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507B1 -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6507B1 KR100686507B1 KR1020000022708A KR20000022708A KR100686507B1 KR 100686507 B1 KR100686507 B1 KR 100686507B1 KR 1020000022708 A KR1020000022708 A KR 1020000022708A KR 20000022708 A KR20000022708 A KR 20000022708A KR 100686507 B1 KR100686507 B1 KR 1006865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dge
- light
- paint
- edge
- are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0) 는, 도광판 (12), 1차광원 (13), 반사시트 (14), 광확산시트 (15), 프리즘시트 (16, 17), 보호시트 (18) 및 이들을 마운트하는 상자형 프레임 (11) 을 구비한다. 프레임 (11) 은, 측판부 (11D) 와, 쐐기를 구성하는 가장자리부 (11A) 및 브리지 (11B) 로 구성된다. 반사시트 (14) 는 부분투광성을 갖는다. 반사시트 (14) 의 외측면에는, 쐐기에 정합하여 조정영역 (14A) 이 형성된다. 조정영역 (14A) 에는, 도트형상, 또는 선형상의 패턴에 따라 페인트가 도포된다. 조정영역 (14A) 은, 도광판 (12) 의 배면 (12C) 으로부터의 누설광의 광로 중에 개재하여, 쐐기의 형상에 대응한 휘도편차가 출사면 (12B) 상에 나타나는 것을 방지한다. 조정영역의 윤곽을 흐리게 하기 위해 윤곽완화영역을 쐐기의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형성하여도 된다. 프레임 상에 조정영역을 형성하여도 된다.
면광원장치, 액정표시장치
Description
도 1 은 제 1 실시예에서의 전체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 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도광판의 배면측에서의 광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부분단면도.
도 3 은 제 2 실시예에서의 특징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제 3 실시예에서의 특징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5 는 제 4 실시예의 특징부분인 반사시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도 6 은 조정영역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
도 7 은 제 5 실시예에서 채용된 반사시트 상에 형성된 조정영역의 부분확대도.
도 8 은 제 6 실시예에서 채용된 반사시트 상에 형성된 조정영역의 부분확대도.
도 9 는 제 7 실시예에서 채용된 반사시트 상에 형성되는 조정영역의 부분확대도.
도 10 은 종래예에 관련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대한 전체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10 :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2, 20 : 형광램프
3, 12 : 도광판 3A, 12A : 입사단면
3B, 12B : 출사면 3C, 12C : 배면
4, 14, 24 : 반사시트 5, 11, 31 : 프레임
5A, 11A : 가장자리부 5B, 11B : 브리지
5C, 11C, 31C : 개구부 5D : 측판부
13 : 1차광원 14A : 조정영역
15 : 광확산시트 16, 17 : 프리즘시트
18 : 보호시트 21 : 리플렉터
D, D1 : 도트형상 페인트
본 발명은,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이들 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부재의 마운트에 사용되는 프레임에 관련하여 발생하는 명암편차를 방지한 상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을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의해 조명하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는, 도광판과 이에 1차광을 공급하는 1차광원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1차광원으로서는 봉 형상의 형광램프 (냉음극관) 가 알려져 있다. 1차광원은, 도광판의 입사단면을 따라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는, 액정표시장치로의 적용시에 장치전체의 두께를 크게 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1차광원으로부터 방사된 1차광은, 입사단면을 통하여 도광판내로 도입된다.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도광판은 측정면으로서 출사면과 배면을 갖는다. 도광판내로 도입된 광은 내부에서 반사, 산란 등의 작용을 받아, 출사면으로부터 서서히 출사된다.
출사광은, 프리즘시트, 광확산판 등의 시트형상의 부가 부재를 통하여, 액정표시패널에 공급된다.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리즘시트는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광의 우선적인 전파방향을 보정하는 광제어부재이다. 또한, 광확산판에는 출사광의 지향성의 강도를 조정함과 동시에, 조명광에 시각적인 유연성을 부여하여, 미세한 명암편차를 흐리게 하는 기능이 있다.
한편, 도광판의 배면으로부터 누출된 광 (이하, "누설광" 이라 함) 은, 동배면을 따라 배치된 반사시트에서 반사되어, 도광판내부로 복귀된다. 이로써, 광의 손실이 방지된다.
이들 도광판, 1차광원, 여러가지 시트부재를 포함하는 모든 부재는, 소정의 프레임에 수용되는 형태로 동프레임에 마운트되어,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또는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한다.
마운트에 사용되는 프레임은, 소위 펀칭에 의해 전체 중량이 경량화되어 있는 것이 통례이다. 그러나, 이 펀칭은 도광판의 배면측에 근접하여 반사매체가 없는 공백을 초래한다. 이 공백이 출사면측으로부터 조금이라도 비쳐 보이면 명암편차로 되어 눈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명암편차는 조명광의 품위를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액정표시장치로의 적용시에는, 표시에 명암편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법을 본출원인은 먼저 일본국특허공개공보 10-170727 호 공보에서 제안하였다. 그 요부구조를 사시분해도로 도 10 에 나타냈다.
도 10 을 참조하면, 상기 제안에 관련되는 공지의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 는, 쐐기단면형상의 도광판 (3) 및 이에 나란히 놓여지는 형광램프 (냉음극관 ;2) 를 포함한다. 또한, 도광판 (3) 의 배면 (3C) 측에는 얇은 반사시트 (4) 가 배치된다. 도광판 (3) 의 출사면 (3C) 측에는, 필요에 따라 프리즘시트 등의 부가시트 (도시생략) 가 배치된다. 또한, 형광램프 (2) 의 배면에는 리플렉터 (도시생략) 가 부설되는 것이 통례이다.
이들 모든 부재는, 상자형의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프레임 (5) 에 지지된다. 장치의 경량화를 위해, 프레임 (5) 은, 반사시트 (4) 와 대향하는 면 (이하, 바닥면이라 함) 의 일부가 펀칭되어 있다. 즉, 프레임 (5) 은 측판부 (5D) 와, 바닥둘레부 (5A) 와, 그 적소 간에 걸쳐진 브리지 (5B) 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5) 의 바닥면은, 가장자리부 (5A) 와 브리지 (5B) 를 제외하는 부분에 개구부 (공백부 ; 5C) 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닥면 중, 개구부 (5C) 를 제외한 부분을 "쐐기" 라 한다. 본 예에서는, 가장자리부 (5A) 와 브 리지 (5B) 가 쐐기를 구성하고 있다.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광판 (3) 내로 도입된 광은 출사면 (3B), 배면 (3C) 에서 반사를 반복하면서 말단부 (쐐기의 가장 얇은 부분) 로 전파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출사면 (3B) 으로부터 서서히 조명광이 출력된다.
배면 (3C) 에서의 반사시에는, 일부의 광이 누출되어 반사시트 (4) 에 입사된다. 반사시트 (4) 는 대부분의 광을 반사하여 도광판 (3) 으로 복귀시켜 광의 손실을 방지한다. 그러나, 소량이기는 하지만, 일부의 광은 반사시트 (4) 를 투과해 버린다. 즉, 반사시트 (4) 는 약한 광투과성 (부분투광성) 을 가지고 있다.
이 투과광의 일부는, 프레임 (5) 의 가장자리부 (5A) 또는 브리지 (5B) 에서, 그 반사특성에 따라 반사되어, 반사시트 (4) 로 반대측으로부터 재입사된다. 재입사의 일부는 반사시트 (4) 를 투과하여, 도광판 (3) 내로 복귀된다.
한편, 반사시트 (4) 를 거쳐 개구부 (5C) 로 향한 광은 그곳에서 반사되지 않고, 도시하지 않은 케이싱 내면 또는 다른 부품 등의 표면에서 그 반사특성에 따라 반사되어, 반사시트 (4) 로 반대측으로부터 재입사된다. 재입사의 일부는 반사시트 (4) 를 투과하여, 도광판 (3) 으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반사시트 (4) 를 투과한 누광성분의 일부는, 전혀 다른 2 종류의 이력을 거쳐 도광판 (3) 으로 복귀되어 온다. 도광판 (3) 으로 복귀된 광은 다시 출사면 (3B) 으로 향하여, 그곳으로부터 출사된다. 그 결과, 2 종류의 이력에 따른 명암편차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반사시트 (4) 로서 두꺼운, 광투과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 것을 사용하면 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장치의 박형화, 경량화의 요청에 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안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10-170727 호 공보) 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반사시트 (4) 의 도광판 (3) 과 대향하는 면 (이하, "내측면" 이라 함) 또는 타방의 면 (이하, "외측면" 이라 함) 에 광의 반사특성 (특히 반사율) 을 조정하기 위한 도료 (페인트) 를 소정 영역에 도포함으로써, 상기 휘도편차를 억제하고 있다.
도료를 도포하는 소정영역의 형성범위는, 프레임 (5) 의 바닥면 내에서 가장자리부 (5A) 나 브리지 (5B) 가 존재하는 부분, 즉, "쐐기" 에 정합하고 있다. 이후, 이와 같은 소정영역을 "조정영역" 이라 한다. 이러한 수법은 유효성이 높지만, 도료의 도포가 벨트형상의 조정영역 (도 10 에서의 사선부 참조) 내에서 간극없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이산적이지 않은 도포" 는 "전체 도포" 라고 한다.
제 1 문제는, "전체 도포" 에서 최적의 반사특성을 실현하기 위한 조정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다. 왜냐면, "전체 도포" 의 경우, 도료의 농도와 도포의 두께 (도막의 두께) 로 반사특성의 조정을 행하게되는데, 먼저 최적의 농도와 도포의 두께 (도막의 두께) 를 결정하는 것이 간단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이 결정된 후에도, 제조시에 그 최적의 조합상태를 유지, 관리하는 것의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도료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하여도, 도막의 두께를 정밀하게 콘트롤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설비가 필요 하게 된다.
또 하나의 문제점은, 전체 도포된 조정영역은, 그 자체가 매우 눈에 띠기 쉽다는 것이다. 특히, 반사시트 (4) 와 프레임 (5) 의 사이에 조금이라도 위치어긋남이 생기면, 도료가 도포된 조정영역과 쐐기 (5A, 5B) 와의 사이의 정합관계가 무너져, 조정영역의 가장자리에 선형상의 명암편차가 나타나기 쉽다.
또한, 이와 같은 위치어긋남이 없어도, 최적의 조정상태 (도료의 농도, 막두께 등) 로부터의 어긋남이 발생한 때에는, 벨트형상의 조정영역이 명확한 윤곽을 갖고 있기 때문에, 명암패턴으로서 눈으로 보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이상의 배경하에서 제안된 것으로, 도광판의 배면측에서 일어나는 배경반사 (프레임 등에 의한 반사) 에 관련한 휘도편차를 간이하고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개량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이 개량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사용하여 표시품질을 향상시킨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입사단면, 출사면 및 배면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입사단면을 통하여 1차광을 상기 도광판에 공급하도록 배치된 1차광원과, 상기 배면을 따라 배치된 반사시트와, 적어도 상기 도광판 및 상기 반사시트를 적층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휘도편차 억제수단을 구비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대하여 개량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지지부재는, 개구부와 쐐기를 포함하는 바닥면 형상을 가 지고 있다. 또한, 반사시트는, 도광판의 배면으로부터의 누출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일부투과광이, 지지부재의 바닥면형상에 관련된 휘도편차의 발생요인이 된다.
본원발명에 따라 채용되는 휘도편차 억제수단은, 상기 누출광의 광로중에 개재하여 상기 누출광의 투과비율을 조정하는 조정영역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 조정영역은, 상기 지지부재의 바닥면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고, 동조정영역내에는 페인트가 이산적으로 분포하며, 이로써, 상기 지지부재의 바닥면형상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휘도편차가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산적으로 분포하는 페인트는, 종래의 "전체 도포" 된 경우에 비하여 조정영역을 눈에 띠지않게 한다.
다시 말하면, 페인트의 이산적 분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광판의 배면으로부터의 누출광이 도광판에 불균일하게 재입사됨으로써 발생하는 휘도편차를 저감, 바람직하게는 해소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조정영역은, 반사시트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쐐기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페인트는, 광의 흡수감쇠가 필요한 경우에는 소요의 흡광성을 갖고, 효율적인 반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소요의 광반사성을 가지고 있다.
조정영역을 반사시트 상에 형성하는 경우, 조정영역에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를 걸친 윤곽완화영역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윤곽완화영역은, 조정영역의 윤곽의 명료함을 완화시키는 영역으로, 적어도 윤곽완화영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는 피복율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도포된다. 이와 같은 연구에 의해, 조정영역은 더욱 눈으로 보기 어려워진다.
페인트의 이산분포의 전형예는, "선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분포" 나, "도트군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하는 분포" 가 있다.
이상과 같이 개량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액정표시장치에, 액정표시패널의 조명을 위해 공지되어 있는 태양으로 형성하면, 본 발명에 따라 개량된 액정표시장치가 얻어진다. 개량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의 이점 (휘도편차의 저감, 해소) 은, 표시품위의 향상으로 되어 액정표시장치에 반영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요소의 치수, 형상 등은 적당히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다.
(1) 제 1 실시예
도 1 을 참조하면,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0) 는, 도광판 (10), 1차광원 (13), 반사시트 (14), 광확산시트 (15), 프리즘시트 (16, 17), 보호시트 (18) 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모든 부재는 상자형상의 프레임 (11) 에 수용되어 지지된다. 반사시트 (14), 도광판 (12), 광확산시트 (15), 프리즘시트 (16, 17) 및 보호시트 (18) 는 순차적으로 적층배치된 상태로 프레임 (11) 으로 지지된다.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보호시트 (18) 의 외측에 액정표시패널 (도시생략) 이 배치되어, 면광원장치 (10) 의 출력조명광에 의해 조명된다. 또한, 보호시트 (18) 와 액정표시패널 간에는, 스페이서 (도시생략) 가 형성되는 것 이 통례이다.
도광판 (12) 은 예를 들면 아크릴수지 (PMMA 수지) 제의 투명부재로, 쐐기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두께가 두꺼운 측에 위치하는 입사단면 (12A) 을 통하여 1 차광이 공급되도록 1차광원 (13) 이 배치된다. 1차광원 (13) 은, 예를 들면 리플렉터 (21) 를 배후에 형성한 형광램프 (냉음극관 ; 20) 로 구성된다.
출사면 (12B) 에는, 필요에 따라 출사촉진을 위해 광산란패턴이 형성되어도 된다. 광산란패턴은, 예를 들면 다수의 미소한 조면영역으로 형성된다.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면영역의 피복율은 위치에 따라 변화하여도 된다. 배면 (12C) 상에 광산란패턴이 형성되는 일도 있다.
출사면 (12B) 을 따라 배치된 광확산시트 (15) 는 광을 약하게 확산하는 시트로, 조명출력광의 출사각도범위를 넓힌다. 이로써, 면광원장치 (10) 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 시야각이 넓어진다.
프리즘시트 (16, 17) 는, 그곳에 형성된 다수의 프리즘열로 광의 지향특성을 수정한다. 프리즘시트 (16, 17) 는, 양자의 프리즘열이 서로 직교하는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호시트는, 프리즘시트 (17) 을 덮어, 그 프리즘열을 보호한다. 이들 부가시트 (15 ∼ 18) 는, 각각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부가시트에 무엇을 사용하는가는 설계적으로 선택된다. 부가시트가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프레임 (11) 은, 광을 잘 반사하는 예를 들면 백색 수지의 사출성형체로 이루어지고, 측판부 (11D) 와, 쐐기를 구성하는 가장자리부 (11A) 및 브리지 (11B) 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쐐기" 는 바닥면 중, "펀칭되어 있지 않은 부분" 을 의미한다. 다시말하면, 쐐기가 존재하지 않는 공백부 내지 절결부에 개구부 (11C ; 본예에서는 계 4 개) 가 형성된다.
마운트시에는, 예를 들면 먼저 1차광원 (3) 이 프레임 (11) 의 소정위치에 배치되고, 이어서 반사시트 (14), 도광판 (12), 광확산시트 (15), 프리즘시트 (16, 17) 및 보호시트 (18) 가 순차적으로 프레임 (11) 내에 수용배치된다.
도광판 (12) 의 배면 (12C) 을 따라 배치된 반사시트 (14) 는, 예를 들면 백색PET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동 배면 (12C) 으로부터의 누설광을 광반사성의 내측면에서 반사시켜 도광판에 복귀시키는 것이 기본적인 기능이다. 그러나, 그 일방에서 약간의 누설광을 통과시켜, 프레임 (5) 의 바닥면으로 향하게한다. 이런 의미에서, 반사시트 (14) 는 "부분투광성" 의 시트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반사시트 (14) 의 외측면, 즉, 쐐기 (브리지 (11B) 및 가장자리부 (11A)) 에 대향하는 면 상에 "조정영역 (14A)"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있어서, 조정영역 (14A) 은 사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조정영역 (14A) 은 쐐기가 차지하는 바닥면영역과 정합된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조정영역 (14A) 은, 휘도편차를 경감시키기 위해, 광을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 페인트를 반사시트 (14) 의 외측면 상에 도포시킨 영역이다.
단,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도 1 내에 부분확대하여 나타낸 (부호 A 를 참조) 바와 같이, 페인트는 조정영역 (14A) 내에 "전체 도포" 되어 있지 않고, 이산적으로 분포하는 다수의 도트(D) 의 형태로 반사시트 (14) 에 도포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 도트 (D) 는, 휘도편차를 가능한한 저감시키는 피복율을 갖도록 설계된 패턴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트 패턴의 가장 기본적인 것은, 종횡 등간격의 매트릭스형상 어레이이다.
도트 (D) 는, 예를 들면 직경 0.5 ㎜ 의 그레이의 잉크 (페인트의 일례) 를 반사시트 (14) 상에 프린트하여 형성된다. 도트형상으로서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 여러가지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잉크는 적당한 흡광성을 갖고, 눈에 띠기 어려운 색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트지름도 눈에 띠지않을 정도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도트의 지름, 도트 패턴의 피복율 (단위면적당의 도트 점유면적) 등은, 조정영역에 대응한 휘도편차를 가능한한 출사면 (12B) 상에 출현하지 않도록 선택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으로, 광의 움직임을 간단히 설명한다. 조정영역 (14) 의 작용에 대하여 도 2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이제, 형광램프 (20) 가 점등되면, 입사단면 (12A) 으로부터 도광판 (12) 내로 광이 도입된다. 광은 출사면 (12B), 배면 (12C) 에서 반사를 반복하면서 말단부 (쐐기의 가장 얇은 부분) 로 전파된다.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과정에서 출사면 (12B) 으로부터 서서히 조명광이 출력된다. 출력된 광은, 부가시트 (15 ∼ 18) 를 거쳐, 피조명대상물 (예를 들면 액정표시패널) 을 조명한다.
도 2 는, 배면 (12C) 측에서의 광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동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 (12C) 에 내부 입사된 광을 대표하는 광선 (L1) 은, 그 일부가 누출되어 반사시트 (14) 에 입사된다. 반사시트 (14) 는 대부분의 광을 반사시켜 도광판 (12) 으로 복귀하는 광선 (L1B, L1C) 으로 된다.
그러나, 상기의 부분투광성에 의해, 일부의 광은 반사시트 (4) 를 투과한다. 단, 조정영역 (14A) 내를 통과하는 광은, 잉크도트 (D ; 도 1 참조) 를 만나면 높은 비율 (경우에 따라서는 100%) 로 흡수되어, 약해진 후 쐐기 (여기에서는 브리지 (11B) 에 입사된다. 브리지 (11B) 에서 반사된 광의 대부분은, 다시 잉크도트 (D) 를 만나, 다시 감쇠한 후 반사시트 (14) 를 재투과하여, 매우 약한 광으로서 도광판 (12) 에 복귀한다.
또한, 조정영역 (14A) 내를 통과하지만 잉크도트 (D ; 도 1 참조) 를 만나지 않는 광은, 반사시트 (14) 의 부분투과성에 따른 비율로 투과되어, 쐐기 (여기에서는 브리지 (11B)) 에 입사된다. 브리지 (11B) 에서 반사된 광의 대부분은, 다시 반사시트 (14) 를 투과하여 도광판 (12) 에 복귀한다.
조정영역 (14) 전체를 평균하여 보면, 개개의 도트 (D) 의 흡광력과 도트패턴의 피복율 (조밀의 정도) 에 따라 감쇠한 광이 도광판 (12) 에 복귀하게 된다 (광선 (L1B) 에 따른 파선을 참조).
또한, 조정영역 (14A) 으로부터 어긋난 광로를 취하는 광은, 잉크도트 (D ; 도 1 참조) 를 만나지 않으므로, 반사시트 (14) 의 부분투과성에 따른 비율로 투과되어, 개구부 (11C) 에 입사된다. 개구부 (11C) 를 통과한 광은, 프레임 (11) 의 외측에 있는 배경면 (예를 들면 다른 부품의 표면, 케이싱 내면 등) 에 도달한다. 그 후의 움직임은, 배경면의 반사특성에 의한다. 예를 들면, 광트랩에 상당하는 암색면이면 거의 반사광은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도광판 (12) 으로 복귀하는 광은 발생하지 않는다. 반대로 백색면이면, 어느 정도의 광이 역코스를 더듬어 도광판 (12) 도광판 (12) 으로 복귀되어 온다.
이상의 움직임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력 1) = 도광판 (12) →반사시트 (14;조정영역외) → 개구부 (11C) →배경면 → 개구부 (11C) →반사시트 (14 ; 조정영역외) →도광판 (12) 의 루트로 복귀되는 광과,
(이력 2) = 도광판 (12) →반사시트 (14;조정영역내) → 쐐기 (브리지 (11B 또는 가장자리 (11A)) →반사시트 (14 ; 조정영역내) →도광판 (12) 의 루트로 복귀되는 광과의 강도의 균형을 취하여 주면, 휘도편차가 방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균형조정은 본 실시예에서는 간단하다. 즉, 이력 (1) 의 광의 강도는, 예를 들면 조정영역 (14) 내의 도트피복율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트피복율은, 도트지름과 도트개수밀도의 선택을 통하여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제의 제조시 (반사시트 (14) 로의 프린트시) 에도, 도트지름이나 도트개수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도막관리 (종래기술의 설명을 참조) 에 비하여 훨씬 용이하고 비용도 들지 않는다.
또한, 만약에 약간의 불균형이나, 반사시트 (14) 의 프레임 (11) 에 대한 위치어긋남이 발생하여도, 잉크가 전체 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정영역의 가장자리에 대응한 휘도편차는 눈에 띠기 어렵다.
(2)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는,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 (11) 의 개구부 (11C) 로 입사하는 누설광의 도광판 (12) 으로의 복귀가 약한 것을 전제로, 그것과 균형을 취하도록 조정영역에서 광을 감쇠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광의 손실을 수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손실을 피하기 위해서는, 상술의 (이력 1) 의 광선을 조정영역에서 중도 반사시켜, 도광판 (12) 으로 복귀하는 광량을 늘려주면 된다. 이와 같은 사고방식을 채용한 하나의 경우를 제 2 실시예로 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반사시트 (14) 대신에 도 3 에 나타낸 반사시트 (24) 가 채용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여도 되므로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반사시트 (24) 는, 조정영역 (24A) 의 형성태양의 차이를 제외하면 반사시트 (14) 와 동일한 것이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백색 PET 필름으로 이루어져, 강한 광반사성과 약한 투광성 (부분투광성) 을 구비하고 있다.
반사시트 (24) 의 외측면 (브리지 (11B) 및 가장자리부 (11A) 에 대향하는 면) 상에 "조정영역 (24A)" 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조정영역 (24A) 이, 제 1 실시예와는 반대로, 프레임 (11) 의 개구부 (11C) 와 정합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 및 광의 반사를 촉진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다. 조정영역 (24A) 은 사선으로 나타나 있다.
조정영역 (24A) 은, 휘도편차를 경감시키기 위해,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하는 성질을 갖는 페인트를 반사시트 (24) 의 외측면 상에 도포시킨 영역이다. 이 영역 (24A) 은,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고는 있지만, 대응의 방법이 제 1 실시예와 반대로 되어 있는 (즉, 네거티브와 포지티브의 관계) 것에 주의해야 한다.
도 3 중에 부분확대하여 나타낸 (부호 B 를 참조) 바와 같이, 페인트는 조정영역 (24A) 내에 "전체 도포" 되어 있지 않고, 이산적으로 분포하는 다수의 도트 (D1) 의 형태로 반사시트 (24) 에 도포되어 있다. 이들 도트 (D1) 는, 휘도편차를 가능한한 저감시키는 피복율을 갖도록 설계된 패턴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트패턴의 가장 기본적인 것은, 종횡등간격의 매트릭스형상 어레이이다.
도트 (D1) 는, 예를 들면 직경 0.5 ㎜ 의 백색 페인트를 반사시트 (24) 상에 프린트하여 형성된다. 도트형상으로서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 여러가지의 것이 채용가능하다.
백색페인트는 그 도포에 의해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선택된다. 도트지름은 눈에 띠지않을 정도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도트의 지름, 도트패턴의 피복율 (단위면적당의 도트점유면적) 등은, 조정영역에 대응한 휘도편차를 가능한한 출사면 (12B) 상에 출현하지 않도록 선택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면 (12C) 으로부터의 누설광의 복귀에 관하여, 하기의 (이력 3) 과 (이력 4) 의 사이에서 균형을 취할 수 있다.
(이력 3) = 도광판 (12) →반사시트 (24 ; 조정영역외) →쐐기 (브리지 (11B) 또는 가장자리 (11A)) →반사시트 (24 ; 조정영역외) →도광판 (12)
(이력 4)= 도광판 (12) →반사시트 (24 ; 조정영역내) →도광판 (12)
단, (이력 4 에는, 약간이기는 하지만, 도광판 (12) →반사시트 (24 ; 조정영역내)→개구부(11C) →배경면 →개구부 (11C) →반사시트 (24 ; 조정영역내) →도광판 (12) 의 루트도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균형조정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간단하다. 즉, 이력 4 의 광의 강도는, 예를 들면 조정영역 (24) 내의 도트 피복율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트 피복율은, 도트지름과 도트개수밀도의 선택을 통하여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제의 제조시 (반사시트 (14) 로의 프린트시) 에도, 도트지름이나 도트개수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도막관리 (종래기술의 설명을 참조) 에 비하여 훨씬 용이하고 비용도 들지 않는다.
또한, 만약에 약간의 불균형이나, 반사시트 (14) 의 프레임 (11) 에 대한 위치어긋남이 발생하여도, 잉크가 전체 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정영역의 가장자리에 대응한 휘도편차는 눈에 띠지 않는다.
(3) 제 3 실시예
일반적으로, 조정영역은 배면 (12C) 으로부터의 누설광의 광로 중에 개재하면 된다. 따라서, 조정영역을 프레임 (11) 의 쐐기 (가장자리부 (11A, 브리지 (11B)) 상에 형성하여도 된다. 그 하나의 경우를 제 3 실시예로 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반사시트는 종래와 같은 것 (도 10 에서의 반사시트 (4):조정영역 없음) 으로 좋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11) 대신에, 도 4 에 나타낸 프레임 (31) 이 채용된다. 반사시트와 프레임을 제외하는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 시예와 동일하여도 되므로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 (31) 은, 조정영역 (34A) 이 쐐기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프레임 (11) 과 유사한 것이어도 된다. 형상은 동일하여도 된다.
즉, 프레임 (31) 은, 예를 들면 백색 또는 다른 색의 수지의 사출성형체로 이루어지고, 측판부 (31D) 와, 쐐기를 구성하는 가장자리부 (31A) 및 브리지 (31B) 로 구성되어 있다. 남은 부분이 개구부 (31C) 로 된다.
그리고,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 (가장자리부 (31A), 브리지 (31B)) 의 내측면 상에 조정영역 (34A) 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내측면" 이란 반사시트 (도시생략) 에 대향하는 면을 말한다.
조정영역 (34A) 은, 도 4 중에 부분확대하여 나타낸 (부호 D를 참조) 바와 같이, 다수의 도트 (D) 의 형태에서는 쐐기 상에 도포되어 있다. 이들 도트 (D) 는, 휘도편차를 가능한한 저감하는 피복율을 갖도록 설계된 패턴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트 (D) 는, 예를 들면 직경 0.5 ㎜ 의 회색 잉크 (페인트의 일례) 를 쐐기상에 프린트하여 형성된다. 도트형상으로서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 여러가지 것이 채용가능하다.
잉크는 적당한 흡광성을 갖고, 눈에 띠기 어려운 색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트지름도 눈에 띠지않을 정도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도트의 지름, 도트패턴의 피복율 (단위면적당의 도트의 점유면적) 등은, 바닥면형상에 대응한 휘도편차가 가능한한 출사면 (12B ; 도 1 참조) 상에 출현하 지 않도록 선택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면 (12C) 으로부터의 누설광의 복귀에 관하여, 하기의 (이력 5) 와 (이력 6) 의 사이에서 균형이 취해진다.
(이력 5) = 도광판 (12) →반사시트 (4 ; 조정영역없음) →개구부 (11C) →배경면 →개구부 (11C) →반사시트 (4) →도광판 (12)
(이력 6) = 도광판 (12) →반사시트 (4 ; 조정영역없음) →쐐기 브리지(11B) 또는 가장자리 (11A) ; 조정영역과 일치) →반사시트 (4 ; 조정영역 없음) →도광판 (12)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균형조정도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간단하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이미 서술했으므로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시트가 프레임 (31) 에 대한 위치어긋남을 일으켜도, 조정영역 (34A) 과 쐐기의 위치관계에 영향은 없다. 따라서, 반사시트가 다소의 위치어긋남을 일으켜도, 쐐기형상에 대응한 휘도편차가 새로 나타나는 일은 없다.
(4) 제 4 실시예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수정을 추가한 것으로, 반사시트 (14 ; 도 1 참조) 대신에, 도 5 에 나타난 반사시트가 채용된다. 다른 점에 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5 중에 부분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적당한 흡광성을 갖는 회색의 페인트가. 반사시트 상의 조정영역내에 다수의 도트 (D) 의 형태로 도포되어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조정영역이 쐐기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고, 쐐기의 가장자리 주변의 영역에서, 도트 (D) 의 피복율이 서서히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즉, 쐐기의 가장자리의 외측 (개구부) 으로부터 쐐기의 가장자리를 거쳐 쐐기의 내측에 도달하는 영역에서, 도트 (D) 의 피복율이 서서히 상승하고 있다.
이 영역의 존재에 의해, 조정영역의 윤곽은 더욱 눈에 띠지않게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서에서는 이 영역을 "윤곽완화영역" 이라고 한다. 윤곽완화영역은, 본 실시예와 같이 쐐기의 가장자리를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트 (D) 의 피복율을 서서히 변화시키는 대신에, 도트 (D) 의 지름을 윤곽완화영역내에서 서서히 변화시켜도 된다. 그 일례를 도 6 에 나타냈다.
이와 같은 윤곽완화영역이 존재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 1 실시예에서 채용된 반사시트 (24) 와 동일하여도 된다. 따라서, 도트 (D) 의 배열, 작용 등의 관련사항의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동일한 윤곽완화영역을 반사시트 (24 ; 도 3 참조) 에 형성하면, 제 2 실시예의 변형예가 얻어진다.
(5) 제 5 실시예/제 6 실시예
상술의 각 실시예에서는, 조정영역에 있어서의 페인트 도포은 도트어레이형상이다. 그러나, 이것은 이산적인 페인트 도포의 일례이다. 이산적인 페인트 도포의 또 하나의 전형예는, 선형상의 패턴을 채용한 것이다. 이것을 제 5 실시예 및 제 6 실시예로 한다.
양실시예는, 제 4 실시예의 변형으로, 조정영역은 각각 윤곽완화영역을 갖는다. 도 7 은, 제 5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반사시트 상에 형성되는 조정영역의 부분확대도이다. 동도에 그려져 있는 바와 같이, 적당한 흡광성을 갖는 회색의 페인트가, 반사시트 상의 조정영역내에 복수개의 선 (L) 의 형태로 도포되어 있다.
조정영역은 쐐기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고, 쐐기의 가장자리 주변의 영역에서, 선 (L) 의 굵기가 서서히 변화하여, 그에 따라 페인트의 피복율이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 제 5 실시예에서는, 선과 선의 간격 (피치) 은 일정하다. 윤곽완화영역이 아닌 부분 (쐐기의 중앙부에 대응) 에서는, 제 1 실시예 (도트 어레이형상 도포) 와 동일하게, 선 (L) 의 굵기와 피치 (모두 일정) 가 설계되어, 쐐기형상 (프레임의 바닥면 형상) 에 대응한 휘도편차가 방지된다. 선 (L) 의 굵기는, 눈에 띠기 어려운 정도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0.5 ㎜ 또는 그 이하이다. 형성피치는, 필요한 피복율이 얻어지도록 설계된다.
또한, 도 8 은, 제 6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반사시트 상에 형성되는 조정영역의 부분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적당한 흡광성을 갖는 회색의 페인트가, 반사시트상의 조정영역내에 복수개의 선 (L) 의 형태로 도포되어 있다.
조정영역은 쐐기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고, 쐐기의 가장자리 주변의 영역에서, 선 (L) 의 굵기만이 아니라 형성피치도 서서히 변화하고, 그에 따라 페인트의 피복율이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
윤곽완화영역이 아닌 부분 (쐐기의 중앙부에 대응) 에서는, 제 1 실시예 (도트 어레이형상 도포) 와 동일하게, 선 (L) 의 굵기와 피치 (모두 일정) 가 설계되 어, 쐐기형상 (프레임의 바닥면형상) 에 대응한 휘도편차가 방지된다.
이들 실시예와 같이 선형상 패턴에 따라 페인트 도포를 행한 경우도, 균형조정 (누설광의 이력의 차이를 상쇄하는 조정 ; 실시예 1 ∼ 3 의 관련설명을 참조) 은 간단하다. 즉, 조정영역내의 선형상 패턴의 피복율을 선의 굵기와 선의 형성피치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실제의 제조시에도, 선의 굵기나 형성피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도막관리 (종래 기술의 설명을 참조) 에 비하여 훨씬 용이하고 비용도 들지 않는다.
또한, 만약에 약간의 불균형이나, 반사시트 (14) 의 프레임 (11) 에 대한 위치어긋남이 일어나도, 잉크가 전체 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정영역의 가장자리에 대응한 휘도편차는 눈에 띠기 어렵다.
(6) 제 7 실시예
선형상의 패턴에 따라 이산적인 페인트 도포를 행하는 다른 예로서, 도 9 에 나타낸 것이 있다. 이것을 제 7 실시예로 한다. 도 9 에는, 제 7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반사시트 상에 형성되는 조정영역이 부분확대되어 나타나 있다.
동도면에 그려져 있는 바와 같이, 쐐기에 대응하여 띠형상으로 신장되는 조정영역내에, 동심형상의 다중 마름모형이 소정의 간격으로 나열되어, 주기적인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이 패턴에 따라, 예를 들면 회색의 페인트가 반사시트 (외측면) 상에 도포된다. 마름모형을 그리는 선의 굵기는, 눈에 띠기 어려운 정도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0.5 ㎜ 또는 그 이하이다. 선과 선의 간격 (형성피치) 은, 필요한 피복율이 얻어지도록 설계된다.
본 예에서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마름모형의 양단은 파선으로 나타낸 쐐기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라인을 넘어 밀려나와 있다. 거시적으로 보면, 이와 같이 밀려나온 부분을 마름모형의 어레이가, 윤곽완화영역을 제공하고 있다. 즉, 거시적으로 보면, 쐐기의 가장자리를 걸쳐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서서히 페인트 피복율이 상승되고 있기 때문에, 조정영역 또는 쐐기의 윤곽이 눈에 띠지 않게 되어 있다.
(7) 변형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의 한정을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모든 변형이 허용된다.
(a) 선형상의 페인트도포는, 프레임의 개구부에 정합하도록 형성된 조정영역에 대하여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트패턴을, 이것과 동등한 반사작용을 달성하는 선형상 패턴으로 치환하여도 된다.
또한, 선형상의 페인트 도포는, 프레임측에 형성한 조정영역에 적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트 패턴을, 이것과 동등한 반사작용을 달성하는 선형상 패턴으로 치환하여도 된다.
(b) 도트의 피복율의 변화는, 상술한 윤곽완화영역 이외에서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광판 (12) 의 입사단면 (12A) 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도트지름을 증대 또는 감소시켜, 출사면 (12C) 에 있어서의 휘도의 균일화를 촉진시키는 수단의 하나로서도 좋다.
(c) 페인트는, 복수종류의 것을 혼합하여 도트형상, 선형상 등으로 프린트하여도 된다. 또한, 복수종류의 페인트를 개별로 도트형상, 선형상 등으로 프린트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종의 페인트의 도트와, 제 2 종의 페인트의 도트를 번갈아 나열하여도 된다.
(d) 도광판의 단면형상은 쐐기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두께가 균일한 도광판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1차광원은 봉형상광원 (형광램프 ; 9) 대신에, 예를 들면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점광원을 이용한 것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도광판으로의 광공급이 복수의 입사단면을 통하여 행해져도 된다. 도광판의 재료는 투명수지재료가 전형적이지만, 내부에 산란능을 갖는 "산란도광체" 가 채용되어도 된다.
(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패널 조명이외의 용도에 사용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여러가지의 조명기기, 표시장치에 형성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의 쐐기 또는 반사부재에, 국소적으로 도료를 도포하여 광량보정면을 형성함으로써,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하여 출사면측에서 볼 때 지지부재가 펀칭되는 발광면의 품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0)
- 입사단면, 출사면 및 배면을 갖는 도광판과,상기 입사단면을 통하여 1차광을 상기 도광판에 공급하도록 배치된 1차광원과,상기 배면을 따라 배치된 반사시트와,적어도 상기 도광판 및 상기 반사시트를 적층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과,휘도편차 억제수단을 구비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있어서,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배면으로부터의 누출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상기 지지부재는, 개구부와 쐐기를 포함하는 바닥면형상을 갖고 있고,상기 휘도편차 억제수단은, 상기 누출광의 광로중에 개재하여 상기 누출광의 투과비율을 조정하는 조정영역을 포함하며,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지재부재의 바닥면형상에 대응하는 윤곽형상을 갖고,상기 조정영역내에는 페인트가 이산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의 바닥면형상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휘도편차가 억제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페인트가 흡광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페인트가 광반사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쐐기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반사시트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를 걸치는 윤곽완화영역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윤곽완화영역에 있어서,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에 걸쳐 쐐기의 내측에 도달하는 영역으로, 상기 페인트의 피복율이 서서히 상승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페인트는, 선군(線群)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페인트는, 도트(dot)군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서 액정표시패널을 조명하는 액정표시장치로서,상기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는, 입사단면, 출사면 및 배면을 갖는 도광판과,상기 입사단면을 통하여 1차광을 상기 도광판에 공급하도록 배치된 1차광원과,상기 배면을 따라 배치된 반사시트와,적어도 상기 도광판 및 상기 반사시트를 적층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과,휘도편차 억제수단을 구비하고,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배면으로부터의 누출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상기 지지부재는, 개구부와 쐐기를 포함하는 바닥면형상을 가지고 있고,상기 휘도편차 억제수단은, 상기 누출광의 광로중에 개재하여 상기 누출광의 투과비율을 조정하는 조정영역을 포함하며,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지재부재의 바닥면형상에 대응한 윤곽형상을 갖고,상기 조정영역내에는 페인트가 이산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의 바닥면형상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휘도편차가 억제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액정표시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페인트가 흡광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페인트가 광반사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쐐기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반사시트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를 걸치는 윤곽완화영역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윤곽완화영역에 있어서,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에 걸쳐 쐐기의 내측에 도달하는 영역으로, 상기 페인트의 피복율이 서서히 상승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페인트는, 선군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페인트는, 도트군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반사시트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반사시트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를 걸치는 윤곽완화영역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윤곽완화영역에 있어서,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에 걸쳐 쐐기의 내측에 도달하는 영역으로, 상기 페인트의 피복율이 서서히 상승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를 걸치는 윤곽완화영역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윤곽완화영역에 있어서,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에 걸쳐 쐐기의 내측에 도달하는 영역으로, 상기 페인트의 피복율이 서서히 상승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페인트는, 선군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페인트는, 도트군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반사시트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반사시트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를 걸치는 윤곽완화영역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윤곽완화영역에 있어서,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에 걸쳐 쐐기의 내측에 도달하는 영역으로, 상기 페인트의 피복율이 서서히 상승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를 걸치는 윤곽완화영역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윤곽완화영역에 있어서,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쐐기의 가장자리에 걸쳐 쐐기의 내측에 도달하는 영역으로, 상기 페인트의 피복율이 서서히 상승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 23 항 내지 제 26 항에 있어서,상기 페인트는, 선군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 23 항 내지 제 26 항에 있어서,상기 페인트는, 도트군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쐐기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조정영역은 상기 쐐기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123442A JP2000314812A (ja) | 1999-04-30 | 1999-04-30 |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
JP99-123442 | 1999-04-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71844A KR20000071844A (ko) | 2000-11-25 |
KR100686507B1 true KR100686507B1 (ko) | 2007-02-23 |
Family
ID=1486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22708A KR100686507B1 (ko) | 1999-04-30 | 2000-04-28 |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0314812A (ko) |
KR (1) | KR100686507B1 (ko) |
TW (1) | TWM274546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6178B1 (ko) * | 2002-01-05 | 2007-12-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 |
KR100776463B1 (ko) * | 2004-09-11 | 2007-11-16 | 레디언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 도광판 및 도광판기반 평면 형광판 |
JP4238806B2 (ja) * | 2004-09-21 | 2009-03-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導光板、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
KR100701245B1 (ko) * | 2005-04-13 | 2007-03-29 | 미래산업 주식회사 | 면발광 형광램프가 내장된 백라이트 유닛용 전면 프레임 |
KR100720836B1 (ko) * | 2005-09-08 | 2007-05-22 | 파워팁 이메지 코포레이션 | 발광 모듈 |
TWM381089U (en) | 2009-12-25 | 2010-05-21 | Coretronic Corp | Backlight module |
JP6607664B2 (ja) * | 2014-06-23 | 2019-11-20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自動車の荷室用のパネル材 |
JP6521252B2 (ja) * | 2015-12-24 | 2019-05-29 |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 ライトガイドおよび照光表示装置 |
-
1999
- 1999-04-30 JP JP11123442A patent/JP2000314812A/ja active Pending
-
2000
- 2000-04-26 TW TW093210371U patent/TWM274546U/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4-28 KR KR1020000022708A patent/KR10068650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M274546U (en) | 2005-09-01 |
JP2000314812A (ja) | 2000-11-14 |
KR20000071844A (ko) | 2000-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01066B1 (ko) | 사이드라이트형면광원장치 | |
JP5738742B2 (ja) | 面光源装置 | |
JP3251452B2 (ja) | 液晶表示装置におけるバックライト装置 | |
KR100211607B1 (ko) | 조명장치 | |
JP3360785B2 (ja) |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 | |
US20070165419A1 (en) |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having light reflecting sheet with light diffusing portions | |
US6641274B2 (en) | Surface light source device | |
KR100686507B1 (ko) |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 |
JP4607648B2 (ja) | 導光板、これを備える面状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 |
KR20010007011A (ko) | 도광판,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 |
US8567977B2 (en) | Illumin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 |
JP2001084822A (ja) | 面光源装置及び該面光源装置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 |
JP3558321B2 (ja) |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導光板 | |
KR20000029047A (ko) |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 |
JPH09292531A (ja) | 導光板および光偏向板ならびに平面照明装置 | |
JP2005228535A (ja) | 面状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 |
JP3739067B2 (ja) |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 | |
JPH11212479A (ja) | バックライト装置 | |
JPH08146231A (ja) | バックライト装置 | |
JP2003068121A (ja) | 面発光装置 | |
JP3676425B2 (ja) | 導光板 | |
JP2010287556A (ja) |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 |
WO2008032464A1 (fr) | Unité rétroéclairée, dispositif d'affichage à cristaux liquides et dispositif de jeu | |
KR100634079B1 (ko) | 도광판, 면광원장치 및 표시장치 | |
KR20060086497A (ko) | 광학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