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88648B1 -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648B1
KR101288648B1 KR1020120022602A KR20120022602A KR101288648B1 KR 101288648 B1 KR101288648 B1 KR 101288648B1 KR 1020120022602 A KR1020120022602 A KR 1020120022602A KR 20120022602 A KR20120022602 A KR 20120022602A KR 101288648 B1 KR101288648 B1 KR 101288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edge portion
joystick device
smartphon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선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이재혁
이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혁, 이종선 filed Critical 이재혁
Priority to KR102012002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도실리콘부, 테두리부, 그리고 흡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도실리콘부는, 상단이 돔 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원통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수직의 중앙부에 삽입된 형태로 형성되는 상단전도부; 및 상기 상단전도부의 하단의 원통 끝단과 연결되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 형성되는 하단전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Joy stick for mounting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에 장착시 조작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 및 스마트폰의 성능 향상에 따라 스마트폰은 전화의 용도뿐만 아니라, 오피스 작업, 스케쥴 관리, 그리고 게임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게임의 경우, 청소년 뿐만 아니라 청소년 들도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을 이용한 이동 시간 등의 막간의 시간 동안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즐기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그러나 게임을 스마트폰으로 즐기기 위해선 터치스크린 상에 구현된 버튼키와 방향키를 사용자가 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데 게임의 조작이 복잡할 경우 잘못 입력하거나 제대로 된 게임상의 캐릭터에 대한 제어가 힘든 문제가 있다. 특히, 정압식 터치스크린이 아닌 터치에 대한 반응속도가 빠른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경우 더욱 잘못된 조작 및 입력 오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특히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스마트폰 상에서 스마트폰에 장착함으로써, 조작의 용이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이스틱 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휴대용 단말기의 조이스틱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조이스틱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PORTABLE TERMINAL USING JOY STICK)(특허출원번호 제10-2004-0079631호)
2. 휴대폰 게임을 위한 전용 조이패드(조이스틱)(특허출원번호 제10-2002-007753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에 장착시 조작 용이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 용이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상에 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상에 부착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는, 전도실리콘부, 테두리부, 그리고 흡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도실리콘부는, 상단이 돔 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원통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수직의 중앙부에 삽입된 형태로 형성되는 상단전도부; 및 상기 상단전도부의 하단의 원통 끝단과 연결되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 형성되는 하단전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수평면 상에서 상기 상단전도부의 수직의 중심축으로부터 최외곽까지 형성된 거리(L2)와 상기 하단전도부의 수직의 중심축으로부터 최외곽까지 형성된 거리(L1) 간의 관계는, 상기 거리(L1) : 상기 거리(L2)는 2.5 내지 2.7 : 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상단전도부를 감싸는 원 테두리로 형성되며, 테두리부 내측단과 테두리부 외측단을 구비하는 상단테두리부, 그리고 하단테두리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 내측단은, 상기 상단전도부의 상단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 테두리 형태를 구성하는 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높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은, 상기 테두리부 내측단을 구성하는 원 테두리 형상의 최외측을 둘러싸는 원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을 형성하는 원 테두리 형태를 구성하는 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낮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테두리부의 상단 외측의 최외각면을 형성하는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의 곡률(R1)은, 상기 하단전도부의 상단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곡률(R2)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테두리부는,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단테두리부의 직경이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 보다 짧으며, 상기 테두리부 내측단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부는, 플렉시블 재질로, 상기 하단전도부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흡착부와 상기 하단전도부의 연장되는 단에서는 상기 하단테두리부에서의 수직의 중앙축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긴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부는, 수직의 중앙축 상의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여 스마트폰의 외부면과 흡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전도부의 돔 형상중 최상단의 높이는, 상기 상단테두리부의 최상단의 높이와의 차이값(D1) 만큼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테두리부의 전체 높이값(D2), 상기 하단테두리부(122)의 전체 높이값(D3), 상기 하단전도부의 전체 높이값(D4), 상기 흡착부의 전체 높이값(D5) 간의 관계는, "전체 높이값(D4)> 전체 높이값(D5) > 전체 높이값(D3) = 전체 높이값(D2) > 차이값(D1)"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는, 전도실리콘부, 테두리부, 그리고 흡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도실리콘부는, 상단이 돔 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원통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수직의 중앙부에 삽입된 형태로 형성되는 상단전도부; 및 상기 상단전도부의 하단의 원통 끝단과 연결되며, 상기 상단전도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하단전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단전도부는, 하부 방향으로 끝단이 절단되어 평평하게 형성된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상단전도부를 감싸는 원 테두리로 형성되며, 테두리부 내측단과 테두리부 외측단을 구비하는 상단테두리부, 그리고 하단테두리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 내측단은, 상기 상단전도부의 상단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 테두리 형태를 구성하는 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높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은, 상기 테두리부 내측단을 구성하는 원 테두리 형상의 최외측을 둘러싸는 원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을 형성하는 원 테두리 형태를 구성하는 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낮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테두리부는,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단테두리부의 직경이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 보다 짧으며, 상기 테두리부 내측단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는, 제 1 벨트부 및 제 2 벨트부를 구비한 벨트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착부는, 상기 전도실리콘부와 상기 테두리부로 형성된 몸체를 스마트폰으로 흡착되도록 흡착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는, 플렉시블 재질로, 상기 제 2 벨트단의 끝단에 형성된 홀(h)에 삽입되며, 상기 홀(h)이 형성된 수평면상의 상단에 상기 홀(h) 보다 직경이 큰 돔 형상의 고정단과, 상기 홀(h)이 형성된 수평면상의 하단에 상기 고정단과 연결된 흡착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단은, 내부와 하단면이 없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여 스마트폰의 외부면과 흡착이 가능한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는, 상기 제 1 벨트단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흡착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단의 삽입을 위한 제 1, 제 2 및 제 3 고정단 삽입홀이 형성되는 흡착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고정부는, 상기 제 1 벨트단의 넓이(s2) 보다 넓은 두께인 넓이(s1)으로 형성되며, 길이(r1)는 상기 제 1 벨트단(251)의 길이(r2)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고정부의 길이(r1) : 상기 제 1 벨트단의 길이(r2) : 상기 제 2 벨트단의 길이(r3)는, 3.5 내지 2.7 : 2 내지 2.3 : 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는, 스마트폰에 장착시 조작 용이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는, 조작 용이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상에 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는, 스마트폰 상에 부착시 분리되는 것을 방지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100)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100)는 전도실리콘부(110), 테두리부(120), 그리고 흡착부(130)를 포함한다.
전도실리콘부(110)는 상단전도부(111) 및 하단전도부(112)를 포함한다.
상단전도부(111)는 상단이 돔 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원통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부(120)에서의 수직의 중앙부에 삽입된 형태로 형성된다.
하단전도부(112)는 상단전도부(111)의 하단의 원통 끝단과 연결되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상부에서 본 경우 상단전도부(111) 상의 수직의 중심축으로부터최외곽까지 형성된 거리(L2)와 하단전도부(112) 상의 수직의 중심축으로부터 최외곽까이 형성된 거리(L1) 간의 관계는 거리(L1) : 거리(L2)는 2.5 내지 2.7 : 1로 형성되는 것이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100)의 조작 용이성이 높아지는 것을 하기의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여기서 응답대상은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준오차는 ±0.5%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L1 : L2
= 2.4 : 1
L1 : L2
= 2.5 : 1
L1 : L2
= 2.6 : 1
L1 : L2
= 2.7 : 1
L1 : L2
= 2.8 : 1
조작용이성에 대한 응답 결과 25 43 55 47 30
테두리부(120)는 상단전도부(111)의 측면을 둘러치는 형태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단테두리부(121) 및 하단테두리부(122)를 포함한다.
상단테두리부(121)는 테두리부 내측단(121a)과 테두리부 외측단(121b)을 포함한다.
테두리부 내측단(121a)은 상단전도부(111)의 상단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며, 그 원 테두리 형태를 구성하는 면 내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높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테두리부 외측단(121b)은 테두리부 내측단(121a)을 구성하는 원 테두리 형상의 최외측을 둘러싸는 원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부 외측단(121b)을 형성하는 원 테두리 형태를 구성하는 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낮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단테두리부(121)의 상단 외측의 최외각면을 형성하는 테두리부 외측단(121b)의 곡률(R1)은 하단전도부(112)의 상단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곡률(R2)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곡률(R1) > 곡률(R2)인 경우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100)의 조작 용이성이 높아지는 것을 하기의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여기서 대상은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준오차는 ±0.5%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R1>R2 R1=R2 R1<R2
조작용이성에 대한 응답 결과 70 25 5
하단테두리부(122)는 테두리부 외측단(121b)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직경이 테두리부 외측단(121b) 보다 짧으며, 테두리부 내측단(121b)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흡착부(130)는 플렉시블 재질로, 하단전도부(112)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장되는 단에서는 하단테두리부(122)의 수직의 중앙축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직경보다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되며, 하단테두리부(122)에서 수직의 중앙축 상의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여 외부면과 흡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단전도부(111)의 돔 형상중 최상단의 높이와 상단테두리부(121)의 최상단의 높이와의 차이값(D1), 상단테두리부(121)의 전체 높이값(D2), 하단테두리부(122)의 전체 높이값(D3), 하단전도부(112)의 전체 높이값(D4), 흡착부의 전체 높이값(D5)은 (D4)>(D5)>(D3)=(D2)>(D1)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100)의 조작 용이성이 높아지는 것을 하기의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여기서 대상은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준오차는 ±0.5%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D4)>(D5)>(D3)=(D2)>(D1) (D5)>(D4)>(D3)=(D2)>(D1) (D4)>(D5)>(D2)>(D3)>(D1) (D1)>(D2)>(D3)=(D4)>(D5) (D4)>(D5)>(D3)>(D2)>(D1)
조작용이성에 대한 응답 결과 102 32 4 3 61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2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200)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2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전도실리콘부(210), 테두리부(220), 흡착부(230), 흡착고정부(240), 그리고 제 1 벨트부(251) 및 제 2 벨트부(252)를 구비한 벨트부(250)를 포함한다.
전도실리콘부(210)는 상단전도부(211) 및 하단전도부(212)를 포함한다.
상단전도부(211)는 상단이 돔 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원통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부(220)의 수직의 중앙부에 삽입된 형태로 형성된다.
하단전도부(212)는 상단전도부(211)의 하단의 원통 끝단과 연결되며, 상단전도부(2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하단전도부(212)는 하부 방향으로 끝단이 절단되어 평평하게 형성된 원추 형상이다.
테두리부(22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100)에서의 상단테두리부(121) 및 하단테두리부(122)를 구비한 테두리부(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흡착부(230)는 전도실리콘부(210)와 테두리부(220)로 형성된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200)의 몸체를 스마트폰으로 흡착되도록 흡착력을 제공한다.
흡착부(230)는 플렉시블 재질로, 제 2 벨트단(252)의 끝단에 형성된 홀(h)에 삽입되어, 홀(h)이 형성된 수평면상의 상단에 홀(h) 보다 직경이 큰 돔 형상의 고정단(231), 그 홀(h)이 형성된 수평면상의 하단에 고정단(231)과 연결된 흡착단(232)으로 형성된다.
흡착단(232)은 내부와 하단면이 없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여 외부면과 흡착이 가능한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착고정부(240)는 제 1 벨트단(251)의 끝단에 형성되며, 다수의 고정단 삽입홀인 제 1 내지 제 3 고정단 삽입홀(241, 242, 243)이 형성되며, 제 1 벨트단(251)의 넓이(s2) 보다 넓은 두께인 넓이(S1)으로 형성되며, 길이(r1)는 제 1 벨트단(251)의 길이(r2) 보다 짧게 형성된다.
한편, 흡착고정부(240의 길이(r1) : 제 1 벨트단(251)의 길이(r2) : 제 2 벨트단(252)의 길이(r3)는 3.5 내지 2.7 : 2 내지 2.3 : 1로 형성되는 것이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200)의 조작 용이성이 높아지는 것을 하기의 표 4과 같이 나타났다.
여기서 대상은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준오차는 ±0.5%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r1:r2:r3
=2.6:2.4:1
r1:r2:r3
=2.7:2.3:1
r1:r2:r3
=3.5:2:1
r1:r2:r3
=3.5:1:2
r1:r2:r3
=4:2:2
조작용이성에 대한 응답 결과 13 77 89 7 12
한편, 제 1 고정단 삽입홈(241)과 제 2 고정단 삽입홈(242) 간의 거리와, 제 2 고정단 삽입홈(242)과 제 3 고정단 삽입홀(243) 간의 거리는 1.5 내지 2 : 1로 형성되는 것이 스마트폰의 길이가 9 내지 15cm라고 가정시 스마트폰에 대한 호환성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100)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200)에 비해 스마트폰 상의 작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200)는 한번 흡착시 벨트부(250), 및 흡착고정부(240) 등을 이용해 고정이 가능하므로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전도실리콘부
111: 상단전도부
112: 하단전도부
120: 테두리부
121: 상단테두리부
121a: 테두리부 내측단
121b: 테두리부 외측단
122: 하단테두리부
130: 흡착부
240: 흡착고정부
241: 제 1 고정단 삽입홀
242: 제 2 고정단 삽입홀
243: 제 3 고정단 삽입홀
250: 벨트부
251: 제 1 벨트부
252: 제 2 벨트부

Claims (20)

  1. 전도실리콘부, 테두리부, 그리고 흡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도실리콘부는,
    상단이 돔 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원통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수직의 중앙부에 삽입된 형태로 형성되는 상단전도부; 및
    상기 상단전도부의 하단의 원통 끝단과 연결되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 형성되는 하단전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면 상에서 상기 상단전도부의 수직의 중심축으로부터 최외곽까지 형성된 거리(L2)와 상기 하단전도부의 수직의 중심축으로부터 최외곽까이 형성된 거리(L1) 간의 관계는,
    상기 거리(L1) : 상기 거리(L2)는 2.5 내지 2.7 : 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상단전도부를 감싸는 원 테두리로 형성되며, 테두리부 내측단과 테두리부 외측단을 구비하는 상단테두리부, 그리고 하단테두리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 내측단은,
    상기 상단전도부의 상단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 테두리 형태를 구성하는 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높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은,
    상기 테두리부 내측단을 구성하는 원 테두리 형상의 최외측을 둘러싸는 원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을 형성하는 원 테두리 형태를 구성하는 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낮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단테두리부의 상단 외측의 최외각면을 형성하는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의 곡률(R1)은,
    상기 하단전도부의 상단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곡률(R2)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단테두리부는,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단테두리부의 직경이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 보다 짧으며, 상기 테두리부 내측단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플렉시블 재질로, 상기 하단전도부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흡착부와 상기 하단전도부의 연장되는 단에서는 상기 하단테두리부에서의 수직의 중앙축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긴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수직의 중앙축 상의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여 스마트폰의 외부면과 흡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단전도부의 돔 형상중 최상단의 높이는,
    상기 상단테두리부의 최상단의 높이와의 차이값(D1) 만큼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단테두리부의 전체 높이값(D2), 상기 하단테두리부(122)의 전체 높이값(D3), 상기 하단전도부의 전체 높이값(D4), 상기 흡착부의 전체 높이값(D5) 간의 관계는, "전체 높이값(D4)> 전체 높이값(D5) > 전체 높이값(D3) = 전체 높이값(D2) > 차이값(D1)"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11. 전도실리콘부, 테두리부, 그리고 흡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도실리콘부는,
    상단이 돔 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원통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수직의 중앙부에 삽입된 형태로 형성되는 상단전도부; 및
    상기 상단전도부의 하단의 원통 끝단과 연결되며, 상기 상단전도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하단전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단전도부는,
    하부 방향으로 끝단이 절단되어 평평하게 형성된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상단전도부를 감싸는 원 테두리로 형성되며, 테두리부 내측단과 테두리부 외측단을 구비하는 상단테두리부, 그리고 하단테두리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 내측단은,
    상기 상단전도부의 상단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 테두리 형태를 구성하는 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높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은,
    상기 테두리부 내측단을 구성하는 원 테두리 형상의 최외측을 둘러싸는 원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을 형성하는 원 테두리 형태를 구성하는 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낮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단테두리부는,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단테두리부의 직경이 상기 테두리부 외측단 보다 짧으며, 상기 테두리부 내측단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제 1 벨트부 및 제 2 벨트부를 구비한 벨트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착부는, 플렉시블 재질로 상기 전도실리콘부와 상기 테두리부로 형성된 몸체를 스마트폰으로 흡착되도록 흡착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 2 벨트단의 끝단에 형성된 홀(h)에 삽입되며, 상기 홀(h)이 형성된 수평면상의 상단에 상기 홀(h) 보다 직경이 큰 돔 형상의 고정단과, 상기 홀(h)이 형성된 수평면상의 하단에 상기 고정단과 연결된 흡착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흡착단은,
    내부와 하단면이 없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여 스마트폰의 외부면과 흡착이 가능한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 1 벨트단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흡착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단의 삽입을 위한 제 1, 제 2 및 제 3 고정단 삽입홀이 형성되는 흡착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흡착고정부는,
    상기 제 1 벨트단의 넓이(s2) 보다 넓은 두께인 넓이(s1)으로 형성되며, 길이(r1)는 상기 제 1 벨트단(251)의 길이(r2)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흡착고정부의 길이(r1) : 상기 제 1 벨트단의 길이(r2) : 상기 제 2 벨트단의 길이(r3)는, 3.5 내지 2.7 : 2 내지 2.3 : 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KR1020120022602A 2012-03-06 2012-03-06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KR101288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602A KR101288648B1 (ko) 2012-03-06 2012-03-06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602A KR101288648B1 (ko) 2012-03-06 2012-03-06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648B1 true KR101288648B1 (ko) 2013-07-22

Family

ID=4899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602A KR101288648B1 (ko) 2012-03-06 2012-03-06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6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462B1 (ko) 2020-04-07 2021-07-30 한민섭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485A (ko) * 2008-10-14 201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와 그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015711B1 (ko) 2010-07-16 2011-02-22 정영훈 터치스크린용 버튼 어답터 키트
KR101034743B1 (ko) 2011-02-01 2011-05-17 유미옥 사용자의 조작 강도를 구별하기 위한 조이스틱
KR101116561B1 (ko) 2011-03-11 2012-02-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용 조이스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485A (ko) * 2008-10-14 201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와 그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015711B1 (ko) 2010-07-16 2011-02-22 정영훈 터치스크린용 버튼 어답터 키트
KR101034743B1 (ko) 2011-02-01 2011-05-17 유미옥 사용자의 조작 강도를 구별하기 위한 조이스틱
KR101116561B1 (ko) 2011-03-11 2012-02-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용 조이스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462B1 (ko) 2020-04-07 2021-07-30 한민섭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09900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690736S1 (en)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icon
CN103078974A (zh) 手持式电子产品
US9281859B1 (en) Smartphone cover module with embedded game controller
WO2017128677A1 (zh) 盖板玻璃组件
KR101288648B1 (ko)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CN106373816A (zh) 一种超薄机械键盘开关
US10693359B2 (en) Linear vibration generator including structur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of coil
TW201527677A (zh) 保護觸控顯示幕的角落墊釦
WO2016000604A1 (zh) 带有触控笔的耳麦
CN205336386U (zh) 一种橡胶感应件固定座
CN105657493A (zh) 一种机顶盒
CN205427707U (zh) 一种台式电脑可升降底座
CN205725943U (zh) 一种新型手机支架
CN205610872U (zh) 耳机座和具有其的终端设备
CN207230732U (zh) 一种立式空调及其底座
CN104465177A (zh) 具有防尘盖的薄型按键开关
CN104038597A (zh) 带耳勺防摔智能手机
CN205854845U (zh) 一种弹片包装
CN204669426U (zh) 双层式手机保护套
CN205212903U (zh) 一种手机保护套
CN205544734U (zh) 一种带有球轴承的车窗升降电机
CN108054039A (zh) 一种导电橡胶按键
CN209517435U (zh) 一种耳机
CN107659701A (zh) “c”形手机扩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