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0376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376B1
KR100690376B1 KR1020040018440A KR20040018440A KR100690376B1 KR 100690376 B1 KR100690376 B1 KR 100690376B1 KR 1020040018440 A KR1020040018440 A KR 1020040018440A KR 20040018440 A KR20040018440 A KR 20040018440A KR 100690376 B1 KR100690376 B1 KR 10069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ircuit
display control
substrate
connector
panel pn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969A (ko
Inventor
이마조요시히로
야나가와카즈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ublication of KR2004008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모듈의 관찰측과 반대측의 면에, 영상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커넥터와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이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과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면적은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의 면적보다도 작게 구성되어 있다.
표시모듈, 관찰측, 커넥터, 기판, 표시, 제어회로, 표시장치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그 표시모듈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Ⅱ-Ⅱ선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4는 도1에 나타내는 표시 제어회로기판 및 커넥터 기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표시패널(PNL)과 그것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표시 제어회로기판의 부분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은 표시패널(PNL)과 그것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표시 제어회로기판의 부분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표시 제어회로기판과 커넥터 기판과의 접속형태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그 표시패널(PNL)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9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그 표시패널(PNL)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외부 영상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1은 플렉시블 기판 등의 케이블에 접속되는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12는 커넥터 기판 및 표시 제어회로기판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3은 표시 제어회로기판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4는 커넥터 기판 및 표시 제어회로기판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5는 표시패널(PNL)과 표시 제어회로기판의 접속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6은 표시 제어회로기판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은 표시 제어회로기판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은 표시 제어회로기판의 표시패널(PNL)에 대한 위치 맞춤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는 표시 제어회로기판의 표시패널(PNL)에 대한 위치 맞춤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은 표시 제어회로기판의 표시패널(PNL)에 대한 위치 맞춤을 양호하게 하 기 위한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22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표시패널(PNL)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 일렉트로 루미네센스·어레이 혹은 다른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는, 일예로서 투명기판을 외위기(外圍器)로서 액정이 밀봉된 액정표시패널(PNL), 이 액정표시패널(PNL)에 광을 투과시키는 백라이트, 이 액정표시패널(PNL) 내에 표시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하고, 이들은 프레임 내에 수납됨으로써 모듈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모듈화된 액정표시 모듈의 배면에는, 상기 구동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표시제어회로를 액정표시장치의 외부에서 영상 데이터를 받아들이기 위한 커넥터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표시제어회로와 커넥터는 동일한 기판에 탑재되며, 이 기판을 액정표시모듈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저에 따라서는 상기 커넥터는 그 유저측의 사양에 합치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그 교환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이 지적되기에 이르렀다.
또 그 교환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표시제어회로까지도 동시에 교환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점이 생겼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그 이점은, 외부의 영상 데이터를 받아들이기 위한 커넥터의 교환을 용이하게 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이점을 달성시키는, 혹은 이하의 설명에서 명백해지는 여러가지의 이점을 나타내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1)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표시모듈의 관찰측과 반대측의 면에, 영상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커넥터와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이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과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면적은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의 면적보다도 작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2)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표시패널(PNL)과, 이 표시패널(PNL)의 배면에 배치되는 그 표시패널(PNL)과 상이한 다른부재와, 영상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커넥터와 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과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은, 상기 표시패널(PNL)의 표시부를 제외한 영역의 이면에 접촉하여 배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은, 상기 다른부재의 이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3)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1), (2)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은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배선층을 구비하고, 그 적층수는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의 그것보다도 많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4)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 (3)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면적은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의 면적보다도 작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5)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상기 표시패널(PNL)에 형성되는 신호배선은,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그 표시제어회로의 탑재면과 반대측의 면에서 그 표시제어회로에서 인출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6)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5)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그 표시제어회로의 탑재면과 반대측의 면은, 상기 표시패널(PNL)의 신호배선이 형성되는 면과 반대측의 면과 대향하고, 상기 표시패널(PNL)의 신호배선과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단자는, 편측에 도체층을 가지는 플렉시블 기판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7)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표시패널(PNL)의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과 반대측의 면에 병설된 제1의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상기 표시패널(PNL)과 반대측의 면에 병설된 제2의 단자가 형성되며, 이들 대응하는 제1의 단자와 제2의 단자는, 상기 표시패널(PNL)과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측면부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설치되는 클립 내의 각 도체부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8)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표시패널(PNL)의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과 반대측의 면에 병설된 제1의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상기 표시패널(PNL)과 반대측의 면에 병설된 제2의 단자가 형성되며, 이들 대응하는 제1의 단자와 제2의 단자는, 상기 표시패널(PNL)과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측면부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기판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9)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표시 제어회로기판은 표시패널(PNL)의 주사신호 구동회로가 형성된 측의 변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은, 그것이 상기 표시 제어회로기판과 접속되는 부분을 일단으로 하여 타단측에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는 그 단자가 병설되는 방향이 상기 기판의 연장방향에 거의 일치되어 배치됨과 동시에, 그 커넥터의 그 단자가 병설되는 방향의 폭이 상기 기판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0)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은, 그 커넥터로부터 케이블 다발이 인출된 부재로 치환시킴과 동시에, 적어도 그 커넥터의 표시패널(PNL)로의 고착은 접착 테이프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1)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 내지(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에는 표시 제어회로기판으로의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퓨즈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2)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에 데이터 저장매체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3)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에 데이터 저장매체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4)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 내지 (4) 또는 (12)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에는 제1의 데이터 저장매체가 탑재되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에는 제2의 데이터 저장매체가 탑재되고, 또 제1의 데이터 저장매체는 표시장치의 외부로 공급하는 정보가 설정되며, 제2의 데이터 저장매체에는 내부로 공급하는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5)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12)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데이터 저장매체의 정보에 의해 계조(階調)전압을 생성하는 DA컨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6)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15)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DA컨버터가 영상신호 구동회로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7)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15)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DA컨버터가 표시제어회로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8)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커넥터와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이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과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은 표시패널(PNL)에 탑재되는 표시구동회로의 이면에 배치되고,
그 표시구동회로는 복수의 반도체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으로부터 상기 각 반도체장치에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그 전원의 공급부에서 상기 각 반도체장치까지의 경로에 다른 반도체장치가 개재되지 않고, 그 전원의 공급부와 반도체장치의 대응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9)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18)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표시구동회로로의 전원 공급부는 복수로 되어 있으며, 하나의 전원 공급부와 다른 전원 공급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반도체장치는 복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20)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19)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하나의 전원 공급부와 다른 전원 공급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반도체장치의 수는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21)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19)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표시구동회로로의 전원 공급부는 홀수로 되어 있으며, 그중 하나는 반도체장치로 이루어지는 표시구동회로의 일단의 외측에 위치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22)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1)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반도체장치의 수는 3개, 전원 공급부는 2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23)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1)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표시구동회로의 일단의 외측에 위치 정해지는 전원 공급부는, 그 표시구동회로가 형성되는 기판이 그것과 대향하는 다른 기판에서 돌출하고 있는 변측에 위치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24)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영상 테이터를 입력시키는 커넥터와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이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과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은 그 길이방향을 따른 가상의 선에 대해서 그 한쪽측은 표시패널(PNL)의 배면에 위치 정해지고, 다른쪽측이 그 표시패널(PNL)에서 노출되도록 하여 배치되며,
또 상기 표시 제어회로기판은 표시패널(PNL)에서 노출하는 부분의 변에서 노치부가 형성되고, 이 노치부는 그 변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절단되며, 그 종단변은 상기 가상의 선에 일치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25)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4)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적어도 표시패널(PNL) 및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수납하는 프레임, 이 프레임을 나사로 고정하는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의 프레임을 관통하는 선단부는 상기 표시 제어회로기판에 형성된 노치부 내에 위치 정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26)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4)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노치부는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27)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커넥터와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이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과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상의 선에 대해서 그 한쪽측은 표시패널(PNL)의 배면에 위치 정해지고, 다른쪽측이 그 표시패널(PNL)에서 노출되도록 하여 배치되며,
상기 표시패널(PNL)의 면상에서 그 배면에 위치 정해진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변의 일부에 일치되는 마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28)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7)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상기 마크는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과 표시패널(PNL)과의 전기적 접속을 도모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근방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29)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28)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표시제어회로는 플렉시블 배선기판의 근방에서, 위치 결정용의 노치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30)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커넥터와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이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과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은 상기 표시패널(PNL)의 배면에 위치 정해지고,
상기 표시패널(PNL)의 상기 표시 제어회로기판이 대향하는 영역에 제1의 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 제어회로기판의 상기 표시패널(PNL)이 대향하는 영역에 제2의 마크가 형성되며,
제1의 마크와 제2의 마크는 상기 표시패널(PNL)에 대한 상기 표시 제어회로 기판의 위치 결정용의 마크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31)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면 적어도 표시패널(PNL)과, 영상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커넥터와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가지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과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은, 상기 표시패널(PNL)의 표시부를 제외한 영역의 이면에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상기 표시패널(PNL)의 이면에 배치시킨 후에, 그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에 의해 표시장치를 동작시켜 검사를 행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32)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면 적어도 표시패널(PNL)과, 영상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커넥터와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가지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과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은, 상기 표시패널(PNL)의 표시부를 제외한 영역의 이면에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상기 표시패널(PNL)의 이면에 배치시킨 후에, 그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에 의해 표시장치를 동작시켜 검사를 행 하는 공정과,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을 설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33)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면 (31), (32)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표시장치는 노트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34)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면 (31), (32)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표시장치는 모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35)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면 (31), (32)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전제로 하며, 표시장치는 텔레비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
<< 전체의 등가회로 >>
도22는,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다.
도22에서, 액정을 통해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투명기판(SUB1, SUB2)이 있으며, 그 액정은 한쪽의 투명기판(SUB1)에 대한 다른쪽의 투명기판(SUB2)의 고정을 겸한 실재(SL)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실재(SL)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한쪽의 투명기판(SUB1)의 액정측의 면에는 그 x방향으로 연장하고 y방향에 병설된 게이트 신호선(GL)과 y방향으로 연장하고 x방향에 병설된 드레인 신호선(DL)이 형성되어 있다.
각 게이트 신호선(GL)과 각 드레인 신호선(DL)으로 둘러싸인 영역은 화소영역을 구성함과 동시에, 이들 각 화소영역의 매트릭스 형태의 집합체는 액정표시부(AR)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 x방향으로 병설되는 각 화소영역의 각각에는 그들 각 화소영역 내에 주행된 공통의 대향전압 신호선(CL)이 형성되어 있다. 이 대향전압 신호선(CL)은 각 화소영역의 후술하는 대향전극(CT)에 영상신호에 대해 기준이 되는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신호선이 되는 것이다.
각 화소영역에는, 그 편측의 게이트 신호선(GL)으로부터의 주사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이 박막트랜지스터(TFT)를 통해서 편측의 드레인 신호선(DL)으로부터의 영상신호가 공급되는 화소전극(PX)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화소전극(PX)은, 상기 대향전압 신호선(CL)과 접속된 대향전극(CT)과의 사이에 전계를 발생시켜, 이 전계에 의해 액정의 광투과율을 제어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신호선(GL)의 각각의 일단은 상기 실재(SL)를 초과해 연장되며, 그 연장끝은 주사신호 구동회로(V)의 출력단자가 접속되는 단자(GLT)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주사신호 구동회로(V)의 입력단자는 액정표시패널(PNL)의 외부에 배치된 프린트 기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주사신호 구동회로(V)는 복수개의 반도체장치로 이루어지며,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게이트 신호선(GL)끼리가 그룹화되어 이들 각 그룹마다 1개의 반도체장치가 할당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드레인 신호선(DL)의 각각의 일단은 상기 실재(SL)를 초과해 연장되며, 그 연장끝은 영상신호 구동회로(He)의 출력단자가 접속되는 단자(DLT)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영상신호 구동회로(He)의 입력단자는 액정표시패널(PNL)의 외부에 배치된 프린트 기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영상신호 구동회로(He)도 복수개의 반도체장치로 이루어지며,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드레인 신호선(DL)끼리가 그룹화되어, 이들 각 그룹마다 1개의 반도체장치가 할당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대향전압 신호선(CL)은 도면 중 우측의 단부에서 공통으로 접속되며, 그 접속선은 실재(SL)을 초과해 연장되며, 그 연장끝에서 단자(CLT)를 구성하고 있다. 이 단자(CLT)에서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준이 되는 전압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PNL)이라 불리며, 이 액정표시패널(PNL)의 배면에는 백라이트(BL)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백라이트(BL)에서의 광은 그 액정표시패널(PNL)의 각 화소에 그 광투과율에 따라 투과되어 관찰자의 눈에 보이도록 되어 있다.
또 액정표시패널(PNL)의 관찰자측의 면에는 그 액정표시부(AR)에 개구(표시창)가 설치된 상부 프레임이, 백라이트(BL)의 배면에는 하부 프레임이 배치되며, 그들 각 프레임이 그 측면에서 예를 들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이들은 일체화되어 모듈화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이와 같이 모듈화된 표시장치를 표시모듈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주사신호 구동회로(V) 및 영상신호 구동회로(He)는 투 명기판(SUB1)에 탑재된 반도체장치를 나타낸 것이지만, 예를 들면 투명기판(SUB1)과 프린트 기판과의 사이에 걸쳐 접속되는 이른바 테이프 캐리어방식의 반도체장치라도 되며, 또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반도체층이 다결정 실리콘(p-Si)으로 구성되는 경우, 투명기판(SUB1) 면에 상기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소자를 배선층과 함께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표시장치로서 횡전계방식의 액정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지만, 물론 TN방식, VN방식 등의 종전계 방식의 것이라도 된다. 또한 일렉트로 루미네센스·어레이 등과 같은 표시장치라도 된다.
일렉트로루미네센스·어레이는, 그 각화소에서 유기발광재층을 한쌍의 전극으로 협지(挾持)하고, 그 유기발광재층에 흐르는 전류의 강약에 의해 발광의 강약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한쌍의 전극 중 화소전극이 박막트랜지스터를 통해서 드레인 신호선으로부터 영상신호가 공급됨과 동시에, 그 박막트랜지스터가 게이트 신호선으로부터의 주사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있는 것, 또 상기 한쌍의 전극 중 대향전극이 각 화소에 공통으로 형성되어 그 영상신호에 대해서 기준이 되는 신호가 공급되는 것 등은 액정표시장치의 구성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후의 설명에서, 액정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각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필요에 따라서 일렉트로 루미네센스·어레이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명백하게 한다.
<< 배면의 구성 >>
도1은, 상기 액정표시모듈(LQM)을 배면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 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PNL)과 백라이트(BL)는, 그 백라이트(BL)측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UFM)과 액정표시패널(PNL)측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FFM)으로 일체화되어 전체적으로 모듈화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도1에 나타내는 도면은 상기 하부 프레임(UFM) 측에서 본 도면이며, 그 하부 프레임(UFM)의 면에는 커넥터 기판(CNTS)과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이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기판(CNTS)은 액정표시장치의 외부에서의 영상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커넥터(CNT) 및 그 이외의 부품이 설치된 기판이며,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상기 커넥터 기판(CNTS)을 통해서 얻어지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표시제어회로(TCON)가 탑재된 기판으로 되어 있다. 이 표시제어회로(TCON)로부터의 출력은 상기 주사신호 구동회로(V) 및 영상신호 구동회로(He)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기판(CNTS)과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배선은 플렉시블 배선기판(FPC1)에 의해 접속되며, 또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서는 상기 주사신호 구동회로(V)로 연장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FPC2)이, 또 상기 영상신호 구동회로(He)로 연장하는 플렉시블 배선기판(FPC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기판(CNTS)이 플렉시블 배선기판(FPC3)으로 형성되며, 그것을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커넥터에 직접 감합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또는 양자가 각각 보드·투·보드 타입의 커넥터로 직접 감합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플렉시블 배선기판(FPC1)을 설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기판(CNTS)과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서로 개별 기판으로 구성되며, 또한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크기는 커넥터 기판(CNTS)과 비교하여 그 폭 및 면적이 작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장치는, 패턴이 복잡하고 고비용의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사이즈를 작게하는 것에 의해, 치수의 조정을 단가가 싼 접속부재가 적재된 부재(CNTS)로 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2.
도2는, 도1의 Ⅱ-Ⅱ선에 상당하는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과 다른 구성은, 먼저,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액정표시패널(PNL)의 이면, 즉 그 투명기판(SUB1)의 이면에 접촉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커넥터 기판(CNTS)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며, 또한 그 면적을 작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 투명기판(SUB1)의 주사신호 구동회로(V)가 탑재된 영역의 이면에 그 영역내에 포함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기판(CNTS)은, 하부 프레임(UFM)의 배면에서 그 하부 프레임(UFM)과 접촉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그곳에 설치된 커넥터(cnt1)가 상기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 설치된 커넥터(cnt2)에 감합되어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커넥터 기판(CNTS)과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과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 프레임(UFM)은, 이 접속부분에서 그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을 덮지 않고 형성되며, 예를 들면 도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BL)의 일단변의 측면과 근접하여 대향하도록 굴곡진 구성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기판(CNTS)을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고, 혹은 접속시킬 수 있도록 되며, 그 커넥터 기판(CNTS)을 유저의 요망에 따라 소망의 종류의 커넥터 기판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3.
도3(a)는, 일렉트로 루미네센스·어레이를 표시패널(PNL)로 하는 표시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도2와 대응하는 도면으로 되어 있다.
그 표시패널(PNL)은 투명기판(SUB1)과 이 투명기판(SUB1)의 표면(관찰측의 면)에 형성된 투명한 밀봉부재(ECL)를 외위기로 하는 것으로, 투명기판(SUB1)의 밀봉부재(ECL) 측의 면에 화소가 형성되어 있다.
도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표시패널(PNL)의 이면에 접촉되어 배치되며, 그 단자는 플렉시블 기판(FPC2)을 통해서 상기 투명기판(SUB1)의 화소측의 면에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PNL)은 그 화소에서의 유기발광재층 자체가 발광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와 달리 백라이트(BL)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 기판(CNTS)은 표시패널(PNL)의 배면에 배치되는 프레임(FLM)의 이면에 접속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과는 플렉시블 기판(FCP1)을 통해서 접촉되어 있다.
도3(b)는, 도3(a)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그 표시패널(PNL)에 서, 투명기판(SUB1)은 관찰자 측에 위치 정해지고, 밀봉부재(ECL)는 프레임(FLM) 측에 위치 정해져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커넥터 기판(CNTS)이 배치되는 부분은 투명기판(SUB1)의 화소가 형성된 면이 되기 때문에, 도3(a)에 나타내는 구성에서 필요로 한 플렉시블 기판(FPC2)을 필요없게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나타낸 표시장치에서도, 실시예2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커넥터 기판(CNTS)을 유저의 요망에 의해 소망의 종류의 커넥터 기판과 용이하게 교환할 있도록 된다.
실시예4.
도4(a), (b)는 상기 각 실시예에 나타낸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과 커넥터 기판(CNTS)의 각각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도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표시제어회로(TCON)가 탑재되는 면에서 제1층(LYR1), 제2층(LYR2), 제3층(LYR3), 제4층(LYR4)으로 이루어지는 각 배선층이 절연막을 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제1층(LYR1)의 배선층은 상기 표시제어회로(TCON)와의 접속배선을, 제2층(LYR2)의 배선층은 교차배선을, 제3층(LYR3)의 배선층은 그라운드(접지) 배선을, 제4층(LYR4)의 배선층은 전원배선으로 구성하고 있다.
한편, 커넥터 기판(CNTS)은, 도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커넥터 기판(CNTS)이 탑재되는 면에 제1층(LYR1)으로서 그 커넥터(CNT)와의 접속배선이 형성되어 있을 뿐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 및 커넥터 기판(CNTS)의 각각의 배선의 적층수를 상술한 대로 한 것이지만, 반드시 이와 같은 적층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서의 배선의 적층수는 커넥터 기판(CNTS)의 그것 보다도 많게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표시장치의 유효표시영역 이외의 치수, 이른바 액연(額緣)이라 불리는 치수를 작게 하기 위해, 및 비용저감을 위해 커넥터 기판(CNTS)의 면적보다도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커넥터 기판(CNTS)은 고객의 요구마다 사양이 다르므로, 이 부재의 배선층수가 적기 때문에, 신규한 요구에 대해 단기간에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5.
액정표시패널(PNL)의 투명기판(SUB1)의 액정측의 면에는 단자(TML)가 형성되며, 이 단자(TML)가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측에,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이 그 표시제어회로(TCON)가 탑재된 면과 반대측의 면과 대향시켜 배치되어 있다.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표시제어회로(TCON)가 탑재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서 그 표시제어회로(TCON)로부터 인출되는 단자(TM)를 가지며, 이 단자는 플렉시블 기판(FPC2)을 통해서 액정표시패널(PNL)의 상기 단자(TML)에 접속되어 있다.
액정표시패널(PNL)의 상기 단자(TML)와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단자(TM)는 각각 단차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의 전기적인 접속에 이용되는 플렉시블 기판(FPC2)은 그 수지층(RSN)의 편면에만 도체층(SGL)을 가지는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5(a)에 나타낸 구성은, 액정표시패널(PNL)을 예로 든 것이지만, 일렉트로 루미네센스·어레이이라도 동일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5(a)에 나타내는 구조에서 투명기판(SUB1)이 밀봉부재(ECL)가 되는 것만의 상위를 가지는데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도5(b)는 표시패널(PNL)으로서 일렉트로 루미네센스·에러이를 이용한 실시예이지만, 관찰자 측에서 그 투명기판(SUB1)이 배치되는 이른바 보텀 에미션형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이 표시패널(PNL)의 단자(TML)는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단자(TM)와 대향하도록, 그 표시패널(PNL)과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이 배치되는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플렉시블 기판(FPC)을 이용하지 않고, 그 단자(TML)와 단자(TM)를 이방성 도전층 등을 이용하여 대향 접속시킬 수 있다.
어느 것으로 해도, 표시패널(PNL)의 단자(TML)와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단자(TM)의 접속에 있어서, 그 거리를 작게 할 수 있으며, 급전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6.
도6(a)는, 상술한 각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액정표시패널(PNL)에 형성되는 단자(TML)와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단자와의 다른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b)는 도6(a)의 b-b선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그 단자(TM)가 표시제어회로(TCON)의 탑재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그 단자(TM)의 형성면과 반대측의 면에서 표시패널(PNL)의 투명기판(SUB1)과 대향하도록 하여 배치되며, 그 투명기판(SUB1)의 단자(TML)는 상기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표시패널(PNL)의 병설되는 각 단자(TML)의 피치는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병설되는 각 단자(TM)의 피치와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그들 각각 접속되어야 할 각 단자(TML 및 TM)는, 서로 등을 맞대고 배치된 투명기판(SUB1)과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측면부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설치되는 클립(CLP) 내의 각 도체부(SGS)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그 클립(CLP)은, 복수의 각 단자를 덮도록 하여 형성되는 "C"자 모양 혹은 "コ"자 모양의 단성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내측의 면에 병설된 복수 동체부(SGS)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그 클립(CLP)의 장착이 극히 용이하게 되며, 더나아가서는 표시패널(PNL)의 단자(TML)와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단자(TM)의 접속이 극히 용히하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7.
도7(a)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7(a)는 표시패널(PNL)을 관찰자 측에서 본 도면이지만, 그 표시패널(PNL)의 배면에 배치되는 커넥터 기판(CNTS),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 등은 그 표시패널(PNL)을 투시하여 그리고 있다. 도7(b)는 도7(a)의 b-b선에서의 단면을, 도7(c)는 도7(a)의 c-c선에서의 단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먼저,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이 표시패널(PNL)의 투명기판(SUB1)의 배면측에, 커넥터 기판(CNTS)이 하부 프레임(UFM)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 기판(CNTS)과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과의 전기적 접속은 하부 프레임(UFM)에 형성한 개구(HOL)를 통해서 행해지며, 또 이 개구(HOL)부에서 예를 들면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 측에 설치한 암커넥터(cnt5)(fc)와 커넥터 기판(CNTS) 측에 설치한 숫커넥터(cnt5)(mc)의 감합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기판(CNTS)의 설치는 액정표시모듈의 완성후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하부 프레임(UFM)은 상부 프레임(FFM)과의 예를 들면 결합에 의한 고정에 있어서, 그 부분을 감축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부 프레임(UFM)의 상부 프레임(FFM)에 대한 고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단자(TM)와 표시패널(PNL)의 단자(TML)와의 전기적 접속은, 상술한 실시예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고 또 신뢰성이 좋은 커넥터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도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와는 다른 구성으로,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단자(TM)와 표시패널(PNL)의 단자(TML)와의 전기적 접속을 도모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7(c)는 상술한 도6(a)와 대응하는 도면이며, 클립(CLP) 대신에 플렉시블 기판(FPC5)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플렉시블 기판(FPC)은 그 일단에서 표시패널(PNL)의 단자(TML)와 접속되어 있으며, 타단에서 표시패널(PNL) 및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측면부를 배선하도록 하여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그 연장끝은 그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 탑재된 커넥터(cnt6)에 끼워져, 그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단자(TM)에 전기적 접속이 행해져 있다.
실시예8.
도8(a)는, 액정표시패널(PNL)에서의 주사신호 구동회로(V) 및 영상신호 구동회로(He)의 탑재부분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주사신호 구동회로(V)는 복수의 이른바 테이프 캐리어방식의 반도체장치(TCP)(G)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테이프 캐리어방식의 반도체장치란 플렉시블한 기판의 표면에 칩 모양의 반도체층이 탑재되고, 그 입력 및 출력단자는 그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배선층을 통해서 그 기판의 주변의 일부에 형성된 단자에까지 인출되게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그 기판의 단자는 예를 들면 이방성 도전막 등을 통해서 액정표시패널(PNL)의 접속해야 할 단자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반도체장치(TCP)(G)는 그것에 근접하여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게이트 신호선(GL)과 접속되며, 그 각 게이트 신호선(GL)은 반도체장치(TCP)(G)에 근접하는 부분에 이르러 서로 집속(集束)하도록 그 반도체장치(TCP)(G) 측으로 굴곡하는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게이트 신호선(GL)의 배선 피치에 대해서 그 반도체장치(TCP)(G)의 단자 피치가 작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서의 입력배선(IPC)으로부터의 신호는 그것에 근접하는 반도체장치(TCP)(G)에 입력되고, 그 반도체장치(TCP)(G)에서의 출력은 다음에 인접한 배치되는 다른 반도체장치(TCP)(G)에 입력되도록 주사신호 구동회로(V)의 각 반도체장치(TCP)(G)는 n개의 데이터 전송배선(DTL)(G)에 의해 구동되며, 이들 각 반도체장치(TCP)(G)는 각각이 담당하는 게이트 신호선(GL)에 각각 주사신호를 순차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영상신호 구동회로(He)도 복수의 테이프 캐리어방식의 반도체장치(TCP)(D)로 구성되어 있다.
각 반도체장치(TCP)(D)는 주사신호 구동회로(V)의 각 반도체장치(TCP)(G)와 마찬가지로, 그것에 근접하여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드레인 신호선(DL)과 접속되며, 그 각 드레인 신호선(DL)은 반도체장치(TCP)(D)에 근접하는 부분에 이르러 서로 집속하도록 그 반도체장치(TCP)(D) 측으로 굴곡하는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드레인 신호선(DL)의 배선 피치에 대해서 그 반도체장치(TCP)(D)의 단자 피치가 작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술한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서의 입력배선(IPC)으로부터의 신호는 그것에 근접하는 반도체장치(TCP)(D)에 입력되며, 그 반도체장치(TCP)(D)에서의 출력은 다음에 인접한 배치되는 다른 반도체장치(TCP)(D)에 입력되도록, 영상신호 구동회로(He)의 각 반도체장치(TCP)(D)는 m개의 데이터 전송배선(DTL)(D)에 의해 구동되며, 이들 각 반도체장치(TCP)(D)는 각각이 담당하는 드레인 신호선(DL)에 각각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영상신호 구동회로(He)에서의 데이터 전송배선(DTL)(D)의 개수(m)는 주사신호 구동회로(V)에서의 데이터 전송배선(DTL)(G)의 개수(n)보다도 많게 되어 있다.
도8(b)는, 액정표시패널(PNL)에서의 주사신호 구동회로(V) 및 영상신호 구동회로(He)의 탑재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8(a)에 대응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도8(a)의 경우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은, 주사신호 구동회로(V)를 구성하는 복수의 반도체장치로서, 투명기판(SUB1)에 직접 탑재하는 칩모양의 반도체장치(DRV)(G)를 이용하고, 영상신호 구동회로(He)를 구성하는 복수의 반도체장치로서, 투명기판(SUB1)에 직접 탑재하는 칩모양의 반도체장치(DRV)(D)를 이용하는데 있다.
도8(c)는, 액정표시패널(PNL)에서의 주사신호 구동회로(V) 및 영상신호 구동회로(He)의 탑재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8(b)에 대응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도8(a)의 경우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은,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서의 입력배선(IPC)로부터의 신호 중, 전원공급을 위한 그것은, 플렉시블 기판(FPC8)을 통해서 각 반도체장치(DRV)(D)에 p개의 전원 신호선(VLL)을 이용하여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 기판(FPC8)은, 투명기판(SUB1)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또 영상신호 구동회로(He)의 각 반도체장치(DRV)(G)의 병설방향으로 연장하여 구성되어 잇다.
도9(a)는 액정표시패널(PNL)에서의 주사신호 구동회로(V) 및 영상신호 구동 회로(He)의 탑재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8(c)에 대응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도8(c)의 경우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은, 먼저, 투명기판(SUB1)의 변 중 주사신호 구동회로(V) 측의 변에 근접하여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가 배치되며, 이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서 상술한 주사신호 구동회로(V)의 데이터 전송배선(DTL)(G) 및 영상신호 구동회로(He)의 데이터 전송배선(DTL)(D)이 인출되어 있다.
그리고, 영상신호 구동회로(He)의 각 반도체장치(DRV)(D)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신호선도, 상기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으로부터 직접적으로 플렉시블 기판(FPC8)을 통해서 이루어져 있다. 그 플렉시블 기판(FPC8)으로부터 각 반도체장치(DRV)(D)로는 p개의 전원 신호선(VLL)을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투명기판(SUB1) 상의 배선층을 경유시켜 각 반도체장치(DRV)(D)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점을 2개소 줄일 수 있으며, 접속저항의 저감 더아가서는 소비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9(b)는 액정표시패널(PNL)에서의 주사신호 구동회로(V) 및 영상신호 구동회로(He)의 탑재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8(c)에 대응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도8(c)의 경우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은,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서의 입력배선(IPC)은 플렉시블 기판으로 형성되며, 이 플렉시블 기판은 영상신호 구동회로(He)의 각 반도체장치(DRV)(D)로의 전원공급을 위한 플렉시블 기판(FPC8)과 일체 로 되어 있다.
또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서의 입력배선(IPC)이 되는 플렉시블 기판은 주사신호 구동회로(V)의 각 반도체장치(DRV)(D)의 데이터 전송배선(DTL)(G)과의 접속기판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액정표시패널(PNL)(투명기판(SUB1))에 플렉시블 기판의 접속점 수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그 접속시의 위치 맞춤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실시예9.
도10(a)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7(a)에 대응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즉, 커넥터 기판(CNTS)과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배치 위치를 투시한 표시패널(PNL)과의 관계로 나타낸 도면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면 중 x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커넥터 기판(CNTS)에 커넥터(CNT)가 그 단자의 병설방향을 x방향으로 일치시켜 탑재되어 있다.
이 경우, 커넥터(CNT)의 그 단자의 병설방향에서의 폭을 1로 한 경우, 상기 커넥터 기판(CNTS)의 폭(w)은 그 1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커넥터 기판(CNTS)은 그 폭(w)이 비교적 좁고 길이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또 다시 말하면, 커넥터 기판(CNTS)은 그것이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과 접 속되는 부분을 일단으로 하여 타단측에 연장되고, 커넥터(CNT)는 그 단자가 병설되는 방향이 상기 커넥터 기판(CNTS)의 연장방향에 거의 일치되어 배치됨과 동시에, 그 커넥터(CNTS)의 그 단자가 병설되는 방향의 폭(1)이 상기 커넥터 기판(CNTS)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폭(w)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 기판(CNTS)의 폭을 저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그 커넥터 기판(CNTS) 상에서 커넥터(CNT)에서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까지의 배선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며, 그 배선에 전파하는 신호의 감쇄를 억제시킬 수 있다.
또 도10(b)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10(a)에 대응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도10(a)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은, 커넥터(CNT)는 그것을 탑재하는 기판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케이블 다발(CBB)을 통해서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 접속되어 있다.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근방의 케이블 다발(CBB) 및 커넥터(CNT)의 근방의 케이블 다발(CBB)은 각각 예를 들면 접착 테이프(TAPE)에 의해 하부 프레임(UFM)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CNTS)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접착 테이프(TAPE)의 박리 및 재고착에 의해 그 커넥터(CNT)의 위치의 변경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10.
도11(a)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이용된 플렉시블 기판(FPC) 혹은 게이블(CBB) 의 적어도 일단에 설치되는 커넥터(CNT1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11(b)는 정면도를, 도11(c)는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커넥터(CNT10)는 그것이 설치되는 기판과의 사이에 고정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 예를 들면 구멍(HOL)이 형성되어 있다.
즉, 그 커넥터(CNT10)는 도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판(BASE)에 형성된 돌기부(PRJ)에 그 커넥터(CNT10)의 상기 홀(HOL)이 감합되도록 하여 배치되며, 이것에 의해, 기판(BASE)과 커넥터(CNT10)와의 고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도11(e)는 커넥터(CNT10)의 기판(BASE)에 대한 설치 이외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돌기부(PRJ)로서, 그 선단에서 기판(BASE)측을 향해 퍼지다가 좁아지는 형상의 돌기부(PRJ2)가 이용되며, 이것에 의해 커넥터(CNT10)를 고정한 후의 빠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11(f)는, 상기 돌기부(PRJ2)가 더욱 개량된 돌기부(PRJ3)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형상의 돌기부(PRJ2)의 선단이 나누어진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커넥터(CNT10)의 삽입의 용이함과 빠짐의 어려움의 쌍방의 효과를 구비시키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11.
도12(a)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7(a)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되어 있다.
도7(a)의 경우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은, 커넥터 기판(CNTS)에는 커넥터(CNT)의 다른 퓨즈(FUS)가 탑재되어 있으며, 이 퓨즈(FUS)에 의해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 측으로의 과전류의 발생을 회피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과전류가 발생해도 퓨즈(FUS)가 작동하여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과전류로부터 보호된다. 그리고 이 퓨즈(FUS)가 사용불가가 되더라도 커넥터 기판(CNTS)의 교환만으로 끝낼 수 있기 때문에, 수리가 극히 용이하게 된다.
또 도12(b)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7(a)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되어 있다.
도7(a)의 경우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은,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서 데이터 저장매체(DHM)가 탑재되어 있다.
이 데이터 저장매체(DHM) 내에 설치하는 정보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γ(감마)특성의 설정치, 계조전압의 설정치, 소비전력 삭감을 지시하는 신호를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 지시하기 위한 테이터 등이다. 테이터 저장매체(DHM)는 예를 들면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전기적으로 정보를 판독 가능한 어떠한 매체라도 좋으며, 또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 중에 내장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기판(CNTS)을 실장하기 이전의 단계에서,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접속 커넥터로부터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정상적인 검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12.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12(b)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되어 있다.
도12(b)의 경우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은, 데이터 저장매체(DHM)는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 측이 아니라, 커넥터 기판(CNTS) 측에 탑재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매체(DHM)에 의해, 외부에 패널의 사양과 메이커의 정보, 제품의 종류 등의 정보를 전달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외부에서 패널정보를 자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비디오 출력회로 혹은 VGA 카드의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메이커 코드를 기록시킴으로써, 복수의 메이커로부터 호환품을 구입하여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경우라도, 제조 메이커를 간단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그것에 맞춘 비디오 출력회로 혹은 VGA 카드의 자동조정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호환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 기판(CNTS)에 이 데이터 저장매체(DHM)를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회사로 납입되는 경우라도 접속기판의 변경만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제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생산 비용의 저감과 납기를 큰 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 데이터 저장매체(DHM)로서, ROM, 플래시 ROM, 다른 기록 가능하며 전기적으로 정보를 판독 가능한 모든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13.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13에 대응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도13의 경우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은, 커넥터 기판(CNTS)에는 제1의 데이터 저장매체(DHM1)가 탑재되고,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는 제2의 데이터 저장매체(DHNS2)가 탑재되며, 또 제1의 데이터 저장매체(DHM1)는 표시장치의 외부에 공급하는 정보가 설정되고, 제2의 데이터 저장매체(DHM2)에는 내부에 공급하는 정보가 설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의 데이터 저장매체(DHM2)에 내부용의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검사 비용의 저감을 실현하고, 또 제1의 데이터 저장매체(DHM1)에 외부용의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품종수 삭감에 의한 저비용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즉, 내부용과 외부용의 정보를 나누어 상기 다른부재로 설정함으로써, 비용의 대폭저감, 제품의 출하시간의 신속화, 설계변경으로의 용이대응, 재고의 저감 등 여러가지의 효과를 맞추어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매체의 예로서는, ROM, 플래시 ROM, 다른 기록 가능하며 전기적으로 정보를 판독 가능한 모든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에는, 데이터 저장매체(DHM)의 정보에 의해 계조전압을 생성하는 DA컨버터를 구비하도록 해도 되며, 또 그 DA컨버터는 영상신호 구동회로(He) 혹은 표시제어회로(TCON)에 내장시키도록 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14.
도15(a)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커넥터 기판(CNTS)과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표시패널(PNL)의 예를 들면 주사신호 구동회로(V)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주사신호 구동회로(V)를 구성하는 복수의 반도체장치(DRV)(G)의 각각에 공급하는 전원은 상기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병설된 각 반도체장치(DRV)(G)의 일단측에서 예를 들면 2개씩 그룹화 시키고, 이들 각 그룹화의 각 반도체장치(DRV)(G) 사이의 영역에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서의 전원 공급부(VLS)가 위치 정해지며, 이 전원 공급부(VLS)에서 그 양편에 배치되는 각각의 반도체장치(DRV)(G)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전원의 공급조건을 반도체장치(DRV)(G)마다 일치시킬 수 있으며, 화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서 각 반도체장치(DRV)(G)의 각각에 대응시키는 전원 공급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그 전원 공급부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원 공급부가 1개당 할당된 그룹화 내의 반도체장치(DRV)(G)의 수를 2개로 한 것이지만, 그 이상의 수라도 된다. 요는, 전원 공급부와 반도체장치의 대응수가 동일하게 되어 있으면 된다.
도15(b)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15(a)와 대응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도15(a)의 경우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은, 홀수개의 반도체장치(DRV)(G)로 주사신호 구동회로(V)가 구성되어 있으며, 도15(a)의 경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VLS)를 배치시킨 경우에, 나머지 1개의 전원 공급부(VLS)를 그 주사신호 구동회로(V)의 일단에 위치 정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외측에 위 치 정해져 있다.
그리고, 이 나머지 1개의 전원 공급부(VLS)는, 바람직하게는 그 주사신호 구동회로(V)가 형성되는 투명기판(SUB1)이 그것과 대향하는 다른 투명기판(SUB2)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변측에 위치 정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그 변측의 전원 공급부(VLS)를 동일한 플렉시블 기판에 다른 배선으로 맞추어 만들 수 있으며,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과 표시패널(PNL)(투명기판(SUB1))의 접속부재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15.
도16(a)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커넥터 기판(CNTS)과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표시패널(PNL)의 예를 들면 주사신호 구동회로(V)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16(b)는 도16(a)의 b-b선에서의 단면도를, 도16(c)는 도16(a)의 c-c선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표시패널(PNL)에 대해 정밀도 좋게 그 표시패널(PNL)에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패널(PNL)의 예를 들면 주사신호 구동회로(V)의 이면에 배치되는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그 길이방향을 따른 중심선에 대해서 그 한쪽측(도면 중 오른쪽)의 일부분 혹은 대부분이 표시패널(PNL)의 배면에 위치 정해지고, 다른쪽측(도면 중 좌측)의 일부분 혹은 대부분이 표시패널(PNL)로부터 노출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표시패널(PNL)로부터 노출하는 부분의 변에 노치부(CUT)가 형성되며, 이 노치부(CUT)는 그 변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절단되고, 그 종단변, 즉 이 노치부의 저변(底邊)과 표시패널(PNL)의 투명기판(SUB1)의 변에 일치되어 있다.
즉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 형성된 노치부(CUT)를 기준으로 하여, 그 바닥부를 표시패널(PNL)의 투명기판(SUB1)의 변에 일치하도록 하여 그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을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항상 안정하게 정밀도가 좋은 위치 맞춤(도면 중 x방향의 위치 맞춤)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 눈으로도 이 정밀도가 좋은 맞춤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수리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 형성하는 노치부(CUT)는 그 수에 제한은 없지만, 서로 떨어뜨린 상태로 2개 있는 것에 의해, 정밀도가 좋은 위치 맞춤을 달성시킬 수 있다.
또 도16(d)는, 도16(a), (b), (c)에 나타낸 표시장치가 프레임(FLM)(또는 몰드)에 의해 모듈화된 경우, 그 프레임(FLM)은 예를 들면 노트북 등의 기기의 케이스(FDT)에 나사로 고정될 때에, 그 프레임(FLM)을 관통하는 그 나사의 선단이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상기 노치부(CUT) 내에 위치 정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프레임(FLM)의 내벽면과 이것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과의 사이의 폭(W)을 좁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16.
도17(a), (b), (c)는, 각각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서, 실시예15에 나타 내는 노치부(CUT)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노치부(CUT)란, 그 윤곽을 나타내는 3변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2변 혹은 1변을 가지는 형상이라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노치부(CUT)는 표시패널(PNL)에 대한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위치결정의 기능을 가지게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도17(a)는, 3변을 가지는 노치부(CUT)와 2변을 가지는 노치부(CUT)가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 설치되어 있는 예, 도17(b)는 각각 2변을 가지는 노치부(CUT)가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 설치되어 있는 예, 도17(c)는 각각 1변을 가지는 노치부(CUT)가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17.
도18(a), (b), (c)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표시패널(PNL)의 투명기판(SUB1)과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18(a)에서, 투명기판(SUB1)의 표면에 마크(MRK)가 형성되고, 이 마크(MRK)에 대해서 그 투명기판(SUB1)의 이면에 배치되는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그 일단의 변(도면 중 x방향과 평행한 변)이 근접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은 도면 중 y방향에 대해 정밀도가 좋은 위치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도18(a)의 경우, 상기 마크(MRK)는 예를 들면 증착 혹은 스퍼터 등으로 형성된 금속층에서 형성되며,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일단의 변과 평행한 라인모양의 패턴을 가지고, 도18(b)의 경우, 정점이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일단의 변의 일부에 맞추어지는 3각형 모양의 패턴을 가지며, 도18(c)의 경우, 둥근모양의 패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들의 패턴을 금속층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 표시부의 화소영역에 형성되는 도전층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됨으로써, 제조 공정을 증가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18.
도19(a)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역시, 표시패널(PNL)의 투명기판(SUB1)과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술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과 표시패널(PNL)(투명기판(SUB1))과의 물리적 및 전기적인 접속은 플렉시블 기판(FPC)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PNL)(투명기판(SUB1))의 면상에 형성되는 상기 마크(MRK)는 이 플렉시블 기판(FPC)에 근접하는 부분에 형성되게 된다.
플렉시블 기판(FPC)이 배치되는 측에서 정밀도가 요구되므로, 그 요구되는 측에서 상기 마크(MRK)에 의해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을 위치 맞춤함으로써 정밀도가 향상하게 된다.
또 도19(b)는, 도19(a)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FPC)의 근방에서,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 노치부(CUT)를 형성하고 도면 중 x방향에서의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위치 결정을 도모한 구성이다.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플렉시블 기판(FPC)의 주위에서, 그 x방향 및 y방향에 대한 그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어긋남을 없애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19.
도20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표시패널(PNL)(투명기판(SUB1))과 상기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과의 정밀도가 좋은 위치 맞춤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상기 투명기판(SUB1)에 있어서, 그 이면에 상기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이 위치 정해지는 부분에 마크(MRK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마크(MRK1)는 그 투명기판(SUB1)에서 다른 영역에 형성되는 예를 들면 배선층(WL1) 등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그 마크(MRK1)는 투명기판(SUB1)에 형성되는 배선층(WL1) 등의 패턴에 대해서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한편,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서도, 상기 투명기판(SUB1)의 이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부분에 마크(MRK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마크(MRK2)에서도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 면의 다른 영역에 형성되는 예를 들면 배선층(WL2) 등의 형성과 동시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투명기판(SUB1)에 대한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위치 맞춤은 투명기판(SUB1)을 투과한 관찰에 의해, 마크(MRK1)에 대해 마크(MRK2)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 정해져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것에 의해 행한다.
실시예20.
이 실시예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패널(PNL)의 이면에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을 설치하고, 그 후에 그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 의해 표시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그 표시장치의 검사를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21(a), (b), (c), (d)의 각각은 다른 종류의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각 공정에서, A는 표시패널(PNL)의 형성공정, B는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설치공정, C는 점등 검사공정, D는 이후의 부품 설치공정, E는 백라이트(BL)의 설치공정, F는 프레임(FLM)의 설치공정, G는 상부 프레임(FFM)의 설치공정, H는 커넥터(CNT)의 설치공정, I는 모니터 또는 노트 PC 혹은 TV의 케이스에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어느 경우의 제조공정에 있어서도,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의 설치 후에, 점등 검사공정, 즉 그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에 의해 표시장치를 동작시켜 그 표시장치의 검사를 행하는 공정을 행하고, 그 이후의 공정은 백라이트(BL), 프레임(FLM) 혹은 커넥터 기판(CNTS) 등의 설치를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표시모듈의 조립 도중의 단계에서 완성상태와 같은 입력신호로 표시장치를 구동할 수 있으므로, 조립공정의 빠른 단계에서 검사를 행할 수 있다. 이로인해, 불량품을 조기(早期)에 떨어버림으로써 다른 부품을 쓸데없이 사용하지 않고 끝낼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검사후에 수정하는 경우, 조립단계의 빠른 단계에서 수정으로 옮겨지므로 쓸데없는 공정을 회피할 수 있으며, 수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회로기판(TCNS)과 달리, 후 조립공정에서 커넥터 기판(CNTS)을 설치하는 경우, 그 커넥터 기판(CNTS)의 커넥터의 종류에 관계없이, 검사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장치의 커넥터의 종류를 통일할 수 있으며, 검사장치의 대수 삭감, 검사시간의 단축을 실현시킬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는 각각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의 효과를 단독 혹은 상승하여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것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에 의하면, 외부의 영상 데이터를 받아들이기 위한 커넥터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40)

  1. 삭제
  2. 표시패널(PNL)과, 이 표시패널(PNL)의 배면에 배치되는 그 표시패널(PNL)과 상이한 다른부재와, 영상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과,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을 통하여 영상 데이터를 얻는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을 갖고,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은, 상기 표시패널(PNL)의 표시부를 제외한 영역의 이면에 접촉하여 배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시패널(PNL)의 주사신호 구동회로가 형성된 측의 변을 따라 배치시키고,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은, 상기 다른부재의 이면에 접촉하여 배치되고, 그것이 상기 표시 제어회로기판과 접속되는 부분을 일단으로 하여 타단측에 연장하고, 상기 커넥터는 그 단자가 병설되는 방향이 상기 기판의 연장방향에 거의 일치되어 배치됨과 동시에, 그 커넥터의 그 단자가 병설되는 방향의 폭이 상기 기판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은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배선층을 구비하고, 그 적층수는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의 그것보다도 많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PNL)에 형성되는 신호배선은,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그 표시제어회로의 탑재면과 반대측의 면에서 그 표시제어회로에서 인출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그 표시제어회로의 탑재면과 반대측의 면은, 상기 표시패널(PNL)의 신호배선이 형성되는 면과 반대측의 면과 대향하고, 상기 표시패널(PNL)의 신호배선과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단자는 편측에 도체층을 가지는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PNL)의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과 반대측의 면에 병설된 제1의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상기 표시패널(PNL)과 반대측의 면에 병설된 제2의 단자가 형성되며, 이들 대응하는 제1의 단자와 제2의 단자는, 상기 표시패널(PNL)과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측면부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설치되는 클립 내의 각 도체부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PNL)의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과 반대측의 면에 병설된 제1의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상기 표시패널(PNL)과 반대측의 면에 병설된 제2의 단자가 형성되며, 이들 대응하는 제1의 단자와 제2의 단자는, 상기 표시패널(PNL)과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의 측면부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기판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삭제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은, 그 커넥터로부터 케이블 다발이 인출된 부재로 치환시킴과 동시에, 적어도 그 커넥터의 표시패널(PNL)로의 고착은 접착 테이프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에는 표시 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으로의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퓨즈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에 데이터 저장매체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에 데이터 저장매체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에는 제1의 데이터 저장매체가 탑재되며,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에는 제2의 데이터 저장매체가 탑재되고, 또 상기 제1의 데이터 저장매체는 표시장치의 외부로 공급하는 정보가 설정되며, 상기 제2의 데이터 저장매체에는 내부로 공급하는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기판에는 제1의 데이터 저장매체가 탑재되며,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탑재하는 기판에는 제2의 데이터 저장매체가 탑재되고, 또 상기 제1의 데이터 저장매체는 표시장치의 외부로 공급하는 정보가 설정되며, 상기 제2의 데이터 저장매체에는 내부에 공급하는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매체의 정보에 의해 계조(階調)전압을 생성하는 DA컨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DA컨버터가 영상신호 구동회로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DA컨버터가 상기 표시제어회로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부재는, 백라이트(B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40018440A 2003-03-20 2004-03-18 표시장치 KR100690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78155 2003-03-20
JP2003078155A JP4217090B2 (ja) 2003-03-20 2003-03-20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969A KR20040082969A (ko) 2004-09-30
KR100690376B1 true KR100690376B1 (ko) 2007-03-09

Family

ID=32984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440A KR100690376B1 (ko) 2003-03-20 2004-03-1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7492433B2 (ko)
JP (1) JP4217090B2 (ko)
KR (1) KR100690376B1 (ko)
CN (1) CN100394259C (ko)
TW (1) TWI3033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7691B2 (ja) * 2002-03-18 2007-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KR101010388B1 (ko) * 2004-04-30 2011-0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고정구조 및 그 고정방법
KR20060047947A (ko) * 2004-07-22 200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전기 발광 표시장치
JP4620534B2 (ja) * 2004-07-22 2011-01-26 三星電子株式会社 有機電気発光表示装置
TWI288267B (en) * 2004-09-03 2007-10-11 Innolux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circuit substrat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1106557B1 (ko) * 2004-12-28 2012-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JP2008135189A (ja) * 2005-03-02 2008-06-12 Sharp Corp コネクタ、電子機器の検査方法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TWI345092B (en) * 2006-09-01 2011-07-11 Chimei Innolux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373664B2 (en) * 2006-12-18 2013-02-12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Two circuit board touch-sensor device
KR100879300B1 (ko) * 2007-04-24 2009-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298911A (ja) * 2007-05-30 2008-12-11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モジュール
TWM329818U (en) * 2007-10-17 2008-04-01 Universal Scient Ind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isotropic conductive unit
JP4670855B2 (ja) 2007-11-08 2011-04-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時計
KR20090067744A (ko) * 2007-12-21 2009-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성 필름
KR100896439B1 (ko) * 2007-12-26 200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성 필름
KR100939550B1 (ko) * 2007-12-27 2010-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성 필름
KR100889002B1 (ko) * 2007-12-27 2009-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성 필름
KR101054433B1 (ko) * 2007-12-27 201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성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0947608B1 (ko) * 2007-12-28 2010-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성 필름
JP4746060B2 (ja) * 2008-01-31 2011-08-1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TWM368089U (en) * 2009-03-26 2009-11-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TWI409764B (zh) * 2010-12-29 2013-09-21 Au Optronics Corp 發光模組
CN202133987U (zh) * 2011-07-22 2012-02-01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感应天线板、背光源及显示装置
CN102736286A (zh) * 2012-07-10 2012-10-17 冠捷显示科技(厦门)有限公司 液晶显示器防共振装置
CN103631417A (zh) * 2012-08-24 2014-03-12 天津富纳源创科技有限公司 触摸屏
KR20140038164A (ko) * 2012-09-20 2014-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40038823A (ko) * 2012-09-21 2014-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TW201417363A (zh) * 2012-10-19 2014-05-01 Ultimate Image Corp 有機發光二極體照明裝置
KR101975865B1 (ko) * 2012-12-04 2019-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55194B1 (ko) * 2013-05-06 2019-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79019B1 (ko) * 2015-03-05 2022-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JP6581408B2 (ja) * 2015-07-03 2019-09-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接続構造
CN108351544B (zh) * 2015-09-03 2021-03-05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显示装置
US10175545B2 (en) * 2017-04-25 2019-01-0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6896600B (zh) * 2017-04-25 2020-05-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US10727269B2 (en) * 2017-10-25 2020-07-28 Ultravision Technologies, Llc Display panel with board mounted power supply
KR20210073805A (ko) * 2019-12-11 2021-06-21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7750B1 (fr) 1986-12-04 1989-05-19 Gunther Sa Procede et appareil pour la fabrication d'un article composite de section constante comprenant une ame et une enveloppe exterieure et article composite en resultant
JPS63148580A (ja) 1986-12-12 1988-06-21 日本電気株式会社 入出力コネクタ分離型プリント基板
JPH0371570A (ja) 1989-08-10 1991-03-27 Casio Comput Co Ltd 導電用結合剤および導電接続構造
US5218760A (en) * 1990-11-30 1993-06-15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ethod of grounding a computer system board
US5592199A (en) 1993-01-27 1997-01-07 Sharp Kabushiki Kaisha Assembly structure of a flat type device including a panel having electrode terminals disposed on a peripheral portion thereof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2865968B2 (ja) 1993-02-08 1999-03-08 シャープ株式会社 パネルの実装構造および実装方法
JP3288536B2 (ja) 1994-06-21 2002-06-04 日本碍子株式会社 排ガス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排ガス処理装置
US5841414A (en) * 1994-08-16 1998-11-24 Citizen Watch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5822030A (en) * 1994-09-16 1998-10-13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s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JPH08201841A (ja) * 1994-11-24 1996-08-09 Toshiba Electron Eng Corp 表示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JPH0944100A (ja) 1995-07-28 1997-02-14 Toshiba Corp 表示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icチップ
KR970010272A (ko) 1995-08-02 1997-03-27 한승준 시프트레버부쉬
JP3219232B2 (ja) 1995-08-14 2001-10-1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6025901A (en) 1995-08-14 2000-02-15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9237051A (ja) * 1995-12-28 1997-09-09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表示素子用配線接続基板、表示素子モジュール、表示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JP3889090B2 (ja) * 1996-08-28 2007-03-07 株式会社東芝 シート保持装置
JP3405657B2 (ja) * 1996-11-29 2003-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テープキャリアパッケージ及びそれを使った表示装置
JPH10198285A (ja) 1997-01-13 1998-07-31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JPH10260423A (ja) 1997-03-17 1998-09-29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11167369A (ja) 1997-12-05 1999-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US6266119B1 (en) * 1998-01-13 2001-07-2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apparatus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JPH11218778A (ja) 1998-02-02 1999-08-10 Advanced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の実装方法
JPH11281994A (ja) * 1998-03-31 1999-10-15 Advanced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JPH11305227A (ja) 1998-04-22 1999-11-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6424842B1 (en) * 1998-07-07 2002-07-23 Ericsson Inc. Dual function connector for cellular phones
TWI226478B (en) 1998-07-31 2005-01-11 Toshiba Corp Flat panel display device
TWI228610B (en) 1998-07-31 2005-03-01 Toshiba Corp Flat panel display unit
JP3288989B2 (ja) 1998-07-31 2002-06-04 株式会社東芝 平面表示装置
JP3288990B2 (ja) 1998-07-31 2002-06-04 株式会社東芝 平面表示装置
JP4298068B2 (ja) * 1998-08-18 2009-07-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れら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00304256B1 (ko) * 1998-08-26 2002-07-18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 조립방법
JP3594500B2 (ja) * 1998-11-12 2004-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器取付接続装置
JP3808224B2 (ja) * 1998-12-02 2006-08-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4180171B2 (ja) 1998-12-07 2008-11-1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66779A (ja) * 1999-03-18 2000-09-29 Toshiba Corp マルチプローブユニット
JP2001013512A (ja) * 1999-06-28 2001-01-19 Advanced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KR100496283B1 (ko) 2000-04-28 2005-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3642263B2 (ja) * 2000-05-23 2005-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3739640B2 (ja) * 2000-08-28 2006-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3897278B2 (ja) 2001-04-05 2007-03-22 カシオマイクロニクス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100784804B1 (ko) * 2001-05-07 2007-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0805127B1 (ko) * 2001-05-17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와이어 고정홈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783609B1 (ko) * 2001-07-10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425168B1 (ko) * 2001-07-11 2004-03-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lcd)의 백라이트용 램프 와이어 설치구조
TW523161U (en) * 2001-09-20 2003-03-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Flat panel display used light source of stretch resistance
TW494586B (en) * 2001-09-26 2002-07-11 Windell Corp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KR100813470B1 (ko) * 2001-11-27 2008-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 부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595304B1 (ko) * 2001-12-26 2006-07-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lcd)의 램프 와이어 고정구조체
JP2004114400A (ja) * 2002-09-25 2004-04-15 Brother Ind Ltd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ハーネス及び画像形成装置
US7190424B2 (en) * 2003-06-10 2007-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mp wire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secured in trenches extending at an angle to a plate sidew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32599A (zh) 2004-09-29
US7492433B2 (en) 2009-02-17
US20040183984A1 (en) 2004-09-23
US7911574B2 (en) 2011-03-22
TW200424652A (en) 2004-11-16
US7561241B2 (en) 2009-07-14
US20080212011A1 (en) 2008-09-04
KR20040082969A (ko) 2004-09-30
US8279390B2 (en) 2012-10-02
TWI303336B (en) 2008-11-21
JP2004287021A (ja) 2004-10-14
CN100394259C (zh) 2008-06-11
US20080192420A1 (en) 2008-08-14
JP4217090B2 (ja) 2009-01-28
US20090251635A1 (en) 2009-10-08
US20110143582A1 (en)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376B1 (ko) 표시장치
CN101160020B (zh) 柔性基板、具备其的电光装置以及电子设备
JP5391434B2 (ja) 表示装置
CN104412315B (zh) 显示装置
EP1903841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7911426B2 (en) Light emitting display with external driving voltage provided at a single side
US20100182293A1 (en) Display modu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module
US20080094321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10028124A (ko) 액정 표시장치
US20070128922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flexible printed circuit inserted into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7245015B2 (en) Display apparatus
JP4642495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システム及びこれを利用した製造方法
KR10172262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4345337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746060B2 (ja) 表示装置
US11543709B2 (en) Display substrate, method of test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20122205A (ko) 액정표시장치
KR10152146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603848B1 (ko) 캐리어 테이프를 가진 액정표시장치
US20080024697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ack 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20070062748A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54353A (ko) 표시 장치
KR20000019765A (ko) 타일드 액정표시장치 및 타일드 액정표시장치의 조립 방법
JP2006039449A (ja) 電気光学装置、配線基板および電子機器
KR20050068161A (ko) 액정패널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