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098B1 -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Google Patents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6098B1 KR101046098B1 KR1020090065535A KR20090065535A KR101046098B1 KR 101046098 B1 KR101046098 B1 KR 101046098B1 KR 1020090065535 A KR1020090065535 A KR 1020090065535A KR 20090065535 A KR20090065535 A KR 20090065535A KR 101046098 B1 KR101046098 B1 KR 1010460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uble layer
- carbon nanotubes
- electric double
- capacitor
- porous carb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02608 ionic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16467 AlCl 4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21591 Copper(I)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5210 alkyl ammonium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
- OXBLHERUFWYNTN-UHFFFAOYSA-M copper(I) chloride Chemical compound [Cu]Cl OXBLHERUFWYNTN-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1824 selenocyanato group Chemical group *[Se]C#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5596 polymer binder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491 polymer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 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38 BE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4 cyclic voltam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48 multi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66 Carbon aero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487 Ni—C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QRYJNQNLNOLGT-UHFFFAOYSA-O Piperidinium(1+) Chemical compound C1CC[NH2+]CC1 NQRYJNQNLNOLGT-UHFFFAOYSA-O 0.000 description 1
- RWRDLPDLKQPQOW-UHFFFAOYSA-O Pyrrolidinium ion Chemical compound C1CC[NH2+]C1 RWRDLPDLKQPQOW-UHFFFAOYSA-O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73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60 imidazo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68 mixed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86 organic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9 single walled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27 so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020 sulfo group Chemical group O=S(=O)([*])O[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207 tetraalkylammonium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28 transition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14 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6—Nanostructures, e.g. nanofibres, nanotubes or fulleren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극성 전극은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카본 나노튜브; 상기 카본 나노튜브 사이에 분산되는 다공성 탄소 물질; 및 상기 카본 나노튜브 및 다공성 탄소 물질을 분산시키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며, 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은 카본 나노튜브에 의하여 형성되는 네트워크 구조에 의하여 전극과 집전체 간의 전기적 연결 통로가 확보되고, 다공성 탄소물질과 이온성 액체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분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전극과 집전체 간의 접촉 저항이 낮고, 전극과 전해질의 분극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 정전용량이 우수하고, 등가직렬저항이 낮아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다.
카본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물질, 이온성 액체, 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출력 및 고 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는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슈퍼 커패시터는 전해 커패시터와 이차 전지의 중간 특성을 갖는 것으로, 이차 전지에 비해 충전 시간이 짧고, 수명이 길며, 고출력이 가능하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시스템이다.
슈퍼 커패시터는 그 작동 원리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구분되는데, 그 중 하나는 전극/전해질 계면의 전기 이중층에 전하를 저장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이고, 다른 하나는 가상 커패시터(pseudo capacitor)라 불리는 것으로, 전이금속산화물의 표면에 전이금속 이온의 산화수 변화가 수반되며 전하 또는 전자를 저장하는 산화환원 커패시터이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전해액 내의 양이온 및 음이온과 전기적인 흡착을 할 수 있도록 비표면적이 큰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진 전극에 절연성이 우수한 분리막이 배치되고, 액체 상태의 전해액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계를 가하면 양극과 음극의 계면에 각각 양이온과 음이온이 흡착되어 충전되고, 전계를 제거하면 흡착된 이온이 탈착하면서 방전되는 물리적인 흡착 및 탈착을 이용한 장치이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력 밀도(power density)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의 저항의 합과 비례하는 것으로, 상기 저항은 전극인 다공성 층으로부터 전해액으로의 확산 저항(diffusion resistance), 전극과 집전체 사이의 접촉 저항과 전극 물질자체의 저항을 모두 포함한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성능을 결정하는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은 전극에 사용되는 재료의 선택이라 할 수 있는데, 전극재료는 전기 전도성이 크고, 비표면적이 높아야 하며,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가격이 저렴해야 한다.
현재 탄소계 전극재료만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로 상업화에 성공하여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탄소계 전극은 활성탄, 도전재 및 폴리머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폴리머 바인더는 활성탄의 공극을 막아서 이온이 출입할 수 없게 하고, 이에 따라 정전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폴리머 바인더에 의한 결합만으로는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고, 압연시나 압축 성형시에 크랙 이 발생하거나, 핸들링시에 파단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인더의 양을 늘리는 경우에는 내부 저항이 상승하고, 상대적으로 활성탄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단위 체적당 정전 용량이 저하된다.
따라서, 전극 제조시 폴리머 바인더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제한할 필요가 있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사용되는 전해액은 수용성 전해액과 비수용성 전해액으로 분리된다. 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수용성 전해액은 전기 전도도가 커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내부저항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적용 가능한 전위는 0.7~1.2V로 사용전압이 낮아 에너지 밀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비수용성 전해액인 유기 전해액은 적용 가능한 전위가 약 2.3V로 사용전압이 높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나, 수용성 전해질 보다 점도가 높고, 100배 정도 낮은 전기 전도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충방전 특성이 수용성 전해액보다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은 출력 및 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는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카본 나노튜브; 상기 카본 나노튜브 사이에 분산되는 다공성 탄소 물질; 및 상기 카본 나노튜브 및 다공성 탄소 물질을 분산시키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겔 상태의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을 제공한다.
상기 카본 나노튜브는 실리더 형태일 수 있고, 카본 나노튜브는 직경에 대한 길이의 비가 10이상 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탄소 물질의 평균 입경은 5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액체는 알킬이미다졸륨(alkylimidazolium), 알킬설포늄(alkylsulfonium), 알킬포스포늄(alkylphosphonium), 알킬암모늄(alkylammonium), 알킬피리디늄(alkylpyridinium) 또는 알킬피페리디늄(alkylpiperidini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액체는 BF4 -, B(CN)4 -, CH3BF3 -, CH2CHBF3 -, CF3BF3 -, C2F5BF3 -, n- C3F7BF3 -, n-C4F9BF3 -, PF6 -, CF3CO2 -, CF3SO3 -, N(SO2CF3)2 -, N(COCF3)(SO2CF3)-, N(SO2F)2 -, N(CN)2 -, (CN)3 -, SCN-, SeCN-, CuCl2 -, AlCl4 -, 및 F(HF)2.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극성 전극은 도전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카본 나노튜브, 상기 카본 나노튜브 사이에 분산되는 다공성 탄소 물질, 및 상기 카본 나노튜브 및 다공성 탄소 물질을 분산시키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겔 상태의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된 이온 투과성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 카본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물질 및 이온성 액체를 혼합하여 겔 상태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집전체에 캐스팅하여 제1 및 제2 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이온 투과성 분리막을 적층한 후 봉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카본 나노튜브의 함량은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탄소 물질의 함량은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액체의 함량은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내지 9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의 점도는 1 내지 100000cps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하기와 식과 같이 정의되는 STR(Shear Thinning Ratio)이 1 내지 10일 수 있다.
[식 1]
η1: 가해지는 전단력이 D 일 때의 혼합물의 점도이고,
η2: 가해지는 전단력이 D×10일 때의 혼합물의 점도이다.
상기 분리막은 상기 이온성 액체에 함침 된 후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각 제조 단계는 수분이 없는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은 카본 나노튜브에 의하여 형성되는 네트워크 구조에 의하여 전극과 집전체 간의 전기적 연결 통로가 확보되고, 다공성 탄소물질과 이온성 액체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분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전극과 집전체 간의 접촉 저항이 낮다. 또한, 본 발명 에서 이온성 액체는 전해질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카본 나노 튜브 및 다공성 탄소 물질과 혼합되어 겔 상태의 전극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전극과 전해질의 분극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정전용량이 우수하고, 등가직렬저항이 낮아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10)은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카본 나노튜브(11); 상기 카본 나노튜브 사이에 분산되는 다공성 탄소 물질(12); 및 상기 카본 나노튜브 및 다공성 탄소 물질을 분산시키는 이온성 액체(13)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분극성 전극(10)은 카본 나노튜브(11), 다공성 탄소 물질(12) 및 이온성 액체(13)를 전극 물질로 하는 것으로써, 이들의 혼합에 의하여 겔(gel)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분극성 전극은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의 집전체(20)에 형성된다.
카본 나노튜브(11) 및 다공성 탄소 물질(12)은 이온성 액체(13)에 분산되어 존재하는데, 카본 나노튜브(11)는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다공성 탄소 물질(12) 및 이온성 액체는 상기 네트워크 구조의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카본 나노튜브에 의하여 형성되는 네트워크 구조는 다공성 탄소 물질과 이온성 액체 사이의 밀도 차이에 따라 서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거나 그 속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종래에는 다공성 탄소 물질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폴리머 바인더를 사용했는데, 폴리머 바인더는 다공성 탄소 물질의 공극을 막아서 이온의 출입을 방해하고, 이에 따라 정전용량을 줄어들게 하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다공성 탄소 물질(12)은 카본 나노튜브(11)에 의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폴리머 바인더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11)는 다공성 탄소 물질(12)과 집전체(20) 간에 전기적 연결 통로로 작용하여 전극(10)과 집전체(20) 사이의 접촉 저항을 낮춘다.
카본 나노튜브(11)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나, 가격이 높고, 정전용량이 낮은 단점이 있으나, 본 실시 형태에서, 정전용량은 다공성 탄소 물질(12)에 의하여 확보되므로, 카본 나노튜브(11)는 사용량이 크지 않으며, 소량의 사용으로 등가직렬저항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카본 나노튜브(11)는 실린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단일-벽 카본 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또는 다중-벽 카본 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s)를 사용할 수 있다.
카본 나노튜브(11)는 직경이 5-15nm일 수 있고, 길이는 50nm 내지 1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일 수 있다.
카본 나노튜브(11)는 직경에 대한 길이의 비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본 나노튜브(11)의 농도는 겔(gel)을 형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겔 형성 능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정전용량이 저하되거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다공성 탄소 물질(12)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용량을 높이기 위해서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탄소 물질은 BET법으로 측정한 비표면적이 1500 내지 2000m2/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공성 탄소 물질의 평균 입경은 5 내지 2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마이크로포어(microporous) 또는 나노포어(nanoporous)를 갖는 활성탄, 무기계 나노포어 카 본(inorganic nanoporous carbon), 템플레이트 메조포어 카본(templated mesoporous carbon), 카본 에어로겔, 카본 블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공성 탄소 물질은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정전용량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부 저항이 증가될 우려가 있다.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 IL)는 카본 나노튜브와 혼합되는 경우, 겔을 형성하는 특성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이온성 액체(13)는 카본 나노튜브(11) 및 다공성 탄소물질(12)과 혼합되어, 겔 상태의 혼합물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카본 나노튜브는 네트워크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 IL)는 높은 이온 전도도 및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갖고, 비휘발성, 비인화성 및 비독성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해액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적용 가능한 전위가 넓은 범위를 갖기 때문에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고 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온에서의 이온성 액체(Room Temperature Ionic Liquids)는 실온 이하의 온도에서 보다 더 많은 양이온 및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성 액체의 양이온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알킬이미다졸륨(alkylimidazolium), 알킬설포늄(alkylsulfonium), 알킬포스포늄(alkylphosphonium), 알킬암모늄(alkylammonium), 알킬피리디늄(alkylpyridinium) 또는 알킬피페리디늄(alkylpiperidinium) 등이 있으며, 이들 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온성 액체의 음이온은 BF4 -, B(CN)4 -, CH3BF3 -, CH2CHBF3 -, CF3BF3 -, C2F5BF3 -, n-C3F7BF3 -, n-C4F9BF3 -, PF6 -, CF3CO2 -, CF3SO3 -, N(SO2CF3)2 -, N(COCF3)(SO2CF3)-, N(SO2F)2 -, N(CN)2 -, (CN)3 -, SCN-, SeCN-, CuCl2 -, AlCl4 -, 또는 F(HF)2.3 - 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온성 액체에서 전기 화학적 안정성과 전기 전도도는 서로 상반되는 특성이 있다. 예를 들면, AlCl4 -, BF4 -, CF3CO2 -, CF3SO3 -, N(SO2F)2 -, F(HF)2.3 - 등의 음이온과 이미다졸류 또는 설포늄계 양이온을 조합하는 경우, 전기 전도도 특성은 우수해지고, 테트라알킬 암모늄, 디알킬 피롤리디늄 및 디알킬 피페리디늄계 양이온을 조합하는 경우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해진다.
이온성 액체는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70 중량부 미만이면 혼합물의 겔 형성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9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정전용량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의 가장 큰 단점은 다공성 탄소 물질과 전해질 계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분극 현상으로 인하여 저항 크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 이온성 액체는 전해질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카본 나노 튜브 및 다공성 탄소 물질과 혼합되어 겔 상태의 전극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카본 나노튜브에 의하여 형성되는 네트워크 구조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분극 현상이 발생 가능성이 낮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분극성 전극은 다공성 탄소 물질과 집전체 사이의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전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도전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카본 블랙 또는 흑연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상술한 분극성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10a) 및 제2 전극(10b);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된 이온 투과성 분리막(3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두 극성의 금속 케이스(40a, 40b); 상기 금속케이스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집전체(20a, 20b); 상기 집전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전극(10a, 10b);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이 접촉하는 것을 방치하는 분리막(30); 상기 서로 다른 두 극성의 금속 케이스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50)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막(30)은 제1 및 제2 전극의 물리적 접촉을 막아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한 쌍의 집전체(20a, 20b)는 외부에서 전계가 가해졌을 때, 각각 양전하와 음전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포함되는 다공성 탄소 물질은 이온성 액체 내의 양이온 및 음이온과 전기적인 흡착 및 탈착을 한다. 즉, 외부로부터 전계를 가하면 양극과 음극의 계면에 각각 양이온과 음이온이 흡착되어 충전되고, 전계를 제거하면 흡착된 이온이 탈착하면서 방전된다.
제1 및 제 2 전극(10a, 10b)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 탄소물질 및 카본 나노튜브를 포함하여 정전 용량이 우수하고, 내부 저항이 낮은 특성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전극을 형성하는 이온성 액체가 전해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별도의 전해액을 포함하지 않는다. 즉, 이온성 액체에 포함되는 양이온 및 음이온의 흡착 및 탈착에 의하여 에너지가 저장된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카본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물질 및 이온성 액체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다. 상기 카본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물질 및 이온성 액체의 종류 및 함량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슬러리는 카본 나노튜브 및 다공성 탄소 물질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증점제 및 계면 활성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카본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물질 및 이온성 액체를 혼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라인더 또는 초음파처리(sonication)을 이용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슬러리에서 카본 나노튜브 및 다공성 탄소 물질은 이온성 액체에 분산된 후, 겔 상태의 혼합물이 된다. 상기 겔 상태의 혼합물에서, 카본 나노튜브는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다공성 탄소 물질 및 이온성 액체는 상기 네트워크 구조의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결합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을 집전체에 캐스팅(casting)하여 제1 및 제2 전극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집전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Al, Cu 또는 Ni-Cr 등의 금속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캐스팅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닥터 블레이드 코터(doctor blade coater), 콤마 코터(comma coater), 다이 코터(die coater), 그라비아 코터(gravure coater), 또는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micro gravure coat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혼합물(10)이 집전체(20)에 캐스팅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물은 가해지는 전단력에 의하여 점도가 떨어져서 발림성이 향상된다. 이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도가 회복되어 카본 나노 튜브는 네트워크 구조를 회복한다.
상기 네트워크 구조는 전단력이 가해지거나, 저장 상태에 있는 경우 쉽게 붕괴될 수 있다. 즉, 겔 상태의 혼합물은 가역적으로 졸-겔 전환이 이루어지는데, 졸-겔 전환은 가해지는 전단력 및 점도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의 점도는 1 내지 100000cps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50000cps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은 요변성(thixotropy)을 갖는 것으로 하기와 식 1과 같이 정의되는 STR(Shear Thinning Ratio)이 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9인 것이 바람직하다. 1 미만이면, 졸-겔 전환 능력이 저하될 수 있고, 10을 초과하면, 집전체에 캐스팅되기 어려울 수 있다.
[식 1]
η1: 가해지는 전단력이 D일때의 혼합물의 점도이고,
η2: 가해지는 전단력이 D×10일때의 혼합물의 점도이다.
겔 상태의 전극 물질은 점성-탄성체로써, 커패시터의 제조 공정 동안 붕괴되지 않는다. 또한, 용매의 건조 과정이 없이도 전극의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집전체에 코팅된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이온 투과성 분리막을 적층한 후 봉인한다.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포함되는 동일한 종류의 이온성 액체에 함침한 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막을 적층한 후 제1 및 제2 전극과 집전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전극에 포함되는 이온성 액체는 수분을 흡수하기 쉬운 성질이 있는데, 이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작동에 불리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러리 혼합물의 제조, 캐스팅 및 봉인 공정은 수분이 없는 환경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러리 혼합물을 캐스팅하기 전에 상기 슬러리 혼합물에 열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에 제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BET법으로 측정한 비표면적인 1700m2/g이고, 평균 입경이 10㎛인 활성탄과 이온성 액체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를 겔 상태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상기 겔 상태의 혼합물에 탄소 나노튜브를 혼합하였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직경이 10-15nm(HR-TEM 측정)이고, 길이가 10-20㎛(SEM 측정)인 다중 벽 카본 나노튜브(CM- 95, 한화나노테크사)를 사용하였다.
상기 겔 상태의 혼합물을 알루미늄 호일에 코팅하여 제1 및 제2 전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셀룰로스 분리막을 적층한 후 봉인하여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제조하였다. 상기 셀룰로스 분리막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에 함침한 후 사용하였다.
제조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대하여 순환전압전류테스트(cyclic voltammetry test)를 하고, 이의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또한, 10mA, 20mA, 40mA 및 100mA의 정전류(constant current)에 따른 충전 및 방전 실험에 대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정전용량(C)은 하기 식 2에 의하여 구하였으며, 10mA의 정전류에서의 방전 곡선을 이용하여 정전용량(C)은 0.245F/cm2이였다.
[식 2]
C = I×(dV/dt)
I는 전류이고, dV/dt는 방전 곡선의 기울기이다.
중량에 따른 정전용량(Gravimetric specific capacitance: Cg)은 하기 식 3 에 의하여 구하였으며, 다공성 탄소물질에 의한 정전용량(Cg)은 142F/g이고, 다공성 탄소물질 및 탄소 나노튜브에 의한 정전용량(Cg)은 124F/g였다.
[식 3]
Cg = 2C/mAM
C는 식 2에 따른 정전용량이고,
mAM은 전극의 활성물질(active material)의 질량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이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공정의일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순환전압전류테스트(cyclic voltammetry test)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충전 및 방전 실험에 대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분극성 전극 11: 카본 나노튜브
12: 다공성 탄소 물질 13: 이온성 액체
20: 집전체 30: 분리막
40: 금속 케이스 50: 가스켓
Claims (16)
-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며, 직경에 대한 길이의 비가 10 이상인 카본 나노튜브;상기 카본 나노튜브 사이에 분산되는 다공성 탄소 물질; 및상기 카본 나노튜브 및 다공성 탄소 물질을 분산시키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겔 상태의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카본 나노튜브는 실리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탄소 물질의 평균 입경은 5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 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성 액체는 알킬이미다졸륨(alkylimidazolium), 알킬설포늄(alkylsulfonium), 알킬포스포늄(alkylphosphonium), 알킬암모늄(alkylammonium), 알킬피리디늄(alkylpyridinium) 또는 알킬피페리디늄(alkylpiperidini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성 액체는 BF4 -, B(CN)4 -, CH3BF3 -, CH2CHBF3 -, CF3BF3 -, C2F5BF3 -, n-C3F7BF3 -, n-C4F9BF3 -, PF6 -, CF3CO2 -, CF3SO3 -, N(SO2CF3)2 -, N(COCF3)(SO2CF3)-, N(SO2F)2 -, N(CN)2 -, (CN)3 -, SCN-, SeCN-, CuCl2 -, AlCl4 -, 및 F(HF)2.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분극성 전극은 도전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며, 직경에 대한 길이의 비가 10 이상인 카본 나노튜브, 상기 카본 나노튜브 사이에 분산되는 다공성 탄소 물질, 및 상기 카본 나노튜브 및 다공성 탄소 물질을 분산시키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겔 상태의 제1 및 제2 전극; 및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된 이온 투과성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직경에 대한 길이의 비가 10 이상인 카본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물질 및 이온성 액체를 혼합하여 겔 상태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상기 혼합물을 집전체에 캐스팅하여 제1 및 제2 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및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이온 투과성 분리막을 적층한 후 봉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카본 나노튜브의 함량은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성 탄소 물질의 함량은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성 액체의 함량은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내지 9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혼합물의 점도는 1 내지 100000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분리막은 상기 이온성 액체에 함침 된 후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각 제조 단계는 수분이 없는 환경에서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5535A KR101046098B1 (ko) | 2009-07-17 | 2009-07-17 |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US12/654,424 US20110013344A1 (en) | 2009-07-17 | 2009-12-18 | Polarizable electrode for capacitor an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5535A KR101046098B1 (ko) | 2009-07-17 | 2009-07-17 |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7870A KR20110007870A (ko) | 2011-01-25 |
KR101046098B1 true KR101046098B1 (ko) | 2011-07-01 |
Family
ID=4346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5535A KR101046098B1 (ko) | 2009-07-17 | 2009-07-17 |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013344A1 (ko) |
KR (1) | KR10104609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64275B2 (en) | 2012-03-09 | 2017-02-07 | The Paper Battery Co. | Supercapacitor structures |
CN104718649B (zh) * | 2012-09-14 | 2017-04-12 | 御国色素株式会社 | 乙炔黑分散浆料及锂离子二次电池 |
US20140272410A1 (en) * | 2013-03-14 | 2014-09-18 | Robert J. Miller | Energy storing fractal and process therefor |
EP2973836A4 (en) | 2013-03-15 | 2017-03-22 | The Paper Battery Company, Inc. | Energy storage structures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
JP2014225508A (ja) * | 2013-05-15 | 2014-12-04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蓄電デバイス用電極、蓄電デバイスおよび蓄電デバイス用電極の製造方法 |
US9583277B2 (en) | 2013-09-30 | 2017-02-28 | The Paper Battery Company, Inc. | Ultra-capacitor structures and electronic systems with ultra-capacitor structures |
US11270850B2 (en) | 2013-12-20 | 2022-03-08 | Fastcap Systems Corporation | Ultracapacitors with high frequency response |
KR20240055878A (ko) | 2014-10-09 | 2024-04-29 | 패스트캡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를 위한 나노구조 전극 |
JP6701122B2 (ja) * | 2016-05-17 | 2020-05-27 |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金属イオンバッテリー及びその製造方法 |
CN110178194B (zh) | 2016-12-02 | 2023-10-03 | 快帽系统公司 | 复合电极 |
KR102337540B1 (ko) * | 2017-06-08 | 2021-12-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348929B1 (ko) * | 2017-07-21 | 2022-01-1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전극 재료,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 방법 |
CN108630461B (zh) * | 2018-04-25 | 2020-04-07 | 同济大学 | 一种离子液体凝胶基全凝胶超级电容器的制备方法 |
US11557765B2 (en) | 2019-07-05 | 2023-01-17 | Fastcap Systems Corporation | Electrodes for energy storage devices |
EP4088330A1 (en) * | 2020-01-10 | 2022-11-16 | Solvay Sa |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at least one gelled electrod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79505A (ja) * | 2003-09-03 | 2005-03-24 |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用いる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材料 |
KR20080071387A (ko) * | 2007-01-30 | 2008-08-04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
KR20090029409A (ko) * | 2007-09-18 | 2009-03-23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금속 나노입자가 고정화된 이온성 액체-탄소나노튜브지지체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0915968B1 (ko) * | 2007-01-29 | 2009-09-10 | (주)썬텔 | 탄소재료-탄소나노섬유 복합 소재를 전극 재료로 사용한전기이중층 캐패시터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47440B2 (ja) * | 1998-09-01 | 2009-10-21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内部電極用導電性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
US6181545B1 (en) * | 1998-09-24 | 2001-01-30 | Telcordia Technologies, Inc. | Supercapacitor structure |
US6449139B1 (en) * | 1999-08-18 | 2002-09-10 | Maxwell Electronic Components Group, Inc. | Multi-electrode double layer capacitor having hermetic electrolyte seal |
JP4785282B2 (ja) * | 2000-10-11 | 2011-10-05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リフローはんだ付け実装可能な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 |
EP1748837A4 (en) * | 2004-01-09 | 2009-11-11 | Olga Matarredona | CARBON NANOTUBLE PASTE AND USE METHODS |
FR2867600B1 (fr) * | 2004-03-09 | 2006-06-23 | Arkema | Procede de fabrication d'electrode, electrode ainsi obtenue et supercondensateur la comprenant |
JP4873453B2 (ja) * | 2005-03-31 | 2012-02-08 |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 導電性薄膜、アクチュエータ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JP4566064B2 (ja) * | 2005-05-16 | 2010-10-20 |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 竹型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用いたバイオセンサ |
US8081418B2 (en) * | 2007-06-05 | 2011-12-20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Low temperature double-layer capacitors |
JP5110574B2 (ja) * | 2007-06-25 | 2012-12-26 |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 高アスペクト比の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とイオン液体から構成される導電性薄膜、アクチュエータ素子 |
US8277691B2 (en) * | 2008-05-05 | 2012-10-02 | Ada Technologies, Inc. | High performance carbon nanocomposites for ultracapacitors |
-
2009
- 2009-07-17 KR KR1020090065535A patent/KR10104609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12-18 US US12/654,424 patent/US20110013344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79505A (ja) * | 2003-09-03 | 2005-03-24 |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用いる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材料 |
KR100915968B1 (ko) * | 2007-01-29 | 2009-09-10 | (주)썬텔 | 탄소재료-탄소나노섬유 복합 소재를 전극 재료로 사용한전기이중층 캐패시터 |
KR20080071387A (ko) * | 2007-01-30 | 2008-08-04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
KR20090029409A (ko) * | 2007-09-18 | 2009-03-23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금속 나노입자가 고정화된 이온성 액체-탄소나노튜브지지체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10013344A1 (en) | 2011-01-20 |
KR20110007870A (ko) | 2011-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6098B1 (ko) |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
Que et al. | Pseudocapacitance of TiO2− x/CNT anodes for high‐performance quasi‐solid‐state Li‐ion and Na‐ion capacitors | |
Wang et al. | A quasi‐solid‐state Li‐ion capacitor based on porous TiO2 hollow microspheres wrapped with graphene nanosheets | |
Dubal et al. | A high voltage solid state symmetric supercapacitor based on graphene–polyoxometalate hybrid electrodes with a hydroquinone doped hybrid gel-electrolyte | |
JP4705566B2 (ja) | 電極材及びその製造方法 | |
WO2013073526A1 (ja) | 蓄電デバイス用電極、蓄電デバイスおよび蓄電デバイス用電極の製造方法 | |
JP5365260B2 (ja) | イオン液体を含む電極膜及び電極、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蓄電デバイス | |
US9972446B2 (en) | Electrode for power storage device, power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power storage device | |
Le Comte et al. | New generation of hybrid carbon/Ni (OH) 2 electrochemical capacitor using functionalized carbon electrode | |
CN103258655A (zh) | 一种电场活化型超级电容器的制备方法 | |
RU2427052C1 (ru) | Электродный материал для конденсатор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уперконденсатор электрический | |
KR101038869B1 (ko) | 커패시터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 |
US7974073B2 (en)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 with a negative electrode containing a carbon material and a titanium oxide | |
JP2002231585A (ja) |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 |
CN102354620A (zh) | 一种全固态超级电容器及其制造方法 | |
CN208460575U (zh) | 一种石墨烯超级电容器电极 | |
JP2004335702A (ja)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 |
KR102577084B1 (ko) | 아연-브롬 슈퍼커패터리 | |
KR100342770B1 (ko) | 전기이중층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 |
KR102631866B1 (ko) |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슈퍼커패시터 | |
Yeon et al. | Cyclic ultracapacitor for fast-charging and scalable energy storage system | |
Meyvel et al. | Role of Graphene Oxide (GO) in Enhancing Performance of Energy Storage Devices | |
Jayalekshmi et al. | Supercapacitors: Fundamental Aspects | |
JPH06204085A (ja) |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0672310B1 (ko) | 에너지 저장형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