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55460B1 - 반사경램프 - Google Patents

반사경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460B1
KR100455460B1 KR1019970709516A KR19970709516A KR100455460B1 KR 100455460 B1 KR100455460 B1 KR 100455460B1 KR 1019970709516 A KR1019970709516 A KR 1019970709516A KR 19970709516 A KR19970709516 A KR 19970709516A KR 100455460 B1 KR100455460 B1 KR 100455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bulb
lamp
neck
p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205A (ko
Inventor
토마스 놀
로날트 슈타르크
요제프 바우어
Original Assignee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9607132U external-priority patent/DE29607132U1/de
Priority claimed from DE29620098U external-priority patent/DE29620098U1/de
Application filed by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filed Critical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90028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62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lamp
    • H01K1/6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lamp with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01J5/58Means for fastening the separate part to the vessel, e.g. by cement
    • H01J5/60Means for fastening the separate part to the vessel, e.g. by cement for fastening by 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40Leading-in conductors

Landscapes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두꺼운 콘택트 핀(51)을 갖는 캡(48)을 갖는 반사경 램프에서, 캡은 반사경 목부(46)의 통합 구성부로서 구성된다.

Description

반사경 램프{REFLECTOR LAMP}
이러한 반사경 램프는 예로서, EP-A 572 400 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램프는 캡이 반사경 목부의 단부에서 삽입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백열 램프에 관한 것이었다. 상기 삽입부는 시멘트에 의해 반사경의 목부에 부착되어야만 한다. 상기 캡의 단점은 제조하기가 곤란하고 정교하게 적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구조는 반사경 램프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는 데, 이는 목부 내 벌브 하부에 삽입부를 체결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원통형 확대부를 갖는 접촉 핀을 위한 다른 캡 원리가 DE-GM 82 34 509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저 압력 방전 램프용 캡은 플라스틱으로 된 독립 부품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반사경 램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반사경 백열 램프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2는 반사경 방전 램프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반사경 램프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조하여 제조 단가를 낮추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따라 달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종속항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유용성은 램프의 제조가 상당히 단순화되고 동시에 램프가 더욱 컴팩트하게 제조될 가능성이 있고 특히 램프에 대한 고도의 동작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사경 램프는 종래 기술에 비해 비용 및 제조에 관해 상당한 이점을 지닌다.
발광 소자 또는 전극이 조명수단이 될 수 있다(예를 들어, US-PS 4 935 660의 반사경 방전 램프를 참조). 본 발명은 특히 고 전압 및 중간 전압 램프에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저 전압 램프에 대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특별한 장점은 전기 접속을 위해 더욱 작은 접촉면으로 인해 저 전압 범위(80V 미만)에서 흔히 발생하는 접촉 저항에 기인한 어떠한 접촉 문제도 없는 리드 와이어(lead wire)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통합된 캡(integral cap) 개념이다. 결과적으로 사용 기간에 다른 부식은 공급라인에서 전압을 강하시키는 높은 접촉 저항을 야기시킨다. 작동 동안 현저하게 낮은 전압이 조명수단에 인가된다.
상세히는 일 측에 캡을 갖춘 반사경 램프는 조명수단과 충전재를 갖춘 밀폐 실링된 벌브, 기본체의 후부에 위치된 목부 및 반사경 윤곽을 지지하는 기본체(basic body)를 포함하는 반사경, 목부에 부착되고 벌브로부터 떨어진 단부에 원통형 확대부(thickened portion)를 갖춘 둘 이상의 금속 접촉 핀을 통합하는 캡 및 조명수단으로 이용가능한 전기 공급라인을 형성하는 리드 와이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캡은 목부의 재료로 형성되며 반사경의 목부에 직접 통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반사경 램프의 벌브는 일반적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끼워지는 반사경의 내측에 경화 유리 또는 수정 유리로 된 독립 부품이다. 그러나, 벌브가 반사경 자체에 형성되는 것을 배제할 수 없으며, 이 경우에 반사경은 밀폐 실링된 덮개 디스크를 통합한다(실링된 빔 기술).
일반적으로 반사경 램프는 유리로 된 반사경을 통합하지만, 온도 저항 플라스틱도 반사경에 적합하다. 이들 재료는 세라믹 재료보다 더욱 빈틈없는 공차(tolerance)를 가지며 더욱 양호한 형상을 유지하므로, 캡은 홀더에서 더욱 양호하고 정확히 남아있게 된다. 또한 세라믹 재료는 더 비싸고 무겁다.
본 발명은 고 전압 및 중간 전압 램프, 다른 말로 하면, 적어도 80V의 동작 전압에 특히 적합하다. 지금까지, 상기 사항에 적절한 반사경 램프의 컴팩트성(compactness)은 해결되어야 할 많은 부분이 있다.
특히, 캡은 반사경 축에 대해 가로질러 배치되고 목부분과 독립된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갖춘 평면 벽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캡은 접촉 핀을 위해 상기 축에 평행한 개구를 통합한다.
내부에 구멍이 뚫린 접촉 핀 케이스와 같은 접촉 핀을 구성하는 것이 유익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뚫린 구멍은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또는 상기 케이스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접촉 핀 케이스의 체결은 상기 케이스가 벌브 측에 바깥쪽으로 구부려진 에지를 통합하고, 대략 상기 케이스의 길이 중앙 근처에서, 캡의 벽이 로킹되는(locked) 디스크-형상 칼라(collar)를 통합하는 단순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에 삽입할 때의 문제점을 배제시키기 위해, 벽의 외측면에 케이스의 칼라의 두께와 적어도 동일한(동일한 두께가 바람직함) 두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배치시키는 것이 유용하다.
일반 조명을 위해 특히 유리한 사용 가능성은 램프가 일측 상에 끼워진 벌브를 구비한 반사경 램프이고 발광체와 내부 리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반사경 램프이고, 여기서 상기 리드 와이어는 내재된 퓨징 효과(fusing effect)를 갖도록 구성된다.
내재된 퓨즈를 위한 가능한 구성은 여러 문헌에 설명되어 있다.
특히 유익한 것은 내부 리드 와이어가 발광체의 단부를 핀치(pinch)에 매립된 실링 포일(sealing foil) 및 상기 포일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핀치에 매립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리드 와이어는 코일형상이 아닌 와이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내재된 휴즈이다. 내재된 퓨즈 효과는 두 내부 리드 와이어 중의 적어도 하나가 직경이 최대한 130㎛, 바람직하게는 최대한 80㎛인 와이어로 만들어지고, 상기 와이어는 인가된 전압(V)과 리드 와이어 간에 거리(d)를 갖고서 적어도 2mm의 길이에 걸쳐 핀치에 매립되어, 리드 와이어 간에 아크가 발생하는 경우에, 전계 강도 효과(V/d)가 100V/c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 V/cm로 상호작용하게 한다. 추가 상세사항은 DE-GM 296 07 132 호에 개시되어 있다.
단일 코일 형상 와이어와 비교할 때 코일 형상이 아닌 와이어의 특별한 장점은, 두 와이어가 동일 길이에 걸쳐 핀치에 매립될 때, 코일 형상이 아닌 와이어로 이루어진 질량은 단일 코일 형상 와이어로 이루어진 질량보다 훨씬 적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세관(capillary)에서 와이어 재료의 발산이 더욱 빨리 진행되어야 한다.아크는 더욱 빨리 소멸되고 내재된 안전 퓨즈의 응답시간은 다른 안전 퓨즈보다 훨씬 짧다. 또한, 아크의 에너지가 상당히 낮다.
"코일 형상이 아닌 와이어"의 개념은 본래 단일 코일 형상이나, 자신의 길이가 인장된, 와이어를 포함하여 자신의 길이가 인장된 나선형 코일 형상 와이어가 된다. 핀치는 전형적으로 와이어 직경의 10 내지 100배 이다. 그 후에 와이어는 자신의 본래 나선형 형상을 완전히 잃지는 않지만, 권선이 끼워지는 동안 호스-형상 공동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 위치까지 인장된다. 내부 리드 와이어의 동일하게 끼워진 길이에서, 실제적으로 수용된 와이어의 길이는 실제 수용된 와이어의 길이가 끼워진 와이어 길이와 동일한, 완전히 코일형상이 아닌 와이어 부분보다 현저히 길다.
내부 리드 와이어는 바람직하게 15㎛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흔히 발광체와 내부 리드 와이어는 단일 와이어로부터 하나의 유닛으로서 구성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내부 리드 와이어가 코일형상이 아닌 발광체 단부가 된다. 그러나, 발광체 와이어와 비교될 때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별개의 내부 리드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높은 동작 전압에서 쓰이는 내재된 안전 퓨즈에 대한 다른 가능성은 예를 들어, US-PS 4 132 922호 및 DE-GM 91 02 566호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리드 와이어는 핀치에 매립된 단일 코일 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 형상부의 코어 영역은 아크를 형성하는 경우에 배기 채널처럼 작용하는 호스-형상 공동을 남긴다.
다른 문제 해결책은 DE-OS 31 10 395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일측 또는 양측에 끼워진 할로겐 백열 램프의 핀치 영역에 추가의 열 퓨즈를 통합하는 것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핀치의 영역에 형성된 공동에 관한 것이고, 상기 공동을 통하여 내부 리드 와이어가 자신의 길이 일부에 걸쳐 통과된다. 이에 따라, 내부 리드 와이어는 유리에 매립되지 않으므로, 리드 와이어는 매우 빠르게 가열되고 이 가열을 통해 매우 빠르게 용융된다.
비용 및 제조에 관한 특별한 장점은 원칙적으로, 캡 시멘트(cap cement)의 사용이 생략될 때 달성될 수 있다. 좋은 해결책은 벌브가 일측 상에 끼워지는 램프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상기 핀치는 스프링 시트 스틸로 만들어진 둘레 천공 디스크 수단에 의해 반사경의 목 영역에서 지지된다.
본 명세서에 소개된 통합 캡에서, 벽은 보통 직각으로 목 부분에 배치된다. 그러나 캡은 목부가 방사상 원주 사면을 따라 평면 벽으로 전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측에 캡을 갖는 매우 컴팩트한 반사경 램프는,
- 단일 핀치에 의해 나선형으로 실링된 수정 유리로 된 독립된 벌브,
- 유리 반사경,
- U, V, 또는 W 형상으로 구부려진 두 개의 단부를 갖고 어떤 장착 구조체(와이어 장착대, 수정 단편)도 없는 벌브에 유지되는 발광체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마지막 요소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고 전압 또는 중간 전압 램프로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다.
와이어 장착대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특히 좋은 가능성은 적어도 하나의 열저항 지지수단으로써 공지된 방식으로 발광체를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고 전압 또는 중간 전압 램프에서 높은 컴팩트 정도를 획득하는 것은 곤란한 데, 이는 상기 램프들이 일반적으로 안전 퓨즈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동 전압이 적어도 80V이다. 그에 따라 리드 와이어 시스템은 상기 와이어들이 내부 안전 퓨즈 효과를 갖도록 구성되는 내부 리드 와이어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개념은, 고 전압 반사경 램프에 대해 어느 정도는 가공으로 보이는, 매우 짧은 전체 길이, 즉 60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거의 약 50mm인 전체 길이를 허용한다.
일측에 끼워진 백열램프의 발광체는 축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거나, U, V, 또는 W 형상으로 구부려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비-발광 베이스편에 의해 서로가 독립된 두 개의 발광부로 분할되는 발광체를 제공한다. 일측 상에 끼워지고 축 방향 발광체가 통합된 램프는 특히 중간 전압 응용(약 110V의 시스템 전압)에 사용된다. 여기서 내재된 안전 퓨즈 효과를 갖는 리드 와이어를 통해 핀치 옆에 위치된 발광체의 단부만을 실링 포일과 연결하는 것이 유익하다. 장착 와이어로서 핀치로부터 가장 멀리있는 단부까지 연결되는 다른 리드 와이어는 솔리드(solid) 와이어이다.
바람직하게는, 발광체는 아크에 견딜 수 있는 열 저항 지지수단, 예를 들어 솔리드 와이어 장착부, 또는 바람직하게는, 벌브의 재료로 형성된 유리 판(glass web)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램프는 적합한 가격으로 제조될 수 있는 데, 이는 부품이 적게 필요하고, 제조가 용이하게 자동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개선된 동작 안전성 및 유래없는 컴팩트성으로 특징지워지는 반사경 램프가 소개되었다.
본 발명의 반사경 램프는 특히 시스템 전압에서 직접 동작하기에 적절하고, 그 범위는 약 80V 내지 250V까지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전형적인 전력은 25 내지 150 와트이다. 컴팩트하기 때문에 램프는 많은 응용(예를 들어, PAR 램프, 알루미늄 플레이트로 된 반사경 램프, 냉광 반사경 램프)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240V 시스템에 직접 연결하기에 적합한 50W의 전력을 갖는 일반 조명용 컴팩트형 고 전압 반사경 램프(40)를 도시한다. 이 램프의 전체 길이는 단지 49mm에 불과하다. 버너(burner)는 외부 직경이 약 13.5mm이고, 내부 직경이 약 11mm이고 전체길이가 약 38mm(종래에는 86mm)인 수정 유리로 된 원통형 벌브(41)를 갖는다.
벌브(41)의 일단은 중앙에서 배기 팁(64)을 통합하는 돔(63)을 형성한다. 벌브(41)의 타단은 끼워진 실링(45)으로 밀폐된다. 벌브(41)는 80% Kr 과 20% N으로된 불활성 가스 혼합물로 채워지고 이 혼합물엔 0.005% CBrClF2의 추가된 할로겐 첨가물이 추가된다.
대략 U-형상으로 구부려진 텅스텐 발광체(56)는 벌브 체적의 거의 전체 내부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여기서 U-형상의 베이스부(57)는 돔(63)의 인접부에 위치된 램프 축에 대해 십자방향으로 연장되는 반면, 실제적인 발광 필라멘트부(45)를 형성하는 "U"의 두 레그(leg)는 베이스부(57)로부터 끼워진 실링(45)까지 연장되어 끼워진 실링(45)을 향해 바깥쪽으로 약간 개방된다. 두 개의 발광 필라멘트부(45)는 자신의 단부에서 약 4 내지 7 mm로 짧게 전환하고, 코일형상이 아닌 와이어부(59)는 내재된 안전 퓨즈 효과를 갖춘 내부 리드 와이어로서의 기능을 한다. 내부 리드 와이어(59)는 짧은 길이(전형적으로 3mm 이하)에 걸쳐 끼워진 실링(45) 내부로 용융되어 몰리브덴 실링 포일(60)에 용접된다. 리드 와이어(59)는 끼워진 실링에서 수 밀리미터(전형적으로 3 내지 5mm) 연장되고 벌브의 체적 내부로 연장된다.
끼워진 밀봉재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리드 와이어(50)는 포일(60)의 외부 단부에 용접된다. 상기 와이어는 바깥쪽으로 각을 이루고 접촉 핀 케이스(51)의 뚫린 구멍(54) 내부로 삽입된다. 케이스(51)는 단부에 원통형 확대부를 갖는다.
"U"의 베이스부(57)는 코일형상으로 되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부는 배기 튜브 팁(64)의 바로 아래의 램프 축에 십자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는 90도로 구부려지고 필라멘트부(47)로 연장된다. 서로에 대해 가까이 배치된 두 개의 짧고 평행한 레그(47)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 필라멘트 패턴은, 반사경 내의램프 배치에 유익하다. 양 필라멘트 레그의 크기는 약 0.5 x 9.5mm이다.
발광 소자는 벌브의 재료로 만들어진 단일 타원형 유리 판(42)에 의해 베이스부(57)의 높이로 고정된다. 베이스부(57)는 유리 판(42)에 끼워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극단적인 램프 컴팩트성이 달성된다. 무엇보다도, 벌브는 핀치로부터 배기 튜브 팁까지 계산된, 단지 38mm의 전체 길이를 갖는다. 이에 따라, 벌브는 외부 직경이 50mm인 (경화)유리로 된 매우 컴팩트한 반사경(43)으로 하우징(housing)될 수 있다.
보로실리케이트 유리로 된 반사경은 내부 윤곽(66)을 가지며 구형 캡 형상인 기본체(43)와 기본체의 후방에 위치되는 목부(46)로 이루어진다. 내부 윤곽은 알루미늄 또는 박형 상호 간섭(interference) 필터 시스템으로 코팅된다. 후자는 냉광 미러로서 효과적이다. 반사경 개구부는 덮개 디스크(61)에 의해 폐쇄된다.
벌브를 더욱 양호하게 정합시키기 위해, 벌브상에서 핀치 걸쇠(pinch attachment)(45)의 높이로 위치되고 시트 금속으로 된 탄성적이고 가는 아치형상의 천공된 디스크(44)가 사용된다. 상기 디스크는 핀치에 적용된 개구부와 핀치의 협측에 배치된 두 개의 안내 클립을 갖는다. 천공된 디스크(44)는 반사경의 목부(46)로부터 돌출된 축(도 1에는 단지 두 개만이 보인다)에 평행한 4개의 긴 벌지(bulge)(67)에 놓인다. 벌브의 부착은 캡 시멘트 없이 이루어지고, 이 경우 천공된 디스크의 스프링 효과가 이용된다(DE-GM 195 48 521에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임). 따라서 벌브는 압력으로 목부 내에 배치되고 나서 외부 리드 와이어는 케이스에 대해 크림핑된다(crimped).
반사경은 반사경 목부(46)의 단부를 향하여 20mm인 외부 직경까지 테이퍼링한다(taper). 반사경 램프의 전체 길이는 49mm이다.
전체 길이를 단축하기 위해, 반사경 램프는 반사경 목부에 직접 형성된 유리 캡(48)을 갖는다. 상기 캡은 반사경 목부의 단부에서 평면 벽(49)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데, 이는 전체의 바닥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내장 램프의 외부 리드 와이어(50)는 두 개구부(53)를 통해 외부로 유도되어 개구부(53)에 놓인 두 개의 금속 접촉 핀 케이스(51)의 뚫린 구멍(54) 내부로 삽입된다. 뚫린 구멍은 케이스의 길이부를 따라 연장되고, 여기서 외부 리드 와이어(50)가 케이스(51) 내부로 크림핑된다(대안으로 상기 와이어들은 완전히 관통하는 뚫린 구멍 내부로 솔더링될 수 있음).
접촉 핀 케이스(51)는 케이스의 내측 에지(70)가 벽의 내측면(71) 둘레로 구부려지는 동시에 케이스의 중앙에 형성된 디스크 형상 칼라(72)가 벽의 외측면(73)에 놓임으로서 개구부(53) 내로 고정된다. 두 개의 접촉 핀 케이스(51)는 10mm의 중앙 틈을 갖는다.
고 전압 또는 중간 전압 동작용의 통상적인 반사경 램프는 통상적으로 구형 반사경 캡과 캡 사이의 리드 와이어 시스템에 대부분이 독립된 중간부로 (시멘트 수단에 의해) 삽입되는 안전 퓨즈를 통합한다. 상기 개념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 유익하며, 대신에 내부 리드 와이어는 약 100㎛ 두께의 와이어를 갖는 코일형상이 아니고, 이로서 내부 리드 와이어는 내재된 안전 퓨즈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로서 전체 길이는 추가로 감소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편평한, 스트립형 벌지(58)는 외측면(73)의 외측 에지에서 두 개의 접촉 핀 케이스(51)에 각각 가로질러(또는 세로방향으로) 대향하여 위치된다. 벌지(58)의 두께는 정확히 디스크형상 칼라(72)의 두께와 일치하며, 이에 따라 벌브로부터 떨어진 각각의 단부 표면은 함께 (일종의 작업 거리(working distance)로서) 평면을 정의한다. 원칙적으로 벌지의 두께는 칼라의 두께보다 크도록 선택될 수 있지만, 이는 램프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통상적인 홀더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EP-A-572 400의 도 4 참조) 접촉 핀 케이스(51)의 기울어짐(tilting)은 방지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홀더는 접촉 핀 케이스(51)를 삽입하기 위해 홀더의 단부가 확대된 원형 개구부에 배치된 하나의 홀더 상에 두 개의 길고 원형이고 아치형이며 슬릿형인 개구부(또는 함몰부)를 통합한다. 케이스(51)를 이들 확대된 원형 개구부에 삽입할 때, 스트립-형상의 벌지는 한편으로는 차단 판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케이스는 함몰부의 바닥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다음 터닝 동작을 위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칼라가 터닝되었을 때 칼라가 걸리는 홀더의 확대된 개구부로 원치 않게 삽입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트립형 벌지는 캡이 홀더로 터닝되었을 때 원통형 확대부에 대한 압력을 해제하게 하여, 터닝 동안의 저항을 감소시킨다.
도 2는 외측 벌브에 의해 추가로 절연되는 일측에 끼워진 금속 할로겐 램프로서 설계된 아크 튜브(76)를 갖춘 반사경 램프(74)를 도시한다. 여러 스트립형 벌지 대신에, 하나의(또는 다수의) 링-형 벌지(78)가 벽(49)의 외측 에지에 위치된다. 벽(49)의 외측면과 목부(46) 사이의 전이부(transition)는 직각이 아니고, 반면에 방사상이고 원주형인 사면(bevel)(75)이다. 상기 램프의 모든 다른 특징은 제 1 실시예의 백열등의 특징과 유사하며 동일 부재번호를 갖는다.
본 발명은 구성부품의 수(현재는 6개 부품; 종래 기술에서는 중간(interim) 부품을 포함하는 10개의 부품)의 감소될 뿐만 아니라 조립기술이 단순화될 수 있으므로, 현재 공지된 반사경 램프에 대해 특별한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새로운 제품은 적은 재료, 적은 시간 및 적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110V용 반사경 램프의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는 축방향으로 장착되고 핀치와 마주하는 단부에 유도되는 리드 와이어만이 핀치에서 코일형상이 아닌 와이어로서 용융된다. 저 전압 백열램프를 위해 짧은 발광 소자는 축에 대해 가로질러 또는 축방향으로 장착된다.
본 발명은 특히 일반 조명용으로 특히 유리하기 때문에, 직접 전기 시스템 접속을 위해 25W 이하까지의 저 전력용도로써, 합리적인 가격인 반사경 램프에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전력은 최대한 250W 이다.
본 발명은 특히 일측 상에 끼워진 (75W 까지의)저 전력 할로겐 백열램프에 유용한 데, 이는 유리 캡 사용이 본 발명의 비용 및 공간면에서의 절약을 최고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10V 전기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할로겐 백열 램프 용도로도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유형의 백열 램프 및 방전 램프의 사용에도 적합하다.

Claims (19)

  1. - 충전재(filling) 및 조명 수단을 구비한 밀폐 실링된 벌브(bulb)(41),
    - 반사경 윤곽(reflector contour)(66)을 수용하는 기본체(basic body)와 상기 기본체의 후방에 부착된 목부(neck part)(46)를 포함하는 반사경(43),
    - 상기 벌브로부터 가장 먼 단부 상에 원통형 확대부(thickened portion)들(52)을 구비한 2 이상의 금속 접촉 핀들(51)을 수용하며 상기 목부에 결합된 캡(cap)(48)과,
    - 조명 수단으로서 이용가능한 전기적 리드(electrical lead)를 형성하는 리드 와이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일측 상에 캡을 구비한 반사경 램프(40)로서,
    상기 캡(48)은 전적으로 상기 목부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반사경 목부 상에 직접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41)는 일측 또는 양측 상에 끼워지는 반사경의 내측에 경화 유리(hard glass) 또는 수정 유리(quartz glass)로 만들어진 독립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는 기밀하게(gas-tightly) 실링된 덮개 디스크(61)를 통합하는 반사경 자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발광 소자 또는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43)은 유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적어도 80V의 동작 전압이 인가되는 고 전압 또는 중간 전압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48)은 상기 목부(46)를 폐쇄하며 상기 반사경 축을 가로질러 배열되고, 접촉 핀들(51)용 개구부들(53)을 통합하는 내측면(71)과 외측면(73)을 구비한 평면 벽(49)을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핀들은 상기 내부의 뚫린 구멍(54)을 구비한 접촉 핀 케이스들(51)로서 형성되고, 상기 뚫린 구멍은 상기 케이스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핀 케이스들(51)은 벌브측 상에서 상기 케이스 길이의 대략적인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구부려진 에지(70)와 디스크-형상 칼라(72)를 통합하여 상기 벽이 상기 에지(70)와 상기 디스크-형상 칼라(72) 사이에서 로킹되는(lock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벽의 상기 외측면(73)에 적어도 상기 칼라의 두께와 같은 두께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융기된 벌지(58, 78)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발광체(56) 및 내부 리드 와이어들(59)을 포함하는 일측 상에 끼워진 벌브(41)를 갖춘 백열램프이고, 상기 리드 와이어들은 내재된 안전 퓨즈 효과를 갖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41)는 상기 일측에 끼워지고, 상기 핀치(45)는 상기 반사경의 목부에서 상기 핀치(45)를 둘러싸는 천공된 디스크(4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46)는 방사상이고 원주인 사면(bevel)(75)에 의해 상기 평면 벽(49) 내로 전이(transiti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14. 제 1항에 있어서,
    - 단일 핀치(45)에 의해 밀폐 실링된 수정유리로 만들어진 독립된 벌브(41),
    - 유리로 만들어진 반사경(43),
    - U, V 또는 W 형상으로 구부려지고 장착된 구조체없이 상기 벌브에서 지지되는 2개의 단부를 구비한 발광 소자(56)를 포함하여 높은 콤팩트 정도를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56)를 적어도 하나의 열 저항 지지수단(42)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전압은 적어도 약 80V에 달하고, 상기 리드 와이어 시스템은 내부 리드 와이어들이 내재된 안전 퓨즈 효과를 갖도록 제조된 내부 리드 와이어들(59)을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리드 와이어들(59)은 상기 핀치(45)에 매립된 실링 포일들(60)로써 발광체의 단부들을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들 길이의 일부분이 상기 핀치에서 매립되며, 상기 내부 리드 와이어들(59) 중 적어도 하나는 코일형상이 아닌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 개의 내부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리드 와이어 사이에서 아크가 발생하는 경우에, 거리가 d이고 인가전압이 V일 때, 유효 전계 강도인 V/d가 100V/cm 이상일 때 상호 작용하도록 적어도 2mm에 걸쳐 핀치(45)에 매립되는 최대 130㎛의 직경을 갖는 와이어로 만들어짐으로써 내재된 안전 퓨즈 효과가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전체 길이는 6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는 시멘트없이 상기 반사경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 램프(40).
KR1019970709516A 1996-04-19 1997-04-14 반사경램프 KR100455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607132U DE29607132U1 (de) 1996-04-19 1996-04-19 Halogenlampe
DE29607132.3 1996-04-19
DE29620098U DE29620098U1 (de) 1996-11-20 1996-11-20 Halogenlampe
DE29620098.0 1996-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205A KR19990028205A (ko) 1999-04-15
KR100455460B1 true KR100455460B1 (ko) 2004-12-17

Family

ID=2605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516A KR100455460B1 (ko) 1996-04-19 1997-04-14 반사경램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060820A (ko)
EP (2) EP0802561B1 (ko)
JP (2) JPH11508402A (ko)
KR (1) KR100455460B1 (ko)
CN (1) CN1083146C (ko)
DE (2) DE59702042D1 (ko)
ES (1) ES2160351T3 (ko)
HU (2) HU220535B1 (ko)
WO (1) WO1997040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2561B1 (de) * 1996-04-19 2000-07-19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Halogenlampe
EP0935815B1 (en) * 1997-09-03 2004-08-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candescent lamp and adapter, equipped with voltage conversion means
CN1183576C (zh) * 1999-05-18 2005-01-05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白炽电灯
US6611102B2 (en) * 2000-03-10 2003-08-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ungsten-halogen light bulb, and reflector lamp using the same
US8114163B2 (en) * 2000-04-10 2012-02-14 Biomet Manufacturing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and angle for a radial head
US6536918B1 (en) * 2000-08-23 2003-03-25 General Electric Company Lighting system for generating pre-determined beam-pattern
US6653782B2 (en) * 2001-12-27 2003-11-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use and safety switch for halogen incandescent lamps
US7227308B2 (en) * 2003-11-24 2007-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Assembly for precision focus of compact PAR lamps
DE102004044364A1 (de) * 2004-09-10 2006-03-1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Glühlampe
JP4492337B2 (ja) * 2004-12-14 2010-06-30 ウシオ電機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
DE102006014643A1 (de) * 2006-03-29 2007-10-0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Lampe mit Halteelement
DE102006020224A1 (de) * 2006-05-02 2007-11-08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Reflektorvorrichtung für eine Beleuchtungsvorrichtung
DE102006049908A1 (de) * 2006-10-23 2008-04-30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Elektrische Lichtquelle, insbesondere für den Einsatz in einem Reflektor
DE102007024412A1 (de) * 2007-05-25 2008-11-27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Anordnung mit einer Lampe und einer Lampenfassung
DE202007009060U1 (de) * 2007-06-28 2008-08-07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lektrische Verbindung zwischen wenigstens zwei Teilen und elektrisches Gerät mit einer derartigen Verbindung
WO2010000325A1 (de) * 2008-07-04 2010-01-07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orrichtung zur stromzuführung zu einer elektrode einer elektrischen lampe und elektrische lampe mit einer derartigen stromzuführungsvorrichtung
US20110115372A1 (en) * 2009-11-17 2011-05-19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 lamp with pin connector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11181450A (ja) 2010-03-03 2011-09-15 Panasonic Corp ランプ
US8193689B2 (en) * 2010-10-11 2012-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al halide lamp shrouding
DE102012219135A1 (de) 2012-10-19 2014-04-24 Osram Gmbh Reflektorlampe
FR3086808B1 (fr) * 2018-10-02 2021-10-0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onnecteur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507227A (nl) * 1975-06-18 1976-12-21 Philips Nv Gloeilamp-reflektoreenheid.
US4079283A (en) * 1977-04-11 1978-03-14 Gte Sylvania Incorporated High wattage incandescent lamp with support for a planar segmented filament
US4132922A (en) * 1977-10-13 1979-01-02 Westinghouse Electric Corp. Gas-filled incandescent lamp with integral fuse assembly
NL179957C (nl) * 1980-03-21 1986-12-01 Philips Nv Halogeengloeilamp.
US4354137A (en) * 1980-07-15 1982-10-12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candescent lamp having seal-anchored filament mount, and method of making such lamp
DE8234509U1 (de) * 1982-12-08 1984-05-17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8000 München Kompakte Niederdruckentladungslampe mit Sockel und Fassung
NL8401209A (nl) * 1984-04-16 1985-11-18 Philips Nv Elektrische gloeilamp.
JPH0334837Y2 (ko) * 1985-04-30 1991-07-24
US4855634A (en) * 1985-12-19 1989-08-08 Gte Products Corporation Reflector and eyelet construction for reflector-type lamps
JPS62264548A (ja) * 1986-10-03 1987-11-17 株式会社東芝 シ−ルドビ−ム形電球用レンズ
US4797794A (en) * 1987-08-12 1989-01-10 Gte Products Corporation Reflector lamp
DE8803881U1 (de) * 1988-03-22 1988-05-11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8000 München Kompakte Reflektorlampe
US4914342A (en) * 1988-06-30 1990-04-03 North American Philips Corp. Narrow spot reflector lamp with diffusing reflector
US5032758A (en) * 1989-09-28 1991-07-16 General Electric Company Precision tubulation for self mounting lamp
US5146134A (en) * 1990-03-15 1992-09-08 Patent Treuhand Gesellschaft Fur Elektrische Gluhlampen M.B.H. Halogen incandescent lamp, particularly for operation from power networks,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DE9102566U1 (de) * 1990-03-15 1991-05-23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8000 München Halogenglühlampe
DE4008367A1 (de) * 1990-03-15 1991-09-2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inseitig gequetschte halogengluehlampe
JPH03280349A (ja) * 1990-03-28 1991-12-11 Iwasaki Electric Co Ltd 反射形放電灯
JPH04138656A (ja) * 1990-09-29 1992-05-13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反射鏡付き電球
GB9103623D0 (en) * 1991-02-21 1991-04-10 Thorn Lamps Ltd Ge Improvements in lamps and lamp holders for display lighting
US5412542A (en) * 1991-03-20 1995-05-02 Man-D-Tec, Inc. Down lighting systems and fixtures therefor
ES2100626T3 (es) * 1993-07-05 1997-06-16 Philips Electronics Nv Unidad lampara/reflector.
JPH07211299A (ja) * 1994-01-20 1995-08-11 Minoru Nishibori リフレクタ付きハロゲン電球
JPH087846A (ja) * 1994-06-21 1996-01-12 Ushio Inc ハロゲン電球
DE19548521A1 (de) * 1995-12-22 1997-06-2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Lampen-Reflektor-Einheit
DE29607132U1 (de) * 1996-04-19 1996-07-0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81543 München Halogenlampe
EP0802561B1 (de) * 1996-04-19 2000-07-19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Halogenlam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9700773A3 (en) 2000-02-28
JP4054086B2 (ja) 2008-02-27
HUP9700773A2 (en) 1997-12-29
HUP9901460A3 (en) 2001-05-28
EP0802561B1 (de) 2000-07-19
HU220535B1 (hu) 2002-03-28
JPH1040879A (ja) 1998-02-13
EP0802561A1 (de) 1997-10-22
DE59702042D1 (de) 2000-08-24
EP0839381B1 (de) 2001-07-04
HU218813B (hu) 2000-12-28
ES2160351T3 (es) 2001-11-01
US6060820A (en) 2000-05-09
WO1997040511A1 (de) 1997-10-30
JPH11508402A (ja) 1999-07-21
CN1188562A (zh) 1998-07-22
DE59703946D1 (de) 2001-08-09
CN1083146C (zh) 2002-04-17
HU9700773D0 (en) 1997-06-30
US5883469A (en) 1999-03-16
HUP9901460A2 (hu) 1999-08-30
EP0839381A1 (de) 1998-05-06
KR19990028205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460B1 (ko) 반사경램프
KR0123797B1 (ko) 백열 램프의 필라멘트 지지구
US5627428A (en) Single-based high-pressure discharge lamp particularly for automotive-type headlights
GB2250808A (en) Automotive headlamp
WO2003005399A1 (en) Lamp, in particular for automotive headlights
US5432399A (en) Discharge lamp apparatus
US8525409B2 (en) Efficient lamp with envelope having elliptical portions
KR101054278B1 (ko) 캡핑된 고압 방전 램프 및 램프 홀더의 조립체
US6225731B1 (en) Glass halogen lamp with internal ellipsoidal shroud
US7626322B2 (en) Self-ballasted fluorescent lamp and lighting apparatus
US4433271A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JP2004502278A (ja) 押圧封止部内で緊締されたフィラメント脚部を有するハロゲン白熱ランプ
CA2225039C (en) Reflector lamp
EP0465198A2 (en) Reflector lamp
EP0590602A1 (en) Double-bulb halogen lamp and lighting system
KR20100092454A (ko) 캡을 씌운 램프/반사기 장치
EP0753883B1 (en) Low-pressure discharge lamp
US7053535B2 (en) Low-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RU2249276C2 (ru) Источник света для газоразрядной лампы
JPH10335029A (ja) 放電灯
JP2001068065A (ja) 電球および標識灯
JP2006202668A (ja) 蛍光ランプ、蛍光ランプ装置及び照明器具
JP2006080015A (ja) 蛍光ランプ装置及び照明器具
JP2575344Y2 (ja) 二重管型ヒータランプ
JPH10334790A (ja) 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