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112B1 - Composite girder with steel pipe and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posite girder with steel pipe and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6112B1 KR101286112B1 KR1020110133851A KR20110133851A KR101286112B1 KR 101286112 B1 KR101286112 B1 KR 101286112B1 KR 1020110133851 A KR1020110133851 A KR 1020110133851A KR 20110133851 A KR20110133851 A KR 20110133851A KR 101286112 B1 KR101286112 B1 KR 1012861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steel pipe
- vertical steel
- composit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구조적 효율성이 뛰어나 경제적으로 교량을 시공할 수 있는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강관을 조립식으로 콘크리트 상현재와 하현재에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강관 내부에는 충전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하되, 상기 합성거더(A)를 구성하는 양 단부 하부받침대에 설치된 수직강관을 고정수단이 관통되도록 교량하부구조에 거치시키고 상기 고정수단을 합성거더(A)의 상면에 고정시켜 합성거더를 교대하부구조에 강결시키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girder using a vertical steel pip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excellent in structural efficiency and economically constructs a bridge as a composite member, and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ramen bridge using the same. The inside of the vertical steel pipe is to be filled with filling concrete, but the vertical steel pipes installed on both bottom lower pedestals constituting the composite girder (A) are mounted on the bridge lower structure so that the fixing means penetrates, and the fixing means is placed on the composite girder ( It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A) to stiffen the composite girder to the alternating substruc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구조적 효율성이 뛰어나 경제적으로 특히 라멘교 교량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girder using a vertical steel pipe as a covering member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amen bridge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girder using a vertical steel pipe as a composite member and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are easy to assemble and have excellent structural efficiency, and thus can be economically installed.
종래 프리스트레스 합성트러스 보(10)는 도 1a와 같이 구조용 강판(강재)으로 만들어진 소정형상의 상현재(11), 그리고 압연형강 또는 강관을 이용해 제작된 복부재(12), 그리고 소정형상의 콘크리트 단면에 PS강선(13)을 이용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킨 하현재(14)로 각각 구성된다.Conventional prestressed
상기 상현재(11)는 합성트러스 보(10)의 자중과 콘크리트 바닥판(15) 하중으로 인해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받게 되는데, 강재로 만들어진 상현재는 인장력에는 강하지만 압축력에는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구조거동상의 특성으로 인해 작용하는 압축력이 크거나 압축력을 받는 영역이 넓어질수록 상현재의 강재량은 증가하게 된다.The
또한 합성 트러스보(10)의 복부재(12)와 하현재(14)는 하현재의 상부면에 강판으로 된 수평연결강판(16)을 매입한 후, 용접 또는 고장력볼트를 이용해 상기 수평연결강판(16)을 복부재(12)와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수평연결강판 하면에는 하현재(14)와의 일체작용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수의 스터드(17)를 형성시키는데, 용접 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수평연결강판(16)에는 휨변형이 발생하여 평면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휨변형이 발생하면 콘크리트 하현재(14)에 매입되는 깊이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수평연결강판과 하현재 접촉면(18)의 방수 처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refore, a plurality of
이러한 종래 합성 트러스보(10)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개된 복합 트러스보를 도 1b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mposite truss introduc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즉 복합트러스 거더의 상현재(30)를 수평강판(31)과 콘크리트(32)로 된 합성구조로 형성시킨 다음, 바닥판 콘크리트(33)와의 합성시키기 위해 전단철근(34)을 배치하게 된다.That is, the
이에 압축을 받는 영역에서의 강재상현재(31)를 압축에 강하고 재료비가 저렴한 콘크리트(32)로 보강시킴으로써 상현강재에 요구되는 강재량이 크게 절감되고, 상현재(30)를 구성하는 수평강판(31)과 콘크리트(32) 사이의 일체작용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강판의 상면에 스터드(35)를 구비하도록 한다.Accordingly, by reinforcing the
도 1c는 이러한 복합 트러스보(30)의 복부재로서 강관을 사용할 때 복부재(61)와 콘크리트 하현재(64)와의 연결을 위한 격점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인데 이러한 격점구조(60)는 복부재(61)의 단부에 소정크기의 거세트판(62)을 설치한 다음, 상기 거세트판(62)을 수직연결판(63)을 이용해 서로 연결한 다음, 일정깊이로 콘크리트 하현재(64)에 매입시키고, 하현재(64)와 강결시키기 위하여 매입된 부분의 거세트판(62) 및 수직연결판(63)에 소정크기의 다수의 구멍(65)을 구비하도록 하고 이러한 구멍(65)에는 콘크리트 하현재(64)의 철근이 관통되도록 하여 강관인 복부재(61)와 콘크리트 하현재(64)가 서로 일체화되도록 한 것이다.FIG. 1C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gap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이로서 도 1a와 같이 하현재(14) 상면에 놓이는 수평연결판(16)과 스터드(17)를 제거함으로써, 스터드(17) 설치로 인해 생기는 수평연결강판(16)의 변형으로 인한 시공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us, by removing the horizontal connecting
하지만 이와 같이 복부재(61)를 콘크리트 하현재(64)에 매립시키는 방식은 정확한 복부재(61) 세팅 작업이 필요하며 콘크리트 하현재(61)의 철근을 수직연결판(64)의 구멍(65)에 삽입 시켜야 하므로 조립 방식으로 콘크리트 하현재를 제작할 수 없다는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 method of embedding the
도 1d는 종래 라멘교 시공방법의 예를 도시한 것인데, 골판형 거더(70)를 교량하부구조(80)에 강결시키기 위하여 철근조립체와 같은 고정부재(90)를 설치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Figure 1d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ra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it can be seen that an example of installing a fixing member 90, such as a reinforcing bar assembly to stiffen the corrugated girders 70 to the lower bridge structure (80).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부재(90)를 골판형 거더(70)에 삽입 설치하는 방식은 골판형 거더(70)에 고정부재(90)가 삽입되는 홀이 다수 형성되어야 하므로 시공성이 다소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ethod of inserting the fixing member 90 into the corrugated girders 70 in this manner requires a large number of holes into which the fixing member 90 is inserted into the corrugated girders 70, thereby inevitably deteriorating the construction. There was a problem.
이에 본 발명은 합성거더(합성보, 합성빔)를 제작함에 있어서 제작공정을 최대한 단순화하여 조립 제작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복부재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시켜 안정적인 상현재 지지가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좌굴 등에 유리하여 구조적으로 효율적이면서도 경제적으로 합성거더를 제작할 수 있으며 라멘교에 있어 강경부에서 합성거더와 교대부를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가 충전된 복부재를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much as possible in the production of composite girder (synthetic beam, composite beam), as well as very easy to assemble and fabricate concrete inside the abdominal member to enable stable phase current support and buckling. Synthetic girder can be fabricated structurally and economically in an advantageous way, an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composite girder using a concrete-filled composite member that can more easily combine the composite girder and the alternating portion in the rigid section of the ramen bridg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ramen bridge using the same. It's about how.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경량화를 위해 합성거더의 상부와 하부는 콘크리트 상현재와 하현재로 각각 형성시키게 된다.First, in order to reduce weigh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mposite girder are formed as concrete upper and lower chords, respectively.
이러한 콘크리트 상현재와 하현재는 직육면체 콘크리트 판 형태로 제작하게 되며, 콘크리트 하현재 내부에는 긴장재가 설치되도록 하여 합성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게 된다.The concrete upper chord and the lower chord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crete plate, and the tension lowering material is installed inside the concrete lower chord so that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omposite girder.
이러한 콘크리트 상현재와 하현재는 통상 사용되는 교량용 거푸집을 이용하여 공장 등에서 제작하면 되므로 그 제작에 달리 고도의 숙련된 기술까지는 필요 없고 품질관리가 용이하여 경제적인 콘크리트 상현재와 하현재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These concrete upper and lower chords can be manufactured in factories using bridge formwork, which is usually used, so it is not necessary to use highly skilled techniques for the production, and it is easy to control the quality of the concrete upper and lower chords. Done.
둘째, 이러한 콘크리트 상현재와 하현재는 조립식으로 복부재인 수직강관에 의하여 서로 결합시키게 된다.Second, these concrete upper and lower chords are assembled to each other by a vertical steel pipe that is prefabricated in a prefabricated manner.
이를 위해 상기 콘크리트 하현재에는 하부받침대를 설치하되 상기 하부받침대에는 복부재 세팅판을 설치하여 간단하게 수직강관을 콘크리트 하현재에 안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To this end, the lower butt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lower chord, but the abdominal member setting plate is installed in the lower butt so that the vertical steel pipe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concrete lower chord.
상기 콘크리트 상현재에는 상부받침재를 설치하되 상기 상부받침대에는 복부재 세팅판을 역시 설치하여 간단하게 수직강관 상단에 상부받침대를 안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concrete upper chord is installed in the upper support material, but the upper support is also installed in the abdominal member setting plate so that it is possible to simply install the upper support on the top of the vertical steel pipe.
이로서 상기 수직강관을 상부 및 하부받침대에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합성거더 제작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Thus, simply by fixing the vertical steel pipe to the upper and lower pedestals so that the composite girder fabrication can be completed.
셋째, 상기 수직강관은 기성 강관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그 제작 및 설치가 매우 간단해지면 내부에 콘크리트 상현재를 형성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내부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서 구조적으로 효과적인 콘크리트 복부재가 형성되로록 하였다.Third, since the vertical steel pipe is used by cutting the ready-made steel pipe to a predetermined length, if the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becomes very simple, the structurally effective concrete member is formed by filling the interior when the concrete is placed to form the concrete phase current inside. It was done.
즉, 상기 수직강관 자체도 하중지지역할을 일부 하게 되지만 내부에 수직강관에 의하여 구속되는 콘크리트는 작용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That is, the vertical steel pipe itself is part of the load bearing area, but the concrete constrained by the vertical steel pipe therein can support the working load more effectively.
넷째, 라멘교의 강결부에 있어서는 상기 수직강관의 하부가 콘크리트 하현재를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라멘교의 교대에 설치된 고정부재(다수의 철근다발)가 상기 수직강관을 통해 최종 관통되어 합성거더의 콘크리트 상현재 상면에서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라멘교의 강결부 시공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Fourth, in the steel part of the ramen bridge,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steel pipe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concrete lower chord, and the fixing member (multiple rebar bundles) installed at the alternating bridge of the ramen bridge is finally penetrated through the vertical steel pipe to form the concrete image of the composite girder. By tightening and fixing on the upper surface, the construction of the steel part of the ramen bridg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이로서 본 발명에 의한 합성거더는Thus, th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콘크리트 상현재와 하현재 및 수직강관과 상부받침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조립 제작할 수 있어 제작이 매우 신속하고, 제작을 위하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강재 거푸집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인 합성거더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It is simple to manufacture by using concrete upper and lower chords and vertical steel pipes and upper support, so it is very quick to manufacture and efficient use of steel formwork, which is costly for manufacturing, makes more economical composite girder production. It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합성거더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모두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품질관리가 매우 용이하여 효과적인 교량 시공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mposite girder can be manufactured by the precast method, it is very easy to control the quality and thus can be used for effective bridge construction.
또한 라멘교 강결부 시공에 있어 합성거더를 교대에 용이하게 강결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라멘교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steel ramen bridge, the composite girders can be easily hardened to the shift, thus enabling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construction of the ramen bridge.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 합성트러스보, 복합트러스 보 및 복합트러스보의 격점구조 사시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의 제작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의 강결부 연결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Figure 1a, 1b and 1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int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composite truss beam, composite truss beam and composite truss beam,
Figure 2a, Figure 2b and Figure 2c is a manufacturing flow chart of the composite girder using a vertical stee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vering member,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of the steel joint of the composite girder using a vertical stee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is a flow chart of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 콘크리트가 충전된 복부재를 이용한 합성거더(A) ][Composite girder (A) using a concrete member filled with concrete]
본 발명의 합성거더(A)는 콘크리트 하현재(100), 수직강관(210) 내부에 충전콘크리트(230)로 충전된 복부재(200) 및 상부받침대(220)가 조립 되어 제작된다.Synthetic girder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assembling the
먼저, 상기 콘크리트 하현재(100)는 도 2a와 같이 합성거더(A)의 연장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면 소정의 두께를 가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직육면체 형태의 패널)으로 제작하게 된다.First, when the concrete
이러한 콘크리트 하현재(100)에는 내부에 미리 길이방향으로 쉬스를 매립 설치하여 추후 쉬스에 긴장재(110)를 배치하여 콘크리트 하현재(100)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concrete
물론 이러한 방식은 포스트 텐션방식이지만 프리텐션 방식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Of course, this method is a post-tension method, but prestress may be introduced as a pre-tension method.
이러한 콘크리트 하현재(100)에는 하부받침대(120)가 다수 설치되는데 콘크리트 하현재의 양 단부측에 설치되는 양 단부 하부받침대(120a)와 그 이외에 설치되는 내측 하부받침대(120b)의 설치형태가 상이하므로 먼저, 양 단부를 제외한 위치에 설치되는 내측 하부받침대(120b)를 먼저 살펴본다.A plurality of
먼저, 단부를 제외한 위치에 설치되는 내측 하부받침대(120b)는 상기 콘크리트 하현재(100) 상면에 후술되는 복부재(200) 설치를 위하여 상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하게 된다.First, the inner lower pedestal (120b) is installed in a position other than the end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for the
이러한 내측 하부받침대(120b)는 받침판(121b)이 콘크리트 하현재(100)에 스터드(122b)에 의하여 고정되어 상면이 콘크리트 하현재(10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상부가 노출되도록 하게 된다.The inner
또한, 상기 받침판(121b)의 상면 외곽 둘레에는 후술되는 복부재(200)가 끼워져 안착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복부재 세팅판(123b)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bdominal
이로서 본 발명의 복부재(200)는 위치 세팅을 위하여 별도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서도 복부재(200)를 내측 하부받침대(120b)에 용이하게 안착하여 조립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또한 상기 복부재 세팅판(123b)의 내측에는 받침판(121b)을 관통하여 하부가 콘크리트 하현재(100)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복부재 합성봉(124b)이 역시 다수 이격 설치된다.In addition, the inner part of the abdominal
이러한 복부재 합성봉(124b)은 체결너트에 의하여 받침판(121b)에 위치 고정시켜 거더 제작 중 충격 등에 의하여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The composite member
이에 미리 제작장에서 설치한 콘크리트 하현재용 거푸집에 긴장재(110, 포스트텐션 방식의 경우)와 내측 하부받침대(120b)를 미리 세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측 하부받침대(120b)가 상면에 일체화된 콘크리트 하현재(100)를 제작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tension material (110, in the case of post-tension method) and the inner
다음으로 상기 내측 하부받침대(120b)의 양 측방에 즉, 합성거더(A)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 하부받침대(120a)는 라멘교의 교대에 합성거더(A)를 강결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다수의 수직철근으로 구성된 고정부재(400)가 합성거더(A)를 수직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Next, the end
이에 상기 단부 하부받침대(120a)는 콘크리트 하현재(100) 내부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수직철근으로 구성된 고정부재(400)가 내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end
이에 받침판(121a)은 콘크리트 하현재(100)의 저면에서 노출되도록 설치하게 되며 받침판(121a)에 설치되는 받침판(121a)의 상면 외곽 둘레에는 후술되는 복부재(200)가 끼워져 안착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복부재 세팅판(123a)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러한 복부재 세팅판(123a)은 콘크리트 하현재(100)를 형성시키기 이전에 미리 세팅하게 된다.The
이에 역시 미리 제작장에서 설치한 콘크리트 하현재용 거푸집에 긴장재(110, 포스트텐션 방식의 경우)와 단부 하부받침대(120a)를 미리 세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부 하부받침대(120a)가 매립되어 일체화된 콘크리트 하현재(100)를 제작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tension member (110, post-tension type) and the end
이때 상기 단부 하부받침대(120a)에는 스터드와 복부재 합성봉은 위치상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In this case, the stud and the composite member rod do not need to be separately installed on the end
다음으로 도 2b와 같이 상기 수직강관(210)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복부재(200)는 먼저 수직강관(210)을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강관을 절단하여 준비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2B, the
이러한 강관은 일정한 직경을 가진 것으로서 기성제품을 구입하여 절단하면 간단하게 수직강관으로 이용이 가능하므로 달리 가공에 많은 비용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These steel pipes have a certain diameter and can be used as vertical steel pipes simply by purchasing a ready-made product and cutting them, so that there is no need for expensive processing.
이에 상기 수직강관(210)은 앞서 살펴본 내측 하부받침대(120b)와 단부 하부받침대(120a)를 구성하는 받침판(121a,121b)에 형성된 복부재 세팅판(123a,123b)에 끼워져 저면이 받침판(121a,121b)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즉, 수직강관(210)의 무게는 구입한 강관의 두께 및 직경에 따라 중량이 다르긴 하지만 상당한 무게를 가지게 되므로 이를 인양하여 콘크리트 하현재에 정확하게 세팅하는 작업은 현장에서 사실상 용이하지 않다.That is, the weight of the
이에 본 발명은 조립 설치의 단순화를 위하여 복부재 세팅판(123a,123b)에 수직강관(210)이 끼워져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수직강관(210)을 콘크리트 하현재(100)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이와 같이 수직강관(210)을 복부재 세팅판(123a,123)에 의하여 단부 및 내측 하부받침대(120a,120b)에 안착시키면 각 하부받침대(120a,120b)와 수직강관(210)을 용접에 의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데 위치가 안착되어 있으므로 용접작업이 수월하고 만약 용접에 의한 품질확보 등이 우려되면 미도시한 앵글을 등을 이용하여 볼트를 이용하여 하부받침대(120)에 체결시켜 고정시키면 된다.As such, when the
이와 같이 복부재(200)를 수직강관(210)으로 설치하면 세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부받침대(22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축하중(수직하중)에 의하여 정확하게 콘크리트 하현재(100)에 의하여 전달할 수 있으므로 합성거더의 단면력 계산이 간단해져 설계에 매우 유리하다.When the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수직강관(210)이 차지하는 단면적은 종래 복합 트러스보와 달리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콘크리트(230)에 의하여 훨씬 커지기 때문에 상부받침대(22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실질적으로 저항하는 구조부재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하현재(100)의 단면을 최적화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ross-sectional area occupied by the
또한 수직강관(210)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콘크리트(230)에 대한 거푸집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복부재(200)를 콘크리트부재로 제작하기 용이하며 상기 충전콘크리트(230)가 수직강관(210)에 의하여 구속되므로 축력 지지에 매우 유리하고 합성거더의 좌굴 등에 매우 유리하게 된다. 이러한 충전콘크리트(230) 충전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since it serves as a formwork for the filling
또한 상기 단부 하부받침대(120a)에 설치되는 수직강관과 단부 하부받침대를 제외한 수직강관들의 높이들은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해야 한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vertical steel pipes other than the vertical steel pipe and the end lower support which are installed in the
하지만 양 단부 하부받침대(120a)에 설치되는 수직강관(210)은 콘크리트 하현재(1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양 단부 하부받침대(120a) 이외의 단부 하부받침대(120a)에 설치되는 수직강관과 대비하여 그 연장길이가 더 길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However, since the
이로서 제작 순서상 상기 쉬스, 단부 하부받침대(120a), 내측 하부받침대(120b) 및 수직강관(210)을 미리 세팅해 놓은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하현재(100)를 형성시키게 된다.As a result, the sheath, the
다음으로 상기 수직강관(210) 상면에는 도 2c와 같이 상부받침대(220)를 설치하게 된다.Next, the
상기 상부받침대(220)는 합성거더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수평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 수직강관(210)들 상면에 끼워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받침대(120)와 다른 점은 1개의 판재와 같이 연속하여 설치되며 상면에 콘크리트충전홀(221)이 형성되어 있어 있다는 점이다.The
이때 상기 콘크리트충전홀(221)은 양 단부에 위치한 수직강관의 경우에는 수직강관의 직경에 해당하는 콘크리트충전홀(221)이 형성되도록 하고, 양 단부를 제외한 수직강관의 경우에는 직경보다 작은 콘크리트 충전홀이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이는 상기 콘크리트충전홀(221)을 통해 충전콘크리트(230)가 수직강관(210)에 용이하게 충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filling
이때 특히 양 단부 이외의 위치에 연장된 상부받침대(220)는 수직강관 내부에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4와 같이 상부받침대(220) 저면에 충전콘크리트(230)와 합성시키기 위한 스터드(223)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in particular, the
또한 상부받침대 상면에는 슬래브콘크리트와의 합성을 위해 스터드가 다수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a number of stud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ase for synthesis with slab concrete.
나아가 전체 상부받침대(220)에 있어 각 수직강관(210) 둘레를 따라 복부재 세팅판(224)이 서로 이격 형성되도록 하여 상부받침대(220)를 수직강관(210) 상단에 용이하게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Furthermore, in the entire
이에 역시 상부받침대(220)를 복부재 세팅판(224)에 의하여 수직강관(210)의 상단에 안착시키면 상부받침대(220)와 수직강관(210)을 용접에 의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데 역시 수직강관의 위치가 안착되어 있으므로 용접작업이 수월하고 만약 용접에 의한 품질확보 등이 우려되면 역시 미도시한 앵글을 등을 이용하여 볼트를 이용하여 상부받침대(220)에 체결시켜 고정시키면 된다.In this case, if the
이러한 상부받침대(220)는 수직강관(210) 각각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게 된다.The
다음으로는 이러한 상부받침대(220)까지 수직강관(210)에 설치한 이후에 긴장재(110)를 긴장 후 정착시켜 콘크리트 하현재(100)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게 된다. 이는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가 거더의 중립축을 기준으로 하방에 도입되도록 하여야 거더 하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Next, after the
이에 최종 본 발명에 의한 합성거더(A)가 도 2c와 같이 최종 완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e girder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nally completed as shown in FIG. 2C.
[ 콘크리트가 충전된 복부재를 이용한 합성거더(A)를 이용한 라멘교 교량시공방법 ][Ra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mposite Girder (A) Using Concrete Filled Composite Members]
먼저, 도 3a와 같이 합성거더(A, 도 2c와 동일한 것)를 공장 등에서 먼저 제작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3a, a composite girder (A, the same as FIG. 2c) is first manufactured at a factory or the like.
이러한 합성거더(A)는 콘크리트 하현재(100), 단부 및 내측 하부받침대(120a,120b), 수직강관(210), 상부받침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콘크리트 하현재(100)에 형성된 긴장재(110)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상태이다.The composite girder (A) is composed of a concrete
이러한 합성거더(A)는 미리 시공된 교량하부구조(B)에 거치된다.This composite girder (A) is mounted on the bridge substructure (B) previously constructed.
이러한 교량하부구조(B)는 교대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양 교대가 서로 교축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교대 사이에 합성거더(A)가 거치되는 라멘교 교량을 기준으로 살펴본다.This bridge substructure (B) includes a shift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shifts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looks at the basis of the ramen bridge bridge is a composite girder (A) is mounted between the shift.
이에 라멘교용 양 교대가 시공되면 기중기 등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교량하부구조 사이에 횡방향으로 다수를 교량받침(미도시)을 이용하여 거치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two ramen bridges are constructed, a plurality of bridges are mounted in a lateral direction between the bridge substructures using a lifting device such as a crane using bridge supports (not shown).
라멘교는 양 교대사이에 합성거더(A)를 설치하되 합성거더의 양 단부를 교대와 서로 강결시켜 설치하게 된다.The ramen bridge is to install a compound girder (A) between the two shifts, but the two ends of the compound girder is installed by tightening each other with the shift.
이를 위해 도 4와 같이 상기 양 교대(C) 상면에는 합성거더(A)를 강결시킬 수 있는 수단인 고정부재(400)를 설치하게 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the fixing
이러한 고정부재(400)는 강봉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강봉은 다수를 교대 코핑부 상부에 하단부가 매립 고정되도록 하고, 상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The fixing
이때 상기 고정수단(400)의 상단부는 합성거더(A)의 양 단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 하현재(100)를 매리 및 관통하여 설치되는 양 단부 하부받침대(120a)와 수직강관(21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수단(400)이 양 단부 하부받침대(120a)와 수직강관(210)을 관통하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fixing means 400 is installed so as to extend through both ends of the composite girder (A)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both ends lower pedestal (120a) to bury and penetrate the concrete
이는 고정수단(400)에 합성거더(A)를 간단하게 삽입 설치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증진된다.This can be simply installed in a way that simply inserts the composite girders (A) to the fixing means 400, the construction is greatly improved.
다음으로는 상기 고정수단인 강봉의 상단을 합성거더(A)의 상면에 체결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이 과정에서 합성거더(A)의 양 단부가 교량하부구조(B)에 강결되게 된다.Next, the upper end of the steel bar, which is the fixing means,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mposite girder A by using a fastening nut. In this process, both ends of the composite girder A are rigidly attached to the lower bridge structure B.
다음으로 도 3b와 같이 미도시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Next, the slab concrete is poured using a formwork not shown in FIG. 3b.
이러한 슬래브 콘크리트는 타설과정에서 각 수직강관(210)의 콘크리트충전홀(221)을 통해 수직강관(210)의 내부에 충전되면서 라멘교 슬래브가 최종 형성되도록 시공하게 된다.The slab concrete is constructed so that the ramen bridge slab is finally formed while being filled in the
이때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는 수직강관(210)의 그 충전여부를 콘크리트충전홀(211)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충전여부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lab concrete being poured can be visually confirmed whether the filling of the vertical steel pipe (210) through the concrete filling hole (211) is easy to check whether the filling.
또한 상기 수직강관(210)에 충전된 충전콘크리트(230)는 상부받침대(220)와 하부받침대들(120a,120b)에 수직강관(210) 내부로 연장 형성된 각각의 스터드(223)에 의하여 수직강관(210)과 일체화 거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lling
나아가 긴장재(110)중 긴장, 정착시키지 않고 남은 것들을 추가로 긴장 정착시켜 소요의 프리스트레스를 합성거더에 추가 도입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tension of the
100: 콘크리트 하현재
110: 긴장재
120: 하부받침대
120a: 단부 하부받침대
120b: 내측 하부받침대
121a,121b: 받침판
122: 스터드
123a,123b: 복부재 세팅판
124: 복부재 합성봉
200: 복부재
210: 수직강관
220: 상부받침대
221: 콘크리트 충전홀
222: 받침판
224: 복부재 세팅판
400: 고정부재
A: 본 발명의 합성거더
B: 교량하부구조(교대)
S: 슬래브100: concrete low current
110: tension material
120: lower stand
120a: end lower support
120b: inner bottom support
121a, 121b: base plate
122: stud
123a and 123b: abdominal member setting plate
124: abdominal composite rod
200: abdominal cavity
210: vertical steel pipe
220: upper stand
221: concrete filling hole
222: support plate
224: abdominal member setting plate
400: fixing member
A: Synthetic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B: Bridge undercarriage (shift)
S: slab
Claims (6)
상기 콘크리트 하현재(100)의 양 단부 내측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하현재의 저면에 서로 이격되어 노출된 받침판(121a)과 상기 받침판 상면 둘레에 설치된 복부재 세팅판(123a)을 포함하는 양 단부 하부받침대(120a);
상기 양 단부 하부받침대(120a) 사이의 콘크리트 하현재(100) 상면에 서로 이격되어 상면이 노출된 받침판(121b)과 상기 받침판 상면 둘레에 설치된 복부재 세팅판(123b)을 포함하는 내측 하부받침대(120b); 및
상기 복부재 세팅판(123a,123b)이 외주면이 접하도록 끼워져 고정된 수직강관(210)과 상기 수직강관(210) 상단에 끼워져 설치되며, 콘크리트충전홀(221)이 상면에 형성된 받침판(221)과 상기 받침판 저면 둘레에 설치된 복부재 세팅판(224)을 포함하는 상부받침대(220);를 포함하는 복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양 단부 하부받침대(120a)에 끼워져 설치되는 수직강관(210)은 콘크리트 하현재(100)를 관통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Concrete lower chord 100 having a thickness T in the form of a panel;
It is installed to be embedded inside both ends of the concrete lower chord 100, and includes a support plate (121a)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x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lower chord and the abdominal member setting plate (123a) installed around the top of the base plate End lower support 120a;
An inner lower supporter including a support plate 121b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lower chord 100 between the lower supporters 120a between the both ends, and an abdominal member setting plate 123b installed around the support plate upper surface. 120b); And
The abdominal member setting plate (123a, 123b) is fitted to be installed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vertical steel pipe 210 and the top of the vertical steel pipe 210 is installed, the support plate 221 formed concrete filling hole 221 on the upper surface And an upper supporter 220 including an abdominal member setting plate 224 installed around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Vertical girder pipe 210 is fitted to the both bottom lower pedestal (120a) is a composite girder using a vertical steel pipe as a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concrete lower chord 100.
상기 수직강관(210)은 슬래브(S)를 형성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콘크리트충전홀(221)을 통해 수직강관 내부에 충전되도록 하여 수직강관 내부에 충전콘크리트(23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The method of claim 1,
The vertical steel pipe 210 is to be filled in the vertical steel pipe inside the vertical steel pipe through the concrete filling hole 221 when the concrete is poured to form the slab (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ing concrete 230 is formed Composite girders using vertical steel pipes as abdominal members.
상기 내측 하부받침대(120b)의 받침판(121b) 저면에는 스터드(122)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하현재(100)에 받침판(121b)이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하부받침대의 받침판(121b)에는 받침판을 관통하여 하부가 콘크리트 하현재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복부재 합성봉(124)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복부재 합성봉에 의하여 충전콘크리트가 수직강관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The method of claim 1,
A stud 122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upporting plate 121b of the inner lower support 120b so that the support plate 121b is fixed to the concrete lower chord 100, and the support plate 121b of the lower support penetrates the support plate. The lower part is fixed to the concrete lower chord and extended upward to form a plurality of composite member rods 124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filled concrete behaves integrally with the vertical steel pipe by the composite member rod Composite girder using a vertical steel pipe as a member.
상기 내측 하부받침대(120b)에 끼워져 설치되는 수직강관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받침판(220)의 받침판 저면에는 스터드(223)가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에 의하여 충전콘크리트(230)가 수직강관(210)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ud 223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220 of the upper support plate 220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teel pipe fitted into the inner lower support 120b so that the filling concrete 230 and the vertical steel pipe 210 are formed by the stud. Composite girder using a vertical steel pipe as a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o act integrally.
상기 콘크리트 하현재(100)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긴장재(110)가 더 설치되도록 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며 상기 긴장재(110)는 슬래브가 형성되기 이전에 일부가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The method of claim 1,
The tension lower portion 1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urther installed in the concrete lower chord 100 so that prestress is introduced, and the tension member 110 is characterized in that part of the tension member 110 is settled after tension before the slab is formed. Composite girders using vertical steel pipes as abdominal members.
제 1항의 합성거더(A)를 구성하는 양 단부 하부받침대(120a)에 설치된 수직강관(210)을 상기 고정부재(400)이 관통되도록 교량하부구조에 거치시키고 상기 고정부대(400)을 합성거더(A)의 상면에 고정시켜 합성거더를 교대하부구조에 강결시키고,
상기 합성거더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래브(S)를 형성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콘크리트충전홀(221)을 통해 각 수직강관(210) 내부에 충전되도록 하여 수직강관 내부에 충전콘크리트(23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The lower part is embedded in the upper surface is fixed and the lower bridge (B) is installed, the fixing member 400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extended upward,
The vertical steel pipe (210) installed in the lower end support (120a) constituting the composite girder (A) of claim 1 is mounted on the bridge lower structure so that the fixing member (400) penetrates, and the fixing unit (400) is combined. It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A) to stiffen the composite girder to the alternating lower structure,
Placing concrete on top of the synthetic girder to form a slab, when the concrete to form the slab (S) when the concrete is filled in each vertical steel pipe 210 through the concrete filling hole 221 Ra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mposite girder using a vertical steel pipe as a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ing concrete 230 is formed in the vertical steel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3851A KR101286112B1 (en) | 2011-12-13 | 2011-12-13 | Composite girder with steel pipe and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3851A KR101286112B1 (en) | 2011-12-13 | 2011-12-13 | Composite girder with steel pipe and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7027A KR20130067027A (en) | 2013-06-21 |
KR101286112B1 true KR101286112B1 (en) | 2013-07-23 |
Family
ID=4886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3851A KR101286112B1 (en) | 2011-12-13 | 2011-12-13 | Composite girder with steel pipe and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611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5039B1 (en) * | 2014-11-03 | 2015-03-24 | 주식회사 오케이건설 | Composite Girder with Heating-Reinforcing Steel Beam and Concrete Beam |
EA034490B1 (en) * | 2017-04-29 | 2020-02-13 | Анатолий Эдуардович Юницкий | Truss road structure of high-speed transport system, railroad line of truss road structure of high-speed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russ road structure and railroad line |
KR102301622B1 (en) * | 2019-09-17 | 2021-09-13 | 주식회사 택한 | Composite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steel girder for composite rahmen bridge |
KR102270427B1 (en) * | 2019-09-24 | 2021-06-29 | (주)삼현피에프 |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93430A (en) | 2001-12-28 | 2003-07-09 | Kajima Corp |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truss bridge |
KR100957718B1 (en) | 2009-08-31 | 2010-05-13 | 산이건설 주식회사 | Support fix structure for steel box bridge |
-
2011
- 2011-12-13 KR KR1020110133851A patent/KR10128611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93430A (en) | 2001-12-28 | 2003-07-09 | Kajima Corp |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truss bridge |
KR100957718B1 (en) | 2009-08-31 | 2010-05-13 | 산이건설 주식회사 | Support fix structure for steel box brid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7027A (en) | 2013-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23757B1 (en) |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US8549805B2 (en) | Grid-type drop-panel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178876B1 (en) | Prestressed composit rahmen bridge construdtion method | |
JP5945418B2 (en) | How to build a box girder bridge | |
KR101134460B1 (en) | Steel beam with lattice ba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0989586B1 (en) | Girder for rahmen structure, the making method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girder for rahmen structure | |
KR100971736B1 (en) | Shear reinforcement with dual anchorage function each up and down | |
KR101018824B1 (en) | Composite beam making method using t-typed channel beam a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5406563B2 (en) | Composite beam, building, and composite beam construction method | |
KR100543969B1 (en) | Composite rigid-frame bridge installing prestressed compound beam to the contral point of the slab of rigid-frame bridge and connecting the beam to the steel member installed in the upper of po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993777B1 (en) | Rahme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segment | |
KR101222620B1 (en) |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it's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which used pretensioning steel plate | |
KR101112195B1 (en) | Steel-concrete composite crossbeam having wire mesh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135634B1 (en) |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hinge joint in support parts and rigid joint in rahmen conner parts | |
KR101286112B1 (en) | Composite girder with steel pipe and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20053869A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end-block with girder connection member | |
KR101203724B1 (en) | The Construction methods for the cantilever slab using half precast panels | |
KR101286116B1 (en) | Composite girder with steel pip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133420B1 (en) | Precast concrete connection block and the continuity method of composite bridges using it | |
KR101375382B1 (en) | Precast formless composite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937252B1 (en) | Prestressed steel composite beam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676627B1 (en) | Shear reinforcement device arranged in the slab-column connection and the shear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device | |
KR20140125754A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continuous point part of pier using copping for connecting girder | |
KR100522298B1 (en) | Improved prestressed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beam | |
KR101067717B1 (en) | Process for p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concrete girder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