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골절개술
Rhizotomy- 이 기사는 통증 완화를 위한 치골절개술 절차보다는 선택적 등골 치골절개술(SDR)에 대해 다루고 있다. 특정 경우 '치골절개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한 이 시술은 면 치골절개술 등을 참조한다. 정면의 회전근개술은 많은 다른 형태의 무선주파수절제술 중 하나일 뿐이며, "돌기절개술" 이름의 사용은 SDR 절차와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늑골절개술 | |
---|---|
발음 | /raɪˈzɒtəmi/[1][2] Ry-ZOT-me |
ICD-9-CM | 03.1 |
메슈 | D019051 |
선택적 등심근절개술(SDR)은 척추 후심근절개술, 등심근절개술 또는 선택적 후심근절개술로도 알려져 있으며, 척수의 문제가 있는 신경근을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신경외과적 시술이다.[3] 이 시술은 문헌에서 외과적 개입으로 잘 정립되어 있으며, 척추측만증과 다른 형태의 척추측만성 뇌성마비 등 신경근육 질환의 부정적인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사용된다.[4] 가소성을 유도하는 특정 감각신경은 전기자기술(EMG) 자극을 이용하여 식별되며 1(mild)에서 4(심각한 가소성)의 척도로 등급이 매겨진다. 비정상적인 신경 반응(보통 3등급 또는 4등급)은 격리되어 절단되므로 가소성의 증상이 감소한다.[3]
가성성은 스트레칭에 반응하는 근육 톤의 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정의된다.[5] 이 상부 운동 뉴런 상태는 억제 신경 전달체 감마 아미노 부티릭산(GABA)을 방출하는 뇌로부터의 내림 입력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신경계의 신경 흥분성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한다.[6] 가발성 경련은 GABA에 의한 적절한 억제 없이 감각신경의 흥분신호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7] 이러한 하강 입력의 부족과 관련된 두 가지 일반적인 조건은 뇌성마비와 후천성 뇌손상이다.[6]
배경
흔히 선택적 후측두엽절개술(SPR)로 불리지 않는 등측두엽절개술(SDR)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태의 척추절개술로 오늘날에는 척추측만증의 당김에 의한 뼈와 관절변형이 일어나기 전 가장 어린 시절에 가장 잘 행해진다고 전해지는 척추측만성측만증의 일차적인 치료법이다.어른들에게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다가갈 수 있다. 엉덩이 바로 위 아래 등에 절개를 하고 신경이 접근하여 처리한다.[citation needed]
SDR은 신경근근의 가소성을 다루는 영구적인 시술이다. 즉, 애초에 특정 근육의 가소성을 일으키는 오발신경을 포함하고 있는 중추신경계에서 말이다. 합병증이 없다고 가정하고 난 후, 그 사람의 가성비는 대개 완전히 제거되어 밑의 근육의 "진정한" 힘(혹은 그 힘)을 드러낸다. SDR의 결과는 기본적으로 가성성의 방출이 본질적으로 일시적인 정형외과적 절차와는 다르다.[citation needed]
근육은 기능하는 가소성에 의존했을 수도 있기 때문에 거의 언제나 회전절개술 이후 극도의 약점이 존재하며, 환자는 가소성이 없는 체내에서 운동 습관과 일상 업무를 익히기 위해 매우 열심히 일해야 할 것이다.
경막절개술은 대개 2세에서 6세 사이의 소아성 척추성 뇌성마비 인구에 대해 시행되는데, 이는 경막성 질환으로 인한 정형외과적 기형이 아직 발생하지 않았거나 미미하기 때문이다. 임상의들은 또한 이렇게 젊은 나이에 수술을 하는 것의 또 다른 이점은 이 극도로 어린 아이들이 선천적으로 그들의 근육을 재생시키고 걷는 방법을 다시 배우는 것이 더 쉽다는 점이며, 종종 말년에 그들은 그 가소성을 가지고 살았던 기간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모든 주요 연령대(3-40세 이상)에 걸쳐 척추측만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 중 최근 성공적인 SDR 시술은 마침내 척추측만증 환자의 연령에 관계없이 보편적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했다. 젊은 나이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에 대한 반론은 환자가 완전히 성숙하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나이든 환자의 근계를 회복하고 걷는 것이 실제로 더 빠르고 쉽게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어린 아이보다 더 집중한다. 이 두 사상의 학파는 그들 형성에 대해 똑같이 객관적으로 타당한 근거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지지자들에 의해 상당히 강하게 옹호된다.[citation needed]
역사
1888년 뉴욕의 로버트 아베와 런던의 W.H.베넷은 독립적으로 상승신경염과 좌골신경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최초의 등측두엽절개술을 시행하였다. 기원전 1898년 셰링턴은 탈세브레브레이트 고양이의 후근 부분에 의한 근육 경직성 완화를 묘사했다. 1908년과 1912년 사이에 Harvey Cusing은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세 번의 등지 리조토미를 수행했다.
독일에서는 1913년 오트프리드 포어스터가 늑골절개술의 아버지로 잘못 인정받았던 것이 사실 처음은 아니었는데, 이는 셰링턴의 연구가 하퇴부 근육의 가소성 완화를 위한 후근 근위절개술의 기초로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가소성 목적을 위한 회전근개술은 임상 기록과 현상에 대한 보고에서 완전히 증류되지 않은 이유로 실제로 50년 정도의 공백을 가져갔다. 이에 대한 설명은 셰링턴/포스터 기법으로 수술 후 감각 상실이 너무 빈번하게 발생하거나, 그들의 기법으로 인해 종종 가성비가 되돌아온다는 사실일 수 있었다. 어떤 경우든, 20세기 마지막 사분기 동안 비교적 잘 알려진 명성으로 전환되기 전까지는 가성비를 치료하기 위한 중요한 임상적 용도에 계속 의존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1964년, 윌킨스 박사는 이 작전이 "원래의 중요성의 대부분을 잃었지만, 고통의 완화를 위한 현대적 기술 개발의 주요한 단계로서 역사적 의의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citation needed]고 썼다. 1967년 클로드 그로스와 몽펠리에 있는 신경외과 병원(CHU Gui de Chauliac)의 그의 동료들은 척추측만증을 위해 후측근절개술을 부활시켰다. 이탈리아의 파사노는 1978년 뇌성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선택적' 후근개척술을 도입했고, 워릭 피콕은[8]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 있는 적십자전기념어린이병원에서 척추 레벨이 아닌 카우다 에퀴나를 노출시켜 그로스 기법을 개발했다. 피콕은 1986년 로스앤젤레스로 건너가 SDR의 뇌성마비성 경련 완화에 대한 생존력을 위해 다소 광범위하게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후 그가 훈련시킨 피콕과 외과의들은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발생했던 의료 장비와 기술에서 그들 자신의 임상 지식의 정교함과 정교함을 모두 사용하여 이 과정을 더욱 발전시켰다.
오늘, 세인트 루이스 어린이 병원. 미주리주 루이스에는 세계적으로 알려진 '뇌성마비성마비성마비센터'가 있는데, 이 클리닉은 장기간에 걸쳐 SDR에 대한 집중적인 직접 임상연구를 실시한 세계 유일의 클리닉이다. 이 분야의 최고 신경외과 의사인 닥터 T.S. 박(Park)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수천 건의 SDR 수술을 실시했으며, 그 중 일부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1991년 첫 등뼈 뿌리를 분리하고 i보다 척추뼈를 현저히 적게 제거할 수 있는 SDR 수술의 L1-라미네CT술 개조의 원조다.1991년 이전에 수행된 n개의 수술과 특히 특정 절개 결과로서 고관절 굴곡근의 고유 분비가 가능하지 않았다. 그 이전에는 전체 고관절 굴곡기 분비가 반드시 가능하지 않았다. 그 이후 L1-라미네CTI 개조는 표준 방법이 되었고, SLCH는 SDR 수술의 주요 제공자로서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국제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클리닉은 척추측만증이나 사두근육통 환자가 근력방출이나 힘줄방출수술을 받기 전에 SDR을 통해 먼저 가성비를 줄여야 한다는 것이 이 클리닉의 의견이며, 오늘날 다른 외과의들도 이러한 견해를 같이하고 있다. 그러나 SLCH에서 사용된 사례의 주요 한정자는 모든 성인들이 경미한 척추측만 두중증 환자만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2008년 9월에는 SDR: 컬럼비아-프레스비터 아동 병원의 리처드 C.E에서 환자의 연령에 관한 우려에 대해 '격차를 좁히는' SDR이 수행되었다. 앤더슨은 28세 남성에게 적당한 척추측만증을 가진 SDR 수술을 했는데, 환자 자신의 보고에 따르면 그의 근육 톤이 거의 "정상적인" 사람 수준으로 감소했고 훨씬 더 효율적으로 걷고 운동할 수 있었다. 또한, 과거 앤더슨 박사는 세브와 함께 휠체어를 사용하는 16세 여성에게도 SDR을 시행했다.재생성 쌍극성 보도에 따르면, 그 특별한 SDR은 그 젊은 여성이 매복할 수 있게 해주었지만, 수술 전에는 그렇게 하기에는 너무 빡빡했다고 한다. 2011년 앤더슨 박사는 자신의 또 다른 16세 환자가 척추 절개술을 받을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고했지만, 그 환자는 이후 그녀의 결정을 보류하기로[citation needed] 결정했다. 그리고 2011년 7월, 질레트 아동 특수 의료의 지속적 관리 부서의 의료진은 그녀에게 몇 달 동안의 상담을 제공한 후, 미네소타 지역의 젊은 성인 거주자를 대상으로 SDR 절차를 수행했다.
한편, DRS. AVDekopov, AATomskiĭ, VAShabalov 및 전자파 Salova 모스크바의 큰 Burdenkoneurosurgical 클리닉의, 러시아는 그러한 확고하게는 SDR절차에 advocate[9]중 어른들 등 클리닉이 주장 러시아에 있다는 것은 크고 가장 경험이 많은 SDR-performing 클리닉(아마도 그런 의미에서 curr와 비슷하지 않에만 낳는다 있다.en미국 세인트루이스 어린이 병원의 t 지위)는 물론, 매년 약 15건의 성인 SDR 절차를 수행하는 것. 이것들은 모두 최근까지도 코카서스 지역 밖에서는 거의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을 수 있는 사실들이다.
중국의 청두와 상하이 지역에는 성인들에게 성공적으로 시술을 하는 SDR 교육을 받은 외과의들이 있다. 또한 오늘날 케이프타운에서 SDR을 수행하는 워릭 피콕의 임상 후손들은 전형적으로 그들의 SDR 절차를 어린이들에게만 계속 제한하고 있다.
의학적 용법
척추성 뇌성마비를 가진 모든 사람들이 SDR의 혜택을 받는 것은 아니다. 18세 미만인 경우 경골절개술은 다음과 같이 해야 한다.
- 최소 2세 이상
- 적당히 포함되거나 더 높은 수준의 경동성 이중성, 경동성 사중성 또는 경동성 반신성[10] 경동맥의 진단
- 독립적인 이동성의 어떤 형태(예: 보조 장치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기어가거나 걷는 형태)
- 조산의 역사; 만기에 태어난다면, 아이는 전형적인 척추측만증의 징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 MRI 검사 시 기저부 관절염에 심각한 손상은 없음
- 기능적 능력 향상 가능성
19세에서 40세 사이의 성인의 경우, 치골절개술은 다음을 요구한다.
- 척추측만증 진단
- 조산사
- 현재 보조 장치 없이 독립적으로 배관됨
- 현재 보행 중이거나 SDR 이후 보행 중지를 방지하는 고정된 정형외과적 기형은 없다. 이러한 경우 정형외과적 해제를 먼저 수행해야 하며, 그 후에는 SDR을 논의할 수 있다.
- SDR 이후 기능적 이득 가능성
- 집중적인 물리치료에 참석하고 가정운동 프로그램을 수행하고자 하는 강렬한 동기부여부
경막절개술로 치료되는 성인의 척추측만성 이두종양 환자의 제한된 숫자에 대해 성인 환자의 만족스러운 기능적 이득은 어린이의 그것과 유사하다.
2014년 현재 SDR 후보 선정에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선정 기준은 일관성이 없었고, 일부만이 사전에 후보자들의 능력을 측정했다.[11]
장기적인 영향
SDR의 장기적 효과는 대체로 알려져 있지 않다.[12] 선택적 등심근절개수술은 지난 수십 년간 척추성 뇌성마비 환아에 대해 일상적으로 시행되어 왔지만, 장기간의 긍정적인 결과를 뒷받침할 증거는 거의 없었다.[13]
필수조건
모든 치골절개술 지원자들은 다리와 몸통에 좋은 근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적절한 운동 조절, 또는 기어다니거나 걸을 때 상호작용을 하고, 한 자세에서 다른 자세로 합리적으로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증거가 있어야 한다. 주로 소아심장절개술 지원자들은 연령에 맞는 운동발달의 진행을 보인 CP를 가진 사람들이지만, 가위발달에 장애가 있거나 가위발달과 같은 보행 패턴을 유발한다. 성인의 경우, 1차적으로 사람이 독립적으로 매복할 수 있지만, 가성비는 에너지, 유연성, 보행 속도 및 균형을 제한하고 때로는 통증/근육 경련을 일으킨다.
기준
성인의 환자 자격 기준. 루이 소아병원은 다음과 같다.[14]
독립적으로 걷기
수술 후, 수술 전 독립적으로 걷는 모든 환자들은 수술 후 몇 주 안에 독립적으로 걷게 되었다. 환자들은 장기간 독립적으로 걷기를 유지한다. 다른 사람들이 독립적으로 걷는데 더 많은 어려움을 겪을 때, 그들은 결국 보조 장치를 필요로 할 수 있다. 거의 모든 경우에서 가소성을 제거할 수 있고 독립적인 보행의 질이 향상되지만 SDR 이후 SDR. 정형외과 수술 후 물리치료와 교정술은 거의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보행자나 목발을 짚고 걷기
SDR 이전에 보행기나 목발을 짚고 걷는 2~7세 어린이의 경우 시술 후 독립보행이 가능하다. 일단 그들이 독립된 걷기를 성취하면, 그들은 그것을 유지할 수 있다.
7세 이상 어린이가 목발을 짚고 걷는 경우 독립된 보행(집 안 또는 집 밖)이 가능하다. 나이에 워커와 함께 걷는다면 보조보행과 전이동작의 질이 향상되고 다리의 기형을 완화시키지만 시술 후 워커나 목발을 짚고 걷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환자들 중 많은 수가 SDR 이후 정형외과 수술이 필요할 것이다.
콘트라인커뮤니케이션
누군가가 수술의 후보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몇 가지 임상 상황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는 뇌수막염, 선천성(출생) 뇌염, 조산인과 무관한 선천성 수두증, 두부 외상을 입은 사람 또는 가족성 질환(예: 유전성 척추측만증 환자는 SDR 후보가 아니라고 한다)이 포함된다. 또한 강직성 또는 근위축증이 지배적인 "혼합된" CP를 가진 사람, 유의미한 무감각증 또는 아탁시아를 가진 사람, 그리고 매우 심각한 척추측만증을 가진 사람은 제외된다. 그러나 어떤 절차와 마찬가지로 적격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모든 경우에 개별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절차 개요
SDR은 허리 바로 위 아래 등 중앙을 따라 1~2인치 절개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L1 라민절제술을 시행한다: 척추 뼈의 한 부분인 가느다란 과정이 라미나의 일부와 함께 배수 캡과 같이 제거되어 척수와 척수 신경을 밑에 노출시킨다. 초음파와 엑스레이는 척추의 끝부분을 위치시키며, 감각 신경과 운동 신경 사이에 자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그런 다음 고무 패드를 놓아 모터를 감각 신경으로부터 분리한다. 각각 시험해 선별적으로 제거할 감각 신경 뿌리는 패드 위에 놓이고, 운동 신경은 수술장에서 떨어진 패드 아래에 위치한다.
감각신경이 노출된 후 각 감각신경근은 3-5개의 뿌리로 나뉜다. 각각의 뿌리는 근육의 전기적 패턴을 기록하는 전자기술로 시험된다. rootlet은 가성비를 위해 1(mild)부터 4(심각)까지 등급이 매겨진다. 심각한 비정상적인 뿌리가 잘려나간다. 이 기술은 척수신경 L2와 S2 사이의 뿌리 부분에 반복된다. L1 등근 섬유 중 절반은 EMG 시험 없이 절단된다.
시애틀 아동 병원의 신경외과 팀은 신경근절절의 선택을 개별 환자에게 맞춤화하여 위에서 설명한 외과적 접근법을 수정했다. 이 기법은 자극 반응의 비교를 통해 각 개별 신경근을 전자파법으로 선택적으로 분석하여 등측신경 뿌리와 복측신경 뿌리를 분리한다. 연구자들은 운동 대 감각 신경 뿌리를 식별하기 위해 주관적 시각화에 의존하는 전술한 접근법에 비해 신경 뿌리의 객관적인 피드백을 활용함으로써 관심 신경만을 분리할 가능성을 높였다. 두 접근법의 또 다른 중요한 차이점은 신경 뿌리를 노출시키기 위한 적막절제술의 위치다. 시애틀 어린이의 경우 척수종말(코너스) 이하에서 적막절제술을 시행해 부상 위험을 잠재적으로 줄일 수 있다.[15]
테스트와 그에 따른 제거가 완료되면 듀라 모터가 닫히고 펜타닐을 투여해 감각신경을 직접 목욕시킨다. 다른 층의 조직, 근육, 근막, 피하조직은 꿰매진다. 피부는 일반적으로 접착제로 닫혀있지만, 3주 후에 뒤쪽에서 제거해야 하는 실밥이 가끔 있다. 이 수술에는 약 4시간이 소요되며 일반적으로 신경외과 의사 1명, 마취과 의사 1명, 그리고 아마도 여러 종류의 보조의사가 참여한다(2008년 9월 뉴욕시 사례와 같이). 이후 환자는 1-2시간 정도 회복실에 갔다가 하룻밤 사이에 중환자실로 옮겨진다. 이후 중환자실에서 병원 내 회복실로 옮겨 신경외과 및 외과팀의 수술 후 직접 관찰이 가능하지만, 이는 보통 3일 정도밖에 지속되지 않으며, 이 기간 동안 팀은 수술 전 수준과 비교한 동작 범위 테스트를 수행한다. 그 짧은 기간이 지나면 상황과 적절성에 따라 입원환자의 회복으로 옮겨지거나 집중적인 외래 운동 프로그램과 연계되어 퇴원하게 된다.
임상의에 따르면, SDR에서 최대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보통 수술일로부터 약 1년이 걸린다고 한다. 하지만, 성에서 온 비디오. 루이 소아병원 웹사이트는 수술 후 무려 5년 동안 눈에 띄는 개선세를 보여 왔으며, 아마도 그 사람이 계속해서 격렬하게 운동을 한다면, 정상적인 근육 톤과 운동 범위를 가지고 태어난 사람과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개선과 강화의 잠재력은 무한하다.
선택적 등심근절개술은 수술 전부터는 가성비에 의한 수축이 완화되지 않고 단지 더 이상 수축이나 가성비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뿐이다. 경막절개술의 유무에 상관없이 수축이 완화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정형외과 수술이다. 예년에 심한 경련을 일으켜 다리의 고정된 정형외과적 기형도 신경수술에 의해 완화되지 않으며 또한 외과적으로 교정되어야 한다. 이 같은 절개 후 정형외과 수술 여부는 해당 절개수술을 받은 사람의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합병증
SDR 후 발과 다리에 항상 비정상적인 민감성과 따끔거림이 나타나는데, 이는 작업한 신경의 특성상 보통 6주 안에 해결된다. 발에 이상 민감도가 생기는 것을 막을 방법이 없다. 방광 조절에 일시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지만, 이것은 또한 몇 주 안에 해결된다.
사두근, 발목, 발 등 특정 다리 근육에 일정 정도 영구 저림 현상이 남아 있다면 이는 보통 느낌과 감각, 온도나 압력의 변화 등을 감지하는 것 등을 예방하기에 부족하다. 영향을 받은 근육 부위는 단순히 이전보다 덜 느껴지며, 이동이 쉬운 균형은 이러한 변화가 일어난다면 엄청난 가치가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SDR의 결과로 발생하는 다음과 같은 보다 심각한 위험 중 하나에 대해 5-10%의 위험이 복합적으로 존재한다.
- 다리와 방광의 영구적인 마비.
- 영구 발기부전
- 다리에서 더 이상 아무것도 느끼지 못할 정도로 심한 감각 상실 및/또는 무감각(마비가 아닌, 움직임이 유지됨)
- 상처 감염 및 뇌수막염 - 보통 항생제로 제어
- 상처를 통한 척추액 누출, 또한 회복 가능; 수술팀은 이를 위해 수술 후 매우 주의 깊게 관찰한다.
성에서 몇 명의 환자들. 루이스는 요로감염과 폐렴을 경험했지만, 이것들은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
수술 후 재활
SDR에 따른 결과는 수술 중 절단된 신경의 수, 관절 변형, 근육 수축 및 시술 전 손상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16] 시술에 따라 아이가 근육 쇠약증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 물리치료(PT)로 교정할 수 있다. PT는 최단 시간 내에 기능 상태를 회복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물리치료 후기 SDR은 독립적인 보행, 개선된 걸음걸이 패턴, 전이, 균형, 상지 운동 조절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DR은 영구적인 근육 약화를 야기하지 않고, 시술 후 몇 주 후에 일시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강화 프로그램은 이러한 기대 약점과 싸우고 하지의 운동 범위를 개선하고 거의 정상적인 걸음걸이 패턴을 용이하게 하는데 유익하다.[16]
이 리즈 아동병원 웹사이트는 재활치료 후 샘플 프로토콜로 사용되었다.[17] 수술 후 1주차에는 보통 첫 4일 동안 30분씩 물리치료를 받은 후 5~7일 동안 45분까지 증가한다. 2주 동안, 세션은 스트레칭, 강화, 발달 마일스톤(적절한 경우), 스탠딩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45분에서 60분까지 다양하다. 필요한 경우 2주 동안 정형외과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3주에서 6주까지는 앞서 언급한 항목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걸음걸이 훈련, 보조 기기 필요성에 대한 평가 및 환자를 위한 홈 프로그램 준비에 초점을 맞춘다. 시술 후 6주에서 3개월까지는 45~60분 동안 주 3~5회 외래 물리치료에 참여하며 주로 스트레칭, 강화, 매복, 삼륜차 등 적응장비의 필요성 평가에 집중하게 된다. 3개월에서 6개월은 적절한 걸음걸이 역학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이전의 모든 치료에 초점을 맞춘다. 이 시점에서, 세션의 빈도는 일반적으로 일주일에 2~3번으로 감소할 것이다. 수술 후 6개월에서 12개월은 아이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운동 패턴에 대한 강조를 증가시키면서 위의 모든 것에 초점을 맞춘다. 시술 후 1년 후에는 매주 1~2회씩 세션 빈도를 유지하여 모터 제어 강화 및 정제 작업을 지속하고 있으며, 정형외과적 욕구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17]
참고 항목
참조
- ^ "Rhizotomy". Oxford Dictionaries UK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n.d. Retrieved 2016-01-21.
- ^ "Rhizotomy". Merriam-Webster Dictionary. Retrieved 2016-01-21.
- ^ a b "Selective Dorsal Rhizotomy (SDR) Surgery for Cerebral Palsy St. Louis Children's Hospital". www.stlouischildrens.org. Retrieved 2017-11-12.
- ^ Park, Tae Sung; Johnston, James M. (2006). "Surgical techniques of selective dorsal rhizotomy for spastic cerebral palsy". Neurosurgical Focus. 21 (2): 1–6. doi:10.3171/foc.2006.21.2.8. S2CID 25748850.
- ^ Mukherjee, Angshuman; Chakravarty, Ambar (2010-12-17). "Spasticity Mechanisms – for the Clinician". Frontiers in Neurology. 1: 149. doi:10.3389/fneur.2010.00149. ISSN 1664-2295. PMC 3009478. PMID 21206767.
- ^ a b Lundy, C; Lumsden, D; Fairhurst, C (September 2009). "Treating complex movement disorder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Ulster Medical Journal. 78 (3): 157–163. ISSN 0041-6193. PMC 2773587. PMID 19907680.
- ^ Rumberg, Franziska; Bakir, Mustafa Sinan; Taylor, William R.; Haberl, Hannes; Sarpong, Akosua; Sharankou, Ilya; Lebek, Susanne; Funk, Julia F. (2016-04-04). "The Effects of Selective Dorsal Rhizotomy on Balance and Symmetry of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LOS ONE. 11 (4): e0152930. Bibcode:2016PLoSO..1152930R. doi:10.1371/journal.pone.0152930. ISSN 1932-6203. PMC 4820221. PMID 27043310.
- ^ "Warwick Peacock - UCSF Department of Neurosurgery". Neurosurgery.medschool.ucsf.edu. Retrieved 2013-01-30.
- ^ Shabalov VA, Dekopov AV, Tomskiĭ AA, Salova EM (2012-12-12). "[Posterior selective rhizotomy in the treatment of severe spastic syndrome in cerebral palsy]". Zh Vopr Neirokhir Im N N Burdenko (2): 14–8, discussion 18. PMID 20825076.
- ^ McLaughlin, J; Bjornson, K; Astley, S; Graubert, C; Hays, R; Roberts, Theodore; Price, Robert; Temkin, Nancy (1998). "Selective dorsal rhizotomy: Efficacy and safety in an investigator-masked randomized clinical trial".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0 (4): 220–232. doi:10.1111/j.1469-8749.1998.tb15454.x. PMID 9593493. S2CID 38589922 – via Institute of Translational Health Sciences.
- ^ Grunt, Sebastian; Fieggen, A Graham; Vermeulen, R Jeroen; Becher, Jules G; Langerak, Nelleke G (April 2014). "Selection criteria for selective dorsal rhizotomy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6 (4): 302–312. doi:10.1111/dmcn.12277. PMID 24106928.
- ^ Roberts, Andrew; Stewart, Caroline; Freeman, Robert (June 2015). "Gait analysis to guide a selective dorsal rhizotomy program". Gait & Posture. 42 (1): 16–22. doi:10.1016/j.gaitpost.2015.04.004. PMID 25979183.
- ^ Grunt, Sebastian; Becher, Jules G; Vermeulen, R Jeroen (2011-06-01). "Long-term outcome and adverse effects of selective dorsal rhizotom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3 (6): 490–498. doi:10.1111/j.1469-8749.2011.03912.x. ISSN 1469-8749. PMID 21518341. S2CID 21924344.
- ^ "Patient Selection for Selective Dorsal Rhizotomy (SDR) St. Louis Children's Hospital". Stlouischildrens.org. 2012-12-31. Retrieved 2013-01-30.
- ^ Bales, James; Apkon, Susan; Osorio, Marisa; Kinney, Gregory; Robison, R. Aaron; Hooper, Erin; Browd, Samuel (2016). "Infra-Conus Single-Level Laminectomy for Selective Dorsal Rhizotomy: Technical Advance". Pediatric Neurosurgery. 51 (6): 284–291. doi:10.1159/000448046. PMID 27548353. S2CID 25537119.
- ^ a b "SDR Rehab Physiotherapy Watford Exercise Rehabilitation". rehabwalk.co.uk. Retrieved 2017-11-13.
- ^ a b LTHT Spasticity Management Team. "Selective Dorsal Rhizotomy Post-Operative Information for Physiotherapists" (PDF). leedneurosurge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