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4770B1 - 이차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770B1
KR100684770B1 KR1020050069491A KR20050069491A KR100684770B1 KR 100684770 B1 KR100684770 B1 KR 100684770B1 KR 1020050069491 A KR1020050069491 A KR 1020050069491A KR 20050069491 A KR20050069491 A KR 20050069491A KR 100684770 B1 KR100684770 B1 KR 100684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medium
battery module
passage
secondary batter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4662A (ko
Inventor
이건구
김태용
전윤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770B1/ko
Priority to JP2006204989A priority patent/JP4659699B2/ja
Priority to EP20080159356 priority patent/EP1976050B1/en
Priority to DE200660017017 priority patent/DE602006017017D1/de
Priority to US11/494,807 priority patent/US8003245B2/en
Priority to EP20060118129 priority patent/EP1750322B1/en
Priority to DE200660017890 priority patent/DE602006017890D1/de
Priority to CNB2006101089910A priority patent/CN100449862C/zh
Publication of KR20070014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매체의 유통 구조를 개선하여 단위 전지의 온도 제어 효과가 우수하면서 각 단위 전지간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단위 전지를 적층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의 전지 집합체와, 상기 전지 집합체를 내장시키고 온도 제어용 냉각매체를 유통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전지 집합체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냉각매체 진행 통로 내에 두께를 갖는 유도부재가 상기 통로의 끝단에서 냉각매체 유입구쪽으로 설치된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전지 집합체, 하우징, 유입통로, 유도부재, 평판부, 쐐기부

Description

이차 전지 모듈 {SECONDARY BATTERY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다수개의 이차 전지를 연결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 전지의 냉각효율을 높인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의 이차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다.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다.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는 복수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대용량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전지모듈이라 칭한다)는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단위전지라 칭한다)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단위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상기 캡 조립체로 돌출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구비된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 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전지는 통상 각형 전지의 경우 캡 조립체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엇갈리도록 각 단위전지를 교차 배열하고, 나사가공된 음극단자와 양극단자간에 너트를 매개로 도전체를 연결 설치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전지모듈은 수 개에서 많게는 수십 개의 단위전지를 연결시켜 하나의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따라 각 단위 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어야 하고, 무엇보다도 전지 모듈 내에서 각 단위 전지의 설치위치간 온도 차이가 크지 않아야 한다. 이차 전지 모듈의 열 방출 특성은 전지의 성능을 좌우할 정도로 매우 중요하다.
열 방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각 단위 전지간에 온도 편차가 발생되어 충/방전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고, 단위 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전지내부의 온도가 상승되어 결과적으로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며 심한 경우 폭발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지 모듈이 전동 청소기, 전동 스쿠터나 자동차용(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모터 구동용의 대용량 이차 전지로서 적용되는 경우 대전류로 충,방전되므로 사용 상태에 따라서 이차 전지의 내부 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상당한 온도까지 올라가게 되고, 이는 전지 특성에 영향을 주어 전지 고유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열 방출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냉각매체의 유통 구조를 개선하여 단위 전지의 온도 제어 효과가 우수하면서 각 단위 전지간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은, 다수 개의 단위 전지를 적층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의 전지 집합체와, 상기 전지 집합체를 내장시키고 온도 제어용 냉각매체를 유통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전지 집합체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냉각매체 진행 통로 내에 두께를 갖는 유도부재가 상기 통로의 끝단에서 냉각매체 유입구쪽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부재는 끝단이 쐐기형태를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는 냉각매체가 유입되는 통로 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부재의 두께는 상기 통로의 단면 폭에 대해 25 ~ 35% 범위 내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냉각매체는 유도부재에 의한 진행 통로의 단면 폭 감소로 인하여 유입구쪽에 위치한 전지 집합체의 단위 전지 사이로 충분히 유도되어 유입구쪽 단위 전지의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지 집합체는 두 개가 한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각 전지 집합체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며 중앙에 구비되는 냉각매체 진행 통로를 공유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지 집합체는 단위 전지와 단위 전지 사이에 전지격벽을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단위 전지는 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은 냉각매체를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강제 공급하는 블로워타입일 수 있다.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이 블로워타입 구조인 경우,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냉각매체 유입통로 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 선단에 냉각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각 단위전지를 거친 냉각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의 전지 집합체 양 측면으로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통되는 냉각매체 유입통로와 배출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유입구로 유입된 냉각매체는 유입통로를 따라 진행되어 전지 집합체를 거친 후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구로 빠져나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매체의 유입방향과 배출방향을 결정짓는 유입구와 배출구의 형성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한쌍의 전지 집합체가 하우징 내에 대향 배치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일측 선단 중앙에 유입구를 형성하여 대향 배치된 전지 집합체 중앙으로 냉각매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배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 선단 양측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는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의 냉각매체 유통 방식에 따라 서로 그 기능을 달리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유입통로 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도부재는 냉각매체가 유통되는 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판구조물로, 평판형태를 갖는 평판부와 이 평판부에 연장되어 냉각매체의 유입방향에 대해 그 끝단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쐐기형태를 이루는 쐐기부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냉각매체는 유도부재에 의해 각 단위 전지로 고르게 유도 분배되어 전지 집합체를 이루는 각 단위 전지는 전지 집합체에 대해 그 설치 위치에 관계 없이 고르게 열을 방열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부재를 이루는 평판부는 대략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전지 집합체의 끝단에서 대략 중간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쐐기부는 상기 전지 집합체의 중간지점에서부터 끝단까지 또는 끝단에 약간 못 미치는 지점가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는 냉각매체가 유통되는 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놓여지고,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뾰족하도록 측면이 경사져 쐐기형태를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이차 전지 모듈은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EV(전기 자동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는 전지모듈의 냉각매체로서 공기를 이용한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이 공기에 의한 냉각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각매체로써 냉각수나 기타 유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 인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이차 전지 모듈(10)을 살펴보면, 이 전지 모듈(10)은 대용량의 전지 모듈로서, 다수 개의 단위 전지(12)가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집합체(11)와, 이 전지 집합체(11)를 내장시키고 상기 각 단위 전지(12)로 온도 제어용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하우징(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 단위 전지(12)는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양극판과 음극판이 배치되는 전극 조립체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양의 전력을 충,방전시키는 통상적인 구조의 이차전지로서 구성된다.
상기 전지 집합체(11)는 언급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단위 전지(12)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하나의 열을 이룬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지 집합체(11)는 대략 사각형(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갖는 가로 폭이 넓은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는 단위 전지(12)들이 직립되게 배열되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 집합체(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가 한 쌍을 이뤄 하우징(20) 내에서 동일 평면상에 상호 이격 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지 집합체(11)를 하우징(20) 내부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하는 이유는 전지 모듈(10)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전지 집합체(11)는 각 단위 전지(12) 사이 및 최 외측의 단위 전지 (12)에 전지 격벽(13)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전지 격벽(13)은 각 단위 전지(1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온도 제어용 공기를 유통시키고, 각 단위 전지(12)의 측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각각의 전지 격벽(13)에는 이들 단위 전지(12) 사이로 온도 제어용 공기 즉, 단위 전지(12)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비교적 낮은 온도의 냉각 공기를 유통시키는 채널(14)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채널(14)은 도 1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격벽(13)에 관통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데, 온도 제어용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며 그 구조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전지 모듈(10)에 있어, 언급한 바 있는 하우징(20)은 상기한 전지 집합체(11)가 장착됨은 물론 이 전지 집합체(11)의 각 단위 전지(12) 사이의 채널(14)로 온도 제어용 공기를 유통시켜 각각의 단위 전지(12)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하우징(20)은 상기한 전지 집합체(11)를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부(25)와, 하우징(20)의 내부에 나란히 배치된 한쌍의 전지 집합체(11)를 기준으로 전지 집합체(11) 사이인 하우징(20)의 중앙과 각 전지 집합체(11)의 외측인 하우징(20)의 양측에 각각 온도 제어용 공기가 유통되는 통로(23,24)(이 통로는 본 이차 전지 모듈(10)이 블로워 타입인지 또는 석션 타입인지에 따라 또는 냉각매체의 진행방향에 따라 냉각매체가 유입되는 유입통로가 될 수도 있으며 온도 제어용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될 수도 있다.)가 형성되고, 각 통로(23,24)와 연 결되어 온도 제어용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시키기는 유입구(21) 또는 배출구(22)가 형성된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하우징(20)의 중앙으로 온도 제어용 공기가 유입되어 하우징 중앙이 유입통로(23)로 이용되고 하우징(20)의 양측에 배출통로(24)와 배출구(22)가 위치하는 구조이며, 중앙의 유입통로(23)에 연결되는 유입구(21)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는 블로워타입의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정착부(25)는 전지 집합체(11)를 수용하면서 이 전지 집합체(11)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바, 이 수용 공간은 하우징 중앙의 유입통로(23)를 기준으로 양쪽에 배치되며 한 쌍의 전지 집합체(11)가 각 정착부(25)에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다.
상기 유입통로(23)는 하우징(20) 중앙에 배치되어 유입통로(23) 양측으로 전지 집합체(11)가 위치하고 하우징(20)에 설치되는 유입구(21)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배출통로(24)는 하우징(20)의 내부 양측에서 각 전지 집합체(11)의 외측에 위치하고 온도 제어용 공기의 진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배출구(22)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온도 제어용 공기는 유입구(21)를 통해 하우징(20) 중앙에 형성된 유입통로(23)로 들어와 유입통로(23)를 따라 배열된 각 전지 집합체(11)의 단위 전지(12) 사이의 격벽(13)을 통해 배출통로(24)로 이동되어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유입통로(23)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통로(23)의 끝단에서부터 대략 유입구(21)까지 연장되는 유도부재(30)가 설치되어 상기 유입통로(23)를 따라 진행하는 냉각용 공기의 흐름 방향을 유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유도부재(3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도부재(30)는 상기 유입통로(23) 내부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져 설치되는 판 구조물로, 평판 형태를 갖는 평판부(31)와, 이 평판부(31)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유입구(21) 쪽을 향하는 선단이 끝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쐐기형태를 이루는 쐐기부(32)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유도부재(30)를 이루는 평판부(31)는 유입통로(23)의 안쪽 끝단에 밀착되고 상기 평판부(31)에 연장되는 쐐기부(32)는 유입구(21)를 향하는 구조를 이룬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유입통로(23) 상에서 상기 유도부재(30)가 설치된 구간은 유도부재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에 비하여 유입통로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되며, 더욱이 상기 유도부재의 쐐기부(32)가 형성된 구간에서는 냉각용 공기의 진행방향을 따라 유입통로(23)의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유입구(21)를 통해 들어온 냉각용 공기는 끝이 뾰족한 쐐기부(32)를 지나면서 분할되어 유입통로(23)를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고 있는 전지 집합체(11)의 단위 전지(12) 사이로 유입되며, 유입통로(23)에 대해 경사면을 이루는 쐐기부(32)를 지나면서 유입구쪽 단위 전지(12)로 강제 유도된다.
이에 따라 유입구쪽 단위 전지(12)가 유도부재(30)에 의해 유도된 냉각용 공 기에 의해 충분히 냉각됨으로써, 전지 집합체의 단위 전지간 온도 편차와 국부적인 온도 상승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유도부재(30)의 평판부(31)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통로(23)의 단면 폭에 대해 25 ~ 35%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평판부(31) 두께가 유입통로(23)의 단면 폭에 대해 25% 이하인 경우에는 냉각용 공기를 유입구쪽에 위치한 단위 전지(12)로 유도하기 어려우며, 35%보다 큰 경우에는 냉각용 공기를 유입통로(23)의 안쪽에 위치한 단위 전지(12)로 유도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쐐기부(32)의 내측 선단 두께는 상기 평판부(31)와 동일하도록 하여 상기 평판부(31)와 쐐기부(32)가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30)의 평판부(31)가 위치하는 구간은 대략 유입통로(23)의 안쪽 끝단에서 전지 집합체(11)의 중간정도 구간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전지 집합체(11)를 이루도록 적층되는 단위 전지(12)의 개수가 20개인 경우 상기 평판부(31)가 위치하는 구간(D1)은 유입구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입통로(23)의 안쪽 선단에서부터 7번째 ~ 10번째 단위 전지(12)까지의 구간이 된다.
또한, 상기 평판부(31)에 연장되는 상기 쐐기부(32)가 위치하는 구간(D2)은 상기 평판부(31)가 위치하는 구간(D1)의 끝단에서 시작하여 유입구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입통로(23)의 안쪽 선단에서부터 17번째 ~ 20번째 단위 전지(12)까 지의 구간이 된다.
이에 상기 쐐기부(32)의 뾰족한 선단이 위치하는 구간(D3)은 상기 유입통로(23)의 안쪽 선단에서부터 17번째 ~ 20번째 단위 전지(12)까지의 구간 내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차 전지 모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입구(21)에 연결된 펌프의 구동에 따라 유입구(21)를 통해 하우징(20) 내부로 유입된 온도 제어용 공기는 유입통로(23)를 따라 각 전지 집합체(11)를 지난 후 배출통로(24)를 지나 배출구(22)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용 공기는 유입구(21)에 연결되는 유입통로(23)의 입측에서 유도부재(30)에 의해 분리되어 일부는 일측 전지 집합체(11) 쪽으로 진행하고 나머지는 다른쪽 전지 집합체 쪽으로 진행된다.
이와같이 각각의 전지 집합체(11)쪽으로 유입된 냉각용 공기는 유도부재(30)에 의해 유입통로(23)의 단면적이 줄어듬에 따라 유입통로(23)의 안쪽 선단으로 빠르게 유입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입구쪽에 위치하는 전지 집합체(11)의 단위 전지로도 충분히 냉각용 공기가 유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입통로(23)에 대해 경사진 면을 갖는 유도부재(30)의 쐐기부(32)를 지나면서 전지 집합체(11) 쪽으로 기울어진 쐐기부(32)에 의해 냉각용 공기의 흐름이 유도되어 유입구쪽에 위치한 단위 전지 사이로도 그 양이 충분히 공급된다.
따라서 냉각용 공기는 유입통로(23)를 따라 안쪽은 물론 바깥쪽인 유입구쪽으로도 충분한 양이 유통되어 전지 집합체를 이루는 각 단위 전지(12)로 고르게 분 배된다. 이에 따라 냉각용 공기는 전지 집합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 전지격벽(13)으로 고르게 배출됨으로써, 온도 제어용 공기가 전지 집합체(11) 전체에 걸쳐 고르게 유통되어 전지 집합체(11) 전체의 단위 전지(12)의 온도 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이차 전지 모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은 블로워타입으로 하우징(20)의 중앙에 유입구(21)와 유입통로(23)가 배치되고 양측에 배출구(22)와 배출통로(24)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0)의 유입통로(23) 상에는 상기 유입통로(23)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양 측면은 유입통로의 안쪽 선단에서부터 상기 유입구쪽으로 갈수록 그 끝단이 뾰족하게 경사져 쐐기형태를 이루는 유도부재(40)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유도부재(40)는 쐐기형태를 이루도록 각 전지 집합체(11)를 향하는 양 측면에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40)는 그 뾰족한 선단이 상기 유입구(21)까지 도달하거나 대략 유입구(21)에 조금 못미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전지 집합체(11)를 이루도록 적층되는 단위 전지(12)의 개수가 20개인 경우 상기 유도부재(40)는 유입구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입통로(23)의 안쪽 선단에서부터 17번째 ~ 20번째 단위 전지(12) 까지의 구간(D4) 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쐐기부(32)의 뾰족한 선단은 상기 유입통로(23)의 안쪽 선단에서부터 17번째 ~ 20번째 단위 전지(12)까지의 구간(D5)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도 마찬가지로 유입구(21)를 통해 하우징(20)으로 유입된 공기 는 유입통로(22)를 따라 진행하는 과정에서 전지 집합체(11) 쪽으로 기울어진 유도부재(40)의 경사진 측면에 의해 그 방향이 전지 집합체 쪽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유입구쪽에 위치하는 전지 집합체(11)의 단위 전지(12)로도 냉각용 공기가 충분히 유도되어 단위 전지 사이의 전지격벽(13)으로 냉각용 공기가 지나가게 되고, 이에 따라 전지 집합체(11) 전 구간에서 단위 전지를 고르게 방열시킬 수 있고 고른 열 분포를 나타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제어용 공기의 유통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지 모듈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고, 온도 제어용 공기가 단위 전지 사이로 고르게 유통되므로 전지 모듈 전체에 있어서 국부적인 열적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다수 개의 단위 전지를 적층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의 전지 집합체와,
    상기 전지 집합체를 내장시키고 온도 제어용 냉각매체를 유통시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따라 형성되는 냉각매체 진행 통로 내에 통로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통로의 끝단에서 냉각매체 유입구쪽으로 위치하고, 상기 유입구쪽을 향하는 선단이 쐐기형태를 이루는 유도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는 냉각매체가 유입되는 통로 상에 설치되는 이차 전지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의 두께는 상기 통로의 단면 폭에 대해 25 ~ 30% 범위내인 이차 전지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집합체는 두 개가 한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 배치되는 이차 전지 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집합체가 상기 하우징 내부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이차 전지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집합체는 단위 전지와 단위 전지 사이에 전지격벽이 설치되는 이차 전지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 선단에 냉각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각 단위전지를 거친 냉각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의 전지 집합체 양 측면에는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통되는 냉각매체 유입통로와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이차 전지 모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집합체는 한 쌍이 하우징 내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유입구와 유입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배출통로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이차 전지 모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는 냉각매체가 유통되는 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평판형태를 갖는 평판부와, 이 평판부에 연장되어 냉각매체가 유입되는 쪽을 향해 그 선단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쐐기형태를 이루는 쐐기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의 평판부는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전지 집합체의 끝단에서 냉각매체가 유입되는 쪽을 향해 중간지점까지 연장되는 이차 전지 모듈.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의 쐐기부는 상기 전지 집합체의 중간지점에서부터 냉각매체가 유입되는 쪽을 향해 끝단까지 또는 끝단에 약간 못 미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이차 전지 모듈.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는 냉각매체가 유통되는 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놓여지고, 냉각매체가 유입되는 쪽을 향해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뾰족하도록 측면이 경사져 쐐기형태를 이루는 이차 전지 모듈.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전지 집합체의 일측 끝단에서 냉각매체가 유입되는 쪽의 끝단까지 또는 끝단에 약간 못 미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이차 전지 모듈.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이 모터 구동용인 이차 전지 모듈.
KR1020050069491A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491A KR100684770B1 (ko)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모듈
JP2006204989A JP4659699B2 (ja) 2005-07-29 2006-07-27 電池モジュール
EP20080159356 EP1976050B1 (en) 2005-07-29 2006-07-28 Battery module
DE200660017017 DE602006017017D1 (de) 2005-07-29 2006-07-28 Batterienmodul
US11/494,807 US8003245B2 (en) 2005-07-29 2006-07-28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cooling efficiency
EP20060118129 EP1750322B1 (en) 2005-07-29 2006-07-28 Battery Module
DE200660017890 DE602006017890D1 (de) 2005-07-29 2006-07-28 Batteriemodul
CNB2006101089910A CN100449862C (zh) 2005-07-29 2006-07-31 电池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491A KR100684770B1 (ko)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662A KR20070014662A (ko) 2007-02-01
KR100684770B1 true KR100684770B1 (ko) 2007-02-20

Family

ID=3767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491A KR100684770B1 (ko)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4770B1 (ko)
CN (1) CN10044986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878B1 (ko) 2007-06-14 2010-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매 유량의 분배 균일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케이스
WO2009061451A1 (en) 2007-11-07 2009-05-14 Enerdel, Inc. Battery assembly with temperature control device
JP2011507159A (ja) 2007-12-05 2011-03-03 エナーデル、インク 温度制御装置を有する組電池
CN102027629A (zh) 2008-05-10 2011-04-20 埃纳德尔公司 电池组件
KR101020587B1 (ko) * 2008-06-12 2011-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매 유량의 분배 균일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케이스
KR101143279B1 (ko) 2009-08-20 2012-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냉각구조를 가진 전지팩
SE534266C2 (sv) * 2009-11-20 2011-06-21 Scania Cv Ab Kylarrangemang för åtminstone ett batteri i ett fordon
CN101894969A (zh) * 2010-07-26 2010-11-24 湖南科霸汽车动力电池有限责任公司 动力电池组能量包
CN201838686U (zh) * 2010-08-31 2011-05-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储能电池模组
FR2965756B1 (fr) * 2010-10-07 2012-11-02 Renault Sa Compartiment a batteries pour un vehicule
JP5124006B2 (ja) * 2010-11-16 2013-01-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の冷却構造
EP2659543B1 (en) 2010-12-29 2024-03-27 BYD Company Limited Battery module, battery temperature managing system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JP5843411B2 (ja) 2011-06-21 2016-01-13 エルジー ケム. エルティーディ. 新規な空冷式構造の電池パック
KR101535800B1 (ko) * 2012-03-08 2015-07-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공냉식 구조의 전지팩
JP2014024518A (ja) * 2012-07-30 2014-02-06 Toyota Motor Corp 電源装置の取付構造および車両
CN104300190B (zh) * 2014-01-27 2017-04-26 河南科技大学 强制风冷电池箱及其箱体和冷板
US20150270516A1 (en) * 2014-03-24 2015-09-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hanced fabrication ev battery pack
CN104241727B (zh) * 2014-09-23 2016-05-04 湖南工业大学 一种新型空气散热型电动汽车电池包
DE102016208053B4 (de) 2016-05-10 2023-12-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m Hochvoltspeicher
US10199697B2 (en) * 2016-05-25 2019-0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led battery pack designs
CN109478702B (zh) * 2016-06-06 2022-08-19 艾迪斯科技能源有限责任公司 安装壳体以及冷却空气流中的蓄能器
DE102016114216A1 (de) * 2016-08-01 2018-02-01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Temperiereinrichtung für ein Batteriegehäuse eines Fahrzeuges
DE102017209604A1 (de) 2017-06-07 2018-12-13 Röchling Automotive SE & Co. KG Batteriemodul mit Strömungsleitformation im Modulgehäuse
CN109524744B (zh) * 2018-10-30 2021-01-19 华南理工大学 一种电池热管理风冷系统及其快速构造方法
CN109509854B (zh) * 2018-12-29 2024-03-08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商用车用电池箱
CN113013529B (zh) * 2021-02-18 2022-07-2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风冷电池冷却系统及冷却流道设计方法
CN115642344B (zh) * 2022-10-19 2023-10-17 宁夏宝丰昱能科技有限公司 大容量电池系统及组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605A (ko) * 2004-10-28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20060101670A (ko) * 2005-03-21 2006-09-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9391B2 (ja) * 1997-03-07 2006-10-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アセンブリ及び電動車両
JPH11329518A (ja) * 1998-05-21 1999-11-30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装置
JP4233733B2 (ja) * 2000-07-17 2009-03-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569556B2 (en) * 2001-01-29 2003-05-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oling system for a battery pack
JP4485187B2 (ja) * 2003-12-24 2010-06-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ケー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605A (ko) * 2004-10-28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20060101670A (ko) * 2005-03-21 2006-09-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37605 A
10-2006-0101670 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662A (ko) 2007-02-01
CN100449862C (zh) 2009-01-07
CN1905268A (zh)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770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768B1 (ko) 이차 전지 모듈
JP4659699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0648704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58715B1 (ko) 전지 모듈
JP5718549B2 (ja) 優れた冷却効率の中型及び大型のバッテリーパック
KR100839374B1 (ko) 전지 모듈
KR100637472B1 (ko) 이차 전지 모듈
KR20070013455A (ko) 이차 전지 모듈
JP2006128123A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モジュール用冷却装置
KR20180097898A (ko) 가이드 베인을 구비한 공냉식 배터리 모듈
KR100637468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830B1 (ko)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용 냉각장치
KR100648705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805114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760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091665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냉각장치
KR100637461B1 (ko)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용 냉각장치
KR20060037630A (ko)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용 냉각장치
KR100627312B1 (ko) 전지 모듈
KR100669332B1 (ko) 이차 전지 모듈 및 이에 적용되는 이차 전지
KR100637460B1 (ko)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