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460B1 - 음향 출력장치 및 음향 출력방법 - Google Patents
음향 출력장치 및 음향 출력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8460B1 KR100818460B1 KR1020060049514A KR20060049514A KR100818460B1 KR 100818460 B1 KR100818460 B1 KR 100818460B1 KR 1020060049514 A KR1020060049514 A KR 1020060049514A KR 20060049514 A KR20060049514 A KR 20060049514A KR 100818460 B1 KR100818460 B1 KR 1008184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 unit
- sound data
- sound
- pa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셀룰라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기(10)는, 음향 데이터 종료의 재생 출력을 판별할 때, 헤드폰(7)이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 헤드폰(7)이 연결되면, 제어기(10)는 시간 메모리(60)에 종료 시간을 저장한다. 음향 데이터의 재생 출력이 필요할 때, 제어기(10)는 저장된 종료 시간 후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기(10)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검출할 때, 제어기(10)는 음향의 발생에 대하여 헤드폰(7)으로부터의 음향 데이터 출력 대상을 스피커(703)로 바꾼다.
휴대용 단말기, 스피커, 헤드폰, 제어기, 광학 센서, 크래들, 음향 출력장치, 셀룰라 폰
Descrip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열려진 휴대용 단말기(100, 200, 300)의 전면부 외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우측면을 외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기(10)에 의해 이행되는 처리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오프훅(off-hook)에 있을 때, 제어기(10)에 이행되는 처리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아웃모드(out mode)가 스피커 출력으로 변환될 때까지의 시간을 미리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유닛(30)을 보여주는 일예의 스크린 도시이다;
도 6A 및 6B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기(10)가 수행하는 과정의 어플리케이션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상위 커버(2)위에서 보여지는 폴더 상태에서의 휴대용 단말기(200)의 외형도이다;
도 8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9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제어기(10)에 의해 이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A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300)의 우측면의 외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B는 크래들(5) 및 그 안에 탑재되는 휴대용 단말기(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휴대용 단말기(300)의 회로블럭도이다;
도 12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제어기(10)에 이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음성 명령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및
도 14는 이어폰의 연결 구조의 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음향 출력장치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수 많은 셀룰라 폰들은 스피커 및 이어폰 단자들을 가지고, 전화기 기능과 더불어 음악재생 기능 등을 가진다. 그러한 셀룰라 폰은 이어폰이 이어폰 단자와 연결되었을 때, 음향 데이터를 이어폰에 공급하며, 그리고 이어폰이 이어폰 단자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는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에 공급한다.
셀룰라 폰들은 착신 전화 또는 메일 수신을 알리기 위해 벨 음향(벨 통지 음향 또는 음조)을 제공한다. 몇몇 셀룰라 폰들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서 사용자들에게 시간을 통지하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알람 기능을 가진다. 게다가, 이런 알림 음향은 이어폰이 이어폰 단자에 연결되었을 때 이어폰에 전송하고, 이어폰이 이어폰 단자에 연결이 되지 않을 때에는 스피커에 전송한다.
통지 음향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우, 스피커 또는 이어폰의 사용자 모드에 따라서 보편적인 셀룰라 폰들은 음향 통지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은 사용자 모드변화없이 통지 음향을 인식한다.
이어폰 사용자의 증가추세로 인해, 이어폰 사용에 대한 다양한 기술들이 발전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1-203787 호는 마이크로폰 및 헤드폰을 포함하는 헤드셋으로부터 음악을 재생하고 통화를 하는 동안, 착신 전화를 수신할 경우 사용자의 통화를 고려한 기술이 드러나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4-80395 호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통하여 재생된 음악을 다시 듣는 동안, 진동기의 진동에 의해 착신 전화를 통지하는 기술이 드러나 있다.
이어폰(헤드폰을 포함)에서의 음향 출력은 스피커에서의 음향 출력보다 훨씬 작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는 음악을 즐기면서 사용자가 그 자체로 셀룰라 폰을 둘 때에는, 착신 전화를 알리는 벨 음향 또는 스케줄의 알람 음향 및 알람은 이어폰이 아직 셀룰라 폰에 연결되었기 때문에, 스피커로부터 출력을 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필요한 정보를 적절하게 통지받을 수 없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은 종래기술에 드러나 있지 않다.
유사한 문제점은 셀룰라 폰뿐만 아니라, 음향 출력 수단의 복수개의 형태들을 가지는 장치들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어폰 등에 연결한 장치를 남겨둔 경우에도 사용자가 출력 음향을 들을 수 있게 하는 음향 출력장치 및 음향 출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적절하게 전송할 수 있는 음향 출력장치 및 음향 출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라,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향 데이터 저장부;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부; 사용자에 의해 동작가능하고,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여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부; 상기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판독부가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된 음향 데이터를 소정의 제 1 경로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 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공급된 상기 판독된 음향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 1 출력부; 상기 제 1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음향 데이터의 출력 종료 타이밍을 기억하는 종료-타이밍 기억부; 상기 출력 종료 타이밍 기억부에 기억된 출력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 상기 제 1 판단부가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할 때, 상기 판독부로 하여금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 1 경로와 다른 소정의 제 2 경로를 통해 판독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 및 상기 제 2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음향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음향 출력장치는, 상기 음향 데이터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음향 데이터가 상기 제 1 제어부 또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어질 것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부; 및 상기 제 2 판단부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부의 증폭계수를 제어하는 증폭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음향 출력장치는, 상기 음향 출력장치의 주변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광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판단부는 상기 광검출부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데이터가 상기 제 1 제어부 또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어질 것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음향 출력장치는, 상기 음향 출력장치와 외부 장치 사이의 연결을 검출하는 연결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검출부가 상기 음향 출력장치가 상기 외부장치에 연결되었다고 검출할 때, 상기 제 2 판단부는 상기 음향 데이터가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어지는 것으로 판단한다.
음향 출력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의 착신전화를 검출하는 통화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화검출부가 상기 착신전화를 검출하였을 때, 상기 제 2 판단부는 상기 음향 데이터가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어지는 것으로 판단한다.
음향 출력장치는, 상기 통화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착신전화에 대한 소정의 응답을 검출하는 응답검출부, 및 상기 판독부가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정지시키는 정지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음향 출력장치는,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음성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에 기초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지제어부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독부가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정지시킨다.
음향 출력장치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착신전화에 대한 소정의 응답을 검출하는 응답검출부, 상기 응답검출부가 상기 응답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착신전화를 뒤따르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출력부가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3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음향 출력장치는, 상기 제 1 판단부에 의한 판단에 사용되어지는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를 편집하는 편집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판단부는 상기 출력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동안 상기 동작부가 상기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경우에, 상기 동작부가 상기 출력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동안 상기 동작 신호를 출력했다고 상기 제 1 판단부가 판단할 때,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판독부로 하여금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음향 데이터를 독출하여 판독된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 2 경로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라,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향 데이터 저장단계;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단계; 동작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판독단계에서 판독된 상기 음향 데이터가 소정의 제 1 경로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단계; 상기 제 1 제어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음향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 1 출력단계; 상기 제 1 출력단계 종료에 의한 상기 음향 데이터의 출력을 타이밍으로 기억하는 기억단계; 상기 출력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단계; 상기 제 1 판단단계가 상기 출력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하였다고 판단할 때, 상기 판독단계에서 판독된 상기 음향 데이터가 상기 제 1 경로가 아닌 소정의 제 2 경로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라, 제 1 출력부, 제 2 출력부, 및 동작부를 갖는 컴퓨터를,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 저장부;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부;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여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부; 상기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판독부가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된 음향 데이터를 소정의 제 1 경로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 상기 소정의 제 1 경로를 통해 공급된 상기 판독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 1 출력부; 상기 제 1 제어부의 종료에 의한 상기 음향 데이터의 출력을 나타내는 타이밍을 타이밍 데이터로 기억하는 종료-타이밍 기억부; 상기 출력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소정의 주기가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 상기 판독부로 하여금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 1 경로와 다른 제 2 경로를 통해 판독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 및 상기 제 2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음향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 2 출력부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동작가능하며, 동작을 검출하여,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동작부; 음향 데이터를 제1 경로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1 경로와 다른 제2 경로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 상기 제1 출력부가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동작부에 의한 동작신호의 최후의 출력으로부터 경과시간이 소정 시간 주기를 초과한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판독부; 및 경과시간이 소정 시간 주기를 초과한 것으로 상기 동작판독부가 판별한 때, 상기 제2 출력부에 의해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출력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라, 음향 데이터를 소정의 제1 경로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와,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1 경로와 다른 제2 경로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와, 동작부를 구비한 컴퓨터를, 상기 제1 출력부가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동작부에의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상태가 소정 기간 이상 계속한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판독부; 및 조작이 없는 상태가 소정 기간 이상 계속한 것으로 상기 동작판독부가 판별한 때, 상기 제2 출력부에 의해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출력제어부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동작가능하며, 동작을 검출하여,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동작부; 음향 데이터를 소정의 제1 경로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1 경로와 다른 제2 경로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 상기 제1 출력부가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이 음향출력장치가 방치된 상태가 소정 시간을 초과한 여부를 판별하는 방치상태 판독부; 및 방치 상태가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상기 방치상태 판독부가 판별한 때, 상기 제2 출력부에 의해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출력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라, 음향 데이터를 소정의 제1 경로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와,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1 경로와 다른 제2 경로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와, 동작부를 구비한 컴퓨터를, 상기 제1 출력부가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이 컴퓨터가 방치된 상태가 소정 시간을 초과한 여부를 판별하는 방치상태 판독부; 및 방치상태가 소정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상기 방치상태 판독부가 판별한 때, 상기 제2 출력부에 의해 음향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음향출력제어부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들은 수반되는 도면들에 관계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A 및 도 1B는 실시예에 따라, 폴더 휴대용 단말기(100)의 외형구조를 보여준다. 도 1A는 열려진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면부 외형 상을 도시한 것이며, 그리고 도 1B는 열려진 휴대용 단말기(100)의 우측면을 도시한 외형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위 커버(2) 및 하위 커버(3)를 가지고 있다. 상위 커버(2) 및 하위 커버(3)는 힌지부(4)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상위 커버(2) 및 하위 커버(3)는,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열려진 상태와,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커버(2) 및 하위 커버(3)가 서로 마주보게 되는 접혀진 상태 간에서 전환되기 위해 힌지부(4) 주위를 회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301) 및 스피커(703)는 상위 커버(2)의 전면측에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1)은 액정 크리스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리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송한다. 스피커(703)는 음성 또는 음성을 출력한다.
키이 동작부(201) 및 마이크로폰(202)은 하위 커버(3)의 전면측에 있다. 키이 동작부(201)는 통화 키이(2011), 종료 통화 키이(3012), 및 다이얼 키이와 같은 다른 입력 장치, 커서 키이들 등을 가지며, 사용자의 동작에 응답하여 동작 신호를 입력한다. 마이크로폰(202)은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입력한다.
도 1B에서 본 바와 같이, 커넥터(704)는 하위 커버(3)의 일측에 위치된다. 헤드폰(이어폰을 포함함)의 헤드폰 플러그(7A)는 커넥터(704)에 삽입된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회로 구성은 도 2의 블럭도에 관하여 설명된다.
도 2에서 본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어기(10), 입력 유닛(20), 디스플레이 유닛(30), 통신 유닛(40), 타이머 또는 타이머 회로(50), 시간 메모리(60), 대상 선택기(70), 작업 메모리 유닛(80), 및 메모리 유닛(90)을 가지고 있다.
입력 유닛(20), 디스플레이 유닛(30), 통신 유닛(40), 타이머(50), 시간 메모리(60), 대상 선택기(70), 작업 메모리 유닛(80), 및 메모리 유닛(90)은 버스들 등으로 제어기(10)에 연결된다.
제어기(10)는 CPU(중앙 프로세싱 유닛)등을 포함한다.
제어기(10)는 작업영역과 같은 작업 메모리 유닛(80)을 사용하면서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유닛(9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기(10)는 보통 휴대용 단말기에 관하여 제어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기(10)는 통신 유닛(40)을 통하여 다른 전화기부터의 착신 전화를 수신한다. 그 다음에, 제어기(10)는 대상 선택기(70)를 통하여 스피커(703) 또는 커넥터(704)에 연결된 헤드폰(7)으로 착신 전화를 통지하는 음향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벨 음향(벨 음조)으로 설정된 음향 데이터는, 착신 전화를 검출한 때 출력한다.
사용자가 입력 유닛(20)상의 통화 키이(2011)를 누를 때, 제어기(10)는 전화통화의 연결을 설립한다. 그 후에, 제어기(10)는 통신 유닛(40)을 통해 다른 전화 기부터 수신되는 패킷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해독하여, 해독된 음성 데이터를 대상 선택기(70)를 통하여, 스피커(703) 또는 헤드폰(7)에 전송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전화통화부터의 음성을 듣게 한다. 제어기(10)는 입력 유닛(20)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202)부터의 음성을 암호화하고 압축하여, 음성을 통신 유닛(40)을 통하여 전화통화가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입력 유닛(20)상에 있는 종료 통화 키이(2012)를 누를 때, 제어기(10)는 전화통화의 연결을 끊는다.
제어기(10)는 음악의 재생 출력(재생)의 종료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제어기(10)는 입력 유닛(20)부터의 종료 지시와, 소정의 명령에서의 재생 출력의 종료를 검출한다.
제어기(10)는, 이하에 설명될 커넥터(704)에 구비된 센서(704a)부터의 검출신호(헤드폰 플러그(7A)가 커넥터(704)에 삽입된 여부를 지시하는 신호)에 따라서, 증폭기(701) 및 증폭기(702) 중의 하나가 음향 신호의 대상을 출력하는 대상 제어 신호를 대상 선택기(70)에 전송한다.
제어기(10)는 통신 유닛(40)을 통해 이-메일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메모리 유닛(90)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디스플레이 유닛(301)상에 수신된 메일을 보여준다. 제어기(10)는, 입력 유닛(20)부터의 입력에 따라, 이-메일을 만들어서 통신 유닛(40)을 통하여 만들어진 이-메일을 전송한다.
통신 유닛(40) 및 안테나는 텔레비전(TV) 및 라디오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는 튜너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제어기(10)는 통신 유닛(40) 및 안테나를 통하여, 아날로그 방송 신호들 또는 TV의 디지털로 암호화된 방송 신호들 및 라디오 방송 및 다 른 방송 다중매체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기(10)는 수신된 신호들을 해독하여, 디스플레이 유닛(30) 상에 상을 출력하고, 음향 또는 음성 신호를 대상 선택기(70)를 통하여 스피커(703) 또는 헤드폰(7)에 전송한다. 그 결과, 방송 매체 데이터도 재생된다.
입력 유닛(20)으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제어기(10)는 다른 정보 장치부터의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고, 메모리 유닛(90)에 음향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기(10)는 다른 정보 장치부터의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 유닛(90)으로부터 판독된 음향 데이터를 대상 선택기(70)를 통하여 스피커(703) 또는 커넥터(704)에 연결된 헤드폰(7)으로 전송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AVI(오디오 비디오 인터리브), MPEG(동영상 전문가 그룹) 또는 WAV 와 같은 형식을 내포하는 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식들, 및 MP3(MPEG-1 오디오 레이어-III) 및 MIDI(음악 기계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형식들이 있다.
입력유닛(20)은 키이 동작부(201) 및 마이크로 폰(202)을 가진다. 입력 유닛(20)은 사용자의 키이 동작부(201)에 따라, 압축해제 신호를 제어기(10)에 전송하고, 마이크로폰(202)부터의 아날로그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것을 디지털 음향 데이터로 전환하여, 디지털 음향 데이터를 제어기(10)에 공급한다.
디스플레이 유닛(30)은 도 1A에 도시된 외부에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301),및 유닛내에 통합된 구동회로(302)를 가진다. 디스플레이 유닛(30)은 상 및 전화기 숫자와 같은 텍스트 데이터 및 제어기(10)부터의 상 신호출력에 기초로 디스플레이 패널(301)상의 텍스트들을 보여준다.
통신 유닛(40)은, 통신 유닛(40)이 외부 버스 스테이션 또는 소정의 주파수에서의 다른 통신 단자를 가지고 무선 통신을 이행하는 것을 통하여, 안테나(401)를 가진다. 통신 유닛(40)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라, 제어기(10)부터 전송된 암호화 형식 및 음성 데이터 또는 소정의 압축 데이터를 규정된 데이터 신호로 변조하여, 변조된 규정 음성 신호/데이터 신호를 안테나(401)를 통하여 외부 버스 스테이션에 전송한다. 제어기(10)는 안테나(401)를 통하여 기본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데이터(기저대역 신호)를 제공하는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고 제어기(10)에 디지털 데이터를 준다.
제어기(10)의 제어하에, 통신 유닛(40)은 방송 튜너의 기능을 가지며,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부합하는 주파수의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에서, 통신 유닛(40)은, 수신된 OFDM 변조 신호들을 비디오/음성 신호들로 복조함으로서 디지털 TV 지상파 방송신호들을 수신하는 OFDM(직교주파수 분할 다중)복조기 등을 가진다.
타이머 회로(50)는 주어진 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크리스털 발진기 회로(50a) 및 클럭 신호들을 계수하는 카운터(50b)를 가지며, 그리고 현 시간을 측정한다. 타이머 회로(50)는, 제어기(10)의 제어하에 주어진 주기의 간섭신호를 제어기(10)에 공급한다.
시간 메모리(60)는 제어기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시간데이터를 저장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시간 메모리(60)는 재생 출력 종료 시간, 즉, 제어기(10)가 음악재생 출력의 종료를 검출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기(10)는 타이머 회로(50)에 의해 계수된 시간을 메모리 유닛(9)에 미리 설정된 통지 시간과 주기적으로 비교하는 알람 기능을 가지며, 그리고 그 두 개의 시간이 서로 일치할 때에 제어기(10)는 메모리 유닛(90)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 등을 판독하여 출력한다.
대상 선택기(70)는 D/A 컨버터(70a) 및 선택기(70b)를 포함한다. D/A 컨버터(70a)는 제어기(10)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신호데이터를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전환한다.
선택기(70b)는 제어기(10)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D/A 컨버터(70a)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출력을 증폭기(701) 또는 증폭기(702) 중의 하나로 출력한다.
센서(704a)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헤드폰 플러그(7A)가 커넥터(704)에 연결될 때, 선택기(70b)는 음향 신호를 증폭기(701)에 전송하고, 헤드폰 플러그(7A)가 커넥터(704)에 연결되지 않을 때에는 음향 신호를 증폭기(702)에 전송한다. 선택기(70b)는 제어기(10)부터의 지시에 따라 초기 출력 대상을 바꿀 수 있다. 일단 출력 대상을 바꾸게 되면, 선택기(70b)는 제어기(10)부터의 지시가 있거나 또는 헤드폰 플러그(7A)를 커넥터(704)에 착탈식하는 동작이 있을 때까지는 그 상태로 유지한다.
증폭기(701)는 스피커(703)와 연결된다. 증폭기(701)는 일반인이 스피커(703)에서 몇 미터 떨어진 곳에서 출력 음성을 들을 수 있게 하는 증폭 계수에 의해 음향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기(702)는 커넥터(704)와 연결된다. 증폭기(702)는 사용자의 설정과 연결된 커넥터(704)부터의 출력 음향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하는 증폭 계수에 의해 음향 신호를 증폭한다. 즉, 제어기(10)부터의 음향 데이터 출력에 관하여, 스피커(703)에서의 음향 출력 에너지는 헤드폰(7)에서의 음향 출력 에너지보다 더 크고 더 멀리 이른다.
헤드폰의 플러그(7A)는 커넥터(704)에 삽입된다. 커넥터(704)는 증폭기(702)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부착된 헤드폰 플러그(7A)를 통하여 헤드폰(7)에 전송한다.
커넥터(704)는 플러그(7A)의 부착을 검출하는 센서(704a)를 가지고, 부착 신호를 제어기(10)에 출력한다.
상술된 설명에서 본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는 음악 재생 모드, 통화 모드, 통지 음향 출력 모드 등에서 스피커(703) 또는 헤드폰(7) 중의 하나부터 음향들을 출력한다.
작업 메모리 유닛(80)은 RAM(막 기억 장치)등으로 구성되고, 제어기(10)에 대한 작업 영역으로 역할을 한다.
메모리 유닛(90)은 광학/자기 기록 매체 등을 포함하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 및 음악 데이터 또는 상 데이터 등을 설정한다. 메모리 유닛(90)은 이후에 설명될 알람 클럭 기능에 의해 설정된 시간, 및 이후에 설명될 소정의 시간(헤드폰(7)으로부터 스피커(703)로 음향 출력 대상이 전환될 때까지의 시간)도 저장한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은 도 3A, 3B 및 4에 관계하여 하술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음악 재생을 지시하는 입력 유닛(20)을 동작할 때,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기(10)는 메모리 유닛(90)에 저장된 음악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판독하고 음악 데이터를 대상 선택기(70)에 공급한다. 대상 선택기(70)는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제공하는 음향 데이터의 D/A(디지털에서 아날로그)전환을 이행한다. 헤드폰(7)이 커넥터(704)에 연결되지 않을 때, 대상 선택기(70)는 증폭기(701)를 통하여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스피커(703)에 공급한다. 따라서, 음향은 스피커(703)로부터 출력된다. 헤드폰(7)이 커넥터(704)에 연결될 때에는 대상 선택기(70)는 증폭기(702)를 통하여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헤드폰(7)에 공급한다. 따라서, 음향은 헤드폰(703)으로부터 출력된다.
제어기(10)가 음악재생 출력(재생)을 시작할 때, 제어기(10)는 재생출력 병행으로 도 3A에서 도시된 과정을 시작한다.
과정에서, 제어기(10)는 제어기(10)가 음악 재생 출력이 종료하는 것으로 판단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11). 예를 들면, 입력 유닛(20) 상에 정지 버튼이 동작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명령에 음악 재생의 종료 이벤트가 일어날 때, 제어기(10)는 음악 재생 출력을 끝낸다.
음악 재생 출력을 끝내지는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단계 S11:YES), 제어기(10)는 센서(704a)로부터 헤드폰(7)의 플러그(7A)가 커넥터(704)에 연결된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
헤드폰 플러그(7A)가 커넥터(704)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단계 S12:YES), 제어기(10)는 재생출력 종료시간(음악 재생출력이 완료되는 시간)으로서 시간 메모리(60)의 타이머(50)에 의해 계산된 현 시간을 저장한다(단계 S13). 대상 선택기(70)의 출력 대상은 증폭기(702)로 유지된다(헤드폰(7)으로부터의 출력).
헤드폰 플러그(7A)가 커넥터(704)에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단계 S12:NO), 제어기(10)는 시간 메모리(60)(그 안에 저장된 경우)에 저장된 재생 종료시간을 재설정한다(단계 S14).
대상 선택기(70)의 출력 대상은 증폭기(701)로 유지된다.
이것으로 현 음악 재생 출력 과정을 완료한다.
그 후에, 제어기(10)는 스탠바이 또는 대기 모드(수신 모드)로 간다.
통신 유닛(40)을 통하여 다른 전화기부터 벨(착신 전화)을 검출할 경우, 제어기(10)는 도 3B에 도시된 벨 통지 과정을 시작한다.
우선, 제어기(10)는 재생 출력 종료 시간이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된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
재생 출력 종료 시간이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되지 않을 경우(단계 S21:NO), 제어기(10)는 벨 통지에 대한 음향 신호를 대상 선택기(70)에 전송한다(단계S22).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된 재생 출력 종료 시간이 없는 것에서는 대상 선택기(70)의 출력 대상은 증폭기(701)이다. 그러므로, 벨 음향은 스피커(703)로부터 출력된다.
재생 출력 종료 시간이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된 경우(단계 S21:YES), 제어기(10)는 타이머(50)로 측정된 현 시간이 메모리 유닛(90)에 이미 저장된 소정의 시간 이상 경과 또는 지난 여부를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된 재생 출력 종료시간으로부터 판단한다(단계 S23).
재생 출력 종료 시간이후에 소정의 시간 또는 이상의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단계 S23:YES), 제어기(10)는 대상 선택기(70)의 출력 대상에서 증폭기(701)로 전환된다(단계 S24). 즉, 헤드폰(7)이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에 좀 떨어져서도 사용 가능성이 있게 되며, 대상 선택기(70)의 출력 대상은 사용자가 벨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증폭기(701)로 바뀌게 된다.
그 후에, 제어기(10)는 벨 통지에 대한 음향 신호를 대상 선택기(70)에 전송한다(단계 S22). 그러므로, 벨 통지에 대한 벨 음향은 스피커(703)에서 출력된다. 이것은 착신 전화에서 좀 떨어져 있는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끔 한다.
재생 출력 종료 시간 이후에 소정의 시간이 아직 경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단계 S23:NO), 제어기(10)는 단계 S24를 건너뛰어, 벨 통지에 대한 음향 신호를 대상 선택기(70)에 전송한다(단계 S22). 이 경우에, 대상 선택기(70)의 출력 대상은 증폭기(702)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벨 통지에 대한 음향은 헤드폰(7)에서 출력된다.
그 후에, 단계들 S21-S24의 과정은 키이 동작부(201)상에 있는 종료 통화 키이(2112) 또는 통화 키이(2011)의 동작이 검출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실행된다(단계 S25).
벨 음향은 다른 방식으로 출력된다. 사용자는 벨 음향에 응답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통화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0)로 통화할 때, 사 용자는 입력 유닛(20)상에 있는 통화 키이(2011)를 누른다.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0)로 통화하지 않을 때, 사용자는 벨 음향이 정지될 때까지 두거나 종료 통화 키이(2112)를 누른다.
종료 통화 키이(2112)를 눌러질 때, 제어기(10)는 도 4에서 도시된 처리를 시작한다.
우선,제어기(10)는 통신 대상(호출자)와의 연결을 설립한다(단계 S31).
그 후,제어기(10)는 종료 통화 키이(2112)가 눌러진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2).키이(2112)가 눌러진 경우면,제어기(10)는 통신 연락을 끊는다(단계 S33).
종료 통화 키이(2112)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 제어기(10)는 통신 유닛(40)으로부터 공급받은 수신 음성 데이터를 해독하여, 대상 선택기(70)에 해독된 데이터를 출력한다(단계 S34).결과로서,수신된 음성은 스피커(703)(벨 음향이 스피커(703)로부터 출력될 때)로부터 출력되거나 또는 헤드폰(7)(벨 음향이 헤드폰(7)으로부터 출력될 때)으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수신된 음성은 스피커(703) 또는 헤드폰(이어폰)(7) 중 하나로 출력된다.
그 후, 제어기(10)는 마이크로폰(202)에 의해 획득되고 입력 유닛(20)의 A/D 전환으로 인해 음성 데이터를 얻어서 암호화되어, 음성 데이터를 통신 유닛(40)에 전송한다(단계 S35). 통신 유닛(40)은 음성 데이터를 전송한다.
동작이 반복됨으로서, 통신 전화기로 통화는 수행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음악 재생 출력 종료가 될 때의 헤드폰(7)이 휴대용 단말기(100)에 연결된 경우에서, 재생 출력 종료 시간 데이터는 음악 재생 출력 종료가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된 것에서의 타이밍을 나타낸다. 소정의 시간 또는 긴 시간이 저장된 재생 출력 종료 시간을 경과한 때,대상 선택기(70)의 출력 대상은, 휴대용 단말기(100)에 헤드폰(7)으로 연결됨에도 불구하고 음향은 스피커(703)로부터 출력되는 그런 방법으로 변하게 된다. 그 후,벨 음향 및 통화 음성은 스피커(703)로부터 출력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헤드폰(7)을 지닌 휴대용 단말기(100)를 사용 중이고 음악이 재생되게 둔 때에도, 사용자는 벨 음향 및 음성을 들을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시작으로부터 경과하지 않음에 따라, 벨 음향이 헤드폰(7)으로부터 출력됨에도 불구하고, 그 상태는 유지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 이 스피커(703)로부터 출력된다.
단계 S23에서 결정 기준으로서 미리 조정된 소정의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기(10)는 입력 유닛(20) 상의 소정의 키이의 동작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유닛(30) 상에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조정 화면(화면 G11, G12)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기(10)는 화면을 참조하는 사용자에 의한 키이 동작부(201)로부터의 지시 입력을 검출하고, 메모리 유닛(90)에 저장된 소정의 시간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갱신한다. 이러한 경우에, 음성은 사용자에 의해 원해지는 시간이 경과한 때 스피커(703)로부터 출력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 모드에 따른 음성 출력이 만들어지게 한다.
상술에서, 벨에 대한 음향 데이터는 음악의 음향 데이터가 헤드폰(7)을 통해 재생된 후 출력된다. 음향 데이터의 음원, 음향 데이터의 파일 형식,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트리거 등으로서 사용되는 다중매체 데이터가 임의로 사용 가능 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방송 다중매체 데이터로부터 발생된 음향 데이터가 재생된 후 또는 알람 음향에 대한 음향 데이터가 재생되는 경우에도 또한 적용 가능하다. 음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임의의 내용이 재생된 후 착신 전화 또는 알람의 통지를 위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은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우선, 제어기(10)가 임의의 내용에 포함되는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고 출력하기 위한 과정을 실행하는 동안, 제어기(10)는 병행으로 도 6A에 도시되는 과정을 실행한다. 과정 중에, 제어기(10)는 다중매체 데이터에 기초한 음향 데이터의 출력이 판단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41). 음향 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경우(단계 S41:YES), 제어기(10)는 플러그(7A)가 커넥터(704)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2).
헤드폰 커넥터(7A)가 커넥터(704)에 연결되었을 경우(단계 S42:YES), 타이머(50)에 의해 계수된 현 시간이 시간 메모리(60)에 출력 종료 시간으로서 저장된다(단계 S43). 대상 선택기(70)의 출력 대상은 증폭기(702)로 유지된다.
이와 반대로, 헤드폰 커넥터(7A)가 커넥터(704)에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에는(단계 S42:NO),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된 출력 종료 시간은 재설정된다(단계 S44). 대상 선택기(70)의 출력 대상은 증폭기(701)로 유지된다.
착신 전화의 검출, 이-메일의 수신, 또는 알람 음향 데이터의 발생(타이머(50)에 의해 측정된 시간이 메모리 유닛(90)에 저장된 통지 시간과 일치할 때)과 같은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입력 유닛(20)으로부터의 것과 다른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요청이 그 이후 발생할 때, 제어기(10)는 도 6B에서 처리를 초기화한다.
우선, 제어기(10)는 재생 출력 종료 시간이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1).
재생 출력 종료 시간이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되지 않았을 경우(단계 S51:NO), 음향 데이터는 대상 선택기(70)로 전송된다(단계 S52). 대상 선택기(70)는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703)로 증폭기(701)를 통해 출력한다.
재생 출력 종료 시간이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되었을 경우(단계 S51:YES), 제어기(10)는 현 시간이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된 재생 출력 종료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상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3).
현 시간이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된 재생 출력 종료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상 경과했다고 판단할 경우(단계 S53:YES), 대상 선택기(70)의 출력 대상은 증폭기(702)로부터 증폭기(701)로 변경된다(단계 S54). 다음으로, 제어기(10)는 음향 데이터를 대상 선택기(70)로 전송한다(단계 S52). 따라서, 음향 데이터에 기초한 음향은 스피커(703)로부터 출력된다.
소정의 시간이 저장된 재생 출력 종료 시간으로부터 경과하지 않았다고 단계 S53에서 판단될 경우(단계 S53:NO), 제어기(10)는 단계 S54를 건너뛰고 음향 데이터를 대상 선택기(70)로 전송한다(단계 S52). 이러한 경우에, 음향은 헤드폰(7)으로부터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음향 데이터가 헤드폰(7)을 통해 재생된 후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좀 떨어져 위치해 있을 때조차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예를 들면 착신 전화를 검출한 때, 음향 데이터의 출력 대상은 헤드폰(7)으로부터 스피커(703)로 전환된다. 사용자는 음향 데이터에 기초한 출력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제 2 실시예)
주변 광도를 검출할 수 있는 폴더형인 휴대용 단말기(200)의 구조 및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200)에 의해 실행되는 과정이 도 1 및 7-9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로서 기술될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부품에 해당하여 유사하거나 동일한 제 2 실시예의 부품은 같은 참조 부호로 표시될 것이다.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200)는 접혔을 때, 상위 커버(2)의 외부에 광학 센서(501)를 가진다. 광학 센서(501)는 휴대용 단말기(200) 주변의 광도(주변 빛의 양; 휘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광도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조에 추가하여 광학(휘도) 센서(501)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시간 메모리(60)는 광학 센서(501)에 의해 측정된 휘도가 기준 레벨보다 같거나 낮다고 판단될 때, 즉 어둠일 때인 어둠 검출 시간을 저장한다.
휴대용 단말기(200)의 제어기(10)는 전원이 활성화된 동안 타이머 간섭에 의 한 도 9에서 도시되는 휘도 검출 과정 등을 주기적으로 실행한다.
휘도 검출 과정이 시작할 때, 제어기(10)는 우선 헤드폰(7)이 커넥터(704)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1).
헤드폰(7)이 커넥터(704)에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즉 음향이 스피커(703)로부터 출력될 경우(단계 S61:NO),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된 어둠 검출 시간(저장된 경우에) 삭제된다(단계 S62).
헤드폰(7)이 커넥터(704)에 연결되었다고 단계 S61에서 판단될 경우(단계 S61: YES), 검출된 휘도가 임계치보다 같거나 작은지 여부, 즉 휴대용 단말기(200)가 어두운 위치에 놓여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광학 센서(501)에 의해 검출된 휘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예를 들면, 5 룩스)와 비교된다(단계 S63). 광학 센서(501)에 의해 검출된 휘도가 임계치보다 같거나 작다고 판단될 경우(단계 S63: YES), 검출된 휘도가 메모리 유닛(9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한 이전 검출의 시간에서 임계치보다 또한 같거나 낮은지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64).
광학 센서(501)에 의해 검출된 휘도가 이전 검출에서의 임계치보다 클 경우(단계 S64:NO), 휴대용 단말기(200) 주변 환경은 "밝음"으로부터 "어둠"으로 전환되어, 현 시간이 휴대용 단말기(200)가 어두운 위치로 놓여진 것이 검출된 어둠 검출 시간으로서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되게 한다(단계 S65).
광학 센서(501)에 의해 검출된 휘도가 이전 검출에서 임계치보다 같거나 낮을 경우(단계 S64:YES), 현 과정은 종료된다. 그러므로,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된 어둠 검출 시간은 그 내부에 저장된 채 유지된다.
전화 벨, 이-메일의 수신, 알람 시간의 도래 등에 기인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을 때, 제어기(10)는 도 6B에서 도시되는 과정과 유사한 과정을 실행한다.
제어기(10)는 어둠 검출 시간이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1).
어둠 검출 시간이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되지 않았을 경우(단계 S51:NO), 제어기(10)는 음향 데이터를 대상 선택기(70)로 전송한다(단계 S52). 대상 선택기(70)는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703)로 증폭기(701)를 통해 전송한다.
어둠 검출 시간이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되었을 경우(단계 S51:YES), 제어기(10)는 현 시간이 시간 메모리(60)에 저장된 어둠 검출 시간으로부터 메모리 유닛(90)에 미리 저장된 소정의 시간 이상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3).
소정의 시간 또는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할 경우(단계 S53:YES), 제어기(10)는 대상 선택기(70)의 출력 대상을 증폭기(702)로부터 증폭기(701)로 전환한다(단계 S54). 결과적으로, 제어기(10)는 음향 데이터를 대상 선택기로 전송한다(단계 S52). 그러므로, 음향은 스피커(703)로부터 출력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단계 S53에서 판단될 경우(단계 S53:NO), 제어기(10)는 단계 S54를 건너뛰고 음성 신호를 대상 선택기(70)로 전송한다(단계 S52). 이러한 경우에, 음성은 헤드폰(7)으로부터 출력된다.
그러므로, 단계 S51 내지 S54의 과정은 키이 동작부(201) 상의 종료 통화 키이(2112) 또는 통화 키이(2011)의 동작이 검출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실행된다(단계 S55).
통화 키이(2011)의 동작의 검출 이후 동작은 도 4에서 도시되는 동작과 유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200)는 소정의 시간 또는 이상의 시간이 휴대용 단말기(200)가 헤드폰(7)이 연결된 채 어두운 상태에 놓여있으면서 경과한 때 스피커(703)로부터 음향을 출력한다.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0)를 헤드폰(7)이 부착된 채 어두운 장소, 예를 들면, 가방 내에 넣은 때에도, 사용자는 음성을 스피커(703)로부터 들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어두운 상태에 놓인 휴대용 단말기(200)는 둔 채로 잊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가능성을 내포한다. 이러한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200)에 부착된 헤드폰(7)으로는, 사용자는 발생된 경우를 통지받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소정의 시간 또는 이상의 시간이 휴대용 단말기(200)가 어두운 상태에 놓인 후 경과한 때, 음향은 스피커(703)로부터 출력되어, 사용자는 이러한 경우에도 벨 음향 등을 인지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시작에 경과하지 않음에 따라, 음향은 헤드폰(7)으로부터 출력되어, 상태는 유지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 음성은 스피커(703)로부터 출력된다.
(제 3 실시예)
외부 전원이 전원 단말을 통해 공급되는 것이 가능한 폴더형인 휴대용 단말기(300)의 구조 및 휴대용 단말기(300)의 동작이 도 1 및 10-12를 참조하여 제 3 실시예로서 기술될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부품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제 3 실시예의 부품은 같은 참조 부호로 표시될 것이다.
도 10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는 외부 전원 공급으로 연결을 위해 하위 커버(3)의 좌측에 전원 단말(503)을 가진다. 전원 단말(503) 대신에, USB(범용 시리얼 버스) 등, 또는 휴대용 단말기(300)로의 전원 공급 외에 외부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말이 사용될 수 있다.
크래들(5)은 휴대용 단말기(300)를 탑재하고 지지한다. 크래들(5)은 휴대용 단말기(300) 및 외부 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및 휴대용 단말기(300)로 외부 공급 전원의 공급을 위한 기능을 가진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크래들(5) 상에 탑재된 동안 다중매체 데이터의 재생에 기초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크래들(5)은 수지 등으로 형성되며, 시팅(seating)(510) 및 최상부에 홀더(511)를 가진다. 폴드형 휴대용 단말기(300)는 일측이 홀더(511)내에 장착된다. 시팅(510)에는 휴대용 단말기(300)가 지지되는 위치에서 전원단자(503) 및 접촉하는 연결단자(512)와, 상업적으로 유용한 전원 공급기에 연결되고, 공급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전환하여 전환전압을 연결단자(512)에 공급하는 전원 전환기가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0)는 휴대용 단말기(100) 구조에 전원공급 유닛(502)을 더 가진다. 전원공급 유닛(502)은 전원단자(503)와 배터리가 있으며, 배터리 또는 전원단자(503)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구동전원과 같은 개개의 부분에 분배한다.
전원단자(503)로부터 외부전원의 공급이 검출될 때, 전원공급 유닛(502)은 제어기(10)에 검출신호를 전송하고, 배터리가 2차 전지일 때는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시킨다. 시간 메모리(60)는 휴대용 단말기(300)가 크래들(5)에 탑재되고, 외부전원의 공급이 시작되며, 또는 휴대용 단말기(300)가 외부회로 또는 장치에 연결되는 탑재 시간을 저장한다.
휴대용 단말기(300)의 동작은 도 12에서 설명된다.
우선, 예를 들면, 제어기(10)는 1초 간격의 타이머 차단에 의해 도 12의 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한다.
제어기(10)는 우선 헤드폰(7)이 커넥터(704)에 연결된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1).
헤드폰(7)이 커넥터(704)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71:NO), 시간 메모리(60)내에 저장된 탑재 시간은(저장된 경우) 지워진다(단계 S72).
헤드폰(7)이 커넥터(704)에 연결되어 있다고 단계 S71에서 판단되는 경우(단계 S71:YES), 전원공급 유닛(502)로부터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외부전원이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는 메모리 유닛(90)내에 저장된다(단계 S73). 외부전원이 공급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73:YES), 메모리 유닛(90)내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외부전원이 이전 검출시간에도 공급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74).
외부전원이 이전 검출시 공급되지 않은 경우(단계 S74:NO), 현 시간은 휴대용 단말기(300)가 크래들(5)에 탑재되거나 외부전원공급이 시작되는 타이밍이며, 타이머(50)에 의해 측정된 현 시간은 외부전원공급의 개시 타이밍을 나타내는 탑재 시간으로서 시간 메모리(60)내에 저장되도록 한다(단계 S75).
전원이 이전 검출시에도 공급된 경우(단계 S74:YES), 현 과정은 종료된다. 시간 메모리(60)내에 저장된 탑재 시간은 내부에 저장되어 유지된다.
전화 벨, 이-메일 수신, 알람 시간 도달 등을 알리는 음향을 출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어기(1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과정을 수행한다.
제 3 실시예에서, 도 6B의 재생출력 종료시간의 과정에서 어둠 검출 시간은 탑재 시간으로써 판독되어야 한다.
제어기(10)는 탑재 시간이 시간 메모리(60)내에 저장된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1).
탑재 시간이 시간 메모리(60)내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단계 S51:NO), 제어기(10)는 음향데이터를 대상 선택기(70)에 전송한다(단계 S52). 대상 선택기(70)는 음향 데이터를 증폭기(701)를 통해 스피커(703)로 전송한다.
탑재 시간이 시간 메모리(60)내에 저장된 경우(단계 S52:YES), 제어기(10)는 시간 메모리(60)내에 저장된 탑재 시간으로부터 현 시간이 메모리 유닛(90)내에 미리 저장된 소정의 시간 이상 경과한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3).
소정의 시간 또는 더 긴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53:YES), 제어기(10)는 대상 선택기(70)의 출력대상을 증폭기(702)로부터 증폭기(701)로 전환한다.(단계 S54). 결과적으로, 제어기(10)는 음향 데이터를 대상 선택기(70)로 전송한다(단계 S52). 그러므로, 음향은 스피커(703)로부터 출력된다.
단계 S53에서 소정의 시간이 아직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기 (54)는 단계 S54를 건너뛰어 음향 데이터를 대상 선택기(70)에 전송한다(단계 S52). 이 경우, 음향은 헤드폰(7)으로부터 출력된다.
그 후, 종료통화 키이(2112) 또는 통화 키이(2011)의 동작이 검출될 때까지 단계 S51부터 단계 S54까지 과정이 반복해서 수행된다(단계 S55).
종료통화 키이(2112)가 검출된 이후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폰(7)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300)가 크래들(5)에 탑재되어 충전되는 동안에 소정의 시간 또는 더 긴 시간이 경과한 때, 그리고 전화벨, 이메일 수신, 경고시간 도달 등을 알리는 음향을 출력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휴대용 단말기(300)는 스피커(703)로부터 음향을 출력한다.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300)에 부착된 헤드폰(7)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300)를 크래들(5)내에 설치한 채 방치했을 때조차도, 사용자는 스피커(703)로부터 출력음향을 들을 수 있다.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의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한 것이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키이 동작부(201)가 입력 유닛(20)의 일예로써 설명되었으나, 다양한 지시가 음성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경우에, 제어기(10)는 전원공급이 되는 동안에 주기적 차단에 의해 도 13에 도시된 음성명령과정을 수행한다.
음성명령과정이 시작될 때, 제어기(10)는 마이크로폰(202)과 입력 유닛(20)을 통해 음성데이터를 획득한다(단계 S81). 그 후에, 제어기(10)는 획득한 음성으로 음성인식을 수행하고(단계 S82), 사용자에 의해 발음된 단어가 소정의 명령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3). 단어가 소정 명령에 부합할 때, 단어는 명령 대기열로 설정된다(단계 S84). 단어가 소정 명령에 부합하지 않을 때, 과정은 종료된다.
제어기(10)는 실질적으로 또 다른 과정에서 명령 대기열로 설정된 명령을 획득하여 수행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사용자가 부착된 헤드폰(7)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100,200,300)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 사용자는 몇몇 종류의 음성(음성명령)을 발생시켜 연결 및 통신과정을 시작하도록 휴대용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 이후, 제 3 자와의 대화는 스피커(703) 및 마이크로폰(202)을 사용하여 실행된다.
실시예들에서, 사용자가 헤드폰에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것, 다중매체 데이터의 재생에 의한 음향 데이터의 재생 출력 종료, 휴대용 단말기 주변의 어둠, 및 충전이 시작되었는지 여부가 식별된다. 판단 구성은 이러한 특별한 방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적이다.
본 발명은 폴더 휴대용 단말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TV, 라디오, 음악 재생기 등에 적용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스피커 또는 헤드폰으로 임의의 음성이 출력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비록 휴대용 단말기가 어두운 곳에 있을 때, 외부전원 공급의 개시가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남겨진 휴대용 단말기를 고려하는 조건으로 행해질지라도, 휴대용 단말기를 어두운 곳에 두는 것과 내용의 재생종료,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외부전원의 공급과 내용의 재생종료는 남겨진 휴대폰을 고려하는 조건으로 행해진다.
비록 실시예의 설명이 헤드폰(7)이 커넥터(704)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주어질지라도,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증폭기(702)의 출력을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기(711)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에 의해 헤드폰(7)내에 장착된 무선수신기(712)에 신호를 전송하는데 제공되고, 무선수신기(712)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증폭기(13)에 의해 증폭되어 헤드폰으로부터 재생된다.
비록 실시예의 설명이 스피커(703)와 헤드폰(7)이 사용되는 경우에 주어질지라도, 본 발명은 다른 출력 볼륨(출력 에너지)을 구비한 복수개의 스피커와 같은 다수개의 음성출력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입력 유닛(201)이 동작신호를 출력할 때,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200,300)로부터 떨어져 있지 않다. 이러한 관점에서, 입력 유닛(201)이 동작신호를 출력할 때, 제어기(10)는 도 3A의 단계 S14, 도 6A의 단계 S44, 도 9의 단계 S62 및 도 12의 단계 S72 과정과 같이, 시간 메모리(60)내에 저장된 시간(재생출력종료시간, 어둠 검출시간, 및/또는 탑재 시간)을 지우거나 재설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도 3A의 단계 S14, 도 6A의 단계 S44, 도 9의 단계 S62 및 도 12의 단계 S72에서 소정 시간주기 이상이 시간 메모리(60)내에 저장된 시간으로부터 경과하였다고 판단될 때, 제어기(10)는 또한 도 3B의 단계 S23, 단계 S53 등에서 헤드폰(7)으로부터 출력대상을 스피커(703)(증폭기(701))로 전환한다. 다시 말하면, 입력 유닛(201)이 도 3A의 단계 S14, 도 6A의 단계 S44, 도 9의 단계 S62 및 도 12의 단계 S72에서 시간 메모리(60)내에 저장된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주 기 이상동안, 동작하지 않을 때를 말한다.
상술에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별개로 설명되었다.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의 기능을 가짐은 명백하다. 예를 들면,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는, 헤드폰(7)이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는 동안에 음향데이터의 재생출력이 종료하는 재생출력 종료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에는 제어기(10)가 헤드폰(7)으로부터 스피커(703)로 출력대상을 전환하는 제 1 실시예의 제 1 기능, 그리고 헤드폰(7)이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는 동안에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이 어두워지는 어둠 검출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에는 제어기(10)가 헤드폰(7)으로부터 스피커(703)로 출력대상을 전환하는 제 2 실시예의 제 2 기능을 가진다.
이와 유사하게,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는, 헤드폰(7)이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는 동안에 휴대용 단말기가 크래들(5)에 탑재되어 외부전원 공급회로에 연결되고 , 충전되기 시작하는 탑재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에는 제어기(10)가 헤드폰(7)으로부터 스피커(703)로 출력대상을 전환하는 제 2 기능 및 제 3 기능을 가진다.
이와 유사하게,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는 제 3 및 제 1 기능, 및 제 1 내지 제 3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스피커(703)용 증폭기(701) 및 헤드폰(7)용 증폭기(702)가 제공된다. 2개의 증폭기 대신에, 게인 제어기능을 구비한 하나의 증폭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상 선택기(70)로부터 출력된 음향 데이터가 증폭기에 제공 된다. 증폭기의 출력은 스피커(703) 또는 커넥터(704)에 전환 공급된다. 증폭기의 증폭계수(게인)는 제어기(10)에 의해 제어되어, 스피커(703)와 헤드폰(7)이 적절한 볼륨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한다.
컴퓨터(특히, 프로세서)가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은 기록매체 등에 저장되고, 그러한 형태로 분포되며,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운영될 컴퓨터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제1 제어부에 의하여 제1 출력부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음향 데이터의 출력이 정지하면서부터 소정기간이 경과한 때, 또는 장치에 수행된 최종 조작으로부터 소정 기간이 경과한 때, 또는 장치가 소정 시간 방치된 때, 제2 제어부에 의하여 제2 출력부로부터 음성이 출력된다. 따라서, 예컨대, 제1 출력부를 헤드폰, 제2 출력부를 스피커로 구성하면, 사용자가 헤드폰을 음향출력장치에 장착한 채로 장치를 분리시키는 등으로 장치를 방치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향(예컨대, 착신음이나 모닝콜 음향 등)을 들을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출원은 명세서, 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해, 2005.1.1.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5-161105호에 기초한다. 상기 일본특허출원의 공개 내용은 전체로서 여기에 합체된다.
Claims (22)
-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향 데이터 저장부;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부;사용자에 의해 동작가능하고,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여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부;상기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판독부가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된 음향 데이터를 소정의 제 1 경로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상기 제 1 경로를 통해 공급된 상기 판독된 음향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 1 출력부;상기 제 1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음향 데이터의 출력 종료 타이밍을 기억하는 종료-타이밍 기억부;상기 종료 타이밍 기억부에 기억된 출력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상기 제 1 판단부가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할 때, 상기 판독부로 하여금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 1 경로와 다른 소정의 제 2 경로를 통해 판독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 및상기 제 2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음향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음향 데이터를 증폭하는 증폭부;음향 데이터가 상기 제 1 제어부 또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어질 것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부; 및상기 제 2 판단부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증폭부의 증폭계수를 제어하는 증폭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음향 출력장치의 주변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광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판단부는 상기 광검출부에 기초하여 음향 데이터가 상기 제 1 제어부 또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어질 것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음향 출력장치와 외부 장치 사이의 연결을 검출하는 연결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검출부가 상기 음향 출력장치가 상기 외부장치에 연결되었다고 검출할 때, 상기 제 2 판단부는 음향 데이터가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어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외부장치로부터의 착신 전화를 검출하는 통화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화 검출부가 착신전화를 검출하였을 때, 상기 제 2 판단부는 음향 데이터가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어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통화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착신 전화에 대한 소정의 응답을 검출하는 응답 검출부, 및상기 판독부가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정지시키는 정지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음성 입력부, 및입력된 음성 신호에 기초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정지 제어부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독부가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착신 전화에 대한 소정의 응답을 검출하는 응답검출부,상기 응답 검출부가 응답을 검출하였을 때, 착신 전화를 뒤따르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출력부가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3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판단부에 의한 판단에 사용되어지는 소정의 시간 주기를 편집하는 편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판단부는 출력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상기 동작부가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상기 동작부가 상기 출력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동작 신호를 출력하지 않았다고 상기 제 1 판단부가 판단할 때,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판독부로 하여금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된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 2 경로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
-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향 데이터 저장단계;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단계;동작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판독단계에서 판독된 음향 데이터가 소정의 제 1 경로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단계;상기 제 1 제어단계에서 출력된 음향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 1 출력단계;상기 제 1 출력단계 종료에 의한 음향 데이터의 출력을 출력 종료 타이밍으로 기억하는 기억단계;상기 출력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단계;상기 제 1 판단단계가 상기 출력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할 때, 상기 판독단계에서 판독된 음향 데이터가 상기 제 1 경로가 아닌 소정의 제 2 경로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방법.
- 제 1 출력부, 제 2 출력부, 및 동작부를 갖는 컴퓨터를,음향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음향 데이터 저장부;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부;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하여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부;상기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판독부가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된 음향 데이터를 소정의 제 1 경로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상기 소정의 제 1 경로를 통해 공급된 판독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 1 출력부;상기 제 1 제어부의 종료에 의한 음향 데이터의 출력을 나타내는 타이밍을 출력 종료 타이밍으로 기억하는 종료-타이밍 기억부;상기 출력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소정의 주기가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상기 판독부로 하여금 상기 음향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제 1 경로와 다른 제 2 경로를 통해 판독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 및상기 제 2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음향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제 2 출력부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 음향출력장치로서:사용자에 의하여 동작가능하며, 동작을 검출하여,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동작부;음향 데이터를 제1 경로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1 경로와 다른 제2 경로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상기 제1 출력부가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동작부에 의한 동작신호의 최후의 출력으로부터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 주기를 초과한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 판독부; 및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 주기를 초과한 것으로 상기 동작 판독부가 판별한 때, 상기 제2 출력부에 의해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출력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
- 음향 데이터를 소정의 제1 경로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와,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1 경로와 다른 제2 경로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와, 동작부를 구비한 컴퓨터를,상기 제1 출력부가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동작부에의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상태가 소정 기간 이상 계속한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 판독부; 및조작이 없는 상태가 소정 기간 이상 계속한 것으로 상기 동작 판독부가 판별한 때, 상기 제2 출력부에 의해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출력 제어부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음향출력장치로서:사용자에 의하여 동작가능하며, 동작을 검출하여,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동작부;음향 데이터를 소정의 제1 경로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1 경로와 다른 제2 경로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상기 제1 출력부가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이 음향출력장치가 방치된 상태가 소정 시간을 초과한 여부를 판별하는 방치상태 판독부; 및방치 상태가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상기 방치상태 판독부가 판별한 때, 상기 제2 출력부에 의해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출력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장치.
- 음향 데이터를 소정의 제1 경로로 출력하는 제1 출력부와, 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1 경로와 다른 제2 경로로 출력하는 제2 출력부와, 동작부를 구비한 컴퓨터를,상기 제1 출력부가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이 컴퓨터가 방치된 상태가 소정 시간을 초과한 여부를 판별하는 방치상태 판독부; 및방치상태가 소정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상기 방치상태 판독부가 판별한 때, 상기 제2 출력부에 의해 음향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음향출력 제어부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161105A JP4317834B2 (ja) | 2005-06-01 | 2005-06-01 | 音出力装置、および、音出力制御プログラム |
JPJP-P-2005-00161105 | 2005-06-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5592A KR20060125592A (ko) | 2006-12-06 |
KR100818460B1 true KR100818460B1 (ko) | 2008-04-02 |
Family
ID=3692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9514A KR100818460B1 (ko) | 2005-06-01 | 2006-06-01 | 음향 출력장치 및 음향 출력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515980B2 (ko) |
EP (1) | EP1729494B1 (ko) |
JP (1) | JP4317834B2 (ko) |
KR (1) | KR100818460B1 (ko) |
CN (1) | CN100469091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L165817A0 (en) * | 2004-12-16 | 2006-01-15 | Samsung Electronics U K Ltd | Electronic music on hand portable and communication enabled devices |
KR100879537B1 (ko) * | 2007-02-07 | 2009-01-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소리 자동 조절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
US8275165B2 (en) | 2007-10-31 | 2012-09-25 | Gn Netcom A/S | Communication device with combined electrical socket and microphone opening |
JP2010014827A (ja) * | 2008-07-02 | 2010-01-21 | Nec Saitama Ltd | 端末装置およびそのディスプレイのバックライト点灯方法 |
JP4548524B2 (ja) * | 2008-07-29 | 2010-09-22 | ソニー株式会社 | 通信装置、プログラ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
TWI449437B (zh) | 2010-12-06 | 2014-08-11 | Richtek Technology Corp | 聲音輸出裝置的驅動電路 |
CN102325216B (zh) * | 2011-06-29 | 2015-07-15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移动通讯设备及其音量控制方法 |
US8452597B2 (en) * | 2011-09-30 | 2013-05-28 | Goog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continual speech recognition and detection in mobile computing devices |
US20140026159A1 (en) * | 2012-07-18 | 2014-01-23 | Home Box Office | Platform playback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
US9158372B2 (en) | 2012-10-30 | 2015-10-13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action data storage |
US9152211B2 (en) | 2012-10-30 | 2015-10-06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Electronic device with enhanced notifications |
US9182903B2 (en) * | 2012-10-30 | 2015-11-10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keyword graphic selection |
US9152377B2 (en) | 2013-08-29 | 2015-10-06 | Thomson Licensing | Dynamic event sounds |
WO2015083364A1 (ja) * | 2013-12-02 | 2015-06-11 | 東芝ホクト電子株式会社 | 発光装置 |
GB2524222B (en) * | 2013-12-18 | 2018-07-18 |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 Activating speech processing |
CN104749939A (zh) * | 2013-12-31 | 2015-07-01 | 安凯(广州)微电子技术有限公司 | 闹钟设置方法、装置及蓝牙音箱 |
CN105721981B (zh) * | 2015-05-28 | 2019-02-12 | Tcl通力电子(惠州)有限公司 | 耳机的工作方法及耳机 |
KR102296174B1 (ko) * | 2015-06-26 | 2021-08-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의 오디오 변환 방법 |
US10311870B2 (en) * | 2017-05-10 | 2019-06-04 | Ecobee Inc. | Computerized device with voice command input capability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3613Y1 (ko) | 2000-01-13 | 2000-08-16 | 권성수 | 특정코드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에서 음향기기와 연결된이어폰으로의 알람발생장치 |
KR200202123Y1 (ko) | 1999-12-31 | 2000-11-15 | 이기창 | 휴대 전화기와 음향기기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스테레오핸즈프리 송수화기 및 전환 제어장치 |
KR20050035240A (ko) * | 2004-05-10 | 2005-04-15 | 남승현 |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오디오장치 기능 자동제어 이어폰 |
KR20050059716A (ko) * | 2003-12-15 | 2005-06-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
KR20060098598A (ko) * | 2005-03-03 | 2006-09-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단말기의 볼륨제어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35830A (ja) | 1992-02-20 | 1993-09-10 | Hitachi Ltd | 携帯用通信端末 |
JP2000358085A (ja) | 1999-06-17 | 2000-12-26 | Nec Saitama Ltd | 携帯電話機の充電時における着信報知切替え方法と装置 |
JP2001203787A (ja) | 2000-01-18 | 2001-07-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ヘッドホンステレオアダプタ |
JP2001257030A (ja) | 2000-03-09 | 2001-09-21 | Funai Electric Co Ltd | 信号入出力端子及びav装置 |
JP2002033790A (ja) | 2000-07-18 | 2002-01-31 | Mitsubishi Electric Corp | 電話装置 |
JP4552303B2 (ja) | 2000-09-27 | 2010-09-29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自動取引装置 |
US6947728B2 (en) * | 2000-10-13 | 2005-09-20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Mobile phone with music reproduction function, music data reproduction method by mobile phone with music reproduction function, and the program thereof |
GB2389761B (en) * | 2002-06-13 | 2006-04-26 | Seiko Epson Corp | A semiconductor chip for use in a mobile telephone |
JP2004080395A (ja) | 2002-08-19 | 2004-03-11 | Nec Corp | 携帯端末装置 |
JP4534468B2 (ja) | 2003-11-28 | 2010-09-01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グリス供給方法 |
US7577459B2 (en) * | 2005-05-11 | 2009-08-18 | Nokia Corporation |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link |
-
2005
- 2005-06-01 JP JP2005161105A patent/JP431783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5-30 EP EP06011115.0A patent/EP1729494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6-05-31 US US11/444,795 patent/US751598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6-01 KR KR1020060049514A patent/KR10081846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6-01 CN CNB200610128509XA patent/CN10046909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2123Y1 (ko) | 1999-12-31 | 2000-11-15 | 이기창 | 휴대 전화기와 음향기기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스테레오핸즈프리 송수화기 및 전환 제어장치 |
KR200193613Y1 (ko) | 2000-01-13 | 2000-08-16 | 권성수 | 특정코드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에서 음향기기와 연결된이어폰으로의 알람발생장치 |
KR20050059716A (ko) * | 2003-12-15 | 2005-06-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피커 겸용 이어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
KR20050035240A (ko) * | 2004-05-10 | 2005-04-15 | 남승현 |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오디오장치 기능 자동제어 이어폰 |
KR20060098598A (ko) * | 2005-03-03 | 2006-09-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단말기의 볼륨제어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729494A2 (en) | 2006-12-06 |
CN1897598A (zh) | 2007-01-17 |
JP2006339953A (ja) | 2006-12-14 |
EP1729494B1 (en) | 2013-08-07 |
CN100469091C (zh) | 2009-03-11 |
US7515980B2 (en) | 2009-04-07 |
JP4317834B2 (ja) | 2009-08-19 |
KR20060125592A (ko) | 2006-12-06 |
EP1729494A3 (en) | 2012-06-06 |
US20070026844A1 (en) | 2007-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8460B1 (ko) | 음향 출력장치 및 음향 출력방법 | |
US6547620B1 (en) |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 |
JP2003023479A (ja) | 携帯無線端末 | |
JP2006042077A (ja) | 携帯通信端末および携帯通信端末の着信音量制御方法 | |
JP4360033B2 (ja) | 通信端末装置 | |
JP2954150B1 (ja) | 携帯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通話装置 | |
JP4502541B2 (ja) | 携帯端末装置 | |
KR100469847B1 (ko) | 다기능 오디오폰 | |
JP4366876B2 (ja) | 通信端末装置 | |
JPH10190789A (ja) | 情報端末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音響装置 | |
JP3751107B2 (ja) | 携帯電話機 | |
JPH08265893A (ja) | マイクロホン感度調整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通信機 | |
JP2957469B2 (ja) | 携帯型無線電話機 | |
KR200258287Y1 (ko) | 다기능 오디오폰 | |
JP2011049747A (ja) |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 |
JP2005341329A (ja) | 携帯電話端末及び携帯電話システム | |
JP2007013876A (ja) | コードレス電話装置 | |
JP2007006387A (ja) | 携帯端末装置 | |
JP2005143051A (ja) | 携帯電話機 | |
KR200247583Y1 (ko) |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 | |
KR19990014640A (ko) | 무선전화 착신 감지 방법 및 시스템 | |
JP4651294B2 (ja) | 携帯端末装置 | |
JP2003087397A (ja) | 録音装置及び携帯型無線通信装置の制御システム | |
JP2001333152A (ja) | 着信通知システム、及び、着信通知方法 | |
JP2002152324A (ja) | 移動体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音声入出力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