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1553B1 - 혈당강하용 혼합조성물 - Google Patents

혈당강하용 혼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553B1
KR100731553B1 KR1020050062512A KR20050062512A KR100731553B1 KR 100731553 B1 KR100731553 B1 KR 100731553B1 KR 1020050062512 A KR1020050062512 A KR 1020050062512A KR 20050062512 A KR20050062512 A KR 20050062512A KR 100731553 B1 KR100731553 B1 KR 100731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tivity
cordyceps sinensis
composition
cinna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762A (ko
Inventor
최면
Original Assignee
강원생물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생물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강원생물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05006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553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6Clavicipitaceae
    • A61K36/068Cordy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충하초, 메밀쌀, 인진쑥 및 계피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생약 혼합조성물이 세포내 포도당 대사에 관련한 효소들을 활성시킴으로써 혈당을 강하시켜 당뇨병 환자의 증상을 개선해 줌으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동충하초, 메밀쌀, 인진쑥, 계피, 혈당강하

Description

혈당강하용 혼합조성물{composition for the descent of blood sugar}
도 1은 다양한 생약소재들에 의한 글루코키나아제의 활성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은 다양한 생약소재들에 의한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의 활성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다양한 생약소재들에 의한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실라제의 활성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글루코키나아제의 활성을 도시한 도표이다.
도 5는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의 활성을 도시한 도표이다.
도 6은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실라제의 활성을 도시한 도표이다.
본 발명은 혈당강하용 혼합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충하초, 메밀쌀, 인진쑥 및 계피를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혼합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혈중 포도당 농도의 상승, 인슐린 부족 또는 인슐린 작용의 감소, 포도당, 지방과 단백질 대사의 이상과 이로 인한 급·만성 합병증의 발생으로 특징지어지는 질환이다. 당뇨병은 보통 기존의 인슐린이나 경구 혈당 강하제의 투여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로써 근원적으로 치료하는데 한계가 있고, 경제적 부담과 더불어 부작용의 위험도 수반하고 있어, 근래에 와서는 식이요법 및 자연요법에 근거하여 대부분의 환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민간요법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으로 천연식물 등의 약리물질을 탐색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당수는 과학적 근거가 희박하고 치료효과나 부작용에 대한 이론이 정립되지 않아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항당뇨 관련 기전상의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부작용 없이 당뇨병을 개선하거나 치유할 수 있는 물질을 발굴, 검증하여 건강 기능성 소재로 활용한다면 문제가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2-0087570 호에는 누에 기주의 동충하초가 당뇨병 치료 효과를 갖는다고 제시되어 있는 바,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당뇨병 치료 효과로 이미 공지된 동충하초를 그대로 포함시키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혈당을 낮출 수 있는 조성물을 발명하고자 거듭 노력하였다. 특히 동충하초는 당뇨병 치료 뿐만이 아니라, 항암작용이나 항균작용등의 여러 가지 약리기전을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한약 재료로서도 상당히 고가에 판매되고 있으므로 동충하초 추출물만으로 당뇨병 치료 효과를 만족시키기에는 재료비의 부담이 상당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동충하초 뿐만 아니라 그 외에 혈당강하 작용이 있는 다른 생약 소재들을 선별하여 혼합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은 시급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체내로 습수된 포도당을 각 조직의 세포가 이용하는 속도를 증가시켜 혈중에 포도당 과도하게 머무는 시간을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포도당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생약 소재들을 선별하기에 이르렀으며, 이들의 적절한 혼합비를 통하여 포도당 대사 관련 효소의 활성이 증가됨을 확인하고 이로써 당뇨병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혼합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세포내 포도당 대사에 관련한 효소들을 활성시키는 작용이 있는 천연생약 소재들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환자를 위한 혈당강하용 혼합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혈당강하제 투여 등의 약물치료가 근원적인 당뇨병 치료로써는 부족한 문제점 및 부작용 등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혈당강하 기능에 유용한 혼합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충하초 추출물에 세포내 포도당 대사에 관련된 효소들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이 있는 메밀쌀 추출물이나 인진쑥 추출물 또는 계피 추출물 중 하나를 선택하여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 전부를 주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여 당뇨병을 개선시키기에 유용한 혈당저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어떤 형태의 당뇨이던지 증상의 개선이나 치유의 기본 원리는 식사 후 체내로 흡수된 당을 각 조직의 세포가 이용하는 속도를 증가시켜 혈중에 당이 과도하게 머무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세포 내로 흡수된 당의 이용 속도를 증가시키려면 세포내 당대사 기전에 있어서 첫번째 단계인 글루코스가 피루베이트(Pyruvate)로 분해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글루코키나아제의 활성을 증가시키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과정은 가역적인 반응이기 때문에 글루코키나아제의 활성만 증가시킬 수 있는 소재는 당의 이용 속도를 계속적으로 증가시킬 수 없으므로, 다음 단계인 비가역적 반응에 작용하는 활성형의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Pyruvate dehydrogenase)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때 생산되는 다량의 APT를 운동 등을 통해 소비해줘야 되는데 그렇지 못하다면 이 반응의 속도 증가는 제한 받게 되는 결과를 낳으므로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의 다음 단계인 아세틸-코에이(Acetyl-CoA)를 지방으로 전환하여 저장하는 속도를 증가시키도록하는 과정에서 관여하는 효소인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실라제(Acetyl-CoA caroxylase)의 활성이 증가되면 효율적으로 혈당의 감소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새포내 당대사에 관련된 효소들인 글루코키나아제,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 또는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실라제의 활성을 증가시킬수 있는 소재와 그 소재들의 조합을 지속적으로 탐색하였으며, 결국 새로운 기능성 조성물의 소재로서 천연물 소재인 동충하초, 메밀쌀, 인진쑥 및 계피를 선별하였다.
동충하초(冬蟲夏草)는 곰팡이의 일종인 동충하초균이 주로 온도, 습도가 높아지는 시기에 살아있는 곤충의 몸 속으로 들어가 발육증식하면서 기주곤충을 죽이고 얼마 후 자실체를 곤충의 표피에 형성하는 일종의 약용버섯으로 항균작용이 강하고 중추신경계작용, 호흡계통작용, 심장혈관작용, 항암작용, 면역증강작용, 항피로작용, 항노화작용 등의 약리기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밀쌀은 마디풀과의 일년초로서 중앙아시아에서 들어온 재배 식물로서 대장 같은 소화기 기능을 튼튼하게 하고 기력을 회복에 도움이 되어 소화가 안될 때, 이질, 여성대하, 동맥경화, 고혈압 같은 병에 많이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진쑥은 잎은 쑥 처럼 생겼으나 쑥잎보다 약간 가늘면서도 대는 쑥보다 더 크게 자라는 약초로 간에 열이 있어 나타나는 증상인 간염, 황달 등에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피는 계수나무의 뿌리 ·줄기 ·가지 등의 껍질을 벗겨서 말리거나, 껍질 을 벗기지 않고 건조시킨 가느다란 가지를 말하며 위장운동을 좋게하고 혈액순환 촉진이나 혈압강하 등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새로운 기능성 조성물의 소재를 선별하기 위해서 동충하초, 메밀쌀, 메밀피, 메밀싹, 인진쑥, 계피, 민들레, 차가버섯, 당귀, 피부백삼, 오가목, 황기추출물 및 녹색입홍합의 여러 생약재들이 포도당 관련 효소들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상기 각 생약재들을 재료로 하여 실험예 1 내지 4 에서와 같이 추출물을 분리해 내었으며 그리하여, 동충하초 추출물, 메밀쌀 추출물, 메밀피 추출물, 메밀싹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계피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당귀 추출물, 피부백삼 추출물, 오가목 추출물, 황기추출물 및 녹색입홍합 추출물을 각각 실험예 5 내지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험하여 당분해 관련 효소인 글루코키나아제,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시라아제의 활성에 미치는 활성값을 측정하였다. 특히, 메밀피와 메밀쌀의 경우는 그 비율을 1:3, 2:2, 3:1 로 다르게 하여 혼합한 것으로부터의 추출물을 분리하여 실험예 5 내지 7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또한 동충하초의 경우에는 실험예 4와 같이 분획물 A 와 B 의 각각을 측정했을 뿐만 아니라 A와 B의 비율을 1:3, 2:2, 3:1로 하여 측정하였다.
이 실험에 있어서 상기 세가지 효소들의 활성값은 상기 재료군에 대한 대조군을 선정하여 그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쌀과 옥수수를 혼합한 것으로부터 얻은 추출물로써 어떤 보조인자도 첨가하지 않은 것을 100%의 활성치로 보고 그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 2, 3 과 같다.
도 1, 2, 3 에 따르면 동충하초 추출물은 측정한 항당뇨 관련 효소 3종 모두에서 높은 활성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도 1의 글루코키나아제의 경우에는 타 샘플들 보다 탁월하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분획물 A와 분획물 B를 3 : 1 의 비율로 한 경우 각각의 효소에 있어서 최고의 활성을 보였다.
메밀류들의 추출물에 관하여서는 메밀싹이 글루코키나아제(도 1)와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시라제(도 3) 활성에 가장 영향을 끼쳤지만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도 2)의 경우에는 메밀쌀이 그 활성을 가장 높게 하였으며 탁월하였다.
인진쑥도 효소들의 활성을 높히는 역할을 하였으며 특히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시라제(도 3)의 활성을 높히는데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또한, 계피의 경우는 세 가지 효소 모두(도 1, 2, 3)에서 두번째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혈당강하에 좋은 역할을 하는 소재임이 파악되었다.
그리고, 상기의 실험에서 Cr3+, Mg2+ 및 TPP(thiamine pyrophosphate) 등 세가지 보조인자를 다 첨가한 경우가 Mg2+,TPP 만을 첨가한 경우나 세가지 보조인자를 다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월등한 증가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실험을 통하여 당관련의 세가지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데 적당한 소 재로서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이외에도 메밀류, 인진쑥 및 계피가 선택되었다.
동충하초가 글루코키나아제의 활성을 탁월히 증가시켜주지만 이 과정은 가역적 반응이므로 당의 이용 속도를 계속적으로 증가시킬 수 없으므로, 가역적 반응에 작용하는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메밀쌀 성분이 더 첨가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동충하초가 글루코키나아제의 활성을 탁월히 증가시켜주지만 결국 TCA회로를 통해 생산되는 다량의 ATP를 소비해줘야만 반응 속도 증가가 제한받게 되지 않으므로 아세틸-코에이를 지방으로 전환하는 속도를 증가시키는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시라제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인진쑥 성분이 더 첨가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대사 관련 효소들의 활성을 높여 주는데 탁월한 기능을 하는 동충하초, 메밀쌀, 인진쑥 및 계피의 성분을 다 포함하도록 하는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선택된 4가지 소재를 여러가지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조성물의 경우에 실험예 5 내지 7의 방법으로 각 효소별 활성을 측정한 값은 다음과 같다.
[표1] 선택소재와 배합별 글루코키나아제의 활성치 측정결과
(대조군의 분당 NADPH의 생성량을 100%로 보고 그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
조성물 배합비율 (중량비) 혈당강하효과 (%)
동충하초 메밀쌀 인진쑥 계피
실시예 1 10 0 0 0 361
실시예 2 0 10 0 0 146
실시예 3 0 0 10 0 167
실시예 4 0 0 0 10 305
실시예 5 9 0.5 0.2 0.3 353
실시예 6 8 0.5 0.8 0.7 365
실시예 7 7 0.7 1.3 1.0 374
실시예 8 6 1.0 1.5 1.5 370
실시예 9 5 1.3 1.8 1.9 379
실시예 10 4 1.7 2.1 2.2 335
실시예 11 3 2.2 2.5 2.5 282
실시예 12 2 2.5 2.8 2.8 241
실시예 13 1 2.8 3.0 3.2 287
[표2] 선택소재와 배합별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 활성치 측정결과
(대조군의 분당 ρ-Nitroaniline의 반응량을 100%로 보고 그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
조성물 배합비율 (중량비) 혈당강하효과 (%)
동충하초 메밀쌀 인진쑥 계피
실시예 1 10 0 0 0 203
실시예 2 0 10 0 0 244
실시예 3 0 0 10 0 137
실시예 4 0 0 0 10 229
실시예 5 9 0.5 0.2 0.3 199
실시예 6 8 0.5 0.8 0.7 211
실시예 7 7 0.7 1.3 1.0 252
실시예 8 6 1.0 1.5 1.5 279
실시예 9 5 1.3 1.8 1.9 283
실시예 10 4 1.7 2.1 2.2 257
실시예 11 3 2.2 2.5 2.5 203
실시예 12 2 2.5 2.8 2.8 205
실시예 13 1 2.8 3.0 3.2 185
[표3] 선택소재와 배합별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시라제 활성치 측정결과
(대조군의 분당 NADP의 반응량을 100%로 보고 그에대한 백분율로 표시)
조성물 배합비율 (중량비) 혈당강하효과 (%)
동충하초 메밀쌀 인진쑥 계피
실시예 1 10 0 0 0 204
실시예 2 0 10 0 0 113
실시예 3 0 0 10 0 477
실시예 4 0 0 0 10 365
실시예 5 9 0.5 0.2 0.3 330
실시예 6 8 0.5 0.8 0.7 491
실시예 7 7 0.7 1.3 1.0 539
실시예 8 6 1.0 1.5 1.5 590
실시예 9 5 1.3 1.8 1.9 686
실시예 10 4 1.7 2.1 2.2 565
실시예 11 3 2.2 2.5 2.5 453
실시예 12 2 2.5 2.8 2.8 487
실시예 13 1 2.8 3.0 3.2 427
상기 [표1]에 따르면 글루코키나아제의 활성은 4가지 선택 재료 중에서 동충하초만으로 이루어진 실시예 1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나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의 경우에 있어서는 동충하초만 선택하였을때인 실시예 1의 효과와 비슷하거나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 뿐만 아니라 동충하초는 가격의 면에서 구입하기가 어렵기에 다른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동충하초 추출물만의 경우에는 비경제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메밀쌀, 인진쑥 및 계피를 적절한 중량비로 배합함으로써 동충하초만의 혈당강하 효능보다 좀 더 높은 효능을 지니면서도 경제성을 고려한 혈압강하용 조성물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표2] 및 [표3]에 따르면 4가지 선택 재료 중에서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의 활성은 메밀쌀만 선택한 실시예 2의 경우에 가장 높고, 아세틸-코에이하이드록시라제의 활성은 인진쑥만 선택한 실시예 3의 경우에 가장 높지만 실 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의 경우에 각 효소의 활성이 훨씬 더 높게 측정되었다.
즉 동충하초 추출물, 메밀쌀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4 ∼ 8 : 0.5 ∼ 1.7 : 0.8 ∼ 2.1 : 1 ∼ 2.2 범위의 중량비 이외의 비율에 있어서는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와 아세틸코에이-하이드로시라제의 활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중량비 그들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중량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혼합조성물 중 동충하초 추출물, 메밀쌀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4 ∼ 8 : 0.5 ∼ 1.7 : 0.8 ∼ 2.1 :1 ∼ 2.2 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6 : 1 : 1.1 ~ 2.1 : 1.8 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동충하초( Cordyceps militaris )로부터 유효 성분의 추출물 제조
동충하초 중에서 Cordyceps militaris 종의 건조 분말 24g을 80℃의 200ml 더운 물로 100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고 원심분리하여 상청액(분획물 A)을 얻었 다. 열수 추출 후 남은 잔여물에 28g의 5% Na2CO3로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원심분리한 뒤 다시 그 잔여물에 NaBH4를 포함한 5% NaOH로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분획물 B)를 얻었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에 함유된 분획물 A 와 분획물 B의 비율은 1:2로 존재한다.
실험예 2. 메밀쌀 , 메밀피 및 메밀싹으로부터의 유효 성분의 추출물 제조
메밀쌀, 메밀피 및 메밀싹 각각을 5배의 상온의 증류수로 씻은 다음, 40℃의 드라이 오븐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840∼500㎛의 분말상태로 간 다음, 분말 상태의 24g을 40℃의 50% 에탄올 256ml을 용매로 하여 12시간동안 150rpm으로 인큐베이터에서 잘 흔들고 원심 분리하여 추출하였다.
실험예 3. 인진쑥, 계피, 민들레, 차가버섯, 당귀, 피부백삼, 오가목, 황기, 녹색입홍합으로부터 유효 성분의 추출
인진쑥, 또는 계피 , 민들레, 차가버섯, 당귀, 피부백삼, 오가목, 황기, 녹색입홍합 각각을 5배의 상온의 증류수로 씻은 다음, 40℃의 드라이 오븐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840∼500㎛의 분말상태로 간 다음, 분말 상태의 24g을 40℃의 증류수 256ml을 용매로 하여 12시간동안 150rpm으로 인큐베이터에서 잘 흔들고 원심 분리하여 추출하였다.
실험예 4. 메밀피와 메밀싹의 비율을 1:3, 2:2, 3:1로 하여 혼합한 것으로부터의 유효 성분의 추출
메밀피와 메밀싹을 1:3, 2:2, 3:1 의 비율로 혼합한 것의 각각을 5배의 상온의 증류수로 씻은 다음, 40℃의 드라이 오븐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840∼500㎛의 분말상태로 간 다음, 분말 상태의 24g을 40℃의 50% 에탄올 256ml을 용매로 하여 12시간동안 150rpm으로 인큐베이터에서 잘 흔들고 원심 분리하여 추출하였다.
실험예 5. 글루코키나아제 활성 측정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글루코스가 6-포스포글루네이트로 분해되는 과정에서 NADPH가 생성되므로 NADPH의 생성량은 글루코키나아제의 활성에 비례할 것이다. 그러므로, 샘플과 반응 완충제(44mM Gly-Gly, 7.5mM MgCl2, 3mM ATP, 0.4U G6P-DH, 0.75mM NADP+), 그리고 100mM 글루코스를 시험관에 넣고 28℃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간의 싸이토졸(cytosol)을 첨가한 후 즉시 cuvette에 옮겨 340nm의 스펙트로포토메타에서 초기 흡광도를 측정하고 생성된 NADPH의 양을 1분 간격으로 3분 동안 측정하였다. 또한 0.5mM 글루코스로 헥소키나아제(hexokinase)에 의한 NADPH 생성량에 대한 보정을 하였고, NADPH의 몰흡광 계수인 ε340nm = 6.22cm2/μmol 를 이용하여 생성된 양을 계산하였다. 글루코키나아제의 활성도는 분당 NADPH의 생성량을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서 표시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2회 3반복 실시하여 그 평균 값을 사용하였다.
글루코키나아제의 cofactor로서 Cr3+, Mg2+ 및 TPP 을 첨가하였으며, 다양한 시도를 통해 최종적으로는 TPP는 1mM, Mg2+은 7.5mM, Cr3+ 1mM이 최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조인자의 효능 비교를 위해 세가지 보조인자를 다 첨가한 경우와 Cr3+을 제외하였을때, 그리고 세가지 보조인자를 다 첨가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 확인하였다.
실험예 6.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 활성
[도 5]에서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에 의해서 피루베이트가 아세틸-코에이로 분해되며 이 아세틸-코에이가 ρ-니트로아닐린과 반응하여 아세틸-니트로아닐린으로 분해되므로 ρ-니트로아닐린의 반응량은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의 활성에 비례할 것이다. 그러므로 샘플과 반응 완충액(25mM KH2PO4, 1mM ρ-니트로아닐린, 1mM MgCl2, 2mM 2-멀캅토에탄올, 10mU 아릴아민 아세틸트랜드퍼라아제, 1mM TPP, 0.5mM NAD+, 0.1mM CoA, 2.5㎍/㎖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 그리고 20mM 피루베이트를 시험관에 넣고 25℃에서 5분간 반응시키고 심장의 미토콘드리아를 첨가한 후 즉시 큐베트에 옮겨 410nm의 스펙트로포토메타에서 초기 흡광도를 측정하고 반응한 ρ-니트로아닐린의 양을 1분 간격으로 3분 동안 측정하였고, ρ-니 트로아닐린의 물흡광 계수인 ε410nm = 8.8cm2/μmol를 이용하여 반응한 양을 계산하였다.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의 활성도는 분당 ρ-니트로아닐린의 반응량을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서 표시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2회 3반복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의 보조인자로서 Cr3 +, Mg2 + 및 TPP 을 첨가하였으며, 다양한 시도를 통해 최종적으로는 TPP는 1mM, Mg2+은 7.5mM, Cr3 + 1mM이 최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조인자의 효능 비교를 위해 세가지 보조인자를 다 첨가한 경우와 Cr3+을 제외하였을때, 그리고 세가지 보조인자를 다 첨가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 확인하였다.
실험예 7. 아세틸- 코에이 카르복시라제 활성
[도 6]에 따라 NADH의 반응량을 측정하여 아세틸-코에이의 활성치를 측정한 바, 심플과 반응 완충제(50mM Tris·HCl, 10mM 구연산칼륨, 3.75mM 글루타티온 0.0125mM NADH, 0.2mg BSA, 0.125mM 아세틸-코에이, 10mM MgCl2, 0.5mM 칼륨 포스포에노피루베이트, 0.009mg 피루베이트 키나아제, 0.002mg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 그리고 간의 사이토졸을 시험관에 넣고 37℃에서 12분간 반응시키고, 3.75mM ATP 첨가한 후 다시 37℃에서 1분간 더 반응시킨 후에 25mM KHCO3을 첨가하고 즉시 큐베트에 옮겨 340nm의 스펙트로포토메타에서 초기 흡광도를 측정하고 반 응한 NADH의 양을 1분 간격으로 3분 동안 측정하였고, NADH의 물흡광 계수인 ε340nm = 6.22cm2/μmol를 이용하여 반응한 양을 계산하였다.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시라제의 활성도는 분당 NADH의 반응량을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서 표시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2회 3반복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시라제의 Cofactor로서 Cr3+, Mg2+을 첨가하였으며, 다양한 시도를 통해 최종적으로는 Mg2+은 7.5mM, Cr3+ 1mM이 최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조인자의 효능 비교를 위해 세가지 보조인자를 다 첨가한의 경우와 Cr3+을 제외하였을때, 그리고 세가지 보조인자를 다 첨가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도당 대사 과정에 있어서 관련된 효소들을 활성시키는 작용이 있는 천연생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환자를 위한 혈당강하용 혼합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기존의 인슐린이나 경구 혈당 강하제의 투여의 한계를 개선시기키에 유용한 혼합조성물을 제공하여 약물치료에 따른 부작용 없이 당뇨병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동충하초 추출물, 메밀쌀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동충하초 추출물, 메밀쌀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은 5 : 1.3 : 1.8 :1.9 의 중량비로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생약혼합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Cr3+과 Mg2+ 이 보조인자로 더 첨가되거나 또는 Cr3+과 Mg2+ 및 TPP(thiamine pyrophosphate)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생약혼합조성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충하초 추출물은 동충하초의 건조 분말을 60 ~ 100℃의 더운 물로 열수 추출하고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청액과, 열수 추출 후 남은 잔여물을 Na2CO3 수용액으로 상온에서 추출하고 원심분리한 뒤 다시 그 잔여물에 NaBH4를 포함한 NaOH 수용액으로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청액을 3 : 1 의 비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생약혼합조성물.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글루코키나아제,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 또는 아세틸-코에이 카르복시라제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생약혼합조성물.
KR1020050062512A 2005-07-12 2005-07-12 혈당강하용 혼합조성물 KR100731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512A KR100731553B1 (ko) 2005-07-12 2005-07-12 혈당강하용 혼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512A KR100731553B1 (ko) 2005-07-12 2005-07-12 혈당강하용 혼합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762A KR20070008762A (ko) 2007-01-18
KR100731553B1 true KR100731553B1 (ko) 2007-06-22

Family

ID=3801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512A KR100731553B1 (ko) 2005-07-12 2005-07-12 혈당강하용 혼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5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542A (ko) * 2000-05-15 2001-11-29 배동만 긴급구조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40079285A (ko) * 2003-03-07 2004-09-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인진호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함유한 당뇨병 관련 질환치료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542A (ko) * 2000-05-15 2001-11-29 배동만 긴급구조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40079285A (ko) * 2003-03-07 2004-09-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인진호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함유한 당뇨병 관련 질환치료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c. Food Chem. 48, 849-852(2000)
생약학회지 32(4), 327-329(2001)
한국영양학회지 28(9), 809-817(199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762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i et al. Antidiabetic activity of Boerhaavia diffusa L.: effect on hepatic key enzymes in experimental diabetes
Daisy et al. Hypoglycemic effects of Clitoria ternatea Linn.(Fabaceae) in alloxan-induced diabetes in rats
EP1220680B1 (en) Echinacea supp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Kochhar et al.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on blood glucose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ics: A pilot study
DE112013006456T5 (de) Verfahren zur Herstellen eines Extrakts aus Kulturmedium von Ceriporia lacerata und dadurch hergestellt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zur Verhinderung oder Behandlung von diabetischen Erkrankungen und diabetischen Komplikationen, die einen Extrakt aus Kulturmedium von Ceriporia lacerata als aktiven Bestandteil enthält
JP2008533132A (ja) ジンセノサイドを含む糖尿病または血糖調節異常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学組成物
CN108392519A (zh) 一种降血糖组合物及其制备和应用
YUAN et al. Ameliorating effect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from woody ear (Auricularia auricula-judge Quel.) in genetically diabetic KK-Ay mice
KR101688090B1 (ko) 돼지감자 추출물, 미강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여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0731553B1 (ko) 혈당강하용 혼합조성물
RU2430735C1 (ru) Композиция, обладающая антидиабетическим действием
KR20110045371A (ko) 토복령, 여주 및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US8241677B2 (en) Foodstuff of tablets or capsules
KR100675311B1 (ko) 혈당강하용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Mohanapriya et al. In vitro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of Tolypiocladia glomerulata (C. Agardh) F. Schmitz
KR100973087B1 (ko)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당뇨병 치유용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N108165499A (zh) 一种猴头菌的培养基、山药生物转化菌丝体、山药生物转化菌丝体的提取物及其用途
KR100505780B1 (ko) 항 당뇨활성을 갖는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4076B1 (ko) 당뇨병 환자를 위한 혼합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20220054023A (ko)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WO2005077395A1 (ja) 生理活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Santhi Sirisha et al. Estimation of glycemic index of ragi recipes incorporated with curry leaf powder
Wang et al. Sulfated Modification of Polysaccharides from Sweet Corncob and Its Antiglycation Activity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Wulandari et al. Beetroot Powder (Beta vulgaris L.) Decrease Oxidative Stress by Reducing of Malondialdehyde (MDA) Levels in Hyperuricemia
CN103656624A (zh) 一种复方蚕蛹降糖保健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