
상기 미세토 분리단계(700)에 의해 분리된 미세토를 수처리 하는 수처리 단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 자력 선별단계(320)에 의해 선별된 상기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산세척을 하는 산세척 단계(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세척 단계(600)는
세척액이 담긴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조(61)에 상기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를 투입하여 세척한 후, 배출하는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11);
상기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11)에 의해 배출된 토양 입자를 세척액이 담긴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조(62)에 투입하여 세척한 후, 배출하는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612);
상기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612)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탈수하는 탈수단계(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11) 이후,
상기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11)에 의해 배출된 토양 입자 중, 하이드로 사이클론을 통해 분리된 미세토를 오버플로우에 의해 pH 조정조(81)로 배출하는 미세토 분리단계(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 습식 선별단계(230)에 의해 선별된 상기 입경 0.15mm 내지 2mm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산세척을 하는 산세척 단계(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세척단계는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조(71)에 상기 0.15mm 내지 2mm의 토양 입자를 투입하여 세척한 후, 배출하는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21);
상기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21)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조(72)에 투입하여 세척한 후, 배출하는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622);
상기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 단계(622)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조(73)에 투입하여 세척한 후, 배출하는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 단계(623);
상기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 단계(623)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탈수하는 탈수단계(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 단계(621) 내지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 단계(623)에 의해 각각 배출된 토양 입자 중, 하이드로 사이클론을 통해 분리된 미세토를 오버플로우에 의해 pH 조정조(81)로 배출하는 미세토 분리단계(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산세척 단계(600)는
상기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 단계(623) 이후, 추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 제 7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산세척 단계(600)는
세척수와 함께 상기 탈수단계(630)에 의해 배출된 상기 토양 입자 및 미세토를 상기 pH 조정조(81)에 투입하여 중화에 의해 중금속이 침전되도록 하는 중화단계(810);
상기 중화 단계에 의해 중화된 상기 세척수, 상기 토양 입자 및 상기 미세토에 응집제를 투입 교반하는 응집 단계(820);
상기 응집 단계(820)에 의해 응집제가 투입된 상기 세척수, 상기 토양 입자 및 상기 미세토를 침전시켜 슬러지를 형성하여 분리하는 침전단계(830);
상기 침전단계(830)에 의해 응집된 상기 슬러지를 농축시킨 후, 탈수하는 탈수단계(840);
상기 탈수단계(840)에 의해 최종 탈수된 슬러지는 폐기물 처리하며, 상기 탈수단계(840)에 의해 걸러진 여액을 가압부상조(85)에 투입하여 미세토를 부상 분리하는 가압 부상 단계(8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 제 1항의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을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으로서,
습식 파쇄기(15)에 토양 입자를 투입하는 투입호퍼(10);
상기 투입호퍼(10)에 의해 투입된 토양을 습식 파쇄하는 상기 습식 파쇄기(15);
상기 습식 파쇄된 토양 입자 중,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입자를 습식 선별하는 1단계 습식 스크린(21);
상기 1단계 습식 스크린(21)에 의해 선별된 입경 4.75mm 이상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자력 선별하는 벨트식 자력 선별기(30);
상기 1단계 습식 스크린에 의해 분리된 입경 4.75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2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습식 선별하는 2단계 습식 스크린(22);
상기 2단계 습식 스크린(22)에 의해 선별된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자력 선별하는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40);
상기 2단계 습식 스크린(22)에 의해 분리된 입경 2mm 미만의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자력 선별하는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50);
상기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50)에 의해 자력 선별된 토양 입자에 대하여, 입경 0.15mm 이상의 토양 입자를 선별하는 3단계 습식 스크린(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을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디드 자력 선별기(40)는
상기 벨트식 자력 선별기(30)보다 자력의 크기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을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드럼 자력 선별기(50)는
상기 입경 2mm 미만의 토양 입자가 투입되어 회전하며 자력 선별되도록 상,하부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드럼(51);
상기 복수의 드럼(51) 중, 상부에 위치한 상부 드럼(51a)에 토양 입자가 투입되도록, 상기 상부 드럼(51a)의 상부에 형성된 토양 입자 투입호퍼(52);
상기 드럼(51)의 내부에 토양 교반을 위한 복수개의 교반날이 부착된 회전축(53);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드럼(51)의 전방 상부 중앙을 따라 형성된 고압 분사 노즐(54);
상기 드럼(51)에서 자력 선별된 토양 입자가 배출되도록 상기 드럼(51)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토양 입자 배출구(55);
상기 드럼(51)에서 선별된 자성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드럼(51)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자성물 배출구(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을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 - 제 11항의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을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으로서,
상기 입경 2mm 내지 4.75mm의 토양 입자를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조(61)에 투입하는 투입 호퍼(10);
상기 투입 호퍼(10)에 의해 투입된 토양 입자를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하여 배출하도록 세척액이 담긴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조(61);
상기 굵은 모래 1단계 산세척조(61)에 의해 배출된 토양 입자를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하여 배출하도록 세척액이 담긴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조(62);
상기 입경 0.15mm 내지 2mm의 토양 입자를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하여 배출하도록,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조(71);
상기 가는 모래 1단계 산세척조(71)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하여 배출하도록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조(72);
상기 가는 모래 2단계 산세척조(72)에서 배출된 토양 입자를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하여 배출하도록, 세척액이 담긴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조(73);
상기 굵은 모래 2단계 산세척조(62) 및 가는 모래 3단계 산세척조(73)에 의해 배출된 토양 입자를 탈수하는 탈수 스크린(63);
상기 세척수와 함께 상기 탈수 스크린(63)에서 탈수되어 배출된 상기 토양 입자 및 미세토를 중화시켜 중금속이 침전되도록 하는 pH 조정조(81);
상기 pH 조정조(81)에서 중화된 상기 세척수, 상기 토양 입자 및 상기 미세토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응집조(82);
상기 응집조(82)에서 응집된 상기 세척수, 상기 토양 입자 및 상기 미세토를 침전시켜 슬러지를 형성하는 침전조(83);
상기 침전조(83)에서 응집된 상기 슬러지를 농축시킨 후, 탈수하는 탈수기(84);
상기 탈수기(84)에서 걸러진 여액 중, 미세토를 부상 분리하는 가압부상조(8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을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5451A KR101406866B1 (ko) | 2012-11-07 | 2012-11-07 |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5451A KR101406866B1 (ko) | 2012-11-07 | 2012-11-07 |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8952A KR20140058952A (ko) | 2014-05-15 |
KR101406866B1 true KR101406866B1 (ko) | 2014-06-13 |
Family
ID=5088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5451A KR101406866B1 (ko) | 2012-11-07 | 2012-11-07 |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686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7106B1 (ko) * | 2018-09-10 | 2019-04-09 | (주)에스지알테크 | 입도별 순차반응을 이용한 불소 오염토양 정화방법 및 정화시스템 |
KR102315734B1 (ko) | 2021-02-23 | 2021-10-21 | (주)한국환경복원기술 | 순환모듈을 구비하는 오염토양 정화용 침전조 장치 |
KR102372410B1 (ko) | 2021-02-04 | 2022-03-08 | (주)한국환경복원기술 | 오염토양 정화용 침전조 장치 |
KR102372411B1 (ko) | 2021-02-04 | 2022-03-08 | (주)한국환경복원기술 | 분사모듈을 구비하는 오염토양 정화용 침전조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9236B1 (ko) * | 2014-09-11 | 2016-06-13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용 자성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방법 |
KR101717269B1 (ko) | 2016-01-07 | 2017-03-17 |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 토양경작과 토양세척을 통한 굴착오염토 정화방법 |
KR102111034B1 (ko) * | 2018-04-25 | 2020-05-15 | (주)에스지알테크 | 준설토 처리 장치 |
CN108672480B (zh) * | 2018-08-21 | 2019-06-21 | 江苏和而同环境建设有限公司 | 一种土壤修复装置及其修复方法 |
KR102263085B1 (ko) * | 2020-07-06 | 2021-06-10 | 주식회사 아이케이 | 복합 오염토양의 중금속과 유류 제거 및 세척수 재이용방법 |
CN111790743B (zh) * | 2020-07-31 | 2024-07-30 | 宝航环境修复有限公司 | 一种用于污染土壤精细化深度修复的异位高效撬装淋洗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6993B1 (ko) | 2005-05-16 | 2005-11-08 | 주식회사 에코솔루션 | 유류 및 중금속 오염 토양의 세척방법 |
WO2012008032A1 (ja) | 2010-07-15 | 2012-01-19 | Dowaエコシステム株式会社 | 土壌の浄化方法 |
KR20120010459A (ko) * | 2010-07-26 | 2012-02-03 |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 제련 과정에서 비산에 의한 비소 함유 중금속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방법 |
KR20120058112A (ko) * | 2010-11-29 | 2012-06-07 |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 토양의 탄화수소오염 제거방법 |
-
2012
- 2012-11-07 KR KR1020120125451A patent/KR10140686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6993B1 (ko) | 2005-05-16 | 2005-11-08 | 주식회사 에코솔루션 | 유류 및 중금속 오염 토양의 세척방법 |
WO2012008032A1 (ja) | 2010-07-15 | 2012-01-19 | Dowaエコシステム株式会社 | 土壌の浄化方法 |
KR20120010459A (ko) * | 2010-07-26 | 2012-02-03 |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 제련 과정에서 비산에 의한 비소 함유 중금속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방법 |
KR20120058112A (ko) * | 2010-11-29 | 2012-06-07 |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 토양의 탄화수소오염 제거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7106B1 (ko) * | 2018-09-10 | 2019-04-09 | (주)에스지알테크 | 입도별 순차반응을 이용한 불소 오염토양 정화방법 및 정화시스템 |
KR102372410B1 (ko) | 2021-02-04 | 2022-03-08 | (주)한국환경복원기술 | 오염토양 정화용 침전조 장치 |
KR102372411B1 (ko) | 2021-02-04 | 2022-03-08 | (주)한국환경복원기술 | 분사모듈을 구비하는 오염토양 정화용 침전조 장치 |
KR102315734B1 (ko) | 2021-02-23 | 2021-10-21 | (주)한국환경복원기술 | 순환모듈을 구비하는 오염토양 정화용 침전조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8952A (ko) | 2014-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6866B1 (ko) |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 | |
JP4823387B1 (ja) | 鉱物性混合物から砂製品を生成する材料再生システム | |
KR101375482B1 (ko) | 단계별 연속식 고도선별과 오염부하별 차등식 중금속 제거공정을 결합한 고농도 오염토양 정화시스템 및 정화방법 | |
JP5172026B1 (ja) | 鉄類粒子及び重金属類を含有する水性泥状物の処理システム | |
US8905242B2 (en) | Ash processing and metals recovery systems and methods | |
KR100988942B1 (ko) |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 |
CN104475441A (zh) | 一种基于减量浓缩设计理念的土壤淋洗修复系统及其方法 | |
KR101396416B1 (ko) | 열 변형 파쇄를 이용한 복합오염 토양의 유류와 중금속 동시 탈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방법 | |
US20120298562A1 (en) | Ash processing and metals recovery systems and methods | |
KR101782615B1 (ko) | 복합 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방법 | |
US4772400A (en) | Method and facility for removing sludge from water | |
CN204396456U (zh) | 一种基于减量浓缩设计理念的土壤淋洗修复系统 | |
WO2013019618A2 (en) | Ore beneficiation | |
JP2006116397A (ja) | 汚染土壌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 |
KR100534067B1 (ko) | 오염 토양의 복원과 선별 처리를 위한 토양 세척 방법과장치 | |
CN111346732B (zh) | 一种新型生活垃圾焚烧炉渣分选工艺 | |
KR101693575B1 (ko) | 중금속 오염토양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
KR20140137917A (ko) | 단계별 연속식 고도선별과 용출공정을 결합한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시스템 및 정화방법 | |
JP4949849B2 (ja) | 有機性排水及び汚泥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 |
KR101272090B1 (ko) |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 |
JP4697719B2 (ja) | 汚染土壌の浄化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分離装置 | |
JP4595099B2 (ja) | 汚染土壌の洗浄方法および洗浄システム | |
KR101212989B1 (ko) | 성상별 입도분리/정화부와 토양 개량부를 이용한 오염 준설토의 재활용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101129876B1 (ko) | 고농도 중금속 오염 토양의 복합적 정화방법 | |
KR101270065B1 (ko) | 중금속 오염토양 세척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