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4455B1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455B1
KR100884455B1 KR1020070054900A KR20070054900A KR100884455B1 KR 100884455 B1 KR100884455 B1 KR 100884455B1 KR 1020070054900 A KR1020070054900 A KR 1020070054900A KR 20070054900 A KR20070054900 A KR 20070054900A KR 100884455 B1 KR100884455 B1 KR 100884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isplay devic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7058A (ko
Inventor
오백균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4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455B1/ko
Priority to JP2007234514A priority patent/JP2008304880A/ja
Priority to US12/121,471 priority patent/US20080303755A1/en
Priority to CNA2008100986354A priority patent/CN101320736A/zh
Priority to EP08157587A priority patent/EP2001055A3/en
Publication of KR20080107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6Electr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20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기판 단위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은,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과,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사이에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의 영역을 구분하는 스크라이빙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라이빙 라인들 중 제1 내지 제4 스크라이빙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형성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상기 데이터선들은 상기 제1 스크라이빙 라인의 외곽에 형성된 제1 핀-컨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스크라이빙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형성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상기 주사선들은 상기 제1 스크라이빙 라인과 직교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2 또는 제3 스크라이빙 라인의 외곽에 형성된 제2 핀-컨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ther Substrate Thereof}
도 1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주사선들 및/또는 데이터선들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데이터선들 및 제1 핀-컨택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주사선들 및 제2 핀-컨택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스크라이빙 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320, 620: 화소부 37: 제1 도전막
38: 제2 도전막 40, 340, 640: 구동 회로부
50, 350, 650: 패드부 300, 600: 모기판
301, 601: 스크라이빙 라인 310, 610: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360, 660: 제1 핀-컨택부 370, 670: 제2 핀-컨택부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기판 단위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장치 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화소들을 구비하는 화소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화소들은 적어도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화소들은 주사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주사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데이터선들로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단,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화소들의 발광 휘도는 주사신호 및/또는 데이터신호의 전압레벨에 민감하므로, 주사선들 및/또는 데이터선들을 형성함에 있어 저항값이 보다 낮은 재료를 선별하여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하나의 모기판 상에 다수 개 형성된 이후 스크라이빙 됨으로써,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로 분리된다. 그리고,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에 대한 검사는 스크라이빙이 완료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에 대한 검사가 개별적으로 수행되면 검사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항이 낮은 재료를 이용하여 주사선들 및/또는 데이터선들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기판 단위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여 검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과,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사이에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의 영역을 구분하는 스크라이빙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라이빙 라인들 중 제1 내 지 제4 스크라이빙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형성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상기 데이터선들은 상기 제1 스크라이빙 라인의 외곽에 형성된 제1 핀-컨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스크라이빙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형성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상기 주사선들은 상기 제1 스크라이빙 라인과 직교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2 또는 제3 스크라이빙 라인의 외곽에 형성된 제2 핀-컨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핀-컨택부는 상기 제1 스크라이빙 라인을 공유하도록 이전 행에 배치된 인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하측 더미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핀-컨택부는 상기 제2 또는 제3 스크라이빙 라인을 공유하도록 이전 열 또는 다음 열에 배치된 인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좌측 또는 우측 더미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핀-컨택부는 자신이 위치된 상기 인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며 적어도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들이 구비된 화소부와, 상기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소부로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회로부와, 상기 구동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로 전원전압 또는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부 내부에 위치된 상기 주사선들 또는 데이터선들의 일 영역은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1 도전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소부와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에 위치된 상기 주사선들 또는 데이터선들의 다른 영역은 상기 제1 도전막과, 상기 제1 도전막과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2 도전막의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막은 상기 제1 도전막보다 저항이 낮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막은 몰리브덴(Mo)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막은 몰리브덴(Mo)-알루미늄(Al)-몰리브덴(Mo)의 삼중막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핀-컨택부는 상기 제2 도전막을 구성하는 재료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막은 적어도 알루미늄(Al)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핀-컨택부는 상기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막은 적어도 인듐-틴 옥사이드(Induim Tin Oxide, ITO)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핀-컨택부는 상기 이전 행에 배치된 인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상기 패드부 양측의 더미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핀-컨택부는 상기 이전 열 또는 다음 열에 배치된 인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실장된 상기 구동 회로부의 일측 더미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부는 집적회로 칩의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핀-컨택부는 각각 검사_데이터신호 및 검사_주사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며 적어도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들이 구비된 화소부와, 상기 화소부의 하측 더미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1 및 제2 핀-컨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선들은 상기 화소부의 상측 더미영역으로 연장되어 그 연장된 단부가 플로우팅되고, 상기 주사선들은 상기 화소부의 하측 더미영역의 양측 가장자리로 연장되어 그 연장된 단부가 플로우팅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화소부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화소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 회로부와, 상기 구동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로 전원전압 또는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핀-컨택부는 상기 패드부의 양측 더미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핀-컨택부는 상기 구동 회로부의 적어도 일측 더미 영역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핀-컨택부는 상기 구동 회로부의 양측 더미 영역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소부 내부에 위치된 상기 주사선들 또는 데이터선들의 일 영역은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1 도전막으로 구성되고, 상기 화소부 외부로 연장된 상기 주사선들 또는 데이터선들의 다른 영역은 상기 제1 도전막과, 상기 제1 도전막과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2 도전막의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핀-컨택부는 상기 제2 도전막을 구성하는 재료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핀-컨택부와, 상기 제2 도전막은 적어도 알루미늄(Al)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막은 상기 제1 도전막보다 저항이 낮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막은 몰리브덴(Mo)-알루미늄(Al)-몰리브덴(Mo)의 적층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막은 적어도 인듐-틴 옥사이드(Induim Tin Oxide, ITO)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편의상, 도 1에서는 수동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기판(10) 상에 형성된 화소부(20)와, 화소부(20)로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40)와, 구동 회로부(40)로 전원전압 및 제어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패드부(50)를 포함한다.
화소부(20)는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의 교차부에 위치되며, 적어도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들(30)을 포함한다. 각각의 화소(30)는 주사선(S)으로부터 공급되는 주사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데이터선(D)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이에 의해, 화소부(20)에서 영상이 표시된다.
구동 회로부(40)는 화소부(20)의 일측에 위치되며,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을 통해 화소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동 회로부(40)는 패드부(5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전압 및 제어신호들에 대응하여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화소부(20)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부(40)는 주사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각각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회로부(40)는 패널 상에 형성되거나, 집적회로(IC) 칩의 형태로 기판에 실장될 있고, 혹은, 도시되지 않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화소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회로부(40)가 집적회로 칩의 형태로 패널 상에 실장되면, 패드들(P)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패드부(50) 형성에 사용되는 전도성 필름에 소요되는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패드부(50)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된 다수의 패드들(P)로 구성되며, 패드들(P)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 또는 제어신호들을 패널 내부로 전달한다. 특히, 패드부(50)는 구동 회로부(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회로부(40)로 전원전압 또는 제어신호들을 전달한다. 한편, 편의상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패드부(50)에는 화소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드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이 패드를 통해 외부로부터 화소부(20)로 화소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A 영역은 화소부(20)의 일 영역이며, B 영역은 화소부(20) 외부의 배선영역의 일 영역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도 1과 결부하여 화소부(20) 및 배선영역의 단면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기판(10)은 투명한 유리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 외에도, 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등의 기타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SUS, 텅스텐 등과 같은 금속 호일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판(10) 상에는 버퍼층(12)이 형성된다.
화소영역(A)의 버퍼층(12) 상에는 소정의 패턴으로 패터닝 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1 전극들(31)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전극들(31)은 투명 전극물질인 인듐-틴 옥사이드(Induim Tin Oxide, 이하, ITO라 한다)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전극들(31)과 더불어 데이터선(D)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전극물질이 ITO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면발광의 경우 제1 전극(31)은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 전극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발광의 경우, 제1 전극(31)은 Ag, Mg, Al, Cr 등의 반사형 전극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1 전극(31)이 ITO로 형성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제1 전극들(31)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34)이 형성되고, 그 위로 분리 절연막(35)이 형성된다. 분리 절연막(35)은 발광층(32) 및 제2 전극(33)을 패터닝하기 위한 것으로, 편의상 도 2에서는 분리 절연막(35)과 제1 전극들(31)이 평행한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 분리 절연막(35)과 제1 전극들(31)은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분리 절연막(35)이 형성된 상태에서 발광층(32) 및 제2 전극(33)을 형성하게 되면, 발광층(32) 및 제2 전극(33)은 제1 전극(31)과 직교하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발광층(32) 및 제2 전극(33)의 패터닝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터닝 마스크를 이용한 증착공정으로 패터닝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발광층(32)은 저분자 유기층 또는 고분자 유기층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33)은 반사형 전극물질 또는 투명 전극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면발광의 경우, 제1 전극(31)은 ITO와 같은 투명 전극물질로 형성되고, 제2 전극(33)은 알루미늄(Al)과 같은 반사형 전극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전극(33)은 제1 전극(31)과 직교하는 방향의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화소영역(A) 내부에는 제2 전극들(31)과 더불어 주사선들(S)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소영역(A)에 형성된 주사선들(S)은, 후술할 화소영역(A) 외부의 배선영역(B)에 형성된 주사선들(S)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화소영역(A) 양측의 배선영역(B)에는 화소영역(A) 내부의 주사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사선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선영역(B)의 주사선들은 화소영역(A) 내부의 전극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선영역(B)의 주사선들은 제1 전극(31) 및 데이터선들(D)이 형성되는 공정에서, 이들과 동일한 ITO막(37)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화소부(20)와 구동 회로부(40) 사이의 데이터선들(D)은 스트라이프 형상의 제1 전극(31)이 구동 회로부(40) 영역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화소들의 발광 휘도는 주사신호 및/또는 데이터신호의 전압레벨에 민감하므로, ITO로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을 형성하는 경우, 화소부(20)의 외부, 즉, 화소부(20)와 구동 회로부(40) 사이에 형성되는 주 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의 ITO막(37) 상부에는 ITO 보다 상대적으로 저항이 작은 도전막(38) 더 형성하여 배선들의 저항을 감소시킨다.
즉, 화소부(20) 내부에 위치된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의 일 영역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1 전극(31) 및/또는 제2 전극(32)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1 도전막(37)으로 형성되고, 화소부(20)와 구동 회로부(40) 사이에 위치된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의 다른 영역은 제1 도전막(37)과, 제1 도전막(37)보다 저항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는 제2 도전막(38)의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도전막(38)은 크롬(Cr) 또는 알루미늄(Al) 등의 재료를 이용한 단층구조로 형성되거나, 혹은 저항이 상이한 적어도 두 개의 재료를 이용하여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주사선들 및/또는 데이터선들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화소부와 구동 회로부 사이의 주사선들 및/또는 데이터선들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소부(20)와 구동 회로부(40) 사이를 연결하는 주사선들(S) 및/또는 데이터선들(D)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제1 전극물질과 동일한 ITO로 이루어진 제1 도전막(37)과, 몰리브덴(Mo)-알루미늄(Al)-몰리브덴(Mo)의 삼중막 구조로 형성된 제2 도전막(38)의 적층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도전막(38)을 몰리브덴(Mo)-알루미늄(Al)-몰리브덴(Mo)으로 구성하면, 단층의 크롬(Cr) 등으로 제2 도전막(38)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주사선들(S) 및/또는 데이터선들(D)의 저항을 더욱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에이징 및 누설전류 검사 등의 검사과정을 거쳐 양품에 한해 제품으로 출시된다.
이와 같은 검사과정에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모기판 상에서 스크라이빙 되지 않은 상태로 검사되거나, 혹은 스크라이빙 이후 단품 상태에서 검사될 수 있다.
단, 단품 상태에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에 대한 검사가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모기판 상에서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는 경우에 비해 검사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모기판 상에서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에 대한 검사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4는 구동 회로부의 실장 전 검사단계에서의 모기판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검사가 완료된 이후 구동 회로부가 실장된 모기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300)은 스크라이빙 라인(301)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310)을 포함한다.
검사단계에서의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310)에서, 화소부(320)는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을 통해 제1 핀-컨택부(360) 및 제2 핀-컨택부(3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핀-컨택부(360, 370)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310) 내부의 화소부(320)와 패드부(35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핀-컨택부(360)는 데이터선들(D)의 일측 단을 저항이 낮은 알루미늄(Al) 등으로 연결시킨 쇼트바의 형태로 구동회로 실장영역(345)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핀-컨택부(370)는 구동회로 실장영역(345)으로 연장된 주사선들 (S)의 일측 단을 알루미늄(Al) 등을 이용하여 구동회로 실장영역(345)의 양측으로 보다 연장하여 서로 연결시킨 쇼트바의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주사선들(S)의 홀수 라인 및 짝수 라인이 각각 화소부(32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구동회로 실장영역(345)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제2 핀-컨택부(370)로 연결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핀-컨택부(360, 370)는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각각 검사_데이터신호 및 검사_주사신호를 공급받는다.
즉, 에이징 또는 점등 검사 등의 다양한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검사 장치 내에 모기판(300)이 위치되고, 모기판(300)에 형성된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310)이 제1 및 제2 핀-컨택부(360, 370)를 통한 핀 접촉방식으로 검사신호를 공급받음으로써, 모기판(300) 상에 형성된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310)에 대한 검사가 모기판(300) 단위로 수행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핀-컨택부(360, 370)는 검사가 완료된 이후에는 제거된다. 즉, 검사가 완료된 이후, 제1 및 제2 핀-컨택부(360, 370)를 박리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이후, 구동회로 실장영역(345)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회로부(340)를 실장하고, 스크라이빙 라인(301)을 따라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310)을 모기판(300)으로부터 분리한다.
전술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300)에 따르면,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310)에 대한 검사를 모기판(300) 상에서 한 번에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검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검사가 완료된 이후 제1 및 제2 핀-컨택부(360, 370)를 제거하는 공정이 진행되어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다소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데이터선들(D) 및 주사선들(S)의 손상 없이 제1 및 제2 핀-컨택부(360, 370)를 효과적으로 박리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핀-컨택부(360, 370)는 데이터선들(D) 및 주사선들(S)을 구성하는 도전막 물질과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즉, 알루미늄(Al)으로 데이터선들(D) 및 주사선들(S)의 일측단을 연장시켜 서로 연결함으로써 제1 및 제2 핀-컨택부(360, 370)를 형성하는 본 실시예는, 데이터선들(D) 및 주사선들(S)의 제2 도전막(38)이 크롬(Cr)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몰리브덴(Mo)-알루미늄(Al)-몰리브덴(Mo)의 저저항 제2 도전막(38) 구조에는 적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다른 실시예를 통하여, 제1 및 제2 핀-컨택부(360, 370)의 박리공정을 생략함과 더불어, 몰리브덴(Mo)-알루미늄(Al)-몰리브덴(Mo)의 저저항 제2 도전막(38)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을 제시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데이터선들 및 제1 핀-컨택부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주사선들 및 제2 핀-컨택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600)은, 데이터선들(D) 및 주사선들(S)을 포함하는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610)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610) 사이에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610)의 영역을 구분하는 스크라이빙 라인들(601)을 포함한다.
즉,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610)은 모기판(600) 상에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치되며, 상하 및 좌우에 배치된 네 개의 스크라이빙 라인들(601)에 의해 그 영역이 정의된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610)는 상측의 제1 스크라이빙 라인과, 제1 스크라이빙 라인과 직교하며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좌/우측의 제2 및 제3 스크라이빙 라인과, 제2 및 제3 스크라이빙 라인과 직교하며 제1 스크라이빙 라인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하측의 제4 스크라이빙 라인에 의해 그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610)에 형성된 데이터선들(D)은 화소부(62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스크라이빙 라인(601)의 외부에 형성된 제1 핀-컨 택부(6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선들(D)의 일측 단은 제1 스크라이빙 라인(601_1)까지 연장되고, 이들의 단부는 제1 스크라이빙 라인(601_1) 외곽에 형성된 제1 핀-컨택부(6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선들(D)은 제1 스크라이빙 라인(601_1)을 공유하도록 이전 행에 배치된 인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하측 더미 영역, 특히, 패드부(650) 양측의 더미 영역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제1 컨택부(660)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610)에 형성된 주사선들(S)은 좌측 또는 우측의 스크라이빙 라인(601) 외부로 연장되어, 스크라이빙 라인(601)의 외부에 형성된 제2 핀-컨택부(6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선들(S)의 일측 단은 구동 회로부(640)와 중첩되는 영역에서 좌측 및/또는 우측의 제2 또는 제3 스크라이빙 라인(601_2, 601_3)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들의 외부까지 연장됨으로써 제2 및/또는 제3 스크라이빙 라인(601_2, 601_3)의 외곽에 형성된 제2 핀-컨택부(6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주사선들(S)은 제2 또는 제3 스크라이빙 라인(601_2, 601_3)을 공유하도록 이전 열 또는 다음 열에 배치된 인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좌측 또는 우측 더미 영역, 특히, 구동 회로부(640) 양측의 더미 영역에 형성된 제2 핀-컨택부(6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핀-컨택부(660, 670)는 알루미늄(Al) 쇼트바로 구성될 수 있고, 모기판(600) 상에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610)에 대한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각각 검사_데이터신호 및 검사_주사신호를 공급받는다. 이에 의해, 인접 행 또는 열에 배치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610)의 데이터선들(S) 및 주사선들(S)로 각각 검사_데이터신호 및 검사_주사신호가 공급되어 검사가 수행된다. 단,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610)에 대한 검사는 구동 회로부(640)가 실장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및 제2 핀-컨택부(660, 670)가 자신과 연결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610)의 스크라이빙 라인(601)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스크라이빙 이후 제1 및 제2 핀-컨택부(660, 670)는 자신이 위치된 스크라이빙 라인(601) 내부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610)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 특히, 데이터선들(D) 및 주사선들(S)과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이들의 구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전술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600)에 따르면,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610)에 대한 검사를 모기판(600) 상에서 한 번에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검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핀-컨택부(660, 670)를 스크라이빙 라인(601) 외부에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COG 타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 이들을 제거하는 박리공정 등을 진행하지 않고도 스크라이빙 공정에 의해 데이터선들(D) 및 주사선들(S)과의 연결을 단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조공정이 보다 단순해진다.
또한, 제1 및 제2 핀-컨택부(660, 670)의 제거가 불필요하므로 화소부 외부(620)로 연장된 데이터선들(D) 및 주사선들(S)을 형성하는 제2 도전막(38)을 구성하는 물질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설계를 보다 용이하게 함은 물론, 도 3에 도시된 몰리브덴(Mo)-알루미늄(Al)-몰리브덴(Mo)의 저저항 제2 도전막(38) 구조를 적용하여 데이터선들(D) 및 주사선들(S)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부(620) 내부에 위치된 데이터선들(D)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제1 전극과 동일하게 ITO막으로 구성된 제1 도전막(37)으로 형성되고, 화소부(620)의 외부, 즉, 화소부(620)와 구동 회로부(640) 사이의 데이터선들(D)은 제1 도전막(37)과, 제1 도전막(37)보다 저항이 낮은 몰리브덴(Mo)-알루미늄(Al)-몰리브덴(Mo)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제2 도전막(38)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화소부(620) 내부에 위치된 주사선들(S)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제2 전극과 동일하게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되고, 화소부(620)의 외부, 즉, 화소부(620)와 구동 회로부(640) 사이의 주사선들(S)은 ITO막으로 구성된 제1 도전막(37)과, 몰리브덴(Mo)-알루미늄(Al)-몰리브덴(Mo)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제2 도전막(38)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화소부(620) 내부의 주사선들(S)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또는 제2 핀-컨택부(660, 670)와, 제2 도전막(68)이 모두 알루미늄(Al)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 상기의 예는 배면발광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610)에 적용한 예를 기재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면발광하는 경우, 화소부(620) 내부의 데이터선들(D) 및 주사선들(S)을 구성하는 물질이 반대로 설정될 수 있고, 양면발광하는 경우, 화소부(620) 내부의 데이터선들(D) 및 주사선들(S)이 모두 ITO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스크라이빙 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스크라이빙 라인(601)을 따라 모기판(600)으로부터 스크라이빙 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610)는, 화소부(620), 구동 회로부(640) 및 패드부(650)와, 제1 및 제2 핀-컨택부(660, 670)를 포함한다.
화소부(620)는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의 교차부에 위치되며 적어도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구동 회로부(640)는 화소부(620)의 일측에 위치되어 화소부(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패드부(650)는 구동 회로부(6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회로부(640)로 전원전압 또는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핀-컨택부(660, 670)는 화소부(620)의 하측 더미 영역에 위치되며 다른 구성요소들, 특히 데이터선들(D) 및 주사선들(S)과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핀-컨택부(660)는 패드부(650)의 양측 더미 영역에 각각 형성되고, 제2 핀-컨택부(670)는 구동 회로부(640)의 적어도 일측, 예컨대, 양 측 더미 영역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선들(D)은 화소부(620)의 상측 더미 영역으로 연장되어 그 연장된 단부가 플로우팅되고, 주사선들(S)은 화소부(620)의 하측 더미 영역의 양측 가장자리로 연장되어 그 연장된 단부가 플로우팅된다. 여기서, 플로우팅 된 데이터선들(D) 및 주사선들(S)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들의 상부에는 터피(Tuffy) 등의 보호막(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선들(D) 및 주사선들(S)과, 제1 및 제2 핀-컨택부(660, 670)의 구성 재료는 도 6 내지 도 8에 대한 상세설명에 기재된 재료들과 동일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에 따르면, 검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을 구성하는 제2 도전막의 구성 물질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져, 설계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몰리브덴(Mo)-알루미늄(Al)-몰리브덴(Mo)의 저저항 제2 도전막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6)

  1.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과,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 사이에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들의 영역을 구분하는 스크라이빙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라이빙 라인들 중 제1 내지 제4 스크라이빙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형성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상기 데이터선들은, 상기 제1 스크라이빙 라인을 공유하는 이전 행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하측 더미영역에 형성된 제1 핀-컨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스크라이빙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형성된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상기 주사선들은, 상기 제1 스크라이빙 라인과 직교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2 또는 제3 스크라이빙 라인을 공유하는 이전 열 또는 다음 열에 배치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좌측 또는 우측 더미영역에 형성된 제2 핀-컨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핀-컨택부는 자신이 위치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며 적어도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들이 구비된 화소부와,
    상기 데이터선들 및 주사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소부로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회로부와,
    상기 구동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로 전원전압 또는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패드부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부 내부에 위치된 상기 주사선들 또는 데이터선들의 일 영역은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1 도전막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소부와 상기 구동 회로부 사이에 위치된 상기 주사선들 또는 데이터선들의 다른 영역은 상기 제1 도전막과, 상기 제1 도전막과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2 도전막의 적층구조로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막은 상기 제1 도전막보다 저항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막은 몰리브덴(Mo)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막은 몰리브덴(Mo)-알루미늄(Al)-몰리브덴(Mo)의 삼중막 구조 로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핀-컨택부는 상기 제2 도전막을 구성하는 재료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막은 적어도 알루미늄(Al)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핀-컨택부는 상기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막은 적어도 인듐-틴 옥사이드(Induim Tin Oxide, ITO)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컨택부는 상기 이전 행에 배치된 인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상기 패드부 양측의 더미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핀-컨택부는 상기 이전 열 또는 다음 열에 배치된 인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실장된 상기 구동 회로부의 일측 더미 영역에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집적회로 칩의 형태로 실장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핀-컨택부는 각각 검사_데이터신호 및 검사_주사신호를 공급받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모기판.
  16.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며, 적어도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화소들이 구비된 화소부와,
    상기 화소부의 하측 더미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1 및 제2 핀-컨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선들은 상기 화소부의 상측 더미영역으로 연장되어 그 연장된 단부가 플로우팅되고, 상기 주사선들은 상기 화소부의 하측 더미영역의 양측 가장자리로 연장되어 그 연장된 단부가 플로우팅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부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화소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 회로부와,
    상기 구동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로 전원전압 또는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컨택부는 상기 패드부의 양측 더미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핀-컨택부는 상기 구동 회로부의 적어도 일측 더미 영역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핀-컨택부는 상기 구동 회로부의 양측 더미 영역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부 내부에 위치된 상기 주사선들 또는 데이터선들의 일 영역은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1 도전막으로 구성되고,
    상기 화소부 외부로 연장된 상기 주사선들 또는 데이터선들의 다른 영역은 상기 제1 도전막과, 상기 제1 도전막과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2 도전막의 적층구조로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핀-컨택부는 상기 제2 도전막을 구성하는 재료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핀-컨택부와, 상기 제2 도전막은 적어도 알루미늄(Al)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막은 상기 제1 도전막보다 저항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막은 몰리브덴(Mo)-알루미늄(Al)-몰리브덴(Mo)의 적층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막은 적어도 인듐-틴 옥사이드(Induim Tin Oxide, ITO)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070054900A 2007-06-05 2007-06-05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 KR100884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900A KR100884455B1 (ko) 2007-06-05 2007-06-05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
JP2007234514A JP2008304880A (ja) 2007-06-05 2007-09-10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のマザー基板
US12/121,471 US20080303755A1 (en) 2007-06-05 2008-05-15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ther substrate thereof
CNA2008100986354A CN101320736A (zh) 2007-06-05 2008-06-03 有机发光显示器件及其母板
EP08157587A EP2001055A3 (en) 2007-06-05 2008-06-04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ther substrat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900A KR100884455B1 (ko) 2007-06-05 2007-06-05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058A KR20080107058A (ko) 2008-12-10
KR100884455B1 true KR100884455B1 (ko) 2009-02-20

Family

ID=3972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900A KR100884455B1 (ko) 2007-06-05 2007-06-05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303755A1 (ko)
EP (1) EP2001055A3 (ko)
JP (1) JP2008304880A (ko)
KR (1) KR100884455B1 (ko)
CN (1) CN1013207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79184C (zh) * 2007-06-08 2009-04-15 信利半导体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显示器检查线的布线方法
KR100870653B1 (ko) * 2007-11-27 2008-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527971B1 (ko) * 2008-07-21 2015-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CN102681224B (zh) * 2012-04-25 2015-06-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屏检测装置及方法
KR20140042183A (ko) * 2012-09-28 2014-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159149B1 (ko) * 2013-12-23 2020-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원장 기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5169760A (ja) * 2014-03-06 2015-09-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の製造方法、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形成基板
CN103943787B (zh) * 2014-03-28 2016-08-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显示器及其制备方法
JP6640599B2 (ja) * 2016-02-25 2020-02-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7065247A (zh) * 2017-06-07 2017-08-18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检测方法、装置及系统
JP7001398B2 (ja) * 2017-09-07 2022-01-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多面取り基板
CN109671381A (zh) * 2017-10-13 2019-04-23 昆山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母板
CN107884988B (zh) * 2017-10-25 2020-05-12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改善白光oled颜色漂移的方法
CN108198528B (zh) * 2017-12-27 2020-12-22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oled亮度的检测方法
CN108257541B (zh) * 2018-03-23 2024-09-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I715323B (zh) * 2019-12-02 2021-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144A (ko) * 2002-02-07 2003-08-14 삼성 엔이씨 모바일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자 발광소자와, 이의 기판 및 그 절단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4848B2 (ja) * 1999-06-04 2009-03-04 株式会社リコー 表示媒体
JP4271972B2 (ja) * 2003-03-27 2009-06-03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4480989B2 (ja) * 2003-11-28 2010-06-16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JP2005352419A (ja) * 2004-06-14 2005-12-22 Sharp Corp デバイス基板の製造方法、デバイス基板およびマザー基板
JP4499490B2 (ja) * 2004-06-18 2010-07-07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基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US7503821B2 (en) * 2004-07-23 2009-03-17 Lg Display Co., Ltd. Mother glass and method of fabricating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1648033A3 (en) * 2004-10-14 2008-04-23 LG Electronics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32662B1 (ko) * 2005-04-18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패널
JP4946003B2 (ja) * 2005-10-26 2012-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TW200729129A (en) * 2006-01-17 2007-08-01 Chi Mei El Corp Flat panel display and its testing method
KR100736575B1 (ko) * 2006-04-28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소자용 모기판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7847577B2 (en) * 2006-07-31 2010-12-07 Sharp Kabushiki Kaisha Active matrix substrate, display device, and active matrix substrate inspect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144A (ko) * 2002-02-07 2003-08-14 삼성 엔이씨 모바일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자 발광소자와, 이의 기판 및 그 절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20736A (zh) 2008-12-10
KR20080107058A (ko) 2008-12-10
JP2008304880A (ja) 2008-12-18
EP2001055A3 (en) 2012-01-25
EP2001055A2 (en) 2008-12-10
US20080303755A1 (en)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45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
KR102578423B1 (ko) 다중패널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28261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17054B1 (ko)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45304B1 (ko) 커버형 전원 공급이 적용된 표시장치
JP4620534B2 (ja) 有機電気発光表示装置
KR20150055377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711848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TWI795688B (zh) 透明顯示面板
JP2007298938A (ja) 表示素子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668264A (zh) 显示单元、显示装置和制造显示单元的方法
CN220359680U (zh) 显示装置
EP2440015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testing method thereof
EP4203651A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KR10079614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JP7478257B2 (ja) 表示装置
EP3557565B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substrate
KR20170080298A (ko) 표시장치
US20240006421A1 (en) Method for preparing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substrate
US20240258482A1 (en) Display device
KR100773940B1 (ko) 유기 발광 소자
KR20240119774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40086306A (ko) 발광 표시장치
KR20240074298A (ko) 표시 장치
KR102346105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