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우엉 추출물과 피부 냉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유효성분으로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우엉 추출물과 피부 냉감 효과가 있는 성분 각각을 0.01 ~ 10.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피부 냉감 효과를 부여하는 성분은 자일리톨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우엉(Arctium lappa)은 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서 줄기의 높이는 1.5m에 달하고 줄기는 곧추서며 줄이 있고 자줏빛을 띠며 가지를 많이 친다. 잎은 근생엽으로 총생하며 엽병이 길고 심장형으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백색 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꽃의 개화기는 7월이며, 두화는 원줄기와 가지 끝에 산방상을 달리고 총포는 구형(球形)이며, 포편은 침형이고 끝이 갈고리모양이다. 꽃은 통상화뿐이며 검은 자줏빛이 돌고 잔꽃이 5갈래로 갈라지며 관모는 단형으로 강경(剛硬)하고 갈색이다. 뿌리는 길이 30~60cm 정도 곧추 들어가고 육질이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귀화식물로써 전국 각지에서 재배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인 우엉 추출물은 우엉의 잎과 줄기를 다양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우엉을 다양한 추출 용매, 예를 들면, 물, 탄소수 1 ~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 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이용하여 우엉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우엉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10.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1 ~ 5.0 중량%이다. 상기 우엉 추출물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0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자일리톨은 자작나무, 떡갈나무, 옥수수, 벚나무, 채소, 과일 등 식물에 주로 들어 있는 천연 소재의 감미료로 설탕 대용으로 많이 이용이 되었다. 6개의 탄소로 만들어지는 6탄당인 포도당과 달리 5개의 탄소만으로 이루어진 특유한 5탄당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화장품 원료에서는 청량감과 보습용으로 이용이 되어왔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에리스리톨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천연 4탄당 알코올로서 와인, 치즈 등의 발효식품과 버섯, 메론 등의 과실류에 함유되어 있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천연 소재 감미료로서, 상업적으로는 포도당을 효모로 발효하여 생산하고 있다. 화장품 원료에서는 승화열이 높기 때문에 강한 청량감과 보습용으로 많이 이용이 되었다.
상기 자일리톨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1 ~ 10.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1 ~ 5.0 중량%이다. 상기 자일리톨 및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0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우엉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여,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일반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클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 글라이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라이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시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링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 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모공축소 효과를 갖는다. 이는 우엉의 피지 분비 억제 기능과 단백질 응고 기능과 자일리톨 및 에리스리톨이 가지는 냉감 효과를 활용해 피부의 트러블을 개선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노화 방지, 주름 개선, 보습력 개선 및 피부 탄력 개선 용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우엉 추출물의 제조
우엉의 잎과 줄기를 각각 250g씩 채취한 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시킨다. 파쇄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우엉의 잎과 줄기를 곱게 파쇄한 후 환류추출기에 넣고, 여기에 파쇄한 우엉 중량의 10배의 정제수를 넣어 100℃에서 90분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한다. 상기의 추출물을 여과한 후 침전물은 버리고 여액을 모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우엉 추출물 40g을 얻었다. 건조물은 70% 에탄올로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2)실시예 및 비교예 1, 2
하기 표 1의 조성비를 가지는 화장수 형태로 우엉 추출물이 5%가 포함된 실시예 및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는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
비교예 1 (중량%) |
실시예 (중량%) |
비교예 2 (중량%) |
비교예 3 (중량%) |
우엉 추출물 |
5.0 |
5.0 |
-- |
-- |
자일리톨 |
-- |
2.0 |
2.0 |
-- |
에리스리톨 |
-- |
2.0 |
2.0 |
-- |
글리세린 |
5.1 |
5.1 |
5.1 |
5.1 |
프로필렌글리콜 |
4.2 |
4.2 |
4.2 |
4.2 |
토코페릴아세테이트 |
3.0 |
3.0 |
3.0 |
3.0 |
유동파라핀 |
4.6 |
4.6 |
4.6 |
4.6 |
트리에탄올아민 |
1.0 |
1.0 |
1.0 |
1.0 |
스쿠알란 |
3.1 |
3.1 |
3.1 |
3.1 |
마카다미아너토일 |
2.5 |
2.5 |
2.5 |
2.5 |
폴리솔베이트60 |
1.6 |
1.6 |
1.6 |
1.6 |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
1.6 |
1.6 |
1.6 |
1.6 |
프로필파라벤 |
0.6 |
0.6 |
0.6 |
0.6 |
카르복실비닐폴리머 |
1.5 |
1.5 |
1.5 |
1.5 |
향 |
미량 |
미량 |
미량 |
미량 |
방부제 |
미량 |
미량 |
미량 |
미량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계 |
100 |
100 |
100 |
100 |
[표1]우엉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실험예 1]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우엉 추출물에 대하여 보빈(bovine) 헤모글로빈 단백질을 이용해서 모공 수축효과를 실시하였다.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를 헤모글로빈과 1:1로 혼합용액 (1mg/1ml)을 만들고, 그 후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우엉 추출물과 다시 1:1로 섞어 30초 가량 혼합한 다음, 35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분리하여 광학기기에서 40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료대신 시료용매 2ml을 사용했다. 블랭크 (blank)는 헤모글로빈 용액 대신 PBS 2ml을 넣었다.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우엉 추출액의 최종 농도가 1 - 5%인 경우에서 헤모글로빈의 침전량을 측정하여 모공수축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에 표시하였다. 헤모글로빈의 침전율이 높을수록 모공수축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이다.
[표2]우엉 추출물의 모공수축 효과
반응액에 함유된 우엉 추출물의 최종 농도 (%) |
헤모글로빈의 침전 (%) |
0 |
0.4 |
1 |
10.8 |
2 |
34.5 |
3 |
59.7 |
4 |
82.8 |
5 |
96.1 |
상기 표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우엉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헤모글로빈의 침전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엉 추출물의 단백질 응고효과를 통해서 모공 수축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30 ~ 40대의 지성 피부를 가진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각 10명씩 4군으로 나누어서 상기 제조예 2의 실시예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각 화장료를 아침과 저녁에 1일 2회씩 얼굴에 도포하게 한 후, 한 달간 1주일 간격으로 피부 유분 측정기(Sebum meter SM 815,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해 얼굴의 피지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25℃ 및 상대 습도 45%의 항온, 항습 조건에서 이루어 졌다. 지성피부의 경우 측정값이 220 μg/cm2 이상이고, 정상 피부인 경우 100 ~ 220 μg/cm2 이다. 상기 실험 결과를 표3에 기재하였으며, 결과의 값은 각 군의 평균값이다.
[표3]
|
0주 |
1주 |
2주 |
3주 |
4주 |
비교예 1 |
240 |
220 |
211 |
202 |
193 |
실시예 |
242 |
219 |
202 |
192 |
181 |
비교예 2 |
239 |
235 |
228 |
218 |
209 |
비교예 3 |
240 |
236 |
231 |
228 |
222 |
상기 표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우엉 추출물을 함유하는 예가 우엉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예 보다 피지 분비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특히 우엉 추출물과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모두가 포함된 실시예에서 피지 분비 억제기능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상기 제조예 2의 실시예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화장수를 20 - 30대의 건강한 여성 20명을 상대로 사용하게 한 후 20분 경과시의 냉감 감도를 3일간에 걸쳐 평가하였다. 평가점은 하기의 7단계로 평가하여 평균치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는 표 4 ~ 6에 기재하였다.
[평가점]
7 : 비교예 3에 비해 매우 높다
6 : 비교예 3에 비해 높다
5 : 비교예 3에 비해 약간 높다
4 : 비교예 3과 동등
3 : 비교예 3에 비해 약간 약하다
2 : 비교예 3에 비해 약하다
1 : 비교예 3에 비해 매우 약하다
[표4]
구분 |
비교예 1 |
실시예 |
비교예 2 |
비교예 3 |
냉감 감도 평가점 |
4.7 |
6.4 |
6.5 |
-- |
상기 표4의 결과에서 보듯이 자일리톨과 에리스리톨이 함유된 실시예와 비교예 2가 가장 높은 평가점을 얻어, 사용시 냉감 효과를 통해 모공수축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와 비교예 2를 비교시 우엉 추출물이 자일리톨과 에리스리톨의 흡열 반응을 방해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실험예 4]
상기 제조예 2의 실시예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각 화장수를 20 ~ 30대의 건강한 피부를 가진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각 10명씩 4군으로 나누어서 아침과 저녁에 1일 2회씩 얼굴에 도포하게 한 후, 한달 간 1주일 간격으로 실리콘을 이용해서 레플리카를 뜬 다음, 영상 분석기 (Ultimage)를 이용하여서 모공의 크기를 비교하여 축소 비율이 큰 것을 모공축소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삭제
[제형예 1]스킨로션
상기에서 수득한 우엉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로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삭제
[표5]
원료명 |
함량 (중량%) |
우엉 추출물 |
5.0 |
자일리톨 |
2.0 |
에리스리톨 |
2.0 |
1,3-부틸렌글리콜 |
5.2 |
올레일알코올 |
1.5 |
에탄올 |
3.2 |
폴리솔베이트 20 |
3.2 |
벤조페논-9 |
2.0 |
카르복실비닐폴리머 |
1.0 |
글리세린 |
3.5 |
향 |
미량 |
방부제 |
미량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
[제형예 2]로션
하기의 표 6와 같이 우엉 추출물을 함유하는 로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6]
원료명 |
함량 (중량%) |
우엉 추출물 |
5.0 |
자일리톨 |
2.0 |
에리스리톨 |
2.0 |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
1.0 |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
0.8 |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
0.3 |
포로필파라벤 |
0.1 |
폴리솔베이트 60 |
1.0 |
미네랄오일 |
5.0 |
사이크로메치콘 |
3.0 |
디메치콘 |
0.5 |
알란토인 |
0.1 |
글리세린 |
5.0 |
알코올 |
2 |
프로필렌글리콜 |
3.0 |
향 |
미량 |
방부제 |
미량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
[제형예 3]에센스
하기의 표 7과 같이 우엉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7]
원료명 |
함량 (중량%) |
우엉 추출물 |
5.0 |
자일리톨 |
2.0 |
에리스리톨 |
2.0 |
1,3-부틸렌글리콜 |
4.0 |
글리세린 |
3.0 |
알란토인 |
0.5 |
판테놀 |
0.1 |
EDTA-2Na |
0.01 |
에탄올 |
5.0 |
트리에탄올아민 |
1.5 |
스쿠알란 |
2.0 |
밀납 |
2.5 |
폴리솔베이트60 |
3.5 |
카르복실비닐폴리머 |
1.0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2.5 |
향 |
미량 |
방부제 |
미량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
[제형예 4]팩
하기의 표 8와 같이 우엉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8]
원료명 |
함량 (중량%) |
우엉추출물 |
5.0 |
자일리톨 |
2.0 |
에리스리톨 |
2.0 |
에틸알코올 |
3.0 |
EDTA-2Na |
0.05 |
프로필렌 글리콜 |
5.0 |
글리셀린 |
4.5 |
카보폴 |
1.5 |
폴리옥사이드 |
0.2 |
방부제 |
미량 |
향 |
미량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
[제형예 5]맛사지크림
하기의 표 9과 같이 우엉 추출물을 함유하는 맛사지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9]
원료명 |
함량 (중량%) |
우엉 추출물 |
5.0 |
자일리톨 |
2.0 |
에리스리톨 |
2.0 |
글리세린 |
4.0 |
바세린 |
3.5 |
트리에탄올아민 |
0.5 |
유동파라핀 |
24.0 |
스쿠알란 |
3.0 |
밀납 |
2.1 |
토코페릴아세테이트 |
0.1 |
폴리솔베이트 60 |
2.4 |
카르복실비닐폴리머 |
1.0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2.3 |
향 |
미량 |
방부제 |
미량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