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966B1 -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5966B1 KR100995966B1 KR1020100046788A KR20100046788A KR100995966B1 KR 100995966 B1 KR100995966 B1 KR 100995966B1 KR 1020100046788 A KR1020100046788 A KR 1020100046788A KR 20100046788 A KR20100046788 A KR 20100046788A KR 100995966 B1 KR100995966 B1 KR 1009959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per
- urine
- detected
- information
- moisture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6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0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550 fe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abstract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73 anti-fou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radio-opaque material or signalling means for residual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가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감지패드에 의해서 환자가 착용한 기저귀의 대소변에 관한 정보가 수집되고, 수집된 정보는 상태표시부를 통하여 제공됨으로, 제작경비가 절약되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영상출력부를 통해서 간단히 환자가 착용한 기저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가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감지패드에 의해서 환자가 착용한 기저귀의 대소변에 관한 정보가 수집되고, 수집된 정보는 상태표시부를 통하여 제공됨으로, 제작경비가 절약되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영상출력부를 통해서 간단히 환자가 착용한 기저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가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감지패드에 의해서 환자가 착용한 기저귀의 대소변에 관한 정보가 수집되고, 수집된 정보는 상태표시부를 통하여 제공됨으로, 제작경비가 절약되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영상출력부를 통해서 간단히 환자가 착용한 기저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가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감지패드에 의해서 환자가 착용한 기저귀의 대소변에 관한 정보가 수집되고, 수집된 정보는 상태표시부를 통하여 제공됨으로, 제작경비가 절약되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영상출력부를 통해서 간단히 환자가 착용한 기저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저귀는 기저귀를 착용한 행위자가 배뇨를 하게 될 때, 외부에 배뇨가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천이 사용되어 왔고, 이후에 등장한 기능성을 가진 기저귀 커버들은, 행위자가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에서 배뇨를 하게 될 때, 소변의 유무만을 외부에 알려주는 일회용의 변색이 되는 기저귀나 또는 기저귀에 탈부착이 가능하면서, 대소변의 유무를 2개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에 알람이나 무선의 방식으로 알려주도록 구성된 감지패드 등을, 천으로 구성된 기저귀 커버에 부착하거나 내장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기술적 구성은 크게 여덟 종류로 대별된다.
그 하나는, 두 겹의 기저귀 천 사이에 단지 습도만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부착되어 있으면서, 여기에 전선에 의하여 연결된 기구에 경보음과 지시등으로 기저귀의 상태를 외부에 알려주도록 구성되어 있는 영국 공보번호 GB 2250121A(이하 "제1 선행기술"이라함)이며, 또 하나는 착용된 기저귀 외부의 일정부분에 소변의 유무만을 색깔로 표시하거나, 또는 착용된 기저귀의 외부에 부착되어, 아기가 기저귀에 대소변을 볼 경우, 변화된 습도나 온도를 체크하여, 알람으로 3단계씩 알려주는 방법(이하 "제2 선행기술"이라함)이며, 세 번째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기술로서, 도1에서처럼 기저귀에 탈부착이 되는 혁대에 구성되어지는 2개의 수분 및 중량감지 센서에 의해, 대소변의 유무를 외부에 자동으로 알려주면서, 대변의 경ㆍ중ㆍ설사, 소변의 경ㆍ중으로 양까지 측정할 수 있고, 혁대에 연결된 보조전선에 의해, 표시부에 알람, 진동, 램프로 표시해 줄 수 있는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0172650호(이하 "제3 선행기술"이라함)이고, 네 번째는 기저귀에 장착되어, 대소변 감지 시 경보를 외부에 알려 주도록 구성된 감지패드를 교체할 수 있고, 기저귀의 외부 면에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천으로 구성된 기저귀 커버의 양면에 접착테이프를 가지면서, 대변감지와 소변감지를 위해, 각각 2단으로 구성된 고가의 감지 센서를 가지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1-0071213호(이하 "제4 선행기술"이라함)이다. 그리고 다섯 번째는 일면이 제1 금속 망사판과 접하고, 타면이 제2 금속 망사판에 접하여 수분이 소정치 이상 증가하는 것을 감지하는 2개의 센서가, 천으로 구성된 기저귀 커버에 내장 및 부착되어, 수분이 감지되면, 무선 신호를 생성하여, 기저귀의 수분 증가에 관한 정보를, 외부에 구성된 장치들로부터 출력하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62993호(이하 "제5 선행기술"이라함) 이다.
또한, 송수신기를 구비하여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가 부착된 지자체에, 제1 센서 및 제2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대소변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으면서, 기저귀에 탈착으로 결합되는 수신 안테나를 통해, 외부의 수신기에 무선으로 기저귀의 대소변유무를 알려주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1-0026823호(이하 "제6 선행기술"이라함)이다.
또한, 대소변을 감지하기 위해 제1,2,3,4도선에서 서로 다른 저항 값을 이용하여 감지한 신호를 송수신기를 통해 외부통신망을 거쳐서 보호자의 이동통신 기기에 발송시켜 기저귀의 대소변을 알려주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7-0106871호(이하 "제7 선행기술"이라함)이다.
또한, 기저귀에 흡수된 소변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는 정전용량 센서로 구성하여 강/중/약의 3단계로 감도를 조정하여 송수신기를 통해, 청각적, 시각적, 촉각적으로 표시해주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8-0008041호(이하 "제8 선행기술"이라함)이다.
그러나, 전술한 제1, 2, 3, 4, 5, 6선행 기술들은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패드에, 모두 두 개씩의 센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즉, 대소변의 감지를, 센서이외의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하지 못해, 미세한 대소변에도 반응되어, 기저귀를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들과 제품제작에 고비용이 소요되었고, 감지를 위해, 전원의 소비가 많이 소요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실효성이 없었고, 오작동이 되는 단점 등이 많았었다. 또 한편으로는 대소변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패드가 내장되어, 기저귀의 외부에 장착내지 탈착되는 선행기술의 기저귀 커버들이, 모두 천으로 구성되어 있어,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재활용될 수 있는 기저귀 커버가 없어 불편하였고, 한편으로는 기저귀에서 누수 되는 오물들을 흡수할 수 있는 적당한 장치가 없어 불편하였다. 그리고 외부의 원격지에 있는 간호사실 등에서, 각 병실에 있는 대소변 행위자들의 대소변의 양과 횟수, 시간 등에 관한 정보들을 값비싼 무선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파를 차단하면서, 저렴한 유선의 방법으로 영상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장치가 없어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제7,8 선행기술은 고가의 송수신기를 통해 정보를 전달받는 방식으로 인해 소비자의 부담이 가중되었고, 또 한편으로는 기저귀로부터 누수 되는 오물을 흡수하고 탈착되어 세척 후 재사용을 위해 부착되는 오물누수방지패드로 구성되어 있는 연질의 기저귀 커버가 없어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수신재생기능이 없어 의사가 환자의 대소변에 관한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웠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상기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제3 선행기술(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0172650호)의 권리, 즉 기저귀에 대소변을 배설을 했을 때, 기저귀의 상태변화를 표시판에 의해 진동, 알람, 램프 등으로 대변의 경ㆍ중ㆍ설사, 소변의 경ㆍ중을 알려줄 수 있도록 대소변의 유무와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수분 및 중량 감지 센서가 내장되는 혁대를 더욱 개량 발전시켜 제시한다.
첫째, 대소변의 감지 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수분 및 중량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대변의 수분 및 량을 감지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한 개 뿐인 감지영역을 4개 부분으로 쪼개어 분류했으며, 수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소변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영역 또한 역시 4개의 부분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영역에서 감지한 분포영역만큼 선택 스위치의 선택에 의해, 상태표시부에 표현되도록 세분화하였다.
둘째,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기저귀에서 대소변 감지를 위한 수분 및 중량 감지 센서가 내장되어 있는 혁대가 기저귀와 결속될 때, 착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결합되는 방법을 더욱 개량 발전시켜, 혁대 대신에 재사용할 수 있는 "U"자형의 연질로 구성되는 기저귀 커버에 수분 및 중량 감지 센서로 구성된 감지패드를 내장시키고, 재사용될 수 있는 오물누수방지패드를 탈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견고한 결합을 위해, 결속 끈을 구비하였다.
셋째,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변의 상태를 경ㆍ중ㆍ설사, 그리고 소변의 상태를 경ㆍ중등으로 표시하는 표시판을 더욱 개량 발전시켜, 즉, 대소변을 감지한 각각의 영역에서 감지한 분포영역만큼 선택 스위치의 선택에 의해, 램프 등이 점멸되면서, 알람, 진동 등으로 상태표시부에 표시됨과 동시에, 환자의 건강 체크를 위해, 의사에게 중요한 정보가 되는 대소변이 수신된 시간을 순서대로 나타내면서 각각의 횟수를 액정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수신재생버튼을 추가하였다.
넷째,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수분흡수를 알려주는 기저귀가 원격지의 간호실 등에 일시에 많은 양의 정보를 전달할 수 없는 한계를 개량시키고자, 표시판의 말미에 통신포트를 추가로 구성하여, 통신포트를 통해 유입된 정보들을 원격지에 유선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각 병실의 벽에 부착되는 콘덴서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원형형태로 구성되어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콘덴서 형 판독기를 구비하였다.
다섯째,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수분흡수를 알려주는 표시판의 말미에 추가로 형성된 통신포트를 통해, 병실에서 설치된 콘덴서 형 판독기로부터 유입된 정보들을 부피를 줄이면서,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 콘덴서 형 판독기를 다수 개 형성하여, 각 기저귀에서 유입되어, 의사에게 중요한 정보가 되는 환자들의 대소변에 관한 정보들을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정보전달 방법인 표시판이 일시에 많은 기저귀로부터 유출되는 정보를 알려줄 수 없는 한계를 개량하고자 원격지에 설치된 영상출력부에 수신시간, 횟수, 양 등을 디스플레이 되게 해주는 판독부를 구비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가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감지패드에 의해서 환자가 착용한 기저귀의 대소변에 관한 정보가 수집되고, 수집된 정보는 상태표시부를 통하여 제공됨으로, 제작경비가 절약되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영상출력부를 통해서 간단히 환자가 착용한 기저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부도체 성질을 갖는 연질의 수지를 이용한 기저귀커버를 사용함으로,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이며, 한번 사용한 기저귀커버는 세척한 후에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이나 실용성이 매우 우수하며, 또한 1회용으로 사용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미연에 예방하는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병원 등의 집단 수용시설의 다수의 환자의 각각의 기저귀에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장착하고,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각각의 상태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로부터 수집한 정보들을 콘덴서 형 판독기를 통해, 각각 내입된 기저귀의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된 정보가 영상으로 제공되는 영상출력부에 의해서 다수의 환자에 착용된 각각의 기저귀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에 의해서 빠른 조치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입장에서는 항상 청결한 상태의 기저귀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다수의 환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간편히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는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환자에게 착용되는 환자용 기저귀에 있어서, 부도체 성질을 갖는 연질의 플라스틱의 재질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기저귀가 용이하게 내입되도록 전체적으로 "U" 형상을 가지며, 내부면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 홈이 형성되는 기저귀커버;와, 상기 기저귀커버의 삽입 홈에 삽입 고정되며, 상부가 상기 기저귀와 접촉되어 상기 기저귀의 대소변상태를 감지하는 감지패드;와, 상기 기저귀커버 외부면의 전후방 각각 상단부에 암놈 벨크로;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끈의 형상을 가지며, 중심과 양 끝단에는 상기 암놈 벨크로와 결합되는 수놈 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중심에 형성된 수놈 벨크로는 상기 기저귀커버의 후방에 형성된 암놈 벨크로와 결합되고 상기 양 끝단에 형성된 수놈 벨크로는 상기 기저귀커버의 상단부를 감싼 후, 상기 기저귀커버의 전방에 형성된 암놈 벨크로와 결합되어 상기 기저귀커버를 결속하도록 하는 결속 끈;과, 상기 감지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패드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저귀의 대소변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패드는 소변감지수단과 대변감지수단 및 상기 소변감지수단과 대변감지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감지되는 대소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소변감지수단은 전기가 통하는 도선을 형성하고, 그 도선 중에 단선된 부분을 다수 형성하고, 각각의 단선부분 상부에는 수분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일정간격으로 분포되어 있도록 형성된 수분감지센서와, 상기 기저귀에 배설된 소변에 의해서 상기 수분감지센서에 수분이 감지되면 상기 단선부분이 수분감지센서에 의해서 전기가 도통되고, 이를 감지하여 소변상황 및 소변의 분포영역을 검출하는 소변용 피드백 전류 감지 섹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대변감지수단은 상기 기저귀의 대변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가 통하는 도선을 형성하고, 그 도선 중에 단선된 부분을 다수 형성하고, 각각의 단선부분 상부에는 수분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일정간격으로 분포되어 있도록 형성된 수분감지센서와, 상기 기저귀에 배설된 대변에 의해서 대변의 수분이 상기 수분감지센서에 감지되면 상기 단선부분이 수분감지센서에 감지된 수분에 의해서 전기가 도통될 때, 중량의 증감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중량 감지 센서가 작동하여 대변상황 및 대변의 양과 분포영역을 정확히 검출하는 대변용 피드백 전류 감지 섹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감지패드와 전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패드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저귀의 대소변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기저귀에 소변이 감지되면 빛을 발광하는 소변감지램프와 상기 기저귀에 대변이 감지되면 빛을 발광하는 대변감지램프로 구성되는 램프와, 상기 기저귀에서 소변이나 대변이 감지되면, 그 감지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액정화면과, 상기 기저귀에서 소변이나 대변이 감지되면, 그 감지정보를 소리로 표시하는 스피커와, 상기 기저귀에서 소변이나 대변이 감지되면, 그 감지정보를 진동으로 표시하는 진동부와, 상기 기저귀에서 소변이나 대변을 감지되면, 그 감지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소리로 표시하는 스피커나 진동으로 표시하는 진동부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스위치와, 상기 감지패드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저귀의 대소변상태 정보들을 재생 및 자동 소멸시킬 수 있는 수신재생 버튼과, 상기 기저귀에서 소변이나 대변을 감지하기 위한 상기 감지패드로 전원공급을 결정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저귀커버의 양측 각각에 벨크로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대소변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물누수 방지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오물누수 방지패드는 부드러운 재질의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에 적층되어 수분을 용이하게 흡수하는 스펀지와, 상기 스펀지에 흡수된 수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비닐 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다수 구성하고, 각각의 상태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로부터 수집한 정보들을 콘덴서 형 판독기를 통해, 각각 내입된 기저귀의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된 정보가 영상으로 제공되는 영상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환자들 각각에 착용되는 다수의 기저귀를 간편히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에 의하면, 고가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감지패드에 의해서 환자가 착용한 기저귀의 대소변에 관한 정보가 수집되고, 수집된 정보는 상태표시부를 통하여 제공됨으로, 제작경비가 절약되어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영상출력부를 통해서 간단히 환자가 착용한 기저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도체 성질을 갖는 연질의 수지를 이용한 기저귀커버를 사용함으로,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이며, 한번 사용한 기저귀커버는 세척한 후에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이나 실용성이 매우 우수하며, 또한 1회용으로 사용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미연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원 등의 집단 수용시설의 다수의 환자의 각각의 기저귀에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장착하고,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각각의 상태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로부터 수집한 정보들을 콘덴서 형 판독기를 통해, 각각 내입된 기저귀의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된 정보가 영상으로 제공되는 영상출력부에 의해서 다수의 환자에 착용된 각각의 기저귀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에 의해서 빠른 조치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입장에서는 항상 청결한 상태의 기저귀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다수의 환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의사)의 입장에서는 간편히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저귀 커버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의 감지패드의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의 구성도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착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의 감지패드의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의 구성도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착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의 사시도를,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의 종단면도를,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의 감지패드의 회로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의 구성도를,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착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를,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100)는 기저귀커버(10)와, 감지패드(20)와, 암놈 벨크로(30)와, 결속 끈(40)과, 상태표시부(5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저귀커버(10)는 부도체(insulator) 성질을 갖는 연질의 플라스틱의 재질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기저귀(1)가 용이하게 내입되도록 전체적으로 "U" 형상을 가지며, 내부면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 홈(1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부도체 성질을 갖는 연질의 수지의 재질로 상기 기저귀커버(10)를 제조함으로,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이며, 한번 사용한 기저귀커버(10)는 세척한 후에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이나 실용성이 매우 우수하며, 또한 1회용으로 사용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미연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패드(20)는 상기 기저귀커버(10)의 삽입 홈(11)에 삽입 고정되며, 상부가 상기 기저귀(1)와 접촉되어 상기 기저귀(1)의 대소변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소변감지수단(21)과 대변감지수단(22) 및 상기 소변감지수단(21)과 대변감지수단(22)의 작동을 제어하고 감지되는 대소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변감지수단(21)은 전기가 통하는 도선(21a)을 형성하고, 그 도선(21a)중에 단선된 부분(21b)을 다수 형성하고, 각각의 단선부분(21b) 상부에는 수분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일정간격으로 분포되어 있도록 형성된 수분감지센서(21c)와, 상기 기저귀(1)에 배설된 소변에 의해서 상기 수분감지센서(21c)에 수분이 감지되면 상기 단선부분(21b)이 수분감지센서(21c)에 감지된 수분에 의해서 전기가 도통되고, 이를 감지하여 소변상황 및 소변의 분포영역을 검출하는 소변용 피드백 전류 감지 섹터(21d)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변감지수단(22)은 상기 기저귀(1)의 대변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가 통하는 도선을 형성하고, 그 도선(21a)중에 단선된 부분(21b)을 다수 형성하고, 각각의 단선부분(21b)상부에는 수분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일정간격으로 분포되어 있도록 형성된 수분감지센서(21c)와, 상기 기저귀(1)에 배설된 대변에 의해서 대변의 수분이 상기 수분감지센서(21c)에 감지되면 상기 단선된 부분(21b)이 수분감지센서(21c)에 감지된 수분에 의해서 전기가 도통될 때, 중량의 증감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중량 감지 센서(22a)가 작동하여 대변상황 및 대변의 양과 분포영역을 정확히 검출하는 대변용 피드백 전류 감지 섹터(22e)로 구성된다.
즉, 상기 기저귀(1)를 착용한 환자가 소변을 배설하면, 상기 기저귀(1)로부터 배출된 수분이 상기 수분감지센서(21c)에 감지되고, 상기 수분감지센서(21c)에 감지된 수분에 의해서 단선부분(21b)에 전기가 도통되고, 이를 감지하여 소변상황 및 소변의 분포영역을 검출하는 소변용 피드백 전류 감지 섹터(21d)에 의해서, 착용자의 소변상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단선부분(21b)이 도통된 개수에 의해서 소변의 분포영역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저귀(1)를 착용한 환자가 대변을 배출하면, 상기 기저귀(1)로부터 배출된 수분이 상기 수분감지센서(21c)에 감지되고, 상기 수분감지센서(21c)에 감지된 수분에 의해서 상기 기저귀에 배설된 대변의 수분이 상기 수분감지센서(21c)에 감지되고, 상기 단선부분(21b)이 수분감지센서(21c)에 감지된 수분에 의해서 전기가 도통될 때, 중량의 증감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중량 감지 센서가 작동하여 대변상황 및 대변의 양과 분포영역을 정확히 검출하여, 환자의 대변상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단선부분(21b)이 도통된 개수에 의해서 대변의 분포영역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100)의 중량 감지 센서(22a)는 4개의 영역으로 분산 위치되어 착용자의 대변의 중량뿐만 아니라 대변의 영역까지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패드(20)의 외주면은 방수코팅(24) 함으로,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놈 벨크로(30)는 상기 기저귀커버(10) 외부면의 전후방 각각 상단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 끈(4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끈의 형상을 가지며, 중심과 양 끝단에는 상기 암놈 벨크로(30)와 결합되는 수놈 벨크로(41)가 형성되며, 상기 중심에 형성된 수놈 벨크로(41)는 상기 기저귀커버(10)의 후방에 형성된 암놈 벨크로(30)와 결합되고 상기 양 끝단에 형성된 수놈 벨크로(41)는 상기 기저귀커버(10)의 상단부를 감싼 후, 상기 기저귀커버(10)의 전방에 형성된 암놈 벨크로(30)와 결합되어 상기 기저귀커버(10)를 결속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속 끈(40)은 상기 기저귀커버(10)와 간편히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오물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간단히 세척하여 재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결속 끈(40)은 수축 및 팽창이 용이한 재질을 사용하여 상기 기저귀커버(10)를 효율적으로 결속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태표시부(50)는 상기 감지패드(20)와 전선(2)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패드(20)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저귀(1)의 대소변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기저귀(1)에 소변이 감지되면 빛을 발광하는 소변감지램프(51a)와 상기 기저귀(1)에 대변이 감지되면 빛을 발광하는 대변감지램프(51b)로 구성되는 램프(51)와, 상기 기저귀(1)에서 소변이나 대변이 감지되면, 그 감지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액정화면(52)과, 상기 기저귀(1)에서 소변이나 대변이 감지되면, 그 감지정보를 소리로 표시하는 스피커(53)와, 상기 기저귀(1)에서 소변이나 대변이 감지되면, 그 감지정보를 진동으로 표시하는 진동부(54)와, 상기 기저귀(1)에서 소변이나 대변을 감지되면, 그 감지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소리로 표시하는 스피커(53)나 진동으로 표시하는 진동부(54)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스위치(55)와, 상기 감지패드(20)에서 감지되어 의사에게 환자의 건강에 관한 중요한 정보가 되는 상기 기저귀(1)의 대소변상태 정보들을 재생 및 자동 소멸시킬 수 있는 수신재생 버튼(56)과, 상기 기저귀(1)에서 소변이나 대변을 감지하기 위한 상기 감지패드(20)로 전원공급을 결정하는 온/오프 스위치(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감지패드(20)에서 대소변이 감지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감지패드(20)에서 전송받은 상기 상태표시부(50)는 램프(51)에서 빛이 발산되고 스피커(53)에서 소리가 발산되어 환자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시각 및 청각적인 효과를 통하여 환자의 기저귀(1)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액정화면(52)에는 상기 소변용 피드백 전류 감지 섹터(21d)와 대변용 피드백 전류 감지 섹터(21d)에서 검출되는 정보에 의해서 대소변의 양을 수치 및 그래프로 표시하여 관리자는 보다 상세한 환자의 기저귀(1) 상태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저귀커버(10)의 양측 각각에 벨크로(61)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대소변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물누수 방지패드(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오물누수 방지패드(60)는 부드러운 재질의 부직포(62)와, 상기 부직포(62)에 적층되어 수분을 용이하게 흡수하는 스펀지(63)와, 상기 스펀지(63)에 흡수된 수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비닐 천(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기저귀커버(10)의 양측에 상기 오물누수 방지패드(60)를 형성함으로, 오물(대소변)이 상기 기저귀커버(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며, 상기 오물누수 방지패드(60)는 탈착이 가능하여 간단히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이나 실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100)를 다수 구성하고, 각각의 상태표시부(50)와 유선(전선:2)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100)로부터 수집한 정보들을 콘덴서 형 판독기(70a)를 통해 각각 내입된 기저귀(1)의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판독하는 판독부(70)와, 상기 판독부(70)에서 판독된 정보가 영상으로 제공되는 영상출력부(80)를 더 포함하여, 환자들 각각에 착용되는 다수의 기저귀(1)를 간편히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 다수의 환자에 착용된 각각의 기저귀(1)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에 의해서 빠른 조치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입장에서는 항상 청결한 상태의 기저귀(1)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다수의 환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간편히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표시부(5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전송수단을 값비싼 무선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저렴한 유선(2)으로 사용함으로, 경제적으로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무선통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자파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어 전자파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에게 기저귀(1)를 착용한 후, 착용한 기저귀(1)가 기저귀커버(10)에 내입되도록 상기 기저귀커버(10)를 기저귀(1)에 밀착시킨다.
그런 후, 결속 끈(40)으로 상기 기저귀커버(10)의 상부를 감싸서 상기 기저귀커버(10)를 견고히 결속시킨다.
그런 후, 상기 기저귀커버(10)에 내장된 감지패드(20)와 상태표시부(50)가 전선(2)으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100)를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감지패드(20)는 환자의 기저귀(1)를 감시하게 된다.
이때, 환자가 소변을 배설하면, 상기 감지패드(20)의 수분감지센서(21c)에 수분이 감지되고, 상기 수분감지센서(21c)에 수분이 감지되어 단선부분(21b)이 도통되면, 그 정보가 상기 상태표시부(50)로 전송되고,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상태표시부(50)의 램프(51)에서 빛이 발산되고 스피커(53)에서 소리가 발산되어 환자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시각 및 청각적인 효과를 통하여 환자의 기저귀(1)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표시부(50)의 액정화면(52)에서는 상기 수분감지센서(21c)에 감지된 소변(수분)에 의해서 단선부분(21b)에 전기가 도통되고, 이를 감지하여 소변상황 및 소변의 분포영역을 검출하는 소변용 피드백 전류 감지 섹터(21d)에 의해서, 착용자의 소변상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단선부분(21b)이 도통된 개수에 의해서 소변의 분포영역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액정화면(52)에는 도통된 단선부분(21b)의 개수를 수치 및 그래프로 표시하여 관리자는 보다 상세한 환자의 기저귀(1) 상태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환자가 대변을 배출하면, 상기 수분감지센서(21c)에 대변으로 인한 수분이 감지되어 상기 단선된 부분(21b)에 전기가 도통될 때, 수분이 감지된 부분만 중량 감지 센서(22a)가 작동을 하여 대변으로 인해 증감된 중량을 정확히 검출하는 대변용 피드백 전류 감지 섹터(22e)에 의해서, 착용자의 대변상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단선부분(21b)이 도통된 개수에 의해서 대변의 분포영역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액정화면(52)에는 도통된 단선부분(21b)의 개수를 수치 및 그래프로 표시하여 관리자는 보다 상세한 환자의 기저귀(1) 상태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100)의 상태표시부(50)에는 관리자(의사)가 용이하게 환자의 기저귀(1)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램프(51), 스피커(53), 액정화면(52) 등으로 구성된 상태표시부(50)로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에다 관리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환자의 대소변 시간이 측정되는 타임센서 등의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기저귀 2. 전선
10. 기저귀커버 11. 삽입 홈
20. 감지패드 21. 소변감지수단
21a. 도선 21b. 단선부분
21c. 수분감지센서 22. 대변감지수단
22a. 중량 감지 센서 21d. 소변용 피드백 전류 감지 섹터
22e, 대변용 피드백 전류 감지 섹터 23. 마이크로프로세서
24. 방수코팅 30. 암놈 벨크로
40. 결속 끈 41. 수놈 벨크로
50. 상태표시부 51. 램프
51a. 소변감지램프 51b. 대변감지램프
52. 액정화면 53. 스피커
54. 진동부 55. 선택 스위치
56. 수신재생 버튼 57. 온/오프 스위치
60. 오물누수 방지패드 61. 벨크로
62. 부직포 63. 스펀지
64. 방수비닐 천 70. 판독부
70a, 콘덴서 형 판독기 80. 영상출력부
100.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10. 기저귀커버 11. 삽입 홈
20. 감지패드 21. 소변감지수단
21a. 도선 21b. 단선부분
21c. 수분감지센서 22. 대변감지수단
22a. 중량 감지 센서 21d. 소변용 피드백 전류 감지 섹터
22e, 대변용 피드백 전류 감지 섹터 23. 마이크로프로세서
24. 방수코팅 30. 암놈 벨크로
40. 결속 끈 41. 수놈 벨크로
50. 상태표시부 51. 램프
51a. 소변감지램프 51b. 대변감지램프
52. 액정화면 53. 스피커
54. 진동부 55. 선택 스위치
56. 수신재생 버튼 57. 온/오프 스위치
60. 오물누수 방지패드 61. 벨크로
62. 부직포 63. 스펀지
64. 방수비닐 천 70. 판독부
70a, 콘덴서 형 판독기 80. 영상출력부
100.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Claims (5)
-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환자에게 착용되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에 있어서,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부도체(insulator) 성질을 갖는 연질의 플라스틱의 재질을 가지며, 내부에 기저귀가 용이하게 내입되도록 전체적으로 "U" 형상을 가지며, 내부면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 홈(11)이 형성되는 기저귀커버(10);
상기 기저귀커버(10)의 삽입 홈(11)에 삽입 고정되며, 상부가 상기 기저귀(1)와 접촉되어 상기 기저귀(1)의 대소변상태를 감지하는 감지패드(20);
상기 기저귀커버(10) 외부면의 전후방 각각 상단부에 암놈 벨크로(30);
소정의 길이를 갖는 끈의 형상을 가지며, 중심과 양 끝단에는 상기 암놈 벨크로(30)와 결합되는 수놈 벨크로(41)가 형성되며, 상기 중심에 형성된 수놈 벨크로(41)는 상기 기저귀커버(10)의 후방에 형성된 암놈 벨크로(30)와 결합되고 상기 양 끝단에 형성된 수놈 벨크로(41)는 상기 기저귀커버(10)의 상단부를 감싼 후, 상기 기저귀커버(10)의 전방에 형성된 암놈 벨크로(30)와 결합되어 상기 기저귀커버(10)를 결속하도록 하는 결속 끈(40); 및
상기 감지패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패드(20)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저귀(1)의 대소변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상태표시부(50);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패드(20)는 소변감지수단(21)과 대변감지수단(22) 및 상기 소변감지수단(21)과 대변감지수단(22)의 작동을 제어하고 감지되는 대소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소변감지수단(21)은,
전기가 통하는 도선(21a)을 형성하고, 그 도선(21a) 중에 단선된 부분(21b)을 다수 형성하고, 각각의 단선부분(21b)상부에는 수분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일정간격으로 분포되어 있도록 형성된 수분감지센서(21c)와, 상기 기저귀(1)에 배설된 소변에 의해서 상기 수분감지센서(21c)에 수분이 감지되면 상기 단선부분(21b)이 수분감지센서(21c)에 감지된 수분에 의해서 전기가 도통되고, 이를 감지하여 소변상황 및 소변의 분포영역을 검출하는 소변용 피드백 전류 감지 섹터(21d)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대변감지수단(22)은,
상기 기저귀(1)의 대변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기저귀(1)에 감지된 대변의 수분이 상기 수분감지센서(21c)에 전달되고, 상기 수분감지센서(21c)에 감지된 대변(수분)에 의해서 단선부분(21b)에 전기가 도통될 때, 중량의 증감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중량 감지 센서(22a)가 작동하여 대변상황 및 대변의 양과 분포영역을 정확히 검출하는 대변용 피드백 전류 감지 섹터(22e)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표시부(50)는 상기 기저귀(1)에서 소변이나 대변이 감지되면 그 감지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액정화면(52)을 포함하되, 상기 액정화면은 도통된 단선 부분(21b)의 개수를 수치 및 그래프로 표시하여 기저귀의 대소변 상황 및 분포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부(50)는,
상기 감지패드(20)와 전선(2)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패드(20)에서 감지되는 상기 기저귀(1)의 대소변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기저귀(1)에 소변이 감지되면 빛을 발광하는 소변감지램프(51a)와 상기 기저귀(1)에 대변이 감지되면 빛을 발광하는 대변감지램프(51b)로 구성되는 램프(51)와,
상기 기저귀(1)에서 소변이나 대변이 감지되면, 그 감지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액정화면(52)과,
상기 기저귀(1)에서 소변이나 대변이 감지되면, 그 감지정보를 소리로 표시하는 스피커(53)와,
상기 기저귀(1)에서 소변이나 대변이 감지되면, 그 감지정보를 진동으로 표시하는 진동부(54)와,
상기 기저귀(1)에서 소변이나 대변을 감지되면, 그 감지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소리로 표시하는 스피커(53)나 진동으로 표시하는 진동부(54)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스위치(55)와,
상기 감지패드(20)에서 감지되어 의사에게 환자의 건강에 관한 중요한 정보가 되는 상기 기저귀(1)의 대소변상태 정보들을 재생 및 자동 소멸시킬 수 있는 수신재생 버튼(56)과,
상기 기저귀(1)에서 소변이나 대변을 감지하기 위한 상기 감지패드(20)로 전원공급을 결정하는 온/오프 스위치(5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커버(10)의 양측 각각에 벨크로(61)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대소변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물누수 방지패드(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오물누수 방지패드(60)는 부드러운 재질의 부직포(62)와, 상기 부직포(62)에 적층되어 수분을 용이하게 흡수하는 스펀지(63)와, 상기 스펀지(63)에 흡수된 수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비닐 천(6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100)를 다수 구성하고, 각각의 상태표시부(5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100)로부터 수집한 정보들을 콘덴서 형 판독기(70a)를 통해, 각각 내입된 기저귀(1)의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판독하는 판독부(70)와,
상기 판독부(70)에서 판독된 정보가 영상으로 제공되는 영상출력부(80)를 더 포함하여, 환자들 각각에 착용되는 다수의 기저귀(1)를 간편히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6788A KR100995966B1 (ko) | 2010-05-19 | 2010-05-19 |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
PCT/KR2010/007263 WO2011145787A1 (ko) | 2010-05-19 | 2010-10-22 |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6788A KR100995966B1 (ko) | 2010-05-19 | 2010-05-19 |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95966B1 true KR100995966B1 (ko) | 2010-11-22 |
Family
ID=4341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6788A KR100995966B1 (ko) | 2010-05-19 | 2010-05-19 |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5966B1 (ko) |
WO (1) | WO2011145787A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724774B2 (en) | 1999-04-08 | 2010-05-25 | Lg Electronics Inc. | Radio protocol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KR101271547B1 (ko) | 2012-05-25 | 2013-06-05 | 최치건 | 유아 및 중증환자를 위한 대소변 자동알림 모니터링 시스템 |
WO2014054823A1 (ko) * | 2012-10-04 | 2014-04-10 | Kim Donggyu | 유아 및 중증환자를 위한 대소변 자동알림 모니터링 시스템 |
WO2016068429A1 (ko) * | 2014-10-29 | 2016-05-06 | 주식회사 스마트씨솔루션 |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
KR20180131367A (ko) * | 2017-02-17 | 2018-12-10 | 아이-딩 메디컬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 의류 물품의 습기를 검출하여 통지하기 위한 습기 통지 시스템 |
KR20220144176A (ko) * | 2021-04-19 | 2022-10-26 | (주)금하테크 | 스마트 기저귀 커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00399B2 (ja) | 2015-12-22 | 2020-05-27 | エシティ・ハイジーン・アンド・ヘルス・アクチエボラグ | 着用可能吸収物品 |
CN109715114A (zh) * | 2016-07-22 | 2019-05-03 |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 感测装置和充电系统 |
CN114882997A (zh) * | 2022-04-21 | 2022-08-09 | 广州大学 | 基于便样图像与质量湿度特征的婴幼儿健康诊断系统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7081Y1 (ko) | 2002-09-18 | 2002-12-02 | 권영억 | 기저귀의 경보장치 |
KR200374034Y1 (ko) * | 2004-11-04 | 2005-01-27 | (주)에스와이하이테크 | 분뇨 자동 감지 장치 |
JP2006068466A (ja) | 2004-09-02 | 2006-03-16 | 宏志 ▲高▼木 | おむつ濡れ感知報知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4806A (ko) * | 2003-02-19 | 2004-08-26 | 장희규 | 기저귀의 배뇨 경보장치 |
-
2010
- 2010-05-19 KR KR1020100046788A patent/KR10099596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10-22 WO PCT/KR2010/007263 patent/WO201114578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7081Y1 (ko) | 2002-09-18 | 2002-12-02 | 권영억 | 기저귀의 경보장치 |
JP2006068466A (ja) | 2004-09-02 | 2006-03-16 | 宏志 ▲高▼木 | おむつ濡れ感知報知システム |
KR200374034Y1 (ko) * | 2004-11-04 | 2005-01-27 | (주)에스와이하이테크 | 분뇨 자동 감지 장치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724774B2 (en) | 1999-04-08 | 2010-05-25 | Lg Electronics Inc. | Radio protocol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KR101271547B1 (ko) | 2012-05-25 | 2013-06-05 | 최치건 | 유아 및 중증환자를 위한 대소변 자동알림 모니터링 시스템 |
WO2014054823A1 (ko) * | 2012-10-04 | 2014-04-10 | Kim Donggyu | 유아 및 중증환자를 위한 대소변 자동알림 모니터링 시스템 |
CN104902859A (zh) * | 2012-10-04 | 2015-09-09 | 金童圭 | 用于幼儿及重病患者的大小便自动通知监控系统 |
WO2016068429A1 (ko) * | 2014-10-29 | 2016-05-06 | 주식회사 스마트씨솔루션 |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 |
KR20180131367A (ko) * | 2017-02-17 | 2018-12-10 | 아이-딩 메디컬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 의류 물품의 습기를 검출하여 통지하기 위한 습기 통지 시스템 |
KR101995157B1 (ko) | 2017-02-17 | 2019-07-01 | 아이-딩 메디컬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 의류 물품의 습기를 검출하여 통지하기 위한 습기 통지 시스템 |
KR20220144176A (ko) * | 2021-04-19 | 2022-10-26 | (주)금하테크 | 스마트 기저귀 커버 |
KR102487874B1 (ko) * | 2021-04-19 | 2023-01-12 | (주)금하테크 | 스마트 기저귀 커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145787A1 (ko) | 2011-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5966B1 (ko) | 재사용할 수 있는 자동 대소변 감지장치 | |
US8471715B2 (en) | Disposable diaper with wireless alarm system | |
US8314284B1 (en) | Diaper change alerting means | |
US6097297A (en) | Wetness awareness training device | |
KR101526617B1 (ko) | 습윤 센서 및 물품 식별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 |
US7352286B2 (en) | Diaper warning alarm device, and system | |
RU2638507C2 (ru) | Возбуждаемые событиями переходы при управлении абсорбирующим изделием | |
CA2910536C (en) | Monitoring and displaying an absorption state of an absorbent article | |
CN101854895A (zh) | 用于吸收性物品的感应线圈潮湿传感器 | |
KR20140042856A (ko) | 흡수 물품의 충만 지시자 | |
JP2001161732A (ja) | おむつ交換頃合センサー及びおむつ交換頃合検知装置 | |
KR101557692B1 (ko) | 기저귀 알람 시스템 | |
JP5972488B1 (ja) | 尿漏れ検知システム | |
CN203226954U (zh) | 可循环使用的尿湿智能报警裤 | |
KR101682478B1 (ko) |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 | |
CN103932844A (zh) | 一种智能电子尿布 | |
JP2000185067A (ja) | 排泄監視装置、報知装置付おむつ、および排泄監視システム | |
JP2007296024A (ja) | 電子おむつシステム | |
TWM511841U (zh) | 具有防水感測濕氣裝置之尿布結構 | |
JP3138808U (ja) | おむつの尿漏れ通報装置 | |
KR102352923B1 (ko) | 크기 조절형 배변패드 | |
TWM536530U (zh) | 尿溼溫度偵測裝置 | |
CN208726051U (zh) | 一种尿湿报警器 | |
JP2021163106A (ja) | 紙おむつの交換時間監視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