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7449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449B1
KR100917449B1 KR1020080044823A KR20080044823A KR100917449B1 KR 100917449 B1 KR100917449 B1 KR 100917449B1 KR 1020080044823 A KR1020080044823 A KR 1020080044823A KR 20080044823 A KR20080044823 A KR 20080044823A KR 100917449 B1 KR100917449 B1 KR 100917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drive shaft
main refrigerant
cylinder
refrigeran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6007A (ko
Inventor
임권수
윤덕빈
김민규
이정재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10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04B27/1018Cylindrical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5/00Multi-stage pumps
    • F04B25/04Multi-stage pump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냉매를 압축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대응하여 실린더블록의 흡입통로 입구와 구동축의 주냉매 흡입유로 출구가 차단되도록 실린더블록의 내벽에 의해 주냉매 흡입유로의 출구가 폐쇄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압축이 시작하는 시점과 동시에 구동축의 주냉매 흡입유로 출구와 실린더블록의 흡입통로가 차단되기 때문에, 냉매의 흡입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압축기, 피스톤, 하사점, 주냉매 흡입유로, 실린더블록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축에 일체 결합된 사판의 회전에 연동하여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는 고정용량형 사판식이면서, 사판실로부터 구동축의 내부로 흡입된 냉매가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각 실린더보어에 순차적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로터리 흡입밸브(Rotary Suction Valve) 구조가 채용된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증발기로부터 증발이 완료되어 토출된 냉매가스를 흡입하여 액화되기 쉬운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가스로 변환시켜 응축기로 토출한다. 이러한 압축기에는 경사진 사판의 회전으로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는 사판식 압축기, 2개의 스크롤의 회전운동에 의해 압축하는 스크롤식 압축기, 회전 베인(vane)에 의해 압축하는 배인 로터리식 압축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왕복식 압축기에는 상기 사판식 압축기 외에도 크랭크식과 워블 플레이트식 등이 있으며, 상기 사판식 압축기의 경우에도 용도에 따라 고정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와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등이 있다.
도 1에는 고정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일종으로서, 로터리 흡입밸브 구조를 채용한 종래의 압축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압축기(1)는, 전방 및 후방 하우징(10)(11)과, 이러한 전방 및 후방 하우징(10)(11)의 내측에 결합하고 내부에 사판실(22)이 형성되며 다수의 실린더보어(23)가 형성된 실린더블록(20,21)과, 상기 사판실(22)에서 회전하는 사판(31)이 경사지게 일체 결합된 구동축(30)과, 상기 사판(31)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실린더보어(23) 내를 왕복 운동하는 다수의 피스톤(40)과, 상기 전방 및 후방 하우징(10)(11)과 실린더블록(20,21)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밸브유니트(50,5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30)의 내측으로는 사판실(22)로부터 흡입된 냉매가 실린더보어(23)로 이동할 수 있도록 주냉매 흡입유로(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블록(20,21)에는 주냉매 흡입유로(32)와 각 실린더보어(23)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흡입통로(25,26)가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조의 종래 로터리 흡입밸브 구조를 채용한 고정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냉매의 순환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로부터 사판실(22)의 내부로 냉매가 공급되며, 사판실(22)로 공급된 냉매는 구동축(30)의 회전시 구동축(30)의 내측에 형성된 주냉매 흡입유로(32) 및 실린더 블록(20,21)의 흡입통로(25,26)를 통해 각 실린더보어(23)로 순차적으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구동축(30)의 주냉매 흡입유로(32)의 입구(33)는, 상기 구동축(30)의 일 측이 사판실(22)과 직접 연통하고, 상기 실린더블록(21) 후방에는 주냉매 흡입유로(32)와 연통하는 흡입실(60)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32)의 입구(33)는 사판(31)의 허브(31a)와 구동축(30)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a에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것으로서, NO.3 피스톤(40)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압축을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도 2a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21)의 흡입통로(26)는 폭(W)을 가진다. 또한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32) 출구(34)의 끝단(34a)은, 상기 구동축(30)의 회전방향(시계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흡입유로(25)의 단면 중심선(C1-C1) 상에 위치한다. 여기서 A1은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32) 출구(34)가 개방된 각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피스톤(40)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압축을 시작하는 시점에 실린더블록(20)의 흡입통로(25)와 구동축(30)의 주냉매 흡입유로(32) 출구(34)는 차단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여기서 B는 실린더블록(20)의 흡입통로(25)와 구동축(30)의 주냉매 흡입유로(32) 출구(34)가 개통된 영역을 표시한다.
즉, 피스톤(40)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압축을 시작하는 시점에 흡입통로(25)와 주냉매 흡입유로(32)의 출구(34)가 개통된 상태에 놓이게 됨으로써, 결국 냉매의 흡입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실린더보어 내로 흡입되는 냉매의 시점을 조절하여 냉매의 흡입효율을 개선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압축기는, 실린더블록의 내부에 형성된 사판실에서 회전하는 사판이 구동축에 일체 결합하고, 상기 구동축의 주위에 환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실린더보어 내에 각각 수용된 피스톤이 상기 사판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운동하며, 상기 사판실로부터 상기 구동축의 내측에 형성된 주냉매 흡입유로로 흡입된 냉매가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와 각 실린더보어를 순차적으로 연통시키도록 상기 실린더블록에 형성된 다수의 흡입통로를 통해 각 실린더보어로 흡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냉매를 압축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대응하여 상기 실린더블록의 흡입통로 입구와 상기 구동축의 주냉매 흡입유로 출구가 차단되도록 상기 실린더블록의 내벽에 의해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의 출구가 폐쇄된다.
상기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한 시점에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 출구의 끝단은 상기 피스톤과 대응되는 흡입통로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인접한 또 다른 흡입통로 사이의 실린더블록의 내벽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한 시점에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 출구의 끝단이 상기 실린더블록의 흡입통로의 단부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블록에 형성된 흡입통로의 단면 중심선은, 상기 실린더보어의 중심선과 상기 구동축의 축 중심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은 양두 피스톤이고, 상기 실린더보어는 사판실의 양측으로 다수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주냉매 흡입유로 출구는 전방과 후방의 각 실린더보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사판실과 구동축의 주냉매 흡입유로 입구를 연통하는 냉매연통로는 사판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에 의하면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압축이 시작하는 시점과 동시에 구동축의 주냉매 흡입유로 출구와 실린더블록의 흡입통로를 차단하기 때문에, 냉매의 흡입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0)는, 사판실(132)에서 회전하는 사판(150)이 일체 결합된 구동축(140)과, 이 구동축(14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 및 후방 실린더블록(130)(131)과, 상기 사판(150)의 외주에 슈(144)를 개재하여 장착되고 사판(15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전방 및 후방 실린더블록(130)(131)의 사판실(132)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보어(130a,131a)의 내부를 왕복 운동하는 다수의 피스톤(160)과, 상기 전방 및 후방 실린더블록(130)(131)의 양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토출실(111)(121)이 각각 형성된, 전방 및 후방 하우징(110)(120)과, 상기 전방 및 후방 실린더블록(130)(131)과 전방 및 후방 하우징 (110)(120)의 사이에 각각 게재되는 밸브유니트(170,180)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축(140)에는 사판실(132)에서 회전하는 사판(150)이 경사지게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사판실(132) 내로 흡입된 냉매가 사판(150)을 통과하여 실린더보어(130a,131a)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사판실(132)과 실린더보어(130a,131a)를 연동시키는 주냉매 흡입유로(14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141)의 입구(142)는 사판실(132)과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출구(143)는 전방 및 후방 실린더블록(130)(131)의 각 흡입통로(135)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141)의 입구(142)는 사판(150)의 허브(150a)와 구동축(140)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냉매 유입로(151)를 통해 사판실과 연통된다. 여기서 주냉매 흡입유로(141)의 입구(142)는 구동축(140)의 일 측에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두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141)의 출구(143)는 주냉매 흡입유로(141)의 양측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구동축(140)의 회전시 상기 사판실(132)의 양측에 형성된 각 실린더보어(130a,131a)로 동시에 냉매가 흡입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부연설명하면, 상기 사판(150)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사판(150)의 외주에 결합된 피스톤(160)중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된 피스톤(160)들은 동일한 흡입 또는 압축행정을 하므로,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141)의 양쪽 출구(143)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해야 사판실(132)의 양측에 형성된 실린더보어(130a,131a)로 동시에 냉매가 흡입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구동축(140)에 형성된 주냉매 흡입유로(141)의 각 출구 (143)의 방향은 상기 피스톤(160)의 개수 등 설계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구동축(140)에 형성된 주냉매 흡입유로(141)를 통해 상기 사판실(132) 내의 냉매가 실린더보어(130a,131a)내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 (140)의 고속회전시에도 충분한 냉매의 유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 블록의 후방에는 냉매저류실(19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블록(131)에는 사판실(132)과 냉매저류실(190)을 연통시키는 보조냉매 흡입유로(191)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140)의 고속 회전시 사판실(132) 내의 냉매는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141)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냉매 흡입유로(191)를 통해 상기 실린더보어(130a,131a)내로 공급됨으로써 충분한 냉매의 유량이 공급되어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압축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는 도 3의 Ⅴ-Ⅴ 선에 따라 나타낸 것으로서, NO.3 피스톤(160)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압축을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단, 여기서는 상기 NO.3 피스톤(160)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냉매를 압축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것은 다른 피스톤들(도 5a에서 NO. 1, 2, 4 및 5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냉매를 압축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동일한 원리로 적용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냉매의 흡입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상기 NO.3 피스톤(160)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냉매를 압축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대응하여 상기 실린더블록(130)의 흡입통로(135)의 입구와 구동축(140)의 주냉매 흡입유로(141) 출구(143)가 차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O. 3 피스톤(160)이 하사점에 도달한 시점에 상기 구동축(140)의 회전방향(시계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141) 출구(143)의 끝단(143a)은 상기 실린더블록(130) 흡입통로(135)의 단면 중심선(C3-C3)으로부터 구동축(140)의 회전방향(시계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블록(130) 흡입통로(135)의 단면 중심선(C3-C3)은 실린더블록(130)에 형성된 흡입통로(135)를 구동축(140)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하여 본 단면(단면 Ⅴ-Ⅴ;도 3)의 중심선이다. 또한, 상기 단면 중심선(C3-C3)은 상기 실린더보어(130a)의 중심선(C2-C2;도 3)과 상기 구동축(140)의 축 중심선(C-C)을 포함하는 평면(P;도 3)상에 위치하여야 한다. 여기서 도 5b에 도시된 A2는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141) 출구(143)가 개방된 각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NO. 3 피스톤(160)이 하사점에 도달한 시점에 상기 실린더블록(130)의 내벽이 구동축(140)의 주냉매 흡입유로(141) 출구(143)를 막게 되어, 실린더블록(130)의 흡입통로(135)와 구동축(140)의 주냉매 흡입유로(141) 출구(143)가 차단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200)의 NO.3 피스톤(240;이하 ‘피스톤’이라 함)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압축을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동일부재를 나타내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도 4,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피스톤(260)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냉매를 압축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실린더블록(230)의 흡입통로(235) 입구와 구동축(240)의 주냉매 흡입유로(241) 출구(243)가 차단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블록(230,231)에 형성된 흡입통로(235)의 단면 중심선(C4-C4)은, 상기 실린더보어(230a)의 중심선(C2-C2)과 상기 구동축(240)의 축 중심선(C-C)을 포함하는 평면(P)에 대해 상기 구동축(240)의 회전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질 수 있다. 여기서 A3은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241) 출구(243)가 개방된 각도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서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스톤은 양두 피스톤이고, 실린더보어가 사판실의 양측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축의 주냉매 흡입유로는 전방과 후방의 각 실린더보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적어도 하나 형성된 압축기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들은 편두 피스톤을 구비하고 로터리 흡입밸브 구조를 채용한 고정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도 실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축의 내부에 형성된 주냉매 흡입유로(141,241)의 입구(142,242)가 사판(150)의 허브(150a)와 구동축(140)의 일 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냉매 흡입유로(32)의 입구(33)가 구동축(30)의 일 측이 사판실(22)과 직접 연통함으로써 형성되고, 실린더블록(21) 후방에는 주냉매 흡입유로(32)와 연통하는 흡 입실(50)이 형성된 압축기에 대해서도 실시예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특징들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특히, 고정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적합하며,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냉매를 압축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대응하여 실린더블록의 흡입통로 입구와 구동축의 주냉매 흡입유로 출구가 차단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압축이 시작하는 시점과 동시에 구동축의 주냉매 흡입유로 출구와 실린더블록의 흡입통로가 차단되기 때문에, 냉매의 흡입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압축기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것으로서, NO.3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압축을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낸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압축기의 단면도,
도 5a는 도 3의 Ⅴ-Ⅴ 선에 따라 나타낸 것으로서, NO.3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압축을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NO.3 피스톤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압축을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낸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200...압축기 110,120...전방 및 후방하우징
130,131,230,231...실린더블록 132...사판실
130a,131a,230a,231a...실린더보어 135,235...흡입통로
140,240...구동축 141,241...주냉매 흡입유로
142,242...주냉매 흡입유로 입구 143,243...주냉매 흡입유로 출구
150...사판 151...냉매연통로
160,260...피스톤 170,180...밸브유니트
190...냉매저류실 191...보조냉매 흡입유로

Claims (5)

  1. 실린더블록(130,131,230,231)의 내부에 형성된 사판실(132)에서 회전하는 사판(150)이 구동축(140,240)에 일체 결합하고, 상기 구동축(140,240)의 주위에 환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실린더보어(130a,131a,230a,231a) 내에 각각 수용된 피스톤들이 상기 사판(150)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운동하며, 상기 사판실(132)로부터 상기 구동축(140,240)의 내측에 형성된 주냉매 흡입유로(141,241)로 흡입된 냉매가 상기 구동축(140,2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141,241)와 각 실린더보어(130a,131a,230a,231a)를 순차적으로 연통시키도록 상기 실린더블록(130,131,230,231)에 형성된 다수의 흡입통로(135,235)를 통해 각 실린더보어(130a,131a,230a,231a)로 흡입되는 압축기(100,200)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들 중 어느 하나의 피스톤(160, 260)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냉매를 압축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대응하여 상기 실린더블록(130,131,230,231)의 흡입통로(135,235) 입구와 상기 구동축(140,240)의 주냉매 흡입유로(141,241) 출구(143,243)가 차단되도록 상기 실린더블록(130,131,230,231)의 내벽에 의해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141,241)의 출구(143,243)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피스톤(160,260)은 양두 피스톤이고, 상기 실린더보어(130a,131a,230a,231a)는 상기 사판실(132)의 양측으로 다수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140,240)의 주냉매 흡입유로(141,241) 출구(143,243)는 전방과 후방의 각 실린더보어(130a,131a,230a,231a)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140, 24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사판실(132)과 상기 구동축(140,240)의 주냉매 흡입유로(141,241) 입구(142,242)를 연통하는 냉매 연통로(151)는 상기 사판(15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60)이 하사점에 도달한 시점에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141,241) 출구(143,243)의 끝단(143a,243a)은 상기 피스톤(160)에 대응되는 흡입통로(135,235)와 상기 구동축(14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인접한 또 다른 흡입통로 사이의 실린더블록(130,131,230,231)의 내벽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60)이 하사점에 도달한 시점에 상기 구동축(140)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주냉매 흡입유로(141,241) 출구(143,243)의 끝단(143a,243a)이 상기 실린더블록(130,131,230,231)의 흡입통로(135,235)의 단부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블록(230,231)에 형성된 흡입통로(235)의 단면 중심선(C4-C4)은, 상기 실린더보어(230a)의 중심선(C2-C2)과 상기 구동축(240)의 축 중심선(C-C)을 포함하는 평면(P)에 대해 상기 구동축(240)의 회전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5. 삭제
KR1020080044823A 2007-06-01 2008-05-15 압축기 KR100917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076 2007-06-01
KR20070054076 2007-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007A KR20080106007A (ko) 2008-12-04
KR100917449B1 true KR100917449B1 (ko) 2009-09-14

Family

ID=4008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823A KR100917449B1 (ko) 2007-06-01 2008-05-15 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298980A1 (ko)
KR (1) KR100917449B1 (ko)
CN (1) CN1013150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883A (ko) * 2009-12-23 2011-06-29 한라공조주식회사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0317B2 (ja) * 2007-02-02 2011-07-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JP5045679B2 (ja) * 2009-01-14 2012-10-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US9163620B2 (en) 2011-02-04 2015-10-20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Oil management system for a compressor
JP5218588B2 (ja) 2011-03-31 2013-06-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型斜板式圧縮機
CN102926967B (zh) * 2012-11-23 2015-03-11 上海威乐汽车空调器有限公司 往复式斜盘压缩机结构
JP7230762B2 (ja) * 2019-10-02 2023-03-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309A (ja) * 1992-02-20 1993-09-0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ピストン型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KR20030041825A (ko) * 2001-11-21 2003-05-27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피스톤식 압축기의 냉매 흡입기구 및 피스톤식 압축기
JP2006083835A (ja) * 2004-09-17 2006-03-30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07016762A (ja) 2005-06-08 2007-01-25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1972A (en) * 1979-01-31 1981-08-04 Carrier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a motor compressor
US5183394A (en) * 1991-05-10 1993-02-02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Swash plate type compressor with a central inlet passage
JPH05172050A (ja) * 1991-12-21 1993-07-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ピストン型圧縮機における冷媒ガス吸入案内機構
JPH0658248A (ja) * 1992-08-06 1994-03-0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斜板式圧縮機における回転軸支持構造
JPH11294322A (ja) * 1998-04-17 1999-10-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斜板式圧縮機
JP2003013856A (ja) * 2001-06-28 2003-01-15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
JP4631228B2 (ja) * 2001-07-31 2011-02-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防振構造
JP3896822B2 (ja) * 2001-11-12 2007-03-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斜板型圧縮機
JP3890966B2 (ja) * 2001-12-06 2007-03-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固定容量型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JP2003247486A (ja) * 2001-12-21 2003-09-05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US6799953B2 (en) * 2002-11-22 2004-10-05 Caterpillar Inc Port plate for an axial piston pump
JP4049082B2 (ja) * 2003-06-19 2008-02-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2007263097A (ja) * 2006-03-30 2007-10-11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圧縮機における流量検出装置
JP4702145B2 (ja) * 2006-03-31 2011-06-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斜板式圧縮機
KR101159863B1 (ko) * 2006-07-24 2012-06-25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JP2008038856A (ja) * 2006-08-10 2008-02-21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4730317B2 (ja) * 2007-02-02 2011-07-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KR101058706B1 (ko) * 2007-06-07 2011-08-22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309A (ja) * 1992-02-20 1993-09-0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ピストン型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KR20030041825A (ko) * 2001-11-21 2003-05-27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피스톤식 압축기의 냉매 흡입기구 및 피스톤식 압축기
JP2006083835A (ja) * 2004-09-17 2006-03-30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07016762A (ja) 2005-06-08 2007-01-25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883A (ko) * 2009-12-23 2011-06-29 한라공조주식회사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632749B1 (ko) 2009-12-23 2016-06-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15070B (zh) 2011-02-09
CN101315070A (zh) 2008-12-03
US20080298980A1 (en) 2008-12-04
KR20080106007A (ko)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449B1 (ko) 압축기
KR100922816B1 (ko) 압축기
KR101001564B1 (ko) 로터리밸브를 장착한 사판식 압축기
KR101031812B1 (ko) 압축기
KR100917020B1 (ko) 압축기
KR101058307B1 (ko) 압축기
KR101093964B1 (ko) 압축기
KR101104283B1 (ko) 압축기
KR101107390B1 (ko) 압축기
KR20080009361A (ko) 압축기
KR101328855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오일분리구조 일체형 하우징
KR20080024765A (ko) 압축기
KR100859734B1 (ko) 압축기
KR101172693B1 (ko) 압축기
KR20080029077A (ko) 압축기
KR20080006258A (ko) 압축기
KR101184577B1 (ko) 압축기
KR101031813B1 (ko) 압축기
KR101270651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2032397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086323B1 (ko) 압축기
KR101032184B1 (ko) 압축기
KR20100065917A (ko) 사판식 압축기
JP2001227471A (ja) 空気圧縮機
KR20060082146A (ko) 압축기의 토출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