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0493B1 - 피복형 와이어 로프 - Google Patents

피복형 와이어 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493B1
KR100740493B1 KR1020057011253A KR20057011253A KR100740493B1 KR 100740493 B1 KR100740493 B1 KR 100740493B1 KR 1020057011253 A KR1020057011253 A KR 1020057011253A KR 20057011253 A KR20057011253 A KR 20057011253A KR 100740493 B1 KR100740493 B1 KR 10074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resin
seam
side strand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5733A (ko
Inventor
고우사쿠 엔쿠
도시유키 모리야
입페이 후루카와
이치로 나카무라
아키히로 오미야
소타 이와쿠라
Original Assignee
도쿄 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 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 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5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inlay
    • D07B1/167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inlay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2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enveloping sheath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48Cores characterised by their cross-sectional shape
    • D07B2201/2049Cores characterised by their cross-sectional shape having protrusions extending radially functioning as spacer between strands or wi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52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D07B2201/2059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wires
    • D07B2201/2061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wires resulting in a twisted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52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D07B2201/2065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a coat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71Spacers
    • D07B2201/2073Spacers in circumferencial direction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크레인용이나 엘리베이터용 등의 동삭으로서 적합한 피복형 와이어 로프이다. 심로프와 외측 스트랜드 사이 및 인접하는 외측 스트랜드 사이의 접촉에 의한 마모 방지와 시브와 외측 스트랜드와의 직접 접촉에 의한 마모 방지와 시브와의 양호한 구동력 전달과 정숙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측부 스트랜드(2)의 인접하는 골 사이와 심로프 외주 사이에 스페이서에 의해 균등한 간극이 형성되고 그들 간극을 측부 스트랜드의 외접원을 넘는 외측수지(300)와 일체화한 수지층(301)으로 메우고 있다.
Figure 112005032105808-pct00001
수지피복, 수지피복층, 심로프, 스페이서, 측부 스트랜드, 외층수지층, 피복형 와이어 로프.

Description

피복형 와이어 로프{COATED WIRE ROPE}
본 발명은 크레인용이나 엘리베이터용 등의 동삭(動索)으로서 적합한 피복형 와이어 로프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 등의 하역기계나 엘리베이터 등에서 사용되는 동삭은 로프가 시브를 경유해서 이동되거나, 감기거나 하므로 전체 길이에 걸쳐 장력과 구부림이 작용하는 엄격한 조건에 놓여진다.
종래, 이러한 동삭용의 로프로서는 JIS·G·3525나 3546 등으로 규정되는 것 같이, 섬유 또는 강철의 스트랜드, 로프로 만들어진 심로프의 외주에 복수개의 측부 스트랜드를 배치해서 꼰 구조의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는 심로프와 측부 스트랜드에 높은 면압이 생기고, 또한 로프가 시브 등에서 구부러짐에 따라 심로프와 측부 스트랜드의 마찰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심로프가 마멸해서 로프의 지름이 감소하면, 점점 인접하고 있는 측부 스트랜드끼리의 면압이 증가한다. 그 결과, 각각의 스트랜드가 마모하거나, 심로프와 측부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선(素線)의 단선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측부 스트랜드가 시브와 항상 메탈 터치해서 상대 슬라이딩하므로 소음 이 커질 뿐만 아니라 통상 상대적으로 연질인 시브가 마모하여 고가인 시브의 교환에 큰 수고와 시간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녹의 발생이나 피로성 향상 때문에 로프 사용 중에 기름칠이 필요하며, 그 기름에 의해 시브와 로프 사이의 마찰계수가 저하하고, 시브와 로프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해 시브의 회전이 로프에 정확하게 전달되기 어려워져, 로프에 연결된 물체의 위치제어의 정밀도가 저하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시브의 회전운동과 카의 상하 운동이 정확하게 연동하지 않게 되고, 카의 정확한 위치제어가 곤란해진다. 그 대책으로서 시브의 홈에 언더컷을 설치하는 등 특수한 가공을 실시하거나 더블 랩 방식으로 로프를 권회하는 등의 처치를 취하지 않으면 안되, 결과적으로 설비 코스트가 높아지거나, 로프의 장착 및 교환에 매우 시간이 걸리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측부 스트랜드 사이의 접촉에 의한 마모의 해결책으로서는 측부 스트랜드 상호간에 스페이스를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 방법으로서는 측부 스트랜드를 의도적으로 가는 지름으로 만들고, 그러한 측부 스트랜드를 심로프의 주위에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에 공극을 만드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지만, 로프를 꼬을 때에, 측부 스트랜드의 위치가 불안정해 지고,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의 공극이 불균등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 결과, 측부 스트랜드끼리가 직접 접촉해서 마모하거나, 소선의 단선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실효를 얻을 수 없다. 또, 측부 스트랜드의 금속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서 피복을 설치하려고 해도, 측부 스트랜드 사이의 수지층의 두께가 불균등해 져, 수지개재층이 얇은 부분이 파괴되거나 측부 스트랜드끼리가 직접 접촉해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므로 유효하지 않았다.
타개책으로서 심로프와 측부 스트랜드 사이의 각각의 대략 삼각형상의 공극에 이 형상(삼각형상)을 한 부재를 개재시키고, 측부 스트랜드와 함께 꼬아 넣은 구조로 한 로프가 있다. 이 선행 기술에 의하면, 심로프와 측부 스트랜드 사이의 접촉은 방지되지만 측부 스트랜드는 서로 직접 접촉해서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여전히 회피할 수 없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에도 성형충전재를 개재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측부 스트랜드는 복수개의 소선을 서로 꼬아서 있기 때문에 복잡한 요철을 가지는 단면형상으로 되어 있어, 이것에 합치하는 단면형상의 충전재를 제작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꼬을 때에 이러한 충전재를 측부 스트랜드의 단면형상과 정확하게 합치시켜서 배치하는 것이 어렵다. 그 때문에, 간극의 발생이나 충전재의 파손을 피할 수 없고, 로프의 사용 중에 성형충전재가 탈락해서 측부 스트랜드가 서로 직접 접촉하기 쉽다. 또, 측부 스트랜드의 외접원 부분이 시브와 항상 메탈 터치해서 상대 슬라이딩하므로 소음이 발생하거나 연질의 시브가 마모해서 시브의 교환에 큰 수고와 시간이 드는 문제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다. 또한, 기름칠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름에 의해 시브와 로프 사이의 마찰계수가 변화되고 시브의 회전이 로프에 정확하게 전달되기 어려워지는 문제도 여전히 남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심로프와 외측 스트랜드의 접촉에 의한 마모와 외측 스트랜드 상호 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확실하게 방지해서 내피로성을 향상시키고, 또 동시에 시브와 외측 스트랜드와의 직접 접촉에 의한 마모를 확실하게 방지하고, 시브와의 양호한 구동력 전달과 정숙성을 함께 실현할 수 있는 피복형 와이어 로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심로프와 외측 스트랜드의 접촉 방지 및 인접하는 외측 스트랜드 상호의 접촉 방지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실현할 수 있고, 특별한 연선기도 쓰지 않고 저코스트로의 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피복형 와이어 로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피복형 와이어 로프는 심로프와 이것의 외주에 배치되어 꼬아진 복수개의 측부 스트랜드와 상기 측부 스트랜드의 전체를 둘러싸는 수지피복을 가지는 로프로서, 심로프가 심로프 본체와 이것을 외측으로 둘러싸는 수지피복층을 가지고, 이 수지피복층에 의해 심로프 본체와 측부 스트랜드가 격리되어 있고, 또한 심로프의 외주부분에는 측부 스트랜드의 각각의 골사이에 개재하는 수지질의 스페이서를 가지고, 그들 스페이서에 의해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에 거의 균등한 간극이 형성되고, 그들 간극을 측부 스트랜드의 외접원을 넘은 외층수지와 일체화한 수지층이 메우고 있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심로프의 심로프 본체를 외측으로 둘러싸는 수지피복층에 의해 심로프 본체와 측부 스트랜드가 실질적으로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심로프와 외측 스트랜드 사이의 접촉에 의한 마모가 방지된다. 또, 측부 스트랜드의 각각의 골에 개재하는 수지질의 스페이서에 의해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에 거의 균등한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외측 스트랜드끼리의 접촉이 방지되고, 또한, 상기 간극이 측부 스트랜드를 덮는 외층수지와 일체화되어 구심 형상으로 뻗은 수지층으로 메워져 있으므로 스트랜드의 상호간격에 전혀 변동이 생기지 않는다. 또,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에 개재하고 있는 수지층이 완충재로서 기능하므로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의 마모가 완전히 방지된다. 이들에 의해, 내피로성이 향상하고 로프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 측부 스트랜드의 외접원을 넘는 전체 피복 수지층을 가지고 있으므로 시브와 외측 스트랜드와의 메탈 터치에 의한 마모가 방지되고, 전체 피복 수지층은 시브보다도 단단함이 작으므로 시브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더군다나 전체 피복 수지층에 의해 시브와의 접촉 시의 소음이 저하되어 정숙성이 유지된다. 그러면서 시브와 양호한 마찰계수가 얻어지고 시브로부터의 힘을 측부 스트랜드 및 심로프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로프의 단면이 원형이 되기 때문에 자전이나 비틀림의 영향도 경감된다. 로프 사용에 있어서도 무급유로 되기 때문에 주위의 오손이 회피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형태에 있어서는 스페이서가 심로프 본체를 외측으로 둘러싸는 수지피복층의 외주 부분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나선형상의 홈이며 각각의 나선형상의 홈은 로프의 꼬임 피치와 같은 피치를 가지는 동시에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의 측소선의 1개 이상이 들어갈 수 있는 폭을 가지고 또한 각각의 나선형상의 홈은 측부 스트랜드의 골사이에 개재시키기 위한 나선형상의 돌기에 의해 이웃하는 것 끼리가 구분되어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심로프 본체의 수지피복층 그 자체가 심로프 본체와 측부 스트랜드를 격리하는 수단과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에 균등한 간극을 형성하는 수단을 겸하게 되므로 사용 부품수가 적어도 되고 꼬임 공정도 범용의 연선기로 실시할 수 있다. 또, 로프 사용 중에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의 간극의 크기가 변동하지 않고 스페이서의 이동이나 마모 손상도 일어나지 않으므로 소선 수명까지 확실하게 완충재의 역할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심로프 본체를 외측으로 둘러싸는 수지피복층과 나선형상의 홈은 나선형상 돌기 형성용의 홈을 등간격으로 가지는 노즐을 수지 압출기에 편입하고 심로프 본체를 상기 노즐에 삽입 통과하면서 노즐을 회전시킴으로써 만들어진다. 이것에 의하면 수지피복층과 스페이서의 제작을 능률 좋게 저코스트로 행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제 1 형태의 피복형 로프는 심로프 본체를 외측으로 둘러싸는 수지피복층의 외주 부분에 스페이서로서 복수의 나선형상의 홈을 등간격으로 형성한 심로프를 사용하고, 각각의 나선형상의 홈에 측소선의 1개 이상이 들어가도록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를 배치해서 꼬아,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에 거의 균등한 간극이 형성된 맨(素)로프를 제작하는 공정과, 압출기에 맨로프를 통과시킴으로써 측부 스트랜드의 외접원을 넘는 수지외층을 형성할 때에 용융 수지를 상기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의 간극에 압입 충전해서 개재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만들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맨로프의 제작을 범용의 연선기로 행할 수 있고, 또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를 둘러싸는 수지피복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고 피복공정이 1회로 끝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저코스트로 능률 좋게 로프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형태는 스페이서가 복수개의 수지선상체로 이루어지고 그들 수지선상체는 심로프의 외주에 있어서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측부 스트랜드와 꼬아져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각각의 수지선상체에 의해 측부 스트랜드 상호간에 거의 균등한 간극이 형성되고, 또 측부 스트랜드와 심로프 본체 사이에도 간극이 형성된다. 수지선상체는 심로프와 독립된 부품이기 때문에, 제작하는 로프의 측부 스트랜드의 개수가 많아도 적어도 자유자재로 대응할 수 있다. 심로프 본체를 외측으로 둘러싸는 수지피복층은 얇은 두께라도 되게 되고, 또 나선홈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심로프의 제작에 특별한 피복 노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수지선상체는 중심에 보강선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단면적 중의 강충전율을 손상하지 않고, 심로프와 측부 스트랜드 사이의 접촉 및 측부 스트랜드 상호간의 접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제 2 형태에서는 상기 수지선상체는 전체 피복수지층의 내측으로부터 분기하는 형태로 충전되는 수지층과는 적극적으로 용융·일체화되지 않고, 독립된 고체의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프를 구부렸을 때에 측부 스트랜드의 움직임이 매끄럽게 되므로 가요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형태에서는 제 2 형태에 있어서의 수지선상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해서 수지층의 일부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수지선상체는 스페이서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개재수지층의 일부가 되므로 인접하는 측부 스트랜드의 구석구석이 수지로 메워지고,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도 수지로 완전히 메워지고, 또한 측부 스트랜드와 심로프 사이에도 수지가 충전되고, 외층수지와 일체화된다. 따라서, 심로프와 외측 스트랜드 사이의 접촉에 의한 마모 및 인접하는 외측 스트랜드 사이의 접촉에 의한 마모, 시브와 외측 스트랜드와의 메탈 터치에 의한 마모가 방지되고, 더군다나 정숙성을 유지하면서 시브와 양호한 마찰계수의 제어가 얻어져 시브로부터의 힘을, 수지층을 통해 측부 스트랜드 및 심로프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2 형태와 제 3 형태의 로프는 스페이서로서 중심에 보강선을 가지는 수지선상체를 준비하고 그들 수지선상체를 심로프의 외주에 있어서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에 위치하도록 꼬아서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맨로프를 제작하는 공정과 압출기에 맨로프를 통과시킴으로써 측부 스트랜드의 외접원을 넘는 수지외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용융 수지를 상기 수지선상체로 형성된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의 간극에 압입 충전시키는 공정으로 만들어진다.
제 3 형태의 경우에는 압출기에 맨로프를 통과시키기 이전에 수지선상체를 포함하는 맨로프를 가열하여 수지선상체의 수지를 연화 혹은 표면을 용융시켜서 끈적하게 붙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스페이서에 대한 측부 스트랜드의 앉음새가 좋아지고, 또한 수지선상체의 수지가 열과 측부 스트랜드의 지름 축소(로프 중심으로 가까이 가는 거동)에 의해 용융되고 측부 스트랜드 사이에 개재되는 수지층의 일부가 된다.
수지선상체를 용융하는 형태의 경우 심로프의 수지피복층을 생략하고 수지선상체 그 자체로 수지피복층을 형성해서 심로프와 측부 스트랜드 사이를 세퍼레이트하는 수지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수지피복층을 가지지 않는 심로프 본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심로프의 제작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1회의 피복으로 끝나므로 공정도 간단하게 되고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나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밝히지만, 본 발명의 기본적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실시예에 나타낸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혹은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해지는 것은 명확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복형 와이어 로프의 제 1 형태를 도시한 부분 절결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심로프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전체 피복 전의 단계(맨로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심로프의 제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도 5A의 부분적 확대도,
도 5C는 사용하는 노즐의 단면도,
도 6은 제 1 형태의 로프 제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제 1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그 확대 단면도,
도 9는 심로프의 단면도,
도 10은 맨로프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부분 절결사시도,
도 12A는 스페이서의 1예를 확대해서 도시한 부분 절결사시도,
도 12B는 스페이서의 다른 예를 확대해서 도시한 부분 절결사시도,
도 13은 맨로프의 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완성 로프의 단면도,
도 15는 로프 제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형태의 로프를 맨로프의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완성 로프의 단면도,
도 18은 제 3 형태의 다른 예를 맨로프의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완성 로프의 단면도,
도 20은 외층 피복 시의 수지의 거동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형태의 로프를 맨로프의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22는 완성 로프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피복형 와이어 로프의 제 1 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7 내지 도 10은 제 1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형태를 도시하고, 도 18 내지 도 20은 제 3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도 21과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각각의 형태로 나누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형태에 대해서]
도 1에 있어서, 부호 RP1은 로프 전체를 가리키고 있고 단일의 심로프(1)와 복수개의 측부 스트랜드(2)와 상기 측부 스트랜드(2)를 내포하도록 설비된 전체 피복 수지(3)로 구성되어 있다.
심로프(1)는 도 3과 같이 강소선 또는 스트랜드를 꼬아서 구성된 심로프 본체(1a)를 내포하도록 수지피복층(1b)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심로프 본체의 구조는 임의지만 이 예에서는 1×7구조의 심멤버(103)의 주위에 같은 구조의 6개의 측멤버(104)를 배치해서 꼬은 7×7의 IWRC로 이루어져 있다. 수지피복층(1b)은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 본체(1a)의 직접적 접촉을 저지하기 위해서 심로프 본체(1a)의 외접원을 충분히 넘는 두께를 가지고 있다.
상기 수지피복층(1b)은 측부 스트랜드 상호간에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즉 수지피복층(1b)의 외주에는 나선형상의 홈(10)이 측부 스트랜드(2)의 개수만큼 균등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나선형상 홈(10)의 피치는 로프의 꼬임 피치와 같게 되어 있다.
각각의 나선형상 홈(10)은 측부 스트랜드(2)의 외층의 소선(202)을 적어도 1개 담을 수 있는 깊이와 폭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3개의 소선(202)이 위치할 수 있도록 활형상 단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각각의 나선형상 홈(10, 10)은 나선형상의 연속하는 돌기(11)로 구분되어 있고, 각각의 돌기(11)는 도 4와 같이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의 골사이에 뻗을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있고, 돌기 정상부는 평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측부 스트랜드(2)는 복수개(도면에서는 8개) 이용되고 있다.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의 구조는 임의이지만, 이 예에서는 8×S(19), 바꿔 말하면 8×S(1+9+9)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심소선(201)의 주변에 9개의 상대적으로 가는 소선(203)을 배치하고 꼬아서 내층(2a)으로 하고, 이것의 주위에 상대적으로 지름이 굵은 측소선(202)을 9개 배치하여 꼰 형태로 되어 있다.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는 수지피복층(1b)의 각각의 나선형상 홈(10)을 따르게 되고 그 상태로 꼬아져 있다. 이 상태가 도 4이며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는 외층으로서의 3개의 측소선이 원호를 그리는 나선형상의 홈 바닥에 접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그러한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의 사이에 균등한 간격 배치의 나선형상의 돌기(11)가 개재되므로 측부 스트랜드 사이에는 균등한 크기의 간극(S1)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소선은 강소선이 이용된다. 강소선은 로프에 높은 강도가 요구될 경우 인장강도 240㎏/㎠이상의 특성을 가지는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강소선은 탄소 함유량이 0.70wt%이상의 원료 선재를 신장함으로써 얻어진다. 소선 은 표면에 얇은 내식성피복 예를 들면 아연도금, 아연·알루미늄 합금 도금 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포함한다. 소선의 지름은 시브에 의한 반복 구부림에 의한 피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선정된다.
전체 피복 수지(3)는 도 2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측부 스트랜드 외접원(D)을 넘는 원통 형상의 외층(300)과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의 윤곽을 같은 형상으로 둘러싸면서 각각의 간극(S1)에 압입된 수지층(301)을 가지고 있다. 상기 외층(300)의 측부 스트랜드(2)의 외접원으로부터의 두께(t)는 이것이 지나치게 얇으면 내구성이 부족하고 마모 수명도 저하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두꺼우면 동삭으로서의 유연성이 손상되고, 또 로프 지름이 굵어져서 강도효율이 저하하므로 이들을 고려해서 로프 지름의 1/5정도 이하, 예를 들면, 0.3~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수지층(301)은 외층(300)과 일체를 이루고 측부 스트랜드(2) 사이에서 외층(300)으로부터 분기하는 듯한 형태로 구심 형상으로 뻗고 수지피복층(1b)의 돌기(11)에까지 이르고 있다.
여기에서, 외층피복(3)의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이어도 좋지만, 내마모성, 내후성, 유연성(내스트레스 크랙성)에 더해, 시브와의 마찰계수의 조정을 도모하기 위해 알맞은 탄성을 가지고 마찰계수가 비교적 높고 가수분해하지 않는 열가소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서는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예를 들면, 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이나 그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심로프(1)의 합성 수지층(4b)의 수지는 폴리염화비닐, 나일론, 폴리에 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 수지의 공중합체 등 심로프 본체(1a)와 접착성이 좋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로프 전체로서 내부의 수지는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동질 내지 근사하고 있는 편이 좋으므로, 합성 수지층(4b)도 열가소성수지 특히 전체 피복 수지(3)와 같든지 근사한 재질이 바람직하다. 전체 피복 수지(3)와 다른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체 피복 수지(3)와의 접착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형태의 로프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심로프 본체(1a)를 수지압출기에 연속적으로 통과시켜서 나선홈 첨부의 수지피복층(1b)을 가지는 심로프(1)를 제작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이 공정을 도시하고 있고, 스크루식 등의 압출기(9)의 단부에 특수한 노즐(91)을 편입한 회전체(92)를 편입하고 있다. 노즐(91)은 홈(10)을 형성하기 위한 내경방향으로 볼록하게 된 형태부(911)와 돌기(11)를 형성하기 위한 외경방향으로 오목하게 된 형태부(910)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되풀이된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다. 이 노즐(91)은 외주에 기어를 가진 회전체(92)에 회전 고정된 형태로 편입되어 있다. 회전체(92)는 웜 기어 등의 구동체(93)에 의해 압출 축선의 주위에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체(93)는 하류의 인수 캡스턴(12)과 동기 회전되도록 구동계(14)에 편입되고 심로프(1)의 인출 속도와 회전체(92)의 회전이 동기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심로프 본체(1a)를 압출기(9)의 노즐(91)에 삽입 통과하고, 인수 캡스턴(12)을 구동해서 인출하고, 권취기(13)에 감으면서 압출기(9)에서 가열 용융한 수지(30)를 가압하면 노즐(91)의 형태부(911, 910)에 의해 심로프 본체(1a)의 주위에 홈과 돌기를 외경측에 가지는 수지피복층(1b)이 형성된다. 더군다나, 인수 캡스턴(13)의 동력을 전달된 구동체(93)에 의해 회전체(92) 및 이것과 일체화되어 있는 노즐(91)이 회전하므로 홈과 돌기는 이음매 없는 나선형상이 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6과 같이 나선 홈 첨부의 수지피복층(1b)을 가지는 상기 심로프(1)를 풀어내는 동시에 측부 스트랜드(2)를 풀어내고 경판(6)을 통해서 보이스(7)로 이끌어 로프로 꼰다.
경판(6)은 중심에 심로프(1)를 삽입 통과하는 구멍(60)을 가지고 이것보다도 외주에 등간격으로 측부 스트랜드(2)를 삽입 통과하는 구멍(62)을 가지고 있다. 경판(6)을 회전시키면서 이것에 상기 심로프(1) 및 측부 스트랜드(2)를 통과시켜서 보이스(7)로 이끌면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는 수지피복층(1b)의 외주에 등간격으로 있는 각각의 나선형상 홈(10)에 각각 정연하게 배치되고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꼬아진다. 이에 따라 도 4와 같은 맨로프(A)가 된다. 측부 스트랜드의 꼬임 방향과 로프의 꼬임 방향은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측부 스트랜드의 꼬임 방향을 S방향으로 했을 때에는 로프의 꼬임 방향을 Z방향으로 한다.
이러한 맨로프(A)에 있어서는 심로프(1)가 피복 수지층(1b)을 가지고 있는 관계로 그 만큼 심로프(1)의 지름이 증가하고 측부 스트랜드(2)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기 쉬운데다, 나선형상의 홈(10)과 돌기(11)의 작용에 의해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에 균등한 간극(S1)이 정확하게 형성된다. 동시에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1) 사이는 수지피복층(1b)에 의해 실질적으로 분리된다.
맨로프(A)는 일단 감기지던가 감기지 않고 도시하지 않은 세정기로 세정된 뒤, 용융한 수지(30)를 가압 압출하는 압출기(9)의 다이스(9) 중에 통과되어 연속적 전체 피복이 행하여진다. 이 피복 압출 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쇼어경도 D스케일 90의 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이면 180~200℃정도의 용융 수지(30)가 맨로프(A)의 전체 둘레로부터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의 균등한 간극(S1)에 압입 충전되고, 측부 스트랜드(2)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소선의 표면과 소선 사이의 골사이에도 압입된다. 이에 따라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에 균등한 수지층(301)이 형성된다.
측부 스트랜드(2)는 요철이 큰 복잡한 단면형상으로 되어 있고, 용융 수지(30)는 이 형상을 채우고 최종적으로 전체 측부 스트랜드(2)를 덮는다. 따라서, 측부 스트랜드(2)를 둘러싸는 듯이 완성된 원통 형상의 외층(300)의 내측부분과 측부 스트랜드(2)와의 접착력이 높고 어긋남에 대한 저항이 크다.
더군다나, 상기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는 각각의 수지층(301)에 의해 완전히 세퍼레이트되고, 각각의 수지층(301)은 침입 선단이 수지피복층(1b)의 돌기(11)에까지 달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다이스(90)에서 반경방향으로부터 압축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1) 사이는 수지분으로 메워진 것이 된다.
심로프(1)의 수지와 외층(3)의 수지를 동등 내지 근사한 재질로 했을 경우, 단면내의 수지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균일하기 때문에 시브와의 마찰력이나 전단력에 의해 피복이 찢어지거나, 벗어나거나 하기 어려워진다.
각각의 수지층(301)과 수지피복층(1b)의 돌기(11)는 적어도 밀접하게 접하는 관계가 된다. 피복 시에 용융 수지(30)와 피복 수지층(1b)의 온도차가 크면 각각의 수지층(301)과 수지피복층(1b)은 일체화되기 어렵지만, 온도차가 작으면 접착 혹은 융착한다. 수지층(301)과 수지피복층(1b)이 가능한 한 일체화되는 것이 요구될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라인 상에 가열기(8)를 개재시키고, 맨로프(A)를 예를 들면 사용 수지가 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이면 150℃이하 예를 들면 60~120℃전후로 예열하는 것이 추장된다.
이 제 1 형태는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를 미리 수지피복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고 로프의 전체 피복 시에 측부 스트랜드의 피복을 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좋고 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 대신에 측부 스트랜드(2)를 각각 미리 수지 피복해 두고 그것을 수지 피복한 심로프와 꼬고 그 외주에 수지피복을 실시했을 경우에는 원통 형상의 피복측부 스트랜드와 심로프와의 사이에 수지가 침투하지 않아 공극이 발생하기 쉽고 측부 스트랜드와 심로프의 일체화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우려가 해소된다. 또 강재충전율도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로프 강도도 양호한 것으로 이룰 수 있다.
또한, 로프 제작 공정은 여러가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즉, 심로프(1)의 수지피복층(1b)이 완전히 고화되지 않은 끈적하게 붙은 상태에서 측부 스트랜드(2)를 꼬아도 좋다. 즉, 피복 수지 부착의 심로프(1)의 제작과 맨로프의 제작과 전체 피복을 인라인에서 일관 연속해서 행해도 좋다. 이것 대신에 피복 수지 부착의 심로프(1)의 제작과 맨로프의 제작을 불연속으로 행하고 일단 감은 맨로프를 그 후에 풀어내서 전체 피복을 행해도 좋다.
도 7 내지 도 10은 제 1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형태의 로프는 전체를 RP11의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기본적인 구조는 기술한 것과 같기 때문에 차이점만 설명하면 심로프 본체(1a)는 중심소선(101)의 주위에 6개의 측소선(102)을 배치해서 꼰 1×7구조로 되어 있다. 또, 측부 스트랜드(2)는 6개가 이용되고 상기 심로프(1)의 주위에 배치되어 꼬아진다. 측부 스트랜드는 이 예에서는 중심의 소선(201)의 주위에 6개의 측용의 소선(202)을 배치해서 꼰 1×7구조로 되어 있다.
수지피복층 외주의 나선형상의 홈(10)과 나선형상의 돌기(11)의 수는 따라서 6개이며, 각각의 나선형상의 홈(10)은 측부 스트랜드(2)의 측용 소선(202)의 1개 혹은 2개를 끼울 수 있는 폭의 역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으로 되어 있다. 물론 기본형태의 경우와 같이 활형상 단면의 홈이라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기술한 설명을 원용하는 것으로 하고 같은 부분에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그친다.
[제 2 형태에 대해서]
도 11에 있어서, 부호 RP2는 로프 전체를 가리키고 있고 단일의 심로프(1)와 복수개의 측부 스트랜드(2)와 이것과 동수의 스페이서(4)와 상기 측부 스트랜드(2)를 내포하도록 설비된 전체 피복 수지(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심로프(1)는 제 1 형태와 같이 심로프 본체(1a)와 이것을 둘러싸는 수지피복층(1b)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수지피복층(1b) 그 자체에는 스페이서로서의 나선형상의 홈이나 나선형상의 돌기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심로프 본체(1a)의 구 조는 임의인 것이 선택된다. 측부 스트랜드(2)는 이 예에서는 6개이며 구조는 임의의 것이 선택된다.
이 제 2 형태의 특징은 스페이서(4)로서 수지선상체를 사용하고 이것을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의 골사이와 심로프(1)의 사이에 배치하고,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와 꼬아져 있는 것이며, 피복 전에 있어서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는 도 13과 같이 수지선상체(4)에 의해 균등하게 이간되고, 측부 스트랜드(2, 2) 상호간에 간극(S1)이 형성되어 있다.
전체 피복 수지(3)는 상기 측부 스트랜드(2)를 내포하도록 설비되고, 도 14와 같이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에 압입된 수지층(301)과 측부 스트랜드(2)의 외접원을 넘어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외층(300)을 가지고 있다. 수지선상체(4)는 수지층(301)과는 용융 일체화되지 않고 고유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측부 스트랜드(2)는 도 13의 맨로프(A)의 상태에서는 수지피복층(1b)과의 사이에서 적당한 간극이 있지만, 완성된 로프에 있어서는 제작 과정에서의 길이 방향의 인장에 의해 로프 중심으로 치우치고 도 14와 같이 수지피복층(1b)과 접촉한다. 수지선상체(4)는 측부 스트랜드(2)의 상기 거동에 의한 압박과 수지층이 되어야 하는 용융 수지와의 접촉에 의한 열의 수수에 의하여 약간 변형되고 수지피복층(1b)과 적어도 밀착한다.
상기 수지선상체(4)는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에 용융 수지가 충분히 압입되는 간극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름이 선정된다. 그 지름은 측부 스트랜드의 개수 등에 의해 변화되지만, 6스트랜드의 경우에는 통상 스트랜드 지름의 1/6~1/2정도가 바람직하다. 수지선상체(4)는 용융 수지가 압입될 때까지의 사이의 스페이서로서 기능하고, 용융 수지가 압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기능을 가지는 한 형상은 변화되어도 좋으므로, 단면형상은 방향성이 없는 단순한 원형형상이라도 좋다.
수지선상체(4)는 전체가 봉형상 혹은 꼬임선 형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측부 스트랜드(2, 2)와 꼬을 때에 적절한 강성을 확보하고, 또 로프 완성 시에는 강도를 보조하기 위해서 도 12A나 도 12B와 같이 중심에 보강 선(4a)을 배치하고 그 주위에 합성 수지층(4b)을 설치한 것이 적합하다. 합성 수지층(4b)은 용융한 수지욕 속에 보강선(4a)을 통과시켜 부착시키고, 출구에서 짜서 부착량을 조정하거나, 혹은 압출기의 다이스 속에 통과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보강선(4a)은 도 12A와 같이 1개라도 좋고 도 12B와 같이 복수개(400)를 꼰 것이라도 좋다. 재질로서는 상기 심로프 본체나 측부 스트랜드의 소선과 동일한 강소선이 통상 사용되지만, 동 등의 다른 금속이어도 좋고 합성 섬유라도 좋다. 합성 섬유로서는 아라미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고강도 저신도 섬유가 바람직하다. 보강선은 이러한 섬유로 이루어지는 얀을 다수개 모아서 다발로 하고 그 다발을 평행하게 가지런히 정돈하든지 혹은 긴 리드로 꼬는 것으로 만들어진다.
합성수지층(4b)의 수지는 심로프 피복층(1b)의 수지 및 전체 피복 수지(3)와 다른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내마모성 등을 고려하여 폴리염화비닐,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 수지의 공중합체 등으로부터 선택하 면 좋지만 심로프 피복층(1b)의 수지 및 전체 피복 수지(3)와의 친숙함의 점이나 내부 수지 특성의 균질성의 관점에서 심로프 피복층(1b)의 수지 및 전체 피복 수지(3)와 동질 내지 근사한 특성의 열가소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형태와 마찬가지로 폴리우레탄계 예를 들면 에테르계 폴리우레탄 등으로 대표되는 내마모성, 내후성, 유연성(내스트레스 크랙성), 알맞은 탄성을 가지는 수지가 이용된다.
제 2 형태의 로프를 얻기 위해서는 심로프 본체(1a)를 압출기에 통과시켜서 수지피복층(1b) 부착의 심로프(1)를 제작한다. 또 필요한 개수의 측부 스트랜드(2)를 제작해 둔다. 한편, 이것과는 별도로 수지선상체(4)를 필요 개수 제작해 둔다.
이어서, 도 15와 같이 상기 심로프(1)를 풀어내는 동시에 수지선상체(4)와 측부 스트랜드(2)를 풀어내고, 경판(6)을 통해서 보이스(7)로 이끌어 로프로 꼰다. 경판(6)은 중심에 심로프(1)를 삽입 통과하는 구멍(60)을 가지고, 이것보다도 외주에 등간격으로 수지선상체(4)를 삽입 통과하는 구멍(61)을 가지고, 또한 이것보다도 외주에 원주상에서의 위치가 수지선상체(4)의 구멍(61, 61)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측부 스트랜드(2)를 삽입하는 구멍(62)을 가지고 있다.
경판(6)을 회전시키면서 이것에 상기 심로프(1), 수지선상체(4) 및 측부 스트랜드(2)를 통과시켜서 보이스(7)로 이끌면, 수지선상체(4)가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꼬아 들어가면서 심로프(1)의 외주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도 13과 같은 맨로프(A)가 된다. 측부 스트랜드의 꼬임 방향과 로프의 꼬 임 방향은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측부 스트랜드의 꼬임 방향을 S방향으로 했을 때에는 로프의 꼬임 방향을 Z방향으로 한다.
이러한 맨로프(A)에 있어서는, 나선형상의 수지선상체(4)가 심로프(1)의 외주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에 균등한 간극(S1)이 형성된다. 이 때에는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1) 사이에 수지선상체(4)에 의해 적당한 간극(S2)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맨로프(A)는 일단 감겨지든가 감기지 않고 도시하지 않은 세정기로 세정되고, 도 15와 같이 용융한 수지(30)를 가압 압출하는 압출기(9)의 다이스(90) 속에 통과되어 연속적 전체 피복이 행하여진다. 맨로프(A)의 보유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용융 수지의 압입, 유동이 적절하게 행하여지도록 가열기(8)에 의해 맨로프(A)를 예열하는 것이 추장되지만 수지선상체(4)의 용융을 의도하고 있지 않으므로 높은 온도에서의 예열은 불가결하지 않고 제 1 형태의 경우보다도 낮아도 상관없다.
이 피복 압출 시에 있어서는 맨로프(A)의 전체 둘레로부터 용융 수지(30)가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의 균등한 간극(S1)에 압입되고, 측부 스트랜드(2)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소선의 표면과 소선 사이의 골에도 압입된다.
각각의 수지선상체(4)는 고온의 용융 수지(30)와의 접촉에 의해 뜨거워지고 또한 하류에서의 로프의 인수에 의한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의 로프 중심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 변형해서 심로프(1)의 피복 수지층(1b)과 밀착한다. 그리고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는 심로프(1)의 피복 수지층(1b)과 접한다.
이들에 의해, 도 14와 같이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는 균등한 두께와 간격의 수지층(301)으로 세퍼레이트되고,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 본체(1a)는 링 형상의 피복 수지층(1b)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세퍼레이트된다. 측부 스트랜드(2)는 요철이 큰 복잡한 단면형상으로 되어 있고, 용융 수지(30)는 이 형상을 채우고 최종적으로 전 측부 스트랜드(2)를 덮는다.
제 2 형태는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의 골 사이에 수지선상체(4)를 꼬아 넣고 있으므로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를 미리 수지피복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고 로프의 전체 피복시에 측부 스트랜드의 피복을 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좋고 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 수지선상체(4)는 수지층(301)과 일체가 아니므로 로프를 구부렸을 때의 측부 스트랜드(2, 2)의 움직임이 매끄럽고, 가요성이 좋아진다.
그 밖은 제 1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원용한다. 또한,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1)는 도 2에서 대표되는 제 1 형태의 구조와 같은 경우도 있고, 그 경우에는 수지선상체(4)는 8개 이용된다.
[제 3 형태에 대해서]
이 제 3 형태는 도 16과 도 17에 기본예가 도시되어 있고, 부호 RP3이 전체를 가리키고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제 3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고 부호 RP31이 전체를 가리키고 있다.
1은 심로프, 2는 측부 스트랜드, 3은 전체 피복 수지이며, 이들은 제 1, 2형태와 같다. 스페이서(4)로서 수지선상체(4)를 사용하고 있는 점은 제 2 형태와 같 고 그러한 수지선상체(4)를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의 골 사이에 배치해서 꼬고,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에 균등한 간극(S1)을 가지는 맨로프(A)로 하는 것도 제 2 형태와 같다.
그러나, 이 제 3 형태는 맨로프(A)의 상태에서는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의 위치를 구속해서 스페이스를 형성시키고 있는 수지선상체(4)가 전체 피복 시에 용융해서 수지층(301, 302)의 일부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외층(300)은 수지층(301, 301)에 의해 내층으로서의 대략 원통 형상의 개재수지층(302)과 일체화되어 있다. 수지층(302)은 심로프(1)의 수지피복층(1b)과 접착 일체화되어 있다. 수지층(301)은 측부 스트랜드(2)의 요철에 합치해서 접착되어 있다. 수지선상체(4)는 도 17과 같이 원형을 남기지 않는 경우 이외에 중심에 가까운 부분만 원형을 남기고 있어도 상관없다.
수지선상체(4)는 제 2 형태에 있어서의 것과 같아도 좋고, 용융 수지가 압입될 때까지의 사이의 스페이서로서 기능하고, 용융 수지가 압입되었을 때에는 열로 용융해도 좋으므로 단면형상은 방향성이 없는 단순한 원형형상이라도 좋다.
합성 수지층(4b)의 수지는 심로프 피복층(1b)의 수지 및 전체 피복 수지(3)와의 일체성을 얻는 점에서 심로프 피복층(1b)의 수지 및 전체 피복 수지(3)와 동질 내지 근사한 특성의 열가소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체 피복 수지(3)와의 접착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 2 형태의 설명을 원용한다.
제 3 형태에 있어서도 심로프(1)의 구조, 측부 스트랜드(2)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도 16과 도 17에서는 심로프 본체(1a)가 7×7의 IWRC로 구성되어 있고, 측부 스트랜드(2)는 S(19)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로프 전체로서 IWRC8×S(19)로 되어 있다. 도 18과 도 19에서는 심로프 본체(1a)와 측부 스트랜드(2)가 1×7구조이며 로프 전체로서 7×7구조로 되어 있다.
이 제 3 형태에 있어서도 수지선상체(4)는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의 인접하는 골 사이와 심로프(1)의 사이에 배치되어 꼬임으로써 피복 전의 단계에서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에 전체 피복 수지의 균등한 압입을 확보하기 위한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전체 피복에 의해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에 압입된 수지층(301)과,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1) 사이의 수지층(302)과, 측부 스트랜드(2)의 외접원을 넘어서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외층(300)이 형성되고, 수지선(4)은 용융해서 수지층(301, 302)의 일부가 되어 있다.
로프의 제작 공정은 기본적으로는 제 2 형태와 같지만 맨로프(A)는 일단 감기든가 감기지 않고, 도시하지 않은 세정기로 세정되고, 가열기(8)에 의해 예열된 후, 용융한 수지(30)를 가압 압출하는 압출기(9)의 다이스(90) 속에 통과되어 연속적 전체 피복이 행하여진다. 예열온도는 제 1 형태, 예를 들면 사용 수지가 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이면 150℃이하 예를 들면 90~140℃전후로 높게 하면 좋다.
이 피복 압출 시에 있어서는, 맨로프(A)의 전체 둘레로부터 용융 수지(30)가 도 20과 같이 상기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의 균등한 간극(S1)에 압입되고, 측부 스트랜드(2)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소선의 표면과 소선 사이의 골 사이에도 압입된다.
각각의 수지선상체(4)는 고온의 용융 수지(30)와의 접촉에 의해 뜨거워지기 때문에 수지층(4b)이 표층으로부터 차례대로 용융하고, 용융한 수지분이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1)와의 간극(S2)에 흘러들어가고, 이것과 병행해서 용융 수지(30)가 볼륨(단면적)이 감소한 수지층(4b)과 측부 스트랜드(2)와의 간극을 통과해서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1)와의 간극(S2)에 압입되고, 심로프(1)의 피복층(1b)과 융착한다. 즉, 수지선(4)은 피복용 용융 수지의 일부도 되고, 로프내부로부터의 수지분 보급 작용을 한다.
이들에 의해, 도 17과 도 19와 같이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에 방사형상의 수지층(301)이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1) 사이에 상기 수지층(301)과 일련의 링 형상의 개재수지층(302)이 형성된다. 외층(300)은 상기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에서는 방사형상의 수지층(301)에 의해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1) 사이의 링 형상의 개재수지층(302)과 일체 접합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다이스(90)에서 반경방향으로부터 압축되어 인접하는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1) 사이는 수지로 메워진 것이 된다.
심로프(1)의 수지, 수지선상체(4)의 수지, 외층(3)의 수지를 동등 내지 근사한 재질로 했을 경우 접착성이 좋고, 단면내의 수지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균일하기 때문에 시브와의 마찰력이나 전단력에 의해 피복이 찢어지거나, 벗어나거나 하지 않는다.
그 밖은, 제 2 형태와 같기 때문에 같은 부분에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데 그치고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1 형태를 응용하여 심로프(1)의 수지피복층(1b)의 외주에 수지선상체(4)를 위치 결정 배치하기에 알맞은 나선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제 4 형태에 대해서]
이 제 4 형태는 도 21과 도 22에 도시되어 있고 로프 전체를 부호 RP4로 표시하고 있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심로프(1)가 심로프 본체(1a)만으로 구성되고 수지피복층을 가지고 있지 않다. 심로프(1)나 측부 스트랜드의 구성은 임의이다.
수지선상체(4)는 심로프(1)의 상층의 소선 또는 스트랜드의 각각의 골에 위치하도록 측부 스트랜드(2, 2)와 꼬아져 있다. 따라서, 이 형태에 있어서는 수지선상체(4)는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에 균등한 간극을 형성하지만,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1)와의 사이의 간극은 상기 형태의 경우보다도 작다. 또, 이 형태에 있어서는 수지선상체(4)의 수지를 활용해서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1) 사이의 개재수지층(302)을 형성하므로, 수지선(4)으로서는 수지층(4b)의 볼륨이 크고 따라서 지름의 큰 것이 적합하다.
측부 스트랜드(2)는 1개만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다른 측부 스트랜드는 간략화하고 있다. 그 밖은 제 1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같은 부분에 같은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 4 형태에 있어서는 각각의 수지선상체(4)는 고온의 용융 수지(30)와의 접촉에 의해 뜨거워지기 때문에 수지층(4b)이 표층으로부터 차례대로 용융하고, 용융한 수지분이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1)와의 간극(S2)에 흘러들어가고, 이것과 병행해서 용융 수지(30)가 볼륨(단면적)이 감소한 수지층(4b)과 측부 스트랜드(2)와의 간극을 통해서 측부 스트랜드(2)와 심로프(1)와의 간극(S2)에 압입되고 심로프(1)의 피복층(302)이 된다. 즉, 수지선(4)은 심로프(1)의 피복용 용융 수지도 된다. 따라서 이 제 4 형태에 있어서는 예열이 필수적이며 또한 가능한 한 높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4 형태는 심로프(1)에 피복 수지층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코스트가 저감된다. 또, 로프의 지름을 가늘게 할 수 있고 강철충전율도 높게 할 수 있다.

Claims (9)

  1. 심로프(1)와 이것의 외주에 배치되어 꼬아진 복수개의 측부 스트랜드(2)와 상기 측부 스트랜드의 전체를 둘러싸고, 측부 스트랜드(2)(2)의 외접원(D)를 넘는 두께t를 갖는 수지피복(3)을 갖는 로프로서, 심로프(1)가 심로프 본체(1a)와 이것을 외측으로 둘러싸는 수지피복층(1b)을 가지고, 이 수지피복층(1b)에 의해 심로프 본체(1a)와 측부 스트랜드(2)가 이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수지피복층(1b)의 외주부분에는 측부 스트랜드(2), (2)의 각각의 골 사이에 개재하는 수지질의 스페이서를 가지고, 그 스페이서에 의해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 (2) 사이에 각각 거의 균등한 간극(S1)이 형성되고, 그들 간극(S1)을 측부 스트랜드(2),(2)의 외접원(D)을 넘는 두께t를 갖는 외층수지층(300)과 일체화한 수지층(301)이 메우고 있고, 상기 스페이서가 심로프 본체(1a)를 외측으로 둘러싸는 수지피복층(1b)의 외주부분에 등간격으로 일체성형된 복수의 나선형상의 홈(10)을 가지고, 각각의 나선형상의 홈(10)은 로프 피치와 같은 피치를 가짐과 아울러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의 측소선의 1개 이상이 들어갈 수 있는 폭을 가지고, 또한 각각의 나선형상의 홈(10)은 측부 스트랜드의 골 사이에 개재시키기 위한 나선형상의 돌기(11)에 의해 이웃하는 상호간이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와이어 로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심로프 본체(1a)를 외측으로 둘러싸는 수지피복층(1b)과 이것의 외주부분에 등간격으로 일체성형된 복수의 나선형상의 홈(10)이, 등간격으로 나선형상의 돌기 형성용의 홈을 가지는 노즐(91)을 편입한 수지압출기(9)를 사용해서 심로프 본체(1a)를 노즐(91)에 삽입 통과하면서 노즐을 회전시킴으로써 만들어진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와이어 로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심로프(1)와 이것의 외주에 배치되어 꼬여진 복수개의 측부 스트랜드(2)와 상기 측부 스트랜드(2)의 전체를 둘러싸고, 측부 스트랜드(2)(2)의 외접원(D)를 넘는 두께t를 갖는 수지피복(3)을 가지는 로프로서, 심로프(1)로서, 심로프 본체(1a)를 외측으로 둘러싸는 수지피복층(1b)의 외주부분에 스페이서로서 복수의 나선형상의 홈(10)을 등간격으로 형성한 것을 사용하고, 각각의 나선형상의 홈(10)에 측소선의 1개 이상이 들어가도록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2)를 배치해서 꼬아,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에 거의 균등한 간극(S1)이 형성된 맨로프(A)를 제작하는 공정과, 수지압출기(9)에 맨로프(A)를 통과시킴으로써 측부 스트랜드(2)의 외접원(D)를 넘는 두께t의 수지외층(300)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각각의 측부 스트랜드 사이의 간극(S1)에 개재수지층(301)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형 와이어 로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57011253A 2002-12-18 2003-12-09 피복형 와이어 로프 KR100740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66527 2002-12-18
JPJP-P-2002-00366527 2002-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733A KR20050085733A (ko) 2005-08-29
KR100740493B1 true KR100740493B1 (ko) 2007-07-19

Family

ID=3258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253A KR100740493B1 (ko) 2002-12-18 2003-12-09 피복형 와이어 로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118880B2 (ko)
KR (1) KR100740493B1 (ko)
CN (1) CN100591840C (ko)
TW (1) TWI230230B (ko)
WO (1) WO20040552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345B1 (ko) * 2012-09-04 2014-12-30 윤종국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491907B1 (ko) 2012-05-31 2015-02-09 도쿄 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브리드 코어 로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41343A1 (en) * 2006-09-29 2008-04-28 Inventio Ag Synthetic fibre cable and lift installation with such a synthetic fibre cable
JP4625043B2 (ja) * 2007-03-30 2011-02-02 東京製綱株式会社 動索用ワイヤロープ
ES2549588T3 (es) 2010-06-08 2015-10-29 Dsm Ip Assets B.V. Cuerda híbrida
KR200461231Y1 (ko) 2010-11-17 2012-06-28 (주)로프캠프 개량형 충진재 도포식 컴파운드 와이어 로프
KR101384273B1 (ko) * 2013-01-11 2014-04-17 오세원 완강기용 로프의 제작방법
DE112014004423T5 (de) 2013-09-26 2016-06-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ahrtreppenhandlauf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ahrtreppenhandlaufs
CN103696304B (zh) * 2013-12-19 2016-05-18 江苏法尔胜特钢制品有限公司 一种预填胶泥的输送带钢丝绳、其制备方法及装置
DE102015103115A1 (de) * 2015-03-04 2016-09-08 Casar Drahtseilwerk Saar Gmbh S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Seils
KR102623964B1 (ko) * 2017-04-20 2024-01-11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직물 인장 부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벨트
KR102024816B1 (ko) * 2018-09-27 2019-11-14 주식회사 에코앤휴먼 재귀반사유색표시피복부를 구비하는 다기능 다중피복 안전로프
WO2021215008A1 (ja) * 2020-04-24 2021-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ワイヤロープ、及び潤滑方法
KR20230044028A (ko) 2020-10-14 2023-03-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CN112761006A (zh) * 2020-12-29 2021-05-07 青岛海丽雅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增强强度和减轻重量的混合绳索
EP4430241A1 (en) * 2021-11-08 2024-09-18 KONE Corporation Rope and elevator
CN114875697A (zh) * 2022-06-01 2022-08-09 武钢维尔卡钢绳制品有限公司 一种复合芯、钢丝绳及其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0962A (en) 1977-08-03 1979-03-07 Amsted Ind Inc Wire rope and production thereof
JPS57121684A (en) 1980-12-27 1982-07-29 Shinko Wir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wire rope with fill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40188Y1 (ko) * 1969-12-16 1972-12-05
US3979896A (en) * 1975-02-24 1976-09-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Impregnated and encapsulated wire rope and cable
JPS609987A (ja) * 1983-06-30 1985-01-19 神鋼鋼線工業株式会社 ワイヤロ−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28643Y (zh) * 1992-08-07 1993-03-24 赵忠海 复合式矿用钢丝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0962A (en) 1977-08-03 1979-03-07 Amsted Ind Inc Wire rope and production thereof
JPS57121684A (en) 1980-12-27 1982-07-29 Shinko Wir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wire rope with fil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907B1 (ko) 2012-05-31 2015-02-09 도쿄 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브리드 코어 로프
KR101477345B1 (ko) * 2012-09-04 2014-12-30 윤종국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9335A (zh) 2006-02-01
JP4118880B2 (ja) 2008-07-16
TWI230230B (en) 2005-04-01
CN100591840C (zh) 2010-02-24
JPWO2004055263A1 (ja) 2006-04-20
TW200413655A (en) 2004-08-01
KR20050085733A (ko) 2005-08-29
WO2004055263A1 (ja)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502B1 (ko) 피복 와이어 로프
KR100740493B1 (ko) 피복형 와이어 로프
KR100625006B1 (ko) 동삭용 피복형 와이어 로프
US7600366B2 (en) Wire rope for running wire
US20150024891A1 (en) Suspension element for an elevator system
CA2297520C (en) Sheathed synthetic fiber rope
JP4064668B2 (ja) 複合型ワイヤロープ
EP2097581B1 (en) Single lay steel cord for elastomer reinforcement
JP5570741B2 (ja) 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
JP3910377B2 (ja) ワイヤロープ
JP3660259B2 (ja) ワイヤロープ
JP3660319B2 (ja) ワイヤロープ
US4602476A (en) Plastic filled wire rope with strand spacer
JP3827610B2 (ja) 多層撚りワイヤロープ
EP3645442B1 (en) Belt reinforced with steel strands
JP5244275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引張り部材および引張り部材の形成方法
FI75372C (fi) Kabel och saett foer dess framstaellning.
JPH0724996U (ja) ゴム製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