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956B1 - 아우트라인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아우트라인스케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2956B1 KR100732956B1 KR1020050101058A KR20050101058A KR100732956B1 KR 100732956 B1 KR100732956 B1 KR 100732956B1 KR 1020050101058 A KR1020050101058 A KR 1020050101058A KR 20050101058 A KR20050101058 A KR 20050101058A KR 100732956 B1 KR100732956 B1 KR 1007329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frame
- wheel
- wheel link
- coupled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6—Wheel mounting, i.e. arrangement connecting wheel and axle moun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63C17/26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with foot bindings or support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우트라인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협조하여 에이치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 측에 하나씩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휠을 갖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 중앙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후방휠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된 로우아암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우아암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휠링크와, 상기 각 휠링크가 상기 로우아암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휠링크를 연동시키는 휠링크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후방휠은 상기 휠링크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곡선주행 중 또는 자세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상황에서 착용자가 무게중심을 잃고 미끌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후방휠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발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우트라인, 스케이트, 로우아암, 휠링크, 프레임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결합사시도,
도2, 도3,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평면도,
도7은 직선상으로 주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8은 곡선상으로 주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측면도,
도11 및 도12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사시도,
도13은 직선상으로 주행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곡선상으로 주행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종래의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측면도,
도16은 종래의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신발부 12, 112 : 전방휠
13 : 평행유지스프링 20, 120 : 지지프레임
21, 21' : 레버지지부 30 : 로우아암
31 : 언덕부 32 : 링크결합돌부
40, 40' : 휠링크연동레버 50 : 휠링크
51, 51' : 바디부 52 : 상측결합플랜지
53, 53' : 하측결합플랜지 54 : 지지축부
70' : 휠링크연동레일부 60, 160 : 후방휠
본 발명은 아우트라인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휠이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장착되는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육상에서의 운동, 레크레이션 등의 목적으로 롤러(휠 포함)를 구비한 롤러스케이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롤러스케이트는 롤러의 배치형태에 따라 롤러가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인라인스케이트와 롤러가 지지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로 구 분할 수 있다.
도15는 종래의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측면도이고, 도16은 종래의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평면도이다.
종래의 아우트라인스케이트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120)의 전단에 결합된 전방휠(112)과, 지지프레임(120)의 후단에 결합된 한 쌍의 후방휠(160)과, 지지프레임(120)의 후단에 형성된 뒷꿈치지지부(114)와, 뒷꿈치지지부(114)의 상측에 형성된 발목지지부(115)와, 지지프레임(120), 뒷꿈치지지부(114) 및 발목지지부(115)에 각각 하나씩 연결된 3개의 고정띠(116,117, 118)를 갖고 있다.
지지프레임(120)은 후단 뒷꿈치지지부(114)의 하측에는 브레이크(123)가 부착되어 있다.
각 후방휠(160)은 휠지지부재(162)와 결합축(163)을 통해 지지프레임(12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후방휠(160)은 전방휠(112)과 협조하여 이등변삼각형을 이루도록 지지프레임(120)에 결합된다.
그리고 각 후방휠(160)은 중심에서 결합축(163)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축(163)의 양단에 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아우트라인스케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띠(116,117, 118)를 조작하여 양 발을 지지프레임(12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다음에 지지프레임(120)이 지면을 향해 가압되도록 양발에 힘을 주면서 전진시키면 전방휠(112)과 후방휠(16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아우트라인스케이트와 함께 착용자는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곡선상으로 주행할 때 착용자의 무게중심이 회전중심을 향해 이동하고, 한 쌍의 후방휠(160) 중 내측(회전중심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후방휠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후방휠(160) 중 외측(회전중심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후방휠은 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이는 한 쌍의 후방휠이 결합축(163)에 대해 일정한 각도(직각)를 유지하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 결합축(163)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아우트라인스케이트에 따르면, 곡선상으로 주행하는 동안 한 쌍의 후방휠(160) 중 외측(회전중심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후방휠은 지면으로부터 이탈하거나, 외측에 위치하는 후방휠을 통해 지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여기서 압력이 적어지는 것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결합축을 통해 착용자로부터 후방휠에 압력이 전달됨으로써 지면에 수직인 방향의 성분이 작아지기 때문).
이에 따라 곡선주행 중에 착용자가 무게중심을 잃고 미끌어지거나 넘어질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후방휠의 지면접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발목을 구부려야 하기 때문에 발목이 접질리는 부상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은 곡선주행이외 자세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상황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선주행이거나 자세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상황에서 착용자가 무게중심을 잃고 미끌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발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아우트라인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협조하여 에이치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 측에 하나씩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휠을 갖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 중앙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후방휠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된 로우아암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우아암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휠링크와, 상기 각 휠링크가 상기 로우아암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휠링크를 연동시키는 휠링크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후방휠은 상기 휠링크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휠링크연동부는 상기 로우아암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휠링크의 상단영역을 연결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 영역을 지지점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휠링크연동레버를 포함하거나 또는 맞물릴 수 있는 단면형상을 갖는 슬라이딩레일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레일이 상기 휠링크의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 측면에 하나씩 결합되는 한 쌍의 휠링크연동레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지면으로 이탈된 상태에서 로우아암과 지지프레임을 평행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로우아암과 상기 지지프레임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로우아암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나란하도록 상기 로우아암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탄성 가압하는 평행유지스프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 도3,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부(11)와, 신발부(11)의 저면에 장착된 지지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20)의 전단에 결합된 전방휠(12)과, 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도록 지지프레임(20)의 저면 중앙영역에 결합된 로우아암(30)과, 로우아암(30)을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탄성 가압하는 한 쌍의 평행유지스프링(13)과, 지지프레임(20)의 후단에 결합된 휠링크연동레버(40)와, 하단부가 로우아암(3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단은 휠링크연동레버(40)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휠링크(50)와, 각 휠링크(50)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후방휠(60)을 갖고 있다.
지지프레임(20)은 대략 신발부(11)의 바닥면과 같은 형태로 제작되고, 후단에는 레버지지부(21)가 판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버지지부(21)는 중앙영역에 레버결합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0)의 저면 중앙영역에는 한 쌍의 지지벽부(22)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단 저면에는 브레이크(23)가 부착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벽부(22)는 그 사이영역에 대략 디귿자 형상의 아암수용홈(22a)이 마련되도록 형성된다.
전방휠(12)은 부착판(12a)을 통해 지지프레임(20)에 결합된다. 여기서 전방휠(12)은 후방휠(60)과 지지프레임(20)이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될 때 지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우아암(30)은 상면 중앙영역에 한 쌍의 언덕부(31)가 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는 각각 한 쌍의 링크결합돌부(32)가 분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로우아암(30)은 지지프레임(20)의 아암수용홈(22a) 영역에서 한 쌍의 언덕부(31)와 한 쌍의 지지벽부(22)를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축(33)을 통해 지지프레임(2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로우아암(30)은 지지프레임(20)의 저면 중앙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평행유지스프링(13)은 각각 비틀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협조하여 로우아암(30)을 지지프레임(20)의 저면에 대하여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언덕부(31)사이영역에서 지지축(33)에 결합되어 있다.
휠링크연동레버(40)는 휠링크연동부를 구성하고, 좌측 휠링크연동레버(41) 및 우측 휠링크연동레버(42)와 좌측 휠링크연동레버(41)와 우측 휠링크연동레버(42)를 연결하는 "T"자 형상의 결합부재(43)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부재(43)는 나사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레버연결관부(43a)와,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내표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연결관부(43b)를 갖고 있다.
레버연결관부(43a)의 나사공에는 좌측 휠링크연동레버(41)와 우측 휠링크연동레버(42)의 일단이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휠링크연동레버(40)는 프레임연결관부(43b)를 통해 레버지지부(21)에 결합되는 바, 그 결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연결관부(43b)에 지지부시(44)를 장착한다.
다음에 프레임연결관부(43b)를 레버지지부(21)의 전방으로부터 레버지지부(21)의 레버결합공(21a)에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간격유지너트(45)와 풀림방지캡(46)을 순차적으로 프레임연결관부(43b)에 삽입한 후, 나사(47)를 프레임연결관부(43b)에 삽입하여 조인다.
이와 같이 레버지지부(21)에 결합된 휠링크연동레버(40)는 로우아암(30)의 지지점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프레임(20)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휠링크(50)는 대략 원형단면형상의 바디부(51)와, 바디부(51)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측결합플랜지(52) 및 하측결합플랜지(53)와, 바디부(5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축부(54)를 갖고 있다.
상측결합플랜지(52)와 하측결합플랜지(53)에는 각각 상측축공(52a)과 하측축 공(5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휠링크(50)는 상측결합플랜지(52)와 하측결합플랜지(53)를 통해 로우아암(30)의 링크결합돌부(32)와 휠링크연동레버(40)의 자유단에 축결합된다.
휠링크(50)와 로우아암(30)과의 축결합은 하측축공(53a)의 양단에 부시(55)를 하나씩 삽입한 상태로 하측결합플랜지(53)를 통해 이루어진다. 지지축(33)은 멈춤나사(68)에 의해 링크결합돌부(32)에 고정지지된다. 이와 같이 로우아암(30)에 결합된 각 휠링크(50)는 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게 된다.
휠링크(50)와 휠링크연동레버(40)와의 축결합은 상측축공(52a)의 양단에 한 쌍의 부시(56)를 삽입한 상태로 상측결합플랜지(52)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휠링크연동레버(40)의 양단에는 캡너트(57)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휠링크연동레버(40)에 결합된 각 휠링크(50)는 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게 된다.
각 후방휠(60)은 중앙영역에 링크결합공(61)이 형성되어 있으며, 링크결합공(61)의 내표면 중앙영역에는 고리상의 분리턱(61a)이 형성되어 있다.
각 후방휠(60)은 휠링크(50)의 지지축부(54)가 링크결합공(6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너트(62)를 통해 각 휠링크(50)에 결합된다. 각 후방휠(60)이 휠링크(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축부(54)의 외표면에는 한 쌍의 베어링(64)이 장착되고, 고정너트(62)의 전단에는 휠캡(66)을 사이에 두고 고정나사(65)가 장착된다. 그리 고 한 쌍의 베어링(64) 사이에는 부시(63)가 개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휠링크(50)에 결합된 각 후방휠(60)은 휠링크(5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후방휠(60)은 전방휠(12)과 협조하여 이등변삼각형을 이루도록 휠링크(5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발부(11)에 발을 넣는다.
다음에 지지프레임(20)이 지면을 향해 가압되도록 양발에 힘을 주면서 전진시키면 전방휠(12)과 후방휠(6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아우트라인스케이트와 함께 착용자는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곡선상으로 주행할 때 로우아암(30)은 지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한 쌍의 휠링크(50)와 한 쌍의 후방휠(60)은 각각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중심을 향해 경사를 이루게 된다(도8 참조). 그리고 휠링크(50)와 후방휠(60)은 로우아암(30)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곡선상으로 주행할 때 로우아암(30)이 지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착용자의 무게중심이 회전중심을 향해 이동하여 한 쌍의 후방휠(60) 중 내측(회전중심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후방휠이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게 되더라도 외측(회전중심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후방휠이 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측에 위치하는 후방휠을 통해 지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여기서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지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는 로우아암을 통해 착용자로부터 후방휠에 압력이 전달됨으로써 지면에 수직인 방향의 압력성분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우아암(30)을 한 쌍의 후방휠(60)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지지프레임(20)의 저면에 결합하고 휠링크(50)를 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로우아암(30)에 결합함으로써, 곡선주행 중 또는 자세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상황에서 외측(회전중심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후방휠(60)이 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후방휠(60)을 통해 지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무게중심을 잃고 미끌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후방휠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발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평행유지스프링(13)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면으로 이탈된 상태(요철면을 주행할 때 튀어 오르는 경우 포함)에서 로우아암(30)과 지지프레임(20)을 평행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발이 지면으로 이탈한 후 착지될 때 후방휠(60)이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수직상태를 상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정된 자세로 착지할 수 있게 되어 발목이 접질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휠링크연동레버(40)를 지지프레임(20)의 후단에 형성된 레버지지부(21)에 결합하고 있으나,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의 전단에 형성된 레버지지부(21')에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평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지지부(21')가 지지프레임(20')의 전단으로부터 신발부(도시되지 않음)의 발등영역을 향해 곡선을 그리며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휠링크연동레버(40')는 신발부의 발등영역을 둘러싸도록 레버지지부(21')에 결합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휠링크연동부로서 휠링크연동레버(40, 40')를 채용하고 있으나, 지지프레임의 양 측면에 하나씩 결합되는 한 쌍의 휠링크연동레일부(70')를 포함하도록 휠링크연동부를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1 및 도12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링크연동부로서 한 쌍의 휠링크연동레일부(70')가 채용되고 휠링크(50')의 구조가 변경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각 휠링크연동레일부(70')는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갖는 슬라이딩레일(70'a)을 가지고, 슬라이딩레일(70'a)이 휠링크(50')의 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지지프레임(20')의 양 측면에 하나씩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휠링크(50')는 대략 원형단면형상의 바디부(51')와, 바디부(51')의 하단에 형성된 하측결합플랜지(53')와, 바디부(51')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축부(도시되지 않음)와, 바디부(51')의 외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부(52')를 갖고 있다.
하측결합플랜지(53')에는 하측축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휠링크(50')는 하측결합플랜지(53')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경우와 같이 로우아암(30')에 축결합된다.
슬라이딩홈부(52')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52'a)이 슬라이딩레일(70'a)에 형상 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곡선주행 중 또는 자세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상황에서 한 쌍의 휠링크(50')의 회동각도는 휠링크연동레일부(70')의 슬라이딩레일(70'a)이 슬라이딩홈부(52')의 슬라이딩홈(52'a)에 맞물리면서 슬라이딩이동함에 따라 동일하게 유지된다(도13 및 도14 참조).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신발부(11)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종래의 경우와 같이 신발부를 생략하는 한편 다수의 고정띠를 마련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곡선주행 중 또는 자세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상황에서 후방휠이 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후방휠을 통해 지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착용자가 무게중심을 잃고 미끌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후방휠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발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과 협조하여 에이치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 측에 하나씩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휠(60)을 갖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에 있어서,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저면 중앙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후방휠(60)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저면에 결합된 로우아암(3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우아암(30)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휠링크(50)와, 상기 각 휠링크(50)가 상기 로우아암(30)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휠링크(50)를 연동시키는 휠링크연동부를 포함하고;상기 각 후방휠(60)은 상기 휠링크(50)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휠링크연동부는 상기 로우아암(30)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휠링크(50)의 상단영역을 연결하고 상기 휠링크(50)가 회동할 때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결합되는 휠링크연동레버(40)를 포함하고;상기 각 휠링크(50)는 상단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휠링크연동레버(40)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휠링크연동부는 맞물릴 수 있는 단면형상을 갖는 슬라이딩레일(70'a)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레일(70'a)이 상기 휠링크(50')에 대향하고 상기 휠링크(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 측면에 하나씩 결합되는 한 쌍의 휠링크연동레일부(70')를 포함하고;상기 각 휠링크(50')는 상기 로우아암(30')에 대하여 회동할 때 상기 슬라이딩레일(70'a)이 맞물린 상태로 슬라이딩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5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로우아암(30, 30')과 상기 지지프레임(20, 20')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로우아암(30, 30')이 상기 지지프레임(20, 20')에 나란하도록 상기 로우아암(30, 30')을 상기 지지프레임(20, 20')에 대하여 탄성 가압하는 평행유지스프링(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1058A KR100732956B1 (ko) | 2005-10-26 | 2005-10-26 | 아우트라인스케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1058A KR100732956B1 (ko) | 2005-10-26 | 2005-10-26 | 아우트라인스케이트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0371U Division KR200405988Y1 (ko) | 2005-10-26 | 2005-10-26 | 아우트라인스케이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4859A KR20070044859A (ko) | 2007-05-02 |
KR100732956B1 true KR100732956B1 (ko) | 2007-06-29 |
Family
ID=3827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1058A KR100732956B1 (ko) | 2005-10-26 | 2005-10-26 | 아우트라인스케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32956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220677A (ja) * | 1989-02-23 | 1990-09-03 | Katsumi Kimura | 走行運動具 |
WO1992019337A1 (fr) * | 1991-04-24 | 1992-11-12 | Cartier Millon Guy | Petit engin sportif pouvant se deplacer sur tous terrains |
US5474314A (en) * | 1994-07-07 | 1995-12-12 | Lehman; James | Coaster board |
KR20040111400A (ko) * | 2002-03-11 | 2004-12-31 | 레지날드 라이올 레이드 | 오락용 퍼스널 컨베이언스 |
US6874795B2 (en) * | 1999-04-07 | 2005-04-05 | Chien-Min Sung | Wheeled skate device |
KR200405988Y1 (ko) * | 2005-10-26 | 2006-01-11 | 김선기 | 아우트라인스케이트 |
-
2005
- 2005-10-26 KR KR1020050101058A patent/KR10073295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220677A (ja) * | 1989-02-23 | 1990-09-03 | Katsumi Kimura | 走行運動具 |
WO1992019337A1 (fr) * | 1991-04-24 | 1992-11-12 | Cartier Millon Guy | Petit engin sportif pouvant se deplacer sur tous terrains |
US5474314A (en) * | 1994-07-07 | 1995-12-12 | Lehman; James | Coaster board |
US6874795B2 (en) * | 1999-04-07 | 2005-04-05 | Chien-Min Sung | Wheeled skate device |
KR20040111400A (ko) * | 2002-03-11 | 2004-12-31 | 레지날드 라이올 레이드 | 오락용 퍼스널 컨베이언스 |
KR200405988Y1 (ko) * | 2005-10-26 | 2006-01-11 | 김선기 | 아우트라인스케이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4859A (ko) | 2007-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665834B (zh) | 滚轴滑冰鞋及其轮架 | |
US7464944B2 (en) | Wheeled skate | |
US7618046B2 (en) | Roller skate and wheel trucks therefor | |
US8292308B2 (en) | Roller skate | |
US5382052A (en) | In-line roller blade figure skate | |
PT999882E (pt) | Patim de rodas. | |
US7000930B2 (en) | Tandem-wheeled riding device | |
US7926824B2 (en) | Roller skate braking system | |
KR100933532B1 (ko) | 스트리트보드 | |
US7341261B2 (en) | Skate | |
RU2359729C2 (ru) |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передвижен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активного отдыха | |
US6382640B1 (en) | Latitudinal aligned mono-wheel skate device | |
KR100732956B1 (ko) | 아우트라인스케이트 | |
KR200405988Y1 (ko) | 아우트라인스케이트 | |
GB2556961B (en) | Adjustable roller skates | |
FR2614547A1 (fr) | Patin a roulettes lineaire leger multi pointures | |
KR200318073Y1 (ko) | 롤러 스케이트 | |
KR200336022Y1 (ko) | 롤러 스케이트 | |
WO2021101421A1 (en) | Roller skis | |
KR200371542Y1 (ko) |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 |
KR20060016160A (ko) | 휴대하기 용이한 스케이트 보드 | |
KR200381602Y1 (ko) | 신발착탈용 롤러스케이트 | |
KR200395815Y1 (ko) | 지그재그 스케이트 | |
TWM407092U (en) | Wheel frame structure of inline skate | |
US20070102891A1 (en) | Foot movable mechanism and brake in ska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