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소좀펩타틴-비감수성단백질가수분해효소라고도 알려진곱창티딜펩티드가수분해효소 1은 TPP1[5][6]유전자에 의해 인체에서 코드되는 효소이다.TPP1은 텔로미어를 보호하고 ACD[7]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TPP1 쉘터린 단백질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TPP1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말기 영아 신경[8]세로이드 리포푸신증으로 이어진다.
인간의 TPP1은 크기가 61kDa이고 56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대체 스플라이싱에 의해 34.5kDa와 320개의 아미노산의 이소폼을 생성하고 아미노산 1~243개의 펩타이드 단편을 [9]결손한다.TPP1은 서브틸리신 모양의 접힘을 가진 구상구조 Ser475-Glu272-Asp360 촉매삼합체를 포함한다.또한 S53 세돌린 계열의 펩티드가수분해효소 특징인 팔중격배위 Ca결합부위도2+ 포함하고 있다.다른 S53 펩티다아제와는 달리, P4 기질 포켓에 입체 구속을 가지며, 이는 단백질의 미치환 N 말단으로부터 곱창이 선호되는 분할에 기여할 수 있다.촉매 ASP276의 두 가지 대체 구성은 TPP1의 [10]활성화 상태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기능.
TPP1의 높은 발현은 골수, 태반, 폐, 송과 및 림프구에서 발견된다.프로테아제는 리소좀에서 N 말단 곱창을 기질로부터 분리하는 기능을 하며 엔도펩티드가수분해효소 활성이 약하다.이는 촉매적으로 비활성화된 효소로 합성되며, 산성화 시 활성화되고 자동 분해된다.
임상적 의의
신경 세로이드 리포푸시노시스(NCLs)는 신경세포와 다른 세포 유형에 존재하는 형광성 리포포메이션이 자동화되는 병리학적 표현형을 가진 유전 신경 변성 질환의 그룹이다.지난 20년 동안 축적된 증거는 NCL이 여러 개의 수용성 단백질을 코드하는유전자를 포함한 8개의 다른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11]TPP1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리소좀에서 [12]특정 신경펩타이드 및 ATP 합성효소의 서브유닛을 분해하지 못하는 것과 관련된 후기 영아 신경 세로이드 리포푸시노시스(ceroid lipofuscinosis)를 초래한다.TPP1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10]소아기의 치명적인 신경변성 질환인 유아기 신경세로이드 리포푸시노시스(ceroid lipofuscinosis)를 유발한다.질병 진행 초기 단계에서 TPP1 발현 구조에 의해 전달된 자가 골수 유도 줄기세포의 체내 임플란트를 한 번 주입하는 것은 질병 관련 망막 기능 결손과 구조적 변화의 발생을 상당히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이 결과는 자가줄기세포를 이용한 생체외 유전자 치료가 전신 투여가 비효율적일 [13]수 있는 망막과 같은 조직에 치료용 화합물을 지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일 수 있음을 암시한다.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Liu CG, Sleat DE, Donnelly RJ, Lobel P (June 1998). "Structural organization and sequence of CLN2, the defective gene in classical late infantile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Genomics. 50 (2): 206–12. doi:10.1006/geno.1998.5328. PMID9653647.
Hofmann SL, Atashband A, Cho SK, Das AK, Gupta P, Lu JY (August 2002). "Neuronal ceroid lipofuscinoses caused by defects in soluble lysosomal enzymes (CLN1 and CLN2)". Current Molecular Medicine. 2 (5): 423–37. doi:10.2174/1566524023362294. PMID12125808.
Maruyama K, Sugano S (January 1994). "Oligo-capping: a simple method to replace the cap structure of eukaryotic mRNAs with oligoribonucleotides". Gene. 138 (1–2): 171–4. doi:10.1016/0378-1119(94)90802-8. PMID8125298.
Page AE, Fuller K, Chambers TJ, Warburton MJ (November 1993).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ripeptidyl peptidase I from human osteoclastomas: evidence for its role in bone resorption". Archives of Biochemistry and Biophysics. 306 (2): 354–9. doi:10.1006/abbi.1993.1523. PMID8215436.
Sleat DE, Donnelly RJ, Lackland H, Liu CG, Sohar I, Pullarkat RK, Lobel P (September 1997). "Association of mutations in a lysosomal protein with classical late-infantile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Science. 277 (5333): 1802–5. doi:10.1126/science.277.5333.1802. PMID9295267.
Suzuki Y, Yoshitomo-Nakagawa K, Maruyama K, Suyama A, Sugano S (October 1997). "Constr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ull length-enriched and a 5'-end-enriched cDNA library". Gene. 200 (1–2): 149–56. doi:10.1016/S0378-1119(97)00411-3. PMID9373149.
Rawlings ND, Barrett AJ (January 1999). "Tripeptidyl-peptidase I is apparently the CLN2 protein absent in classical late-infantile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Protein Structure and Molecular Enzymology. 1429 (2): 496–500. doi:10.1016/S0167-4838(98)00238-6. PMID9989235.
Ezaki J, Takeda-Ezaki M, Oda K, Kominami E (February 2000). "Characterization of endopeptidase activity of tripeptidyl peptidase-I/CLN2 protein which is deficient in classical late infantile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68 (3): 904–8. doi:10.1006/bbrc.2000.2207. PMID10679303.
Ezaki J, Takeda-Ezaki M, Kominami E (September 2000). "Tripeptidyl peptidase I, the late infantile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gene product, initiates the lysosomal degradation of subunit c of ATP synthase". Journal of Biochemistry. 128 (3): 509–16. doi:10.1093/oxfordjournals.jbchem.a022781. PMID10965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