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속신사론
Secular Shrine Theory시리즈의 일부 |
신토 |
---|
세속신사론( jin家神社論)은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메이지 [citation needed]정부의 정교 분리로 인해 일본에서 생겨난 종교 정책이자 정치 이론이다.신사는 [1]종교가 아니라 세속적인 것이고, 신도는 종교가 아니라 일본의 민족적 전통이라는 생각이었다.이것은 국가 신도와 연결되었고 국가가 신도를 통제하고 집행하는 것은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과 연결되었다.이 시기에 큰 논쟁의 대상이 되어 쇼와 [2]시대에는 쇠퇴해 없어졌다.
언어 토론
종교라는 단어를 일본어로 번역하는 것은 처음부터 논란이 되어 왔으며, 일부 학자들은 그것이 신도에 [1]적용되지 않는 기독교 개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고자키 히로미치는 영어 '종교'를 '슈쿄'( sh京)[a][3]로 번역한 뒤 후쿠자와 유키치(福澤由一)가 '슈몬'(宗門)[b]과 '슈시'([c][4]ū ()로 번역했고, 나카무라 마사나오(中村正 nakamura)는 '호쿄'([d][5]ō京)로 번역했다.
가토 겐치씨에 의하면:
일본 기독교가 일본어로 번역할 때 기독교가 진정한 종교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던 것은 틀림없다.그러나 일본에서는 세계 주요 종교인 불교가 기독교 이전에 존재했고 상당한 수의 신도들이 있었다.승려 중에는 대제사장들과 훌륭한 학자들이 많이 있었다.아무도, 심지어 기독교인들도 이 사실을 무시할 수 없었기 때문에, "종교"라는 단어의 번역이 보급되었을 때, 기독교가 모든 종교 중에서 가장 위대하고, 거기에 불교가 추가되어 "종교"라는 단어의 번역에 포함될 수 있다는 생각이 있었을 것이다.종교라는 단어의 번역은 불교 기독교 등 세계종교와 개별종교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 종교학에서 [6]부족종교 민족종교 집단종교를 대상으로 한 번역은 아니라는 얘기다.
— Genchi Kato, A Reexamination of the Shrine Question: The True Meaning of Shinto and Education in Japan
즉, 「종교」[1]의 번역에 신도는 포함되지 않았다.
다이쇼 시대(1912~1926년)에 종교라는 단어의 기원은 기독교의 [7]학문에서 유래한 라틴어로 거슬러 올라간다.키케로 자신으로부터 추적된 이 단어의 고전적인 어원은 레고에서 유래했다: 접두사 re-"다시" + lego "읽기". 여기서 레고는 "넘어보기", "선택하기" 또는 "주의 깊게 고려하기"의 의미이다.톰 하푸르와 조셉 캠벨과 같은 현대 학자들은 리갈리오가 리갈레("다시") + 리갈레("바인드; 커넥트")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리갈레 ("bind; connect")에서 락탄티우스의 해석을 따랐다.[8][9]
그들은 나를 오랫동안 알고 지냈고, 그들이 원한다면, 내가 우리 종교의 가장 엄격한 종파에 순응했고, 바리새인으로 살았다고 증언할 수 있다.
--
불교 학자 나카무라 하지메에 따르면, 주쿄라는 단어는 불교에서 유래했다고 한다.불교에서, 그것은 "종파의 가르침" 즉, 궁극적인 원칙이나 진실을 의미하는 "종파"의 "교육"을 의미하며, 종교는 [10]불교의 하위 개념으로 존재했다.
또한 기독교 신학에서, 그 단어의 의미와 표현은 오늘날 [11][clarification needed][verification needed]사용되는 라틴어에서 원래의[need quotation to verify] 형태로 받아들여졌다고 믿어진다.일본에서 기독교의 입장은 신도가 도입된 이래 줄곧 종교라는 것이었다.일본에서는 외국 종교에 대한 경계감이 뿌리 깊게 자리 잡았고 이에 따라 문제가 발생했다.메이지 시대 초에 시작된 기독교 선교 활동도 종파별로 나뉘었고 이로 [12]인해 문제가 생겼다.
히라타 아츠타네를 시작으로 한 고대 신도의 귀환은 종교의 [13][clarification needed]함축이 강하다.마쓰리가 전국 규모로 열리는지,[14][clarification needed] 지역사회의 전통 행사로 열리는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마쓰리의 행위를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가 하는 문제도 국교냐, 전통행사로 [15]취급해야 하느냐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신도측이 [6]세속신사론을 채택한 것도 신도는 불교나 기독교와는 다르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반대로 불교와 기독교 쪽에서는 신도는 존경의 대상이 있기 때문에 종교라는 주장이 있었다.
물론 당시 신사의 종교적, 비종교적 성격은 법적 문제가 아니라 순수하게 종교 연구의 문제로 논의되었다.그러나 대학과 학계의 영역 내 논쟁이었고 정치 [16]운동으로 발전한 적도 없었기 때문에 여론을 움직일 수 있는 사회적, 정치적 이슈가 된 적은 없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현대적 반대가 있다.햄버거, 성스러운 [17][18]캐노피에서.
종교는 다양하고, 복잡하고, 다면적인 측면이 있는 포괄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만약 우리가 그 특징의 한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종교를 정의하려고 한다면, 다른 중요한 측면들은 무시될 것이다.그러므로, 우리가 종교의 한 측면을 특징으로 삼는다면, 다른 중요한 측면들은 무시될 것이다.이와 같이, 과학적인 관점에서 종교를 인식하는 방식도 다양한 관점으로 나뉜다.그러므로, 모든 [18]연구자들에 의해 최종적으로 합의된 종교에 대한 단일 정의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해야 한다.
— Peter L. Berger, Holy Canopy: Sociology of the Holy World
메이지 헌법
메이지 헌법은 [19]신하로서의 의무를 유추하지 않는 한 신하의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이는 황실 컬트를 분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1882년 1월 24일, 내무성의 고시에 의하면, 신사는 종교적이지 않다(신사설).[20]다만, 현청사 아래에서는 신도의 장례는 허가되어 있어, 큰 신사의 승려는 성직자로 간주되지 않았다.
라는 주장이 있었다
신사는 태초부터 국가 정체성과 분리할 수 없는 일본인의 고유 신념으로 헌법의 기초가 되고 있다.헌법 조항에 신사라는 조항이 없는 것은 당연하며, 일본인의 신사 신앙은 헌법의 종교의 자유 조항이 되어서는 안 된다.신도의식의 내용은 유교적 도덕과 불교적 사고와 국가 고유의 신앙이 결합된 것이다.이것은 완전한 신사 제도가 아니다.신사의 현주소를 모두 수용하여 신사의 제도를 확립하고,[22] 한마디로 번역법의 테두리를 벗어나 제국 고유의 형태를 갖추어 모든 나라에서 독보적인 형태를 갖추어야 한다.
1930년경 내무성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종교법안과 신사의 관계에 대하여'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사당은 국가의 공공 의식을 위해 제도적으로 존재한다.동시에 개인은 신사를 통해 참배 대상을 얻을 수 있지만, 이는 신사의 본래 목적이 아니라 신사의 제도에 따른 반사적 이익일 뿐이다.국가는 원칙적으로 국민 개개인의 신앙에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일본제국 헌법 제28조), 신사가 국민 개개인의 신앙의 대상이 되는 것은 신사를 제도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국가의 목적이 아니라고 다시 설명할 필요는 없다.신도의 존재를 인정하고, 따라서 신사를 종교로서 취급해야 한다고 가정하면, 신사는 우리나라의 종교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국가 고유의 신도는 어느 시대나 유례가 없기 때문에 유럽 국가들의 이른바 민족 종교와는 엄격히 구분되어야 한다.간단히 말해서, 종교의 학문적 정의와 상관없이, 사당은 제도적으로 우리 나라의 [23]의식이다.
신토 내부의 논란
당초 메이지 정부는 대종교 선언으로 의식과 관치의 통합을 지향했지만 교직을 둘러싼 불교측과 신도측의 갈등으로 신불의 공동사명이 금지됐다.그것은 각 종교행정이 내무부로 이관되는 것으로 시작된다.다음은 '신도 논쟁'에서 '종교와 정사의 분리'로 이어진 상황을 기술한 것이다.정무의 분리는 신토측이 제안해, 마루야마 사쿠라이 이 주도했다고 한다
다이쿄인의 해체에 따라 신묘 사무국이 설치되었고, 1881년 이세파의 다나카 요리쓰네 tanaka)와 이즈모파의 다카토미 센게 [ sen 신부가 [25]메이지 천황에게 제사를[24] 청했다.조도신주 측은 이 혼란스러운 상황을 좌시하지 않고 마쿠라이 시마지 [)에 이어 치기리엔 아쓰미( 와 아카마츠 렌조 松 ren) 등 이론가들이 잇따라 나서 정부에 [26]협조를 당부했다.신도는 종교가 아니라는 마쿠라이 의 이론과 그것을 확인하도록 강요받은 정치권력, 국가 의식에 관여하는 승려에 의한 모든 종교적 언행, 가르침, 종교행위(장례 등)를 금지한 것이다.이렇게 되면 '종교로서의 신도'[26]가 국교가 되는 길이 완전히 막혔을 것이다.
신도측의 주요 지지자가 누구인지는 명확하지 않다.원래 '종교'라는 단어는 영어 '종교'를 번역한 것이어서 그 개념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신도 측은 신도를 국교 또는 주요 종교라고 불렀지만 신도가 종교의 일부라는 설은 없었다.사쿠라이 마루야마 등의 비종교설은 신도가 의례신앙 등으로 분열되고 있는 상황과 신도가 신앙신앙과 같은 새로운 용어로 국위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이러한 [27]분할을 중지하지 않습니다.
게이오 대학의 게이노 요시오 씨에 의하면, 정부는 당초, 비종교적인 신사론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불교측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했다고 한다.종교의 정의가 장례식을 [28]치르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 중 야마다 아키요시 내무대신은 사쿠라이 [29]마루야마 등 신토측이 제시한 무종교 신사론을 채택했다.
그 후 다카토미 센게는 하기 위해 신무국을 떠나 이즈모 다이샤교를 [30]설립했다.
신복귀운동부
사쓰마의 난 이후, 사쓰마 번과 다른 시조쿠는 우지가미를 모신 신사의 경영에 중점을 두기 시작했다.그리고 그와 함께, 사제단은 자유와 [31]인권 운동으로 부상했다.
1887년 6월, 규슈의 신도가 사이카이 연고회를 조직해 전국의 신도에 호소해, 강한 동정심을 불러일으키고, 전국적인 신도의 [32]조직적인 운동으로 부상했다.1887년 11월 17일, 각 도도부현 대표들이 황실고전연구소에서 회합하여 각 위원들이 승려협회를 결성하여 전국적으로 [33]신사 부흥운동이 시작되었다.
또, 1890년 3월에는, 신도를 원래대로 [34]되돌리기 위해서 신도를 종교로서 포함시켰다는 소문이 신도계에 퍼졌다.
또, 1913년 6월 13일, 신사 이외의 종교를 관할하던 내무성 종교국이 폐지되어 문부과학성 [36]종교국으로 이관되었다.
또 1890년대 전국적 신사 부흥운동의 배경에는 신도의 종주권 축소를 추진하던 정부에 대한 신도의 승려와 신도의 관계자들의 위기감이 있었다.교령설이 나돌자 이른바 민사(民沙) 승려의 교직을 도도부현(都道府縣)이나 신사([37]神社)의 직급 이하로 되돌려 신도를 복원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됐다.
이 운동은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고, 1899년 4월 26일 내무성 신사국과 사찰국의 한 부서였던 신사부가 [38]신사국으로 격상되었다.
토론은 신사가 '비종교적'이냐, '종교적'이냐였다.특히 신사가 종교라면 문부과학성이, 세속적이라면 내무성이 [39]관할한다.일부는 또한 정부가 종교 단체를 [40]법치하에 두기 위해 취한 정책의 결과로 생겨났다.
20세기
메이지 신궁의 승려이자 장군인 이치노헤 효에는 신도를 종교로[41] 분류하는 것을 주창했다.
세계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학술 연구는 점차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19세기 이후 동서양의 문명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종교 연구는 이제 신도가 종교가 아니라는 입장을 받아들일 수 없게 되었다.그래서 요즘은 신사와 [41]신사가 마음속 깊이 들여다보면 종교임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
사양
2·26사변, 5·15사변 등을 거치면서 전시 분위기가 격화되면서 세속적 신사론에 대한 논의는 [42]잠잠해졌다.
교육과학체육문화부가 설치한 종교제도연구위원회의 심의·심의 끝에 종교단체법 제정에 관한 보고서를 입법부에 제출하여 종교단체의 법제화와 법령 준수를 도모하였다.자발적으로 만든 모자입니다.그러나 [2]다수결에 의해 번번이 거절당했다.그러나 1939년 [43]4월 8일 종교단체법이 법률 제77호로 통과되면서 입법부는 '신사론'을 법적으로 포기하였다.왜냐하면 신도는 이제 법으로 지정되고 [2]승인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1940년 11월 9일, 내무성은 종교국을 개편해, 「국교로서의 제신사론」[44]을 유지할 수 있는 「신도학원」을 설립.또한 당시 형법에는 평화유지법과[45][46] 일왕과 진구에 대한 Lése-majeste, 특히 다른 종교에 대한 특별 고등경찰의[47] 탄압이 [48]존재했다.
이러한 변화로 세속적인 신사 이론은 보다 권위적인 형태의 국가 신도로 대체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주석
각주
레퍼런스
- ^ a b c § 1995, 페이지 199-220.
- ^ a b c 文部省 (1972-01-01). 学制百年史 (in Japanese). Vol. 第1巻:記述編. 帝国地方行政学会. pp. 第5章:学術・文化 第5節:宗教 宗教団体法の制定. ASIN B000J9MMZI.
- ^ Kozaki, Hiromichi; 小崎弘道 (2000). Kozaki Hiromichi zenshū (Fukkoku ed.). Tōkyō: Nihon Tosho Sentā. ISBN 4-8205-4992-8. OCLC 45717705.
- ^ Fukuzawa, Yukichi; 福澤諭吉 (2011). Fukuzawa Yukichi shū. Hiroaki Matsuzawa, 松沢弘陽. Tōkyō: Iwanami Shoten. ISBN 978-4-00-240210-9. OCLC 705869909.
- ^ https://archive.wul.waseda.ac.jp/kosho/bunko11/bunko11_a1466/bunko11_a1466_0001/bunko11_a1466_0001.pdf[베어 URL PDF]
- ^ a b 加藤玄智 (May 1933). 神社問題の再檢討 : 神道の本義と我が國の教育 (in Japanese). 雄山閣. p. 11.
- ^ 三上真司 (2013). "Religio 宗教の起源についての考察のために". 横浜市立大学論叢. 人文科学系列 (in Japanese). 横浜市立大学学術研究会. 64 (3): 151–187. doi:10.15015/00000206. ISSN 0911-7717.
- ^ 이교도의 그리스도: 잃어버린 빛을 되찾다.토론토.토마스 앨런, 2004년ISBN 0-88762-145-7
- ^ '신화의 힘'에서 빌 모이어스와 함께 편집.베티 수 플라워스, 뉴욕, 앵커 북스, 1991년ISBN 0-385-41886-8
- ^ 岩井洋 「日本宗教の理解に関する覚書」関西国際大学研究紀要第5号、2004年
- ^ 下野葉月 (2019). 「宗教と科学」に関する歴史的考察 (PDF). 現代宗教 (in Japanese). 国際宗教研究所 IISR: 155–175. ISSN 2188-4471. Retrieved 2021-07-20.
- ^ 藤代泰三 (2017-11-10). キリスト教史 (in Japanese). 講談社. pp. 469–484. ISBN 978-4-06-292471-9.
- ^ 麻生将 (March 2020). 近代日本におけるキリスト教と国家神道 (PDF). 立命館文學. 666: 1390-1372.
- ^ 祭で地方創生、日本を盛り上げる! (PDF). 総理官邸. Retrieved 2021-05-08.
- ^ 岡田荘司; 加茂正典; 藤森馨; 斎藤英喜; 岡田登; 山口剛史 (2016). 古代の祭祀と伊勢神宮. 皇學館大学研究開発推進センター紀要 (in Japanese). 皇學館大学研究開発推進センター. 2 (2): 15–47. doi:10.20778/00000011. ISSN 2189-2091.
- ^ 神社新報社政教研究室 (1986-12-01). 改訂新版 近代神社神道史 (in Japanese). 神社新報社. pp. 191–192.
- ^ 場知賀礼文 (1990). 宗教の定義について 〔1〕 : 欧米の文献を中心に. 社会学研究所紀要 (in Japanese). 佛教大学社会学研究所 (11): 15–25. ISSN 0285-4015.
- ^ a b Berger, Peter L. (July 1979). 薗田稔 訳 (ed.). Holy Canopy: Sociology of the Holy World. 新曜社. pp. 206–207. ISBN 4788500914. NCID BN00186990.
- ^ "Emperial Constitution of Japan". National Archives of Japan. 1889-02-11. Retrieved 2021-04-29.
- ^ Sai Ken (2008-07-15). Sai Ken, Tanaka Shigeru (ed.). State and Religion --Modern and Contemporary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Religion, Vol. 1 (in Japanese). Hozokan. pp. Part 1: " Conflicts during the Formation of the "State Shinto" 1.Formation of the State Shinto. ISBN 978-4831881700.
- ^ Ashizu 2006, 페이지 71. 오류: : 2006
- ^ 神社新報政教研究室 (1986-12-01). 増補改訂 近代神社神道史 (in Japanese). 神社新報社. p. 194.
- ^ 神社新報政教研究室 (1986-12-01). 増補改訂 近代神社神道史 (in Japanese). 神社新報社. pp. 196–197.
- ^ 藤井貞文 (1977-03-01). 明治国学発生史の研究 (in Japanese). 吉川弘文館. pp. 1–750.
- ^ 岡本雅享 (2019-11-04). 千家尊福と出雲信仰 (in Japanese). 筑摩書房. pp. 第2章. ISBN 978-4-480-07270-2.
- ^ a b § 2006, 페이지 64
- ^ § 2006, 페이지 65
- ^ 中村勝範編・著 (May 1989). 近代日本政治の諸相 : 時代による展開と考察 (in Japanese). 慶應義塾大学出版会. p. 147. ISBN 4766404238.
- ^ § 2006, 페이지 63-75.
- ^ 國學院大学日本文化研究所 (1999-05-15). 縮刷版 神道事典 (in Japanese). 弘文堂. p. 20. ISBN 433516033X.
- ^ 澤大洋. 士族選挙権論争と自由民権運動昂揚期の選挙制度論の進展 (PDF). 日本思想史学会. Retrieved 2021-05-07.
- ^ § 2006, 페이지 98
- ^ 神社新報政教研究室 (1986-12-01). 増補新版 近代神社神道史 (in Japanese). 神社新報社. p. 99.
- ^ 神社新報政教研究室 (1986-12-01). 増補改訂 近代神社神道史 (in Japanese). 神社新報社. pp. 101–102.
- ^ Kokka shintō towa nandattanoka. Uzuhiko Ashizu, 珍彦 葦津. Tōkyō: Jinja Shinpōsha. 2006. ISBN 4-915265-10-2. OCLC 675442862.
{{cite book}}
: CS1 유지보수: 기타 (링크) - ^ 文化庁月報 平成25年9月号(No.540). 文化庁. Retrieved 2021-04-21.
- ^ 半田竜介 (2016). 丸山作楽の神祇官論について : 雑誌『隨在天神』に注目して (PDF).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復刊第53号: 170–191.
- ^ 國學院大学日本文化研究所 (1999-05-15). 縮刷版 神道事典 (in Japanese). 弘文堂. p. 20. ISBN 433516033X.
- ^ 神社新報政教研究室 (1986-12-01). 改定増補 近代神社神道史 (in Japanese). 神社新報社. pp. 187–190.
- ^ © 2006, 페이지 123-125.
- ^ a b §1995, 페이지 221
- ^ "Culture Agency Monthly Report 2013 September 2013 issue (No.540)". Agency for Cultural Affairs. Retrieved 2021-04-21.
- ^ 文部省 (1972-01-01). 学制百年史 (in Japanese). Vol. 第2巻:資料編. 帝国地方行政学会. pp. 第1章:詔書・勅語・教育法規等 教育法規 第13節:宗教.
- ^ A Centennial History of the School System. Ministry of Education. Vol. 1: Description. Imperial Institute of Local Administration. 1972-01-01. pp. Volume 1: The Founding and Expansion of the Modern Education System, Chapter 5: Science and Culture, Section 5: Religion.
- ^ "Security Law, Original Signature, 1925, Law No. 46". National Archives of Japan. Retrieved 2021-04-29.
- ^ Criminal Law Society (ed.). Criminal Law Association of Japan.
- ^ "Assembly to Enact the Security Police Law and Abolish the Political Society Law, Original Signature, Meiji 33, Law No. 36 (O04291)". National Archives of Japan. Retrieved 2021-04-29.
- ^ 荻野不二夫 (1991). 特高警察関係資料集成 復刻 (in Japanese). 不二出版.
참고 문헌
葦津珍彦 (2006-11-01). 新版 国家神道とは何だったのか (in Japanese). 神社新報社. ISBN 9784915265105.
- 新田均 (1995). 加藤玄智の国家神道観. 宗教法研究 (in Japanese). 宗教法学会 (14): 199–230. ISSN 0288-6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