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246B1 -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3246B1 KR101293246B1 KR1020100132147A KR20100132147A KR101293246B1 KR 101293246 B1 KR101293246 B1 KR 101293246B1 KR 1020100132147 A KR1020100132147 A KR 1020100132147A KR 20100132147 A KR20100132147 A KR 20100132147A KR 101293246 B1 KR101293246 B1 KR 1012932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story
- portable terminal
- display
- information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5—Printing by reference, e.g. retrieving document/image data for a job from a source mentioned in the job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73—Print job history, e.g. logging, accounting, trac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9—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server-printer device-client configuration, e.g. print flow goes from server to printer and then bidirectional from printer to client, i.e. the client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serv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액세스 이력의 표시에는, 유저의 휴대 단말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표시되어서 불특정 다수의 사람의 눈을 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서는, 기억한 복수의 잡의 이력을 표시할 때,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비표시로 설정하면(S76), 표시하는 복수의 잡의 이력 중,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한다(S77).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보처리장치와 휴대단말과의 사이의 통신에 관한 정보를, 휴대단말 혹은 정보처리장치에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편의점, 카피 숍(copy shops) 등에서 카피 및 FAX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는 유저의 편리성을 손상하지 않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의 개인 정보가 다른 유저에게 누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서, 서비스의 이용 빈도를 높이고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는, 프린터, 스캐너, 팩시밀리 기능을 갖는 복합기(MFP)가 이용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3-233725호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의 회원 카드를 카드 리더로 판독하고, 그 회원 카드로부터 판독한 유저의 ID, 패스워드 및 유효기간에 근거해서 그 유저를 인증하는 데이터 송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렇게 유저가 인증되면, 그 유저에 대한 조작 허가가 주어진다.
휴대단말과의 통신기능을 갖는 MFP에는, 휴대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되어 있는 URL을 수취해서, 그것으로부터 인쇄대상의 페이지를 판독하고, 그 판독한 페이지를 인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MFP는 오피스, 편의점, 역의 플랫폼, 대기실 등의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MFP에 기억되어 있는 액세스 이력은 프린트 잡의 실시결과를 나타내고, 휴대단말이 MFP와의 통신에 의해 URL을 입력하여, 그 내용을 프린트한 잡의 결과도 포함한다. 이 액세스 이력이 표시되면, 이 MFP의 좋아하는 것(favorite)에 등록되어 있는 URL로부터의 액세스 이력뿐만 아니라, 유저의 휴대 단말로부터 입력된 정보도 표시되기 때문에, 불특정 다수의 사람의 눈을 끈다. 이 때문에, 유저의 서비스 이용 정보의 은닉성이 실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휴대 단말로부터 입력한 정보의 은닉성을 실현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을 포함한,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된 복수의 잡의 이력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을 표시할 때,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비표시로 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에 의해 비표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 중,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과의 통신기능을 갖는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을 포함한,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된 복수의 잡의 이력을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단계에서 기억된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을 표시할 때,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비표시로 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단계에서 비표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표시단계에서 표시하는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 중,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과의 통신기능을 갖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컴퓨터를, 휴대 단말과의 통신기능을 갖는 정보처리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을 포함한,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된 복수의 잡의 이력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을 표시할 때,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비표시로 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에 의해 비표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 중,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의 적어도 일부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로부터 입력된 잡의 이력 중에서, 그 휴대 단말의 유저 이외의 사람으로부터 보이고 싶지 않은 정보를 은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MFP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MFP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MFP에 인스톨된 네트워크 프로그램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MFP 및 휴대 단말에 표시되는 이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MFP의 로그 생성부에서 생성된 로그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휴대 단말과의 로그 정보의 등록 및 액세스 이력 표시의 설정에 사용하는 UI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휴대 단말과의 액세스 이력의 표시 설정 및 로그 정보의 삭제 타이밍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MFP에 있어서 로그 정보를 등록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도 6의 액세스 이력 화면을 표시하는 MFP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액세스 이력 화면의 표시 내용이, 휴대 단말과 통신하고 있는 것인지 아닌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3은 도 11의 스텝 S50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도 14는 도 13의 스텝 S55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도 15는 도 11의 스텝 S30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도 16은 도 15의 스텝 S62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7은 도 15의 스텝 S63의 My 액세스 이력 화면의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8은 MFP에서 액세스 이력을 삭제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MFP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MFP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MFP에 인스톨된 네트워크 프로그램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MFP 및 휴대 단말에 표시되는 이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MFP의 로그 생성부에서 생성된 로그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휴대 단말과의 로그 정보의 등록 및 액세스 이력 표시의 설정에 사용하는 UI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휴대 단말과의 액세스 이력의 표시 설정 및 로그 정보의 삭제 타이밍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MFP에 있어서 로그 정보를 등록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도 6의 액세스 이력 화면을 표시하는 MFP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액세스 이력 화면의 표시 내용이, 휴대 단말과 통신하고 있는 것인지 아닌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3은 도 11의 스텝 S50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도 14는 도 13의 스텝 S55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도 15는 도 11의 스텝 S30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도 16은 도 15의 스텝 S62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7은 도 15의 스텝 S63의 My 액세스 이력 화면의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8은 MFP에서 액세스 이력을 삭제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모두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의 일례로서 복합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복합기 (MFP)(100)은, 카피 숍(copy shop), 편의점, 호텔, 역 등의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 MFP(100)는, 카피 기능, 스캐너 기능, 패시밀리 기능, 프린터 기능, 통신기능 등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카피 서비스, FAX 송수신 서비스, 네트(net) 프린트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 프린트 서비스는, 웹 서버에 투고된 워드프로세서 등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인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MFP(100)와 웹 서버(102)는, 네트워크(103)를 통해서, 대응하는 웹 콘텐츠의 요구/응답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MFP(100)와 휴대 단말(101)은 서로 통신 가능하다. 휴대 단말(101)은, MFP(100)에, 인쇄하고 싶은 웹 콘텐츠의 URL을 송신할 수 있다. 또, 휴대 단말(101)은, 웹 콘텐츠의 MFP(100)에서의 프린트 이력 정보를 MFP(100)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화면 504는, 휴대 단말(101)에 의해 MFP(100)에서 실행된 인쇄의 프린트 이력 정보를 휴대 단말(101)의 My 액세스 이력 화면에서 표시하고 있는 화면 예를 나타낸다. 화면 502는, MFP(100)가 실시한 인쇄의 프린트 이력 정보를, MFP(100)의 액세스 이력 화면에서 표시하고 있는 화면 예를 나타낸다. 또, 화면 503은, MFP(100)가 실시한 인쇄의 프린트 이력 정보 중에서 특정한 유저의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MFP(100)의 My 액세스 이력 화면의 화면 예를 나타낸다. 화면 502에 표시된 액세스 이력에 있어서, "휴대 단말 입력"은, 휴대 단말(101)의 액세스 이력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휴대 단말(101)에 의해 지시된 URL의 표시가 금지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MFP(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CPU(130)는, ROM(13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과 RAM(132)을 이용해 MFP 전체를 제어한다. 조작부(133)는, 액정표시부와, 스타트 키, 텐 키 패드(ten-key pads) 등의 하드 키를 구비한다. 액정 표시부에 소프트 키를 표시한다. 유저가 손가락으로 그 키에 터치하면, 조작부(133)는 유저의 조작을 접수한다. 스캐너부(134)는,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광전변환에 의해 전기 데이터로 변환한다. 스캐너부(134)는, 원고 급송 장치로부터 플래튼(platen) 유리로 원고가 반송되면, 램프를 점등해서 스캐너부의 이동을 시작해서 원고를 노광 주사한다.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은, 미러 및 렌즈에 의해 CCD 센서로 인도된 후에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A/D 변환 회로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렇게 해서, 원고의 판독 동작이 종료하면, 그 원고는 배지된다.
프린터부(135)는,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지에 화상을 인쇄한다.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레이저 빔을 레이저 발광부에서 발광시킨다. 이 레이저 빔은 감광 드럼을 조사해서 감광 드럼 위로 레이저 빔에 대응한 잠상(latent image)을 형성한다. 감광 드럼의 잠상의 부분에는 현상부에 의해 현상제(토너)가 부착된다. 레이저 빔의 조사 시작과 동기한 타이밍에서, 급지 카세트로부터 인쇄지를 급지하고, 전사부까지 반송한다. 전사부는, 감광 드럼에 부착된 현상제를 인쇄지에 전사한다. 이렇게 해서 현상제가 전사된 인쇄지는 정착부에 반송된다. 정착부는, 열과 압력에 의해 해당 현상제를 인쇄지에 정착한다. 이렇게 해서 정착부를 통과한 인쇄지는, 배출 롤러에 의해 배출된다. 소터(sorter)는, 배출된 인쇄지를 각각의 빈(bin)에 수납해서 인쇄지의 구분을 행한다.
화상처리회로(136)는, 대용량의 화상 메모리, 화상회전회로, 해상도 변배회로, MH, MR, MMR, JBIG, JPEG 등의 부호화/복호화 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화상처리회로(136)는, 쉐이딩(shading), 트리밍(trimming), 마스킹(masking) 등의 각종 화상처리도 실행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137)는 SCSI 혹은 IDE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대용량 기억매체다. 네트워크 I/F(138)는, 10BASE-T 혹은 100BASE-T를 대표로 하는 이더넷(등록상표) 또는 토큰 링(token ring) 등의 네트워크 회선과 MFP(100)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다. 포맷터부(139)는,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데이터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작성한다. 포맷터부(139)는, IEEE1284 준거의 패럴(parallel) 인터페이스, USB 등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인 PC I/F 142, 또는 네트워크 I/F(138)를 통해서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렌더링한다. 이렇게 해서 렌더링한 화상은, 화상처리회로(136)의 화상처리를 받은 후, 프린터부(135)에 의해 인쇄된다. 스캐너부(134), 프린터부(135), 화상처리회로(136), 및 포맷터부(139)는, CPU(130)로부터의 CPU 버스와는 다른 고속 비디오 버스를 통해서 접속되어, 화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다. 스캐너부(134)로 원고를 판독해서 얻은 화상 데이터를 화상처리회로(136)로 처리한 후에, 프린터부(135)로 인쇄함으로써, 카피 기능이 실현된다. 로그 정보(144)는 FAX 송신, 카피, 프린트 등의 서비스의 이용 이력의 정보이며, 하드 디스크(137)에 기억된다.
도 3은, MFP(100)가, 휴대 단말(101)과 연계해서 웹 콘텐츠를 취득해서 인쇄하고, 그 로그 정보를 저장 및 열람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들 소프트웨어는 ROM(131)에 기억되어 있다.
조작 화면 입력부(151)는, 조작부(133)의 입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기능에 의해 유저는 인쇄하고 싶은 웹 콘텐츠의 URL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휴대 단말 입력부(152)는, 휴대 단말(101)과의 통신에 의해 입력을 접수하는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휴대 단말(101)의 유저가 인쇄하고 싶은 웹 콘텐츠의 URL 등을 취득할 수 있다. 입력 정보 기억부(153)는, 조작 화면 입력부(151) 또는 휴대 단말 입력부(152)로부터 입력된 URL을 기억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입력 정보 기억부(153)는, 그 밖의 기억 내용으로서, 어디에서 입력된 정보(휴대 단말/MFP 등록/수동 입력)인지를 판별하는 입력 정보와, 정보가 휴대 단말(101)로부터 입력될 때 휴대 단말을 특정하는 ID(단말 ID)도 기억하고 있다. 한편, 단말 ID에 대해서는, 도 7의 로그 정보(144)를 참조해서 후술한다.
웹 정보 취득부(154)는, 입력 정보 기억부(153)에 기억된 URL의 정보를 웹 서버(102)로부터 다운로드해서 기억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프린트 데이터 작성부(155)는, 웹 정보 취득부(154)에 의해 다운로드된 정보를, 포맷터부(139)를 이용해서 프린트 가능한 프린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프린트 의뢰부(156)는, 프린트 데이터 작성부(155)에 의해 작성된 프린트 데이터를 프린터부(135)에 의해 프린트시키는 기능을 실행한다.
로그 생성부(157)는, 프린트 의뢰부(156)에 의해 실시한 인쇄의 성공/실패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와, 입력 정보 기억부(153)에 기억되어 있는 URL 등의 정보를 모아서, 로그 정보(144)를 작성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로그 등록부(158)는, 로그 생성부(157)에서 작성한 로그 정보(144)를 하드 디스크(137) 등에 저장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로그 취득부(159)는 로그 등록부(158)에 의해 등록된 로그 정보(144)를 취득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로그 표시 내용 생성부(160)는, 로그 취득부(159)에 의해 취득한 로그 정보(144)를, MFP(100)에, 예를 들면 화면 502나 화면 503으로서, 또 휴대 단말(101)에, 예를 들면 화면 504로서 표시하기 위해서 가공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휴대 단말 로그 표시부(161)는, 로그 표시 내용 생성부(160)에 의해 가공된 정보를, 휴대 단말(101)에, 예를 들면 화면 504로서 표시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조작 화면 로그 표시부(162)는, 로그 표시 내용 생성부(160)에서 가공된 정보를, MFP(100)에, 예를 들면 화면 502나 화면 503으로서 표시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최단 단말 기억부(163)는, MFP(100)로부터 최단의 거리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에 고유한 식별 정보로서, 그 단말 ID를 기억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휴대 단말 검출부(164)는, MFP(100)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검출하고, 그 단말 ID를 취득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현 단말 기억부(165)는, 지금 현재, MFP(100)와 통신하고 있는 휴대 단말의 단말 ID를 기억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최신 단말 기억부(166)는, 현 단말 기억부(165)에 기억되어 있는 단말 ID 중에서, 가장 최근에 프린트를 실시한 휴대 단말의 ID를 기억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 인스톨된 네트워크 프로그램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프로그램은, IP층(200), TCP/UDP층(201), 애플리케이션층(202)의 3계층으로 대별된다. IP층(200)은, 발신지 호스트로부터 수신지 호스트에, 라우터 등의 중계 노드와 연계하면서 메시지를 보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의 프로토콜 계층이다. IP층(200)에서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발신지 호스트의 어드레스, 및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지 호스트의 어드레스를 관리하고, 데이터를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내에서 어떤 경로로 수신지 호스트까지 보낼지를 관리하는 라우팅(routing) 기능을 실행한다. TCP/UDP층(201)은, 송신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로부터 수신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로 메시지를 보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트랜스포트 계층이다. TCP은 커넥션형(connection-oriented)의 서비스로서, 통신의 고도한 신뢰성을 보증한다. UDP은 커넥션리스(connectionless)형의 서비스로서, 통신의 신뢰성의 보증을 행하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층(202)은, 이하와 같은 복수의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다.
- 파일 전송 서비스로서의 FTP(File Transfer Protocol)
-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서의 SNMP
- 인쇄용의 서버 프로토콜로서의 LPD
- WWW(World Wide Web) 서버의 프로토콜로서의 HTTPd
- 전자우편 송수신 프로토콜로서의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메일 다운로드 프로토콜의 POP3(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 유저의 전자우편 어드레스 등을 관리해 디렉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또한, RFC1510로 규정되어 있는 Kerberos 인증 프로그램도 탑재되어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102)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CPU(351)는, ROM(352)으로부터 RAM(353)으로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제어를 실현한다. ROM(352)에는, 예를 들면 서버의 기동을 시작하는 부트(boot) 프로그램과, 해당 서버의 각종 파라미터가 기억되어 있다. RAM(353)은 메인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디스플레이(354)는, CPU(351)의 제어 하에서 각종의 표시를 행한다. 하드 디스크(HD)(355)는 2차 기억장치로 기능하여, MFP(100)로부터 수집한 잡 로그 정보를 저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56)는, 네트워크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입력부(357)는, 예를 들면 키보드, 포인팅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고 있다. 시스템 버스(360)는, 전술한 각 부와 CPU(351)를 접속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MFP(100) 및 휴대 단말(101)에 표시되는 이력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6에 있어서, 6A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6A∼6C는, 도 1의 화면 예 502∼504에 대응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면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항목 591은, 액세스의 일시를 나타낸다. 항목 592는, 그 액세스 의뢰가 어디에서 행해졌는지를 나타낸다. 항목 592에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로부터의 입력이면 "휴대 단말 입력"이 표시된다. 또, MFP의 좋아하는 것에 등록되어 있는 내용에 근거하는 경우에는, 조작부(133)에서의 조작에 의해 조작 화면 입력부(151)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URL을 선택함으로써, URL이 입력된다. 이 경우, 항목 592에는 "MFP 좋아하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텍스트 입력"은, 유저가 조작부(133)의 소프트 키 등을 사용해서 URL을 직접 입력했을 경우를 나타낸다. 항목 593은, 조작 화면 입력부(151)나 휴대 단말 입력부(152)에 의해 입력된, 정보의 취득처인 URL 등의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액세스 이력 510 내지 513은, 액세스 이력을 시계열로 표시하고 있다.
도 6의 6A의 화면 501은, 종래부터 표시되어 있는 화면 예를 나타낸다. 이 화면 501은 액세스 이력 510∼513의 모든 항목을 표시한다. 한편, "액세스 이력"은, 로그 정보(144)의 각각의 이력의 내용을 대체하는 표현이다.
도 6의 6B의 화면 502는, 본 실시예에 따른 MFP(100)의 조작부(133)에 표시되는 화면 예를 나타낸다. 액세스 이력 520∼523은, 6A의 액세스 이력 510∼513에 대응하고 있다. 이 경우에, 액세스 이력 520 및 522의 항목 592가 "휴대 단말 입력"이기 때문, 항목 593(정보의 취득처)이 마스크(mask)되어 표시되어 있다.
도 6의 6C의 화면 503은, 휴대 단말(101)과 통신하고 있을 때에 MFP(100)의 조작부(133)에 표시되는 My 액세스 이력 화면 예이다. 그 화면은 휴대 단말(101)로부터 의뢰된 액세스 이력만을 표시하고 있다. 액세스 이력 530 및 531은, 프린트를 위한 액세스 이력을 시계열로 표시하고 있다.
도 6의 6D의 화면 504는, MFP(100)와 통신하고 있는 휴대 단말(101)에 표시되는 My 액세스 이력 화면 예를 나타낸다. 이 화면은 그 휴대 단말(101)로부터 의뢰된 액세스 이력만을 표시하고 있다. 액세스 이력 540 및 541은, 프린트를 위한 액세스 이력을 시계열로 표시하고 있다.
도 7은, MFP(100)의 로그 생성부(157)에서 생성된 로그 정보(144)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항목 620은, 액세스 이력을 특정하는 관리 번호를 나타낸다. 항목 621은, 그 액세스(인쇄)가 발생한 일시를 나타낸다. 항목 622는, 인쇄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OK), 이상으로 종료했는지(NG)를 나타낸다. 항목 623은, (항목 624로서 후술하는) 인쇄 대상의 정보의 장소를 나타내는 URL 정보가 어디에서 입력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K"은 휴대 단말로부터의 입력, "F"는 MFP(100)에 등록되어 있는 좋아하는 것으로부터의 입력, "T"는 MFP(100)의 입력 필드로부터의 입력을 나타낸다. 항목 624는, 인쇄 대상의 정보의 장소를 나타내는 URL 정보다. 이 URL 정보에 의해, 웹 서버(102)는, 그 인쇄 대상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 URL 정보는, 인쇄 내용을 산출해 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개인 정보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다. 항목 625는, 휴대 단말로부터의 입력일 경우에, 그 휴대 단말을 특정하는 ID다. 액세스 이력 610 내지 613은, MFP(100)에의 액세스가 발생한 순으로 (시계열로) 배열되어 있는 액세스 이력(로그 정보)을 나타낸다.
도 8 및 도 9에서, 8A∼8C 및 9A∼9C은, MFP(100)의 조작부(133)에 표시되는 UI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8A는, 휴대 단말 로그 등록에 관한 설정 화면이다. 이 화면은, 휴대 단말(101)로부터 입력된 URL의 정보를 인쇄할 때 휴대 단말(101)로부터의 액세스를 액세스 이력으로서 등록할지, 하지 않을지를 설정하기 위해서 표시된다. 여기에서 유저가 ON 버튼을 선택한 경우, 휴대 단말로부터의 액세스 이력을 로그 정보(144)에 기록한다. 유저가, OFF 버튼을 선택한 경우에는, 휴대 단말로부터의 액세스 이력을 로그 정보(144)에 기록하지 않는다.
도 8에서, 8B은, 휴대 단말 URI(URL) 표시에 관한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이 화면은 휴대 단말(101)로부터 입력된 URL 정보를 표시할지 하지 않을지를 설정하기 위해 표시된다. 여기에서 유저가 ON 버튼을 선택한 경우, 그대로 액세스 이력을 표시한다. 유저가 OFF 버튼을 선택한 경우에는, 휴대 단말로부터의 액세스 이력에 있어서의 URL을 마스크해서 표시한다(URL을 표시하지 않는다)(도 6의 6B).
도 8에서, 8C는, My 액세스 이력 전환 표시에 관한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이 화면은 휴대 단말(101)이 MFP(100)와 통신 상태에 있을 경우에, 휴대 단말(101)의 유저의 정보만 표시할지, 모든 유저의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표시할지를 설정하기 위해 표시된다. 여기에서, 유저가 ON 버튼을 선택했을 경우, 통신 상태에 있는 휴대 단말만의 My 액세스 이력 화면을 표시한다(도 6의 6C). 한편, 유저가 OFF 버튼을 선택했을 경우, 도 6에 있어서의 6A의 액세스 이력 화면(전체 표시) 또는 6B의 액세스 이력 화면(제한 표시)을 표시한다.
도 9에서, 9A는, My 액세스 이력을 휴대 단말에 통지할지 않을지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다. 이 화면은, MFP(100)가 휴대 단말(101)에 로그 정보의 액세스 이력을 휴대 단말 로그 표시부(161)에 의해 알릴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여기에서, 유저가 ON 버튼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휴대 단말(101)에, 예를 들면 도 6의 6D에 나타낸 로그 정보를 통지하도록 설정한다. 또, 유저가 OFF 버튼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휴대 단말(101)에 로그 정보를 통지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도 9에서, 9B는, 최단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을 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다. 이 화면은, MFP(100)가, MFP(100)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휴대 단말(101)의 액세스 이력을 조작부(133)에 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여기에서, 유저가 ON 버튼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MFP(100)로부터의 최단 거리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을 MFP(100)의 조작부(133)에, 예를 들면 화면 503과 같이 표시한다. 또, 유저가 OFF 버튼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현 단말 기억부(165)에 기억되어 있는 휴대 단말 중에서 가장 최근의 잡을 실행한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을 MFP(100)의 조작부(133)에, 예를 들면 화면 503과 같이 표시한다.
도 9에서, 9C은, 도 8의 8A에 나타낸 휴대 단말 로그 등록 화면에 있어서 OFF 버튼이 선택되었을 때에, 로그 정보(144)로부터의 액세스 이력의 삭제의 조건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삭제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이 화면은, 액세스 이력을 로그 정보로서 등록하지 않지만, 액세스 이력을 삭제하는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다. 여기에서, 유저가 "미등록" 버튼을 선택했을 경우, 로그 정보(144)에 액세스 이력이 등록되지 않는다. 유저가 "통신 차단시 삭제" 버튼을 선택했을 경우, MFP(100)와 통신하고 있는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만이 로그 정보(144)에 존재한다. MFP(100)와 휴대 단말과의 통신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게 되면, 그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이 로그 정보(144)로부터 삭제된다. 유저가 "잡 전환시 삭제" 버튼을 선택했을 경우, 로그 정보(144)에 신규 액세스가 확인되었을 때, 또는 로그 정보가 추가되었을 때에, 휴대 단말과의 통신을 나타내는 액세스 이력을 삭제한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 있어서 로그 정보를 등록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한편, 이 처리는, CPU(130)가 ROM(13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우선, 스텝 S1에서, CPU(130)는, URI(URL)가 어디에서 입력되었는지를, 입력 정보 기억부(153)의 정보에 근거해서 판단한다. 스텝 S1에서, CPU(130)는, URL이 휴대 단말(101)로부터의 입력이라고 판정하면 처리는 스텝 S2로 진행되어,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이템 623에 "K"(휴대 단말)을 설정하고, 그 후 처리는 스텝 S5로 진행된다. 또, 스텝 S1에서, URL이 MFP(100)의 좋아하는 것으로부터의 입력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3로 진행되어, 아이템 623에 "F"(MFP 등록)을 설정하고, 그 후 처리는 스텝 S5로 진행된다. 또한, 스텝 S1에서, URL이 MFP(100)에서의 수동 입력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로 진행되어, 아이템 623에 "T" (수동 입력)을 설정하고, 그 후 처리는 스텝 S5로 진행된다. 스텝 S5에서는, 입력 정보 기억부(153)로부터 입력된 URL을 사용하여, 웹 정보 취득부(154)가, 인쇄 대상의 정보를 웹 서버(102)로부터 다운로드하고, 처리는 스텝 S6로 진행된다. 스텝 S6에서는, 프린트 데이터 작성부(155)가 스텝 S5에서 다운로드한 정보에 근거해서 프린트 데이터를 작성한다. 프린트 의뢰부(156)는 프린터부(135)에 인쇄를 의뢰하고, 처리는 스텝 S7로 진행된다.
스텝 S7에서, CPU(130)는, 도 8의 8A의 휴대 단말 로그 등록 화면에서 ON 버튼이 선택되었지를 판정한다. ON 버튼이 선택되었으면, 처리는 스텝 S9로 진행된다. OFF 버튼이 선택되었을 때는, 처리가 스텝 S8로 진행된다. 스텝 S8에서는, CPU(130)는, 도 9의 9C의 삭제 설정 화면에서 "미등록"이 선택되었지를 판정한다. 스텝 S8에서 YES이면, 본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8에서, "통신 차단시 삭제" 또는 "잡 전환시 삭제"가 선택되었으면, 처리는 스텝 S9로 진행된다.
스텝 S9에서는, CPU(130)는, 스텝 S1과 마찬가지로, 입력이 어디에서 왔는지를 판정한다. 입력이 "K" (휴대 단말)이면, 처리는 스텝 S1O로 진행되어, 입력에 "K"(휴대 단말)을 설정하면서 로그 생성부(157)에서 로그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처리는 스텝 S13로 진행되어서, 그 휴대 단말을 특정하는 단말 ID를 로그 생성부(157)에서 생성하고, 로그 등록부(158)에서 단말 ID를 등록한다. 그리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또, 스텝 S9에서, CPU(130)는, 입력이 "F" (MFP 등록)라고 판정하면, 처리는 스텝 S11로 진행되어서, 입력에 "MFP(100)"을 설정하면서 로그 생성부(157)에서 로그 정보를 생성한다. 그 후에, 로그 등록부(158)가 로그 정보를 등록한다. 또, 스텝 S9에서, CPU(130)는, 입력이 "T" (수동 입력)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2로 진행되어서, 수동 입력을 설정하면서 로그 생성부(157)에서 로그 정보를 생성한다. 그 후에, 로그 등록부(158)가 로그 정보를 등록하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이렇게 해서, MFP(100)를 통한 액세스(인쇄)에 관한 로그 정보가,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드 디스크(137)에 로그 정보(144)로서 등록된다.
도 11에서, 11A는, 유저가 MFP(100)를 조작해서 프린트 의뢰를 했을 경우의 액세스 이력을, MFP(100)가, 도 6에 나타낸 액세스 이력 화면에서 표시할 때까지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한편, 이 처리는 CPU(130)에 의해 ROM(131)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실행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우선, 스텝 S20에서, CPU(130)는, 이력 화면의 선택 처리를 행하여, MFP(100)로 표시할 경우의 이력 화면 및 휴대 단말(101)로 표시할 경우의 이력 화면을 취득한다. 다음에 처리는 스텝 S30로 진행된다. 스텝 S30에서, CPU(130)는, 이력 화면 표시 처리를 행하여 MFP(100)로 표시할 경우의 이력 화면 및 휴대단말(101)로 표시할 경우의 이력 화면의 표시 내용을 편집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11에서, 11B은, 11A의 스텝 S20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우선 스텝 S21에서, CPU(130)는, MFP(100)가 휴대 단말(복수대라고 상정)로부터 액세스되었는지를 휴대 단말 검출부(164)에서 검출하고, 현 단말 기억부(165)에 기억되어 있는 휴대 단말이 있는지를 판정한다. 스텝 S21에서, MFP에 액세스하고 있는 휴대 단말이 있는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50로 진행된다. 스텝 S50에서, CPU((130)는, 휴대 단말 액세스시의 이력 화면의 선택 처리를 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1에서, MFP에 액세스하고 있는 휴대 단말이 없는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0로 진행된다. 스텝 S40에서, CPU(130)는, 휴대 단말로부터의 비액세스시의 이력 화면의 선택 처리를 행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12는, 11B의 스텝 S40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우선, 스텝 S41에서, CPU(130)는, 휴대 단말로부터의 URL 표시의 설정값(도 8의 8B)을 판정한다. 이 판정으로 OFF 버튼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2로 진행되어서, MFP(100)의 표시 화면의 설정을 액세스 이력 화면(제한 표시)502(도 6의 6B)의 표시 스타일로서 결정하고, 처리는 스텝 S44로 진행된다. 한편, CPU(130)는, 스텝 S41에서 ON 버튼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 MFP(100)의 표시 화면의 설정을 액세스 이력 화면(전체 표시)501(도6의 6A)으로서 결정하고, 처리는 스텝 S44로 진행된다. 스텝 S44에서는, CPU(130)는, 휴대 단말의 표시부에의 표시를 행하지 않는다.
이 처리에 의해, 도 8의 8B의 UI 화면에서, 휴대 단말로부터 입력된 URL을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도 6의 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MFP(100)는,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의 URL을 마스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의 11B의 스텝 S50(휴대 단말로부터의 액세스 중)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우선, 스텝 S51에서, CPU(130)는, My 액세스 이력을 휴대 단말에 통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설정값(도 8의 8A)을 판정한다. 여기에서 ON 버튼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53로 진행되어서, 통신중의 휴대 단말(101)에 표시하는 My 액세스 이력 화면(휴대 단말)(예를 들면, 도 6의 6D)을 결정하고, 처리는 스텝 S54로 진행된다. 한편, CPU(130)는, 스텝 S51에서 OFF 버튼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52로 진행되어서, 휴대 단말(101)에 My 액세스 이력 화면을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이 행해졌다고 결정하고, 처리는 스텝 S54로 진행된다. 스텝 S54에서는, CPU(130)는, My 액세스 이력 표시 설정(도 8의 8C)이 ON(표시한다)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설정이 ON이라고 판정하면, 처리는 스텝 S55로 진행된다. CPU(130)는, MFP(100)에 있어서의 My 액세스 이력 화면의 선택 처리를 행하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54에서 My 액세스 이력 표시 설정이 OFF라고 판정하면, 처리는 스텝 S56로 진행된다. 스텝 S56에서, CPU(130)는, 휴대 단말 URL 표시(도 8의 8B)의 설정 내용을 판단한다. 여기에서 휴대 단말로부터의 URL을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처리는 스텝 S57로 진행된다. 스텝 S57에서, CPU(130)는, MFP(100)의 표시 화면을 액세스 이력 화면(전체 표시:도 6의 6A)으로 설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 스텝 S56에서, 휴대 단말로부터의 URL을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처리는 스텝 S58로 진행된다. 스텝 S58에서, CPU(130)는, MFP(100)의 표시 화면을 액세스 이력 화면(제한 표시:도 6의 6B)으로 설정하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이 처리에 의해, 도 8에 나타낸 UI 화면의 설정에 따라, MFP와 통신중인 휴대 단말의 표시부가, 예를 들면 도 6의 6D와 같이 액세스 이력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MFP와 통신중인 휴대 단말로부터의 URL을, MFP(100)의 조작부(133)에 표시하는지 아닌지가 전환되어서, 예를 들면 도 6의 6A 혹은 6B과 같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스텝 S55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우선 스텝 S31에서, CPU(130)는, 최단 휴대 단말 액세스 이력 표시(도 9의 9B)의 설정 값을 판정한다. 스텝 S31에서, CPU(130)는, 최단 휴대 단말 액세스 이력 표시의 설정값이 ON이라고 판정하면, 처리는 스텝 S32로 진행되어서, MFP에 액세스하고 있는 휴대 단말이 최단 단말 기억부(163)에 등록되어 있고 MFP(100)에 가장 가까운 휴대 단말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한편, 스텝 S31에서, CPU(130)는, 최단 휴대 단말 액세스 이력 표시의 설정값이 OFF라고 판정하면, 처리는 스텝 S34로 진행된다. 스텝 S32에서, MFP(100)에 가장 가까운 휴대 단말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33로 진행된다. 스텝 S33에서는, CPU(130)는 MFP(100)의 표시 화면을, 액세스 이력 화면의 표시를 의뢰하고 있는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을 표시하도록 My 액세스 이력 화면(도 6의 6C)으로 설정한 것으로 판단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도 9의 9B에서 ON이 설정되어 있으면, 최단의 거리에 있는 휴대 단말로부터의 액세스 이력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스텝 S32에서, CPU(130)는, MFP(100)에 가장 가까운 휴대 단말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34로 진행되어서, 액세스하고 있는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이 로그 정보(144)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액세스하고 있는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이 로그 정보에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35로 진행된다. 스텝 S35에서는, CPU(130)는, MFP(100)의 표시 화면을 MFP(100)에 액세스하고 있는 휴대 단말 중에서 가장 최근 액세스를 실행한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을 표시하는 My 액세스 이력 화면(도 6의 6C)으로 설정한 것으로 판단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34에서, CPU(130)는 액세스하고 있는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이 로그 정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36로 진행되어서, 표시 화면을, 아무것도 액세스 이력을 표시하지 않는 My 액세스 이력 화면으로 설정한 것으로 판단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MFP(100)는, 통신 중인 휴대 단말로부터의 액세스 이력을 조작부에 표시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최근의 액세스 이력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1의 스텝 S30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우선, 스텝 S61에서, CPU(130)는, 도 11의 스텝 S20의 이력 화면 선택 처리 중에서 선택한 표시 화면의 스타일이, 액세스 이력 화면인지, My 액세스 이력 화면인지를 판정한다. 액세스 이력 화면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하면, 처리는 스텝 S62로 진행되어서, 액세스 이력 화면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61에서, My 액세스 이력 화면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하면, 처리는 스텝 S63로 진행되어서, My 액세스 이력 화면 처리를 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도 16은, 도 15의 스텝 S62에서, 액세스 이력 화면(전체 표시)이나 액세스 이력 화면(제한 표시)을 표시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우선, 스텝 S71에서, CPU(130)는, 하드 디스크(137)에 등록되어 있는 로그 정보(144)로부터 액세스 이력을 추출한다. 다음에, 처리는 스텝 S72로 진행되고, CPU(130)는, 액세스 이력으로부터 "일시" 정보(도 7의 아이템 621)를 추출한다. 다음에, 처리는 스텝 S73로 진행되고, CPU(130)는, 액세스 이력으로부터 "입력" 정보(도 7의 아이템 623)를 취득한다. 다음에, 처리는 스텝 S74로 진행되고, CPU(130)는, 액세스 이력으로부터 "URI(URL)" 정보(도 7의 아이템 624)를 취득한다. 다음에, 처리는 스텝 S75로 진행되고, CPU(130)는, 도 8의 8B의 UI 화면에서, 휴대 단말로 URL을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설정 내용이 OFF(표시하지 않는다)이면, 처리는 스텝 S76로 진행된다. ON(표시한다)이면, 처리는 스텝 S78로 진행된다. 스텝 S76에서는, CPU(130)는, 스텝 S73에서 취득한 "입력"이 "K" (휴대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입력"이 "휴대 단말"이면, 처리는 스텝 S77로 진행되어서, 스텝 S74에서 취득한 "URI(URL)" 정보를 마스크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79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76에서 "입력"이 "K"(휴대 단말)이 아닌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78로 진행된다. 스텝 S78에서는, 스텝 S74에서 취득한 "URI(URL)" 정보를 그대로 가공하지 않는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79로 진행된다. 스텝 S79에서는, CPU(130)는, 액세스 이력 표시 화면에 "일시" 및 "입력"을 표시하고, "URI(URL)"에 관해서는 스텝 S77 또는 스텝 S78에서 결정된 표시 정보에 따라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 S80에서, CPU(130)는, 로그 정보에 다음 액세스 이력이 있는지 판정한다. 스텝 S80에서 다음 액세스 이력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71로 되돌아가서, 다음 액세스 이력을 취득한다. 한편, 스텝 S80에서 다음 액세스 이력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이 처리에 의해, MFP는 도 8의 8B의 UI 화면의 설정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도 6의 6A 및 6B과 같이, 휴대 단말로부터 액세스된 URL을 표시할지, 표시하지 않을지를 결정하고, 액세스 이력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7a 및 17b는, 도 15의 스텝 S63의 My 액세스 이력 화면이나 My 액세스 이력 화면(휴대 단말)을 표시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우선, 스텝 S91에서, CPU(130)는, My 액세스 이력 화면(휴대 단말)(도 6의 6D)의 표시 요구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휴대 단말에의 My 액세스 이력 화면의 표시 요구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92로 진행된다. 스텝 S92에서, CPU(130)는, 액세스해 온 휴대 단말(101)의 액세스 이력을 표시 대상으로서 결정한다. 한편, 스텝 S91에서 휴대 단말에의 My 액세스 이력 화면의 표시 요구가 아니라고 판정하면, 처리는 스텝 S93로 진행된다. 스텝 S93에서, CPU(130)는, 액세스해 온 휴대 단말의 종류를 판정한다. 스텝 S93에서, 액세스해 온 휴대 단말이 최단 단말 기억부(163)에 기억되어 있는 휴대 단말이라고 판정하면, 처리는 스텝 S94로 진행되어서, 최단 단말 기억부(163)에 기억되어 있는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을 표시 대상으로서 결정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96으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93에서, 액세스해 온 휴대 단말이 최근에 잡을 실행한 휴대 단말로서 최신 단말 기억부(166)에 기억되어 있는 휴대 단말이라고 판정하면, 처리는 스텝 S95로 진행된다. 스텝 S95에서는, CPU(130)는, 최신 단말 기억부(166)에 기억되어 있는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을 표시 대상으로서 결정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96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93에서, CPU(130)는, 휴대 단말이 그 밖의 유저인 경우에는, 표시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처리는 스텝 S96로 진행된다.
스텝 S96에서는, CPU(130)는, 스텝 S92, 스텝 S94, 또는 스텝 S95에서 표시 대상으로서 결정된 휴대 단말이 있으면, 그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을 로그 정보로부터 취득한다. 다음에 처리는 스텝 S97로 진행되고, CPU(130)는, 스텝 S96에서 취득한 액세스 이력으로부터 "일시"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에 처리는 스텝 S98로 진행되고, CPU(130)는, 그 액세스 이력으로부터 "입력"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에 처리는 스텝 S99로 진행되고, CPU(130)는, 그 액세스 이력으로부터 "URI(URL)"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에 스텝 S1OO∼스텝 S102에서, CPU(130)는, 액세스 이력 표시 화면에 대하여 "일시", "입력", 및 "URI(URL)" 정보를 표시한다. 다음에 처리는 스텝 S103로 진행되고, CPU(130)는, 로그 정보에 다음 액세스 이력이 있는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다음 액세스 이력이 있다고 판단하면, 처리는 스텝 S96로 되돌아가서, 표시 대상으로서 결정된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 로그를 취득한다. 한편, 스텝 S1O3에서, 다음 액세스 이력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이 처리를 종료한다. 또, 스텝 S93에서, 표시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우에는, 그대로 이 처리를 종료해도 된다.
이 처리에 의해, MFP(100)는, 통신 중의 휴대 단말에 대하여, My 액세스 이력의 표시 화면을 작성해서 휴대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은, 자신의 단말에서 액세스한 이력을, 예를 들면 도 6의 6D와 같이, 그 휴대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MFP(100)로부터 최단 거리에 있는 휴대 단말, 또는 최근, MFP(100)에 잡을 발행한 휴대 단말은 그것의 표시부에, 자신의 휴대 단말로부터의 액세스 이력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8a 및 18b는, 실시예에 따른 MFP에서 로그 정보로부터 액세스 이력을 삭제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다. 한편, 이 처리는 CPU(130)가 ROM(13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우선, 스텝 S111에서, CPU(130)는, 도 8의 8A에 나타낸 휴대 단말에의 로그 등록의 상태를 판정한다. 스텝 S111에서, 휴대 단말 로그 등록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액세스 이력이 삭제 대상으로부터 제외되기 때문에, 처리는 스텝 S119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111에서 휴대 단말 로그의 등록이 OFF로 설정되어 있으면(등록하지 않는다), 처리는 스텝 S112로 진행된다. 스텝 S112에서는, CPU(130)는, 도 9의 9C의 삭제 타이밍이 "미등록"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삭제 설정이 "미등록"이면, 처리는 스텝 S119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112에서, 삭제 설정이 "미등록"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13로 진행된다. 스텝 S113에서, CPU(130)는, 삭제 설정이 "통신 차단시 삭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113에서 NO이면, 처리는 스텝 S116로 진행된다. 스텝 S113에서 삭제 설정이 "통신 차단시 삭제"인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114로 진행된다. 스텝 S114에서, CPU(130)는, 통신이 차단된 휴대 단말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114에서 YES이면, 처리는 스텝 S115로 진행되어서, 통신이 차단된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을 잡 정보로부터 삭제한다.
다음에 처리는 스텝 S116으로 진행되고, CPU(130)는, 삭제 설정이 "잡 전환시 삭제"인지 아닌지 판정한다. 스텝 S116에서 YES이면, 처리는 스텝 S117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116에서, 삭제 설정이 "잡 전환시 삭제"가 아닌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119로 진행된다. 스텝 S117에서는, CPU(130)는, 잡의 전환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잡의 전환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119로 진행된다. 잡의 전환이 검출되면, 처리는 스텝 S118로 진행되어서, 그 휴대 단말의 액세스 이력을 모두 삭제한다. 그리고, 처리는 스텝 S119로 진행되고, CPU(130)는, 로그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로그가 조작가능한 상태라고 판정하면, 처리는 스텝 S111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 S119에서 NO이면,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예를 들면 도 9의 9C의 UI 화면에서 설정한 내용에 따라, 액세스 이력을 기록한 휴대 단말의 로그 정보를 자동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남기고 싶지 않은 휴대 단말의 로그 정보를, 그 휴대 단말과 MFP과의 통신이 차단되었을 때, 또는 잡을 전환했을 때에, MFP의 로그 정보로부터 자동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로부터의 잡을 특정하는 정보의 일부인, 액세스처의 URL을 비표시로 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의 전화번호, ID, 액세스의 일시 등을 비표시로 해도 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국면들은, 상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행하도록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혹은 MPU와 같은 디바이스)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행하도록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의 스텝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이 프로그램을,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기능을 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록매체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에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 휴대 단말과의 통신기능을 갖는 정보처리장치로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을 포함한,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된 복수의 잡의 이력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을 표시할 때,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비표시로 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에 의해 비표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 중,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되는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정보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기 위한 로그 등록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 중, 통신 중인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을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해서 상기 잡의 이력을 표시하는 로그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표시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 중,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 있는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을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해서 상기 잡의 이력을 표시하는 정보처리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표시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 중, 통신 중인 휴대 단말로 최근에 실행한 잡의 이력을 상기 휴대 단말에 송신해서 상기 잡의 이력을 표시하는 정보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을 삭제하는 삭제부와,
상기 삭제부가 상기 잡의 이력을 삭제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는 삭제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 중, 통신중인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을 표시하는 정보처리장치.
- 휴대 단말과의 통신기능을 갖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을 포함한,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된 복수의 잡의 이력을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단계에서 기억된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을 표시할 때,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비표시로 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단계에서 비표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표시단계에서 표시하는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 중,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컴퓨터를, 휴대 단말과의 통신기능을 갖는 정보처리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을 포함한,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된 복수의 잡의 이력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을 표시할 때,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비표시로 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에 의해 비표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상기 복수의 잡의 이력 중,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의뢰된 잡의 이력의 적어도 일부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298830 | 2009-12-28 | ||
JP2009298830A JP5513107B2 (ja) | 2009-12-28 | 2009-12-28 |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6780A KR20110076780A (ko) | 2011-07-06 |
KR101293246B1 true KR101293246B1 (ko) | 2013-08-09 |
Family
ID=4417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2147A KR101293246B1 (ko) | 2009-12-28 | 2010-12-22 |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970874B2 (ko) |
JP (1) | JP5513107B2 (ko) |
KR (1) | KR101293246B1 (ko) |
CN (1) | CN10210996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80099B2 (ja) * | 2011-09-30 | 2015-09-1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US20130157617A1 (en) * | 2011-12-19 | 2013-06-20 | Xerox Corporation | Cellular network interface for multi-function devices |
JP2014066823A (ja) * | 2012-09-25 | 2014-04-17 | Canon Inc |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
JP6149418B2 (ja) | 2013-02-13 | 2017-06-21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処理装置の制御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
JP2014211857A (ja) * | 2013-04-02 | 2014-11-1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 |
JP2015093395A (ja) * | 2013-11-11 | 2015-05-18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方法 |
JP5974050B2 (ja) * | 2014-07-30 | 2016-08-23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機器管理方法 |
CN105897653A (zh) * | 2014-11-28 | 2016-08-24 | 韩成阳 | 一种高性能移动设备架构 |
JP6519942B2 (ja) * | 2015-03-19 | 2019-05-29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JP6914706B2 (ja) * | 2017-04-12 | 2021-08-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CN109428769B (zh) * | 2017-08-31 | 2022-03-22 |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 电子设备、服务执行系统以及日志获取方法 |
JP6924170B2 (ja) * | 2018-06-15 | 2021-08-25 | 株式会社イルグルム | コンバージョンレポート表示装置、その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表示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33241A (ko) * | 2005-09-21 | 2007-03-26 |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 디바이스, 디바이스 처리 이력 저장 시스템 및 디바이스처리 이력 저장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33725A (ja) * | 2002-02-08 | 2003-08-22 | Canon Inc |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3983148B2 (ja) * | 2002-09-19 | 2007-09-26 | シャープ株式会社 | 通信装置 |
JP4218890B2 (ja) * | 2004-02-10 | 2009-02-04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並びにその送信履歴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4574327B2 (ja) * | 2004-11-09 | 2010-11-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
JP4625383B2 (ja) * | 2005-08-25 | 2011-02-02 | 株式会社リコー | ジョブ情報表示制御装置、ジョブ情報表示制御システム、ジョブ情報表示制御方法、ジョブ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JP4661475B2 (ja) * | 2005-09-14 | 2011-03-30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デバイスおよび履歴表示制限方法 |
JP4826186B2 (ja) * | 2005-09-21 | 2011-11-30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デバイスおよび履歴表示制御方法 |
JP4581936B2 (ja) | 2005-09-21 | 2010-11-17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デバイス、デバイス処理履歴格納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処理履歴格納方法 |
JP4533355B2 (ja) * | 2005-10-17 | 2010-09-0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
JP2008003954A (ja) | 2006-06-23 | 2008-01-10 | Canon Inc | 印刷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再印刷制御方法及び再印刷制御プログラム |
JP4944510B2 (ja) * | 2006-06-23 | 2012-06-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JP4270269B2 (ja) * | 2006-11-30 | 2009-05-27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通信システム、印刷装置、ユーザ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
JP4452739B2 (ja) | 2007-11-13 | 2010-04-21 | シャープ株式会社 |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履歴情報表示方法 |
JP2009134584A (ja) | 2007-11-30 | 2009-06-18 | Canon Inc | 情報処理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管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
-
2009
- 2009-12-28 JP JP2009298830A patent/JP5513107B2/ja active Active
-
2010
- 2010-12-07 US US12/961,940 patent/US897087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12-22 KR KR1020100132147A patent/KR10129324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12-24 CN CN201010621823.8A patent/CN10210996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33241A (ko) * | 2005-09-21 | 2007-03-26 |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 디바이스, 디바이스 처리 이력 저장 시스템 및 디바이스처리 이력 저장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109969B (zh) | 2014-09-10 |
US20110157633A1 (en) | 2011-06-30 |
KR20110076780A (ko) | 2011-07-06 |
JP2011138392A (ja) | 2011-07-14 |
JP5513107B2 (ja) | 2014-06-04 |
US8970874B2 (en) | 2015-03-03 |
CN102109969A (zh) | 2011-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3246B1 (ko) |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
US20190158485A1 (en) | Communication apparatus, electronic mail transmitting method, and electronic mail transmitting program | |
JP4745752B2 (ja) |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7889373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US20060026434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 |
JP4701308B2 (ja) |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8422051B2 (en) |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differentially processing search requests | |
US8730495B2 (en) | Image processing system | |
JP5335461B2 (ja) |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5453145B2 (ja) |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マネージャサーバ装置 | |
JP2006323456A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 |
JP2022191229A (ja) | 画像形成装置及びファイル管理方法 | |
JP4703964B2 (ja) |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KR101437453B1 (ko) | 워크폼 관리장치, 워크폼 관리방법, 화상형성장치 및 워크폼 관리 시스템 | |
JP4753788B2 (ja) | 画像形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7375504B2 (ja) | 印刷装置 | |
JP2007066088A (ja) |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方法、データ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
JP2008017049A (ja) |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ファイル管理方法 | |
JP4360197B2 (ja) |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
JP2004362551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