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향(언어학)
Volition (linguistics)문법상의 특징 |
---|
언어학에서 의지는 주어나 특정 문장의 대리인이 어떤 행동을 의도했는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개념이다. 간단히 말해서, 그것은 행동의 의도적이거나 의도하지 않은 성질이다.[1] 의지는 통제의 개념과 관련이 있고 심리학과 인지과학의 목적 외에서는 언어학에서 의도와 같은 것으로 간주된다. 그런 다음 다양한 가능한 방법을 사용하여 의지는 주어진 언어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문장 양식은 대개 주어진 행동이 의도적으로 또는 기꺼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의욕을 교차언어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원하거나 선호하는 영어의 의향 동사를 사용할 때, 이러한 동사는 명시적으로 표시되지 않는다.[2] 다른 언어는 이를 부속문서로 다루며,[1][2] 다른 언어는 volient 또는 nonvolution coding의 복잡한 구조적 결과를 가지고 있다.[1][3]
의지에 대한 언어적 접근법
특정 언어가 문장 안에서 의지, 즉 지배를 표현하는 방식은 보편적이지 않다. 어떤 언어학자의 의지에 대한 접근법도 없다. 언어학자들은 주로 의미론적 또는 주로 통사적 접근방식을 의지의 이해에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사람들은 의지의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의미론과 구문의 조합을 사용한다.[3]
의미론적 접근법
주어진 문제에 대한 의미론적 접근방식은 발음이 많은 의미론적 단위(구성성)로 구성된다는 개념에 의해 동기 부여된다. 이들 각 부대는 발언의 전체적인 의미에 역할을 한다.[4] 이것의 효과는 의미단위가 변경되거나 제거될 때 어떤 식으로든 발언의 의미가 달라진다.
의지에 대한 의미론적 접근법은 어떤 구조적 결과(이것은 통사적 접근법에 의해 처리된다)를 무시하고 주로 화자-의미, 그리고 청자가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예를 들어, 어떤 언어가 세소토[3](제2.3절 참조)와 같이 의의(의미단위의 추가)를 인코딩하기 위해 부착을 사용하는 경우, 구조적 변화를 간과한 채 volution적 요소를 분석할 수 있다. 그러한 분석은 단순히 청취자가 이해한 바와 같이 vollective (언어적) appix (문제되는 의미적 단위)와의 의미 차이를 시험할 것이다.
통사적 접근법
어떤 문제에 대한 통사적 접근법의 특징은 그것이 다양한 수준의 구조를 인정한다는 것이다.[5] 의향을 분석하는 통사적 접근법은 주로 구조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화자의 의미나 청취자가 이해하는 정보에 의존하지 않는다.
스쿼미시 언어에 대한 그의 분석에서, 피터 제이콥스는 한 행위자가 어떤 사건에 대해 가지고 있는 통제 정도에 따라 어떻게 타동성 술어가 다르게 표시되는지 조사한다. 제이콥스는 술어와 그 의미 해석의 관계는 구문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이 분석에서 제어 술어와 제한된 제어 술어의 차이는 개체 합의의 구문적 위치에 있으며 제어 술어는 VP와 연관되어 있고, 제한된 제어 술어는 측면의 기능적 투영과 관련된다(Jacobs는 FP-delimit라고 한다).[6]
제한된 제어 술어는 측면과 연관되므로 텔릭(완성) 판독을 얻는다. 이러한 구조에서 화자는 에이전트가 통제력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어떤 것을 가까스로 완성했거나, 통제력이 떨어져서 우발적으로 어떤 일을 저질렀다고 전한다. 제어 술어를 사용하는 경우 객체 계약은 VP와 연관되므로 비전화 판독값을 얻는다. 이 경우 연사는 행동이 시작되었다고 전하며, 배우가 상황에 대한 통제력을 발휘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건이 마무리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조치가 실제로 완료되었는지 여부는 지정되지 않았다.[6] 의미론적 접근방식과 달리 구문에 기초한 이것 등은 의미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문장 구조 계층 내의 요소들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혼합 접근법
간단히 말해서, 혼합 접근법은 통사적 접근법과 의미론적 접근법의 조합이다. 둘 중 어느 것도 무시되지 않으며, 둘 다 분석에 포함된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신할라와 같은 언어의 언어 분석에서 찾을 수 있다(섹션 2.4 참조). 언어학자들은 이 언어로 의의를 분석할 때 언어 형태학, 문법적 구조보다는 단어의 변화 등을 통해 의미학을 관찰하며, 의향적 사건과 비전도적 사건을 구분한다. 구문을 보면 언어학자들이 사건 발생의 Volient와 Nonvoltional agents를 구분하는 케이스 마킹의 활용을 분석한다.[7] 언어학자는 언어의 이러한 두 측면을 동시에 분석할 때 혼합적인 접근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을 구문-항문 인터페이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의사 표시를 하는 방법
언어는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여 의지의 유무를 부호화한다. 어떤 언어는 대리인이 행동을 의도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통사적 범주에 대한 특정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8] 이것은 또한 특정 동사가 경과제만을 선택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문장의 통사적 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영어와 같은 다른 것들은 어휘 범주를 자발적 또는 비번적으로 표시하는 명시적인 방법을 가지고 있지 않다.
부사
영어로 된 몇몇 동사들은 의도적으로만 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들이 이해되는 방식을 바꿀 수 있는 방법들이 있다. 영어권 사용자들이 어떤 행동이 의도적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명확히 하고 싶을 때, '의도적으로' 또는 '우발적으로'와 같은 부사가 문장에 포함된다. 예는 아래와 같다.
(1) a. | 나는 그녀의 인형을 발로 찼다. |
요원이 인형을 걷어찼다. 그 행동이 고의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애매하다. | |
b | 내가 실수로 그녀의 인형을 차버렸어. |
요원이 무심코 인형을 걷어찼다. | |
c | 나는 일부러 그녀의 인형을 발로 찼다. |
에이전트가 인형을 일부러 걷어찼다. |
영어로 된 문장은 하나의 행동에[citation needed] 대한 의지와 비의사 모두를 표현할 수 없다.
이는 두 종류의 부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의미론적으로 잘못된 문장으로 표시된다.
d | #내가 실수로 그녀의 인형을 일부러 걷어찼다. |
참고: 현대 영어는 두 개의 분리된 의미들을 전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건설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 같다. 나는 그녀의 인형을 일부러 발로 찼는데, 듣는 사람에게는 +volution이 되겠지만, 간접 대상에는 -volution으로 보고해 달라는 묵시적인 요청도 지니고 있다.
트란시즘
영어의 Transitivity
영어에서 의지는 "내가 무슨 짓을 했기 때문에"라는 대목을 따라 붙여서 표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러한 유형의 문장을 사용하는 전체 상황은 적어도 두 개의 개별 사건, 즉 행해지는 것과 그것을 야기시킨 것으로 구문론적으로 구성된다.[9] 추가 조항을 사용한 같은 문장은 단순한 문장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는 단일 사건으로 간주될 수 있다.[9] 두 문장 구조 사이의 차이는 동사의 전이성을 다룬다. 각 문장 양식의 예는 아래와 같다. 예를 들어, '토플'은 오직 하나의 주장, 즉 주제만을 떠맡는다. 예 b에서 '토플링'은 주제와 목적이라는 두 가지 주장을 취한다.
(2) a. | 비타협적 |
'내가 무슨 짓을 해서 공중에서 넘어졌다.' | |
이벤트 1: | 항공기가 넘어졌다. |
이벤트 2: | 내가 무슨 짓을 했어. |
b | 타동사 |
'항공기를 넘어뜨렸다.' | |
이벤트 1: | '에어레인을 쓰러뜨렸다' |
이벤트 2: | (이것은 두 개의 구별되는 조항으로 분리할 수 없다) |
자세한 동사 예제는 제어를 참조하고, 원인적 의도를 영어로 표현하는 것에 대한 전치사 예시는 응용적 음성을 참조하라.
영어에는 화자의 어휘적 기재에서 어휘적 의미론적 의미에 부호화된 동사가 있다. 'promise'와 같은 동사의 의도성은 영어권 화자들이 그 단어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의 일부분이다.[9]
의지는 fluid-S와 함께 능동-stative 언어에서 두드러진다. 심리 언어학자 매튜 리스폴리의 연구에서, 그룹화 전이 동사와 자동사 동사에 관련된 측면이 적어도 세 가지 있다. 요청, 욕구 및 금지를 나타내는 동사 접미사의 적절한 사용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1) 사례 표시, 2) 테마 애니매시, 3) 계획이다.[10]
케이스
Transitive 및 interactive Action 동사 그룹은 공통된 개념적 근거를 공유한다. 여기 일본어에서 따온 예가 있다.[10]
- 비타협적
おもちゃ
오모카
장난감을
が
-ga
-SBJ
入った
하이타
들어갔다
'(입력한) 장난감'
- 타동사
おもちゃ
오모카
장난감을
を
-o
-OBJ
入れた
이레타
끼우다
'(누군가) 장난감을 넣는다.'
두 동사 그룹이 주제와 다른 통사적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타동사 및 자동사동사 그룹은 사례 표시의 형식적인 차원에서 대조될 수 있다.[10]
테마 애니매시
테마에 대한 의미적 정보는 또한 전이 작용 동사와 자동 작용 동사의 두 그룹을 구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테마 애니매시는 특징들의 조합에 기초하는 것으로 개념화된다. 첫째는 동물이라는 생물학적 사실이고, 둘째는 자기 이동을 시작하는 능력이다. 저울의 한쪽 끝에는 진정한 애니메이트가 있는데, 애니메이트는 동물이고 스스로 움직일 수 있다. 반대쪽 끝에는 동물도 아니고 스스로 움직일 수도 없는 불활성 동물들이 있다. 저울의 양쪽 끝 사이에는 인형과 자동차와 같이 애니메이션에 따라 다양한 사물의 구배가 있다.[10]
계획된 액션
어떤 비합성적인 측면은 모든 행동 동사에 공통적이다. 조치는 계획되거나 계획되지 않을 수 있다. 기획 측면은 에이전트나 배우 역할에 의해 구문에 부분적으로 반영된다. 애니메이트 에이전트는 행동을 선동하는 기획자다. '걷는다' 또는 '앉다'와 같은 자동사 동사의 배우도 기획자다. 또한 'break', 'open'과 같이 전형적으로 애니메이션 테마를 취하지 않는 일부 자동 동사도 있으며, 테마는 배우나 에이전트로 간주되지 않는다. 이러한 자동사 동사는 테마 애니매시에 근거하여 타동사와 구별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들의 주제 참조자는 전형적으로 무생물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동사는 계획되지 않은 행동을 가리킬 가능성이 높으며, 이 경우 요청, 의무, 의무, 의무 또는 금지 사항에서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테마 애니매시(animacy)의 상호작용과 행동의 계획적 특성은 직교적 행동 동사와 타동사를 구별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계획의 지표는 요청, 욕구 또는 행동 금지의 표현이다. 일본어 같은 몇몇 언어는 동사 접미사와 보조어를 사용하여 이것을 한다.[10]
부착
붙이는 접두사, 인픽스, 접미사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세 가지 유형이 모두 경과 표시에 포함될 수 있다는 교차 언어적 증거가 있다.
접두사
접두사는 남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반투어인 세소토에서와 같이 의욕을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3] 세소토는 명사에 붙는 접두사 /ho/를 사용하며 접두사를 붙이는 명사가 인수인 volient 동사에 인수구조의 변화를 일으킨다.[3] Hogeweg(2010:40)에서 채택한 다음 데이터를 관찰하십시오.[3]
디버벌 명사에서 파생된 명사 | |||||
(4) a. | |||||
호호 | -sness | -a | -seabo | ||
d.15 | -테이크 | -FV | 가르다 | ||
'참가하다/참가하다' | |||||
b | |||||
모 | -sness | -a | -seabo | ||
d.15 | -테이크 | -FV | -부분 | ||
'participant' |
인픽션
다른 언어는 인픽스를 사용하여 의향을 인코딩한다. 둘롱/라왕은 중국과 미얀마에서 사용되는 티베트-부르만 방언의 집단이다.[11] 이 언어에서, 의지는 형태소의 의미적 내용에 명시적으로 (전파) 목적(전파)을 나타내며, 전이 동사를 직관적인 동사로 변환하기 위해 valency-reasing reflective/ middle marker /-shì/의 사용에서 예시된다.[2] LaPolla(2000:289-295)에서 채택된 다음 데이터를 준수하십시오.[11]
(5) a. | 타동사, 의지 없음 | |||
티브이크릴 | -ò | -ē | ||
굴리다 | -3+TR.N.과거 | -N. 과거 | ||
'굴러가다' | ||||
b | 자동 동사, 의지 | |||
티브이크릴 | -shì | -ē | ||
굴리다 | -R/M | -N. 과거 | ||
'자신을 굴리는 것(의도적, 직관적, 의도적) |
접미사
다른 언어들은 의지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접미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티베트어에는 두 가지 주요 동사 등급이 있다: volient와 valency.[1] 티베트어의 귀동사에는 4종류, 귀동사 2종류, 비귀동사 2종이 있다.[1] 이것들은 분명히 접미사로 표시된다. /yin/는 의지를 분명히 나타내는 접미사 보조 형태소다. Tournadre(1991: 95)에서 채택한 다음 데이터를 준수하십시오.[1]
(6) a. | 귀납 | |||
페이지를 장식하다 | ||||
'보았어.' | ||||
b | 비가역적(문법적) | |||
*mthong-pa.pa.dll | ||||
' 보았다.' |
사례 표시
의미론
신할라는 동사와 비동사를 구별하기 위해 동사 형태학뿐만 아니라 케이스 마킹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자발적[who?] 의미는 우리 어휘의 어휘적 의미론 속에 암호화되어 있다고 주장되어 왔다. 신할라 동사는 통제된 행동을 전달하는지 통제되지 않은 행동 의미를 전달하는지 여부에 따라 의미적으로 분류된다. 용적 동사와 비자발적 동사의 차이는 형태론과 음운론을 통해 뚜렷하게 나타난다. 동사 분류에 따라 다른 세타 역할이 할당된다. 클래스 II 동사는 에이전트 주체 세타 역할을 선택한다. 클래스 I 및 클래스 III 동사는 통제 불능의 조치(무적)를 전달하고 ta 역할의 대상인 경험자 에이전트를 선택한다. 신할라에서 세 가지 동사 클래스의 예는 아래와 같다.[7]
신할라 동사 클래스 | ||||
(7) a. | 클래스 I(불능자) | |||
므레- | ||||
'die' | ||||
b | 클래스 II(Volitive) | |||
마라- | ||||
'킬' | ||||
c | 클래스 III(Involitive) | |||
마라와- | ||||
'죽이다' |
구문-항문 인터페이스
언어학자들은 사례 역할을 고려하여 신할리스어로의 의지에 대한 접근법에 구문을 통합한다. 볼륨 분류 동사는 신할라에서 대소문자를 할당하지 않기 때문에, 역률 사례 마커는 명목 사례를 할당하는 유한 T에 의해 결정된다.[12] 그 다음, 환자가 케이스를 얻으려면 NP가 움직여야 한다.[12] 마찬가지로, 비반복적 구성에서, 비자발적 동사는 행동의 원인이 된 외부 힘이라고 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케이스를 할당하고, (또는 고발 케이스)는 각각 신할리스 사례 마커[-tə] 또는 [-wə]로 표시한다.[7][13]
경과 이벤트와 비반복 이벤트를 비교한 예는 광택 및 영어 번역과 함께 아래와 같다.[14] 사건은 대리인의 의도 ⑴ 또는 외부 요인 ⑵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a)에서 volitive 동사가 할당한 ta 역할은 에이전트다. 대리인은 의도적으로 행동한다. 그러나 (b)에서는 비자발적 동사가 할당한 세타 역할이 경험자에게 "시범"되어 왔다. 경험자는 행동을 통제할 수 없고 오히려 사건을 경험할 뿐이다.[7]
(8) a. | Volitive(NOMM) 케이스 | |||
Maŋ | 나트슈 | -nəwa | ||
1s.-NOM | 춤을 추다 | -IMPF | ||
'나는 춤을 추고 있다' | ||||
b | 비자발적(DAT) 케이스 | |||
엄마. | -tə | Nætun | -a | |
1s. | -DAT | 춤추다 | -PST | |
'춤을 추었다(영혼에 홀리는 등 어떤 외적인 이유로.' | ||||
c | 비자발적(ACC) 사례 | |||
마아 | -wə | 네이트 | -nəwa | |
1s. | -ACC | 춤추다 | -IMPF | |
'나는 춤을 추고 있다. |
힌디어에서 의지는 특정 동사로 표현할 수 있는데, 주어가 일부러 어떤 일을 했을 때 주어가 에어로빅 케이스 접미사를 얻게 된다. 만약 주체가 무언가를 하려고 하지 않았다면, 주체는 명사가 대신 주격인 경우다.[15] 인체공학적인 케이스는 [-ne]로 표시된 케이스 마커를 사용한다.
(9) a. | 비자발적(NOM) 사례 | ||||
들이받다 | kss-a | ||||
램.MASC.NOM | 기침-PRF마스코스SG | ||||
'람이 기침을 했다.' | |||||
b | Volitive(ERG) 케이스 | ||||
들이받다 | -ne | kss-a | |||
램.MASC | -ERG | 기침-PRF마스코스SG | |||
'람은 기침을 했다(의도적으로). |
보조 기기 사용
어떤 언어는 보조 동사를 사용하여 어떤 행동이 의지로 수행되었음을 명시한다. 보조 동사는 또한 반대 조건, 즉 의향이나 제어의 결여를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본어는 의욕을 나타내는 보조와 의지의 부족을 나타내는 보조를 모두 나타내는 언어 중 하나이다. 동사 aru는 'be' 또는 'stay'의 기본적인 의미를 가지며 무생물 과목과 함께 사용된다. 보조 동사로서 -te-aru 형식에서 의지의 동사와 연계하여 어떤 것이 어떤 목적적 인간 개입의 결과로서 어떤 상태에 있음을 표현할 수 있다.[16] 이와는 대조적으로, 동사 iru는 의지의 요소 없이 단순히 존재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비전도적 직관 동사와 함께 보조 동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루는 또한 'be'나 'stay'라는 기본적인 의미를 가지지만, 애니메이션 피사체와 함께 사용된다. 이를 보조 동사로 사용하는 경우, iru가 -te-iru 형태로 나타난다.
(10) a. | 의지 | ||||
木が(ki ga) | 倒して(taoshite) | ある(-aru) | |||
트리-NOM | 폴:TE-ASP | 논패스트 | |||
'나무가 넘어졌다' | |||||
b | 의지 중립 | ||||
木が(ki ga) | 倒れて(taorete) | いる(-iru) | |||
트리-NOM | 폴:TE-ASP | 논패스트 | |||
'나무가 쓰러졌다(그리고, 땅에 누워 있다)' |
이전의 의향적 표시와 의향적 중립 보조와는 대조적으로, 동사 しま((simau)('완료, 치우기')의 보조 형식을 사용하여 의향의 부족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보조는 후회, 당황, 놀라움 또는 통제력 부족의 느낌으로 완성되거나 습관적인 행동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8][17][18][19] 캐주얼한 말투에서 시마우는 첫 번째 예에서 보듯이 ちう((-chau)(또는 과거 ちゃた-chat-ta))로 단축할 수 있다.[8]
(11) a. | 의지 부족 | ||||
네지 | 위험물을 제거 | -chat | -ta | ||
나사못을 박다 | 오다. | -시마우 | -PST | ||
'나사가 벗겨졌다(놀랍게도)' |
(12) a. | 의지 부족 | ||||||
아쓰이 | 안녕 | 니와 | 비루 | o | 논데 | -시마우 | |
더운 | 낮의 | 톱 | 맥주 | ACC | 술을 마시다.TE | -시마우 | |
'더운 날엔 결국 맥주를 마시게 되고 (그런데 어쩔 수 없다)'는 것이다. |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투르나드르, 니콜라스 티베트 에어로틱의 수사학적 사용. 1991. 웹. http://sealang.net/sala/archives/pdf8/saxena1991pathways.pdf
- ^ a b c 호게웨그, 롯데, 헬렌 드 후프, 안드레 말추코프. 시제, 양상 및 모달리티의 교차언어적 의미론적 의미론. 언어학 오늘. 148(2009년). 인쇄하다
- ^ a b c d e f 스마우스, 만토아 로즈. "세소토 제어 동사의 주제" 주문번호 3436358 플로리다 대학교 2010. 앤아버: 프로퀘스트. 웹. 2013년 10월 19일.
- ^ 달림플, 메리. 어휘 기능 문법의 의미론 및 구문: 자원 논리 접근법. 케임브리지, MA: MIT, 1999. 인쇄하다
- ^ 폴라니, 리비아, 렘코 샤. "담론 의미론에 대한 통사적 접근법."84 제10차 국제전산언어학회의 의사진행(1984년) : 413-19. ACM 디지털 라이브러리. 컴퓨터 기계 협회. 웹
- ^ a b Jacobs, Peter William (2011). "Control in Skwxwu7mesh" (PDF). Retrieved 10 December 2013.
- ^ a b c d Stonham, John (1997). "What morphology can tell us about syntax: An integrated approach to Sinhala verb formation". Language Sciences. 19 (2): 139–151. doi:10.1016/S0388-0001(96)00058-7.
- ^ a b c Fauconnier, Stefanie (1 April 2013). "Completives as markers of non-volitionality". Folia Linguistica. 47 (1): 35–53. doi:10.1515/flin.2013.003. S2CID 146901995.
- ^ a b c 탈미, 레너드, MIT 코그넷. 인지적 의미론 - Vol.2. Cambridge, Mass: MIT Press, 2000. 인쇄하다
- ^ a b c d e 리스폴리, M. 일본어에서 transitive 및 interactive action 동사 범주의 획득. 제1 언어 7.21 (1987년): 183-200. 인쇄하다
- ^ a b 라폴라, 랜디. 둘롱라왕에서 반사 및 중간 표시. 히말라야 언어학. 2(2005년): 1-13. 웹. http://www.linguistics.ucsb.edu/HimalayanLinguistics/articles/2004/PDF/HLJ02_LaPolla.pdf
- ^ a b Chu, C. T. T. & Hettiarachchi, S. (2013년) Sinhala 비자발성과 사례 표시에 대하여. 앤아버 미시간 대학교
- ^ 재니, 카르멘 (2005). 구어 신할라에서 케이스 마킹과 S, A, O의 관계. 신할라 언어학에 관한 워크숍의 진행에서.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 바바라.
- ^ 카니, 앤드류 (2012) 구문: 생성 소개(제3판). 와일리-블랙웰
- ^ 비츠락-마카레비치, A 라이프치히 문법 관계의 유형적 변화: 라이프치히 대학 박사학위 논문(2011년)
- ^ a b c 이와사키, 샤오이치. 일본인입니다 런던 동양과 아프리카 언어 도서관. 5. 암스테르담: 2002년 존 벤자민 출판사 인쇄하다
- ^ Minna no Nihongo II. Japan: 3A Corporation. 1998. p. 29. ISBN 978-4-88319-108-6.
- ^ Suzuki, Ryoko (1999). "Language socialization through morphology: the affective suffix -CHAU in Japanese". Journal of Pragmatics. 31 (11): 1423–1441. doi:10.1016/s0378-2166(98)00114-3.
- ^ a b c Abe, Sayaka. "Space, time, subjectivity and beyond: The cognitive semantic development of the Japanese marker-te-shimau".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ProQuest 304775482.
츄&헤티아라치(2016년). Sinhala 대상 사례 표시 및 A-이동. 링구아 177 페이지 4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