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르굼 조나단

Targum Jonathan

Targum Jonathan (Hebrew: תרגום יונתן בן עוזיאל), otherwise referred to as Targum Yonasan/Yonatan, is the official eastern (Babylonian) targum (Aramaic translation) to the Nevi'im.

인쇄기의 오류로 인해 흔히 '타금 조나단'으로 알려진 도라의 아라마어 번역본 타금 사이비 조나단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기원

그것은 토라를 위한 타르굼 온켈루스처럼 예언자들의 번역문을 읽는 회당에서 매주 수업과 함께 시작되었다.

탈무드[1] 자신의 저자를 힐렐 장로의 제자 조나단 벤 웃시엘의 탓으로 돌린다. 이 출처에 따르면, 조나단 벤 웃시엘이 "하가이, 스가랴, 말라치의 입에서 나온 것"으로 작곡한 것으로 보아, 마지막 예언자로부터 유래한 전통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스라엘 온 땅이 흔들렸고 하늘로부터 `누가 내 비밀을 사람의 자녀에게 밝혔느냐 ?' 하는 목소리가 울었다는 추가 진술은 요나단이 한 일의 참신함과 그로 인해 초래한 실망의 전설적인 반영이다. 이 이야기는 조나단이 케투빔도 번역하기를 원했지만, 천상의 음성이 그를 단념시켰다고 덧붙인다. 가말리엘 1세에 의해 유통에서 탈퇴한 타르굼 투 은 그가 케투빔을 번역하려는 시도의 결과를 대변했을지도 모른다.[2]

조나단 벤 웃시엘은 힐렐의 가장 뛰어난 제자로 이름이 나 있으며,[3] 그의 타르굼에 대한 언급은 적어도 역사적 가치가 있기 때문에 예언자들에게 현재의 타르굼을 위한 토대가 되었다는 가정을 논박할 필요가 없다.[4]

그러나 그것은 바빌로니아에서 수정되기 전에 완전히 수정되었다. 바빌로니아 탈무드에서는, 두 개의 성서 구절을 언급하면서,[5][6] "만약 타르굼이 없다면 우리는 이 구절의 의미를 알지 못한다"[7]고 말하는 품베디타 아카데미의 대표 요셉이 특히 빈번하게 인용하고 있다. 이것은 4세기 초에 예언자들에게의 타르굼이 고대의 권위를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

하이 가온은 요셉이 번역한 랍 요셉이라는 글귀와 함께 그 구절을 인용했기 때문에 요셉을 작가로 간주한 것으로 보인다.[8]

언어 분석

타르굼 조나단의 언어는 아람어다. 그것의 전체적인 스타일은 타르굼 온켈로스(펜타테우치)와 매우 유사하지만, 때로는 성경 본문을 더 느슨하게 비유하는 것 같다.[9]

단 한 번의 보복으로 생긴 결과다.[4]

타르굼 온켈로스처럼 3세기 바빌로니아에서 보편적인 인정을 받았으며, 바빌로니아 학원에서 디아스포라 전역으로 운반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이스라엘 땅에서 유래되었고, 그 후 바빌로니아의 토속어에 적응되었다. 그래서 그것은 페르시아어의 산발적인 예를 포함하여 타르굼 오닐로스와 같은 언어적 특색을 포함하고 있다.[10] 팔레스타인과 바빌로니아의 문헌이 다른 경우, 이 타르굼은 후자를 따른다.[11]

타르굼 조나단은 고대(2세기 CE)로 작곡되었지만, 지금은 텍스트 변형이 많이 들어 있는 중세 원고를 통해 알려져 있다.[12] 가장 초기의 증명은 바빌로니아 니푸르에서 발견된 아람어 인환 사발제르 2:1–2와 에즈 21:23의 인용구로 나타난다.[13]

리트러시 용법

탈무드 시대에 (그리고 오늘날까지 예멘의 유대인 사회에서는) 타르굼 조나단은 회당에서 하프타라의 히브리 구절과 대안으로 한 구절씩 번역된 것으로 읽혔다. 따라서 탈무드가 '한 사람은 성경을 두 번 읽고 타르굼을 한 번 읽으면서 공동체와 함께 자신의 경전의 일부를 완성해야 한다'[14]고 진술할 때, 그 구절을 타르굼 조나단(도라에 있는 타르굼 온켈로스도 참조할 수 있다.

참고 항목

참조

  1. ^ 메길라 3a
  2. ^ 바허의 "Ag. Tan"을 참조하라. i. 23 외 Seq.; 2d Ed, 페이지 20 외 Seq.
  3. ^ 수카 28a
  4. ^ a b 유대인 백과사전, 타르굼
  5. ^ 바허에게 "Ag. Bab. 아모르." 페이지 103
  6. ^ 이사야 8:6스가랴 12:11
  7. ^ 산헤드린 94b; 모이드 카탄 28b; 메길라 3a
  8. ^ 『아루크』에 인용된 ṭohorot에 대한 해설: 코후트, "아루치 콤플렉텀", i. 293a, 308a.
  9. ^ A. 신안, "타금 사이비-조나단: 더 많은 댓글", JJS 61 (1990) 60 (57-61), 논평, 그런 결론...
  10. ^ 예: "엔데룬", 심판 15:1, 16:12; 조엘 2:16; "다스타카" = "다스타", 심판 3:22
  11. ^ "madin'a'e; 핀커, "Einleitung in die Babilonische Punktuation", 페이지 124
  12. ^ 헥터 M. 패트모어, 서양의 타르굼 조나단의 전승 : 새뮤얼에게 보내는 타르굼의 이탈리아어와 아슈케나지 필사본에 대한 연구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3. ^ 스테판 A. 카우프만, "니푸르에서 온 독특한 마법의 그릇," 근동 연구 32권(1973), 페이지 140–143.
  14. ^ 베라크핫 8a-b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