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9587B1 -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587B1
KR100769587B1 KR1020060037377A KR20060037377A KR100769587B1 KR 100769587 B1 KR100769587 B1 KR 100769587B1 KR 1020060037377 A KR1020060037377 A KR 1020060037377A KR 20060037377 A KR20060037377 A KR 20060037377A KR 100769587 B1 KR100769587 B1 KR 100769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sensing means
temperature sensing
reg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길
황순하
김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박인길
황순하
김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박인길, 황순하, 김덕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6003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1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G01J5/14Electrical features thereof
    • G01J5/16Arrangements with respect to the cold junction; Compensating influence of ambient temperature or other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8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fluctuations caused by temperature, humidity or pressure, or using cooling or temperature stabilization of parts of the device; Controlling the atmosphere inside a spectrometer, e.g. vacu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6Arrangements for eliminating effects of disturbing radiation;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changes in sensitivity
    • G01J5/061Arrangements for eliminating effects of disturbing radiation;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changes in sensitivity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apparatus or parts thereof, e.g. using cooling means or thermosta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에 관한 것으로 써모 파일을 포함하여 피측정체가 발산하는 적외선을 투광 창으로부터 제공받아 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수단과,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에 마련된 히트 싱크를 포함하고,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온도 감지 수단 상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접속되어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에서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을 감싸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써모 파일을 포함하는 온도 감지 수단의 패키지 외측에 히트 싱크를 마련하여 적외선에 의해 온도 감지 수단 상부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어 주변 온도의 영향 없이 피측정체만의 정확한 온도계측을 실시할 수 있다.
적외선, 온도 센서, 써모파일, 히트 싱크, 열 전도성 패키징부

Description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NON-CONTACT IR TEMPERATURE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저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부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 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단면도.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평면도.
도 1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센서부 200 : 하우징
300, 800 : 열 전도성 패키징부 700 : 투광부
400, 900, 1500 : 히트 싱크
본 발명은 비 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에 관한 것으로, 외측에 메탈 패키징을 형성하여 빠른 응답과 주변 온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온도 계측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 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접촉식과 비접촉식의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접촉식 온도계로는 수은온도계, 알콜온도계, NTC온도계 및 공업용으로는 열전대(Thermocouple) 및 백금측온계 등이 있으며 직접 열원에 접촉할 수 없는 경우나 매우 빠른 온도계측을 위해서는 비접촉식 온도센서소자인 써모파일(Thermopile)을 이용한 온도계를 사용하고 있다.
써모파일의 경우 최근 수은온도계를 대신하여 귓속형 체온계등의 온도 센서 소자로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온도의 정밀계측과 빠른 응답속도와 열원에 직접 닿지 않고도 계측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자동차 내부의 온도 측정 및 가전 기기의 온도측정 등의 다양한 분야로 그 응용범위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써모파일은 두가지 서로 다른 물질의 접점들 즉, 냉접점과 온접점 사이에 온도차가 생기면 온도차의 크기에 비례하는 기전력(thermoelectric power)이 발생한다는 제백효과(seebeck effect)를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한다.
써모 파일을 포함하는 적외선 온도 센서 소자는 실리콘 웨이퍼 상에 써모커플을 박막으로 구현하여 제작된다. 이에 써모 파일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입사되는 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최대한 많은 양 흡수하여야 하고, 또한, 흡수된 에너지를 빼앗기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좀더 정밀한 온도 측정을 위해서는 냉접점의 온도를 정확하게 보상해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종래의 써모 파일 온도 센서의 경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적외선은 온접점 영역뿐만 아니라 실리콘 웨이퍼에도 닿아 실리콘 웨이퍼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로 인한 실리콘 웨이퍼의 열이 온접점으로 복사되어 외부 열원(피측정체)의 순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잘못 인식되어 정밀한 온도 측정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측에 히트 싱크를 두어 패키지 상부의 열을 그 측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하여 정확한 온도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연속 측정시에도 그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측정체가 발산하는 적외선을 투광 창으로부터 제공받아 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수단과,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온도 감지 수단 상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접속되고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에서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을 감싸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측정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보호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온도 감지 수단과,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온도 감지 수단 상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접속되고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에서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을 감싸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측정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실장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를 감싸는 캡부와, 캡부의 상측에 마련된 적외선 투광 창을 구비하는 온도 감지 수단과,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온도 감지 수단 상부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접속되어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에서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을 감싸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히트 싱크의 내측벽과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상측 측벽 영역 사이에 이격 공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 공간은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상측 측벽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히트 싱크의 내측면에 마련된 홈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격 공간에 열 차단 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투광창을 제외한 상부면에 접속된 접속 영역과 상기 온도 감기 수단과 이격되어 이의 측벽 영역으로 연장된 연장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히트 싱크부와,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하측 측벽 영역과 상기 제 1 히트 싱크부의 연장 영역 사이에 접속된 제 2 히트 싱크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 2 히트 싱크부는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하측 영역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트 싱크는 10 내지 500 W/mK의 열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물질은 Fe, Cu, Ag, Au, Ni, Al, Be, C, Ti 및 이를 포함하는 합금과, 열전도성 플라스틱 및 열전도성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히트 싱크는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써모 파일과, 상기 써모 파일과 접속된 NTC 또는 PTC 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온도 감지 센서는, 상부 영역에 써모 파일이 마련된 제 1 반도체 기판과, 상기 제 1 반도체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써모 파일과 접속된 외부 전극 단자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 상측에 마련되고 하부 영역에 상기 써모 파일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갖는 제 2 반도체 기판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 기판은 웨이퍼 본딩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딩 된 상기 센서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과 측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된 열 전도성 패키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상부 영역에 상기 써모 파일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갖는 제 1 반도체 기판과, 상기 제 1 반도체 기판을 관통하는 전극 패드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하부 영역에 상기 써모 파일이 형성된 제 2 반도체 기판과, 상기 써모 파일과 상기 전극 패드를 연결하는 내부 전극이 마련된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 기판은 웨이퍼 본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본딩된 상기 센서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과 측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된 열 전도성 패키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센서부 상부 영역에 본딩된 투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저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평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부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는 반도체 기판(110) 상에 마련된 써모파일(120)을 포함하는 센서부(100), 상기 센서부(100)의 써모파일(120)을 보호하는 하우징(200) 및 웨이퍼 본딩된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의 상부면과 측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된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를 구비하는 온도 감지 수단과,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을 감싸는 통 형상의 히트 싱크(400)를 포함한다. 이때, 히트 싱크(400)와 온도 감지 수단의 상측 측벽 사이 영역에는 이격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하기에서는 센서부(100), 하우징(200) 및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를 구비하는 온도 감지 수단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센서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과, 반도체 기판(110)상에 마련된 써모 파일(120)과, 써모 파일(120)과 접속된 외부 전극(130a, 130b; 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써모 파일(120)은 상기 반도체 기판(110)상에 마련된 복수의 냉접점(124) 및 온접점(122)과, 상기 냉접점(124)과 온접점(122) 사이에 교대로 마련된 제 1 및 제 2 써모 커플선(126, 128)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써모 커플선(126, 128)에 각기 접속된 외부 전극(130)과, 상기 온접점(122) 상에 마련된 적외선 흡수층(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써모 커플선(126, 128)을 포함하는 전체 구조상에 마련된 보호막(129)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 고, 반도체 기판(110) 상부에 마련된 절연막(1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반도체 기판(110)은 몸체부(111)와, 몸체부(111) 중앙에 마련된 공동부(112)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공동부(112) 상부의 상기 절연막(121) 상에 온접점(12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1) 상부의 상기 절연막(121) 상에 냉접점(1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흡수층(140)은 상기 공동부(112)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동부(112)는 반도체 기판(110)의 중앙 영역을 제거하여 형성하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부의 면적보다 하부의 면적이 더 넓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온접점(122)은 상기 공동부(112)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상기 공동부(112)의 형상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기둥을 포함하는 다각 기둥 형상, 원 기둥 형상 및 타원 기둥 형상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부와 하부의 면적이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부의 면적이 하부의 면적보다 더 넓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도체 기판(110)으로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도체 특성의 모든 웨이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절연막(121)은 열 전도도가 낮은 박막을 사용하되, 본 실시예에서는 실리콘 질화막(SixNx), 실리콘 산화막(SiOx), 불화물계막(MgF2, CaF2, BaF2), 알루미늄 산화막(Al2O3), 실리콘 카바이드막(SiC) 및 폴리이미드와 같은 폴리머 계열의 물질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박막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연막(121)은 복수의 박막이 적층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의 절연막(121)은 상기 반도체 기판(110) 전면에 형성되어 그 상부에 온접점(122)과 냉접점(124)이 마련될 수도 있고, 반도체 기판(111)의 중앙영역에만 형성되어 온접점(122)은 절연막(121) 상에 마련되고, 냉접점(124)은 반도체 기판(111) 상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의 제 1 및 제 2 써모커플선(126, 128)은 직렬로 연결되고, 각 써모커플의 각 구성물질들은 큰 열기전력을 가지며, 제 1 및 제 2 써모커플선(126, 128)은 열 기전력이 반대의 극성을 갖는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써모커플선(126, 128)은 온접점(122)과 냉접점(124)에 교차하여 위치하고, 온접점(122)과 냉접점(124)은 열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온접점(122)과 냉접점(124) 사이에 교대로 제 1 및 제 2 써모 커플선(126, 128)이 직렬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1 온접점과 제 1 냉접점 사이에 제 2 써모 커플선이 접속되고, 제 1 냉접점과 제 2 온접점 사이에 제 1 써모 커플선이 접속되고, 제 2 온접점과 제 2 냉접점 사이에 제 2 써모커플선이 접속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써모커플선(126, 128)으로 반도체막 및 금속박막을 사용하거나 제 1 금속박막 및 제 2 금속박막을 사용한다. 즉, 제 1 및 제 2 써모커플선(126, 128)으로 실리콘막 및 알루미늄막, 게르마늄막 및 알루미늄막, Cr막 및 Al막, Pt막 및 Rh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막으로는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막을 사용할 수도 있고, 폴리 실리콘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써모 커플 대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초전 소자 등을 포함하는 온도계측용 열 전 변환 소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써모커플선(126, 128)을 적층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 1 써모 커플선(126)은 제 1 외부 전극(130a)과 접속되고, 제 2 써모 커플선(128)은 제 2 외부 전극(130b)과 접속된다.
이때, 상기 외부 전극(130)은 상기 써모 커플과 접속된 전극부(131)와, 상기 전극부(131)와 접속되어 외부 회로와 접속될 패드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부(13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고, 패드부(132)는 상기 전극부(131) 하측의 반도체 기판(110)을 관통하여 기판(110) 하측으로 노출연장된 형태로 마련된다. 즉, 패드부(132)는 상기 반도체 기판(110)과, 절연막(121)을 관통하여 마련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부 회로와 접속될 패드부(132)가 센서의 하부 바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외부로 노출된 패드부(132)는 범프 형태로 마련되어 하부 회로와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적외선 흡수층(1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접점(122) 상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의 적외선을 흡수하여 온접점(122)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러한 적외선 흡수층(140)은 Ni, Co, Fe, Se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 또는 Al, Au, C, Bi, Ir, Ru, RuOx 및 IrOx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외선 흡수층(140)과 온접점(122) 사이에 보호막(129)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센서부(100)는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부(100)의 온도 센싱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요소들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반도체 기판(110)의 몸체부(111) 상에 별도의 열선을 마련하여 몸체부(111)의 온도를 일정 레벨로 유지하여 냉접점(123)의 온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열선을 상기 몸체부(111)에 형성한 다음 이를 써모 파일(120)과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열 차단부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1)의 일측에는 별도의 써미스터(NTC, PTC) 소자가 마련되어 냉접점 영역의 온도를 정확하게 보상해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써미스터 소자는 써모 파일(120)과 분리되어 몸체부(111)의 일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써모 커플선(126, 128)과 동일 면상에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써미스터 소자는 상기 써모파일(120)과 직렬 접속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센서부(100)를 보호하는 하우징(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와, 몸체부(210) 하측에 상기 써모파일(120)과 대응하는 오목부(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의 상측면에는 반사 방지막(23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오목부(220)의 내측면에도 반사 방지막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0)으로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200)과 센서부(100)를 적층 시킨 다음 이들을 웨이퍼 본딩을 통해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0) 상측 부분에 조사된 적외선에 의해 발생한 열이 웨이퍼 본딩된 하우징(200)과 센서부(100)의 몸체부(111, 210)를 통해 아래로 빠르게 전도되고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즉, 실리콘 웨이퍼 사이가 완전하게 본딩이 되어 열전도도가 상승되므로 하우징 상측의 열을 신속하게 소자의 바닥면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의 웨이퍼 본딩 즉, 실리콘 직접 본딩 방법을 통해 상기 하우징(200) 웨이퍼와 센서부(100) 웨이퍼를 본딩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높을 열전도성을 갖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200)과 센서부(10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210)는 센서부(100)와 동일한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면체 및 원기둥과 같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그리고, 하우징(200)은 그 하측에 소정의 오목부(220)를 두어 외부의 적외선이 하우징(200)을 관통하는 거리를 줄이고, 써모 파일(120)을 열적으로 고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오목부(220)에 의해 적외선이 온접점(122)에 집중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오목부(2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220)의 개구부의 면적이 바닥면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구부와 바닥면의 면적이 동일할 수도 있고, 개구부의 면적보다 바닥면의 면적이 더 넓을 수도 있다. 상기 오목부(220)는 상기 하우징(200)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고, 오목부(220)에 의해 그 두께가 얇아진 영역이 투과창으로 작용한다. 상기 반사 방지막(230)은 상기 투과창 영역 즉, 오목부(220)의 바닥면 상부 영역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구조의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이 웨이퍼 본딩되어 결합된 구조물의 상부면의 일부와 측벽면 영역에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가 형 성된다.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는 다양한 반도체 박막 형성 공정을 통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500 W/mK의 열 전도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로 Fe, Cu, Ag, Au, Ni, Al, Be, C, Ti 및 이를 포함하는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스퍼터링(sputting)법, 증착(evaporation)법, CVD법 등을 통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 상측의 투과창 즉, 오목부(220) 상부 영역을 제외한 상부면 상에 마련되고, 하우징(200)의 몸체부(210)와 센서부(100)의 몸체부(111) 측벽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는 하우징(200) 상부면의 열을 소자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시키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열원의 온도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계측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적외선은 하우징(200)의 상부면에 먼저 조사되어 상부면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와 같은 열이 적외선 형태로 다시 써모파일(120)의 온접점에 복사되어 순수한 외부 열원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인식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우징(200) 상부면의 일부와, 하우징(200)과 센서부(100)의 측벽면에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가 마련되어 있을 경우, 하우징(200) 상부면에서 발생된 열은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를 통해 빠르게 하부 영역까지 전도 및 방출될 수 있어 순수한 외부 열원에 의한 온도만이 측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센서의 투광창을 제외한 영역으로 조사된 적외선에 의해 발생된 열은 써모 파일(120)의 온접점(122)에 추가의 열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피측정체의 정밀 온도 계측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 감지 수단의 상부 영역과 측면 영역에 히트 싱크(400)를 마련하여 투광창 이외의 영역으로 조사된 적외선에 의한 열을 온도 감지 수단 하부로 배출시켜 온도 감지 수단이 외부 영향 없이 피측정체 만의 정확한 온도 계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00)에 냉접점(123)의 온도 보상용으로 써미스터(NTC, PTC) 소자가 장착될 경우를 생각하면, 써미스터 소자는 박막 써모 파일(120)보다는 열 용량이 크므로 연속적인 측정을 위해서는 써미스터 소자에 축적된 열을 빠르게 외부로 방출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예에서는 써미스터 소자가 장착된 센서부(100)에 접속된 히트 싱크(400)의 하부 영역의 부피를 크게 하여 써미스터 소자의 열 방출을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히트 싱크(400)에 관해 설명한다.
히트 싱크(40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원형 통 형상으로 제작되고, 그 내측면 상측 영역에는 홈부(43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홈부(430)가 마련된 원통형의 히트 싱크(400) 내측으로 온도 감지 수단이 삽입 장착됨으로 인해 온도 감지 수단의 측벽면과 이격된 이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히트 싱크로는 10 내지 500 W/mK의 열 전도성을 갖는 다양한 물 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Fe, Cu, Ag, Au, Ni, Al, Be, C, Ti 및 이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히트 싱크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열전도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등의 물질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히트 싱크(400)의 형상은 내부가 비어있는 다각형 및 타원형의 통 형상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내부에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과 온도 감지 수단의 상측 측벽 영역에서 이격된 공간을 갖는 다양한 구조와 형상이 가능하다.
본 실시에에서는 히트 싱크(400)는 조립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히트 싱크(400)를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히트 싱크부(410, 420)로 분리하여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 히트 싱크부(410)는 온도 감지 수단의 상부면에 접속된 접속부(411)와 온도 감지 수단과 이격되어 이의 측벽 영역으로 연장된 연장부(412)를 포함한다. 제 2 히트 싱크부(420)는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하측 측벽 영역과 연장부(412) 사이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감지 수단의 상부면과 접속하는 접속부(411)의 중앙에는 적외선이 투과하는 관통부(413)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관통부(4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 상층부의 투과창을 노출시키는 원형 형상으로 제작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관통부(413)의 크기는 하우징(200) 상측부의 투광 창과 같거나 큰 크기로 제작하여 투광 창을 투과하는 적외선의 양에 변화를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412) 내부 공간의 지름이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길이보다 크게 제작하여 상기 연장부(412)와 온도 감지 수단 간을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412)와 온도 감지 수단의 이격 공간의 하측 영역에 제 2 히트 싱크부(420)를 삽입 장착하여 제 1 히트싱크부(410)와 온도 감지 수단 간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히트 싱크부(420)는 원형 링 형상으로 제작하되, 그 내측영역은 상기 온도 감지 수단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측 영역에는 제 1 히트 싱크부(410)의 연장부(412)를 고정할 수 있는 소정의 단 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 1 히트 싱크부(410)와 온도 감지 수단간을 고정시킬 수 있고, 제 1 히트 싱크부(410)와 온도 감지 수단의 하측 측벽 영역간을 열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즉, 제 1 히트 싱크부(410)는 온도 감지 수단의 상부 영역에만 접속되고, 그 측벽 영역에서는 온도 감지 수단에서 이격되어 있다. 하지만, 제 2 히트 싱크(420)의 경우 온도 감지 수단의 하측 측벽 영역과 제 1 히트 싱크(410)의 연장부(412)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인해 온도 감지 수단 상부 영역의 열을 제 1 및 제 2 히트 싱크(410, 420)를 통해 온도 감지 수단의 하부 영역으로 빠르게 전도시켜 상부 영역의 열에 의한 센서부(100)의 감지 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 감지 수단 외측에 일 정 두께의 금속성의 히트 싱크(400)를 마련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온도 감지 수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히트 싱크를 배선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히트 싱크(410)는 온도 감지 수단의 상측 측벽 영역과 이격 공간을 마련되고, 이 이격 공간이 열차단 역할을 하여 제 1 히트 싱크(410)의 연장부(412)를 따라 전도되는 열에 의해 온도 감지 수단 상부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격 공간 내에 별도의 열차단 물질을 마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하우징부(200)와 상기 제 1 히트 싱크간(410)을 이격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제 2 히트 싱크(420)를 통해 센서부(100)와 열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열 전도성 패키지(300)를 생략할 수 있다. 이때, 웨이퍼 본딩된 하우징부(200)와 센서부(100)의 외측에 상기 히트 싱크(400)를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히트 싱크(400)와 온도 감지 수단 간을 결합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히트 싱크부(410, 420) 간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의 광투과부를 제외한 영역으로 조사된 적외선에 의해 발생한 열을 센서의 하부 영역으로 빠르게 전도, 방출하여 정밀한 온도 계측을 할 수 있는 비 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는 박막의 증착 및 패터닝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을 통해 온도 감지 센서를 제작한 다음, 온도 감지 센서의 외측에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작된 히트 싱크를 장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 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 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10)상에 써모 파일(120)이 형성된 센서부(100)를 마련하고, 센서부(100)의 써모 파일(120)에 대응하는 오목부(220)를 갖는 하우징(200)을 마련한다.
센서부(100)의 제조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도체 기판(110)의 상부면에 열 전도도가 낮은 박막을 사용하여 절연막(121)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리콘 질화막 및 실리콘 산화막을 복수층으로 증착하여 상기 절연막(12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산화막은 압축 응력(compress stress)을 가지고 질화막은 인장응력(tensile stress)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복수층으로 적층하게 되면 서로의 스트레스를 보상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절연막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절연막(121) 형성 전에 상기 반도체 기판(110)의 표면에 열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110)을 패터닝 하여 공동부(112)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절연막(121)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10)을 뒤집은 다음 그 표면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과 현상 공정을 실시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중앙 영역을 개방하는 감광막 마스크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감광막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노출된 반도체 기판(110)을 식각하여 공동부(11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반도체 기판(110)의 반대 영역에 마련된 절연막(121)이 식각 정지막이 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반도체 기판(110)의 식각은 KOH 수용액을 포함하는 에천트 를 이용한 습식 식각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습식 식각을 통해 기판 밑면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진 측벽을 갖는 공동부(112)가 마련된다. 이때, 반도체 기판(110)의 몸체부(111) 양가장자리에 외부 전극(130)의 패드부(132)가 마련될 관통공을 함께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공동부(112) 형성을 위해 상기 반도체 기판(110)의 하부면에 별도의 배리어막(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막(121) 상에 써모파일(120)을 형성하고, 써모 파일(120)과 접속되는 외부 전극(130)의 전극부(131)를 형성한다. 절연막(121) 상에 제 1 및 제 2 써모 커플선(126, 128)을 차례로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공동부(112) 상측에 온접점(122)이 마련되고 몸체부(111) 상측에 냉접점(124)이 마련되며, 냉접점(124)과 온접점(122)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써모 커플선(126, 128)이 교대로 직렬 접속된 써모 파일(1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여 기판(110)의 몸체부(111) 양가장자리에 써모 파일(120)과 접속되는 외부 전극(1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외부 전극(130)의 전극부(131)와 패드부(132) 사이에 절연막(121)이 마련된 경우 이들 간의 접속을 위해 절연막(121)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1) 양가장자리에 마련된 관통공 내부를 도전성 물질로 매립하거나 그 측벽에 도전성 물질을 마련하여 반도체 기판(110)의 저면에 외부와 접속되는 패드를 갖는 외부 전극(1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NTC 또는 PCT 소자도 함께 제작할 수도 있고, 여기서, 상술한 반도체 기판(110)의 공동부(112) 제작을 위한 기판 식각 공정은 상기 써모 파일(120) 형성 공정 후에 실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써모 파일(120)이 마련된 절연막(121) 상에 보호막(129)을 형성한 다음 보호막(129) 상에 적외선 흡수층(140)을 형성한다. 적외선 흡수층(140)은 Al, Au, C, Bi, Ir, Ru, RuOx, IrOx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보호막(129) 상에 형성한 다음 이를 패터닝 하여 써모 파일(120)의 온접점(122) 영역을 덮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조 방법을 통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센서부(100)를 제작한다.
한편, 하우징(200)의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도체 기판 즉 몸체부(210)의 하부영역 일부를 제거하여 오목부(220)를 형성한다. 즉, 반도체 기판의 하부면에 반도체 기판의 일부를 노출하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다음 이를 식각 마스크로 하는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노출된 영역의 반도체 기판의 일부를 제거하여 오목부(220)를 형성한다. 이때, 제거되는 반도체 기판의 폭은 전체 반도체 기판 폭의 1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광막 패턴은 앞서 설명한 공동부(112) 형성을 위한 감광막 패턴과 동일한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개구부가 이보다 더 작거나 큰 감광막 패턴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후,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 상에 반사 방지막(230)을 형성하여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우징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반사 방지막(230)은 오목부(220) 내측면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웨이퍼 본딩 방법을 통해 반도체 기판(110) 상에 써모 파 일(120)이 형성된 센서부(100)와, 써모 파일(120)에 대응하는 오목부(220)를 갖는 하우징(200)을 본딩한다.
센서부(100)의 몸체부(111)를 이루는 실리콘 웨이퍼와, 하우징의 몸체부(210)를 이루는 실리콘 웨이퍼를 실리콘 직접 본딩(Silicon Direct Bonding; SDB) 방식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소정의 지그에 센서부(100)의 상부면과 하우징(200)의 하부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센서부(100)와 하우징(200)를 올려놓은 다음 이들을 정렬 밀착시킨 후 압력을 가하여 센서부(100)와 하우징(200)간을 본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본딩 공정은 진공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딩 공정시 300 내지 1500도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진공 분위기와 약 800 내지 1200도의 온도하에서 상기 센서부(100)와 하우징(200)를 가압하여 이들을 본딩시킬 수 있고, 진공 분위기와 약 300 내지 500도의 온도하에서 상기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을 가압하여 이들간을 본딩시킬 수도 있다. 300 내지 500도의 온도로 가압하는 경우 두 웨이퍼 사이에 100 내지 10000V의 고전압을 인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의 중앙영역에는 오목부(220)가 마련되고, 가장자리 영역에 본딩될 몸체부(210)가 마련된 하우징(200)과, 상부의 중앙 영역에는 패턴(써모파일, 적외선 흡수층등)이 마련되고, 가장자리 영역에 본딩될 몸체부(111)가 마련된 센서부(100)간을 본딩하기 때문에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의 가장자리 영역의 실리콘들이 직접 본딩된다. 그리고, 센서부(100) 상측의 패턴들은 하우징(200) 내의 오목부(220)안에 들어가게 되어 웨이퍼 상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상태에서 웨이퍼 본딩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실리콘 재료끼리 완전 본딩이 이루어지게 되어 하우징(200) 상측의 열을 몸체부(111, 210)를 통해 센서부(100) 하측으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고,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의 부착을 위한 별도의 접착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은 각기 단일의 웨이퍼 상에 복수개가 동시에 형성되고, 이들이 각기 개개로 절단되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앞서 설명한 웨이퍼 본딩을 위한 장치에 개개로 절단된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을 배치한 다음 이들을 각각 본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기 복수의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이 형성된 웨이퍼를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복수의 센서부(100)가 형성된 웨이퍼와 복수의 하우징(200)이 형성된 웨이퍼를 웨이퍼 본딩 공정을 통해 본딩시킨 다음 본딩된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을 개개의 소자별로 절단할 수도 있다.
물론 상술한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은 웨이퍼 본딩을 통해 본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열전도 특성이 우수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본딩할 수도 있다. 즉, Ag, Be, Cu, Au 및 이를 포함하는 합금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에폭시(epoxy) 또는 열 전도성 유리 페이스트(glass paste)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딩된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의 상부면 및 측벽면의 일부에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온도 감지 수단이 제조된 다.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 형성을 위해 본딩된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을 소정의 지그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하우징(200) 상부면의 중앙 영역을 차폐하는 마스크(미도시)를 마련한 다음 10 내지 500 W/mK의 열 전도성을 갖는 물질막을 스퍼터링(sputting)법, 증착(evaporation)법, CVD법 등을 통해 상기 본딩된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의 표면영역에 증착하여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딩된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의 상부면의 일부와 측벽면에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마스크를 통해 차폐되는 영역은 적외선이 쉽게 투과할 수 있는 하우징(200)의 오목부(220)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마스크를 통해 차폐되는 영역에는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가 형성되지 않게 되어 적외선의 투과가 더욱 용이해진다. 이를 통해 적외선은 하우징(200)의 오목부(220)를 투과하여 오목부(220) 하부에 마련된 적외선 흡수층(140)에 흡수되어 온접점(122)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적외선에 의해 하우징(200) 상측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지만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에 의해 상승된 열은 모두 아래로 전도 방출되어 정확한 온도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마스크는 상술한 패턴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부(10)의 적외선 흡수 영역에 많은 양의 적외선이 도달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형상의 패턴이 가능하다. 그리고,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로는 Fe, Cu, Ag, Au, Ni, Al, Be, C, Ti 및 이를 포함하는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의 두께는 0.1 내지 10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 기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는 건식 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복수의 본딩된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을 이들을 지지하는 지그 상에 배치한 다음 마스크를 정렬 배치한 후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를 형성함에 관해 설명하였다. 즉, 개개로 절단되고 본딩된 센서부(100)와 하우징(200)의 외측면에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를 형성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센서부(100)가 형성된 웨이퍼와 복수의 하우징(200)이 형성된 웨이퍼 간을 본딩한 다음 본딩된 웨이퍼의 일부를 제거하여 개개의 소자간을 분리한다. 예를 들어 본딩된 웨이퍼의 전체 두께가 1일 경우 인접한 소자 사이 영역의 웨이퍼를 0.6 내지 0.95 두께만큼 제거하여 소자간을 분리한다. 이후, 하우징(200) 상부에 마스크를 형성하고 전체 구조상에 열 전도성 패키징부(300)를 형성한 다음 절단 공정을 통해 소자간 분리된 영역을 기준으로 웨이퍼를 절단하여 개개의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에 히트 싱크(400)를 부착하여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를 제조한다.
내측벽 영역에 홈부(430)가 마련된 히트 싱크(400) 내부에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을 장착한다. 이때, 온도 감지 수단의 상부 영역과 하측 측벽 영역이 상기 히트 싱크(400)와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온도 감지 수단의 상부 영역 중 투광창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상기 히트 싱크(400)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측벽의 전체 높이가 1일 경우 상기 하측 측벽 영역과 접속되는 상기 히트 싱크(400)의 높이는 온도 감지 수단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0.1 내지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감지 수단의 센서부(100) 측벽 영역에 상기 히트 싱크(400)가 접속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히트 싱크(400)가 분리된 경우에는 제 1 히트 싱크(410)의 접속부(411)에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상부 영역이 접속되도록 장착하고, 제 1 히트 싱크(410)의 연장부(412) 끝단과 온도 감지 수단의 하측 측벽 영역에 접속되도록 제 2 히트 싱크(420)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수단을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한 반도체 제조 공정을 통해 제작한 다음 온도 감지 수단의 상부 영역과 하측 측벽 영역과 열적으로 접속되는 히트 싱크를 부착시켜 온도 센서의 온도 계측의 정밀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써모파일의 열적 고립 그리고, 반도체 제조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에 관해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중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제 2 실시예의 설명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 접촉시 적외선 온도 센서는 오목부(512)와 전극 패드(520, 530)를 포함하는 하우징, 써모 파일(621, 622)을 포함하는 센서부, 적외선을 투과하는 투광부(700) 및 웨이퍼 본딩된 투광부(600), 센서부 및 하우징의 상부면과 측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된 열 전도성 패키징부(800)를 구비하는 온도 감지 수단과,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을 감싸는 통 형상의 히트 싱크(900)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 감지 수단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500)은 몸체부(511)와 오목부(512)를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510)과, 반도체 기판(510)의 가장자리 영역을 관통하여 마련된 전극 패드(520, 530)를 포함한다. 상기 오목부(512)는 반도체 기판(510)의 상측 중앙 영역 일부를 제거하여 제작하되, 개구부의 면적이 오목부(512) 바닥면의 면적보다 넓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600)는 반도체 기판(610)과, 반도체 기판 하부에 마련된 써모 파일(621, 622)과, 써모 파일(621, 622)과 접속되는 내부 전극(631, 6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써모 파일(621, 62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써모 파일(621, 622)을 기준으로 그 하측에 하우징의 오목부(512)가 마련되어 열적으로 고립될 수 있고, 그 상측에는 반도체 기판(610)의 공동부(612)가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을 온접점(622) 상에 마련된 적외선 흡수층(640)에 집중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공동부(612)의 내 측벽면에 광반사 특성이 우수한 물질을 코팅하여 적외선 흡수층(640)으로 흡수되는 적외선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투광부(700)는 얇은 판 형상으로 제작하여 센서부 상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부는 상기 공동부(612)에 대응하는 투광창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광부(700)로 본 실시예에서는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투광부(700)에는 서로 다른 물질의 표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막(미도시)이 코팅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한 파장의 광만을 투과하는 간섭 필터막(미도시)이 그 표면에 코팅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투광부(700)를 생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 센서부 및 투광부(700)를 순차적으로 웨이퍼 본딩을 통해 결합하여 실리콘 간의 완전한 본딩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투광부(600), 센서부 및 하우징 간의 열전도도를 상승시켜 외부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투광부(700)의 표면에서 발생한 열을 하우징 하부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어 자외선이 조사된 투광부(700) 영역에서 발생한 열로 인한 온도 센서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열 전도성 패키징부(800)는 웨이퍼 본딩된 하우징, 센서부 및 투광부(700)의 상부면의 일부와 측벽면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부(700) 상부면에 마련되는 열 전도성 패키징부(800)는 하부 센서부의 몸체부(511)와 대응하는 패턴으로 마련되어 적외선의 유입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투광부(700)의 투광창을 가리지 않도록 그 외측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에 마련된 히트 싱크(900)에 관해 설 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 싱크(900)는 온도 감지 수단의 상측 영역의 일부와 접속되는 접속부(910)와, 상기 접속부(910)에서 연장되어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측벽 영역에 접속된 연장부(9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장부(920) 내측면의 일부에는 열 차단 부재(921)가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접속부(910)는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투과창에 대응하는 관통부가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투과창을 제외한 영역의 상부 영역은 상기 히트 싱크(900)와 접속된다.
그리고, 온도 감지 수단의 측벽 영역에도 히트 싱크(900)가 마련되지만, 연장부(920) 내에 마련된 열 차단부재(921)에 의해 온도 감지 수단의 하측 측벽 영역에만 히트 싱크(900)가 접속된다.
이때, 상기 열 차단 부재(9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920)의 내측벽 영역 중 온도 감지 수단의 상측 측벽과 접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열 차단 부재(921)는 히트 싱크(900)를 통해 전도되는 열이 온도 감지 수단의 내측으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 차단 부재(921)는 상기 연장부(920)의 내측 벽 영역 일부에 홈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열 차단 물질을 형성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 차단 부재(921)를 통해 상기 히트 싱크(900)는 도면에서와 같이 온도 감지 수단의 하우징 영역에 열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히트 싱크(900)로 인해 투광부(700) 상측의 열을 외부(센 서의 하부)로 빠르게 방출시킬 수 있고, 히트 싱크(900)를 통해 전도되는 열에 의한 영향을 줄여 온도 센서의 온도 계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오목부(512)와 전극 패드(520, 530)를 갖는 하우징(500)을 마련하고, 오목부(512)에 대응하는 영역에 써모 파일(621, 622)이 마련된 센서부(500)와, 자외선을 투과하는 투광부(700)를 마련한다. 이때, 상술한 투광부(700)는 투광성 반도체 기판을 판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하우징과, 센서부와, 투광부(700)를 웨이퍼 본딩을 통해 결합시킨다. 이후, 본딩된 하우징, 센서부 및 투광부(700)의 상부면 및 측벽면의 일부에 열 전도성 패키징부(800)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지 수단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공정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반도체 제조 공정을 응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온도 감지 수단 외측에 히트 싱크(900)를 부착하여 본 실시예의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를 제조한다. 즉, 원형 통 형상의 히트 싱크(900) 내부에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을 삽입 장착한다. 히트 싱크(900)의 연장부(920) 내에 마련된 열 차단부재(921)가 온도 감지 수단의 상측 측벽 영역과 접해 있기 때문에 히트 싱크(900)는 상기 영역을 제외한 온도 감지 수단의 상부 영역과 하측 측벽 영역과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수단을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한 반도체 제조 공정을 통해 제작한 다음 온도 감지 수단의 상부 영역과 하측 측벽 영역과 열적으로 접속되는 히트 싱크를 부착시켜 온도 센서의 온도 계측의 정밀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써모파일이 금속성의 베이스 상에 실장되고, 이를 금속성의 캡으로 밀봉한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에 히트 싱크를 장착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에 관해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중 앞선 실시예들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제 3 실시예의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의 저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 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는 베이스부(1100)와, 상기 베이스부(1100) 상에 실장된 써모파일(1200)과, 상기 써모파일(1200)이 실장된 베이스부(1100)을 감싸는 캡부(1300)와, 상기 캡부(1300)의 상측에 마련된 적외선 투과창(1400)과, 상기 베이스부(1100)를 관통하여 상기 써모파일(1200)에 접속된 복수의 리드 단자(1230)를 구비하는 온도 감지 수단과,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을 감싸는 히트 싱크(15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0)와 캡부(1300)는 금속성의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1100)의 상부 표면에는 칩 형태의 써모 파일(1200)이 실장된 다. 이때, 칩 형태의 써모 파일(1200)은 온접점과 냉접점을 연결하는 써모커플을 포함하고, 외부 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100)의 상부 표면에는 온도 보상을 위해 NTC 소자(1210)와 같이 온도에 따라 그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는 소자가 실장될 수도 있다. 또한, 써모 파일(1200)로 부터 전송된 신호의 증폭을 위한 증폭 회로가 실장될 수도 있다.
캡부(13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하고, 원통의 내측에는 베이스부(11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1100)에 실장된 써모 파일(1200)과 대응하는 적외선 투과창(1400)이 상기 캡부(1300)의 상측 영역의 일부를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외선 투과창(1400)은 적외선 광선을 투과시켜 써모 파일(12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투과창(1400)으로 적외선 필터층이 코팅된 단결정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캡부(1300)의 내부에는 내부 소자의 산화 방지를 위해 질소 또는 아르곤등의 가스로 충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1300)와 베이스부(1100)를 관통하여 복수의 리드 단자(1230)가 마련되고, 상기 리드 단자(1230)와 베이스부(1100) 상에 실장된 소자간이 와이어(1240, 125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1100)와 캡부(1300)가 금속성의 물질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리드 단자(1230)의 외측 표면에는 절연성 물질이 마련되어 이들 간을 전기적 으로 절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리드 단자(1230)가 관통하는 베이스부(1100) 및 캡부(1300)의 표면에 절연성 물질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100) 상부에 실장되는 써모파일(1200)의 하부면에도 절연성 물질이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에 히트 싱크(1500)를 장착하여 온도 감지 수단 상부의 열을 외부로 빠르게 방출시켜 정밀한 온도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 수단 즉, 캡부(1300)의 상부 영역의 일부와 측벽 영역 및 하부 영역의 일부를 감싸도록 히트 싱크(1500)를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에 마련한다. 이때, 히트 싱크(1500)는 온도 감지 수단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그리고, 하측 측벽 영역의 일부와 접속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히트 싱크(1500)를 통해 전도되는 열이 캡부의 측면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 싱크(1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1300)의 상부 영역과 접속하고 측벽 영역으로 연장된 제 1 히트 싱크부(1510)와, 상기 캡부(1300)의 하측 측벽 영역과 제 1 히트 싱크부(1510) 사이를 연결하고 캡부(1300)의 하부 영역으로 연장된 제 2 히트 싱크부(1520)를 포함한다. 제 1 히트 싱크부(1510)와 캡부(1300)의 하부 영역 사이로 제 2 히트 싱크부(1520)의 일부가 삽입 장착됨으로 인해 캡부(1300)의 상측 측벽 영역과 제 1 히트 싱크부(1510)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히트 싱크부(1510)는 그 단면이 'ㄱ'자 형상이고, 제 2 히트 싱크부(1520)는 그 단면이 'ㄴ'자 형상인 것이 바 람직하다.
여기서, 제 1 히트 싱크부(1510)는 캡부(1300)의 적외선 투과창(1400)을 제외한 영역과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캡부(1300)의 측면 전체를 감싸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히트 싱크부(1520)는 캡부(1300)에 마련된 베이스부(1100) 영역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캡부(1300)의 하측 측벽 영역과 하부 영역(즉 바닥면)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2 히트 싱크부(1520)는 캡부(1300) 하단으로 노출된 리드 단자(1230)와 절연 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캡부(1300)의 상측으로 조사된 적외선 중 일부는 적외선 투광창(1400)을 통해 써모 파일(1200)에 인가되고 나머지는 캡부(1300) 상부의 열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캡부(1300) 상부에서 발생된 열은 캡부(1300) 상부와 접속된 제 1 히트 싱크부(1510)에 의해 캡부(1300)의 측벽 영역으로 이동한다. 이후, 제 1 히트 싱크부(1510)를 따라 캡부(1300)의 측벽 영역으로 이동한 열은 제 2 히트 싱크부(1520)와 제 2 히트 싱크부(1520)와 열적으로 접속된 베이스부(1100)에 의해 빠르게 외부로 방출된다. 이를 통해 캡부(1300) 상부에서 발생한 열이 써모 파일(1200)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써모 파일(1200) 하부를 통해 외부로 방출됨으로 인해 정확한 온도 계측이 가능해진다. 또한, 히트 싱크(1500) 그리고, 이와 열적으로 접속된 베이스부(1100)의 열용량은 써모 파일(1200)은 물론 NTC 소자(1250)에 비하여 매우 큰 열 용량을 갖기 때문에 이들이 갖는 열을 빠르게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어 연속적인 정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히트 싱 크(1500)를 열 전도성이 우수하고 외부 충격에 강한 금속성의 물질을 사용하여 온도 감지 수단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 싱크(15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 및 제 2 히트 싱크부(1510, 1520)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히트 싱크(1500)와 캡부(130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방열 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히트 싱크(1500)를 금속성의 재료로 사용할 경우 상기 캡부(1300)를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성 물질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써모 파일을 포함하는 온도 감지 수단의 패키지 외측에 히트 싱크를 마련하여 적외선에 의해 온도 감지 수단 상부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써모 파일을 포함하는 온도 감지 수단을 반도체 공정을 통해 제작하여 이를 구성하는 각부간의 열 전도도를 상승시켜 온도 감지 수단 상부에서 발생한 열을 하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감지 수단 상부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하여 주변 온도의 영향 없이 피측정체만의 정확한 온도계측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히트 싱크와 온도 감지 수단의 측벽 영역의 일부를 이격시켜 히트 싱크를 통해 전송되는 열에 의한 온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감지 수단 내에서 사용하는 소자에 축적된 열을 히트 싱크 또는 이와 접속된 베이스부를 통해 외부로 빠르게 방출하여 연속적인 정밀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히트 싱크를 온도 감지 수단의 외측면에 마련하여 외부 충격으로 부터 온도 감지 수단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17)

  1. 피측정체가 발산하는 적외선을 투광 창으로부터 제공받아 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수단;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투광창을 제외한 상부면에 접속된 접속 영역과 상기 온도 감지 수단과 이격되어 이의 측벽 영역으로 연장된 연장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히트 싱크부와,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하측 측벽 영역과 상기 제 1 히트 싱크부의 연장 영역 사이에 접속된 제 2 히트 싱크부를 구비하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2. 피측정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보호하고 적외선 투광창이 마련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온도 감지 수단;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투광창을 제외한 상부면에 접속된 접속 영역과 상기 온도 감지 수단과 이격되어 이의 측벽 영역으로 연장된 연장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히트 싱크부와,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하측 측벽 영역과 상기 제 1 히트 싱크부의 연장 영역 사이에 접속된 제 2 히트 싱크부를 구비하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3. 피측정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실장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를 감싸는 캡부와,
    캡부의 상측에 마련된 적외선 투광 창을 구비하는 온도 감지 수단;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투광창을 제외한 상부면에 접속된 접속 영역과 상기 온도 감지 수단과 이격되어 이의 측벽 영역으로 연장된 연장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히트 싱크부와,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하측 측벽 영역과 상기 제 1 히트 싱크부의 연장 영역 사이에 접속된 제 2 히트 싱크부를 구비하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트 싱크부의 연장 영역과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측벽 영역 사이에 이격 공간을 갖는 비 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격 공간에 열 차단 부재가 마련된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7. 삭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히트 싱크부는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의 하측 영역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9. 삭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Fe, Cu, Ag, Au, Ni, Al, Be, C, Ti 및 이를 포함하는 합금과, 열전도성 플라스틱 및 열전도성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11. 삭제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은 써모 파일과, 상기 써모 파일과 접속된 NTC 또는 PTC 소자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은,
    상부 영역에 써모 파일이 마련된 제 1 반도체 기판과, 상기 제 1 반도체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써모 파일과 접속된 외부 전극 단자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 상측에 마련되고 하부 영역에 상기 써모 파일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갖는 제 2 반도체 기판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 기판은 웨이퍼 본딩을 통해 결합된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14. 삭제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부 영역에 상기 써모 파일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갖는 제 1 반도체 기판과, 상기 제 1 반도체 기판을 관통하는 전극 패드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하부 영역에 상기 써모 파일이 형성된 제 2 반도체 기판과, 상기 써모 파일과 상기 전극 패드를 연결하는 내부 전극이 마련된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 기판은 웨이퍼 본딩을 통해 결합된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16. 삭제
  17. 삭제
KR1020060037377A 2006-04-25 2006-04-25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KR100769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377A KR100769587B1 (ko) 2006-04-25 2006-04-25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377A KR100769587B1 (ko) 2006-04-25 2006-04-25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587B1 true KR100769587B1 (ko) 2007-10-23

Family

ID=3881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377A KR100769587B1 (ko) 2006-04-25 2006-04-25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58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615B1 (ko) 2011-10-20 2013-10-1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측정기 및 온도 측정 방법
CN108702402A (zh) * 2017-03-16 2018-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红外温度传感器及终端
KR101972882B1 (ko) * 2018-07-11 2019-04-26 (주) 은성하이텍 고장위치별 진단이 가능한 등기구 고장감지시스템
CN112629672A (zh) * 2020-12-31 2021-04-09 西人马联合测控(泉州)科技有限公司 一种传感器及测温装置
US11516326B2 (en) 2016-03-25 2022-11-29 Lg Innotek Co., Ltd. Sensor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230135289A (ko) 2022-03-16 2023-09-25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비접촉식 온도센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8040A (ja) 1998-03-12 1999-09-24 Omron Corp サーモパイル型赤外線センサ
JP2000298060A (ja) 1999-04-14 2000-10-24 Murata Mfg Co Ltd 赤外線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17020A (ja) 2002-09-24 2004-04-15 Mitsubishi Electric Corp 赤外線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20040097288A (ko) * 2002-04-06 2004-11-17 바-큐-텍 아게 히트 싱크 및 그 내부에 통합된 테스트층을 이용한 진공단열 보드(진공 패널) 내부의 가스 압력의 검출 장치 및방법
KR100507716B1 (ko) 1997-03-15 2005-08-17 브라운 게엠베하 서모파일 센서 및 서모파일 센서가 구비된 복사 온도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716B1 (ko) 1997-03-15 2005-08-17 브라운 게엠베하 서모파일 센서 및 서모파일 센서가 구비된 복사 온도계
JPH11258040A (ja) 1998-03-12 1999-09-24 Omron Corp サーモパイル型赤外線センサ
JP2000298060A (ja) 1999-04-14 2000-10-24 Murata Mfg Co Ltd 赤外線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97288A (ko) * 2002-04-06 2004-11-17 바-큐-텍 아게 히트 싱크 및 그 내부에 통합된 테스트층을 이용한 진공단열 보드(진공 패널) 내부의 가스 압력의 검출 장치 및방법
JP2004117020A (ja) 2002-09-24 2004-04-15 Mitsubishi Electric Corp 赤外線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615B1 (ko) 2011-10-20 2013-10-1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측정기 및 온도 측정 방법
US11516326B2 (en) 2016-03-25 2022-11-29 Lg Innotek Co., Ltd. Sensor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08702402A (zh) * 2017-03-16 2018-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红外温度传感器及终端
CN108702402B (zh) * 2017-03-16 202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红外温度传感器及终端
KR101972882B1 (ko) * 2018-07-11 2019-04-26 (주) 은성하이텍 고장위치별 진단이 가능한 등기구 고장감지시스템
CN112629672A (zh) * 2020-12-31 2021-04-09 西人马联合测控(泉州)科技有限公司 一种传感器及测温装置
KR20230135289A (ko) 2022-03-16 2023-09-25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비접촉식 온도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5430B2 (ja) ウェハレベルパッケージ内の熱赤外線センサアレイ
US20080164413A1 (en) Infrared Sensor
US8304850B2 (en) Integrated infrared sensors with optical elements, and methods
KR101528968B1 (ko) 비냉각형 적외선 검출기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EP1039280B1 (en) Thermopile-type infrared senso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TWI747887B (zh) 光檢測裝置
KR100769587B1 (ko)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WO2002075262A1 (fr) Element de detection infrarou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t element et equipement de mesure de la temperature
JP2019518960A (ja) 温度測定又はガス検出のためのサーモパイル赤外線単一センサ
KR100591390B1 (ko) 멤브레인을 갖는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862947B1 (ko) 적외선 온도 센서 및 적외선 온도 센서 모듈
KR100759013B1 (ko)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7209089A (ja) 赤外線センサ
KR100971962B1 (ko)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044158B (zh) 制造检测具有改进的封装结构的电磁辐射的装置的方法
JP2011058929A (ja) 赤外線センサ
US20200232853A1 (en) Non-contact type infrared temperature sensor module
EP3462149B1 (en) Infrared device
JP3181363B2 (ja) 赤外線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258055A (ja) サーモパイル型温度センサ
JP4052041B2 (ja) 赤外線センサとその製造方法
JP2012173156A (ja) 赤外線センサモジュール
JPH11258041A (ja) サーモパイル型赤外線センサ
JPH08159866A (ja) 赤外線センサ
JP2004093535A (ja) 熱型赤外線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