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아가빈
Tiagabine임상자료 | |
---|---|
발음 | /taɪˈæɡəbiːn/ |
상명 | 가비트릴 |
AHFS/Drugs.com | 모노그래프 |
메드라인플러스 | a698014 |
임신 범주 |
|
경로: 행정 | 구강(테이블) |
ATC 코드 | |
법적현황 | |
법적현황 | |
약동학 데이터 | |
생체이용가능성 | 90–95%[1] |
단백질 결합 | 96%[1] |
신진대사 | 간극(CYP450 시스템,[1] 주로 CYP3A)[2] |
행동 개시 | Tmax = 45분[2] |
제거 반감기 | 5~8시간[3] |
배설 | 분변(63%)과 신장([2]25%) |
식별자 | |
| |
CAS 번호 | |
펍켐 CID | |
IUPHAR/BPS | |
드러그뱅크 | |
켐스파이더 | |
유니 | |
케그 | |
체비 | |
켐벨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 |
공식 | C20H25NO2S2 |
어금질량 | 375.55 g·190−1 |
3D 모델(JSmol) | |
| |
| |
(iii) |
티아가빈(무역명 가비트릴)은 세팔론(Cephalon)이 생산한 항경련제 약물로 간질 치료에 쓰인다. 이 약은 또한 불안장애와 공황장애의 치료에도 오프라벨로 사용된다.
의학적 용법
Tiagabine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12세 이상의 개인에서 부분 발작에 대한 보조적 치료법으로 승인받았다. 불안장애와 공황장애는 물론 신경성 통증(섬유종양통 포함)을 치료하기 위해 의사들이 처방할 수도 있다. 불안과 신경성 통증에 대해, 티아가빈은 주로 다른 치료법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된다. 티아가빈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노레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또는 불안의 경우 벤조디아제핀, 항우울제, 가바펜틴, 기타 항경련제, 신경통증의 경우 오피오이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4] 부분적 발작 치료에 있어 다른 항균제와의 단요법과 결합요법으로 효과적이다.[5]
부작용
티아가빈의 부작용은 선량과 관련이 있다.[5] 티아가빈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현기증이다.[6] 위약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비율로 관찰된 다른 부작용으로는 아스테니아, 졸음, 신경증, 기억장애, 떨림, 두통, 설사, 우울증 등이 있다.[6][7] 혼동, 실어증/발작, 그리고 마취와 같은 부작용은 약의 더 높은 용량(예: 8mg/일 이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6] 티아가빈은 간질이 없는 사람들에게 발작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그들이 발작 임계값을 낮추는 다른 약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 특히 그렇다.[4] 비록 데이터가 혼재되고 결론이 나지 않지만, 티아가빈 치료로 정신병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1][8] 티아가빈도 시각적 색채 인식에 지장을 줄 수 있다고 한다.[1]
경고
- CNS 우울증
- 피부과 반응
- 일반화 약점
- 안과 효과
- 자살 관념[9]
과다 복용
티아가빈 과다복용은 무기력증, 단발성 또는 다발성 발작, 상태 간질, 혼수상태, 혼수상태, 동요, 떨림, 현기증, 다이스토니아/비정상적 자세, 환각 등의 신경학적 증상뿐만 아니라 호흡기 우울증, 빈맥증, 고혈압, 저혈압 등을 일으킬 수 있다.[10] 특히 피해자가 심각한 호흡기 우울증 및/또는 반응이 없는 경우 약물 과다 복용이 치명적일 수 있다.[10]
약리학
티아가빈은 중추신경계의 주요 억제 신경전달물질인 ),아미노부틸산(GABA)의 수치를 GABA 트랜스포터 1(GAT-1)을 차단해 증가시켜 GABA 재흡수 억제제(GRI)로 분류된다.[3][11]
약리역학
티아가빈은 주로 간질 치료에 항경련제로 사용된다. 티아가비인이 항진작용을 하는 정확한 메커니즘은 알 수 없으나 중추신경계의 주요 억제 신경전달물질인 감마 아미노부티산(GABA)의 활동을 증가시키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Tiagabine은 GABA uptake carrier의 인식 사이트에 부착된다. Tiagabine은 이러한 작용의 결과로 GABA가 사전 시냅스 뉴런으로 흡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더 많은 GABA가 사후 시냅스 세포 표면의 수용체 결합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12]
모니터링 매개 변수
발작 빈도, 간기능 검사, 자살률[13]
역사
티아가빈은 1988년 덴마크 노보노르디스크에서 클로스 브뤼스트르트의 총지휘 아래 의약화학자와 약리학자로 구성된 팀에 의해 발견되었다.[14] 이 약은 애보트 연구소와 40/60의 비용 분담 계약을 맺고 공동 개발되었으며 애보트는 덴마크 회사로부터 IP 라이선스에 대한 프리미엄을 지불했다.[citation needed]
오렌지북에 등재된 미국의 티아가빈 특허는 2016년 4월 만료됐다.[15]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Thomas L. Lemke; David A. Williams (24 January 2012). Foye's Principles of Medicinal Chemistr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 562–. ISBN 978-1-60913-345-0.
- ^ a b c "Gabitril (tiagabine hydrochloride) Tablets. U.S. Full Prescribing Information" (PDF). Cephalon, Inc. Retrieved 8 April 2016.
- ^ a b Brodie, Martin J. (1995). "Tiagabine Pharmacology in Profile". Epilepsia. 36 (s6): S7–S9. doi:10.1111/j.1528-1157.1995.tb06015.x. ISSN 0013-9580. PMID 8595791. S2CID 27336198.
- ^ a b Stahl, S. Stahl의 필수 심리학: 처방전 안내서.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뉴욕, 2009. 페이지 523-526
- ^ a b "Tiagabine", LiverTox: Clinical and Research Information on Drug-Induced Liver Injury, Bethesda (MD):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2012, PMID 31643697, retrieved 2021-12-24
- ^ a b c Leppik, Ilo E. (1995). "Tiagabine: The Safety Landscape". Epilepsia. 36 (s6): S10–S13. doi:10.1111/j.1528-1157.1995.tb06009.x. ISSN 0013-9580. PMID 8595787. S2CID 24203401.
- ^ M.J. Eadie; F. Vajda (6 December 2012). Antiepileptic Drugs: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459–. ISBN 978-3-642-60072-2.
- ^ J. K. Aronson (2009). Meyler's Side Effects of Psychiatric Drugs. Elsevier. pp. 652–. ISBN 978-0-444-53266-4.
- ^ Pellock, John M. (2001-12-20). "Tiagabine (Gabitril) Experience in Children". Epilepsia. 42: 49–51. doi:10.1046/j.1528-1157.2001.042suppl.3049.x. ISSN 0013-9580.
- ^ a b Spiller, Henry A.; Winter, Mark L.; Ryan, Mark; Krenzelok, Edward P.; Anderson, Debra L.; Thompson, Michael; Kumar, Suparna (2009). "Retrospective Evaluation of Tiagabine Overdose". Clinical Toxicology. 43 (7): 855–859. doi:10.1080/15563650500357529. ISSN 1556-3650. PMID 16440513. S2CID 25469390.
- ^ Pollack MH, Roy-Byrne PP, Van Ameringen M, Snyder H, Brown C, Ondrasik J, Rickels K (November 2005). "The selective GABA reuptake inhibitor tiagabine for the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results of a placebo-controlled study".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6 (11): 1401–8. doi:10.4088/JCP.v66n1109. PMID 16420077.
- ^ "Gabitril (tiagabine) dosing, indications, interactions, adverse effects, and more". reference.medscape.com. Retrieved 2021-12-24.
- ^ Adkins, J. C.; Noble, S. (March 1998). "Tiagabine. A review of its pharmacodynamic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and therapeutic potential in the management of epilepsy". Drugs. 55 (3): 437–460. doi:10.2165/00003495-199855030-00013. ISSN 0012-6667. PMID 9530548.
- ^ Andersen KE, Braestrup C, Grønwald FC, Jørgensen AS, Nielsen EB, Sonnewald U, Sørensen PO, Suzdak PD, Knutsen LJ (1993). "The synthesis of novel GABA uptake inhibitors. 1. Elucidation of the structure-activity studies leading to the choice of (R)-1-[4,4-bis(3-methyl-2-thienyl)-3-butenyl]-3-piperidinecarboxylic acid (tiagabine) as an anticonvulsant drug candidate". J. Med. Chem. 36 (12): 1716–25. doi:10.1021/jm00064a005. PMID 8510100.
- ^ 오렌지 북 인덱스 페이지. 2016년 3월 22일 접속
외부 링크
- 가비트릴(제조업체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