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991B1 -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2991B1 KR100722991B1 KR1020060000969A KR20060000969A KR100722991B1 KR 100722991 B1 KR100722991 B1 KR 100722991B1 KR 1020060000969 A KR1020060000969 A KR 1020060000969A KR 20060000969 A KR20060000969 A KR 20060000969A KR 100722991 B1 KR100722991 B1 KR 1007229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krest
- chair
- close contact
- support
- clo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과,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 및, 착석자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좌판의 후방에 설치되는 등받이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전면에는 일정부분을 개방하여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외 측에 고정 설치되는 함체형의 고정 케이스를 포함하며, 탄력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단 일부가 절곡되어 좌판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수단; 상기 등받이가 착석자의 상체에 밀착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켜주도록 일단은 지지수단의 케이싱 내부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등받이의 후방에 설치되는 밀착 가압수단; 착석자의 상체가 등받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착석자의 움직임에 따라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등받이와 밀착 가압수단 사이에 설치되는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체형을 가지는 여러 사용자들에게 더욱 안락한 착석 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를 제공한다.
의자, 좌판, 등받이, 밀착, 가압, 각도조절, 복원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부분의 연결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밀착 가압수단과 복원수단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 의자 10 - 좌판
20 - 다리 30 - 등받이
40 - 지지수단 41 - 고정부
42 - 지지부 43 - 개구부
44 - 고정케이스 50 - 밀착 가압수단
51 - 실린더 52 - 로드
53 - 고정판 54 - 보강 샤프트
55 - 복원수단 60,60' - 각도 조절수단
61 - 제 1고정부 62 - 제 2고정부
63 - 연결부 64 - 볼부
65 - 삽입구 65a - 삽입홀
70 - 제 1체결공 71 - 제 2체결공
73 - 체결구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의 위치가 착석자의 상체 움직임에 따라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착석자의 상체를 더욱 균일하게 지 지할 수 있음은 물론, 편안함과 안락감을 줄 수 있는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 문화가 점차 서구화되면서 좌식 생활 문화의 보급으로 인해 의자에 앉아 생활하게 되는 시간이 점차 많아지게 되고, 특히 사무직 근로자나 학생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의자에 앉아 보내게 됨으로써, 의자의 기능적 중요성이 점차 대두 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현재 생산되고 있는 의자는 외형의 디자인 못지 않게 착석자가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기능적 요소가 점차 크게 부각되고 의자마다 다양한 형태의 쿠션을 제공하여 착석자의 둔부와 상체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의자가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지면에 지지 되는 다수의 다리와, 다리의 상단부에 착석자의 둔부가 지지 되도록 수평 장착된 좌판부 및, 좌판부의 후방에 착석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구조로 구성되는 각종 조절장치에 의해 등받이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는 각종 조절장치들이 착석자의 조작동작을 통하여 작동되기 때문에 각종 조절장치들의 조작동작을 수행해야 하는바, 이러한 조작동작이 착석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조절장치를 조절한다 하더라도 착석자의 움직임이 점차 변하기 때문에 안락한 착석자세를 제공하는 데에는 일정 한계가 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의자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등받이의 위치가 착석자의 상체 움직임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조작동작을 수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다양한 체형의 여러 사용자들에세 더욱 안락한 착석 자세를 유도할 수 있게 되는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좌판과,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 및, 착석자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좌판의 후방에 설치되는 등받이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 전면에는 일정부분을 개방하여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외 측에 고정 설치되는 함체형의 고정 케이스를 포함하며, 탄력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단 일부가 절곡되어 좌판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수단; 상기 등받이가 착석자의 상체에 밀착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켜주도록 일단은 지지수단의 케이싱 내부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등받이의 후방에 설치되는 밀착 가압수단; 착석자의 상체가 등받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착석자의 움직임에 따라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등받이와 밀착 가압수단 사이에 설치되는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 가압수단은, 일단은 지지수단의 고정 케이스 내부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인/출입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선단은 상기 각도 조절수단에 고정 설치되는 로드로 구성되는 쇼크업 소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 가압수단의 로드 주변에는, 상기 로드의 원할한 작동을 구현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 샤프트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밀착 가압수단과의 고정을 위한 제 1고정부와,
상기 제 1고정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등받이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 2고정부 및, 상기 제 1고정부와 제 2고정부를 연결하는 고무 등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밀착 가압수단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볼부와, 상기 등받이의 후면에 상기 볼부가 삽입되어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삽입홀을 구비하는 삽입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케이스에는, 밀착 가압수단의 회동시 일정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소정의 복원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원수단은, 좌우 양측에 한 조로 형성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일단에 연장되어 고정 케이스를 지지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제 1지지부와, 상기 코일부의 다른 일단에 연장되는 제 2지지부 및, 상기 제 2지지부 간을 연결하여 밀착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케이스는, 소정의 높이 조절수단에 의해 지지수단의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부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밀착 가압수단과 복원수단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자(A)는 하측에 다리(20)가 설치된 좌판(10)이 소정의 지지수단(40)과, 밀착 가압수단(50) 및, 각도 조절수단(60)에 의해 등받이(30)와 연결된다.
지지수단(10)은 일단이 좌판(2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41)와, 고정부(41)로부터 탄력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등받이(30) 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부(42)로 구분 형성된다.
지지부(42)에는 일정부분을 개방하여 형성되는 개구부(43)와, 이 개구부(43)의 외 측에 설치되며 후술 될 밀착 가압수단(5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함체형의 고정 케이스(44)가 설치된다.
이때, 고정 케이스(44)는 지지부(42)에 대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등받이(30)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등받이(30)의 높이 조절에 관한 내용은 후술될 높이 조절수단(70)의 설명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지지부(43)는 상단부를 상측으로 일부 연장하여 전면에 헤드레스트(8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좌판(20)의 양측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도시하지 아니한 팔걸이(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착석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밀착 가압수단(50)은 등받이(30)가 착석자의 상체에 밀착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착석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움직임(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발생하더라도 착석자의 상체를 계속적으로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밀착 가압수단(50)은 다양한 구조의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실린더(51)와 실린더(51)의 내부에 로드(52)가 인/출입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쇼크업 소버(shock absorber)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쇼크업 소버는 로드(42)가 내부 압력에 의해 항시 외부로 인출되려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밀착 가압수단(50)인 쇼크업 소버의 실린더(51) 끝단은 지지수단(40)의 고정 케이스(44) 내부에 설치되고, 로드(42)의 선단은 등받이(30)의 후방에 설치됨으로써, 착석자가 움직이는 방향(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등받이(30)가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등받이(30)가 착석자의 상체에 밀착되어 지지 되는 상태를 계속 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밀착 가압수단(50)인 쇼크업 소버의 로드(42)는 다수의 보강 샤프트(54)에 의해 보호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등받이(30)와 지지수단(40)이 밀착 가압수단(50)에 의존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측면에서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력이 없어 로드가 휘거나 꺽이게 되어 원활한 작동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41)의 선단에 고정판(53)을 설치하고, 이 고정판(53)에 실린더(41)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보강 샤프트(54)를 설치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하여 로드(42)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밀착 가압수단(50)의 실린더(51) 끝단은 고정 케이스(44)의 내부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즉, 착석자의 착석 상태에 따라 등받이(30)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저마다 다른 착석자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정 케이스(44)의 내부에는 소정의 복원수단(55)이 설치된다. 복원수단(55)은 등받이(3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밀착 가압수단(50)이 하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이동한 후, 등받이(3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면 밀착 가압수단(50)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복원수단(55)은 2개의 토션 스프링을 연결하는 형태로서, 좌우 양측에 한 조로 형성되는 코일부(55a)(55a')와, 이 코일부(55a)(55a')의 일단에 연장되는 제 1지지부(55b)(55b') 및, 코일부(55a)(55a')의 다른 일단에 연장되는 제 2지지부(55c)(55c') 및, 제 2지지부(55c)(55c')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55d)로 구성되어, 코일부(55a)(55a')와 제 1지지부(55b)(55b')는 고정 케이스(44)를 지지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제 2지지부(55c)(55c')간을 연결하는 연결부(55d)는 밀착 가압수단(50)을 지지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밀착 가압수단(50)의 회동에 따라 제 2지지부(55c)(55c') 역시 코일부(55a)(55a')로부터 회동하여 복원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등받이(3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밀착 가압수단(5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원수단(55)이 토션 스프링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판 스프링 등 밀착 가압수단(50)의 회동에 따라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도 조절수단(60)은 등받이(30)와 밀착 가압수단(50) 사이에 설치되어 등받이(30)가 착석자의 상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착석자의 자유로운 움직임(좌/우,상하 방향으로의 비틀림)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A)에 구비되는 각도 조절수단(60)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조절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A)에 구비되는 각도 조절수단(60)은 등받이(30)와 밀착 가압수단(50)을 연결하며, 등받이(30)에 지지된 착석자의 상체 움직임(좌/우,상/하 방향으로의 비틀림)에 따라 그 각도가 변화되어 균일하고 안정적인 착석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각도 조절수단(60)은 밀착 가압수단(50)인 쇼크업 소버의 로드 선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 1고정부(61)와, 제 1고정부(61)의 양측에 위치되며 등받이 (30)와의 고정을 위한 제 2고정부(62) 및, 제 1고정부(61)와 제 2고정부(62)를 연결하는 연결부(63)로 구성된다. 이때, 연결부(63)는 밀착 가압수단(50)과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움직임이 가능함은 물론, 움직임의 발생시 일정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고무 등의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1고정부(61)와 제 2고정부(62)를 연결하는 연결부(63)가 비틀림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석자의 상체가 움직이게 되면, 등받이(30)는 착석자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며, 착석자의 상체 움직임 후에는 연결부(63)의 복원력에 의해 등받이(30)가 착석자의 상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부(63)는 도시와 같이 상/하/전/후 부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등받이(30)의 움직임을 더욱 유연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자(A)에 구비되는 각도 조절수단(60)은 이와 다른 구조인 볼 조인트의 결합구조(60')를 적용시켜 등받이(30)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6의 도시와 같이 밀착 가압수단(50)인 쇼크업 소버의 로드(52) 선단에 구 형태의 볼부(64)를 일체로 형성하고, 등받이(30)의 후면에는 볼부(64)가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 되기 위한 삽입홀(65a)이 형성된 삽입부(65)가 구비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수단(40)과, 밀착 가압수단(50) 및, 각도 조절수단(60)에 의해 등받이(30)는 좌판(20)에 착석한 착석자가 도 7a에서와 같이 곧바로 앉거나, 도 7b에서와 같이 후방으로 기대어 앉거나, 도 7c의 도시와 같이 앞으로 숙이거나, 도 8의 도시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비틀게 되는 등 착석자의 상체 변화에 따라 등받이(30)역시 착석자의 상체 움직임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화되면서 착석자의 상체를 지지하기 때문에 더욱 안락한 착석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로서, 듀오백 스타일의 등받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듀오백 스타일의 등받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듀오백은 2개로 분리된 등받이(30')(30")가 착석자의 허리와 등을 지지하도록 된 등받이를 칭하는 것으로, 2개의 등받이(30')(30") 사이에 손가락 2~3개 정도의 공간이 남도록 하여 착석자가 착석시 척추가 아무런 압박을 받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서 이와 같은 듀오백 스타일의 등받이(30')(30")에 밀착 가압수단(50)과 각도 조절수단(60)을 설치함으로써, 더욱 편리한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구비되는 등받이의 높이 조절수단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0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A)는 착석자의 체형에 따라 알맞은 높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등받이(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등받이(30)의 높이 조절은 지지수단(40)에 설치된 고정 케이스(44)의 위치 조절을 통하여 가능하게 된다.
즉, 지지수단(40)의 개구부(43)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체결공(71)을 다수 형성하고, 고정 케이스(44)의 양단에는 제 1체결공(71)의 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체결공(72)을 형성하여, 제 1체결공(71)과 제 2체결공(72)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구(73)에 의해 조립이 되며, 제 2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1체결공이 상하로 다수 구비되어 있는 것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 1체결공을 다수 형성되는 것에 의해 등받이(30)의 높이 조절을 가능한 구조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는 장치를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 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의하면, 등받이가 착석자의 상체 움직임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하면서 착석자의 상체를 계속적으로 지지시켜 주기 때문에 다양한 체형을 가지는 여러 사용자들에게 더욱 안락한 착석 자세를 유도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8)
- 좌판과,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 및, 착석자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좌판의 후방에 설치되는 등받이로 구성된 의자에 있어서,평판형으로 표면에는 일정부분이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양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케이스를 포함하고, 하단에는 일부가 절곡되어 좌판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탄력적인 움직임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수단;상기 등받이가 착석자의 상체에 밀착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켜주도록 일단은 지지수단의 고정 케이스 내부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등받이의 후방에 설치되는 밀착 가압수단; 및착석자의 상체가 등받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착석자의 움직임에 따라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등받이와 밀착 가압수단 사이에 설치되는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밀착 가압수단은,일단은 지지수단의 고정 케이스 내부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실린더와,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인/출입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선단은 상기 각도 조절수단에 고정 설치되는 로드로 구성되는 쇼크업 소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밀착 가압수단의 로드 주변에는,상기 로드의 원할한 작동을 구현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 샤프트가 상기 로드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각도 조절수단은,밀착 가압수단과의 고정을 위한 제 1고정부와,상기 제 1고정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등받이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 2고정부 및,상기 제 1고정부와 제 2고정부를 연결하는 유연한 재질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각도 조절수단은,상기 밀착 가압수단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볼부와,상기 등받이의 후면에 상기 볼부가 삽입되어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삽입홀을 구비하는 삽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 케이스에는,밀착 가압수단의 회동시 일정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복원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복원수단은,좌우 양측에 한 조로 형성되는 코일부와,상기 코일부의 일단에 연장되어 고정 케이스를 지지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제 1지지부와,상기 코일부의 다른 일단에 연장되는 제 2지지부 및,상기 제 2지지부 간을 연결하여 밀착 가압수단의 실린더를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 케이스에는,상기 고정 케이스와 지지수단의 접촉 면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수단에 의해 지지수단의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0969A KR100722991B1 (ko) | 2006-01-04 | 2006-01-04 |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0969A KR100722991B1 (ko) | 2006-01-04 | 2006-01-04 |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22991B1 true KR100722991B1 (ko) | 2007-05-29 |
Family
ID=38278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00969A KR100722991B1 (ko) | 2006-01-04 | 2006-01-04 |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2991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8186B1 (ko) * | 2011-03-23 | 2011-12-05 | 이소정 | 장골과 천골을 동시에 교정하는 골반교정기 |
WO2011155795A3 (ko) * | 2010-06-11 | 2012-05-03 | Park Youngho | 의자 |
KR101243018B1 (ko) | 2011-10-04 | 2013-03-12 | 박영호 | 의자 |
CN105852474A (zh) * | 2016-06-29 | 2016-08-17 | 孙时泽 | 椅子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35835A (ja) | 1984-12-06 | 1986-06-23 | Daihatsu Motor Co Ltd | 自動車用シ−ト |
JPH0563352U (ja) * | 1992-02-07 | 1993-08-24 | アラコ株式会社 | シート緩衝装置 |
KR0127425Y1 (ko) * | 1995-10-20 | 1998-10-15 | 정해창 | 의자의 등판 결착구 |
KR200189721Y1 (ko) | 2000-02-24 | 2000-07-15 | 길영옥 |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
KR200325403Y1 (ko) | 2003-04-23 | 2003-09-03 | 구자향 | 보조등판이 구비된 의자 |
-
2006
- 2006-01-04 KR KR1020060000969A patent/KR10072299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35835A (ja) | 1984-12-06 | 1986-06-23 | Daihatsu Motor Co Ltd | 自動車用シ−ト |
JPH0563352U (ja) * | 1992-02-07 | 1993-08-24 | アラコ株式会社 | シート緩衝装置 |
KR0127425Y1 (ko) * | 1995-10-20 | 1998-10-15 | 정해창 | 의자의 등판 결착구 |
KR200189721Y1 (ko) | 2000-02-24 | 2000-07-15 | 길영옥 |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
KR200325403Y1 (ko) | 2003-04-23 | 2003-09-03 | 구자향 | 보조등판이 구비된 의자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55795A3 (ko) * | 2010-06-11 | 2012-05-03 | Park Youngho | 의자 |
KR101088186B1 (ko) * | 2011-03-23 | 2011-12-05 | 이소정 | 장골과 천골을 동시에 교정하는 골반교정기 |
KR101243018B1 (ko) | 2011-10-04 | 2013-03-12 | 박영호 | 의자 |
CN105852474A (zh) * | 2016-06-29 | 2016-08-17 | 孙时泽 | 椅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401306B1 (en) | Seats | |
US5704689A (en) | Chair having separable back | |
KR101913799B1 (ko) | 좌판 틸팅형 의자 | |
KR102206733B1 (ko) | 입체적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 |
US7806477B2 (en) | Furniture member lumbar support system | |
JPH0146127B2 (ko) | ||
KR101095572B1 (ko) | 의자용 좌판 회전장치 | |
KR20080090592A (ko) |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조정이 가능한 의자 | |
KR101231028B1 (ko) | 기능성 좌판 | |
KR101135969B1 (ko) | 의자용 등받이 | |
US6942295B1 (en) | Reclining chair system | |
US20120119552A1 (en) | Automatically adjustable chair structure | |
WO2007080667A1 (ja) | 座席構造 | |
KR100722991B1 (ko) |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 |
CN111200955A (zh) | 具有自调整接头的椅子 | |
KR101012520B1 (ko) | 복합 탄력 지지 허리받이 의자 | |
KR200396260Y1 (ko) |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 |
KR101071058B1 (ko) | 의자의 접철식 서포터 장치 | |
KR100981057B1 (ko) | 의자용 신체받이류의 결합연결구조 | |
JP2001299499A (ja) | 椅子の背凭れ構造 | |
JP2555234Y2 (ja) | 椅子の傾動構造 | |
KR101056076B1 (ko) |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 |
JPH0542771Y2 (ko) | ||
KR200428245Y1 (ko) | 의자용 허리받침대 | |
KR102491240B1 (ko) | 틸트기능을 갖는 의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