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026B1 -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 Google Patents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4026B1 KR101154026B1 KR1020110110608A KR20110110608A KR101154026B1 KR 101154026 B1 KR101154026 B1 KR 101154026B1 KR 1020110110608 A KR1020110110608 A KR 1020110110608A KR 20110110608 A KR20110110608 A KR 20110110608A KR 101154026 B1 KR101154026 B1 KR 1011540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storage tank
- road
- rainwater storage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adapted to be used with kerb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8—Ventilation of sew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에 관한 것으로, 도로 측구 하부공간을 이용하여 기상이변에 따른 게릴라성 집중호우시 우수를 저류하여 우수유출 부하를 경감함으로써 공공 하수관로의 부하를 저감하여 도로 및 주택의 침수방지 및 홍수범람을 예방 또는 방지하고, 비가 그친 뒤 조절시설에 의해 우수를 하수 처리하며,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의 수거와 빗물 저류조 내에 발생한 공기 및 가스의 환기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은, 도로 또는 노상의 가장자리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를 저장하는 박스형 우수저장부(10)와; 상부가 개방 형성되며 둘레부에 상기 우수저장부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장공형태 정류공(21a)이 구비되고 일측에 제1유출공(21b)이 형성된 우수 저류조 본체(21),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노면과 일렬로 배열되며 상부를 향해 개구부가 형성된 빗물받이부(22), 상기 빗물받이부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23),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유출공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면서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천정부 사이에 월류부(24b)를 형성하는 배플(24)을 포함하는 우수 저류조(20)와; 연결관(30)을 통해 상기 우수 저류조의 제1유출공(21b)과 연결되어 상기 우수 저류조로부터 배출되는 우수를 저장하는 하수 박스(40)를 포함하며, 상기 우수 저류조는, 상기 빗물받이부의 직하부와 대응되는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바닥부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수거통 안착부(21c), 상부가 개방된 통 구조이면서 인양후크(27a)가 구비되며 상기 수거통 안착부에 수납되어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에 유입된 협잡물을 수거하는 수거통(27)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은, 도로 또는 노상의 가장자리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를 저장하는 박스형 우수저장부(10)와; 상부가 개방 형성되며 둘레부에 상기 우수저장부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장공형태 정류공(21a)이 구비되고 일측에 제1유출공(21b)이 형성된 우수 저류조 본체(21),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노면과 일렬로 배열되며 상부를 향해 개구부가 형성된 빗물받이부(22), 상기 빗물받이부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23),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유출공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면서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천정부 사이에 월류부(24b)를 형성하는 배플(24)을 포함하는 우수 저류조(20)와; 연결관(30)을 통해 상기 우수 저류조의 제1유출공(21b)과 연결되어 상기 우수 저류조로부터 배출되는 우수를 저장하는 하수 박스(40)를 포함하며, 상기 우수 저류조는, 상기 빗물받이부의 직하부와 대응되는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바닥부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수거통 안착부(21c), 상부가 개방된 통 구조이면서 인양후크(27a)가 구비되며 상기 수거통 안착부에 수납되어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에 유입된 협잡물을 수거하는 수거통(2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측구 하부공간을 이용하여 기상이변에 따른 게릴라성 집중호우시 우수를 저류하여 우수유출 부하를 경감함으로써 공공 하수관로의 부하를 저감하여 도로 및 주택의 침수방지 및 홍수범람을 예방 또는 방지하고, 비가 그친 뒤 조절시설에 의해 우수를 하수 처리하며,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의 수거와 우수 저류조의 환기가 가능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에 관한 것이다.
도시지역 하천의 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점오염원은 하수관거 정비 및 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화로 인하여 상당부분 오염부하량을 경감시키는데 그 효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점오염원만의 관리로는 하천의 오염부하량을 감소시키고 하천의 수질을 향상하는데 한계점이 있고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부하량을 감소시켜야만 도시 하천의 수질 및 수 생태계를 보전ㅇ회복 할 수 있게 되었다. 도시지역의 비점오염원은 대지, 도로, 건물의 지붕 등 다양하지만 가장 큰 부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도로 노면의 비점오염원이다. 도로 노면에 쌓인 먼지, 유류, 자동차에 의해 기인한 중금속 및 타이어 마모재 등이 강우시 초기우수에 의한 유출의 형태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이는 하수처리장의 오염부하를 가중시키고, 용량이 부족한 하수관거에서 인근 하천으로 월류되어 직접적으로 하천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어 물고기가 폐사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도시지역은 불투수층에 의한 포장화로 강우 유출시간이 짧아지고, 기후변화에 의한 국부적인 게릴라성 호우에 의해 상습 침수 구역의 범위와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일시적인 게릴라성 호우에 대비하여 하수관거 용량을 증대시키거나, 유수지를 확충하는 데에는 비용적인 문제와 더불어 이용 가능한 부지를 확보하는 어려움이 있어 실현 가능한 대안이 되는 경우가 많지 않다.
초기우수에 의한 비점오염원 문제와 게릴라성 호우에 의한 침수 문제는 모두 강우 유출수에 의한 문제로 귀결된다. 차이점은 비점오염원은 강우초기에 문제가 된다는 점이고, 침수 문제는 강우가 본격적으로 강화되는 첨두강우 및 첨두강우 이후 유출된 강우가 하류에서 집수되는 시점이 문제가 된다는 점이다.
우수유출 저감시설은 밸브시설의 구조에 따라 초기우수 저류형과 첨두부하 저류형으로 구분된다.
초기우수 저류형 우수유출 저감시설은 빗물받이(우수 저류조)로 집수된 우수를 직접 저류조로 유입시켜 저류시키고, 저류조의 수위가 만수되면 도로 중앙에 매설된 우수관거로 유출된다. 이를 위해 빗물받이에서 관거로의 연결관에 밸브를 설치하여 평상시 닫아 놓아 강우시 초기우수를 직접 저류조로 유입시키고 청천시 밸브를 개방하여 관거를 통해 유출 시킨다.
첨두부하 저류형 우수유출 저감시설은 일반 강우강도의 강우는 빗물받이에서 하수관거 연결관을 통해 직접 유출시키고 강한 강우강도의 강우시는 월류하여 저류시설로 저류되도록 연결관의 유입부 관경을 일부를 막아 놓은 것이 그 특징이다.
우수 유출 저감시설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1. 초기우수 저류형 우수유출 조절장치
가. 분류식 하수관거 지역
초기우수 저류형 우수유출 저감시설은 분류식 하수관거가 설치된 도로에 설치시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우천시에 하천으로 방류되는 도로 노면의 초기 우수에 의한 비점오염물질을 우수유출 저감시설에 저류한 후, 청천시 오수관거로 방류시켜 하수처리장에서 처리 후 방류하게 된다. 우천시 저류조가 만수되면 이미 노면의 오염물질은 제거된 상태이므로 깨끗한 강우 유출수는 도로중앙의 우수관거로 유출되어 공공수역으로 방류된다.
나. 합류식 하수관거 지역
초기우수 저류형 우수유출 저감시설을 합류식 하수관거가 설치된 도로에 설치하면 저류된 초기우수를 청천시에 방류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이송시키므로 강우시 하수처리장의 부하량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2. 첨두부하 저류형 우수유출 조절장치
게릴라성 집중호우시의 하수관거의 첨두 강우유출 부하를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하며, 합류식 지역 및 분류식 지역에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빗물받이에서 하수관거로의 연결관의 유입부 관경을 일정단면을 축소시키므로 초기 강우 강도의 강우유출수는 직접 유출되나 첨두부하 강우강도의 유출수는 그 양이 급증하여 빗물받이에서 수위가 증가하고 이는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저류조로 저류하게 된다. 저류조의 수위가 만수되면 관경이 큰 월류관을 통해 하수관거로 유출이 된다. 강우 강도가 약해지면 저류조에 저류된 강우유출수는 자체 수위 및 저류조의 기울기에 의해 빗물받이로 흐르게 되어 연결관을 통해 하수관거로 배출된다.
한편, 홍수를 방재하기 위해서는 도로 또는 노상의 불투수층을 감소시키거나 유수지 등의 저류지를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투수성 포장재를 적용할 수 있는 지역은 극히 제한적이며 그 효과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 또한, 점차적으로 고밀화되어가는 부지의 이용계획 및 개발에 따라 적절한 저류지를 확보하거나 기존의 유수지조차 타용도로 전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와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5534호가 있다.
선특허는 우수가 우수저장부에 저장되어 우수유출 부하가 경감됨에 따라 빗
물 펌프장과 하수처리장 부하가 저감되어 침수와 홍수범람을 방지할 수 있고, 도로 노면 등에 있는 오염물질이 우수와 함께 신속하게 도로 노면 등에서 처리되어 도로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빗물받이에 저장된 우수의 저장량에 따라 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되어 별도의 수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우수의 저장과 우수의 배출이 가능하므로 우수 저감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사이펀관을 통해 우수가 자동으로 배출되어 적정량의 우수를 저장하고 배출할 수 있으므로 우수 저감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구의 부력에 의해 제2유출공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첨두부하 저류형 우수유출 조절장치로 사용함과 아울러 승강봉을 인위적으로 작동하여 개폐판을 작동함으로써 초기우수 저류형 우수유출 조절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빗물받이의 정류공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빗물받이에 유입된 우수를 우수저장부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수량이 많아지거나 단면적이 커져야 하는데 빗물받이의 제조상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우수를 우수저장부로 유도하는 것이 미약하다.
그리고, 빗물받이에는 일정량의 빗물이 저장되는데, 상기 빗물받이 내부는 빗물의 일정량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받이 내부에서 협잡물이 부패함으로써 빗물받이 내부에는 악취가 발생된다. 그러나, 빗물받이 내부에는 별도의 환기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아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빗물받이 내부의 악취가 그레이팅을 통해 보도측으로 배기되어 보행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변 또는 노상 근처에 우수저장부를 설치하여 저강도의 강우는 우수 저류조를 통해 우수 박스에 저장하고, 게릴라성 집중호우시 발생하는 우수 유출수는 우수저장부를 통해 저류시켜 빗물 펌프장과 하수처리장 부하를 저감함으로써 침수와 홍수범람을 방지하되, 우수 저류조에 유입된 우수를 신속하게 우수저장부에 유도하여 하수처리장의 부하를 확실하게 저감시키며, 우수 저류조에 있는 유해가스 및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을 제거하여 협잡물에 의한 악취를 해결할 수 있는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은, 도로 또는 노상의 가장자리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를 저장하는 박스형 우수저장부와; 상부가 개방 형성되며 둘레부에 상기 우수저장부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장공형태 정류공이 구비되고 일측에 제1유출공이 형성된 우수 저류조 본체,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노면과 일렬로 배열되며 상부를 향해 개구부가 형성된 빗물받이부, 상기 빗물받이부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유출공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면서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천정부 사이에 월류부를 형성하는 배플을 포함하는 우수 저류조와; 연결관을 통해 상기 우수 저류조의 제1유출공과 연결되어 상기 우수 저류조로부터 배출되는 우수를 저장하는 하수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우수 저류조는, 상기 빗물받이부의 직하부와 대응되는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바닥부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수거통 안착부, 상부가 개방된 통 구조이면서 인양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수거통 안착부에 수납되어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에 유입된 협잡물을 수거하는 수거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에 의하면, 우수가 우수저장부에 저장되어 우수유출 부하가 경감됨에 따라 빗물 펌프장과 하수처리장 부하가 저감되어 침수와 홍수범람을 방지할 수 있고, 도로 노면 등에 있는 오염물질이 우수와 함께 신속하게 도로 노면 등에서 처리되어 도로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우수 저류조에 유입된 협잡물을 용이하게 수거하여 우수 저류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우수 저류조 내부를 환기시켜 주변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부구의 부력에 의해 제2유출공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첨두부하 저류형 우수유출 조절장치로 사용함과 아울러 승강봉을 인위적으로 작동하여 개폐판을 작동함으로써 초기우수 저류형 우수유출 조절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로 지하에 하수관거가 매설된 지역으로 지형경사가 완만하여 우수 배제가 원활하지 못하여 강우시 도로의 순간 침수위험이 높은 지역과 청천시 하수관거 내 침천으로 관내 퇴적 또는 정체로 악취발생이 많은 지역에 적용되어 침수와 악취를 방지할 수 있다. 서울시의 경우 도로연장이 약8,000km 이상중 지형구배가 완만한 지역과 상류지역의 빗물저장으로 하류지역 활용 용도가 높은 지역에 우선 설치를 통하여 사업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경제적 효과가 있다.
우수저장부에 저장된 빗물은 하수관내 퇴적물 세정(flushing)을 위한 세정수로 활용 가능하며, 빗물 관리시설로 우수 유출저감에 따른 하수관거 정비시 하수관거 단면 축소로 인한 관거 부설비용저감과 부족한 관거부설 공간 확보와 지장 매설물 이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저장된 빗물을 가로수 조경용수 및 청소용수로 정수처리 후 도로용수로 이용시 물 재이용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도출되며, 초기강우 유출저감을 통하여 차집관거 월류수 저감으로 방류수역의 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에 적용된 우수 저류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에 적용된 밸브수단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에 적용된 우수 저류조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에 적용된 우수 저류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에 적용된 밸브수단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에 적용된 우수 저류조의 정단면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은, 도로 또는 노상의 가장자리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저장부(10)와; 우수저장부(10)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도로 또는 노상을 따라 흐르는 우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우수 저류조(20)와; 우수 저류조(20)와 연결관(30)을 통해 연결되어 우수 저류조(20)에 유입된 우수를 저장 또는 하수처리계통(빗물 펌프장, 하수처리장 등)으로 유도배수하는 하수 박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수저장부(10)는 우수 저류조(20)를 통해 유입된 우수를 일시 저장하는 것으로, 차량 하중에 안전하도록 콘크리트나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모든 면이 밀폐된 박스 형태의 저장부이며, 다수의 단위 콘크리트박스가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우수저장부(10)는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우수 저류조(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우수 저류조(20)로부터 우수를 받아 일시 저장하는 것으로 양측(또는 일측만, 우수 저류조(20)가 일측에만 있는 경우에는 일측만)은 우수 저류조(20)의 후술하는 정류공(21a)과 연통된다.
우수저장부(10)는 저장된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우수 저류조(20)로 배출하고 우수가 잔류하지 않도록 바닥면이 우수 저류조(20)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우수저장부(10)의 내측 공간상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버팀재를 복수개 설치하여 도로 또는 노상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우수저장부(10)의 하중 버팀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하수 박스(40)는 도로 또는 노상 중앙의 지하공간에 배치되는데, 이러한 하수 박스(40)는 우수 저류조(20)의 저면보다 더 하측으로 배치되어 우수 저류조(20)로부터 유입된 물을 수압이나 중력작용에 따라 하수처리한다.
하수 박스(40)는 연결관(30)을 통해 우수 저류조(20)와 연통되는데, 하수 박스(40)에 저장된 우수로 인한 악취가 우수 저류조(20)측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연결관(30)은 하수 박스(40)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트랩의 기능을 한다.
연결관(30)의 경사에 의해 연결관(30)에는 하수 박스(40)와 동일한 수위로 우수가 머무르게 되고, 결국 하수 박스(40) 내부에 있는 악취가 연결관(30)에 있는 우수에 의해 우수 저류조(20)측으로 역류하지 못하게 된다.
우수 저류조(2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이며 콘크리트, PE 등을 재질로 하고 우수저장부(10)의 사이에 설치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우수 저류조(20)는 우수가 유출입되는 박스형의 우수 저류조 본체(21), 우수 저류조 본체(21)의 상측에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면서 상부에 개구부가 구비된 빗물받이부(22), 빗물받이부(22)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23), 우수 저류조 본체(21) 내부를 구획하는 배플(24), 배플(24)에 형성된 제2유출공(24a)(도 6참고)을 개폐하여 우수가 배플(24)의 제2유출공(24a)을 통과하거나 선회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밸브수단(25)으로 구성된다.
우수 저류조 본체(21)는 우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이며 유입된 우수를 우수저장부(10)로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정류공(21a), 하수 박스(40)로 유도하는 제1유출공(21b)이 구비된다.
정류공(21a)은 우수 저류조 본체(21)에 유입된 우수를 신속하게 우수저장부(10)로 유도할 수 있도록 즉 게릴라성 집중호우와 같이 초기 강우량이 많은 경우 우수 저류조(20)가 우수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우수 저류조(20)는 도로와 보도 사이의 지중에 설치되어 도로 노면수를 효과적으로 유도 배수하는 것이며, 우수 저류조 본체(21)가 노면으로 노출되지 않고 우수 저류조 본체(21)에 유입된 우수를 우수저장부(10)로 유도할 수 있도록 빗물받이부(22)가 형성되는 것이며, 빗물받이부(22)는 도로와 보도의 노면에 있는 우수가 배플(24) 안쪽으로 유입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우수 저류조 본체(21)는 그레이팅(23)에 의해 그레이팅(23)의 구멍보다 큰 크기의 돌 등은 유입되지 않지만 그레이팅(23)의 구멍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나뭇가지 등)은 유입된다.
배플(24)은 제1유출공(21b)보다 작은 제2유출공(24a)이 구비된 판상 구조물이며, 우수 저류조 본체(21)의 내부에 제1유출공(21b)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세워진다. 배플(24)은 우수가 제2유출공(24a)을 경유하여 제1유출공(21b)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제2유출공(24a)을 경유하지 않고 제1유출공(21b)으로 직접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월류부(24b)(도 5와 도 6참고)를 형성한다.
우수는 그레이팅(23)을 통해 배플(24)의 안쪽으로만 유입될 것이며, 월류부(24b)는 배플(24)과 우수 저류조 천정 사이에 형성되어 우수를 유도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밸브수단(25)은 부력을 이용하여 우수 저류조 본체(21)에 유입되는 우수의 유량에 따라 제2유출공(24a)을 개폐함으로써 우수가 제2유출공(24a)을 경유한 후 배출되도록 하거나, 제2유출공(24a)을 선회하여 제1유출공(21b)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밸브수단(25)은 우수 저류조 본체(21)에 저장되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25a), 부구(25a)의 승강을 전달하는 승강봉(25b)과 개폐로드(25c), 개폐로드(25c)에 의해 회전하여 제2유출공(24a)을 개폐하는 개폐판(25d)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구(25a)는 내부가 중공이며 공기 등이 채워져 우수 저류조 본체(21)에 저장된 우수의 수면측에 부유한다. 즉, 우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승강봉(25b)과 개폐로드(25c)는 부구(25a)의 승강에 따른 위치 변화를 통해 개폐판(25d)을 개폐 동작시킨다.
승강봉(25b)은 부구(25a)에 고정되어 부구(25a)와 함께 승강한다. 승강봉(25b)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승강봉(25b)의 승강 경로에는 레일이 갖추어질 수 있다.
개폐로드(25c)는 대략 중앙이 힌지를 통해 배플(2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양측이 각각 승강봉(25b)과 개폐판(25d)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밸브수단(25)은 우수의 수압이나 이물질에 의한 오동작을 막기 위하여 커버(25e)(도 4에 도시됨)에 의해 보호된다. 물론 커버(25e)는 부구(25a)의 작동을 위하여 내부에 우수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 예를 들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거나 저부가 개방된 구조이다.
또한, 개폐판(25d)을 관리자의 수작업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승강봉(25b)에는 수동 조작구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동 조작구는 관리자가 우수 저류조(20) 내부에 들어가서 직접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 또는 우수 저류조(20) 외부에서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 등이 가능하다.
배플(24)은 우수 저류조 본체(21)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단품으로 제조되어 체결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단품의 경우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우수 저류조 시설에 장착함으로써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밸브수단(25) 없이 배플(24)만으로도 우수 저류조(20)에 유입된 일부 우수를 우수저장부(10)에 저장하고 나머지 우수를 하수 박스(40)로 유도할 수 있다. 배플(24)은 구멍이 없는 판재이면서 우수 저류조 본체(21)의 천정부 사이에 월류부를 형성하면, 우수는 배플(24)에 의해 하수 박스(40)로 유도되지 못하고 우수저장부(10)로 유도되며, 우수저장부(10)의 용량에 도달하면 우수 저류조 본체(21)에 저장된 우수는 월류부를 경유하여 하수 박스(40)로 유도된다.
부가적으로 사이펀원리를 이용하여 우수를 배출할 수 있는 사이펀관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사이펀관은 우수 저류조(20) 내부에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유입구가 우수 저류조(20)의 바닥측에 근접되며 배출구가 배플(24)을 넘어 연결관(30)에 연통될 것이며, 배플(24)에는 상기 사이펀관이 지지되는 통공이나 고정구 등이 체결될 수 있다. 단 상기 유입구는 상기 배출구가 높은 곳에 위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우수 저류조(20)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한 에어벤트(26), 우수 저류조(20) 내부에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27)이 갖추어진다. 우수 저류조(20)는 공공 하수관거(하수 박스(40))로 연결되는 연결관(30)을 통해 각종 가스(황하수소, 암모니아, 메탄가스 등)가 유입되며, 에어벤트(26)는 우수 저류조(20)에 있는 가스를 배출한다.
에어벤트(26)는 우수 저류조 본체(21) 내부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관이며 하측은 우수 저류조 본체(21)의 내부(바람직하게 우수 저류조 본체(21)의 천정에 근접되는 부분)에 연통 설치되고 상측은 지상으로 돌출되어 단부의 토출구가 지면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토출구(26a)가 보도의 지면을 향하도록 도시되었으나 토출구(26a)는 도로의 노면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우수 저류조 본체(21)에 있는 가스(또는 고온의 공기)는 우수 저류조 본체(21)의 천정부로 상승하다가 에어벤트(2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며, 이때,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에어벤트(26)의 유로 상에는 악취제거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또한, 강제 순환팬(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수거통(27)은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을 저장하는 상부 개방형 통이며, 협잡물의 수거시 우수가 배수되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배수공은 작은 협잡물이 빠지지 않으면서 우수만 배수되는 통수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수 저류조 본체(21)는 우수 저류조 본체(21)에 유입되는 모든 협잡물(우수 저류조 본체(21)의 바닥부에 있는 협잡물 포함)을 수거통(27)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홈 형태의 수거통 안착부(21c)가 형성된다. 우수 저류조 본체(21)의 바닥부는 협잡물이 수거통(27)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도록 하향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거통(27)은 작업자가 외부에서 그레이팅(23)을 분리한 후 수거될 수 있도록 빗물받이부(22)의 개구부 아래쪽에 이 개구부보다 작은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인양후크(27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하의 작용 설명은 첨두부하 저류형 우수유출 저감시설로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로 노면 등의 우수는 그레이팅(23)을 통해 우수 저류조(20)에 유입되며, 정확하게는 배플(24)의 안쪽으로만 유입된다.
밸브수단(25)에 의한 작용은 특허 제10-0885534호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개략적으로만 설명한다.
우수의 양이 적으면, 밸브수단(25)에 의해 우수 저류조 본체(21)에 유입된 우수가 하수 박스(40)로 유도된다.
우수의 양이 많아지면 밸브수단(25)에 의해 우수 저류조 본체(21)와 하수 박스(40)가 서로 연결되지 않으며, 따라서, 배플(24) 안쪽에는 우수가 저장되면서 우수저장부(10)로 유도된다.
우수 저장부(10)의 용량을 초과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우수 저류조 본체(21)에 유입된 우수가 월류부(24b)의 높이까지 채워지면, 우수는 월류부(24b)를 통해 배플(24)을 넘어 하수 박스(40)로 유도된다.
한편, 우수와 협잡물은 빗물받이부(22)의 직하부에 있는 수거통(27)측으로 자유 낙하하고, 협잡물은 수거통(27)에 남아 저장되고 우수 저류조 본체(21)의 바닥에 있는 협잡물도 수거통(27)으로 이동하여 수거통(27)에 저장된다.
관리자는 그레이팅(23)을 분리하여 빗물받이부(22)를 개방하고, 지상에서 수거봉 등을 인양후크(27a)에 연결하여 수거통(27)을 우수 저류조(20)의 외부로 인양한 후, 수거통(27)에 수거된 협잡물을 버리고, 빈 수거통(27)을 우수 저류조(20) 바닥의 수거통 안착부(21c)에 수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주기적으로 수거통(27)에 모인 협잡물을 수거함으로써 우수 저류조(20)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협잡물에 의한 배수계통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우수 저류조 본체(21) 내부에 있는 공기는 에어벤트(26)를 통해 우수 저류조 본체(21) 외부로 배기된다.
10 : 우수저장부, 20 : 우수 저류조
21 : 우수 저류조 본체, 21b : 제1유출공
22 : 빗물받이부, 23 : 그레이팅
24 : 배플, 25 : 밸브수단
26 : 에어벤트, 27 : 수거통
30 : 연결관, 40 : 하수 박스
21 : 우수 저류조 본체, 21b : 제1유출공
22 : 빗물받이부, 23 : 그레이팅
24 : 배플, 25 : 밸브수단
26 : 에어벤트, 27 : 수거통
30 : 연결관, 40 : 하수 박스
Claims (5)
- 도로 또는 노상의 가장자리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를 저장하는 박스형 우수저장부(10)와;
상부가 개방 형성되며 둘레부에 상기 우수저장부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장공형태 정류공(21a)이 구비되고 일측에 제1유출공(21b)이 형성된 우수 저류조 본체(21),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노면과 일렬로 배열되며 상부를 향해 개구부가 형성된 빗물받이부(22), 상기 빗물받이부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23),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유출공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면서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천정부 사이에 월류부(24b)를 형성하는 배플(24)을 포함하는 우수 저류조(20)와;
연결관(30)을 통해 상기 우수 저류조의 제1유출공(21b)과 연결되어 상기 우수 저류조로부터 배출되는 우수를 저장하는 하수 박스(40)를 포함하며,
상기 우수 저류조는, 상기 빗물받이부의 직하부와 대응되는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바닥부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수거통 안착부(21c), 상부가 개방된 통 구조이면서 인양후크(27a)가 구비되며 상기 수거통 안착부에 수납되어 상기 빗물받이부를 경유하여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에 유입된 협잡물을 수거하는 수거통(27), 하부는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하부는 지상으로 돌출되면서 토출구(26a)가 지면을 향하도록 벤딩되어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 내부의 공기 및 가스를 환기시키는 에어 벤트(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은 다수의 배수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 삭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제1유출공보다 작은 크기의 제2유출공(24a)이 구비되며, 상기 배플의 제2유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우수가 상기 제2유출공을 경유하거나 선회하여 상기 제1유출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밸브수단(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우수 저류조 본체에 저장되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25a), 상기 부구의 승강을 전달하는 전달수단, 상기 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부구의 승강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유출공을 개폐하는 개폐판(25d)을 포함하며,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부구에 연결되어 상기 부구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봉(25b), 양측이 상기 승강봉과 개폐판이 고정되면서 양측의 사이가 상기 배플에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봉의 승강에 따라 상기 힌지의 안내를 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판을 개폐구동하는 개폐로드(25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0608A KR101154026B1 (ko) | 2011-10-27 | 2011-10-27 |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0608A KR101154026B1 (ko) | 2011-10-27 | 2011-10-27 |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4026B1 true KR101154026B1 (ko) | 2012-06-07 |
Family
ID=4668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0608A KR101154026B1 (ko) | 2011-10-27 | 2011-10-27 |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402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59833A (zh) * | 2016-11-11 | 2017-05-31 | 河海大学 | 一种改善城市雨水泵站进水流态的组合式整流装置 |
KR20190008622A (ko) * | 2017-07-17 | 2019-01-25 | 세원건설이엔지주식회사 | 담수기능을 갖는 도로경계블록 |
CN118091065A (zh) * | 2024-03-01 | 2024-05-28 | 山东省煤田地质局第三勘探队 | 一种水文地质调查用监测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4551B1 (ko) | 2008-02-27 | 2008-06-05 |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 우수유출 저감장치 |
KR100885534B1 (ko) | 2008-12-18 | 2009-02-26 | 최익현 | 우수 유출 저감시설 |
KR101039196B1 (ko) | 2011-04-08 | 2011-06-03 | 안중록 |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
-
2011
- 2011-10-27 KR KR1020110110608A patent/KR10115402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4551B1 (ko) | 2008-02-27 | 2008-06-05 |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 우수유출 저감장치 |
KR100885534B1 (ko) | 2008-12-18 | 2009-02-26 | 최익현 | 우수 유출 저감시설 |
KR101039196B1 (ko) | 2011-04-08 | 2011-06-03 | 안중록 |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59833A (zh) * | 2016-11-11 | 2017-05-31 | 河海大学 | 一种改善城市雨水泵站进水流态的组合式整流装置 |
CN106759833B (zh) * | 2016-11-11 | 2018-12-25 | 河海大学 | 一种改善城市雨水泵站进水流态的组合式整流装置 |
KR20190008622A (ko) * | 2017-07-17 | 2019-01-25 | 세원건설이엔지주식회사 | 담수기능을 갖는 도로경계블록 |
KR101989601B1 (ko) * | 2017-07-17 | 2019-06-14 | 세원건설이엔지주식회사 | 담수기능을 갖는 도로경계블록 |
CN118091065A (zh) * | 2024-03-01 | 2024-05-28 | 山东省煤田地质局第三勘探队 | 一种水文地质调查用监测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9656B1 (ko) |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 |
KR100718719B1 (ko) |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 |
US8512555B1 (en) |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 |
KR100991175B1 (ko) |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100854314B1 (ko) | 초기우수 처리시설 | |
KR101410194B1 (ko) | 초기우수 처리가 가능한 교량 배수시설, 그 배수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유도방법, 그 배수시설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저감방법 | |
KR101346104B1 (ko) | 필터링 스페이스를 위한 데크보도형 빗물저류장치 | |
KR20110109589A (ko) | 초기우수 집수부를 활용한 비점오염저감시스템 | |
JP2009257005A (ja) | 高架道路の雨水利用システム | |
KR100848011B1 (ko) | 상향류형 여과조를 이용한 우수 내 오염물질 제거장치 | |
KR100597203B1 (ko)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 |
KR101648872B1 (ko) |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 | |
KR100885534B1 (ko) | 우수 유출 저감시설 | |
KR101582931B1 (ko) | 비점오염 저감 장치 | |
KR100958295B1 (ko) | 우수활용이 가능한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 |
KR101089756B1 (ko) |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 |
KR101154026B1 (ko) |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 |
KR100601908B1 (ko) | 우수저류연못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친수시설활용방법과 그 장치 | |
KR100984372B1 (ko) |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 |
KR20090120987A (ko) |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측구 | |
KR100898839B1 (ko) | 초기 강우 유출 조절장치 | |
KR20120006715A (ko) | 배수가 용이한 비점오염원 처리 기능을 갖는 측구 및 초기우수 재활용 방법 | |
KR101111185B1 (ko) | 경계겸용 초기 강우 정화 블록 | |
Begum et al. | A comparative review of stormwater treatment and reuse techniques with a new approach: Green Gully | |
CN209163002U (zh) | 安全环保雨水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