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836B1 -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2836B1 KR100872836B1 KR1020080047327A KR20080047327A KR100872836B1 KR 100872836 B1 KR100872836 B1 KR 100872836B1 KR 1020080047327 A KR1020080047327 A KR 1020080047327A KR 20080047327 A KR20080047327 A KR 20080047327A KR 100872836 B1 KR100872836 B1 KR 1008728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nail
- retaining wall
- anchor
- block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오그리드나 앵커 및 네일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기본블록, 앵커블록, 네일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sic block, anchor block, nail block and a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build a retaining wall using a geogrid or anchors and nails.
일반적으로 폭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는 훼손된 경사면의 일부를 깎아내어 경사면으로 만들고, 그 부분에 토사를 매워서 새로운 경사면을 조성하게 된다. 그리고,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에 도로나 철도 등을 새로이 개설할 경우에는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의 일부를 깎아내어 경사면을 만들고, 개설면을 평지화 시킨 다음 나머지 부분을 새로운 경사면으로 조성하게 된다. 또한, 하천의 범람방지와 수자원의 이용을 위하여 하천이나 호수의 부근에 조성된 둑이나 제방 또는 토사의 성토로 인해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게 된다.In general, when the slopes of the mountain slopes or hills are partially damaged by natural disasters such as heavy rains or floods, some of the damaged slopes are scraped off to make slopes, and the soil is filled to form new slopes. In addition, when a road or a railroad is newly established on a hillside or a hillside, a portion of the hillside or a hillside is scraped off to form a slope, and the opened surface is flattened, and then the remaining portion is formed as a new slope. In addition, slopes are formed due to embankments, embankments, or earth and sand in the vicinity of rivers and lakes to prevent flooding of rivers and use of water resources.
상기와 같이 조성된 경사면을 나대지로 방치할 경우에는 폭우나 홍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경사면의 토사가 쉽게 유실되므로 경사면의 복구 작업을 빈번히 수행하여야 됨은 물론이고 붕괴되는 토사에 의해 생명 및 재산 피해가 유발되었다. 뿐만 아니라, 붕괴된 경사면을 복구하기 위한 복구비가 낭비되었다.In case of leaving the inclined surface formed as described above, soils of the inclined surface are easily lost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heavy rain or flood, so that the work of repairing the inclined surface is frequently performed, as well as damage to life and property by the collapsed soil. Was induced. In addition, the cost of restoring the collapsed slope was wasted.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붕괴 위험이 있는 경사면 전방에는 통상 현장타설콘크리트옹벽이나 패널식 옹벽, 혹은 보강토옹벽을 축조하여 붕괴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곤 하였다.Therefore, in the above-mentioned inclined surface in front of the danger of collapse, the site casting concrete retaining wall, the panel retaining wall, or the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was used to block the risk of collapse in advance.
종래의 패널식 옹벽은 각각의 패널이 앵커나 네일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가 되는데, 패널의 크기가 일반적으로 무겁고 크기 때문에 설치할 때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해야 하며, 패널과 패널은 단순히 핀으로만 고정되며, 패널 자체로는 자립이 불가능하여 패널에 앵커를 설치하여 고정시킬 때까지 크레인 등의 중장비가 패널을 지지하고 있어야 하는 시공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panel retaining wall, each panel is fixed by anchors or nails and installed. Since the panel is generally heavy and large, heavy equipment such as a crane must be used for installation. In addition, the panel itself was impossible to stand alone,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construction that the heavy equipment such as a crane must support the panel until the anchor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panel.
또한, 종래 패널식 옹벽은 배수를 위한 배수공이 없으며 이로 인해 패널 연결부로 배수되어 비가 오면 전면으로 흙물이 패널의 틈새로 흘러나와서 미관을 해치며, 현장 타설 콘크리트 옹벽은 백화현상이 생겨 시간이 지날수록 미관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nel retaining wall has no drainage hole for drainage, and as a result, when the rain is drained to the panel connection part, the soil water flows into the gap of the panel and damages the aesthetic appearan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beauty looks bad.
또한, 종래의 패널식 옹벽은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단위 패널에 대하여, 앵커 긴장력에 의한 탄성 지반상의보이론으로 구조검토가 필요하며 단위 패널에 대한 단면 이차모멘트가 적어 철근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nel retaining wall requires structural review with the elastic ground theory by anchor tension for the unit panel in order to secure structural stabilit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excessive reinforcement is required due to less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for the unit panel. there wa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절토 사면에 옹벽용으로 설치할 수 있는 시공이 용이한 기본블록, 앵커블록 및 네일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to provide a basic block, anchor block and nail block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for the retaining wall on the cut slope.
또한, 상기 기본블록 및 앵커블록과 네일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the basic block and anchor block and nail block.
또한 성토사면에 현장타설콘크리트 옹벽 또는 보강토옹벽을 대체하여 공장제작에 의한 블록 시공에 관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for the block construction by manufacturing the factory by replacing the sit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or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on the fill slop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전면에 앵커플레이트지지부가 형성되고, 앵커홀이 경사지게 전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내부는 상하로 관통된 빈 공간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과 저면에는 상하 적층되는 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상기 적층되는 몸체간의 유동을 방지함과 더불어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체의 좌우상하 결합 부분에 브라켓이 체결되는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the anchor plate support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 anchor hole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o be inclined, the inner space is a vertical space penetrating up and down In addition, the body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blocks stacked up and down; And grooves to which brackets are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upper and lower coupling portions of the body so as to prevent the flow between the bodies to be stacked and to be firmly fixed.
또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가운데 부분에는 전면에서 후면을 관통하는 네일홀이 형성되고, 후면 일측에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내부는 상하로 관통된 빈 공간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과 저면에는 상하 적층되는 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상기 적층되는 몸체간의 유동을 방지함과 더불어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체의 좌우상하 결합 부분에 브라켓이 체결되는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retaining wall building block, a nail hole penetrat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and an empty space portion penetrated up and down is formed insid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body in whic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tacked blocks is inserted is formed; And grooves to which brackets are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upper and lower coupling portions of the body so as to prevent the flow between the bodies to be stacked and to be firmly fixed.
또한, 철근이 배근된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 축조용 블록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기초지반을 정지하여 기초블록을 설치하는 공정; b) 상기 기초블록의 상부로 기본블록, 앵커블록 혹은 네일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을 축조하는 공정; c) 상기 기초블록의 상부에 설치된 블록의 상부에 앵커블록과 네일블록을 설치하는 앵커블록 및 네일블록 적층공정; d) 상기 네일블록 및 앵커블록에 네일체 및 앵커를 설치하는 공정; e) 상기 네일블록 및 앵커블록의 상부에 네일블록, 기본블록 혹은 식생블록 등의 다양한 블록을 다층으로 적층하는 공정; f) 설치된 옹벽의 후면에 양질의 토사를 뒤채움하는 뒤채움공정을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using a reinforcing bar block, the method comprising: a) installing a foundation block by stopping the foundation ground; b) constructing any one of a basic block, an anchor block or a nail block on top of the basic block; c) an anchor block and a nail block lamination process of installing an anchor block and a nail block on an upper portion of the block installed on the base block; d) installing nails and anchors in the nail blocks and anchor blocks; e) a process of stacking various blocks such as nail blocks, basic blocks or vegetation blocks in multiple layers on top of the nail blocks and anchor blocks; 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including the back filling process of filling the high quality soil on the back of the retaining wall installed.
또한, 철근이 배근된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 축조용 블록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기초지반을 정지하여 기초블록을 설치 한 후 콘크리트를 기초블록의 내부 빈 공간에 타설하여 일체화 하는 공정; b) 상기 기초블록의 상부로 기본블록을 축조하는 공정; c) 상기 기본블록의 상부에 네일블록을 설치하는 공정; d) 상기 네일블록에 네일을 설치하는 공정; e) 상기 네일블록의 상부에 기본블록 또는 식생블록을 설치하는 다양한 블록을 다층으로 적층하는 공정; f) 설치된 옹벽의 후면에 양질의 토사를 뒤채움하는 뒤채움공정을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using a reinforcement block,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installing the foundation block by stopping the foundation ground, and then pouring concrete into the internal empty space of the foundation block to integrate it; b) constructing a basic block on top of the basic block; c) installing a nail block on top of the basic block; d) installing a nail in the nail block; e) a process of stacking various blocks for installing basic blocks or vegetation blocks on top of the nail block in multiple layers; 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including the back filling process of filling the high quality soil on the back of the retaining wall installed.
또한, 철근이 배근된 블록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옹벽을 축조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을 조금씩 뒷 물림하여 다단을 형성하면서 블록의 불안정한 지지구조를 해소하기 위해 하단 블록의 후면에 받침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in multiple stages using the reinforcement block, a pedestal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lower block to solve the unstable support structure of the block while forming the multi-stage by biting the block forming the retaining wall little by littl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또한, 철근이 배근된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을 형성하는 볼록의 적층시 각 볼록은 전면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 후방으로 일정거리 수평 이동되어 적층되되 뒷물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블록 사이의 틈새에는 보조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reinforcement block, each convex is stacked horizontally moved to the rear in a certain distance in order to eliminate the boredom of the front when the convex forming the retaining wall is stacked due to the back stitch The gap between the generated block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bracket is provided.
본 발명의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보강토 블록 몸체의 각 면에 철근을 배근하여 인장균열에 효율적으로 견딜 수 있고, 앵커와 네일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retaining wall building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bar is reinforced on each side of the reinforcement earth block body to effectively withstand tensile cracking, and the anchor and nail can be easily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옹벽 축조용 블록은 좌우상하 체결로 긴밀히 연결되어 자체로 직립이 가능하며, 블록을 축조하는 것만으로 옹벽으로서의 역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여기에 일정한 간격으로 앵커와 네일을 교대로 설치함으로써, 원지반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up and down fastening can be upright itself,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ct as a retaining wall only by building the block. By alternately installing anchors and nails at regular interval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base.
성토사면에서는 배면성토 토사내에 지오그리드를 보강하고, 기본블록 또는 네일블록과 토목섬유와의 연결을 위해 블록 상하연결을 위한 브라켓에 의한 고정을 적용하여 블록과 지오그리드의 연결로 안정성을 증대 시킬 수 있다.In the fill slope, the geogrid is reinforced in the backfill soil,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ability by connecting the block and the geogrid by applying the fixing by the bracket for connecting the block up and down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ic block or the nail block and the geotextile.
본 발명에서는 중공블록의 형상에 의한 단면이차모멘트의 향상으로 단면의 강성이 크게 되어 보다 경제적 옹벽구조의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ffness of the cross section is increased by the improvement of the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due to the shape of the hollow block, thereby enabling the application of more economic retaining wall structure.
도 1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의 사시도이고, "나"는 평면도, "다"는 정면도, "라"는 배면도, "마"는 "가"의 A-A'선 단면도이고, "바"는 B-B'선 단면도이며, "사"는 C-C'선 단면도이고, 도 2의 "가, 나 및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에 지지체가 결합된 것의 평면도이고, 도 4의 "가,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의 단면도이다. "A" of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ch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 is a plan view, "D" is a front view, "D" is a back view, "D" is "A" A-A 'is a cross-sectional view, "bar" is a B-B' line cross-sectional view, "sa" is a C-C 'line cross-sectional view, "a, b and c" in Figure 2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is coupled to the anch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 of Figure 4 is an anchor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of.
도 1 및 1a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옹벽 축조용 앵커블록(10)은 크게 몸체(12)에 앵커(5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앵커홀(14)과 앵커플레이트(54)가 안치되는 플레이트지지부(16)가 전면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1 and 1A, the retaining wall
먼저, 몸체(12)는 콘크리트 타설로 소정의 형상 즉, 바람직하게 사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전면(12a), 후면(12b) 및 측면(12c)의 각 면에는 철근(미도시)이 배근되어 있으며, 상하로 관통된 빈 공간부(18)가 형성된다. First, the
또한, 상기 몸체(12)의 상면(12d)과 저면(12e)에는 적층되는 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22)에는 홈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슬리브관을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 앵커홀(14)은 앵커각을 고려하여 전면에서 후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 그리고 상기 앵커 플레이트지지부(16)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The
한편, 적층되는 블록간의 유동을 방지함과 더불어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두 몸체(12)의 결합 부분 즉, 몸체(12)의 좌우상하 결합 부분에 브라켓이 체결되는 요홈부(24)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브라켓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요홈부(24)는 몸체 상면의 네 모서리, 후면의 상하측, 빈 공간부의 내벽 상하부에 형성되며, 볼트공(24a)이 형성되어 있어 브라켓이 볼트로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후면에는 관통되는 볼트공(24a)을 형성할 수도 있음과 더불어 벽체 내부에 볼트 슬리브관(24b)을 매입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between the blocks to be laminated and securely fix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two
한편, 상기 볼트 슬리브관(24b)이 매입되는 경우에는 블록 배면에 요홈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배면의 요홈부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유형볼트로 체결시 브라켓이 배면의 외부 벽면에서 체결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몸체(12)의 빈 공간부(18)에는 앵커인장시 몸체(12)를 지지하고, 전단력을 보강하기 위한 지지체(28)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bsequently,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지지체(2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일측이 끼움 결합되는 내관(30)과 외관(38) 및 이를 고정결합하는 너트(36)로 구성된 다.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외관(38)의 외부 둘레에 일측은 날개부(42)가 형성되고, 타측은 나사부(44)가 형성되며, 나사부(44)가 형성된 곳은 일정 길이로 절개부(40)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상기 내관(30)은 상기 외관(38)의 절개부(40) 사이로 끼움되어 결합되는 걸림부(34)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 외부둘레에 날개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외관(38)의 내측으로 내관(30)이 끼움되어 결합되며, 이를 고정결합하는 너트(36)가 외관(38) 및 내관(30)에 각각 구비된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블록(100)은 상기 앵커블록(10)과 다른 구성요소는 전부 동일하나, 앵커홀과 플레이트지지부가 없는 대신에 네일체가 삽입되는 네일홀이 형성된 것과 연통홀 및 설치홀이 형성된 것이 다르다. 앵커블록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첨부된 도 5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네일블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네일지지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네일블록을 설명한다.
상기 네일블록(100)은 전면에서 후면을 관통하는 네일홀(102)이 형성되고, 후면 일측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홀(103)이 형성되며, 내부는 상하로 관통된 빈 공간부(18)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12d)과 저면(12e)에는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철근이 배근되어 있는 몸체(12)로 구성된다. The
또한, 적층되는 몸체(12)간의 유동을 방지함과 더불어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체(12)의 좌우상하 결합 부분에 브라켓이 체결되는 요홈부(24)가 형성되며, 전면의 요홈부(24)에는 슬리브관이 매입, 배면의 요홈부(24)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그리고, 상기 후면 타측에는 후술하겠지만 받침대(160)를 설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설치홀(104)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네일홀(102)의 몸체(12) 내벽에 네일지지판(110)이 구비되는데, 상기 네일지지판(110)은 좌우 두 개(110a,b)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양측 네일 지지판(110)의 상부는 연결핀(112)으로 서로 고정결합되어 중심축을 이루고, 하부는 나사체결홀(116)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부는 네일이 관통하는 홀(1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면에는 플레이트받침부(120)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상기 네일지지판(110)은, 하부를 벌려서 홀(114)에 네일(106)을 넣고 하부에 형성된 나사체결홀(116)을 겹쳐서 체결나사(118)로 체결하면 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앵커블록과 네일블록을 이용하여 절토 사면에 일반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앵커와 네일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띠블록이 사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앵커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네일체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네일블록과 앵커블록이 교대로 설치됨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에 네일을 설치한 옹벽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Referring to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general retaining wall on the cut slope using the anchor block and the nail block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nchor and a nail whe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band block is used when building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nchor when building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ail body when building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본 발명의 옹벽 축조용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a) 기초블록 설치공정, b) 기본블록, 앵커블록 혹은 네일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을 축조하는 축조공정, c) 앵커블록 및 네일블록 적층공정, d) 네일체 및 앵커의 설치공정 e) 다양한 블록을 다층으로 적층하는 공정(물 공급관 설치공정과 병행하여 설치한다.) f) 뒤채움공정, g) 물 공급관 설치공정(뒤채움공정과 함께 병행하거나 혹은 전에 설치한다) 및 h) 유공관 설치공정(뒤채움공정가 함께 병행하여 설치한다)을 포함하여 시공된다.Referring to 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undation block installation process, b) construction process for building any one of the basic block, anchor block or nail block, c) anchor Block and nail block lamination process, d) nail body and anchor installation process e) lamination of various blocks in multiple layers (installed in parallel with water supply pipe installation process) f) backfilling process, g) water supply pipe installation process (Installed in parallel with or before the backfilling process) and h) installation of the hole pipe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backfilling process).
먼저, 상기 a) 기초블록 설치공정은,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곳에 기초블록(130)을 설치하는 공정이다. 기초 지반을 정지하여 필요에 따라 콘크리트를 기초블록(130)의 빈공간부에 타설하여 지반에 패커식 네일체나 마이크로파일등과 일체화 시킨다. First, a) the base block installation step is a step of installing the
상기 기초블록(130)은 사각형 형상으로 된 몸체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의 각 면에는 철근이 배근되어 있으며, 저면은 막혀져 마이크로 파일 등을 이용하여 기초 파일을 박은 지반 위에 옹벽을 축조할 때, 지반 위로 돌출된 기초 파일의 두부가 관통되도록 관통홀(132)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면과 저면에는 적층되는 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두 몸체의 결합 부분 즉, 몸체의 좌우상하 결합 부분에 브라켓이 체결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The
한편, 상기 기초블록의 전면부 및 배면부의 외벽에 블럭 간 좌우를 체결하기 위한 요홈부와 슬리브관이 매입되어 있다. 기초블록의 상부에 축조되는 블록은 하부에 좌우를 연결하는 수단이 없더라도 하부에 축조된 기초블록에 고정되므로 문제가 없지만, 바닥면에 바로 축조되는 기초블록의 하부면은 좌우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 힘이 작용하면 블록간의 사이가 벌어져 옹벽에 균열이 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를 브라켓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브라켓이 전면의 외부에 결합하지만, 이 부분은 성토작업으로 땅에 묻히므로 외관상에 지장이 없다.On the other hand, the groove and the sleeve tube for fastening the right and left between the blocks is embedded in the outer wall of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ase block. Blocks construc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ic block have no problem because they are fixed to the foundation blocks constructed on the lower side even if there is no means fo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on the lower part, but the lower surface of the foundation block directly constructed on the bottom is not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This action causes the gap between the blocks, which can lead to cracks in the retaining wall. And, although the bracke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this part is buried in the ground by filling work, so there is no problem in appearance.
다음으로, b) 기본블록 축조공정은 상기 기초블록(130) 상부로 기본블록(140)을 축조하는 공정이다. 기본블록(140)은 사각형 형상으로 된 몸체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의 각 면에는 철근이 배근되어 있으며, 상하로 관통된 빈 공간부가 중앙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면과 저면에는 적층되는 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두 몸체의 결합 부분 즉, 몸체의 좌우상하 결합 부분에 브라켓이 체결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면에는 복수개의 설치홀과 복수개의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축조되는 기본블록(140)의 좌우상하결합은 브라켓을 매개로 볼트로 결합시킨다.Next, b) the basic block construction process is a process of constructing the
한편, 상기 기본블록(140) 대신에 앵커블록(10)이나 네일블록(100)이 적층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된다.Meanwhile,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the
c) 앵커블록(10) 및 네일블록(100) 적층공정은, 상기 기본블록(140), 상부에 앵커블록(10)과 네일블록(100)을 교대로 설치하는 공정이다.c) The
적층된 기본블록(140)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앵커블록(10)과 네일블록(100)을 교대로 설치하는데, 네일체(106)는 압축부재로 말뚝의 역할을 수행하여 앵커의 인장시 압축력을 보완하게 된다. 이때 길이는 사면 보강용도가 아닌 소요 지지력에 만족하는 길이로 시공한다. 여기서, 앵커블록(10)과 네일블록(100)을 교대로 설치하지 않고, 사면에 따라 앵커블록(10)이나 네일블록(100)만을 설치하여, 네일체(106)만으로 보강하는 옹벽을 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네일체(106)만으로 보강할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일블록(100)이 아닌 앵커블록(10)에 네일체(106)를 설치하여 수평시공이 아닌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네일을 설치할 수 있다.Alternately install the
d) 네일체 및 앵커체 설치공정은, 네일블록(100)과 앵커블록(10)에 네일체(106)와 앵커(50)를 설치하는 공정이다.d) The nail body and anchor body installation process is a process of installing the
적층된 네일블록(100)에 네일체(106)를 설치하는 공정을 먼저 설명하면, 네일체(106)의 수평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네일블록(100)의 후면 네일홀(102)에 pvc파이프(58)를 절토 사면과 수평하도록 연결한 후에 네일홀(102)에 패커식 네일체(106)를 삽입하고, 가압 그라우팅을 하며, 네일블록(100)의 내벽 양측에 네일지지판(110)을 설치하고, 네일블록(100)의 전면부 네일홀(102)에 캡(177)을 끼우면 된다.First,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다음으로 앵커블록(10)에 앵커를 설치하는 공정을 설명하면, 앵커(5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앵커홀(14)의 후면에 pvc파이프(58)를 설치하고, 앵커홀(14)에 앵커(50)를 설치하여 그라우팅을 한 후에 앵커를 인장하면 된다.Next,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anchor in the
본 발명에 따른 네일블록과 앵커블록을 이용하게 되면, 옹벽을 축조하면서 앵커와 네일로 보강이 가능하여 별도의 보강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When using the nail block and the anchor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anchor and nail while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does not need to be reinforced separately.
e) 다양한 블록을 다층으로 적층하는 공정은, 상기와 같이, 앵커블록(10) 및 네일블록(100)에 네일체와 앵커를 설치하고 난 후에 앵커블록(10)과 네일블록(100)의 상부에 다시 기본블록(140)을 설치한 후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식생블록(150)을 설치하고 쌓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기본블록(140), 네일블록(100), 앵커블록(10), 식생블록(150)을 설치하면 된다.e) The process of stacking the various blocks in a multi-layer, as described above, after installing the nail body and the anchor on the
상기 식생블록(150)은 상기 기본블록(140)과 동일한 구성으로 전면에 중앙에 형성된 빈 공간부와 연통된 식생홀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양질의 토사를 충진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양질의 토사가 충진된 공간부에 덩굴식물 등을 식재하게 되면 전면에 형성된 식생홀로 자라나 옹벽 전체에 대한 미려감을 고조시키게 된다.The
여기서, 상기 블록들 사이에는 지루함을 없애고 미려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의 블록보다 폭과 높이가 적은 띠블록(127)이 적층되어져 전면이 일자가 아니라 단차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띠블록(127)은 기본블록, 네일블록, 앵커블록 및 식생블록보다 폭과 높이가 적은 형상이며, 장소에 따라 포인트를 주기 위해 다양한 칼라를 가지게 하여 적층할 수도 있다.Here, in order to eliminate boredom and improve aesthetics, as shown in FIG. 8, a
뿐만 아니라,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설치 장소가 직선되지 못하고 코너를 가지게 될 경우에는 그 코너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블록의 가운데를 주축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코너블록(125)을 상기 블록들 적층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when the installation place is not a straight line and has a corner, the blocks are stacked with corner blocks 125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center of the block so as to flexibly cope with the corner. Can be used.
f) 뒤채움공정은, 옹벽의 후면과 절토 사면 사이에 양질의 토사로 뒤채움하는 공정이다. 통상적으로는 이 공정에서는 모래와 자갈 등을 채우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식생블록(150) 내부에 식재되는 식물이 보다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양질의 토사로 뒤채움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식생블록(150) 내부에 식재된 식물은 후면에 형성된 네일홀 혹은 연통홀을 통해 뒤채움된 양질의 토사에도 뿌리를 내릴 수 있거나 혹은 제한된 공간보다 많은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을 것이다.f) The backfilling process is a process of backfilling with high quality soil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cut slope. Typically, this process is to fill the sand and gravel,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s planted inside the
그리고, g) 물 공급관 설치공정은, 옹벽으로 축조된 식생블록(150)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고자 할 경우, 재배하는 식물에 골고루 물 을 공급하기 위해 물 공급관(172)을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f) 공정 전에 미리 설치하거나 동시에 병행 하여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옹벽의 상부 후면에는 빗물을 양 측으로 유도 배출할 수 있는 U형 측구(170)가 설치되고, 옹벽 후면에는 물 공급관(172)이 설치되어 있다.And, g) the water supply pipe installation process, if you want to cultivate the plant using the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형 측구(170)는 많은 양의 빗물이 토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나 이와 동시에 한 측면을 상기 물 공급관(172)과 연결하여 U형 측구(170)에 모이는 빗물을 상기 물 공급관(17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식재된 식물로 물을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3, the
아무튼, 이 물 공급관(172)은 옹벽 후면에서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블록(150)에 형성된 식생홀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분무홀(174)이 형성되어져 물 공급관(172)의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나 영양분을 식재된 식물로 공급할 수 있어 식생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물 공급관(172)의 외주연에는 토사로 인해 상기 분무홀(174)의 막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토목섬유(154)가 구비된다.In any case, the
그리고, 상기 물 공급관(172)의 하부에 설치된 식생블록(150) 내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수직관의 최하단부도 막혀 있고, 수평관의 양끝 또한 막혀있다. 그리고, 평소에는 상기 물 공급관의 최상부는 미부호 설명인 마개에 의해서 막음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ipe is also blocked to supply water into the
마지막으로, h) 유공관 설치공정은, 상기 f) 공정시 뒤채움된 토사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 및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시공된 상태의 안정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으로, 상기 뒤채움 공정과 함께 병행하게 된다. 이 또한, 도 7 내지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유공관(180)은 뒤채움되는 토사의 중간 중간에 매설되어져 있는데, 상기 유공관(18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일체가 삽입되지 않은 네일블록(100)의 전면에 형성된 네일홀(102)을 통해 삽입되어진다. 이때 유공관(180)이 설치되는 하부는 뒤채움이 된 상태이고, 유공관(180)을 설치한 후 블록 높이만큼 뒤채움 하거나 블록을 적층한 후 뒤채움을 한다. 이러한, 유공관(180)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상면에 복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어 져 있으며, 유입공으로 유입된 빗물 혹은 지하수는 네일블록(100)의 네일홀(102) 전면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유공관(180)의 외주연에도 물 공급관(172)과 같이 유입공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토목섬유(154)를 구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네일블록(100)의 네일홀(102)에는 삽착된 유공관(180)의 끝단을 은폐하여 미려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캡(177)이 끼워진다. 물론, 이 캡(177)의 전면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소공이 형성된다.Finally, h) the hole pipe installation process is a process to discharge the rainwater and ground water introduced into the backfilled soil during the process to implement the stabilization of the construction state, together with the backfilling process In parallel. 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ures 7 to 9, the
도 1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옹벽 설치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단 옹벽 설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단 옹벽 설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단 옹벽 설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4에서 알 수 있듯이 블록설치공정 에서, 상기 기초블록(130)의 상부에 기본블록(140), 앵커블록(10), 네일블록(100), 식생블록(150) 등을 설치하고, 일정 거리 뒤에 다시 지반을 정지하고 기초블록(130)을 설치한 후 상기의 블록들을 설치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옹벽을 다단으로 축조할 수도 있다. 다단으로 축조된 옹벽의 모래 및 양질의 토사를 뒤채움한 각 소단의 상부에는 소관목 등을 식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동시에 식생블록(150)의 식생홀을 통한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stag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ulti-stag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ulti-stag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multi-stag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can be seen in Figure 14, in the block installation process, the
한편, 옹벽을 다단으로 설치할 때, 상기와 같이 단마다 지반을 고르고 기초블록(130)을 설치하는 것이 아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물림 하는 방식으로 적층하면서 다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정지된 지반위에 기초블록(130)을 설치하고, 상부에 기본블록(140)을 2단 척층하며, 상부에 앵커블록(10) 및 네일블록(100)을 뒷물림하여 횡방향으로 교대로 설치하고 이때 맞닿는 하단의 블록 후면 내벽과 상단의 블록 전면 내벽을 브라켓을 매개로 볼팅하여 상하를 연결하여 체결하고 그 상부에는 기본블록(140)을 적층한다.
도 15의 확대된 부분을 보고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단에 축조된 블록 후면의 내벽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의 볼트공과 상단에 축조된 블록 전면의 내벽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의 볼트공을 브라켓(B)을 매개로 상하를 볼트로 체결하여 하단의 블록과 상단의 블록을 연결한다. 이때, 상단에 블록 축조 전 하단에 축조된 블록의 후면 내벽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의 볼트공에 미리 브라켓(B)을 볼팅하여 체결 후 상단에 축조될 블록의 전면의 내벽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의 볼트공을 하단에 축조된 블록과 체결된 브라켓(B)과 위치를 맞추어 볼팅하여 체결하면 된다.
적층된 기본블럭(140)에 내부에는 양질의 토사를 채움하고 그 내부 공간에 소관목등을 식재한다. 이렇게 블록을 뒷물림하며 적층하는 이유는 블록의 내부 빈공간에 소관목등 나무를 식재하기 위함인데, 기존 식생홀에서는 덩굴식물등의 식물이 식재가 가능하지만 나무류는 자라기 어려운 관계로 뒷물림하여 내부 공간의 외부로 노출시켜 일반 소단에서 자라는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taining wall is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as shown in FIG. 15, instead of selecting the ground for each stage and installing the foundation block 130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formed in a multi-stage stacking in a stitched manner. To explain this, the foundation block 130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Looking at the enlarged portion of Figure 15 and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bolt hole in the groove formed on the top of the inner wall of the block rear to the bottom formed in the bottom and the bolt hole of the groov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wall of the block front built to the top bracket Tighten the upper and lower bolts through (B) to connect the lower block and upper block. At this time, the groov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wall of the front of the block to be built on the upper end after fastening the bracket (B) by bolting in advance to the bolt hol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rear inner wall of the block built on the bottom before the block construction on the top The bolt bolt of the negative portion is bolted to match the position and the bracket (B) fastened to the bottom block.
Inside the stacked
그리고, 하부 앵커블록(10) 및 네일블록(100), 상부 기본블록(140)을 연결하 여 뒷물림하며, 적층한다. 물론 여기서도 앵커블록(10)과 네일블록(100)이 교대로 설치하여 앵커(50) 및 네일체(106)를 설치할 수 있고, 네일블록(100)만 혹은 앵커블록(10)만 설치하여 네일체(106) 만을 설치 할 수도 있는 것은 당연하다.Then, the
이렇게, 기본블록(140)의 빈 공간 부에 나무를 식재함으로 옹벽의 전면에 노출되는 캡(177) 혹은 앵커두부(앵커캡이 씌워져 있음) 및 플레이트 지지부등을 나무의 상층부(가지 및 잎 등)로 가릴 수 있어 미관상으로 미려하고 친 환경적이다.Thus, by planting the tree in the empty space of the
그리고, 뒷물림식으로 다단을 형성할 때는 상하부 불안정한 지지구조 해소를 안정화하기 위해 하단의 블록 후면에 받침대(160)를 설치하면, 받침대(160) 위로 상부 블록의 일부 저면이 위치하게 되며, 이때 받침대(160)와 상부 블록이 체결 되지 않고 받침대(160) 위에 블록이 얹어져 있는 구조이므로 좀 더 긴밀히 연결하기위해 L형앵글을 설치하여 블록의 후면 내벽과 받침대(160)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6에 받침대 결합부분을 확대한 도면을 보면, 블록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홀에 U형 볼트를 삽입하고, 받침대(160)에 형성되어 있는 볼팅홀과 U형볼트를 연결하여 너트로 고정한다. 블록의 후면부가 적층되는 받침대(160) 상부면에는 L형 앵글 설치 시 볼팅을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어 L형 앵글과 볼팅결합된다. And, when forming the multi-stage by the rear-recession, if the
또한, 상기의 뒷물림식으로 다단을 형성할 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토시에는 네일이나 앵커를 통해 블록을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오그리드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이 지오그리드의 사용 방법은 하기(도 21)에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forming the multi-stage by the above-mentioned back stitching, as shown in Figure 16 during the filling can be fixed through the geogrid instead of fixing the block through a nail or an anchor. How to use this geogrid will be described below (Fig. 21).
한편, 상기 기본블록은 전면의 지루함을 없애고, 동시에 미려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전면에 양각과 음각으로 된 문양을 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ic block is embossed and embossed on the front surface to eliminate boredom of the front, and at the same time maximize the beauty.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라이닝 옹벽 설치시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라이닝 옹벽 설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라이닝 옹벽 설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7을 참조로 하면, 라이닝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라이닝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곳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블록(130)을 형성하고, 기초블록(130) 상부로 기본블록(140)을 한층 적층하는데, 이때 적층하는 방법은 수직으로 적층하는 것이 아니라 경사면을 따라 적층한다. 적층 후 내부 빈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 기초블록과 일체화하며, 후면에 양질의 토사로 뒤채움하고, 적층된 기본블록(140)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앵커블록(10)과 네일블록(100)을 교대로 설치한다. 이후 공정은 상기 일반옹벽을 설치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다만, 라이닝옹벽을 설치하는 블록의 후면은 관통된 볼트공 대신에 벽체의 내부에 볼트슬리브관(24b)이 매설되어 있어 상하 블록을 체결함에 있어서, U형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브라켓(B)과 볼트(B')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ing retaining wall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ining retaining wall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further example of the lining retaining wall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shown. First, referring to FIG. 17, a method of constructing a lining retaining wall is as follows. The
그리고, 도 18은 앵커블록(10)에 네일체(106)만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하였고, 도 19는 앵커블록(10)을 사용하지 않고 네일블록(100)만을 사용하여 적층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렇듯이 옹벽을 적층하는데 있어 설치환경이나 주변환경에 따라 다양한 블록을 개별적 혹은 같이 이용할 수 있다. 18 illustrates a case where only the
도 20은 본 발명의 옹벽 설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먼저, 도 20을 참조로 하면, 기초블록(130) 상부에 기본블록(140)과 식생블록(150) 및 네일블록(100)이 적층되어 있는데, 각 블록은 지오그리드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오그리드(190)의 설치과정을 도 21을 참조로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geogr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referring to FIG. 20, the
즉, 성토면에 지오그리드(190)를 위치시켜 끝단이 블록 상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지오그리드(190)를 블록의 내부 공간 길이에 맞춰 양 쪽을 절개한 후 아래로 접어 내리게 된다. 그런 뒤, 상부 블록을 설치하여 브라켓(B)을 매개로 볼팅하여 고정하고 다시 성토를 한 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지오그리드(190)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도 22는 본 발명의 옹벽 설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옹벽 설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먼저 도 22를 참조로 하면,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을 일정한 거리만큼 뒷물림하여 적층하였다. 이는, 전면이 계단식 형상을 가지므로 지루함을 없앨 수 있음과 더불어 새로운 느낌의 옹벽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적층되는 블록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토시에는 지오그리드(190)를 통해 고정하고,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토면에서는 네일(106) 및 앵커(50)를 통해 고정 설치할 수 있다.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Laminated by as much as possible. This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new feeling retaining wall as well as eliminating the boredom because the front surface has a stepped shape. At this time, the stacked blocks are fixed through the
한편, 상기 블록들의 적층 방법은 일반 옹벽과 같으므로 별도의 부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나 다만,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이 일정거리 뒷물림되므로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내면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요홈부(24)가 서로 동일한 수직을 가지지 못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상부에 적층된 블록의 요홈부(24)가 하부에 있는 블록의 요홈부(24)보다 후방으로 이동되어 있어 동일 수직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브라켓(B)을 이용한 체결이 원만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틈새에 보조브라켓(200)를 삽착하여 브라켓(B)의 원만한 체결을 유도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tacking method of the blocks is the same as the general retaining wall, so a separ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ut since the blocks stacked on the upper part is seized by a certain distance, as shown in some enlarged view, the coupling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It can be seen that the formed recesses 24 do not have the same verticality with each other. That is, since th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의 사시도이고, "나"는 평면도, "다"는 정면도, "라"는 배면도, "마"는 "가"의 A-A'선 단면도이고, "바"는 B-B'선 단면도이며, "사"는 C-C'선 단면도."A" of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ch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 is a plan view, "D" is a front view, "D" is a back view, "D" is "A" A-A 'line sectional drawing, "bar" is B-B' line sectional drawing, and "sa" is C-C 'line sectional drawing.
도 2의 "가, 나 및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체를 나타낸 도면."A, B and C" of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에 지지체가 결합된 것의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is coupled to the anch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가,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의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nchor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네일블록을 나타낸 도면.5 is a diagram showing a nai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네일지지판을 나타낸 도면.6 is a diagram showing a nail suppor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앵커와 네일체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nchor and nail body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띠블록이 사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band block is used when building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앵커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Figure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nchor when building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네일체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Figure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ail body when building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축조시 네일블록과 앵커블록이 교대로 설치됨을 나타낸 평면도. 11 is a plan view showing alternately installed nail block and anchor block when building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에 네일체를 설치한 옹벽을 나타낸 도면.12 is a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in which a nail body is installed in an anch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설치의 단면도.Figure 13 is a sectional view of th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옹벽 설치의 단면도.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stag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다단 옹벽 설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ulti-stag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다단 옹벽 설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ulti-stag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닝 옹벽 설치시 단면도.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installing the lining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라이닝 옹벽 설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ining retaining wall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라이닝 옹벽 설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lining retaining wall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옹벽 설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Figure 2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geogr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옹벽 설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Fig. 2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retaining wall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의 옹벽 설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Fig. 2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retaining wall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앵커블록 12: 몸체10: anchor block 12: body
14: 앵커홀 16: 플레이트지지부14: anchor hole 16: plate support
18: 공간부 22: 삽입홈18: space part 22: insertion groove
24: 요홈부 28: 지지체 24: recess 28: support
30: 내관 32: 날개부 30: inner tube 32: wing
36: 너트 38: 외관36: nut 38: appearance
40: 절개부 42: 날개부40: incision 42: wing
44: 나사부 50: 앵커44: thread 50: anchor
52: 앵커두부 54: 앵커플레이트52: anchor head 54: anchor plate
100: 네일블록 102: 네일홀100: nail block 102: nail hole
103 : 연통홀 104 : 설치홀103: communication hole 104: mounting hole
106: 네일체 108: 보호캡106: nail body 108: protective cap
110: 네일지지판 112: 연결핀110: nail support plate 112: connecting pin
114: 홀 116: 나사체결홀114: hole 116: screw tightening hole
118: 체결나사 120: 플레이트 받침부118: fastening screw 120: plate support
125 : 코너블록 127 : 띠블록125: corner block 127: strip block
130: 기초블록 140: 기본블록130: basic block 140: basic block
150: 식생블록 152: 식생상자150: vegetation block 152: vegetation box
154: 토목 섬유 170: U형 측구154: geotextile 170: U-shaped side opening
172: 공급관 174 : 분무홀172: supply pipe 174: spray hole
180 : 유공관 182 : 유입공180: merit pipe 182: inflow hole
190 : 지오그리드 200 : 보조브라켓190: Geogrid 200: Auxiliary Bracket
Claims (21)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7327A KR100872836B1 (en) | 2008-05-22 | 2008-05-22 |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PCT/KR2009/002026 WO2009142397A2 (en) | 2008-05-22 | 2009-04-17 | A block for building a revetment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200980118643.3A CN102037191B (en) | 2008-05-22 | 2009-04-17 | A block for building a revetment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7327A KR100872836B1 (en) | 2008-05-22 | 2008-05-22 |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72836B1 true KR100872836B1 (en) | 2008-12-09 |
Family
ID=4037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7327A KR100872836B1 (en) | 2008-05-22 | 2008-05-22 |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2836B1 (en) |
CN (1) | CN102037191B (en) |
WO (1) | WO2009142397A2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1846B1 (en) | 2009-04-06 | 2011-12-13 | (주)단우기술단 | connector of constructing cutting face retaining wall |
KR101182776B1 (en) * | 2011-08-17 | 2012-09-13 | 주식회사 스테어텍엔지니어링 | Step type retaining wall block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65577B (en) * | 2019-12-25 | 2021-04-30 | 黄河勘测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 Construction method of chain lock type ecological block retaining wall |
AT17470U1 (en) * | 2021-01-07 | 2022-05-15 | Swietelsky Ag | Device for laterally securing a track be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7435A (en) * | 1992-07-01 | 1994-01-25 | Nippon Doro Kodan | Structure of slope protection block and constructing method of retaining wall therewith |
KR200314876Y1 (en) | 2003-03-05 | 2003-06-02 | (주) 코리아에스이 | Retaining Wall using Permanent Anchor and Pre-Cast Concrete Panel |
KR20040075816A (en) * | 2004-08-06 | 2004-08-30 | 김길평 | An incline protection block for river |
KR20060130785A (en) * | 2006-11-17 | 2006-12-19 | 토에이쇼코 가부시키가이샤 |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step-like stacking method for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7494A (en) * | 1999-07-19 | 2002-04-13 | 유겐가이샤 제무기주쓰시지무쇼 | Retaining wall structure |
WO2002004137A1 (en) * | 2000-07-07 | 2002-01-17 | Akzo Nobel N.V. | Transfer line and cleaning method for a transfer line |
KR200249172Y1 (en) * | 2001-06-25 | 2001-10-17 | 오부영 | Revetment block |
KR100514086B1 (en) * | 2003-01-17 | 2005-09-09 |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 Revetment block |
WO2006025632A1 (en) * | 2004-09-02 | 2006-03-09 | Hee Jung Moon | The block for a revetment structure used to building works method |
KR100839019B1 (en) * | 2006-12-26 | 2008-06-20 |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 Block for revetment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tion using the said |
CN201056702Y (en) * | 2007-05-24 | 2008-05-07 | 王保田 | Mutual embedded building blocks for slope protection and grass planting |
-
2008
- 2008-05-22 KR KR1020080047327A patent/KR10087283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9
- 2009-04-17 WO PCT/KR2009/002026 patent/WO2009142397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4-17 CN CN200980118643.3A patent/CN102037191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7435A (en) * | 1992-07-01 | 1994-01-25 | Nippon Doro Kodan | Structure of slope protection block and constructing method of retaining wall therewith |
KR200314876Y1 (en) | 2003-03-05 | 2003-06-02 | (주) 코리아에스이 | Retaining Wall using Permanent Anchor and Pre-Cast Concrete Panel |
KR20040075816A (en) * | 2004-08-06 | 2004-08-30 | 김길평 | An incline protection block for river |
KR20060130785A (en) * | 2006-11-17 | 2006-12-19 | 토에이쇼코 가부시키가이샤 |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step-like stacking method for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1846B1 (en) | 2009-04-06 | 2011-12-13 | (주)단우기술단 | connector of constructing cutting face retaining wall |
KR101182776B1 (en) * | 2011-08-17 | 2012-09-13 | 주식회사 스테어텍엔지니어링 | Step type retaining wall blo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037191B (en) | 2013-09-25 |
CN102037191A (en) | 2011-04-27 |
WO2009142397A2 (en) | 2009-11-26 |
WO2009142397A3 (en) | 2010-0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4933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using soil sack block for vegetation and fixed device and Structure for installation thereof | |
KR100813236B1 (en) | The structure for a slope reinforcement and eco slope reinforcement method | |
KR100990517B1 (en) | A prefabricated vegetation block | |
KR102666680B1 (en) | self standing gravity retaining wall block | |
KR100872836B1 (en) |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90019591A (en) |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654936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 |
KR101334749B1 (en) | Vegetation block in tiers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JP3657547B2 (en) | Structure greening structure | |
KR101501733B1 (en) | The eco-friendly precast l type retaining wall fixed with an anchor | |
CN111622234A (en) | Unloading type thin-wall box-type retaining wall supported by obliquely and vertically combined steel pipe pile and construction process | |
KR100995097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block | |
KR20080014176A (en) | Environmental affinity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using a earth pressure reduction type environmental affinity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is | |
KR100744043B1 (en)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Prestressed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CN114086505A (en) | River course slope protection structure for hydraulic engineering and laying construction method | |
KR20090073330A (en) | Revetment structure using natural stones | |
CN207062983U (en) | A kind of prefabricated frame posture retaining wall | |
KR100601126B1 (en) | Anchoring structure of afforestation Retaining-Wall | |
KR200357964Y1 (en) | Block for retaining wall | |
CN219952032U (en) | Prefabricated wall panel wall-supporting greening ecological retaining wall structure | |
CN220978073U (en) | Siphon drainage type composite root pile flexible slope protection | |
KR101138179B1 (en) | Revetment structure vsing natural stones | |
KR200345934Y1 (en) | Anchoring structure of afforestation Retaining-Wall | |
KR102285192B1 (en) | A Eco-friendly retain wall structure | |
KR100745010B1 (en) | Ferroconcrete breast w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