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401B1 - 엔진 마운팅 부재 보강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차체 - Google Patents
엔진 마운팅 부재 보강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차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62401B1 KR100362401B1 KR1020000058672A KR20000058672A KR100362401B1 KR 100362401 B1 KR100362401 B1 KR 100362401B1 KR 1020000058672 A KR1020000058672 A KR 1020000058672A KR 20000058672 A KR20000058672 A KR 20000058672A KR 100362401 B1 KR100362401 B1 KR 1003624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sed space
- vehicle body
- cross member
- engine mounting
- reinforc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2—Vehicle body, not intended to move relatively to the vehicle frame, and mounted on vibration absorbing mountings, e.g. rubbe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마운팅 부재의 전방 및 후방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텐션 로드의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엔진 마운팅 부재 보강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차체에 관한 것이다. 차체의 전방에 위치되며, 후판에 상부 및 하부 부분이 접합되는 것에 의하여 폐공간을 형성하는 크로스 부재와, 상기 크로스 부재의 중간에 텐션 로드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내측에서 상기 크로스 부재를 따라서 일정 길이 측방으로 연장하는 텐션 로드 보강재와, 상기 크로스 부재의 양측방에서 엔진 마운팅의 설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차체에 있어서, 상기 폐공간과 좌우로 대응되게 후방 부분이 상기 후판에 접합되는 보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차체폭 방향으로 길쭉한 폐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보강 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폐공간의 중간 부분은 상기 부강 부재가 상기 후판과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폐공간의 양측 부분은 중간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폐공간을 더욱 견고하게 하여 상기 보강 부재를 통해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차체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을 엔진룸에 설치하기 위한 엔진 마운팅 부재의 후방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크로스 부재와 같은 자동차의 차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섀시를 구성하는 각 장치나 차체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장치한 부품이나 차체에서 전달되는 하중, 전후의 차축에서의 반력을 지지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그 때문에 차체는 자동차가 주행중에 받는 노면에서의 충격이나 하중 등에 의해 생기는 굽힘, 비틀림, 텐션, 진동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와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경량인 것이 필요하다.도 1은 자동차의 차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선 Ⅱ-Ⅱ을 따라서 취한 크로스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차체 중에서, 프런트 차체를 구성하는 크로스 부재(10)는 대략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판(16)에 의하여 폐공간을 구성한다. 후판(16)은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로스 부재(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용접에 의하여 접합된다.
이러한 크로스 부재(10) 내에 크로스 부재(10)를 따라서 일정 길이 측방으로 연장하는 텐션 로드 보강재(11)가 설치된다. 텐션 로드는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크로스 부재(10)에 설치된다. 크로스 부재(10)의 양단부는 측면 차체에 용접 등과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며, 크로스 부재(10의 양측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마운팅(12)이 볼트(15)에 의하여 설치되며, 엔진 마운팅(12)에는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 마운팅 부재(13)가 설치된다. 이러한 엔진마운팅(12)은 엔진 작동시에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도록 고무와 같은 충격 흡수재로 만들어진다.엔진 마운팅(12)이 설치되는 크로스 부재(10)의 내측 바닥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대략 16㎜의 두께를 가지는 보강재(14)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차체, 특히 크로스 부재는 벨지안 로드, 가속 총합 내구성 테스트 중에 엔진 마운팅 부재의 전방부 하중만을 지지하기 때문에, 엔진 마운팅 부재의 후방에 있어서의 하중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되어, 용접 지점의 절손 및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텐션 로드가 텐션 로드 보강재를 통하여 크로스 부재에 설치되지만, 차체의 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텐션 로드의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어 승차감이 저하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 마운팅 부재의 전방 및 후방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텐션 로드의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엔진 마운팅 부재 보강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차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차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선 Ⅱ-Ⅱ을 따라서 취한 크로스 부재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마운팅 보강 구조를 가지는 부분의 크로스 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마운팅 보강 구조를 가지는 부분의 크로스 부재의 단면도.(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강 부재 10 : 크로스 부재
11 : 텐션 로드 보강재 12 : 엔진 마운팅
13 : 엔진 마운팅 부재 14 : 엔진 마운팅 보강재
15 : 볼트 16 : 후판
17 : 폐공간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차체의 전방에 위치되며, 후판에 상부 및 하부 부분이 접합되는 것에 의하여 폐공간을 형성하는 크로스 부재와, 상기 크로스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크로스 부재를 따라서 일정 길이 측방으로 연장하는 텐션 로드 보강재와, 상기 크로스 부재의 양측방에서 엔진 마운팅의 설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차체에 있어서, 상기 후판과 폐공간을 이루도록 후방 부분이 상부 및 하부 부분이 상기 후판에 접합되는 보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보강 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폐공간의 중간 부분은 상기 후판과 대칭으로 형성되고, 양측 부분에서의 폐공간은 중간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차체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텐션 로드는 상기 보강 부재에 제공되는 웰딩 너트에 의하여 크로스 부재에 설치된다.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을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마운팅 보강 구조를 가지는 부분의 크로스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마운팅 보강 구조를 가지는 부분의 크로스 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차체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크로스 부재(10)가 후판(16)에 상부 및 하부 부분이 접합되는 것에 의하여 폐공간을 형성한다. 텐션 로드 보강재(11)는 크로스 부재(10)의 중간부분에 상기 크로스 부재(10)의 내측면을 따라서 일정 길이 측방으로 연장하며, 크로스 부재(10)의 양측 부분에는 엔진 마운팅 부재(13)의 설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14)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보강 부재(1)가 크로스 부재(10)와 후판(16)에 의하여 형성된 폐공간 내에 제공된다. 보강 부재(1)는 상기 폐공간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폐공간(17)을 이루도록 후방 부분이 후판(16)의 상부 부분에 접합된다. 이러한 폐공간(17)의 중간 부분은 후판(16)과 보강 부재(1)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엔진 마운팅(12)이 설치되는 크로스 부재(10)의 양측 부분에서의 폐공간(17)은 중간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폐공간(17)의 형성은 크로스 부재(10)와 후판(16)에 의하여 형성되는 폐공간을 더욱 견고하게 하며, 엔진 마운팅 부재(13)의 후방에서의 횡방향, 즉 도시된 도면에서 좌우방향으로 하중이 발생할 때, 횡방향으로 형성된 폐공간 및 폐공간(17)을 통하여 분포 하중으로 분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부재(10)의 중간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큰 폐공간(17)을 형성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부재(10)의 양측 부분은 보강 부재(1)에 의해 형성된 단면적이 작은 폐공간(17)을 형성함으로써,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가장 큰 양측 부분에서는 단면적이 작은 폐공간(17)을 통해 큰 진동을 흡수하여 용접부위의 크랙발생을 억제하여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며, 크로스 부재(1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단면적이 넓은 폐공간(17)을 통해 진동을 분산시켜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게 됩니다. 또한, 보강 부재(1)의 추가결합으로 인해 엔진 마운팅(12)이 볼트(15)에 의하여 설치되는 부분이 3겹으로 이루어지므로, 엔진 마운팅 부재(13)의 유동성이 최소화되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게 된다.
한편, 텐션 로드는 보강 부재(1)에 제공되는 웰딩 너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크로스 부재(10)에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강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보강 부재(1)는 차량의 횡방향 강성을 또한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차체에 의하면, 엔진 마운팅 부재의 전방 및 후방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텐션 로드의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 차체의 전방에 위치되며, 후판에 상부 및 하부 부분이 접합되는 것에 의하여 폐공간을 형성하는 크로스 부재와, 상기 크로스 부재의 중간에 텐션 로드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내측에서 상기 크로스 부재를 따라서 일정 길이 측방으로 연장하는 텐션 로드 보강재와, 상기 크로스 부재의 양측방에서 엔진 마운팅의 설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차체에 있어서,상기 후판과 폐공간을 이루도록 후방 부분이 상기 후판에 접합되는 보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엔진 마운팅 부재의 유동성을 최소화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폐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후판과 대칭되게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폐공간의 양측 부분은 중간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폐공간을 더욱 견고하게 하여 상기 보강 부재를 통해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
- 제 1 항에 있어서, 텐션 로드는 상기 보강 부재에 제공되는 웰딩 너트에 의하여 크로스 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8672A KR100362401B1 (ko) | 2000-10-06 | 2000-10-06 | 엔진 마운팅 부재 보강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차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8672A KR100362401B1 (ko) | 2000-10-06 | 2000-10-06 | 엔진 마운팅 부재 보강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차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27896A KR20020027896A (ko) | 2002-04-15 |
KR100362401B1 true KR100362401B1 (ko) | 2002-11-23 |
Family
ID=1969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58672A KR100362401B1 (ko) | 2000-10-06 | 2000-10-06 | 엔진 마운팅 부재 보강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차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6240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8371A (ja) * | 1985-07-16 | 1987-01-27 | Mazda Motor Corp |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
JPS6428371U (ko) * | 1987-08-13 | 1989-02-20 | ||
JPH0510164U (ja) * | 1991-02-01 | 1993-02-09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フロントフレーム取付部の補強構造 |
-
2000
- 2000-10-06 KR KR1020000058672A patent/KR10036240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8371A (ja) * | 1985-07-16 | 1987-01-27 | Mazda Motor Corp |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
JPS6428371U (ko) * | 1987-08-13 | 1989-02-20 | ||
JPH0510164U (ja) * | 1991-02-01 | 1993-02-09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フロントフレーム取付部の補強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27896A (ko) | 2002-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73730B2 (ja) | サスペンション用サブフレーム | |
KR100448791B1 (ko) | 자동차 플로어의 리어 서스펜션 연결부 구조 | |
JP3487213B2 (ja) | 車両のサブフレーム構造 | |
KR100362401B1 (ko) | 엔진 마운팅 부재 보강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차체 | |
JP3697614B2 (ja) | 自動車エンジンのマウンティング構造 | |
KR100643961B1 (ko) | 차량의 쇽업소버 장착브라켓의 보강구조 | |
KR100911406B1 (ko) |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 |
CN112373564B (zh) | 一种副车架安装结构 | |
JP2007137377A (ja) | サスペンション用サブフレームの支持構造 | |
KR100369126B1 (ko) | 차량의 프론트 로워암 장착 어셈블리 | |
KR102429001B1 (ko) | 차량용 서브 프레임 보강유닛 | |
KR100373029B1 (ko) | 차량의 프런트 서스펜션 크로스 멤버 | |
JP4438461B2 (ja) |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クロスメンバ | |
KR200160327Y1 (ko) | 차량의 리어 써스팬션 쇽업소오버의 장착구조 | |
JP2005170269A (ja) | 車両の車体構造 | |
JP4438462B2 (ja) |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クロスメンバ | |
KR100348045B1 (ko) | 자동차용 섀시리어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 | |
KR100362078B1 (ko) | 차량의 리어 서브 프레임 결합구조 | |
JP5063288B2 (ja) | 車体前部構造 | |
KR101189353B1 (ko) | 리어 서스펜션 암 장착부 구조 | |
KR20220136645A (ko) | 차량용 쇽 업소버 보강유닛 | |
KR100527713B1 (ko) |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 |
KR0134097Y1 (ko) | 자동차 토션빔 엑슬에의 스핀들 취부구조 | |
KR0139695Y1 (ko) |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 |
KR0150168B1 (ko) | 자동차의 휠하우스 보강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