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338B1 -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5338B1 KR101395338B1 KR1020130066025A KR20130066025A KR101395338B1 KR 101395338 B1 KR101395338 B1 KR 101395338B1 KR 1020130066025 A KR1020130066025 A KR 1020130066025A KR 20130066025 A KR20130066025 A KR 20130066025A KR 101395338 B1 KR101395338 B1 KR 1013953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yslipidemia
- red ginseng
- cholesterol
- feed composition
- feed
- Prior art date
Links
- 208000032928 Dyslipidaemia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08000017170 Lipid metabolism diseas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1258 dyslipidem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35150 Hypercholesterolem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31226 Hyperlipidaem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UFNDONGOJKNAES-UHFFFAOYSA-N Ginsenoside Rb1 Natural products CC(=CCCC(C)(OC1OC(COC2OC(CO)C(O)C(O)C2O)C(O)C(O)C1O)C3CCC4(C)C3C(O)CC5C6(C)CCC(OC7OC(CO)C(O)C(O)C7OC8OC(CO)C(O)C(O)C8O)C(C)(C)C6CC(O)C45C)C UFNDONGOJKNAE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GZYPWOGIYAIIPV-JBDTYSNRSA-N ginsenoside Rb1 Chemical compound C([C@H]1O[C@H]([C@@H]([C@@H](O)[C@@H]1O)O)O[C@@](C)(CCC=C(C)C)[C@@H]1[C@@H]2[C@@]([C@@]3(CC[C@H]4C(C)(C)[C@@H](O[C@H]5[C@@H]([C@@H](O)[C@H](O)[C@@H](CO)O5)O[C@H]5[C@@H]([C@@H](O)[C@H](O)[C@@H](CO)O5)O)CC[C@]4(C)[C@H]3C[C@H]2O)C)(C)CC1)O[C@@H]1O[C@H](CO)[C@@H](O)[C@H](O)[C@H]1O GZYPWOGIYAIIPV-JBDTYSNR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TXEWRVNOAJOINC-UHFFFAOYSA-N ginsenoside Rb2 Natural products CC(=CCCC(OC1OC(COC2OCC(O)C(O)C2O)C(O)C(O)C1O)C3CCC4(C)C3C(O)CC5C6(C)CCC(OC7OC(CO)C(O)C(O)C7OC8OC(CO)C(O)C(O)C8O)C(C)(C)C6CCC45C)C TXEWRVNOAJOIN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claims 1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65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3674 animal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8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108010023302 HDL Cholesterol Proteins 0.000 description 26
- UFTFJSFQGQCHQW-UHFFFAOYSA-N triformin Chemical compound O=COCC(OC=O)COC=O UFTFJSFQGQCH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5
- 108010028554 LDL Cholesterol Proteins 0.000 description 24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9
- 108010010234 HDL Lip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102000015779 HDL Lip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8214 LDL Cholesterol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XPCTZQVDEJYUGT-UHFFFAOYSA-N 3-hydroxy-2-methyl-4-pyrone Chemical compound CC=1OC=CC(=O)C=1O XPCTZQVDEJYU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65 Can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882 dietary compos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833 dog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107131 ginseng root Drugs 0.000 description 2
- 108010022197 lipoprotein cholesterol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27 paired t-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CKUVNOCSBYYHIS-UHFFFAOYSA-N (20R)-ginsenoside Rg3 Natural products CC(C)=CCCC(C)(O)C1CCC(C2(CCC3C4(C)C)C)(C)C1C(O)CC2C3(C)CCC4OC1OC(CO)C(O)C(O)C1O CKUVNOCSBYYHI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KUVNOCSBYYHIS-IRFFNABBSA-N (20S)-ginsenoside Rh2 Chemical compound O([C@H]1CC[C@]2(C)[C@H]3C[C@@H](O)[C@H]4[C@@]([C@@]3(CC[C@H]2C1(C)C)C)(C)CC[C@@H]4[C@@](C)(O)CCC=C(C)C)[C@@H]1O[C@H](CO)[C@@H](O)[C@H](O)[C@H]1O CKUVNOCSBYYHIS-IRFFNABBSA-N 0.000 description 1
- CKUVNOCSBYYHIS-LGYUXIIVSA-N 20(R)-Ginsenoside Rh2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H]1C(C)(C)[C@H]2[C@@](C)([C@H]3[C@](C)([C@@]4(C)[C@H]([C@H](O)C3)[C@@H]([C@](O)(CC/C=C(\C)/C)C)CC4)CC2)CC1 CKUVNOCSBYYHIS-LGYUXIIV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707 Cap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693 Cercopithec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767 Congenital, Hereditary, and Neonatal Diseases and Abnormalit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2233 Cyprinus carpi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7622 LDL Lip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7330 LDL Lip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HYMLWHLQFGRFIY-UHFFFAOYSA-N Maltol Natural products CC1OC=CC(=O)C1=O HYMLWHLQFGRF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973 Oryctolagus cuni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98 Sus scrof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0 animal fee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3 bile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02 cancer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078 coronary arte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577 familial hyperlipid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53 genetic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3353 mal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22 meat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125 myocardi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70 patholog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335 physic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90 sapo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709 sapon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03 saturated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110 spontaneous platelet aggreg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92 trans-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26 triacyl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66 weeks of ges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10—Mamma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01K2267/03—Animal model, e.g. for test or diseases
- A01K2267/035—Animal model for multifactorial diseases
- A01K2267/0362—Animal model for lipid/glucose metabolism, e.g. obesity, type-2 diabe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의 제작방법 및 이에 따라 제작된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식용돈지 및 홍삼박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급여함으로써 이상지질혈증을 유발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작된 이상지질혈증 모델 비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콜레스테롤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홍삼박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을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모델 동물을 이용하여 이상지질혈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를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의 제작방법 및 이에 따라 제작된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식용돈지 및 홍삼박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급여함으로써 이상지질혈증을 유발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작된 이상지질혈증 모델 비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려견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건강에 유익한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높고, 건강에 유해한 콜레스테롤, 특히, 저밀도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낮춘 식품 또는 사료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축산업계에서도 사료, 사료 첨가제 또는 사육 방법의 개발을 통해 기능성 계란 및 육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불포화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이 기능성 제품의 주요한 차별화 요소이다. 불포화지방산은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심장 질환의 발병 위험을 낮추며, 오메가-3 계 불포화지방산은 혈청 지질을 감소시키고 혈소판 응집을 저해하며 혈압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가지므로, 순환계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적극 권장되고 있다(Simopopolos A.P., Am J Clin Nutr 54:438-463, 1991).
또한, 이와 함께 상기 기능성 제품을 반려견에 급여할 경우 콜레스테롤 수치의 유의미한 감소 등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모델 동물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콜레스테롤은 신체의 기본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중요한 물질이며, 동시에 세포막을 구성하고 호르몬 합성에 기여하며 음식물의 소화흡수에 필수적인 담즙산의 구성물질이기도 하다. 그러나, 저밀도 콜레스테롤(LDL)은 혈관에 축적되어 고지혈증 및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하게 되므로, 신체에 유용한 고밀도 콜레스테롤(HDL)과 저밀도 콜레스테롤 사이의 균형이 중요하다.
홍삼은 지정된 인삼의 재배적지에서 생산된 6년근 수삼 중에서 좋은 품질의 수삼을 정선하고 특수가공기술로 증숙, 건조시켜 인체에 흡수가 잘 되도록 제조한 담황갈색의 인삼을 말한다. 홍삼은 그 제조과정 중에 노화 억제 효능이 뛰어난 말톨(maltol)과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진세노이드-Rh2, 파낙시트리올 등 홍삼만이 가지는 특수 성분이 생성되며, 장기간 보존하여도 유효성분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홍삼은 가장 많은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홍삼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피로회복, 강장, 심박수 감소, 면역력 증진의 탁월한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홍삼 추출물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홍삼박의 경우 경제성이 우수하여 사료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것이 주목받고 있다(특허문헌 1). 다만,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홍삼박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이 동물로부터 이상지질혈증을 유발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은 종래에 전혀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기술적 특징을 이용하여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을 제작하는 방법을 발명하였으며, 이상지질혈증을 개선하기 위한 기능성 사료의 개발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노력한 결과, 이상지질혈증 모델 비글 제작방법 및 이에 따라 제작된 이상지질혈증 모델 비글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식용돈지 및 홍삼박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급여함으로써 이상지질혈증 모델 비글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작된 이상지질혈증 모델 비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식용돈지 및 홍삼박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급여함으로써 이상지질혈증을 유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모델 비글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상지질혈증을 유발시키는 단계는 식용돈지 및 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2 내지 5%의 홍삼박을 포함하며, 체중 1 kg 당 0.5 내지 1.5 g의 홍삼박 급여량을 가지는 사료 조성물을 4 내지 8주간 급여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상지질혈증은 고지혈증(hyperlipidemia) 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홍삼박은 2 내지 6 mg의 진세노사이드 Rb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에 따라 제작된 이상지질혈증 모델 비글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콜레스테롤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홍삼박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을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모델 동물을 이용하여 이상지질혈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를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식용돈지 및 홍삼박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급여함으로써 이상지질혈증을 유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모델 비글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델 동물은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기능성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의 효능성 평가에 적합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인간이 아닌 포유동물은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동물들은 일정한 성질을 지닌 개체가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실험동안 사육 또는 처리가 용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포유류의 식육목 개과에 속하는 비글(Beagle)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모델 동물로서는 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2 내지 5%의 홍삼박을 포함하며, 체중 1 kg 당 0.5 내지 1.5 g의 홍삼박 급여량을 가지는 사료 조성물을 4 내지 8주간 급여함으로써 이상지질혈증이 유발될 수 있는 동물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글이 선택된다. 모델 동물을 제작하기 전의 사육 조건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선택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진 않으나, 균질의 모델 동물을 얻기 위해서는 가능한 실험 대상 개체를 동일한 조건 하에서 사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상지질혈증은 고지혈증(hyperlipidemia) 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이란 혈중에 총콜레스테롤(TCHO), LDL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지방(triglyceride)이 증가된 상태거나 HDL 콜레스테롤이 감소된 상태를 의미한다.
고지혈증(hyperlipidemia)이란 혈중에 콜레스테롤 및/또는 중성지방을 포함하는 지질이 증가된 상태를 의미한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이란 혈중에 콜레스테롤이 증가된 상태를 의미하며, 총콜레스테롤(TCHO)과 LDL 콜레스테롤이 높게 나타난다.
상기 고지혈증 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은 반려견의 동맥경화 또는 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질환 및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반려견의 이상지질혈증을 치료,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모델 동물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상지질혈증 모델 비글 제작방법은 매우 유용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홍삼박은 2 내지 6 mg의 진세노사이드 Rb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에 따라 제작된 이상지질혈증 모델 비글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상지질혈증 모델 비글은 이상지질혈증이 유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별도의 치료 등을 실시하지 않으면 이상지질혈증은 쉽게 치유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상지질혈증으로 인정되는 시간, 예를 들어 8주 이상 동안 이상지질혈증이 유지되기 때문에 기능성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의 효과를 안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종래의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에서는 이상지질혈증이 유지되지 않고 자연 치유가 신속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기능성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시기가 짧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유전자 조작을 통해 이상지질혈증을 유도할 경우 실질적으로 기능성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를 통한 선천적인 장애의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발견하기 어려운 점 등을 고려하면, 식이 조절을 통해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이상지질혈증 모델 비글의 우수성이 인정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들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이상지질혈증 유발 사료 조성물의 제조
18 마리의 2년령의 미니어처 슈나우저 및 비글(각각 암컷 9 마리)이 사용되었다. 실험 전, 모든 동물의 혈중 지질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모두 정상 수치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식용돈지의 성분은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구분 | 단위 | 함량 | 비고 |
열량 | kcal | 900 | - |
탄수화물 | g | <1 | 0.30% |
당류 | g | 0 | - |
단백질 | g | 0 | 0% |
지방 | g | 100 | 200% |
포화지방 | g | 38 | 253% |
트랜스지방 | g | 0 | - |
콜레스테롤 | mg | 9 | 3% |
나트륨 | mg | 0 | 0% |
* 함량 안의 수치는 100 g 당 함량을 나타내며, 비고 안의 수치는 사람에서의 1일 영양소 기준치에 대한 비율임(1 g = 1.09 ml)
실험에 사용된 홍삼박의 성분 분석 결과, 동물의 품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Rb1의 급여량 및 동물의 체중 당 홍삼박급여량(g/kg)은 하기의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홍삼박 성분 분석 결과 | ||
Rb1 (mg/g) |
0.29~0.31 | |
Rb1 급여량(mg) | ||
품종 | 홍삼박(2%) | 홍삼박(5%) |
미니어처 슈나우저 | 0.89 | 2.23 |
비글 | 2.11 | 5.27 |
체중 당 홍삼박급여량(g/kg) | ||
품종 | 홍삼박(2%) | 홍삼박(5%) |
미니어처 슈나우저 | 0.54 | 1.35 |
비글 |
미니어처 슈나우저에서 식용돈지 및 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2 내지 5%의 홍삼박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4 내지 8주간 급여함으로써 이상지질혈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표 3과 같이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 함량 | 비고 |
개체 평균 체중 | 5.5 kg | - |
1) 홍삼박 2% 첨가 | 2.97 g | - |
1) 홍삼박 5% 첨가 | 7.43 g | - |
2) 5LL9 | 60.00 g | 207.6 kcal |
3) 식용돈지 | 64.00 g | 576 kcal |
4) 총 급여량 | 124.00 g | 783.6 kcal |
열량 | 6.32 kcal/g | - |
지방에 의한 열량 | 627.02 kcal | - |
전체 열량 중 지방에 의한 열량 |
80.02 % | - |
미니어처 슈나우저에게 급여하기 위한 사료 조성물의 총 열량은 783.6 kcal로, 권장 열량(466.9 kcal)보다 67.84%(316.7 kcal) 높은 열량을 함유하였다.
비글에서 식용돈지 및 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2 내지 5%의 홍삼박을 포함하며, 체중 1 kg 당 0.5 내지 1.5 g의 홍삼박 급여량을 가지는 사료 조성물을 4 내지 8주간 급여함으로써 이상지질혈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표 4와 같이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 함량 | 비고 |
개체 평균 체중 | 13 kg | - |
1) 홍삼박 2% 첨가 | 7.02 g | - |
1) 홍삼박 5% 첨가 | 17.55 g | - |
2) 5LL9 | 114.00 g | 394.44 kcal |
3) 식용돈지 | 122.00 g | 1098 kcal |
4) 총 급여량 | 236.00 g | 1492.4 kcal |
열량 | 6.32 kcal/g | - |
지방에 의한 열량 | 1194.94 kcal | - |
전체 열량 중 지방에 의한 열량 |
80.07 % | - |
비글에게 급여하기 위한 사료 조성물의 총 열량은 1492.4 kcal로, 권장 열량(890.0 kcal)보다 67.68%(602.4 kcal) 높은 열량을 함유하였다.
결국, 상기의 표 3 및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미니어처 슈나우저 및 비글에서 동일한 비율의 초과 열량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4 내지 8주간 급여하여 이상지질혈증이 유발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이상적인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 제작방법 및 대상을 결정하였다. 보다 명확한 홍삼박 첨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조군을 위한 사료 조성물은 상기의 표 3 및 4에 기재된 성분에서 홍삼박만을 제외하여 제조하였다.
2. 이상지질혈증 유발 사료 조성물이 대조군(미니어처 슈나우저)의 건강 지표에 미치는 영향
공시견(미니어처 슈나우저) 9마리(암컷 9마리)의 평균 체중의 2.7% 사료 급여 기준(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홍삼박 2% 또는 5% 첨가)으로 상기의 표 3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을 8주간 급여하였으며, 0, 2, 4, 6 및 8주차 공시견(미니어처 슈나우저)의 혈액을 2 ml 채취하여 혈중 총콜레스테롤(TCHO), 트리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HDLC) 및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의 농도(mg/dl)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공시견(미니어처 슈나우저) 3마리(암컷 3)의 평균 체중의 2.7% 사료 급여 기준으로 상기의 표 3에서 홍삼박만을 제외하여 제조된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였다.
하기의 표 5 내지 8은 통계적 분석을 통한 공시견 9마리의 평균 혈중 총콜레스테롤(TCHO), 트리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HDLC) 및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의 농도를 기재하고 있다. 하기의 표 5 내지 8에 기재된 통계적 분석 결과는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Institute, Cary, NC, USA)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p < 0.05 의 값을 가지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으며, 공시견 모델의 결과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정(Two Sample T-test) 및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이 사용되었다.
공시견(미니어처 슈나우저)의 경우, 상기의 표 3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을 8주간 급여할 경우, 평균 혈중 총콜레스테롤(TCHO), 트리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HDLC) 및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의 농도(mg/dl)에 있어서 유의미한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급여기간 (주) |
혈중 총콜레스테롤(TCHO) 농도 | ||
대조군 | 홍삼박 2% 급여군 | 홍삼박 5% 급여군 | |
0 | 232±24 | 218±60 | 211±60 |
2 | 244±13 | 215±54 | 203±45 |
4 | 276±32 | 241±53 | 234±39 |
6 | 303±24 | 268±51 | 280±46 |
8 | 303±38 | 304±76 | 286±31 |
* 평균±표준편차(mg/dl)
혈중 총콜레스테롤(TCHO) 농도의 경우, 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홍삼박을 2% 또는 5% 첨가한 실험군에서 2주차에 각각 215±54 mg/dl 또는 203±45 mg/dl, 4주차에 각각 241±53 mg/dl 또는 234±39 mg/dl 으로서 급여 최초 시점보다 약 20 mg/dl 증가한 반면, 대조군은 4주차에서 약 40 mg/dl 증가하였다(표 5 참조).
급여기간 (주) |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농도 | ||
대조군 | 홍삼박 2% 급여군 | 홍삼박 5% 급여군 | |
0 | 39±3 | 33±8 | 31±7 |
2 | 46±3 | 31±4 | 39±3 |
4 | 31±8 | 36±5 | 30±8 |
6 | 84±26 | 43±23 | 50±17 |
8 | 31±1 | 28±6 | 36±9 |
* 평균±표준편차(mg/dl)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농도의 경우, 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홍삼박을 2% 첨가한 실험군에서 2주차에 31±4 mg/dl 으로서 급여 최초 시점보다 오히려 약 2 mg/dl 감소한 반면, 대조군은 2주차에서 약 7 mg/dl 증가하였다(표 6 참조).
급여기간 (주) |
혈중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HDLC) 농도 | ||
대조군 | 홍삼박 2% 급여군 | 홍삼박 5% 급여군 | |
0 | 146±13 | 132±27 | 129±24 |
2 | 143±7 | 126±17 | 121±16 |
4 | 156±10 | 136±23 | 138±12 |
6 | 174±11 | 159±21 | 163±18 |
8 | 174±15 | 168±24 | 162±8 |
* 평균±표준편차(mg/dl)
혈중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HDLC) 농도의 경우, 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홍삼박을 2% 첨가한 실험군에서 4주차에 136±23 mg/dl 으로서 급여 최초 시점보다 약 4 mg/dl 증가한 반면, 대조군은 4주차에서 약 10 mg/dl 증가하였다(표 7 참조).
급여기간 (주) |
혈중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농도 | ||
대조군 | 홍삼박 2% 급여군 | 홍삼박 5% 급여군 | |
0 | 42±8 | 43±24 | 37±17 |
2 | 43±2 | 38±16 | 33±11 |
4 | 57±5 | 45±18 | 41±10 |
6 | 59±8 | 53±24 | 54±20 |
8 | 60±15 | 69±33 | 55±19 |
* 평균±표준편차(mg/dl)
혈중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농도의 경우, 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홍삼박을 2% 또는 5% 첨가한 실험군에서 2주차에 각각 38±16 mg/dl 또는 33±11 mg/dl, 4주차에 각각 45±18 mg/dl 또는 41±10 mg/dl 으로서 급여 최초 시점보다 2주차때는 오히려 감소, 4주차때는 미약하게 증가한 반면, 대조군은 4주차에서 약 15 mg/dl 증가하였다(표 8 참조).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토대로, 공시견(미니어처 슈나우저)의 권장 열량(466.9 kcal)보다 67.84%(316.7 kcal) 높은 열량을 함유한 사료 조성물을 급여함으로써 인위적으로 이상지질혈증을 유발하고자 할 때, 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홍삼박을 2 내지 5% 첨가할 경우, 평균 혈중 총콜레스테롤(TCHO), 트리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HDLC) 및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의 농도(mg/dl)에 있어서 유의미한 증가 억제 효과, 즉 이상지질혈증이 유발되는 것을 지연 또는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3. 이상지질혈증 유발 사료 조성물이 실험군(비글)의 건강 지표에 미치는 영향
공시견(비글) 9마리(암컷 9마리)의 평균 체중의 2.7% 사료 급여 기준으로 상기의 표 4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을 8주간(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홍삼박 2% 또는 5% 첨가) 급여하였으며, 0, 2, 4, 6 및 8주차 공시견(비글)의 혈액을 2 ml 채취하여 혈중 총콜레스테롤(TCHO), 트리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HDLC) 및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의 농도(mg/dl)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공시견(비글) 3마리(암컷 3마리)의 평균 체중의 2.7% 사료 급여 기준으로 상기의 표 3에서 홍삼박만을 제외하여 제조된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였다.
하기의 표 9 내지 12는 통계적 분석을 통한 공시견 9마리의 평균 혈중 총콜레스테롤(TCHO), 트리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HDLC) 및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의 농도를 기재하고 있다. 하기의 표 9 내지 12에 기재된 통계적 분석 결과는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Institute, Cary, NC, USA)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p < 0.05 의 값을 가지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으며, 공시견 모델의 결과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정(Two Sample T-test) 및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이 사용되었다.
공시견(비글)의 경우, 상기의 표 4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을 8주간 급여할 경우, 평균 혈중 총콜레스테롤(TCHO), 트리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HDLC) 및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의 농도(mg/dl)에 있어서 유의미한 증가 효과, 즉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 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효과를 나타내었다.
급여기간 (주) |
혈중 총콜레스테롤(TCHO) 농도 | ||
대조군 | 홍삼박 2% 급여군 | 홍삼박 5% 급여군 | |
0 | 166±27 | 189±2 | 201±35 |
2 | 180±25 | 229±15 | 221±57 |
4 | 226±13 | 279±5 | 244±63 |
6 | 221±23 | 302±5 | 279±19 |
8 | 217±31 | 294±34 | 287±41 |
* 평균±표준편차(mg/dl)
혈중 총콜레스테롤(TCHO) 농도의 경우, 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홍삼박을 2%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4주차의 농도가 279±5 mg/dl 으로서 약 4주차 이후 이상지질혈증으로 판정할 수 있는 정도의 혈중 총콜레스테롤 수치를 나타내었다. 5%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6주차의 농도가 279±19 mg/dl 으로서 약 6주차 이후 이상지질혈증으로 판정할 수 있는 정도의 혈중 총콜레스테롤 수치를 나타내었다.
반면, 대조군도 고열량(홍삼박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과 동일한 열량)의 사료 조성물을 급여함에 따라 혈중 총콜레스테롤의 농도가 높아졌으나, 홍삼박 급여군과는 달리 이상지질혈증으로 판정할 수 있는 정도의 혈중 총콜레스테롤 수치에는 이르지 못하였다(표 9 참조).
개과 동물의 혈중 총콜레스테롤의 정상 범위는 135 내지 278 mg/dl으로(Adapted, with permission, in part from Latimer K.S., Mahaffey E.A., and Prasse K.W., Duncan and Prasse's Veterinary Laboratory Medicine: Clinical Pathology, 4th ed., Wiley-Blackwell, 2003. Reference ranges vary between laboratories. Using values supplied by the laboratory that is routinely used is recommended 참조), 상기 수치 범위를 초과할 경우 이상지질혈증으로 판정할 수 있다.
급여기간 (주) |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농도 | ||
대조군 | 홍삼박 2% 급여군 | 홍삼박 5% 급여군 | |
0 | 21±8 | 17±1 | 22±2 |
2 | 29±11 | 27±6 | 26±5 |
4 | 21±2 | 29±11 | 24±9 |
6 | 31±9 | 24±8 | 29±4 |
8 | 18±7 | 19±5 | 21±5 |
* 평균±표준편차(mg/dl)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농도의 경우, 상기 표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조군과 홍삼박 급여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중성지방) 농도의 증가에 유의미한 증가 또는 감소 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급여기간 (주) |
혈중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HDLC) 농도 | ||
대조군 | 홍삼박 2% 급여군 | 홍삼박 5% 급여군 | |
0 | 108±12 | 121±1 | 122±12 |
2 | 114±18 | 129±5 | 126±23 |
4 | 140±10 | 156±4 | 137±28 |
6 | 141±15 | 174±4 | 159±7 |
8 | 141±18 | 166±9 | 158±15 |
* 평균±표준편차(mg/dl)
대조군은 고열량의 사료 조성물을 급여함에 따라 혈중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HDLC)의 농도가 높아졌으나, 홍삼박 급여군과는 달리 혈중 HDLC의 농도가 141 mg/dl 이상으로 상승하지는 않았다. 반면, 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홍삼박을 2% 또는 5%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혈중 HDLC의 농도가 약 150 mg/dl 수준 이상 까지 상승하였다(표 11 참조).
급여기간 (주) |
혈중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농도 | ||
대조군 | 홍삼박 2% 급여군 | 홍삼박 5% 급여군 | |
0 | 29±6 | 37±1 | 43±13 |
2 | 29±6 | 47±5 | 49±26 |
4 | 41±2 | 66±7 | 63±37 |
6 | 37±6 | 51±30 | 55±13 |
8 | 34±4 | 67±13 | 51±11 |
* 평균±표준편차(mg/dl)
대조군은 고열량의 사료 조성물을 급여함에 따라 혈중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의 농도가 높아졌으나, 홍삼박 급여군과는 달리 혈중 LDLC의 농도가 급여기간이 지속되더라도 약 40 mg/dl 이상으로 상승하지는 않았다. 반면, 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홍삼박을 2% 또는 5%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혈중 LDLC의 농도가 약 50 mg/dl 수준이상 까지 상승하였다(표 12 참조).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토대로, 공시견(비글)의 권장 열량(890.0 kcal)보다 67.68%(602.4 kcal) 높은 열량을 함유한 사료 조성물을 급여함으로써 인위적으로 이상지질혈증을 유발하고자 할 때, 홍삼박이 첨가되지 않은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대조군에서는 이상지질혈증이 유발되지 않았으나, 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홍삼박을 2 내지 5% 첨가할 경우, 평균 혈중 총콜레스테롤(TCHO), 고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HDLC) 및 저밀도 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의 농도(mg/dl)에 있어서 유의미한 증가 효과, 즉 이상지질혈증 유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콜레스테롤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홍삼박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을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모델 동물을 이용하여 이상지질혈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를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 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 식용돈지 및 홍삼박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급여함으로써 이상지질혈증을 유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모델 비글 제작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지질혈증을 유발시키는 단계는 식용돈지 및 전체 사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2 내지 5%의 홍삼박을 포함하며, 체중 1 kg 당 0.5 내지 1.5 g의 홍삼박 급여량을 가지는 사료 조성물을 4 내지 8주간 급여하는 것인 이상지질혈증 모델 비글 제작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지질혈증은 고지혈증(hyperlipidemia) 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인 이상지질혈증 모델 비글 제작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박은 2 내지 6 mg의 진세노사이드 Rb1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모델 비글 제작방법.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작된 이상지질혈증 모델 비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6025A KR101395338B1 (ko) | 2013-06-10 | 2013-06-10 |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의 제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6025A KR101395338B1 (ko) | 2013-06-10 | 2013-06-10 |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의 제작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95338B1 true KR101395338B1 (ko) | 2014-05-19 |
Family
ID=5089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6025A KR101395338B1 (ko) | 2013-06-10 | 2013-06-10 |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의 제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533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8638A (ko) * | 1998-12-08 | 2000-07-05 | 성재갑 | 실험용 쥐의 비만 유도용 사료 조성물 |
KR20020079233A (ko) * | 2001-04-13 | 2002-10-19 | 강영호 | 홍삼 부산물을 이용한 돼지 사료 제조 방법 |
KR20060083227A (ko) * | 2003-11-04 | 2006-07-20 |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 고지혈증·고알부민혈증 모델 동물 |
KR20080035187A (ko) * | 2006-10-18 | 2008-04-23 | 이종덕 | 홍삼박 및 한약재박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
-
2013
- 2013-06-10 KR KR1020130066025A patent/KR1013953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8638A (ko) * | 1998-12-08 | 2000-07-05 | 성재갑 | 실험용 쥐의 비만 유도용 사료 조성물 |
KR20020079233A (ko) * | 2001-04-13 | 2002-10-19 | 강영호 | 홍삼 부산물을 이용한 돼지 사료 제조 방법 |
KR20060083227A (ko) * | 2003-11-04 | 2006-07-20 |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 고지혈증·고알부민혈증 모델 동물 |
KR20080035187A (ko) * | 2006-10-18 | 2008-04-23 | 이종덕 | 홍삼박 및 한약재박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4252B1 (ko) | 산삼배양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사료 | |
Bhalerao et al. | Promotion of omega-3 chicken meat production: an Indian perspective | |
CN107319211A (zh) | 一种吸血水蛭幼体全价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 |
CN101595946A (zh) | 一种肉质改良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NO20151589A1 (en) | Method for improving mineral resorption in farmed fish and crustacean | |
CN105878397A (zh) | 一种调节牛羊运输应激组合物 | |
Pelicia et al. | Effects of dietary calcium levels and limestone particicle size on the performance, tibia and blood of laying hens | |
CN103238841A (zh) | 一种含玛咖、雪莲培养物的食品组合物及应用 | |
KR100932474B1 (ko) | 마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철갑상어용 사료 조성물 | |
KR101395338B1 (ko) | 이상지질혈증 모델 동물의 제작 방법 | |
Abdelghani et al. |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oy isoflavones on th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native chinese breeder hens | |
KR101939535B1 (ko) | C3g 성분 함유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 |
Karimi et al. | The effects of artichoke aqueous extract on the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orphology, and blood metabolites in broiler chickens | |
KR101341991B1 (ko) |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 |
KR20090097727A (ko) | 한약재 분말을 첨가한 한우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 | |
CN104161185A (zh) | 一种畜禽用营养性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KR100946435B1 (ko) | 오리 성장발육 촉진제의 제조방법 | |
KR101154061B1 (ko) | 흑마늘을 주재료로 하는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마늘을 주재료로 하는 사료 첨가제 | |
CN112890035A (zh) | 改善仔猪生产潜力的母猪复合添加剂及其制备和饲养方法 | |
CN104886356A (zh) | 一种动物抗应激性中草药添加剂及制备方法 | |
KR20070060527A (ko) |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 및 올레산 함량과 항산화능이 강화된계란 | |
Onunkwo et al. | Blood profile of finisher broiler chickens fed diet containing leaf meal composite as alternative to commercial broiler premix | |
CN111298099A (zh) | 一种补铁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 |
Osowe et al. | Performance, Haematology and Serum Biochemical Status of two Strains of Broiler Chicken Fed Ficus thonningii Leaf Powder and Vitamin C Supplemented Diets | |
Solomon et al. | Growth performance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of Clarias gariepinus fed varied levels of Cola nitida me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