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프제벨레스 방언

Skopje-Veles dialect
마케도니아 방언 중 스코프제벨레스 방언의 위치

스코프제-벨레스 방언(Macedosian: спп оо---,,,,,,,, Skopsko-velleshki dijalekt)은 마케도니아어 방언의 서구 그룹의 중심 하위 그룹의 일원이다. 이 방언은 스코프제, 벨레스, 그리고 주변 마을들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한다. 볼코보, 카트라노보, 페트로베크, 차슈카 등이 그 중 하나이다. 이 방언은 많은 사람들에 의해 명언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마케도니아어로서는 역사적 중요성이 있다.[citation needed] 1945년 8월 2일, 중앙집단의 다른 방언들과 함께 스코프제-벨레스 방언은 표준 마케도니아어의 기준으로 공식적으로 규제되었다. 많은 마케도니아 작가들과 언어학자들은 이 방언에 글을 쓰고 있었고 그것을 표준 마케도니아어로 여겼다.[citation needed] 그 중 하나가 크레스테 페트코프 미시르코프였고 그의 저서 마케도니아 정사를 위해 이 방언은 표준 마케도니아어여야 한다고 썼다. 그는 스코프-벨레스 사투리와 프리렙-비톨라 사투리에 글을 써왔다.[1]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수도 스코프제로내부 이주는 새로운 도시 속어가 개발되어 새로 도착한 사람들이 스코프제-벨레스 사투리의 요소들을 그들 자신의 연설에 포함시키려고 시도했고 종종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사투리와 지역적 요소들을 혼동하기도 했다. 당시 SFR 유고슬라비아에서 더욱 권위 있는 언어였던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의 언어 접촉도 이 기간 동안 극에 달했다.품종은 '세르비아어([2]cf. 또한 우크라이나의 수르지크, 벨라루스의 트라시앙카)'로 묘사되어 왔으며 '진정한' 스코프-벨레스 사투리와는 구별된다.

음운학적 특성

  • /x/: 고어 대신 /v/ 사용(strah) > сраа(strav; 'fear');
  • 대부분 벨레스에서 소수 음절을 강조하고 스코프제에서는 소수 음절을 강조한다.
  • 하드(치명적) l의 사용;
  • intervocal /v/: useчк(chovek; 'man')의 사용;
  • 경음 њ (nj)의 사용(중앙 그룹의 다른 방언에서는 이 소리가 부드럽다);
  • 문자 ќ과 ѓ의 사용(중앙 그룹의 다른 방언에서 클러스터 јќ과 јѓ이 발견됨): кура(쿠아차) – кура(쿠야차; '집').

형태학적 특성

  • 전치사 о코바(vo) 또는 v(v)의 사용;
  • 문법구조의 사용에는 + 과거분사가 있다: иам 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 (imam raboteno; 'I have
  • 세 가지 물품의 사용

스코프제-벨레스 사투리의 예

콜레 네델코프스키의 시 "마케도니아에서 온 목소리"는 아마도 스코프제-벨레스 사투리로 쓰여진 가장 유명한 텍스트 중 하나일 것이다.

스코프제 방언

И кога о́тишол та́му, прет ку́ќата и́мало еднаја́бука. И сека́чил на ја́буката. Ииско́чило ла́мн’ичето и ви́ка: „И, ма́мо, ка́коф сра́шен ју́нак има на ја́буката“. „Ка́ко гија́де, ќе́рко, ја́буките, а́ли сосвели́стот, а́ли ѓио́дбира“? „Неѓио́дбира, не́“. „Е, нее сра́шен зана́с, ви́книгова́му“. Коагови́кнале та́му, ио́на ту́рила сла́ма даза́пали о́ѓин дамуна́прави ве́чера, и муви́ка: „Наве́днисеју́наче“. Он сена́веднал ио́на гога́лтнала. Ии́сто исофто́ријот бра́т та́ка. И ќе́лчо че́кал, че́кал, бра́ќава ѓине́ма. Ќи́нисал даи́де и о́н. Игосре́тнал симиџи́јата и муви́ка: „Ка́де, бреќе́лчо“? „Уто́ва се́ло и́ма еднала́мн’а, ќи́дам дајауте́пам...[3]

벨레스 방언

Еден та́тко сии́мал тро́јца си́нови. Сино́вите ре́кле: „Та́тко, ве́днага са́каме данеже́ниш“. Он имре́кол: „Зе́мете пое́дно ста́пче, фрлете одри́дот, и нако́ја ку́ќа ќевипа́дне, отту́ка не́веста ќезе́мете“. Фрли ста́риот, уа́рна ку́ќа мусепо́годи; фрли среѓниот, ине́му та́ка, анама́лиот мо́ре. Два́јцата бра́ќа би́ле сре́ќни, аво́ј на́јмалиов не́среќен. Се́днал накра́ј намо́рето имука́жује наго́спода: „Го́споди, што́ ќезе́мам одмо́ре, цел све́т дамисесме́е“. Бра́ќата сигизе́доја неве́стите исе́а ќео́дат дави́дат шо ќезе́ме ма́лиот. Оти́доа домо́ре игипу́штија чинѓе́лите засони́м не́што даизма́кнат. Во мо́рето и́мало еднама́јка иќе́рка. Ма́јката сијаче́шла ќе́рката и муви́ка насвато́вите: „Кре́нетесиги чинѓе́лите, несместа́сани“...[3]

참조

  1. ^ Koneski, Blaže (Блаже Конески) (1967). Gramatika na makedonskiot literaturen jazik Граматика на македонскиот литературен јазик (in Macedonian). Skopje: Kultura. pp. 68–69.
  2. ^ Kortmann, Bernd; Auwera, Johan van der, eds. (2011).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Europe: A Comprehensive Guide. Berlin: Walter de Gruyter. p. 420. ISBN 978-3110220261.
  3. ^ a b Bojkovska, Stojka (Стојка Бојковска); Minova-Ǵurkova, Liljana (Лилјана Минова – Ѓуркова); Pandev, Dimitar (Димитар Пандев); Cvetkovski, Živko (Живко Цветковски) (2008). Dimitrova, Savetka (Саветка Димитрова) (ed.). Opšta gramatika na makedonskiot jazik Општа граматика на македонскиот јазик (in Macedonian). Skopje: AD Prosvetno delo. pp. 436–437. OCLC 888018507.

참고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