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열린부리황새
아시아열린부리황새 | |
---|---|
인도에 사는 아시아열린부리황새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황새목 |
과: | 황새과 |
속: | 열린부리황새속 (Anastomus) |
종: | 아시아열린부리황새 (A. oscitans) |
학명 | |
Anastomus oscitans | |
Boddaert, 1783 | |
아시아열린부리황새의 분포 | |
아시아열린부리황새의 분포 지역 (빨간색) | |
보전상태 | |
|
아시아열린부리황새(Asian openbill)는 황새과에 속하는 큰 노닐고 있는 새이다. 이 독특한 황새는 주로 인도 아대륙과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된다. 회색 또는 흰색에 광택이 있는 검은 날개와 꼬리가 있으며 성체는 아치형의 상하악골과 반복형의 하악골 사이에 틈이 있다. 어린 새들은 이러한 틈 없이 태어나는데, 이것은 그들의 주 먹이인 달팽이들을 다루는데 도움을 주는 적응으로 생각된다. 비록 그들은 범위 내에 거주하지만, 날씨와 식량 가용성에 따라 장거리 이동을 한다.
묘사
[편집]아시아열린부리황새는 주로 회색(비번식기) 또는 흰색(번식기)이며 광택이 나는 검은 날개와 꼬리에 녹색 또는 보라색 광택이 난다. 그 이름은 다 자란 새들의 부리 아랫부분과 아치형 윗하악 사이에 형성된 독특한 틈에서 유래되었다. 어린 새들은 이런 틈이 없다. 하악의 절단 가장자리에는 달팽이의 껍질을 더 잘 잡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미세한 붓 같은 구조가 있다.[2] 꼬리는 12개의 깃털로 구성되어 있고 앞샘은 새털이 있다. 맨틀은 검은색이고 부리는 뿔회색이다.[3] 멀리서 보면 홍부리황새나 황새처럼 보일 수 있다. 짧은 다리는 핑크빛에서 회색으로 번식하기 전에 붉은색을 띤다. 번식하지 않는 새들은 흰색 대신 연기가 자욱한 회색 날개와 등을 가지고 있다. 어린 새들은 갈색을 띤 회색이고 갈색을 띤 맨틀을 가지고 있다. 다른 황새들과 마찬가지로 아시아열리부리황새는 날개가 넓은 날갯짓을 하는데, 이것은 지속적인 비행을 위해 뜨거운 공기의 열 사이를 이동하는 것에 의존한다. 그들은 무리에서 주로 발견되지만 한 마리의 새들도 드물지 않다. 모든 황새들과 마찬가지로 이것은 목을 쭉 편 채 날아다닌다. 이것은 황새로서는 비교적 작고 키는 68cm(길이 81cm)이다.[4][5][6]
서식지 및 분포
[편집]일반적인 먹이 찾기 서식지는 내륙 습지이며 강둑과 갯벌을 따라 거의 볼 수 없다. 농업 환경에서 새들은 농작물 밭, 관개 수로 및 계절적 습지에서 먹이를 찾는다.[7] 새들은 서식지 조건에 반응하여 광범위하게 이동할 수 있다. 어린 새들은 또한 도망친 후 널리 퍼져나간다. 인도의 바랏푸르에서 울린 개체들은 동쪽으로 800km 떨어진 곳에서, 태국에서 울린 새는 방글라데시에서 서쪽으로 1500k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다.[4][8] 황새들은 8월과 9월 사이의 흐린 밤에 인도의 남동 해안을 따라 있는 등대들에 의해 정기적으로 방향이 틀어진다.[4] 이 종은 파키스탄의 신드주와 펀자브주에서는 매우 드물지만 인도, 스리랑카, 네팔, 방글라데시, 미얀마, 태국 및 캄보디아에서 널리 그리고 흔한다.[9] 최근에 중국 남서부로 범위를 확장했다.[10]
각주
[편집]- ↑ BirdLife International (2016). “Anastomus oscitans”. 《IUCN 적색 목록》 (IUCN) 2016: e.T22697661A93628985. doi:10.2305/IUCN.UK.2016-3.RLTS.T22697661A93628985.en. 2021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 Gosner KL (1993). “Scopate tomia: an adaptation for handling hard-shelled prey?” (PDF). 《Wilson Bulletin》 105 (2): 316–324.
- ↑ Beddard, F.E. (1901). “Some Notes upon the Anatomy and Systematic Position of the Ciconiine Genus Anastomus”.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70 (1): 365–371. doi:10.1111/j.1469-7998.1901.tb08551.x.
- ↑ 가 나 다 Ali S, Ripley SD (1978). 《Handbook of the Birds of India and Pakistan. Volume 1》 2판. New Delhi: Oxford University Press. 95–98쪽.
- ↑ Baker, ECS (1929). 《The Fauna of British India. Birds. Volume 6》 2판. London: Taylor and Francis. 333–334쪽.
- ↑ Blanford WT (1898). 《The Fauna of British India. Birds. Volume 4》. London: Taylor and Francis. 377–378쪽.
- ↑ Sundar, K. S. Gopi (2006). “Flock Size, Density and Habitat Selection of Four Large Waterbirds Species in an Agricultural Landscape in Uttar Pradesh, India: Implications for Management”. 《Waterbird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Waterbird Biology》 29 (3): 365–374. JSTOR 4132592.
- ↑ Ali, Salim (1959). “Local movements of resident waterbirds”. 《J. Bombay Nat. Hist. Soc.》 56 (2): 346–347.
- ↑ Rasmussen PC, Anderton JC (2005). 《Birds of South Asia. The Ripley Guide. Volume 2》. Washington DC and Barcelona: Smithsonian Institution and Lynx Edicions. 63쪽.
- ↑ Liu & Buzzard, Paul & Luo, Xu. (2015). Rapid range expansion of Asian Openbill Anastomus oscitans in China. Forktail. 31. 141-143.
외부 링크
[편집]- Asian Openbill (Anastomus oscitans) video photos and sounds - Internet Bird Collection
- Asian Openbill Anastomus oscitans - Ad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