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54314B1 - 초기우수 처리시설 - Google Patents

초기우수 처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314B1
KR100854314B1 KR1020080000251A KR20080000251A KR100854314B1 KR 100854314 B1 KR100854314 B1 KR 100854314B1 KR 1020080000251 A KR1020080000251 A KR 1020080000251A KR 20080000251 A KR20080000251 A KR 20080000251A KR 100854314 B1 KR100854314 B1 KR 100854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ilter
inlet
treatment facility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한
Original Assignee
(주) 한길산업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길산업,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 한길산업
Priority to KR102008000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우수 정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초기우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초기우수 처리시설은, 유입구와 배수구 사이에 설치되는 우수 처리시설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연통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에서 하층부를 통해 부유물을 침전한 우수를 침투식으로 유입하는 걸름조; 상기 걸름조와 격벽으로 구획되어 상기 격벽의 하단부에서 연통하고 타측 하단부에 배수구가 연통되는 집수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기우수 처리시설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도 튼튼한 구조를 이룸으로 제작 및 설치 경비를 절약할 수 있고, 그 내구성도 높아서 일단 설치되면 거의 항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더불어 보전이 편리하며, 어떠한 구조의 배수로에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며, 초기 강우수와 지속 강우수를 적절히 분리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높은 정화력과 대량의 처리 능력을 겸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우수정화, 오염수 정화, 정화시설, 초기 우수 정화

Description

초기우수 처리시설{Sanitation facilities of early rainfall}
본 발명은 초기우수 정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초기우수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대형도로나 주택가 통로 등에는 강우시 로(路)상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빗물을 하천으로 방류하는 배수구 및 배수관이 설치되는 것이 통상이며, 배수관의 관로에는 비록 완벽한 정화장치는 아니라도 빗물에 섞인 로상의 오염물질을 급속하고도 대량으로 정화하기 위한 우수처리시설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장치는 오폐수를 정화하는 장치와는 그 기술적 사상을 달리함으로 이하에는 이러한 장치를 초기우수 정화처리장치라 칭하도록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물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머지않아 이러한 국면에 접어들게 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지금부터라도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방면으로 효율적인 물의 관리와 확보 및 활용방안을 강구하여야 하며, 이러한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자연적으로 내리는 우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서 다양하게 연구 개발될 소지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는 대기중의 여러 오염물질이나 지표면에 퇴적된 낙엽 또는 쓰레기를 함께 휩쓸고 배수되어 하천 등으로 스며들게 되므로, 이러한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신속하고도 대량으로 제거하면서 저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초기 우수처리시설이 상기 하천 등의 수질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우수정화시설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생활우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 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고, 이러한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로는 중금속, 병원성 미생물, 유기화합물, 방사성물질, 유독물질 및 기타 염류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데, 오염물질들은 통상 우천시에 빗물에 쓸려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수질오염을 야기시킴은 물론, 이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와 함께 최종적으로는 인간에게까지 매우 큰 폐해를 주게 된다.
종래 일반적인 초기 우수 처리시설은 단순히 배수관 내에 필터 카트리지를 설치하여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구성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경우에는 빗물이 지속적으로 필터 카트리지를 통과하기 때문에, 그 처리용량에 한계가 있어서 강우량이 큰 집중호우나 폭우 등이 발생하면 과부하에 의한 역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오염물질 가운데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가정이나 공장, 축산농가 등에 별도의 정화장치나 폐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오염물질의 정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우천시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야기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고, 더구나,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우천시 특히 초기우수시 내리는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므로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정화하여 흘려보내는 장치가 요구되는데 이를 초기우수 정화처리장치라 한다.
이러한 초기우수 정화처리장치로서는 특허 제10-0784496호(등록일자 2007년12월04일)이 있는데, 이는 도 6 및 도 7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교량 및 도로의 초기 우수를 정화하는 초기 우수 처리시설에 있어서, 우수를 침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침전조(10, 20)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하는 여과조(30)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정화탱크(5)와; 상기 교량 및 도로의 배수관에 연결되며 상기 침전조와 상기 여과조를 통과하는 강우수안내관(50)과, 상기 강우수안내관에서 상기 침전조 내부로 분기된 초기강우수유입관(51)과, 상기 침전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초기강우수유입관을 개폐하는 강우수제어밸브(53)를 갖는 강우수제어관(7)과; 상기 침전조 내측 상부 영역에서 상기 초기강우수유입관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다공상의 유입수여과망(11)과;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강우수통과구에 설치되는 여과부재(15, 25)와; 상기 여과조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조 내의 우수를 여 과하는 여과기(31)와; 상기 여과기로부터 상기 정화탱크 외부로 연장되는 정화수방류관(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우수 정화장치이다.
상기한 종래의 초기우수 정화장치(1)는 복수의 초기 강우수를 정화하여 방류하는 정화탱크(5)와, 초기 강우수를 정화탱크(5)로 유입시키고 지속 강우수는 하천으로 방류하는 강우수제어관(7)을 포함하고, 초기 강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1차 침전시키는 제1침전조(10)와, 제1침전조(10)에서 침전되지 않은 오염물질을 2차 침전시키는 제2침전조(20)와, 제1 및 제2침전조(10,20)에서 침전되지 않은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조(30)가 격벽(41)에 의해 구획되어 정화탱크(5) 구조를 이루며, 제1침전조(10)의 내측 상부 영역에는 초기 강우수에 포함된 낙엽이나 비닐 등의 부유되는 오염물질의 침전을 위해 유입수여과망(11)이 설치되고, 제1침전조(10) 및 제2침전조(20)는 강우수 내의 오염물질을 침전 정화하기 위해 그 내측 하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침전조(10)와 제2침전조(20) 및 여과조(30)를 구획하는 각 격벽(41)에는 강우수의 흐름을 위한 강우수 통과구(43)가 형성되고 이에 제1 및 제2여과부재(15,25)가 설치되어 있고, 여과조(30)에는 강우수내의 유기물성분이나 기름성분 및 부유물 등의 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31)가 마련되어 있고, 이 여과기(31)는 걸름망부재(33)와 여과조(30) 하부면을 향해 형성되는 여과층형성부(35)로 이루어지고, 여과조(30)의 상부슬라부에도 역시 맨홀(13)이 마련되어 있으며, 걸름망부재(33)는 여과조(30) 최상 수위로부터 여과층형성부(35)까지의 길이를 갖는 틀형상으로 형성되고, 여과층프레임(35a)의 저부에는 여과층(36)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강우수를 외부로 방류하기 위한 정화수방류관(37)이 마련되어 있으 며, 정화수방류관(37)에는 정화수의 방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류량조절밸브(39)가 설치되어 있고, 여과층프레임(35a) 내에 마련되는 여과층(36)은 여과층프레임(35a)의 내측 상부로부터 저부를 향해 활성탄층(36a)과 모래층(36b) 및 자갈층(36c)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발명은 장치의 관리가 편리함과 동시에, 강우량에 관계없이 초기 강우수가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초기 우수의 정화 효율이 우수한 초기 우수 처리시설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발명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 경비면에서 비경제적이며, 특히 복잡한 구조에 의한 보전의 어려움과 더불어 세밀한 구조 장치는 그 내구력이 떨어져서 현실적으로 적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초기 강우수 유입구와 지속 강우수 유입구가 동일 평면상에서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집중호우나 폭우 등 강우량이 단시간에 크게 형성되는 강우가 발생하면 사실상 많은 량의 초기 강우수가 유입구뿐만 아니라 지속 강우수 유입구로도 유입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의해, 초기 우수의 정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초기우수 처리시설은 상기한 문제들을 예의 주시하여 연구하였던 바 개발 완성하기에 이르른 것으로, 간단하고도 튼튼한 구조의 처리시설을 제공함으로서 제작 및 설치 경비를 절약하고, 그 내구성을 높여서 일단 설치되면 거의 항 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전이 편리하도록 하며, 초기 강우수와 지속 강우수를 적절히 분리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높은 정화력과 대량의 처리 능력을 겸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이루어진 발명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초기우수 처리시설은, 유입구와 배수구 사이에 설치되는 우수 처리시설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연통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에서 하층부를 통해 부유물을 침전한 우수를 침투식으로 유입하는 걸름조; 상기 걸름조와 격벽으로 구획되어 상기 격벽의 하단부에서 연통하고 타측 하단부에 배수구가 연통되는 집수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침전조의 일측에 설치된 월유입구를 통해 상기 배수구와 연통하는 바이패스로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침전조의 일측에 설치된 월유입구를 통해 월유출구와 연통하는 바이패스로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에는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우수가 걸름망을 통해 유입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에 경비중석이 주입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시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걸름조에 설치되는 침투식 필터가 중앙부를 천공한 다공성 석재 또는 발포블럭 필터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 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걸름조에 설치되는 침투식 필터가 조립식 단위 유닛 형태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침투식 필터의 중앙 천공에 2차필터가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월유입구 직전에 흡착필터가 더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초기우수 처리시설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도 튼튼한 구조를 이룸으로 제작 및 설치 경비를 절약할 수 있고, 그 내구성도 높아서 일단 설치되면 거의 항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더불어 보전이 편리하며, 어떠한 구조의 배수로에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며, 초기 강우수와 지속 강우수를 적절히 분리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높은 정화력과 대량의 처리 능력을 겸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인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시설의 작용상태도를 참고로 각 구성의 상세예 및 그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4의 굵은 화살표는 오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고, 각 도면의 천정면은 내부의 주요 구성을 알 수 있도록 생략한 것임으로 실제로는 천정면까지 밀폐된 구조를 이룬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시설의 구성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초기우수 처리시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우 또는 침출수가 지표면의 낙엽 또는 쓰레기 등에 섞여서(이하에는 이들을 통칭하여 "오수"라 함) 개천이나 하수도와 같은 배출시설을 통해 하천으로 유출될 때 이를 초기적으로 처리하는 시설로서 오수가 흘러들어오는 유입구(140)와 흘러나가는 배수구(150) 사이에 설치되는 우수 처리시설로서, 유입구(140)로 흘러들어간 오수는 최초 침전조(110)에 담기는데, 도면에서는 비록 육면체상으로 도시하였지만 그 규격이나 형상 등은 특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만 오수를 일정 용량이상 담을 수 있는 입방체이면 가능하며, 침전조(110)는 격류로 흘러들어오는 오수를 정치하여 유속을 감소시킴으로서 오수에 부유되는 낙엽 등을 걸러내고 비중이 물보다 큰 찌꺼기 등은 가라앉히는 저수조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침전조(110) 내에는 체눈이 형성된 걸름망(111)이 설치되거나 유속을 저하시키는 구조를 가진다면 걸러내고 침전시키는 기능을 보다 높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침전조(110)에는 경비중석(輕比重石; 115)이 바닦면에 고루 깔릴정도로 주입되어 있으면 오수가 적게 유입될때에는 낙하하는 오수와 충돌적으로 접촉하지만 오수가 많이 유입되면 경비중석(115)은 기포상의 천공을 다수 가지고 있어서 물보다 가벼워 오수에 떠오르며 부유하게 되고 낙하하는 오수가 경비중석(115)을 통과하게 되는데, 즉, 오수의 유입량에 관계없이 모든 오수가 경비중석(115)을 통과하게 되어 폭기(爆氣)작용을 일으키게 되어 오수의 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전조(110)에서 일차로 걸러진 오수는 걸름조(120)로 흘러들어 가 2차적으로 정화가 이루어지는데, 걸름조(120)는 침전조(110)와 제1격벽(113)으로 구획되지만 제1격벽(113)의 하층부인 제1터널(114)을 통해 연통하고 그 내부의 대부분은 침투식 필터(121a)가 차지하고 있어서 1차 정화된 오수가 필터(121a)의 하부를 통해 침투식으로 유입하면서 그 다공층을 통해 2차로 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걸름조(120)의 규격과 형상도 설치 용량이나 정화 대상물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조의 단위 유닛(121)으로 되는 필터(121a)는 측면에서 유입되는 오수가 다공질의 필터(121a)에 형성된 다수의 소공을 통해 유입되어 중앙 천공(121b)으로 흘러서 걸름조(120)의 상부에 집수되다가 다시 옆에 적층된 필터(121a)의 중앙 천공(121b)으로 유입되어 필터(121a) 측면을 통해 집수조(130)로 유출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걸름조(120)에서 2차 정화된 오수(이때에는 이미 정수에 버금가는 상태가 됨)가 격벽(123)으로 구획된 집수조(130)으로 유출되는데, 집수조(130)도 걸름조(120)와 구획된 제2격벽(123)의 하단부에 천공된 제2터널(124)을 통해서 연통함으로 걸름조(120)의 필터(121a) 측면을 통해 유출하게 되어 아무리 격류가 유입되어도 정숙한 흐름으로 제어되게 되고 집수조(130)에서 모여져서 다시 한번 미세 부유물 등이 침전되고 타측 하단부에 뚫린 배수구(150)를 통해 정화된 오수가 배출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시설의 다른 구성상태도이다.
이는 도 1에 비하여 보다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침전조(110)의 일측에 월유입구(141)를 설치하고 침전조(110)에서 일차 정화된 오수를 이 월유입구(141) 를 통해 바이패스로(160)를 통해 배수하도록 하는 것인데, 월유출구(151)는 바이패스로(160)와 집수조(130)를 연통하도록 하여 집수조(130)에서 정화된 오수를 모두 모아서 하나의 배수구(150)를 통해 배출하도록 할 수도 있고, 바이패스로(160)에 배수구(150)와는 다른 관로인 월유출구(151)를 별도로 설치하고 이를 통해 유출되도록 하여도 좋은데, 이때 개별의 월유출구(151)를 설치하면 이와 연통하는 별도의 처리장치를 설치(도시하지 않음)하기 쉬우며 이를 통해 바이패스로(160)를 거치는 오수를 보다 정수로 처리할 수 있어서 좋으며, 이렇게 별도의 바이패스로(160)를 추가함으로써 폭우시에 급격히 불어난 오수를 대량으로 배출할 수 있어서 폭우시에도 우수 처리시설로 인한 패색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이패스로(160)의 입구인 월유입구(141)는 침전조(11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어 정상적인 오수의 처리시에는 사용되지 않다가 소정 용량 이상의 오수가 유입되어 침전조(110)를 가득 채울 정도로 찰 때에만 오버플로우(Over-flow)하는 식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유입되는 많은 물량의 폭우로 인하여 오수가 정상상태보다 덜 오염된 상태이므로 바이패스로(160)를 통해 부유물과 침전물만 제거한 오수를 방류하여도 큰 문제가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시설의 또 다른 구성상태도이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폭기를 위한 경비중석(115)이 침전조(110)에 주입되어 있는데, 이는 물에 뜨는 경비중석(115)의 적은 양의 오수 유입시에는 바닦에 깔려서 폭포처럼 떨어지는 오수를 받아줌으로서 바닦이 패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다공성의 경비중석(115)이 포기작용을 일으켜서 오수의 정화에 도움을 주게 되며, 많은 양의 오수가 주입되어 침전조(110)가 어느 정도 차오르면 오수에 떠오르지만 예컨데 2층이상으로 전면적으로 퍼져서 떠오르게 됨으로 역시 폭기작용과 필터링작용을 할 수 있게 되며, 바이패스로(160)에서 유출하는 월유출구(151)와 배수구(150)가 본 처리시설(100)의 외부에서 합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단일화된 배수구(150)를 통해 강이나 하천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배관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월유입구(141)의 하단부 파이패스로(160)쪽으로 약간 돌출되는 단턱(142)이 형성되어 월유입구(141)로 넘치는 오수가 단턱(142)에 의하여 벽체와 분리되어 낙하함으로서 벽체를 타고 오수가 흐름으로서 회손될 수 있는 구조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낙하시 폭기작용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시설의 또 다른 구성상태도이다.
이러한 구조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침전조(110)의 월유입구(151) 직전에 흡착필터(112)를 더 설치되는 것이고, 이를 통해 2차 거름(Filtering)을 할 수 있게 되며, 보다 바람직하기는 배수구(150)와 별도로 형성되는 월유출구(151)를 두어 이에서 배출되는 덜 정화된 오수를 별도의 장치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걸름조(120)에 설치되는 침투식 필터(121a)는 중앙이 원통상으로 천공된 중앙 천공(121b)을 가지는 다공성 석재 또는 발포블럭 필터로 되는 것인데, 예컨대 육면체상으로 설치될 때 이를 반으로 절단하거나 1/4로 절단하여 단위 유닛(121) 형태로 형성하면 적층 조립식으로 다양한 규격에 적용되게 설치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며, 중앙의 천공(121b)부에는 자갈이나 기타 필터 소재를 집어넣어서 2 차필터(121c)로 하면 오수의 성질에 따른 정화를 도모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시하고 상술한 구조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간단한 설계변경에 의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지만 이들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건축 및 토목공사에 적용되는 초기 우수 처리시설에 관한 발명으로, 우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오염된 지표수를 적절히 처리하여 강하천에 배수하도록 함으로서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공학적이며 환경공학적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시설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시설의 다른 구성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시설의 또 다른 구성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시설의 또 다른 구성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초기 우수 처리시설의 작용상태도,
도 6은 종래 교량용 우수 처리시설의 단면도,
도 7은 종래 교량용 우수 처리시설의 교량 설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처리시설
110. 침전조 111. 걸름망 112. 흡착필터
113. 제1격벽 114. 제1터널 115. 경비중석
120. 걸름조 121. 단위 유닛 121a. 침투식 필터
121b. 중앙 천공 121c. 2차필터 123. 제2격벽
124. 제2터널
130. 집수조
140. 유입구 141. 월유입구 142. 단턱
150. 배수구 151. 월유출구
160. 바이패스로
1. 정화장치 10, 20. 침전조 30. 여과조 5. 정화탱크
50. 강수안내관 51. 초기강우수유입관 53. 강우수제어밸브
7. 강우수제어관 11. 유입수여과망과 15, 25. 여과부재
31. 여과기 37. 정화수방류관 41. 격벽 43. 통과구
35. 여과층형성부 13. 맨홀 33. 걸름망부재
35. 여과층형성 36. 여과층 37. 정화수방류관
39. 방류량조절밸브

Claims (9)

  1. 유입구와 배수구 사이에 설치되는 우수 처리시설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연통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에서 하층부를 통해 부유물을 침전한 우수를 침투식으로 유입하는 걸름조; 상기 걸름조와 격벽으로 구획되어 상기 격벽의 하단부에서 연통하고 타측 하단부에 배수구가 연통되는 집수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침전조에 경비중석이 주입되고,
    상기 걸름조에 설치되는 침투식 필터가 중앙부를 천공한 다공성 석재 또는 발포블럭 필터로 되면서 조립식 단위 유닛 형태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일측에 설치된 월유입구를 통해 상기 배수구와 연통하는 바이패스로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시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일측에 설치된 월유입구를 통해 월유출구와 연통하는 바이패스로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시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에는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우수가 걸름망을 통해 유입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시설.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식 필터의 중앙 천공에 2차필터가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시설.
  9.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월유입구 직전에 흡착필터가 더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처리시설.
KR1020080000251A 2008-01-02 2008-01-02 초기우수 처리시설 KR100854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251A KR100854314B1 (ko) 2008-01-02 2008-01-02 초기우수 처리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251A KR100854314B1 (ko) 2008-01-02 2008-01-02 초기우수 처리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314B1 true KR100854314B1 (ko) 2008-08-26

Family

ID=3987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251A KR100854314B1 (ko) 2008-01-02 2008-01-02 초기우수 처리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314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623B1 (ko) 2008-08-25 2009-05-06 주식회사 에코빅 우수정화시스템
KR100955909B1 (ko) 2009-10-26 2010-04-30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59945B1 (ko) 2008-02-13 2010-05-26 김원주 오수정화용 여과처리장치
KR100984676B1 (ko) 2009-12-11 2010-10-01 (주) 한국엔피기술 배수 처리용 초기우수 처리 장치
KR100987163B1 (ko) * 2010-01-15 2010-10-11 신강하이텍(주)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와 처리잔류수의 자동방류가 가능한 여과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053674B1 (ko) * 2010-09-29 2011-08-08 송원숙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058919B1 (ko) 2008-09-23 2011-08-2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초기우수처리시설 및 초기우수처리방법
KR101108281B1 (ko) * 2010-07-05 2012-01-31 신강하이텍(주)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와 처리잔류수의 자동방류가 가능한 여과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WO2012064024A1 (ko) * 2010-11-12 2012-05-18 주식회사 케이앤엠이엔지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KR101261597B1 (ko) 2010-12-15 2013-05-06 김남순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설치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2124185B1 (ko) 2019-11-08 2020-06-17 (주)동아엔지니어링 필터 정화형 초기우수 정화장치
KR102169028B1 (ko) 2019-10-11 2020-10-22 정진호 필터 정화기능이 개선된 초기우수 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269B1 (ko) * 2005-07-12 2007-04-12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269B1 (ko) * 2005-07-12 2007-04-12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945B1 (ko) 2008-02-13 2010-05-26 김원주 오수정화용 여과처리장치
KR100895623B1 (ko) 2008-08-25 2009-05-06 주식회사 에코빅 우수정화시스템
KR101058919B1 (ko) 2008-09-23 2011-08-2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초기우수처리시설 및 초기우수처리방법
KR100955909B1 (ko) 2009-10-26 2010-04-30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84676B1 (ko) 2009-12-11 2010-10-01 (주) 한국엔피기술 배수 처리용 초기우수 처리 장치
KR100987163B1 (ko) * 2010-01-15 2010-10-11 신강하이텍(주)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와 처리잔류수의 자동방류가 가능한 여과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108281B1 (ko) * 2010-07-05 2012-01-31 신강하이텍(주)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와 처리잔류수의 자동방류가 가능한 여과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053674B1 (ko) * 2010-09-29 2011-08-08 송원숙 초기우수 처리장치
WO2012064024A1 (ko) * 2010-11-12 2012-05-18 주식회사 케이앤엠이엔지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KR101261597B1 (ko) 2010-12-15 2013-05-06 김남순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설치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2169028B1 (ko) 2019-10-11 2020-10-22 정진호 필터 정화기능이 개선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124185B1 (ko) 2019-11-08 2020-06-17 (주)동아엔지니어링 필터 정화형 초기우수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314B1 (ko) 초기우수 처리시설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718719B1 (ko)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CA2686415C (en) Pre-assembled flow control structure and related media filtration system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1741449B1 (ko) 유량 조정 및 역세척 기능을 구비한 초기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1332781B1 (ko)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KR200452222Y1 (ko) 비점 오염 자연 정화 시스템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KR101564083B1 (ko) 비점오염원 오염물질 여과 설비
KR100437075B1 (ko) 저류지를 이용한 빗물 정화방법 및 장치
KR100491866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912708B1 (ko)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KR100904081B1 (ko)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1086019B1 (ko) 초기 우수처리장치
KR100978075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814790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0429768B1 (ko)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562168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1684697B1 (ko)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과 우수 처리 방법
KR101888850B1 (ko) 부력체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KR101271740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를 통한 우수 재이용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