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부추, 파, 무, 양파, 마늘로 구성되는 그룹의 함황 야채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마쇄, 마쇄 및 착즙, 마쇄 및 효소분해, 또는 마쇄 및 효소분해 및 착즙하여 함황야채 가공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얻어진 함황 야채 가공액 100 중량부에, 산미료 0.5~6 중량부, 마늘, 고추가루, 생강, 젓갈로 구성되는 양념 원료 10~60 중량부 및 감미료, 조미료, 정제염으로 구성되는 부원료 10~4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김치 풍미 조미료의 제조 방법, 및 건조된 상태인, 부추, 파, 무, 양파, 마늘로 구성되는 그룹의 함황 야채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마쇄, 마쇄 및 착즙, 마쇄 및 효소분해, 또는 마쇄 및 효소분해 및 착즙하여 제조된 함황야채 가공액 100 중량부, 산미료 0.5~6 중량부, 마늘, 고추가루, 생강, 젓갈로 구성되는 양념 원료 10~60 중량부 및 감미료, 조미료, 정제염으로 구성되는 부원료 10~40 중량부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김치 풍미 조미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함황 야채로는 부추, 파, 무, 양파, 마늘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황이 함유되어 있는 야채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가공 방법으로는, 마쇄, 마쇄 및 착즙, 마쇄 및 효소분해, 또는 마쇄 및 효소분해 및 착즙이 모두 가능하다.
마쇄는 통상적인 분쇄기 등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분무 건조 공정을 거치는 경우에 노즐이 막히지 않도록 40 메쉬 이상으로 마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즙은 착즙기 등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효소분해에 사용가능한 효소로는 펙티나아제, 셀루라아제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를 사용하여 야채의 세포벽을 분해함으로써 강한 김치 풍미를 얻을 수 있다. 효소 분해 조건은, 50~55℃, pH 4~8에서 1~3시간동안 실시하되, 기질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효소의 첨가량은, 함황야채의 원료 특성에 따라 원료 고형분 대비 1~5 중량%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미만이면 분해효과가 떨어지고, 5 중량%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1~5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산미료로는 초산, 젖산, 구연산, 사과산, 호박산, 이들의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이러한 산미료를 상기 가공된 함황 야채에 김치 풍미 보조제로서 특정 비율로 첨가함으로써, 김치 풍미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산미료는, 함황 야채 가공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6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 중량부 미만이면, 김치 풍미 조미료의 산미가 너무 약하고, 6 중량부를 초과하면 산미가 너무 강하므로, 0.5~6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양념 원료로는 마늘, 고추가루, 생강, 젓갈 등을 적절히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김치 풍미를 더 상승시킬 수 있다. 맛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적당량을 첨가할 수 있지만, 함황 야채 가공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6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김치 풍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부원료로는 감미료, 조미료, 정제염 등을 적절히 혼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맛의 선호도에 따라 적당량을 첨가할 수 있지만, 함황 야채 가공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4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김치 풍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건조는 통상적인 방법이 모두 가능하나, 분무 건조 또는 진공 건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건조는, 상기의 원료를 그대로 건조하거나, 건조보조제로서 말토덱스트린, 쌀가루, 옥수수가루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료를 첨가하여 건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건조보조제는, 피건조량에 대하여 5~2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5 중량부 미만이면 건조공정이 길어져 변색의 요인이 되고, 20 중량부가 초과하면 풍미가 희석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생부추를 세척한 후 분쇄기로 마쇄하였다. 마쇄한 가공액 1 kg에 대하여 젖산 60g, 액상젓갈 250g, 생강 분쇄액 100g, 생마늘 분쇄액 40g, 분쇄한 고추가루 200g, 설탕 150g, 정제염 100g, 엘-글루타민산나트륨 100g을 정확히 계량하여 첨가하였다. 여기에 건조 보조제로서 말토덱스트린을 200g(전체 대비 10 중량%의 비율) 첨가하여 잘 혼합하였다. 이를 분무건조하여 분말형의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생부추를 분쇄한 후 착즙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생부추를 분쇄한 후, 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생부추를 분쇄한 후, 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 후 착즙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생양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생양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생양파를 분쇄한 후, 2.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1.5시간동안 분해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생양파를 분쇄한 후, 2.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1.5시간동안 분해 후 착즙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생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생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생파를 분쇄한 후, 2.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생파를 분쇄한 후, 2.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 후 착즙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생무(청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생무(청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생무를 분쇄한 후, 4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생무를 분쇄한 후, 4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 후 착즙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생마늘을 마쇄한 가공액을 0.5k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생마늘을 분쇄한 후, 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생마늘을 분쇄한 후, 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 후 착즙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5kg 및 생양파 마쇄 가공액 0.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 및 생양파 마쇄 가공액 0.5kg을 사용하고, 산미료로서 구연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5kg 및 생양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 및 생양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0.5kg 및 생양파 0.5kg을 분쇄한 후, 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0.5kg 및 생양파 0.5kg을 분쇄한 후, 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하여 착즙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75kg 및 생무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고, 산미료로서 사과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75kg 및 생무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8)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75kg 및 생무를 마쇄한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을 사용하고, 젖산 5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9)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75kg 및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0)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5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5kg을 사용하고, 산미료로서 호박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5kg 및 생마늘을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을 사용하고, 산미료로서 초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3)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 및 생마늘을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4)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5kg, 생양파 마쇄 가공액 0.25kg 및 생무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5)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 생양파 마쇄 가공액 0.25kg 및 생무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6)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5kg, 생양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및 생무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7)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5kg, 생양파 마쇄 가공액 0.25kg 및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8)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 생양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및 생무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9)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 생양파 마쇄 가공액 0.25kg 및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0)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5kg, 생양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및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 생양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및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2)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0.5kg, 생양파 0.25kg, 및 생무 0.25kg을 분쇄한 후, 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3)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0.5kg, 생양파 0.25kg, 및 생무 0.25kg을 분쇄한 후, 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하여 착즙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4)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5kg, 생파 마쇄 가공액 0.25kg 및 생무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5)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 생파 마쇄 가공액 0.25kg 및 생무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고, 젖산 4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6)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5kg, 생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및 생무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고, 액상젓갈 240g, 분쇄한 고추가루 18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7)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5kg, 생파 마쇄 가공액 0.25kg 및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을 사용하고, 설탕 160g, 정제염 110g, 엘-글루타민산나트륨 110g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8)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 생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및 생무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9)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 생파 마쇄 가공액 0.25kg 및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0)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5kg, 생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및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1)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5kg, 생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및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2)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25kg, 생양파 마쇄 가공액 0.25kg, 생무 마쇄 가공액 0.25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3)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생양파 마쇄 가공액 0.25kg, 생무 마쇄 가공액 0.25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4)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25kg, 생양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생무 마쇄 가공액 0.25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5)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25kg, 생양파 마쇄 가공액 0.25kg,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6)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생양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생무 마쇄 가공액 0.25kg 및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7)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생양파 마쇄 가공액 0.25kg,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및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8)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25kg, 생양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및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9)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생양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5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0)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0.25kg, 생양파 0.25kg, 생무 0.25kg 및 생마늘 0.25kg을 분쇄한 후, 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1)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0.25kg, 생양파 0.25kg, 생무 0.25kg 및 생마늘 0.25kg을 분쇄한 후, 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하여 착즙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2)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2kg, 생양파 마쇄 가공액 0.2kg, 생무 마쇄 가공액 0.2kg, 생파 마쇄 가공액 0.2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3)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양파 마쇄 가공액 0.2kg, 생무 마쇄 가공액 0.2kg, 생파 마쇄 가공액 0.2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4)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2kg, 생양파를 마쇄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무 마쇄 가공액 0.2kg, 생파 마쇄 가공액 0.2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5)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2kg, 생양파 마쇄 가공액 0.2kg,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파 마쇄 가공액 0.2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6)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2kg, 생양파 마쇄 가공액 0.2kg, 생무 마쇄 가공액 0.2kg, 생파를 마쇄후 착즙한 가공액 0.2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7)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양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무 마쇄 가공액 0.2kg, 생파 마쇄 가공액 0.2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8)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양파 마쇄 가공액 0.2kg,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파 마쇄 가공액 0.2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9)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양파 마쇄 가공액 0.2kg, 생무 마쇄 가공액 0.2kg, 생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0)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양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파 마쇄 가공액 0.2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1)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양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무 마쇄 가공액 0.2kg, 생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2)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양파 마쇄 가공액 0.2kg,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3)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마쇄 가공액 0.2kg, 생양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4)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양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무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생파를 마쇄 후 착즙한 가공액 0.2kg 및 생마늘 마쇄 가공액 0.2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5)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0.2kg, 생양파 0.2kg, 생무 0.2kg, 생마늘 0.2kg 및 생파 0.2kg을 분쇄한 후, 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6)
생부추 마쇄 가공액 1kg을 사용하는 대신, 생부추 0.2kg, 생양파 0.2kg, 생무 0.2kg, 생마늘 0.2kg 및 생파 0.2kg을 분쇄한 후, 5g의 라피다아제(Gist-Brocade사제)를 첨가하여 50℃에서 2시간동안 분해하여 착즙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7)
건조 보조제로서 말토덱스트린 100g, 쌀가루 100g, 옥수수가루 50g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진공 건조기를 사용하여 85℃에서 6시간동안 건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 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시판 중인 잘 숙성된 김치(상품명 : 종가집김치, pH 4.4)를 마쇄하였다. 마쇄한 가공액 1kg에 대하여, 조미료 풍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엘글루타민산나트륨 50g을 첨가하고,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정제염 50g을 첨가하였다. 건조 보조제로서 말토덱스트린 110g (10중량%의 비율)을 혼합하였다. 이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무건조하여 김치 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시판 김치를 마쇄한 후 착즙한 가공액 1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 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건조 보조제로서 말토덱스트린 100g, 쌀가루 100g, 옥수수가루 50g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진공 건조기를 사용하여 85℃에서 6시간동안 분무 건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 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중 일부 및 비교예 1의 김치 풍미 조미료에 대하여, 전문관능 평가요원 10명에게 김치 풍미를 1점(매우 약하다) ~ 7점(매우 강하다)의 7점 평가법으로 관능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a 내지 표 1b에 기재하였다.
상기 표 1a 및 1b에서, 실시예는 모두 김치 특유의 강한 풍미가 났으며, 특히 갓 담근 신선한 김치 풍미가 강하였다. 또한, 산미가 뛰어나고 매콤한 양념 맛이 강하였다. 비교예의 경우, 비교예 1은 상대적으로 김치 풍미가 약하였고, 비교예 3은 김치 특유의 발효 풍미가 양호하였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77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하여, 평판배지법으로 평판 계수 아가(difco사제)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일반 미생물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에서는 모두 조미료 g당 미생물이 1×104 이하로 측정된 반면, 비교예에서는 조미료 g당 미생물이 1×106 이상으로 측정되어, 본 발명에 따른 김치풍미 조미료는 위생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시험예 3)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보존성을 측정하였다. 37℃, 습도60%에 양자를 보관하면서 풍미변화를 살펴본 결과, 35℃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보존하는 경우, 실시예에서는 초기의 신선한 풍미가 그대로 보존된 반면, 비교예에서는 보존 3일째 이후 김치 풍미가 변하면서 묵은취가 증가하고 신선한 풍미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4)
유기산을 3g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8)
유기산을 5g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9)
유기산을 20g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0)
유기산을 40g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유기산을 70g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풍미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4)
실시예 78, 79, 80, 1 및 비교예 4, 5에 대하여, 관능평가요원 10명이 1점(매우 약하다) ~ 7점(매우 강하다)의 7점 평가법으로 김치풍미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한다.
상기 표 2에 따르면, 산미료의 투입량은 함황 야채 가공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6 중량부 수준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