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톡커들의 선택돈 모으는거 점점 더 힘들어지는듯

ㅇㅇ 2025.02.17 12:35 조회25,616
톡톡 사는 얘기 채널보기
연말정산 하면서 돈이 왜 이렇게 많이 나갔지? 하면서

통장이랑 카드 내역 보고 시간을 좀 되돌아봤음...

내가 사치를 했나 하면서..

근데 사치는 커녕 배달음식도 줄이고 옷같은거 쇼핑도 거의 안하고

돈 최소한으로 쓰겠다고 알리, 테무 같은것도 다 지웠었음.

뭐든 폰에 깔려있는데 가격 싸면 와르르 사재낄까봐...

진짜 필수적인 것들만 장보고 외식이나 배달 줄이고 친구들이랑 모이는 것도 줄이고 최대한 줄였는데

내가 쓴 지출이 너무 큼...


월급은 그렇게 드라마틱 하게 오르지도 않는데

물가가 너무 빠르게 오르는 것 같음...

서른 안에는 1억 모아야지 하면서 나름 계획 세우고 예금적금 들어놓고 ISA 계좌 만들어서 신경쓰고 있는데

물가 오르고

배달팁도 엄청 오르고

뭐하면 수수료 오르고

연저,IRP,ISA 계좌 미국주식 배당금 이중과세 하겠다는 기사도 뜨고...

국민연금 또 오를거라는 기사에 나중에 늙어서 국민연금 받는 가치는 80만원 대일거라고 (실제로는 300얼마 받는다고 하는데 물가 상승하고 화폐 가치가 달라지니까 실제 가치는 80만원대일거라는 기사 봄)



걍... 조카 다 허탈함 ....





------

걍 오늘 회사에서 원천징수영수증 받고

심란해서 올린건데 댓글 많이 달리고 오늘의 판도 됐길래 놀람


1억 큰 목표긴 했음... 그래도 나름 애쓰고 열심히 계획 세웠는데 계획처럼 안된게 안타까워서 한탄 좀 한 거임

20대 중후반에 7천 후반 모았는데,

7천까지는 그래도 어느정도 모을만 했었음, 근데 침체기처럼 여기서 더 모이지를 않음ㅋㅠ

물가 오르고, 나름대로 절약하는데 결국 나가는 돈이 동일하니까 안타까워서 글쓴거임

뭐 ㅋ ㅋㅋ 판은 다들 억대 연봉이니까 그런 사람들은 걍 넘어가세요 ㅋㅋ 서민의 안타까운 사연인가보다,,, 하고 ㅋㅋㅋㅋㅋ



배달도 두달에 한번 시켜먹을까말까고...

근데 보면 장보는거나 기름값이나 그런게 너무 많이 나감

기름값이야 출퇴근하는 길은 항상 똑같고 그러니까 그러려니 하는데 어쨌든 이것도 많이 나감 그래도 걍 수긍함, 차없으면 일하기 힘들어서

암튼 장보는 것에서라도 열심히 줄이려고 해도 답이 없으니까 한탄스러운거임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짓인데 굶으면 의미가 있나 싶고, 내가 굶으면 병원비나 더 나오겠지 싶음.

그렇다고 먹는거에 흥청망청 쓰는것도 아님... 명절선물로 오는 스팸으로 스팸마요 밀키트 만들어서 냉동실에 넣어놓고 오리훈제나 양념고기 된거 소분해서 얼려놓고 끼니때마다 해먹으면서 아끼려고 아등바등해도 돈 나가는게 너무 크니까 답 없다고 느껴질 뿐임...

장보면 딱히 냉장고가 엄청 채워지는 것 같지도 않은데 돈 나가는거 보면 걍 진짜 가성비 바닥인 것 같으니까 한숨만 나옴

추천수78
반대수15

모바일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태그
태그
45개의 댓글

베스트 댓글

베플 ㅇㅇ2025.02.18 11:36
추천
69
반대
3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모바일로 남긴 댓글 애호박 990원을 기억하는데 이제 걍 애호박 2천원대임ㅋㅋㅋㅋ 계란도 한판 8천원 하는게 기본임. 월급은 오르는데 걍 사는게 나아졌다고 전혀 생각이 안듬 그냥 현수준 유지한다정도? 애낳으면 후퇴하겠지 생각밖에 안듬
답글 7 답글쓰기
베플 ㅇㅇ2025.02.18 12:32
추천
23
반대
1
신고 (새창으로 이동)
저는 배달 완전 끊었어요. 먹고 싶은 거 있으면 퇴근 길에 포장해서 옵니다. 혼자 먹을 거 배달 시키면서 배달팁 주고, 매일 커피 사먹고, 택시타고... 이러면서 나는 아껴쓴다는 사람 너무 많아서...
힘든 세상인 건 맞는데, 그래도 그 안에서 누군가는 돈을 모으고, 불리고, 자수성가하고, 부자가 되고... 그래요.
답글 1 답글쓰기
베플 ㅇㅇ2025.02.18 15:28
추천
17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모바일로 남긴 댓글 월급 10마넌 오르면 물가는 30정도 오르는듯 체감 점점-임ㅋㅋㄱ... 하
답글 0 답글쓰기
베플 ㅇㅇ2025.02.18 12:23
추천
15
반대
2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모바일로 남긴 댓글 여기에 적지 마요 여긴 다 지월급 500 이라고 하는곳
답글 0 답글쓰기
베플 ㅠㅠ2025.02.18 13:04
추천
11
반대
1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목표를 너무 높게 잡아서그런거같아요 1억은 사실 엄청빡센 금액입니다. 다들 억억 거려서 우습게 보일지 몰라도...7~8000 도 훌륭합니다.
답글 0 답글쓰기
댓글 입력 영역
댓글쓰기
댓글운영정책

일반 댓글

ㅇㅇ2025.02.18 12:23
추천
15
반대
2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모바일로 남긴 댓글 여기에 적지 마요 여긴 다 지월급 500 이라고 하는곳
답글 0 답글쓰기
002025.02.19 19:49
추천
0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모바일로 남긴 댓글 배달을? 애가 돈 모을 생각이없네!! 배달끊고 집에서 해먹기싫으면 굶어!! 난 삼김에 쿨피스 1500으로 점심때우고 저녁엔 라면먹어!! 이래야 돈이 모여. 아파트3개, 상가1개 갖고있어도 이렇게 산다. 물론 대출있지만... 배달은 생일때 한 번만 시켜먹어!!
답글 0 답글쓰기
ㅇㅇ2025.02.19 13:58
추천
0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생활력 강해서 남자들이 좋아하겠다 ㅋㅋ
답글 0 답글쓰기
ㅇㅇ2025.02.19 10:27
추천
0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난 33살인데 150만원 겨우 모았어 ㅋㅋㅋ ㅠ 들어갈곳도 너무 많았고 뭘 사거나 항상 배가 부르지도 않았는데 돈도 잘 모아지지 않았고 빠져나갈것만 투성이고...그나이에 그정도 모았으면 잘 했네..
답글 0 답글쓰기
ㅇㅇ2025.02.19 09:10
추천
2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액이라도 모아서 인플레이션보다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자산으로 꾸준히 바꾸는 수밖에 없음.. 접근할 수 있는건 일단 주식이나 부동산이구, 계속 공부해야 함. 부자들이나 성공한 사람들의 인사이트도 계속 접하고, 책도 보고, 좋은 투자처가 나올때까지 계속 돈을 모으면서 공부해야함. 아직 20대면, 결국 시간이 그 자산들을 키워줄거임. 투자에서 가장 큰 내 편은 시간. 일시적으로 마이너스가 나는 상태일 수도 있지만, 좋은 자산이라면 결국엔 오름. 소액이라도 소비통제해서 좋은 자산을 끝없이 모으는거 외엔 연봉 억대로 못받는 일반인이 위로 올라갈 수 있는 방법도 없음. 사람들이 원하는 자산이 어떤건지, 결국 사람들의 돈이 흘러가고자 하는 곳이 어디인지 계속 고민하고 생각해야함. 나도 월 100따리로 20대 시작해서, 80% 정도 저축하면서 1억 모였을때 부터 부동산투자 했고 지금은 아무 일도 안해도 월 현금흐름은 1000만원 가까이 됨. 거의 20년 걸렸음 나이 먹어가면서 연봉도 올랐고, 결혼해서 맞벌이로 열심히 모았고, 처음 10년 정도는 정말 부자가 될 수 있다는 느낌도, 아무런 티도 전혀 안나서 이렇게 최소한의 것만 하면서 아끼는게 의미가 있나 싶었지만, 다행히 의미가 있었음. 한 15년 정도부터 좀 자산이 늘어나는 속도가 눈에 띠게 체감됨. 지금은 내가 일해서 버는 돈보다 자산이 불어나는 속도가 훨씬 빠르고, 현금흐름이 계속 나오니까 편하게 내가 좋아하는 일에 집중할 수 있음. 남들하고 똑같이 살면 남들보다 나아질 수 있는 방법은 없음. 뭐 연봉이 억대인것도 남들하고 다르게 노력한 결과인것처럼, 연봉을 높일 방법을 모른다면 소비통제하고 절약해서 좋은 기회가 왔을 때를 알고 투자 하는 방법뿐임. 쓰니도 20대에 7천이나 모았다는거 보면 소비통제는 거의 고수이고, 충분히 할 수 있는 사람임. 보통 소비가 통제가 안되고, 하고 싶은거 해서 써버리는 욕망이 더 강하기 때문에 실패하는데 좋은 자산을 볼 수 있는 공부만 선행된다면, 당연히 뭐 1.2년 안에 부자야 안되겠지만 10년 후에 다른 사람들보다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을거임.
답글 0 답글쓰기
ㅇㅇ2025.02.19 09:04
추천
3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모바일로 남긴 댓글 나이도 어리고 모은돈도 많은데 너무 조급해하는듯.. 요즘은 빚없으면 다행이야..
답글 0 답글쓰기
사랑의형태2025.02.19 08:15
추천
0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세이노의 가르침"(pdf화일도 공개되어있음)
이런 책도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정확한 상황은 모르겠지만..
답글 0 답글쓰기
882025.02.19 07:49
추천
0
반대
1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모바일로 남긴 댓글 배달이나 옷쇼핑을 아예 안하고 장볼때 필수품만 사면 됩니다. 그리고 최소한의 용돈으로 생활하고 저축액을 먼저 빠져나가게 해야함. 소득보다 가처분 소득이 중요함. 실거주 집 한채는 장만해야 최소한의 미래 대비가 될것임.. 10명중 5번째가 아니라 2등은 해야 사람답게 살수있는 시대임. 부자감세를 한탄하는 자들은 세수에 기여가 전혀 없는 소득하위 50%라는 사실
답글 2 답글쓰기
ㅇㅇ2025.02.19 04:08
추천
4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모바일로 남긴 댓글 시급이오로면 물가는 두배로 상승하는 느낌 빈부격차는 더더더 벌어지는 느낌이랄까
답글 0 답글쓰기
ㅇㅇ2025.02.19 00:32
추천
1
반대
1
신고 (새창으로 이동)
요몇달 나온 뉴스 대강만 훓어도 알텐데 주변 다 똑같아요. 월급 올라도 돈을 못모으는게 당연함. 부자감세해서 역대급 펑크낸거 월급쟁이한테 뜯어가고 부동산 방어한다고 온나라 돌아서 환율 개판치고 실물경제 쪼그라드니 돈도 안돌아, 일자리도 최악인 상황.. 월급 상승율보다 물가 상승율이 더 크니까 실질적으론 몇해 전보다 못살게 된거임. 앞으로 진짜 대공황 안닥치면 다행임..

https://www.yna.co.kr/view/AKR20240523063200002 고물가에 쪼그라든 가계…가구 실질소득 7년 만에 최대 감소
https://www.news1.kr/politics/general-politics/5692962 작년 세수 결손 발생에도 근로소득세 수입은 증가20년 만에 6배 증가 첫 60조대…법인세 비중 18.6%
https://www.yna.co.kr/view/AKR20250215039700002 청년 고용한파 굳어지나…체감실업률·고용률 4년만에 최대 악화
답글 0 답글쓰기
ㅇㅇ2025.02.19 00:07
추천
2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모바일로 남긴 댓글 쓰니야! 원래 1억 모으기까지가 제일 고통스럽대. 그 뒤로는 복리효과로 인해 2억. 3억 도달시간이 점점 짧아진대. 너는 잘하고 있어!! 나는 아직 6천밖에 못모았어. 그렇지만 내후년에 1억까지 모으는게 내 목표야. 힘내자!!
답글 0 답글쓰기
ㅇㅇ2025.02.18 23:27
추천
0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모바일로 남긴 댓글 인건비가 물가를 주도한다생각함 이젠 호박이나 대파나 오이같은 야채들도 예전같은 가격 안온다함 인부가 없대요 농사지어도 수확할 인부들 시급도 비싸고해서.그냥 아끼고 사는수밖에요
답글 0 답글쓰기
ㅇㅇ2025.02.18 21:58
추천
0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내가 봤을땐 너 진짜 대단하고 멋있어
난 20대때 무일푼이었거든

넌 금방 부자될것같다 화이팅!!
답글 0 답글쓰기
ㅇㅇ2025.02.18 20:29
추천
5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엥 20대 후반에 거진 8천모았으면 개잘모은건데?
답글 0 답글쓰기
2025.02.18 20:03
추천
4
반대
7
신고 (새창으로 이동)
2찍을 하면 나라가 망합니다. 부자 감세 서민 증세 공공요금, 지하철 버스 다오르고 그냥 부자들을 위한 정치를 함 국민의 짐 저것들은 에휴 거니 석려리 해외가서 경호원데리고 명품 쇼핑이나 쳐다니고 장모는 땅투기에 거니는 주가조작에 ㅉㅉ
답글 2 답글쓰기
ㅇㅇ2025.02.18 18:34
추천
3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모바일로 남긴 댓글 이제는 거의다 모든게 만원~2만원대부터 시작하는것 같아요... 과자도 이제 대부분 1600~부터 시작하고 물가 너무 올라서 몇개 안사고 가격도 최대한 최저로 골라도 10~20만원 훌쩍넘고..... 옷같은것도 요즘은 다 3만원대니깐
답글 0 답글쓰기
112025.02.18 16:43
추천
0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회사 갈아타기로 연봉 렙업하세요 ~ 방법없음 ㅋㅋ
답글 0 답글쓰기
ㅇㅇ2025.02.18 15:39
추천
1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모바일로 남긴 댓글 정치이념 떠나 요즘 이상기후로 곡물, 야채, 과일, 식부자재 물가 급등하고 강달러로 인해 수입물가 크게 오른게 제일 큼~ 너 잘못 아니다. 진심 걱정이다
답글 0 답글쓰기
ㅇㅇ2025.02.18 15:36
추천
2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모바일로 남긴 댓글 난 점심값으로 나가는 돈이 너무 아까워서 다이어트 할겸 샌드위치 만들어서 싸고 다님
답글 0 답글쓰기
ㅇㅇ2025.02.18 15:28
추천
17
반대
0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모바일로 남긴 댓글 월급 10마넌 오르면 물가는 30정도 오르는듯 체감 점점-임ㅋㅋㄱ... 하
답글 0 답글쓰기
ㅇㅇ2025.02.18 15:21
추천
3
반대
1
신고 (새창으로 이동)
모바일로 남긴 댓글 서른전에 1억이라면 29세 1억이라는이야기인데. 말이냐방구냐.
답글 0 답글쓰기
1 2 3
웹툰달콤한 순정
만화인기 드라마

책갈피 추가

이 게시글을 책갈피 합니다.
내가 쓴 글 보기에서 그룹관리가 가능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