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272B1 -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 Google Patents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5272B1 KR101315272B1 KR1020130025627A KR20130025627A KR101315272B1 KR 101315272 B1 KR101315272 B1 KR 101315272B1 KR 1020130025627 A KR1020130025627 A KR 1020130025627A KR 20130025627 A KR20130025627 A KR 20130025627A KR 101315272 B1 KR101315272 B1 KR 1013152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window
- plate
- ground plate
- contact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6—Solar ce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지붕에 설치되는 창호의 유리창에 태양전지를 설치하여 상기 태양전지판을 통해 전력을 자가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창틀에 설치된 창문이 슬라이딩되어 개폐가 가능한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지붕에 설치되는 창호의 유리창에 태양전지판를 설치하여 상기 태양전지판를 통해 전력을 자가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창틀에 설치된 창문이 슬라이딩되어 개폐가 가능한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 아파트, 빌딩 등 지상 건축물에 있어서 채광을 하거나 환기를 하기 위해서는 물론 보온, 방음, 조망을 목적으로 건축물의 개구부에 창호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창호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유형이 개발되어 왔으며, 한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382106호에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창호 시스템의 일 예가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 친환경 에너지로 태양광 에너지가 각광 받고 있다. 태양광 에너지는 태양의 빛 에너지를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바꿔주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에너지를 말한다. 이와 같은 태양광 에너지는 태양에서 공급되는 빛으로 부터 그 에너지를 무한정 공급받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사용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태양전지는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무공해이며 무한대의 에너지원인 태양광을 이용하므로 미래의 새로운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현재에는 태양광발전소나 건축물, 자동차 등의 발전 전력을 얻는데 이용되고 있다.
상기 태양전지는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로서, 각각이 플러스(+)와 마이너스(-) 극성을 띠는 2장의 반도체 박막으로 구성되며, 다수의 태양전지 셀(cell)들이 직/병렬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압 및 전류를 발생시키게 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태양전지에서 발생된 전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래에는 창호에 상기와 같은 태양전지가 설치되어 태양전지로 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창호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태양전지가 설치된 창호는 창문을 개방할 수 없도록 건축물의 개구부에 고정된 고정창에만 사용되었다. 이는 창문에 설치된 태양전지 때문에 창문을 개방할 수 없어 실내를 환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문의 유리창에 태양전지가 설치되고 창문을 개방할 수 있는 창호가 개발되었으나 태양전지와 연결된 전선이 단선되면 창호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태양전지와 연결된 창문을 창틀에서 분리할 수 없어 창틀에 쌓인 먼지나 이물질 등으로 인해 창문을 열 수 없는 단점이 발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건축물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호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를 실내로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고, 창호를 개방하여 실내의 환기 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는 건축물의 개구부의 둘레면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창틀(100); 상기 창틀(100)에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끼워지며, 중앙에 건축물의 외부와 접촉되는 제1 유리창(210) 및 건축물의 내부와 접촉되는 제2 유리창(220)을 구비하는 창문(200); 상기 제1 유리창(210)과 상기 제2 유리창(220) 사이에 형성되며,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판(300); 상기 창틀(10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창틀(100)의 내측 상면에 설치되며 통전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 접지판(400); 및 상기 태양전지판(300)과 상기 접지판(400)이 통전(通電)되도록 상기 창문(200)에 설치되어 상기 접지판(40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딩되는 접촉단자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부(500)는 상기 창문(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몸체(510); 일측이 상기 제1 몸체(510)의 일측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접지판(400)에 접촉되는 제1 접촉판(520); 상기 제1 접촉판(520)과 상기 제1 몸체(51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촉판(520)의 타측이 상기 접지판(40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접촉판(520)을 상기 접지판(400)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판(520)에는 상기 제1 접촉판(520)과 통전되며, 외측면이 상기 접지판(400)과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제1 접촉판(520)의 타측에 설치되는 회전롤러(5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510)에는 상기 제1 몸체(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홈(5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510)의 외측에 위치하는 헤드(541)와 상기 헤드(54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동홈(511)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몸체(510)를 관통하며 상기 헤드(541)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봉(542)을 포함하는 높이조절부(540)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봉(542)에는 상면에 상기 제1 탄성부재(530)가 고정되며, 상기 헤드(541)가 회전하면 상기 접지판(400)과 접촉되는 상기 제1 접촉판(520)의 타측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회전봉(54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탄성부재 고정대(5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부(500)는 상기 창문(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몸체(560); 상면이 상기 접지판(400)에 접촉되고 양측에 체결홀(571)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2 접촉판(570); 상기 제2 접촉판(570)이 상기 접지판(40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제2 접촉판(570)의 하면과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몸체(560)의 상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2 접촉판(570)을 상기 접지판(400)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580); 상기 제2 탄성부재(580)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기 제2 접촉판(570)이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접촉판(570)의 상면에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제2 접촉판(570)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 접촉판(570)의 각각의 체결홀(571)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몸체(560)에 고정되는 고정핀(5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판를 건축물의 개구부에 시공되는 창호의 유리창에 설치함으로써, 태양전지판로 부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건축물에서 사용하여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접지판을 설치하고, 태양전지판과 창틀의 접지판을 연결시켜주는 접촉단자부를 창문에 설치함으로써, 접지판과 접촉단자부가 상호 슬라이딩되어 창문을 자유롭게 개방할 수 있고, 창틀에서 창문이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태양전지판의 노후로 인해 창문의 교체가 필요할 시 노후된 창문만 교체할 수 있는 장점 및 창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축전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이 설치된 창호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가 접지판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창틀과 창문을 수직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접촉판에 회전롤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의 다른 작동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접촉판에 회전롤러가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은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의 실시예1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의 실시예2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가 접지판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창틀과 창문을 수직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접촉판에 회전롤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의 다른 작동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접촉판에 회전롤러가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은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의 실시예1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의 실시예2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판이 설치된 창호를 나타낸 정면도를, 도 2 는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가 접지판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의 창틀과 창문을 수직으로 절개한 단면도를, 도 4 는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측면도를, 도 6 은 본 발명의 접촉판에 회전롤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의 다른 작동방법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의 접촉판에 회전롤러가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9 은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의 실시예1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의 접촉단자부의 실시예2를 나타낸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태양전지가 구비된 창호는 창틀(100)을 갖는다. 창틀(100)은 건축물의 개구부의 둘레면을 따라 고정 설치된다. 즉 창틀(100)은 프레임 형상으로써 개구부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설치된다.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면 창틀(100)에는 창문(200)이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끼워진다. 창문(200)은 창틀(100)에 적어도 한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창문(200)은 건축물의 외부와 접촉되는 제1 유리창(210)과 건축물의 내부와 접촉되는 제2 유리창(220)을 포함하며 제1 유리창(210)과 제2 유리창(220)은 일정한 간격 이격된다. 또한 창문(200)은 제1 유리창(210)과 제2 유리창(2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유리창(210)과 제2 유리창(220)을 고정하는 창문프레임(230)을 포함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제1 유리창(210)과 유리창(220) 사이에는 태양전지판(300)이 형성된다. 태양전지판(300)은 태양빛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때 DC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DC전류를 후술하는 제어부(600)를 통하여 AC전류로 변환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창틀(100)의 내측 상면에는 접지판(400)이 형성된다. 접지판(400)은 창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즉 접지판(400)은 은, 구리, 철, 알루미늄 등 전기적 성질에 따라 전류를 잘 통하게 하는 전도체로 형성된다. 또한 접지판(400)은 태양전지판(300)으로부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축전지와,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전기제품에 사용할 수 있도록 DC전류를 AC전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inverter)를 포함하는 제어부(6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는 다양한 전기제품(70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태양전지판(300)과 접지판(400)이 상호 통전(通電)되도록 태양전지판(300)과 접지판(4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접촉단자부(500)가 형성되다. 접촉단자부(500)는 창문(2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창문(200)과 일체로 창틀(100)에서 슬라이딩 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접촉단자부(500)는 창틀(100)에 설치된 접지판(40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창문(200)과 일체로 슬라이딩 된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접촉단자부(500)는 제1 몸체(510)를 포함한다. 제1 몸체(510)는 창문(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제1 몸체(51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창문(200)의 상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몸체(510)의 일측부에는 힌지부(512)가 형성된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제1 몸체(510)의 힌지부(512)와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접촉판(520)이 형성된다. 제1 접촉판(520)은 제1 몸체(5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제1 접촉판(520)은 태양전지판(300)과 전선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접촉판(520)을 통해 태양전지판(300)과 접지판(400)이 상호 통전된다. 즉 제1 접촉판(52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제1 몸체(510)의 힌지부(512)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므로 제1 접촉판(520)이 상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접촉판(520)의 타측이 접지판(400)과 접촉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제1 접촉판(520)과 제1 몸체(510) 사이에는 제1 탄성부재(530)가 형성된다. 제1 탄성부재(530)는 일측이 제1 접촉판(520)의 하면에 접촉되고 타측이 제1 몸체(510)의 타측에 접촉된다. 제1 탄성부재(530)는 제1 접촉판(520)의 타측이 접지판(400)과 접촉하여 태양전지판(300)과 접지판(400)이 상호 통전될 수 있도록 제1 접촉판(520)을 접지판(400)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즉 제1 접촉판(520)의 타측이 접지판(400)과 접촉하도록 제1 탄성부재(530)가 제1 접촉판(520)을 상측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1 탄성부재(530)는 제1 접촉판(520)의 하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창문(200)을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제1 접촉판(520)은 하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탄성부재(530)는 압축된다. 들어올린 창문(200)의 하단이 창틀(100)의 하단과 이격되면서 창문(200)의 하단과 창틀(100)의 하단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틈이 발생한다. 이때 창문(200)을 일정각도 기울여 창문(200)을 창틀(100)에서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창틀(100)을 청소하거나 창문(200)에 설치된 태양전지판(300)을 교체하기 위하여 창문(200)을 창틀(100)에서 이탈시킬 때 창문(200)을 상측방향으로 들어올려 창틀(100)에서 창문(200)을 떼어낸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1 접촉판(520)의 타측에는 회전롤러(521)가 구비된다. 회전롤러(521)는 제1 접촉판(520)과 상호 통전되도록 형성되며 제1 접촉판(52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롤러(521)는 제1 접촉판(52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외측면이 접지판(400)과 접촉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창문(200)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때 회전롤러(521)가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롤러(521)와 접지판(400)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태양전지판(300)과 접지판(400)이 상호 통전된다.
도 7 의 (a)를 참조하면 제1 몸체(510)에는 이동홈(511)이 형성된다. 이동홈(511)은 제1 몸체(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 몸체(51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 의 (a)를 참조하면 제1 몸체(510)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높이조절부(540)가 형성된다. 높이조절부(540)는 제1 몸체(510)의 외측에 위치하는 헤드(541)와 헤드(541)로부터 연장되며 제1 몸체(510)를 관통하는 회전봉(542)을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봉(542)은 이동홈(5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541)와 회전봉(542)은 일체로 형성되며 헤드(54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봉(542)도 동일하게 회전한다. 회전봉(54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의 (a)를 참조하면 회전봉(542)에 체결되는 탄성부재 고정대(550)가 형성된다. 탄성부재 고정대(550)는 상면에 제1 탄성부재(530)가 고정되며, 회전봉(542)이 삽입되는 삽입홀(551)이 형성된다. 즉 회전봉(542)이 삽입홀(551)에 삽입되어 탄성부재 고정대(550)가 회전봉(542)에 체결된다. 이때 삽입홀(551)은 탄성부재 고정대(550)를 관통하며, 내주면에는 회전봉(542)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541)가 회전하면 회전봉(542)에 체결된 탄성부재 고정대(550)는 이동홈(511)에 안내되어 회전봉(542)에 형성된 나사산과 삽입홀(551)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인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 의 (b)를 참조하면 헤드(5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부재 고정대(550)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제1 접촉판(520)의 타측의 높이가 하강하고, 이와 반대로 헤드(542)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부재 고정대(55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1 접촉판(520)의 탄측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창문(200)의 상면과 창틀(100)의 접지판(400) 사이에 발생하는 간격이 다른경우 헤드(541)의 조작으로 인해 창문(200)에 설치된 태양전지판(300)과 접지판(400)이 통전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접촉단자부(500)는 도 7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접촉단자부(500)로 형성되되, 제1 접촉판(520)의 타측에 회전롤러(521)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롤러(521)는 상기된 회전롤러(521)와 동일한 형상과 구성 및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1
도 9 를 참조하면 접촉단자부(500)는 제2 몸체(560)를 포함한다. 제2 몸체(560)는 창문(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제2 몸체(56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창문(200)의 상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몸체(560)의 상측에는 상면이 접지판(400)에 접촉되는 제2 접촉판(570)이 형성된다. 제2 접촉판(570)은 중앙이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양측단에는 체결홀(571)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제2 접촉판(570)은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전기가 통하는 절연체로 형성된다.
도 9 를 참조하면 일측이 제2 접촉판(570)의 하면과 접촉되고 타측이 제2 몸체(560)의 상면과 접촉되어 제2 접촉판(570)을 접지판(400)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580)가 형성된다. 즉 제2 탄성부재(580)는 제2 접촉판(570)이 접지판(40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지판(400) 방향인 상측방향으로 제2 접촉판(570)을 탄성지지한다.
이때 제2 접촉판(57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홀(571)에 삽입되어 제2 몸체(560)에 고정되는 고정핀(590)이 구비된다. 고정핀(59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접촉판(57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핀(590)의 상측에는 체결홀(57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핀 헤드(591)가 형성되고 고정핀 헤드(591)로 인해 제2 탄성부재(580)에 의해 탄성지지된 제2 접촉판(570)이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핀(590)은 제2 접촉판(570)의 상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2 탄성부재(580)가 압축하고 이때 제2 접촉판(57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해 주는 목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고정핀(590) 내부가 중공된 제1 핀(592)과 외측면이 제1 핀(592)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제1 핀(592)에 삽입되는 제2 핀(59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핀(593)이 제1 핀(592)에 삽입되므로 제2 접촉판(57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0 을 참조하면 접촉단자부(500)는 제3 몸체(501)를 포함한다. 제3 몸체(501)는 창문(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제3 몸체(501)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몸체(501)의 상면에는 접촉판 하우징(503)이 구비되고 접촉판 하우징(503)의 내부에는 접지판(400)과 접촉되는 접촉볼(502)이 형성된다. 접촉볼(502)은 일측이 접촉볼(502)의 외측면과 접촉되고 타측이 제3 몸체(501)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3 탄성부재(504)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즉 접촉볼(502)은 제3 탄성부재(504)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제3 탄성부재(504)의 압축과 인장의 반복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접촉판 하우징(503)이 접촉볼(502)의 상하 이동방향을 안내함과 동시에 제3 탄성부재(504)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접촉볼(502)은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판(40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된다. 접촉판 하우징(503)은 상기된 태양전지판(300)과 연결되어 있고 접촉판 하우징(503)과 접촉볼(502)은 상호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상하방향 이동 및 회전되기 때문에 태양전지판(300)과 접지판(400)은 접촉판 하우징(503)과 접촉볼(502)을 통해 통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태양전지가 구비된 창호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판 창문(200)에 설치함으로써, 태양전지판(300)으로부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전기제품에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사용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200)자유롭게 개방할 수 있고, 창틀(100)에서 창문(200)이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태양전지판(300)의 노후로 인해 창문(200)의 교체가 필요할 시 노후된 창문(200)만 교체할 수 있는 장점 및 창틀(100)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창틀 200 : 창문
210 : 제1 유리창 220 : 제2 유리창
230 : 창문 프레임 300 : 태양전지판
400 : 접지판 500 : 접촉단자부
501 : 제3 몸체 502 : 접촉볼
503 : 접촉판 하우징 504 : 제3 탄성부재
510 : 제1 몸체 511 : 이동홈
512 : 힌지부 520 : 제1 접촉판
521 : 회전롤러 530 : 제1 탄성부재
540 : 높이조절부 541 : 헤드
542 : 회전봉 550 : 탄성부재 고정대
551 : 삽입홀 560 : 제2 몸체
570 : 제2 접촉판 580 : 제2 탄성부재
590 : 고정핀 591 : 고정핀 헤드
592 : 제1 핀 593 : 제2 핀
600 : 제어부 700 : 전기제품
210 : 제1 유리창 220 : 제2 유리창
230 : 창문 프레임 300 : 태양전지판
400 : 접지판 500 : 접촉단자부
501 : 제3 몸체 502 : 접촉볼
503 : 접촉판 하우징 504 : 제3 탄성부재
510 : 제1 몸체 511 : 이동홈
512 : 힌지부 520 : 제1 접촉판
521 : 회전롤러 530 : 제1 탄성부재
540 : 높이조절부 541 : 헤드
542 : 회전봉 550 : 탄성부재 고정대
551 : 삽입홀 560 : 제2 몸체
570 : 제2 접촉판 580 : 제2 탄성부재
590 : 고정핀 591 : 고정핀 헤드
592 : 제1 핀 593 : 제2 핀
600 : 제어부 700 : 전기제품
Claims (5)
- 건축물의 개구부의 둘레면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창틀(100);
상기 창틀(100)에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끼워지며, 중앙에 건축물의 외부와 접촉되는 제1 유리창(210) 및 건축물의 내부와 접촉되는 제2 유리창(220)을 구비하는 창문(200);
상기 제1 유리창(210)과 상기 제2 유리창(220) 사이에 형성되며,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판(300);
상기 창틀(10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창틀(100)의 내측 상면에 설치되며 통전(通電)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 접지판(400); 및
상기 태양전지판(300)과 상기 접지판(400)이 통전(通電)되도록 상기 창문(200)에 설치되어 상기 접지판(40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슬라이딩되며, 상기 창문(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 몸체(510); 일측이 상기 제1 몸체(510)의 일측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타측에는 외측면이 상기 접지판(400)과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롤러(521)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롤러(521)과 통전되는 제1 접촉판(520); 및 상기 제1 접촉판(520)과 상기 제1 몸체(51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촉판(520)의 타측이 상기 접지판(40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접촉판(520)을 상기 접지판(400)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530)를 포함하는 접촉단자부(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510)에는 상기 제1 몸체(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홈(5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510)의 외측에 위치하는 헤드(541)와 상기 헤드(54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동홈(511)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몸체(510)를 관통하며 상기 헤드(541)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봉(542)을 포함하는 높이조절부(540)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봉(542)에는 상면에 상기 제1 탄성부재(530)가 고정되며, 상기 헤드(541)가 회전하면 상기 접지판(400)과 접촉되는 상기 제1 접촉판(520)의 타측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회전봉(54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탄성부재 고정대(5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부(500)는
상기 창문(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 몸체(560);
상면이 상기 접지판(400)에 접촉되고 양측에 체결홀(571)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2 접촉판(570);
상기 제2 접촉판(570)이 상기 접지판(40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제2 접촉판(570)의 하면과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몸체(560)의 상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2 접촉판(570)을 상기 접지판(400)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580);
상기 제2 탄성부재(580)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기 제2 접촉판(570)이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접촉판(570)의 상면에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제2 접촉판(570)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 접촉판(570)의 각각의 체결홀(571)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몸체(560)에 고정되는 고정핀(59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5627A KR101315272B1 (ko) | 2013-03-11 | 2013-03-11 |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5627A KR101315272B1 (ko) | 2013-03-11 | 2013-03-11 |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5272B1 true KR101315272B1 (ko) | 2013-10-17 |
Family
ID=4963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5627A KR101315272B1 (ko) | 2013-03-11 | 2013-03-11 |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5272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5310B1 (ko) | 2013-03-13 | 2015-02-27 | 은성이엔지(주) |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 |
KR101690678B1 (ko) * | 2015-10-07 | 2016-12-28 | 문여진 | 태양광 발전 창호 |
WO2017192022A1 (ko) * | 2016-05-04 | 2017-11-09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집광 장치 패널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US10570654B2 (en) | 2017-10-13 | 2020-02-25 | Hyundai Motor Company | Solar-power-generation-type sliding window assembly |
KR102294004B1 (ko) * | 2021-01-08 | 2021-08-26 | 이창무 |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스마트창호의 전력공급장치 |
KR102375001B1 (ko) * | 2020-09-11 | 2022-03-17 | 한국광기술원 | 실내 광을 전원으로 이용하는 감성 조명 장치 |
KR20230106282A (ko) * | 2022-01-06 | 2023-07-13 | 주식회사 케이씨씨 | 스마트 창호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31110A (ja) * | 1994-02-18 | 1995-08-29 | Sanyo Electric Co Ltd | 窓部発電装置 |
KR101180122B1 (ko) | 2010-11-17 | 2012-09-05 | 현대건설주식회사 | 태양전지를 이용한 미닫이 도어 조립체 |
KR20120116065A (ko) * | 2011-04-12 | 2012-10-22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
KR20130006817A (ko) * | 2011-06-24 | 2013-01-18 | 현대건설주식회사 |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
-
2013
- 2013-03-11 KR KR1020130025627A patent/KR1013152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31110A (ja) * | 1994-02-18 | 1995-08-29 | Sanyo Electric Co Ltd | 窓部発電装置 |
KR101180122B1 (ko) | 2010-11-17 | 2012-09-05 | 현대건설주식회사 | 태양전지를 이용한 미닫이 도어 조립체 |
KR20120116065A (ko) * | 2011-04-12 | 2012-10-22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
KR20130006817A (ko) * | 2011-06-24 | 2013-01-18 | 현대건설주식회사 |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5310B1 (ko) | 2013-03-13 | 2015-02-27 | 은성이엔지(주) |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 |
KR101690678B1 (ko) * | 2015-10-07 | 2016-12-28 | 문여진 | 태양광 발전 창호 |
WO2017192022A1 (ko) * | 2016-05-04 | 2017-11-09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집광 장치 패널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US10570654B2 (en) | 2017-10-13 | 2020-02-25 | Hyundai Motor Company | Solar-power-generation-type sliding window assembly |
KR102375001B1 (ko) * | 2020-09-11 | 2022-03-17 | 한국광기술원 | 실내 광을 전원으로 이용하는 감성 조명 장치 |
KR102294004B1 (ko) * | 2021-01-08 | 2021-08-26 | 이창무 |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스마트창호의 전력공급장치 |
KR20230106282A (ko) * | 2022-01-06 | 2023-07-13 | 주식회사 케이씨씨 | 스마트 창호 |
KR102718784B1 (ko) * | 2022-01-06 | 2024-10-23 | 주식회사 케이씨씨 | 스마트 창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5272B1 (ko) |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 |
KR102233075B1 (ko) | 태양광 발전용 루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창 | |
EP3892813B1 (en) | Solar battery blind | |
KR101364497B1 (ko) |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 |
KR101573058B1 (ko) |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전동식 블라인드 | |
CN110094153B (zh) | 一种建筑光伏百叶窗 | |
KR101643324B1 (ko) |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 |
KR101495310B1 (ko) |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 | |
KR101690678B1 (ko) | 태양광 발전 창호 | |
KR102440687B1 (ko) | 태양광 발전형 슬라이딩 창호 조립체 | |
CN104882753B (zh) | 一种电力连接系统 | |
KR101271942B1 (ko) |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 |
KR102294004B1 (ko) |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스마트창호의 전력공급장치 | |
CN209244490U (zh) | 一种太阳能蓄能型直条式电动百叶 | |
KR101180122B1 (ko) | 태양전지를 이용한 미닫이 도어 조립체 | |
CN104790599A (zh) | 一种阳台用光伏雨篷装置 | |
CN205666407U (zh) | 可滑动插孔 | |
KR101120031B1 (ko) | 태양광 발전 겸용 커튼 장치 | |
CN108999554A (zh) | 一种太阳能蓄能型直条式电动百叶 | |
KR101470119B1 (ko) | 블라인드형 태양광 발전 장치 및 제어 방법 | |
KR20100092548A (ko) | 시스템 창호 | |
CN209244489U (zh) | 一种太阳能蓄能型翻片式电动百叶 | |
KR102056011B1 (ko) | 스마트 창호 | |
CN204285115U (zh) | 移动式家用led照明装置 | |
KR200473344Y1 (ko) | 태양광 발전기능이 구비된 창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