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7081B1 -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081B1
KR100467081B1 KR10-2002-0080176A KR20020080176A KR100467081B1 KR 100467081 B1 KR100467081 B1 KR 100467081B1 KR 20020080176 A KR20020080176 A KR 20020080176A KR 100467081 B1 KR100467081 B1 KR 10046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wrinkles
improving sk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2318A (ko
Inventor
이강태
이선영
이근수
정지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2-0080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081B1/ko
Priority to US10/373,826 priority patent/US20040115286A1/en
Priority to JP2003053958A priority patent/JP2004196765A/ja
Priority to CNA031074758A priority patent/CN1507851A/zh
Priority to FR0303366A priority patent/FR2848450A1/fr
Publication of KR20040052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엘라스타아제 또는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높은 엘라스타아제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Comprising Bergenia Emeiensis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의 목표는 건강하고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시키고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피부 노화를 방지 및 지연하는데 있다. 피부는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체온 조절, 호흡 및 배설 작용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신체 기관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기능들이 점차 약화되고 피부의 노화가 진행된다. 특히, 피부 장벽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질층의 지질 조성과 함량이 변화하면서 그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피부 수분 함량이 감소하게 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기미, 주근깨, 색소 침착 및 다양한 피부 병변이 유발된다.
또한, 자외선의 영향으로 생성되는 반응성이 높은 활성 산소와 자유 라디칼은 피부를 구성하는 성분들을 산화시켜서 과산화물을 생성하고, 그 결과로 피부가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손상되어 노화가 촉진된다. 특히, 피부 결합 조직을 이루고 있는 콜라겐,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리칸,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 라미닌 등이 산화되어 그 기능이 손상됨으로써 피부는 탄력을 잃고 피부의 주름이 과도하게 형성되면서 노화가 일어나게 된다.
피부 주름 형성에 관련이 있는 결합 조직은 주로 콜라겐 섬유 (collagen fiber), 세망 섬유 (reticular fiber), 엘라스틴 섬유 (elastic fiber) 등의 섬유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피 조직 내에 있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서로 긴밀하게 관련되어 작용함으로써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섬유 조직이다.
콜라겐은 피부의 유연성을 주는 섬유 조직으로서 진피 조직의 약 70%를 차지하는 주요 구성 요소이다. 콜라겐 섬유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은 섬유아세포의 과립형질세망 내에서 양 끝에 확장펩타이드 (telopeptide)를 가지고 있는 상태로 합성된 뒤, 3중 나선 구조로 조합된 프로콜라겐 형태로 세포 외로 분비된다. 이렇게 분비된 프로콜라겐은 특정 효소에 의해서 확장펩타이드가 절단되어 트로포콜라겐이 생성되고 이들은 세포외 기질에서 서로 조합되어 콜라겐 섬유가 합성된다. 이러한 콜라겐 섬유의 합성은 피부 노화가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하며, 또한 외부 환경에 의해 콜라겐 섬유가 변형되면서 피부에 주름이 많이 생성되고 깊어지게 된다. 이러한 콜라겐의 분해에는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나아제 (collagenase)가 관여한다.
또한, 엘라스틴은 콜라겐과 마찬가지로 피부의 탄력성을 좌우하는 주요 섬유 조직으로서 그 양은 약 2%정도로 콜라겐과 비교하여 적은 양이지만 표피를 지탱하는 연결망 조직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피부 탄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엘라스틴은 엘라스타아제 (elastase)라는 분해 효소에 의하여 분해되며, 18-19세까지는 섬유아세포에 의하여 계속 생성되지만 그 이후부터는 생성이 중단되고 이미 생성된 엘라스틴 만으로 피부 탄력을 담당해야 하므로 엘라스틴이 한번 약화되면 그 탄력성을 회복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콜라겐 또는 엘라스틴은 피부 주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즉, 피부 주름 형성 등의 피부 노화 현상은 콜라겐의 파괴, 콜라겐 합성의 감소, 엘라스틴의 소실 등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서, 피부 표피에서도 일어나지만 이보다는 진피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 피부의 주름 생성 원인 및 개선 방법에 대한 피부 생리학적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으며, 실제로 화장료에 있어서 피부 주름 방지를 위해 자외선 차단제, 항산화제, 세포 활성 촉진제 등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콜라겐 합성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예컨대, 피부 주름 및 색소 침착 개선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레티놀은 이미 화장료 조성물로 상업화하여 피부 주름 개선에 사용되고 있고, 콜라겐 합성에 필수적인 L-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주름 개선, 자외선 차단 및 피부 색소 침착 등에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다 (미국특허 제4,938,969호, 미국특허 제 4,772,591호 및 유럽특허 제 0533667호 등). 각질 제거에 효과가 있는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도 세포의 활성을 촉진하여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피부 주름 개선의 유효 성분들은 대부분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었을 때 안전성과 안정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레티놀은 빛, 수분, 공기 및 열 등에 쉽게 산화하여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비타민 C의 경우도 안정성이 취약하여 제품에 변색 및 변취를 나타내고, 알파히드록시산은 낮은 산도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지만 피부 자극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 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 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중국 등지에서 자생하는 암백채 (Bergenia emeiensis)의 추출물이 엘라스틴 분해 효소인 엘라스타아제 및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나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매우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부작용이 거의 발생시키지 않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라스타아제 또는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 즉, 안정성의 저하, 부작용의 발생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의 약화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천연 식물 추출물에 대하여 스크리닝을 하였고, 그 결과 중국 등지에서 자생하는 암백채 (Bergenia emeiensis)의 추출물이 매우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부작용이 거의 발생시키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암백채 (Bergenia emeiensis)는 범의귀과 (Saxifrag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가 20-30 ㎝이며 잎이 크고 두껍다. 꽃 색깔은 분홍색에서 흰색까지 다양하다. 주로 사천성, 운남성 및 티벳 등지의 해발 1590 m의 고원 지대에 서식한다. 암백채는 중국 소수 민족 사이에서 쓰이고 있는 민간 약초이며 주로 뿌리 줄기가 사용된다. 맛은 달고 떫으며 해열, 해독 및 지혈 작용 등을 나타내어 주로 기침, 피토함 및 해열 등의 증상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암백채 추출물은 엘라스타아제 및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며, 이러한 특성은 진피 내의 엘라스틴 및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암백채 추출물은 암백채의 다양한 기관, 조직 (예: 뿌리, 잎, 꽃, 줄기, 과실 및 종자 등) 등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암백채의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암백채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 용매, 예를 들어,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h) 부틸 아세테이트를 추출 용매로 하여 암백채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암백채 추출물은 함수 저급 알코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 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암백채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암백채 추출물에 포함되는것이다.
본 발명의 암백채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암백채 추출물은 물, C1-C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텔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암백채를 40-100℃에서 3-20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득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암백채 추출물은 물, C1-C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텔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암백채를 4-50℃에서 1-15일 동안 침적함으로써 수득된 것이다.
상기 암백채 추출물을 얻는 과정에서 추출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추출기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추출 시 유효 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도 적합하다. 또한, 추출물의 건조는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실시될 수 있으며, 예컨대, 회전 감압 증발기 (rotato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서의 암백채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5 중량%이다. 만일,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제형의 안정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암백채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백용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재료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는 암백채는 중국 약재상에서 구입하여 추출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암백채의 추출물 제조
실시예 1-1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암백채 200 g을 물 1.2 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70-9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이것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65℃에서 회전 감암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95.9 g의 암백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암백채 200 g을 물 1.2 ℓ에 넣고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후, 회전 감압 증발기로 2배 농축하였다. 여기에 100% 에탄올 0.6 ℓ를 가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65℃에서 회전 감암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98.6 g의 암백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3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암백채 200 g을 물 1.2 ℓ에 넣고 4-40℃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65℃에서 회전 감암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90.4 g의 암백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4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추출 용매를 달리하여 암백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각 추출물의 건조 중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으며, 각 추출물은 추출물 4 내지 21로 표시하였다.
추출 용매 최종 추출물의 건조 중량 (g)
추출물 4 10% 에탄올 98.5
추출물 5 20% 에탄올 98.9
추출물 6 30% 에탄올 99.2
추출물 7 40% 에탄올 96.3
추출물 8 50% 에탄올 100.5
추출물 9 60% 에탄올 102.3
추출물 10 70% 에탄올 110.9
추출물 11 80% 에탄올 110.5
추출물 12 90% 에탄올 110.2
추출물 13 100% 에탄올 110.3
추출물 14 메탄올 115.6
추출물 15 n-프로판올 89.5
추출물 16 이소프로판올 88.4
추출물 17 2-부탄올 86.3
추출물 18 아세톤 85.3
추출물 19 클로로포름 84.6
추출물 20 에틸아세테이트 83.6
추출물 21 부틸아세테이트 85.3
실시예 1-5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암백채 200 g을 1.2 ℓ 1,3-부틸렌글리콜에 넣고 48시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추출물은 회전 감압 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기 어려우므로 건조 감량을 구하여 최종 농도가 1% (w/v)가 되게 조정하였다.
실시예 1-6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암백채 200 g을 10% 에탄올 1.2 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65℃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110.2 g의 암백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물 23).
실시예 1-7
상기 실시예 1-6과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에탄올의 농도를 달리하여 암백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각 추출물의 건조 중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으며, 각 추출물은 추출물 24 내지 32로 표시하였다.
추출 용매 최종 추출물의 건조 중량 (g)
추출물 24 20% 에탄올 104.5
추출물 25 30% 에탄올 106.9
추출물 26 40% 에탄올 108.2
추출물 27 50% 에탄올 116.3
추출물 28 60% 에탄올 121.5
추출물 29 70% 에탄올 125.3
추출물 30 80% 에탄올 124.9
추출물 31 90% 에탄올 126.5
추출물 32 100% 에탄올 128.2
실험예
실험예 1: 암백채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암백채 추출물 (추출물 1 내지 32)에 대한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추출물 1 내지 32를 각각 100 ㎍/㎖ 씩 되게 실험에 이용한다. 먼저, 완충용액 (0.267 M Tris 용액을 0.267 M 염산 용액으로 pH 8.0이 되도록 조정) 60 ㎕에 기질 용액 (엘라스타아제 기질 Succ-Ala-Ala-Ala-p-nitroanilide 표준액 (시그마사, 미국)을 8.8 mM로 조정) 20 ㎕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상기 추출물 1 내지32를 100 ㎕씩 개별적으로 첨가하고 효소 용액 (돼지 췌장 엘라스타아제 (Porcine Pancreatic Elastase) 표준품; 시그마사, 미국)을 10 ㎍/㎖ 되도록 조정) 20 ㎕를 첨가하여 25℃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41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암백채 추출물 대신 증류수를 사용한 것이다.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구하였다.
실험예 2: 암백채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암백채 추출물 (추출물 1 내지 32)에 대한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먼저 소 콜라겐 (bovine collagen; 시그마사, 미국) 25 ㎎을 정량하고 여기에 0.05 M TES 5 ㎖를 첨가하여 37℃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콜라게나아제 (시그마사, 미국) 및 상기 추출물 1 내지 32를 100 ㎍/㎖씩 개별적으로 첨가하고 5시간 동안 37℃에서 반응시켰다 (정치시키며 가끔 흔들어 주었다). 반응 종료 후 상기 반응액의 0.2 ㎖을 취해 4% 닌히드린 인 메틸 셀로솔브 (Ninhydrin in Methyl cellosolve) 1 ㎖, 그리고 0.2 M 소듐 시트레이트 용액 및 0.71 mM 염화 주석 용액 (pH 5.0)이 혼합된 혼합 용액에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20분 동안 가열하고 n-프로판올 용액 5 ㎖을 첨가하여 15분간 정치한 후 6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게나아제 활성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구하였다.
상기 실험예 1 및 2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시험 물질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율 (%)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율 (%)
추출물 1 60.5 67.5
추출물 2 61.3 65.3
추출물 3 60.5 66.5
추출물 4 61.3 69.3
추출물 5 62.5 67.9
추출물 6 63.4 69.6
추출물 7 66.9 67.9
추출물 8 68.5 68.6
추출물 9 75.2 76.2
추출물 10 77.2 79.8
추출물 11 76.2 75.2
추출물 12 77.6 76.6
추출물 13 78.6 75.6
추출물 14 78.9 76.9
추출물 15 73.5 66.5
추출물 16 72.3 65.3
추출물 17 66.5 59.3
추출물 18 75.4 67.3
추출물 19 73.6 68.2
추출물 20 73.5 69.3
추출물 21 72.5 67.5
추출물 22 78.5 68.5
추출물 23 75.8 67.8
추출물 24 75.3 64.3
추출물 25 74.5 66.5
추출물 26 73.5 68.5
추출물 27 75.8 67.3
추출물 28 76.5 66.5
추출물 29 78.5 68.6
추출물 30 76.9 67.9
추출물 31 75.5 66.5
추출물 32 76.5 67.5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암백채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율은 약 60-80%로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추출물 14의 경우 최고 수치인 78.9%로 나타났다. 또한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율도 약 60-80%로 역시 높게 나타났으며, 추출물 10의 경우 최고 수치인 79.8%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암백채 추출물은 엘라스타아제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및 팩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연 화장수의 제형예는 하기 표 4와 같다.
성분 함량 (중량%)
암백채 추출물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PEG 1500알란토인DL-판테놀EDTA-2Na벤조페논-9소듐 히아루로네이트에탄올옥틱도데세스-16폴리솔베이트 20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5.05.03.01.00.10.30.020.045.010.00.20.2미량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수렴 화장수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렴 화장수의 제형예는 하기 표 5와 같다.
성분 함량 (중량%)
암백채 추출물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알란토인DL-판테놀EDTA-2Na벤조페논-9소듐 히아루로네이트에탄올폴리솔베이트 20위치하젤 추출물구연산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5.02.02.00.20.20.020.043.015.00.32.0미량미량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 화장수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영양 화장수의 제형예는 하기 표 6과 같다.
성분 함량 (중량%)
암백채 추출물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스테아릴 알콜라놀린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 스테아레이트경화식물유광물유스쿠알란트리옥타노인디메치콘초산토코페롤카르복시비닐폴리머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소듐 히아루로네이트트리 에탄올아민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5.01.51.51.51.30.51.05.03.02.00.80.50.125.03.05.00.12미량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영양 크림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영양 크림의 제형예는 하기 표 7과 같다.
성 분 함량 (중량%)
암백채 추출물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세테아릴 알코올스테아린산밀납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스테아레이트경화식물유스쿠알란광물유트리옥타노인디메치콘소듐 마그네슘실리케이트글리세린베타인트리에타올아민소듐 히아루로네이트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6.02.02.21.51.01.50.61.03.05.05.01.00.15.03.01.04.0미량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맛사지 크림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맛사지 크림의 제형예는 하기 표 8과 같다.
성분 함량 (중량%)
암백채 추출물친유형 모노스케아린산 글리세린스테아릴 알코올스테아린산폴리솔베이트 60솔비탄스테아레이트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레이트스쿠알란광물유디메치콘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글리세린트리에타올아민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6.01.51.51.01.50.65.05.035.00.50.126.00.7미량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에센스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에센스의 제형예는 하기 표 9와 같다.
성분 함량 (중량%)
암백채 추출물글리세린베타인PEG 1500알란토인DL-판테놀EDTA-2Na벤조페논 - 9히드록시에칠 셀룰로오스소듐히아루로네이트카르복시비닐폴리머트리에탄올아민옥틸도데칸올옥틸도데세스-16에탄올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5.010.05.02.00.10.30.020.040.18.00.20.180.30.46.0미량잔량
합계 100
제형예 7: 팩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팩의 제형예는 하기 표 10과 같다.
성분 함량 (중량%)
암백채 추출물폴리비닐 알코올셀룰로오스 검글리세린PEG 1500사이크로데스트린DL-판테놀알란토인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니코틴아미드에탄올PEG 40 경화피마자유방부제, 향, 색소증류수 3.015.00.153.02.00.150.40.10.30.56.00.3미량잔량
합계 100
실험예 3: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개선 효과 평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개선 효과를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제형예 4의 암백채 추출물 6%를 포함하고 있는 영양 크림 및 처방예 4에서 암백채 추출물을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 (비교예)을 사용하여 각각의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30-40세 여성 20명을 무작위로 2개의 군으로 나누어 제형예 4의 영양 크림과 비교예의 크림을 매일 아침 저녁 2회씩 세안 후 적당량을 눈가를 중심으로 2개월간 연속적으로 도포하게 하였다. 그 후, 각 피검자의 주름 개선 효과를 육안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하기의 표 11에 나타나 있다.
구분 유효 약간 유효 무효 유효율(%)
처방예 4 14 3 3 85.0
비교예 3 4 10 35.0
상기 표 1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의 조성물에 비하여 높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피검자들에게서 피부 자극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엘라스타아제 및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이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높은 엘라스타아제 또는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7)

  1. 암백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엘라스타아제 또는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2. 암백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백채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00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백채 추출물은 물, C1-C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텔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암백채 추출물은 물, C1-C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텔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암백채를 40-100℃에서 3-20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암백채 추출물은 물, C1-C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텔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암백채를 4-50℃에서 1-15일 동안 침적함으로써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2-0080176A 2002-12-16 2002-12-16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6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176A KR100467081B1 (ko) 2002-12-16 2002-12-16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10/373,826 US20040115286A1 (en) 2002-12-16 2003-02-27 Cosmetic composition for remedying skin wrinkles comprising bergenia emeiens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JP2003053958A JP2004196765A (ja) 2002-12-16 2003-02-28 岩白菜抽出物を含む皮膚皺改善用化粧料組成物
CNA031074758A CN1507851A (zh) 2002-12-16 2003-03-18 含有岩白菜素提取物的化妆品及该提取物的提取方法
FR0303366A FR2848450A1 (fr) 2002-12-16 2003-03-19 Composition cosmetique destinee a combattre les rides de la peau comprenant de l'extrait de bergenia emeinsis en tant que principe acti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176A KR100467081B1 (ko) 2002-12-16 2002-12-16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318A KR20040052318A (ko) 2004-06-23
KR100467081B1 true KR100467081B1 (ko) 2005-01-24

Family

ID=3238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176A KR100467081B1 (ko) 2002-12-16 2002-12-16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115286A1 (ko)
JP (1) JP2004196765A (ko)
KR (1) KR100467081B1 (ko)
CN (1) CN1507851A (ko)
FR (1) FR28484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769B1 (ko) 2005-10-04 2014-11-26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방지 기능의 화장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4768B2 (ja) * 2004-10-04 2011-02-1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皮膚老化防止効果向上剤、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皮膚老化防止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FR2892635B1 (fr) 2005-10-28 2012-11-09 Engelhard Lyon Substance pour restaurer une co-expression et une interaction normales entre les proteines lox et nrage
US7785637B2 (en) * 2006-09-28 2010-08-31 Himalaya Global Holdings Ltd. Herbal composition for maintaining/caring the skin around the eye,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CN102809541B (zh) * 2012-05-14 2014-12-31 浙江省海洋开发研究院 一种胶原蛋白酶酶活的测定方法
CN105193881A (zh) * 2015-10-30 2015-12-30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岩白菜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538103A (zh) * 2018-05-29 2019-12-06 伽蓝(集团)股份有限公司 舌岩白菜提取物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6511B2 (ja) * 1986-03-18 1994-11-30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化粧料
FR2722406B1 (fr) * 1994-07-13 1996-09-20 Caster Societe Anonyme Composition depigmentante a base de liposomes encapsulant un extrait concentre vegetal riche en arbutine et de glycospheres d'opc
RU2124350C1 (ru) * 1996-04-12 1999-01-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центр "Сибирская природная косметика" Молодежное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кожи лица
JP4633205B2 (ja) * 1998-01-14 2011-02-16 丸善製薬株式会社 エラスターゼ阻害剤および皮膚外用剤
JP2000212058A (ja) * 1999-01-22 2000-08-02 Maruzen Pharmaceut Co Ltd 皮膚化粧料、活性酸素消去剤、エラスタ―ゼ阻害剤およびコラゲナ―ゼ阻害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769B1 (ko) 2005-10-04 2014-11-26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아프라모뮴 앵구스티폴륨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방지 기능의 화장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15286A1 (en) 2004-06-17
JP2004196765A (ja) 2004-07-15
KR20040052318A (ko) 2004-06-23
CN1507851A (zh) 2004-06-30
FR2848450A1 (fr) 200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67974B1 (ko) 우엉 추출물과 냉감성분을 함유하는 모공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FR2767057A1 (fr) Utilisation du ginsenoside rb1 comme agent destine a stimuler la synthese de l'elastine
KR100816261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2245B1 (ko) 예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467081B1 (ko)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0688B1 (ko) 산자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7976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55572B1 (ko) 노니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29590B1 (ko) 감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9340A (ko) 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0702331B1 (ko)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7363A (ko) 멸가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1025A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070111635A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2605602B1 (ko) 천문동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32888B1 (ko) 식용필름 및 이를 이용한 피부미용방법
KR20080046793A (ko) 용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7914B1 (ko) 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19191B1 (ko) 파우다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26806A (ko) 산조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45721B1 (ko) 백산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