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664B1 - 와이어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점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3664B1 KR101353664B1 KR1020120052178A KR20120052178A KR101353664B1 KR 101353664 B1 KR101353664 B1 KR 101353664B1 KR 1020120052178 A KR1020120052178 A KR 1020120052178A KR 20120052178 A KR20120052178 A KR 20120052178A KR 101353664 B1 KR101353664 B1 KR 1013536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roller
- moving
- wear
- detection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점검장치는, 와이어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이동본체; 및 상기 이동본체에 제공되어, 상기 이동본체의 이동시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의 손상부위를 감지하는 마모감지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의 손상부위를 감지하는 마모감지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높은 곳 또는 다른 시설물에 가려서 와이어의 마모 정도를 파악하기 어렵거나, 와이어에 대한 작업자의 점검상태 미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설비고장 또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와이어를 외부 상태를 깨끗이 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른 와이어의 손상 및 이에 따른 설비고장을 미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와이어의 마모점검 등과 같은 와이어의 상태점검을 원활하면서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의 손상부위를 감지하는 마모감지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높은 곳 또는 다른 시설물에 가려서 와이어의 마모 정도를 파악하기 어렵거나, 와이어에 대한 작업자의 점검상태 미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설비고장 또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와이어를 외부 상태를 깨끗이 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른 와이어의 손상 및 이에 따른 설비고장을 미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와이어의 마모점검 등과 같은 와이어의 상태점검을 원활하면서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이어 점검장치로서, 와이어의 손상부위를 감지하면서 와이어 표면의 이물질도 제거하는 와이어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크레인을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일례로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와 이격되면서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철소 및 중량물을 취급하는 작업장에서 선적기로서 트롤리를 구비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레인(10) 등의 설비가 많이 사용된다.
이때, 선적기와 같이 와이어를 사용하는 설비의 하나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는 와이어드럼(2)에 의해 권취될 수 있고, 시이브(3)에 의해 가이드지지 될 수 있으며, 트롤리(4)가 레일(5)에서 와이어(1)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문제점을 살펴보면, 상기 크레인(10) 설비의 권상,권하 장치에서 붐 부재의 작동 움직임을 위해 원활한 동력을 전달하는데 와이어(1)가 많이 이용되는데, 이때 와이어(1)의 마모로 인하여 외부로 돌출된 소선(1a)을 손쉽게 찾아 내지 못하여 안전사고 위험의 소지가 높다.
이는, 각종 이동되는 부재 및 고정 부착된 시설물에 가려 와이어(1)의 마모 정도를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이며, 이와 더불어 설비운영자(작업자, 운전자)가 와이어(1)의 상태 점검을 소홀이 하거나, 와이어(1)의 마모율 검사능력이 부족함으로써, 와이어(1)의 손상을 파악이 쉽지 않음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크레인(10)에서 운영되는 부재 및 시설물이 높거나 위험한 장소에서 와이어(1)를 이용함으로써, 와이어(1)의 상태점검이 어렵고 시야로 확인이 불가능함에 따라, 와이어(1)의 상태파악 미흡으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이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의 심적 불안으로 작업능률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생산적인 측면에서 와이어(1)의 마모로 인한 설비고장으로 인하여 크레인의 가동율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와이어의 손상부위를 감지하고, 와이어 표면의 이물질도 제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설비고장 또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 점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점검장치는, 와이어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이동본체; 및 상기 이동본체에 제공되어, 상기 이동본체의 이동시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의 손상부위를 감지하는 마모감지수단;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모감지수단은, 상기 이동본체에 설치된 프레임부재; 상기 와이어의 손상부위에 의해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감지이동부재; 및 이동된 상기 감지이동부재를 센싱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에 고정된 센서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와이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선을 구비하며, 상기 감지이동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이동되게 체결되는 롤러브라켓; 상기 와이어에 접촉 또는 근접되게 상기 롤러브라켓에 장착된 감지롤러; 상기 감지롤러가 상기 와이어의 손상부위에 밀려서 상기 롤러브라켓이 이동되면, 상기 센서부재에 접촉되도록 상기 롤러브라켓에 장착된 리미트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롤러브라켓에는 이동롤러가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이동롤러가 끼움되어 이동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마모감지수단은, 상기 감지이동부재를 상기 와이어 측으로 탄성압박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 장착된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센서부재는 접촉센서가 활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아가 상기 마모감지수단은, 상기 와이어 둘레면 전체에 대한 마모를 감지하도록, 상기 와이어를 둘레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를 감싸도록 상기 이동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본체의 이동시 상기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이동본체에 장착된 지지부재; 및 상기 와이어를 감싸면서 상기 와이어에 밀착되어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된 이물질제거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물질제거부재는, 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중공을 가지면서 상기 와이어에 밀착되는 밀착고무;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마모감지수단의 전,후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점검장치는,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의 손상부위를 감지하는 마모감지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높은 곳 또는 다른 시설물에 가려서 와이어의 마모 정도를 파악하기 어렵거나, 와이어에 대한 작업자의 점검상태 미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설비고장 또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이에 더하여,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와이어를 외부 상태를 깨끗이 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른 와이어의 손상 및 이에 따른 설비고장을 미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와이어의 마모점검 등과 같은 와이어의 상태점검을 원활하면서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지닌다.
도 1은 일반적인 크레인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일례로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와 이격되면서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점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와이어 점검장치에서 마모감지수단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마모감지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마모감지수단이 와이어를 둘레로 복수 개가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도 3의 와이어 점검장치에서 이물질제거수단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는 일례로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와 이격되면서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점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와이어 점검장치에서 마모감지수단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마모감지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마모감지수단이 와이어를 둘레로 복수 개가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도 3의 와이어 점검장치에서 이물질제거수단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 점검장치는,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의 손상부위를 감지하는 마모감지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높은 곳 또는 다른 시설물에 가려서 와이어의 마모 정도를 파악하기 어렵거나, 와이어에 대한 작업자의 점검상태 미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설비고장 또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지닌다.
이에 더하여,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와이어를 외부 상태를 깨끗이 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른 와이어의 손상 및 이에 따른 설비고장을 미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와이어의 마모점검 등과 같은 와이어의 상태점검을 원활하면서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을 지닌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점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와이어 점검장치에서 마모감지수단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마모감지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마모감지수단이 와이어를 둘레로 복수 개가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와이어(1)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본체(20)와, 상기 이동본체(20)에 제공되는 마모감지수단(10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본체(20)는 와이어(1)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데, 일례로서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에서 트롤리가더와 붐가더에 걸쳐서 장착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가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이동본체(20)는 와이어(1)의 연장방향으로 와이어(1)와 적정간격을 유지한 채, 와이어(1)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면 될 뿐,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부재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마모감지수단(100)은 이동본체(20)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어 와이어(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본체(20)에 제공된다.
즉, 마모감지수단(100)은 와이어(1) 측으로 배치되도록 이동본체(20)에 설치고정되어, 와이어(1)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본체(20)와 함께 와이어(1)를 따라 이동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마모감지수단(100)은, 상기 이동본체(20)의 이동시 와이어(1)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1)의 손상부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와이어의 손상부위'는, 일례로서 와이어(1)의 피복이 마모되어 벗겨짐에 따라, 또는 와이어(1)를 형성하는 소선들 중 일부 소선(1a)이 마모되어 끊어짐에 따라, 내측으로 파여지거나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일 수 있다. 물론, 이에 더하여 단순히 피복이 마모되어 찢겨져서 파여지거나 돌출된 부위일 수도 있다.
그러면, 본 명세서에서는 일례로서, '와이어의 손상부위'가 와이어(1)의 피복이 벗겨져서 소선(1a)이 돌출된 부위로서, 이에 대해 마모감지수단(100)이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때 상기 와이어(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선(1a)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모감지수단(100)은 이동본체(20)에 설치된 프레임부재(120), 및 상기 프레임부재(120)에 장착된 감지이동부재(140)와 센서부재(160)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부재(120)는 감지이동부재(140)를 와이어(1)에 접촉 또는 근접되도록 배치시키기 위해, 이동본체(20)로부터 와이어(1) 측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지닌다.
이러한 프레임부재(120)는, 일례로서 이동본체(20)에 상측으로 연결된 고정프레임(122)과, 상기 고정프레임(122)에 와이어(1) 측으로 연결된 지지프레임(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일례로서 상기 지지프레임(124)은 두 개가 이격되게 고정프레임(122)에 고정장착되며, 그 사이에는 감지이동부재(140)와 센서부재(16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이동부재(140)는 프레임부재(120)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즉 와이어(1)의 손상부위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일례로서, 와이어(1)에서 일측 피복이 마모됨에 따라 그 내부의 소선(1a)들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데, 와이어(1)에 접촉 또는 근접된 상태로 와이어(1)를 따라 이동하는 감지이동부재(140)는 상기와 같이 돌출된 소선(1a)에 의해 밀림 가능하도록 프레임부재(120)에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센서부재(160)는 이동된 상기 감지이동부재(140)를 센싱하도록 프레임부재(12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감지이동부재(140)와 센서부재(160)를, 일실시예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감지이동부재(140)는 프레임부재(120)에 체결되는 롤러브라켓(142), 및 상기 롤러브라켓(142)에 장착된 감지롤러(144)와 리미트바(14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롤러브라켓(142)은 감지롤러(144)가 체결되는 롤러가이더(142a)와, 상기 롤러가이더(142a)가 체결되며 상기 프레임부재(120)의 지지프레임(124)에 장착된 롤러지지대(14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롤러가이더(142a)는 감지롤러(144)의 회전축(144a)이 회전되도록 체결되는데, 이때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어링부재와 같이 원활한 회전을 돕는 부재 등이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롤러가이더(142a)는 감지롤러(144)의 회전축(144a) 양단부를 회전되게 가이드지지하도록 두 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러한 두 개의 롤러가이더(142a)는 롤러지지대(142b)에 의해 장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롤러지지대(142b)는 양단에 이동롤러(143)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롤러(143)는 지지프레임(124)의 가이드홈(124a)에 각각 끼움되어 롤링하면서 가이드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롤러(144)는 롤러형상을 취하며, 와이어(1)와 접촉하거나 아주 근접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감지롤러(144)는 이동본체(20)가 이동시 와이어(1)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1)의 손상부위에 의해 밀리는데, 이때, 상기 롤러지지대(142b)의 이동롤러(143)에 의해 밀림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바(146)는 감지롤러(144)가 와이어(1)의 손상부위에 밀려서 상기 롤러브라켓(142)이 이동되면, 상기 센서부재(160)에 접촉되도록 롤러브라켓(142)에 장착된다.
이때, 리미트바(146)의 단부는 센서부재(160)와의 접촉시 서로에 대한 손상을 줄이도록 굴곡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센서부재(160)는 리미트바(146)가 접촉시 이를 감지하도록 접촉센서가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1)의 손상부위에 밀려서 리미트바(146)가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라면 종래의 어떠한 센서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이러한 센서부재(160)는 전기케이블(161)에 의해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와이어(1)의 손상부위의 감지에 의해 작업자가 와이어(1)의 마모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마모감지수단(100)은 바람직하게, 감지이동부재(140)를 와이어(1) 측으로 탄성압박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20)에 장착된 탄성부재(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두 개의 지지프레임(124)에 내측으로 각각 배치되게 장착된 보조프레임(126)에 장착되어, 롤러가이더(142a)를 와이어(1) 측으로 적정 탄성력으로 탄성압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이 활용될 수 있으며, 판스프링, 탄성재질의 부재 등 종래의 어떠한 스프링 또는 부재 등이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서 와이어(1)의 손상된 부위가 와이어(1)의 표면으로부터 마모되어 내측으로 파여진 경우라면, 감지이동부재(140)는 탄성부재(170)에 의해 와이어 측으로 나아가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이동하는 감지이동부재(140)를 감지하기 위해 센서부재는, 도면에 도시된 봐와는 달리, 감지이동부재(140)에 대해 와이어(1) 측으로 이격되어 프레임부재(120)에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의 센서부재는, 접촉센서를 포함하여 압력센서, 광센서 등 어떠한 센서도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마모감지수단(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 둘레면 전체에 대한 마모를 감지하도록, 와이어(1)를 둘레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모감지수단(100)은, 높은 곳 또는 다른 시설물에 가려서 와이어(1)의 마모 정도를 파악하기 어렵거나, 와이어(1)에 대한 작업자의 점검상태 미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설비고장 또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에 부착된 이물질(9)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와이어 점검장치에서 이물질제거수단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물질제거수단(200)은, 와이어(1)를 감싸도록 이동본체(20)에 설치됨으로서, 이동본체(20)의 이동시 와이어(1)를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1)에 부착된 이물질(9)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200)은 이동본체(20)에 장착된 지지부재(220)와, 상기 지지부재(220)에 설치된 이물질제거부재(24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부재(220)는 일례로서 이동본체(20)에 수직설치된 수직지지부(222)와, 상기 수직지지부(222)에 와이어(1) 측으로 수평방향 배치된 수평지지부(22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부재(240)는 와이어(1)를 감싸면서 와이어(1)에 밀착되어 마찰을 이용하여 이물질(9)을 제거하도록 지지부재(220)의 수평지지부(224)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물질제거부재(240)는 와이어(1)가 통과하는 중공(242a)을 가지면서 상기 와이어(1)에 밀착되는 밀착고무(242)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밀착고무(242)는 수평지지부(224)에 설치고정된 하우징(244)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물질제거부재(240)는, 바람직하게 상기와 같이 밀착고무(242)가 활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1) 표면의 이물질(9)을 마찰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부재라면 종래의 어떠한 부재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물질제거수단(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모감지수단(100)의 전,후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동본체(20)가 이동하면서 마모감지수단(100)의 전단에서 이물질제거수단(200)에 의해 이물질(9)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경우에는, 후단의 이물질제거수단(200)에 의해 이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물질제거수단(200)은, 와이어(1)를 외부 상태를 깨끗이 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른 와이어(1)의 손상 및 이에 따른 설비고장을 미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와이어(1)의 마모점검 등과 같은 와이어(1)의 상태점검을 원활하면서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와이어 1a : 소선
9 : 이물질 20 : 이동본체
100 : 마모감지수단 120 : 프레임부재
122 : 고정프레임 124 : 지지프레임
124a : 가이드홈 126 : 보조프레임
140 : 감지이동부재 142 : 롤러브라켓
142a : 롤러가이더 142b : 롤러지지대
143 : 이동롤러 144 : 감지롤러
144a : 회전축 146 : 리미트바
160 : 센서부재 161 : 전기케이블
170 : 탄성부재 200 : 이물질제거수단
220 : 지지부재 222 : 수직지지부
224 : 수평지지부 240 : 이물질제거부재
242 : 밀착고무 242a : 중공
244 : 하우징
9 : 이물질 20 : 이동본체
100 : 마모감지수단 120 : 프레임부재
122 : 고정프레임 124 : 지지프레임
124a : 가이드홈 126 : 보조프레임
140 : 감지이동부재 142 : 롤러브라켓
142a : 롤러가이더 142b : 롤러지지대
143 : 이동롤러 144 : 감지롤러
144a : 회전축 146 : 리미트바
160 : 센서부재 161 : 전기케이블
170 : 탄성부재 200 : 이물질제거수단
220 : 지지부재 222 : 수직지지부
224 : 수평지지부 240 : 이물질제거부재
242 : 밀착고무 242a : 중공
244 : 하우징
Claims (11)
- 와이어(1)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이동본체(20); 및 상기 이동본체(20)에 제공되어, 상기 이동본체(20)의 이동시 상기 와이어(1)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1)의 손상부위를 감지하는 마모감지수단(100);을 포함하며,
상기 마모감지수단(100)은, 상기 이동본체(20)에 설치된 프레임부재(120); 상기 와이어(1)의 손상부위에 의해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20)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감지이동부재(140); 및 이동된 상기 감지이동부재(140)를 센싱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20)에 고정된 센서부재(160);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선(1a)을 구비하며, 상기 감지이동부재(140)는, 상기 프레임부재(120)에 이동되게 체결되는 롤러브라켓(142); 상기 와이어(1)에 접촉 또는 근접되게 상기 롤러브라켓(142)에 장착된 감지롤러(144); 상기 감지롤러(144)가 상기 와이어(1)의 손상부위에서 돌출된 상기 소선(1a)에 밀려서 상기 롤러브라켓(142)이 이동되면, 상기 센서부재(160)에 접촉되도록 상기 롤러브라켓(142)에 장착된 리미트바(146);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브라켓(142)에는 이동롤러(143)가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부재(120)는 상기 이동롤러(143)가 끼움되어 이동되도록 가이드홈(124a)이 형성되며, 상기 리미트바(146)의 이동시 이동롤러(143)가 상기 가이드홈(124a)을 따라 롤링가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점검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감지수단(100)은,
상기 감지이동부재(140)를 상기 와이어(1) 측으로 탄성압박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120) 장착된 탄성부재(170);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점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재(160)는 접촉센서가 활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점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감지수단(100)은, 상기 와이어(1) 둘레면 전체에 대한 마모를 감지하도록, 상기 와이어(1)를 둘레로 복수 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점검장치.
- 제1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를 감싸도록 상기 이동본체(20)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본체(20)의 이동시 상기 와이어(1)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1)에 부착된 이물질(9)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2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점검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200)은,
상기 이동본체(20)에 장착된 지지부재(220); 및
상기 와이어(1)를 감싸면서 상기 와이어(1)에 밀착되어 상기 이물질(9)을 제거하도록 상기 지지부재(220)에 설치된 이물질제거부재(24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점검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재(240)는,
상기 와이어(1)가 통과하는 중공(242a)을 가지면서 상기 와이어(1)에 밀착되는 밀착고무(242);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점검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200)은, 상기 마모감지수단(100)의 전,후단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점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2178A KR101353664B1 (ko) | 2012-05-16 | 2012-05-16 | 와이어 점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2178A KR101353664B1 (ko) | 2012-05-16 | 2012-05-16 | 와이어 점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8261A KR20130128261A (ko) | 2013-11-26 |
KR101353664B1 true KR101353664B1 (ko) | 2014-01-21 |
Family
ID=4985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2178A KR101353664B1 (ko) | 2012-05-16 | 2012-05-16 | 와이어 점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366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1688B1 (ko) * | 2014-04-11 | 2016-04-14 | 주식회사 포스코 | 와이어로프 마모측정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0458B1 (ko) * | 2019-04-01 | 2021-02-26 | (주)엔키아 | 권양장치에 설치되는 와이어 진단 장치 |
KR102219641B1 (ko) * | 2019-07-24 | 2021-02-25 | (주)엔키아 | 권양장치에 설치되는 와이어 진단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6676Y1 (ko) * | 1993-10-09 | 1997-07-01 |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 와이어 로프의 손상 검출장치 |
JPH10230233A (ja) * | 1997-02-21 | 1998-09-02 | Ishikawajima Inspection & Instrumentation Co | ワイヤロープ清掃装置 |
US20030020469A1 (en) | 2001-07-17 | 2003-01-30 | Gopichand Katragadda | Transverse crack detection in rail head using low frequency eddy currents |
WO2011148456A1 (ja) * | 2010-05-25 | 2011-12-0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ワイヤロープ探傷装置 |
-
2012
- 2012-05-16 KR KR1020120052178A patent/KR1013536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6676Y1 (ko) * | 1993-10-09 | 1997-07-01 |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 와이어 로프의 손상 검출장치 |
JPH10230233A (ja) * | 1997-02-21 | 1998-09-02 | Ishikawajima Inspection & Instrumentation Co | ワイヤロープ清掃装置 |
US20030020469A1 (en) | 2001-07-17 | 2003-01-30 | Gopichand Katragadda | Transverse crack detection in rail head using low frequency eddy currents |
WO2011148456A1 (ja) * | 2010-05-25 | 2011-12-0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ワイヤロープ探傷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1688B1 (ko) * | 2014-04-11 | 2016-04-14 | 주식회사 포스코 | 와이어로프 마모측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8261A (ko) | 2013-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3664B1 (ko) | 와이어 점검장치 | |
CN105158276A (zh) | 一种用于检测桥梁吊杆的装置及其检测方法 | |
CN105084161A (zh) | 一种电梯 | |
KR101254767B1 (ko) | 천정기중기의 와이어로프 탈선 감지장치 | |
KR101174435B1 (ko) | 와이어 감지장치 | |
WO2017002192A1 (ja) | エレベータの綱溝摩耗量検知装置 | |
JP2009263101A (ja) | エレベータのロープ素線状態検出装置 | |
CN204959598U (zh) | 一种用于检测桥梁吊杆的装置 | |
KR200464796Y1 (ko) | 무대구동장치 | |
JP2011063439A (ja) | ロープ検査装置 | |
JP5937952B2 (ja) | 綱車主索溝摩耗測定方法 | |
KR101619991B1 (ko) | 안전 장치가 설치된 크레인 | |
JP2010143450A (ja) | 集電子磨耗検出装置および集電子磨耗検出システム | |
KR20130088405A (ko) | 선박용 접안장치 | |
JP2016216243A5 (ko) | ||
KR102077926B1 (ko) | 연속식 하역기의 케이블 손상 감지장치 | |
KR20120121546A (ko) | 와이어 탈선 감지장치 | |
KR102421561B1 (ko) | 탐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점검 장치 | |
KR101235719B1 (ko) | 교량 케이블 자동진단시스템 | |
CN208814086U (zh) | 一种用于电缆隧道的巡检装置 | |
JP5213830B2 (ja) | 電柱研磨装置 | |
JP6426409B2 (ja) | チェーン巻上機 | |
CN205328501U (zh) | 轮胎起重机变幅机构的平衡滑轮组 | |
JP2006119398A (ja) | 宙乗機 | |
JP5565074B2 (ja) | デフレクタピンチロールの安全清掃方法及び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