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4582B1 - 상온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온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582B1
KR100474582B1 KR10-2001-0088908A KR20010088908A KR100474582B1 KR 100474582 B1 KR100474582 B1 KR 100474582B1 KR 20010088908 A KR20010088908 A KR 20010088908A KR 100474582 B1 KR100474582 B1 KR 100474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monomer
group
emulsion
emuls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8454A (ko
Inventor
최승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피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피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피아이
Priority to KR10-2001-0088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582B1/ko
Publication of KR20030058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two or more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08F8/32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by reaction with am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수성 및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상온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에멀젼 수지는 일반 단량체 기준으로 10∼40 중량%의 산값이 190∼210인 알칼리 용해 가능한 스티렌/아크릴계 수지를 중화제로 중화시키고, 일반 단량체와 아세토기를 갖는 단량체의 혼합물 및 중합개시제 투입하여 중합하고, 디아민기를 갖는 물질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에멀젼 수지 조성물에서는 알칼리 용해 가능한 아크릴 수지를 유화제 대용으로 사용하여 일반 에멀젼 수지와 비교할 때 뉴튼 유체에 가까운 특성을 가지게 되어 흐름성 개선 및 광택 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높은 산가로 인해 나타나는 내수성, 내알칼리성 저하를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상온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Ambient-curable Resin-fortified Emuls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온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알칼리에 용해가능한 고산가의 아크릴수지를 유화제처럼 사용하며 여기에 상온에서 가교결합을 할 수 있는 모노머를 적용하여 제조된 상온가교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인 비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이 둘을 혼합 사용하여 제조된 에멀젼의 경우 도료 제조시 비 뉴톤형 흐름을 보여 도장 작업시 점도의 하락으로 인해 도료가 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에 더하여, 점도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붓이나 롤러 사용시 매끄럽게 도장이 안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광택 또한 그다지 높은 편이 아니다.
뉴튼 유체에 가가운 흐름성을 가진 수지보강 에멀젼은 화학구조상으로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으로 이루어진 알칼리용해 가능한 아크릴수지를 단독으로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혼용 사용하여 일부 잉크등에 적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계면활성제 대신에 유화 반응의 반응장소 제공을 위해 사용하는 알칼리 용해 가능한 아크릴수지의 높은 산가로 인해 내수성등이 취약하여 잉크외에 일반 건축용 도료에 적용하기가 힘든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칼리 용해 가능한 아크릴 수지를 유화제로 사용하고 수지보강 에멀젼 중합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흐름성 개선 및 광택의 증진을 도모하고 내수성이 우수한 상온 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상온 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의 용이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반 단량체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의 산값이 190 내지 210인 알칼리 용해 가능한 스티렌/아크릴계 수지를 중화제로 중화시키고, 일반 단량체와 아세토기를 갖는 단량체의 혼합물 및 중합개시제를 투입하여 중합하고, 디아민기를 갖는 물질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상온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일반 단량체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에틸아크릴산에스테르, 부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티렌/n-부틸 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고, 이들의 첨가량비가 중량비로 2∼3 : 1.5∼2 : 1∼1.5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 단량체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의 산값이 190 내지 210인 알칼리 용해가능한 스티렌/아크릴계 수지에 중화제를 첨가하여 중화시키는 단계;
얻어지는 결과물에 일반 단량체와 아세토기를 갖는 단량체의 혼합물 및 중합개시제를 투입하여 중합하는 단계;
얻어지는 중합물에 디아민기를 갖는 물질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온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화제를 대신하여 산값이 190 내지 210 범위를 갖는 스티렌/아크릴계 알칼리에 용해가능한 수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수지의 투입시기는 단량체 적하 전에 일시에 투입하며 투입 후 당량대비로 암모니아수, 수산화나트륨등과 같은 중화제로 중화시킨다. 중합개시 전에 일시에 투입함으로써 중합이 일어날 수 있는 장소를 충분히 제공해주는데, 이를 통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에멀젼 중합 방식에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중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량은 단량체의 10 내지 40 중량%로 사용하도록 한다. 만약, 이의 사용량이 단량체 대비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중합된 에멀젼 수지의 입자경이 커지며 에멀젼 입자간의 안정성이 취약해 질 수 있다. 또한 만약 이의 사용량이 40 중량% 보다 많으면 중합된 에멀젼 수지의 입자경이 너무 작아지게 되어 최종 점도가 높아지며 산값도 높아지게 되므로 내수성 및 내알칼리성이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이의 첨가량은 상기한 범위가 되도록 한다. 상기 스티렌/아크릴계 알칼리에 용해가능한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J.C.Johnson사의 산값이 200인 Joncryl-67을 들 수 있다.
또한 알칼리에 용해가능한 아크릴수지 에멀젼 수지의 중화제로는 여러 가지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의 무기알칼리, 암모니아, 모노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모노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모노-n-프로필아민, 디메틸 n-프로필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메틸에탄올아민, N-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N,N-디메틸프로판올아민 등의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중합에 사용되는 일반 단량체의 경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단량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에틸아크릴산에스테르, 부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에 포함되어 적용되며 중합시 에나민 가교결합이 가능한 아세토기를 가진 단량체로는 아세토아세톡시아크릴레이트, 아세토아세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아세톤 아크릴아마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아세토기를 가진 단량체의 첨가량은 단량체의 0.1∼10 중량%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의 첨가량이 0.1 중량% 보다 적으면 가교반응이 일어나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기 첨가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중합시 반응참여가 느려져 미반응으로 남아 있는 양이 많아지고 상기 미반응 모노머가 후에 반응유지시 개시제와 만나 티가 발생하여 수지외관 자체가 불량해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사용되는 중합개시제는 수 가용형의 라디칼 발생제가 좋으며, 예를 들면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수용성 아조계 또는 레독스계를 들 수 있다. 보통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은 단량체에 대해 0.05 내지 3 중량%까지 사용한다.
또한, 후첨하여 중합된 단량체와의 에나민 가교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디아민기를 가진 물질로는 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히드라진, 아디픽디하이드라자이드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중합이 끝난 후 온도를 낮추고 아세토기를 갖는 단량체의 1/2 당량만큼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아민기를 갖는 물질을 첨가하면, 상온에서 수분의 증발과 더불어 에멀젼 입자에 있는 아세토기가 케토-에놀 토토머리즘을 통해 에놀형으로 전환되며 이 에놀형 두분자가 디아민기를 갖는 물질 한 분자와 반응하여 물 두분자가 빠져나가면서 에나민 가교 결합을 이룸으로써 원하는 내수성을 갖는 상온 경화가 가능한 수지 보강 에멀젼 수지를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메카니즘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화학식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화학식 1
화학식 1은 본 발명에서 중합과정에 참여한 아세토기를 갖는 단량체가 케토구조와 에놀구조를 상온에서 동시에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 화학식 2
화학식 2는 중합과정에 참여한 두개의 아세토기를 갖는 단량체가 에놀형태로서 디아민기를 갖는 물질과 상온에서 에나민 가교결합이 일어나면서 물분자 2개가 빠져나가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메카니즘에 의하여 상온에서 수분의 증발과 더불어 에멀젼 입자에 있는 아세토기가 케토-에놀 토토머리즘을 통해 에놀형으로 전환된다. 에놀형 두분자와 디아민기를 갖는 물질 한분자와의 반응에 의해 물 두분자가 빠져나가면서 에나민 가교 결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반응을 통하여 높은 산가로 인해 나타나는 내수성, 내알칼리성의 저하를 방지하여 내수성을 갖는 상온경화가 가능한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알칼리 용해가능한 스티렌/아크릴 수지의 적절한 사용량을 선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예를 수행하였다.
<실험예 1>
2L 플라스크에 이온교환수 410.5g, Joncryl-67 40g, 암모니아 수용액 10.3g을 투입한 후 60℃까지 승온 유지하며 Joncryl-67을 용해시켰다. 완전히 용해된 것을 확인한 후 80℃로 승온하고 과황산암모늄 1g을 이온교환수 10g에 녹여 투입하였다. 투입 후 스티렌모노머 150g과 n-부틸아크릴레이트 50g의 단량체 혼합액을 2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스티렌모노머 50g, n-부틸아크릴레이트 90g,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60g의 단량체 혼합물과 과황산암모늄 1g을 이온교환수 100g에 녹인 수용액을 동시에 3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동안 반응을 유지한 후 50℃ 이하로 냉각하고 암모니아 수용액 5g을 투입하여 에멀젼 수지를 합성하였다.
<실험예 2>
2L 플라스크에 이온교환수 449.1g, Joncryl-67 80g, 암모니아 수용액 20.6g을 투입하고 이하 공정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에멀젼 수지를 합성하였다.
<실험예 3>
2L 플라스크에 이온교환수 487.7g, Joncryl-67 120g, 암모니아 수용액 30.9g을 투입하고 이하 공정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에멀젼 수지를 합성하였다
<실험예 4>
2L 플라스크에 이온교환수 526.2g, Joncryl-67 120g, 암모니아 수용액 41.2g을 투입하고 이하 공정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에멀젼 수지를 합성하였다.
<실험예 5>
2L 플라스크에 이온교환수 378g, 라우릴설페이트의 나트륨염 1g, 10 몰 에톡시레이티드 노닐페놀 4g을 투입하였다. 80℃로 승온한 후 과황산암모늄 1g을 이온교환수 10g에 녹여 투입하였다. 투입 후 스티렌모노머 150g과 n-부틸아크릴레이트 50g의 단량체 혼합액을 2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스티렌모노머 50g, n-부틸아크릴레이트 90g,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60g의 단량체 혼합물과 과황산암모늄 1g을 이온교환수 100g에 녹인 수용액을 동시에 3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유지한 후 50℃ 이하로 냉각한 후 암모니아 수용액 5g을 투입하여 에멀젼 수지를 합성하였다.
표 1에는 실험예 1∼5에서의 수지 배합을 나타내었고, 표 2에는 실험예 1∼5에 따라 중합된 에멀젼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도료의 배합을 나타내었다. 표에서 단위는 중량부이다.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실험예 4 실험예 5
이온교환수 410.5 449.1 487.7 526.2 378
Joncryl-67 40 80 120 160 -
SLS - - - - 1
NP-1020 - - - - 4
암모니아수용액 10.3 20.6 30.9 41.2 -
APS 1
이온교환수 10
SM 150
n-BA 50
SM 50
n-BA 90
MMA 60
APS 1
이온교환수 100
암모니아수용액 5
합 계 977.8 1066.7 1155.6 1244.4 900
고형분(%) 45 45 45 45 45
상기 표 1에서, Joncryl-67은 산값 200의 알칼리 용해가능한 스티렌/아크릴 고분자 공중합체를 의미하고, APS는 과황산암모늄, SM은 스티렌 단량체, n-BA는 n-부틸아크릴레이트, MMA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단계 원 료 도료 1 도료 2 도료 3 도료 4 도료 5
분산 이온교환수 60
방부제 2
동결방지제 10
분산제 10
소포제 1
실험예1 수지 200 - - - -
실험예2 수지 - 200 - - -
실험예3 수지 - - 200 - -
실험예4 수지 - - - 200 -
실험예1 수지 - - - - 200
이산화티탄 80
탈크 50
충진 실험예1 수지 300 - - - -
실험예2 수지 - 300 - - -
실험예3 수지 - - 300 - -
실험예4 수지 - - - 300 -
실험예1 수지 - - - - 300
조막조제 10
소포제 2
pH조절제 1
이온교환수 100
표 2에 나타난 배합비에 따라 제조한 각 도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KU점도: 도료를 25℃로 유지하고 Krebs-Stormer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불휘발분: 도료 1g을 105℃로 3시간동안 가열하여 측정하였다.
상온안정성(ΔKU): 25℃에서 30일간 저장하고 초기 KU점도와의 차이값을 측정하였다.
TI Index: 도료를 부르크필드 점도계를 이용 6rpm과 60rpm으로 각각 점도를 측정한 후 이를 6 rpm 측정 점도를 60 rpm 측정점도로 나눈 값이다. 이 값은 1에 근접할수록 뉴튼 유체의 흐름 특성을 가진다.
Shore A 도막경도: 유리판에 건조도막 50㎛로 도포하고 5일 건조 후 ASTM D 2240, JIS K 7215, 6253에 의한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광택: 유리판에 건조도막 50㎛로 도료를 도포한 후 60°광택으로 측정하였다.
내수성: 유리판에 건조도막 50㎛로 도료를 도포하고 5일 후 물 한방울을 떨어뜨린 후 플라스틱캡을 씌워 밀봉, 7일 후 그 부위의 도막상태를 관찰하였다. ×: 불량, △: 보통, ○: 양호, ◎: 우수를 의미한다.
내알칼리성: 유리판에 건조도막 50㎛로 도료를 도포하고 5일 후 수산화나트륨 5% 수용액 한방울을 떨어뜨린 후 플라스틱캡을 씌워 밀봉, 7일 후 그 부위의 도막상태를 관찰하였다. ×: 불량, △: 보통, ○: 양호, ◎: 우수를 의미한다.
도료 시험항목 도료 1 도료 2 도료 3 도료 4 도료 5
도료물성 KU 점도 87 90 94 105 85
불휘발분 43.5 43.1 43.6 43.5 43.1
상온안정성(ΔKU) 15 7 3 3 1
TI Index 1.35 1.29 1.20 1.15 1.40
도막물성 Shore A 경도 75 76 80 81 74
광 택 85 87 92 95 83
내수성 ×
내알칼리성 ×
표 3을 보면 도료 1의 경우는 유화제의 역할을 하는 알칼리 용해가능한 스티렌/아크릴 수지의 양이 일반 단량체 대비 10 중량%로서 적은량이기 때문에 상온 안정성이 타 실험예의 결과에 비해 떨어지는 편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알칼리 용해가능한 스티렌/아크릴 수지의 양이 일반 단량체 대비 40 중량%로서 제일 많이 사용된 도료 4가 흐름성을 나타내는 TI Index 값이 일반 에멀젼 방식으로 중합한 도료 5의 1.40에 비해 1에 근접하게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도료적용시 점도가 높으며 내수성 및 내알칼리성이 많이 취약함을 알 수 있다. 알칼리 용해가능한 스티렌/아크릴 수지의 양이 일반 단량체 대비 30 중량% 사용된 실험예 3의 수지 배합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료 3이 비교적 내수성 및 내알칼리성이 떨어지지 않으며 광택, TI Index값이 1에 근접하여 무난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티렌/아크릴 수지의 양을 일반 단량체 대비 30 중량%로 고정하고, 상온가교를 일으킬 수 있는 아세토기를 갖는 단량체를 적용하고 그 적용한 단량체의 당량에 맞추어 디아민기를 갖는 물질을 첨가하는 실시예 1∼4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또한 수지보강 에멀젼중합방식이 아닌 일반 에멀젼 중합방식 비교예에 따른 수지를 제조하였다. 수지의 제조를 위한 성분 및 첨가량을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4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에멀젼 수지를 사용하여 표 5에 나타난 배합으로 도료를 제조하고 제조된 도료의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2L 플라스크에 이온교환수 487.7g, Joncryl-67 120g, 암모니아 수용액 10.3g을 투입한 후 60℃까지 승온 유지하며 Joncryl-67을 용해시켰다. 완전히 용해된 것을 확인하고 80℃로 승온한 후 과황산암모늄 1g을 이온교환수 10g에 녹여 투입하였다. 투입 후 스티렌모노머 150g과 n-부틸아크릴레이트 50g의 단량체 혼합액을 2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스티렌모노머 50g, n-부틸아크릴레이트 90g,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60g, 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 4g의 단량체혼합물과 과황산암모늄 1g을 이온교환수 100g에 녹인 수용액을 동시에 3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반응을 1시간 동안 유지한 후 50℃ 이하로 냉각하고 암모니아 수용액 5g을 투입하고 디아민기를 갖는 아디픽디하이드라자이드 2g을 이온교환수 13g에 녹여 투입하여 에멀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아디픽디하이드라자이드 2g 대신에 헥사메틸렌디아민 1.2g으로 대체하여 에멀젼 수지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와 동일하게 수행하되 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 4g 대신에 아세토아세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g으로 대체하고, 아디픽디하이드라자이드는 2g을 1.2g으로 변경하여 에멀젼 수지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아디픽디하이드라자이드 1.2g 대신에 헥사메틸렌디아민 0.72g으로 변경하여 에멀젼 수지를 합성하였다.
<비교예>
2L 플라스크에 이온교환수 378g, 라우릴설페이트의 나트륨염 1g, 10 몰 에톡시레이티드 노닐페놀 4g을 투입하였다. 80℃로 승온한 후 과황산암모늄 1g을 이온교환수 10g에 녹여 투입하였다. 투입 후 스티렌모노머 150g과 n-부틸아크릴레이트 50g의 단량체 혼합액을 2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스티렌모노머 50g, n-부틸아크릴레이트 90g,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60g, 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 4g의 단량체 혼합물과 과황산암모늄 1g을 이온교환수 100g에 녹인 수용액을 동시에 3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동안 반응을 유지한 후 50℃ 이하로 냉각하고 암모니아 수용액 5g을 투입하고 헥사메틸렌디아민 1.2g을 물 13g과 함께 투입하여 에멀젼 수지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이온교환수 487.7 378
Joncryl-67 120 -
SLS - - - - 1
NP-1020 - - - - 4
암모니아수용액 10.3 -
APS 1
이온교환수 10
SM 150
n-BA 50
DAAM 4 - - 4
AAEM - - 4 -
SM 50
n-BA 90
MMA 60
APS 1
이온교환수 100
암모니아수용액 5
ADH 2 - 1.2 - -
HMDA - 1.2 - 0.72 1.2
이온교환수 13 13 13 13 13
합 계 1154 1152.2 1153.2 1152.72 918.2
고형분(%) 45 45 45 45 45
표 4에서, DAAM는 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 AAEM는 아세토아세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ADH는 아디픽디하이드라자이드, HMDA는 헥사메틸렌디아민을 의미한다.
단계 원 료 도료 6 도료 7 도료 8 도료 9 도료 10
분산 이온교환수 60
방부제 2
동결방지제 10
분산제 10
소포제 1
실시예1 수지 200 - - - -
실시예2 수지 - 200 - - -
실시예3 수지 - - 200 - -
실시예4 수지 - - - 200 -
비교예 수지 - - - - 200
이산화티탄 80
탈크 50
충진 실시예1 수지 300 - - - -
실시예2 수지 - 300 - - -
실시예3 수지 - - 300 - -
실시예4 수지 - - - 300 -
비교예 수지 - - - - 300
조막조제 10
소포제 2
pH조절제 1
이온교환수 100
도료 시험항목 도료 6 도료 7 도료 8 도료 9 도료 10
도료물성 KU 점도 88 90 93 104 86
불휘발분 43.5 43.2 43.7 43.4 43.3
상온안정성(ΔKU) 3 2 3 2 2
TI Index 1.21 1.20 1.20 1.23 1.41
도막물성 Shore A 경도 92 92 88 89 88
외 관 미세 티 양 호 미세 티 양호 양 호
광 택 91 93 90 92 82
내수성
내알칼리성
표 6을 보면 상온가교 모노머의 적용시하여 제조된 도료 6∼9 모두 원하는 흐름성(TI Index) 및 상온안정성은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중에서도 아세토기를 갖는 단량체 중 아세토아세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적용하여 제조된 도료 8∼9가 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료 6∼7, 10에 비해 내수성 및 내알칼리성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아세토기를 갖는 단량체로서 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가 최적임을 알 수 있다.
디아민기의 경우, 물질의 종류 즉, 아디픽디하이드라자이드나 헥사메틸렌디아민 어느 것에도 상관없이 내수성 및 내알칼리성의 영향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건조 도막의 외관에 있어서는 디아민기로 아디픽디하이드라자이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료 6 및 8에서 미세티가 관찰됨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투입된 아디픽하이드라자이드가 건조되며 용해도 차이에 의해 미세한 티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크게 문제될 정도는 아님을 알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른 수지로 제조한 도료 10의 경우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수지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할 때 IT Index 값이 양호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표2의 실험예 5에 따른 수지로 제조한 도료 5에 비해 Shore A 경도가 증가되어 상온 가교 결합은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종합해 보면 표 3과 표 6의 도료 물성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도료 7의 경우 도료물성 및 도막물성이 가장 우수하며 도료 7의 제조에 사용된 실시예 2의 수지가 뉴톤 유체에 가까운 흐름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료 7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실시예 2에 따른 수지의 경우 상온가교반응 또한 적절히 일어나 실험예 5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수지에 비해 뉴톤 유체에 가까운 흐름성 및 우수한 내수성, 내알칼리성을 가지는 상온가교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온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 조성물에서는 알칼리 용해 가능한 아크릴 수지를 유화제 대용으로 사용하는 수지보강 에멀젼 중합 방식을 채택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일반 에멀젼 수지와 비교할 때 뉴튼 유체에 가까운 특성을 가지게 되어 흐름성 개선 및 광택 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방식으로 수지의 합성을 실시할 경우 높은 산가로 인해 나타나는 내수성, 내알칼리성 저하를 막기 위해서 아세토기를 갖는 모노머를 에멀젼중합시 적용하여 합성을 하고, 후첨으로 디아민기를 갖는 물질을 첨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분의 증발과 더불어 에멀젼 입자에 있는 아세토기가 케토-에놀 토토머리즘을 통해 에놀형으로 전환되며 이 에놀형 두분자가 디아민기를 갖는 물질 한분자와 반응하여 물 두분자가 빠져나가며 에나민 가교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계면활성제 대신에 사용하는 알칼리 용해가능한 수지로 인한 내수성 및 내알칼리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특히, TI Index가 일반 에멀젼에 비해 1에 가까운 흐름성을 가지며 상온가교를 가능하게 하여 수지보강 에멀젼수지의 취약점인 내수성 및 내알칼리성을 개선한 상온가교 수지보강 에멀젼을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일반 단량체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의 산값이 190 내지 210인 알칼리 용해가능한 스티렌/아크릴계 수지에 중화제를 첨가하여 중화시키는 단계;
    얻어지는 결과물에 일반 단량체와 아세토기를 갖는 단량체의 혼합물 및 중합개시제를 투입하여 중합하는 단계; 및
    얻어지는 중합물에 디아민기를 갖는 물질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온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가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암모니아, 모노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모노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모노-n-프로필아민, 디메틸 n-프로필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메틸에탄올아민, N-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및 N,N-디메틸프로판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수지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개시제가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수용성 아조계 화합물 및 레독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가용형 라디칼 발생제이고, 이의 첨가량은 상기 일반 단량체에 대하여 0.05 내지 3 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수지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단량체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에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부틸아크릴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수지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단량체가 스티렌/n-부틸 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고, 이들의 첨가량비가 중량비로 2~3 : 1.5~2 : 1~1.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수지의 제조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토기를 갖는 단량체가 디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 아세토아세톡시아크릴레이트 및 아세토아세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고, 이의 첨가량은 상기 일반 단량체 대비 0.1 내지 10 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수지의 제조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민기를 갖는 물질이 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히드라진 및 아디픽디하이드라자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수지의 제조방법.
KR10-2001-0088908A 2001-12-31 2001-12-31 상온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74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908A KR100474582B1 (ko) 2001-12-31 2001-12-31 상온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908A KR100474582B1 (ko) 2001-12-31 2001-12-31 상온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454A KR20030058454A (ko) 2003-07-07
KR100474582B1 true KR100474582B1 (ko) 2005-03-08

Family

ID=3221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908A KR100474582B1 (ko) 2001-12-31 2001-12-31 상온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008A (ko) * 2013-09-23 2015-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에멀젼 점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3607A (en) * 1974-06-19 1977-03-22 S. C. Johnson & Son, Inc. Self-stripping coating composition
US4977219A (en) * 1983-02-24 1990-12-11 Union Carbide Chemicals And Plastics Company, Inc. Low temperature crosslinking of water-borne resins
WO1991000308A1 (en) * 1989-06-30 1991-01-10 Martin Marietta Energy Systems, Inc. Adhesiv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920006386A (ko) * 1990-09-24 1992-04-27 원본미기재 내알칼리성 코어-셸 중합체 조성물
KR930019702A (ko) * 1992-03-16 1993-10-18 고야나기 도시가즈 중합체 스케일 방지제, 중합체 스케일 침착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중합반응 용기 및 이러한 용기를 이용한 중합체의 제조방법
KR930023386A (ko) * 1992-05-21 1993-12-18 김흥기 양이온성 단량체를 도입시킨 알칼리 증점성 스틸렌-부타디엔계 라텍스
KR940007060A (ko) * 1992-09-03 1994-04-26 윌리엄 이. 램버트 3세 알칼리-용해성 단 및 알칼리-불용성 단을 갖는 다단중합체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3607A (en) * 1974-06-19 1977-03-22 S. C. Johnson & Son, Inc. Self-stripping coating composition
US4977219A (en) * 1983-02-24 1990-12-11 Union Carbide Chemicals And Plastics Company, Inc. Low temperature crosslinking of water-borne resins
WO1991000308A1 (en) * 1989-06-30 1991-01-10 Martin Marietta Energy Systems, Inc. Adhesiv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920006386A (ko) * 1990-09-24 1992-04-27 원본미기재 내알칼리성 코어-셸 중합체 조성물
KR930019702A (ko) * 1992-03-16 1993-10-18 고야나기 도시가즈 중합체 스케일 방지제, 중합체 스케일 침착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중합반응 용기 및 이러한 용기를 이용한 중합체의 제조방법
KR930023386A (ko) * 1992-05-21 1993-12-18 김흥기 양이온성 단량체를 도입시킨 알칼리 증점성 스틸렌-부타디엔계 라텍스
KR940007060A (ko) * 1992-09-03 1994-04-26 윌리엄 이. 램버트 3세 알칼리-용해성 단 및 알칼리-불용성 단을 갖는 다단중합체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454A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501953T2 (de) Herstellung von wässrigen polymerzusammensetzungen
DE69504650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ässrigen polymer-zusammensetzungen
US6017992A (en) Production of polymer emulsions
US9499680B2 (en) Hydroxyethyl cellulose grafted acrylic latex
DE60303485T2 (de) Wässrig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auf Acrylbasis
JPS60130640A (ja) ビニル共重合体樹脂水分散液の製造方法
JP2011246719A (ja) 水性エマルジョンポリマー会合性増粘剤
AT407045B (de) Wässrige, selbstvernetzende copolymerisatdispersionen,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in bindemitteln für lacke
JPH09328502A (ja) 非ブロッキング性で耐引掻性の弾性塗料のためのバインダーとしてのポリマー水性分散物
CN103282340B (zh) 取代的3-氧代戊酸酯及其在涂料组合物中的用途
DE69933360T2 (de) Redispergierbare emulsionspulver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CA1071789A (en) Method for producing solvent free water based enamels
DE3783325T2 (de) Lackierverfahren.
EP1270619A2 (de) Wässrige Sekundärdispersionen
KR100474582B1 (ko) 상온가교형 수지보강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2358A (ko)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74369B2 (ja) ビニル共重合体樹脂水分散液の製法
JP3895827B2 (ja) 共重合体水分散液及びこれを含む水性塗料用樹脂組成物
DE19917235A1 (de) Anionische Polymerdispersionen, enthaltend nicht flüchtige, protonierte Aminoverbindungen
US7858695B2 (en) Aqueous polymer dispersion
JPH0748537A (ja) 水性被覆用組成物
JPS62121771A (ja) 水性被覆組成物
JP3845098B2 (ja) 速乾性水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塗料
JP3997493B2 (ja) 常温硬化性一液水性塗料組成物
JP4791724B2 (ja) 粉状塗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