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반트의 선사 시대

Prehistory of the Levant

레반트의 선사시대에는 레반트 지역에서 전통이 기록되기 이전에 고고학적 증거에 의해 밝혀진 다양한 문화적 변화가 포함되어 있다. 고고학적 증거는 호모 사피엔스와 다른 호민성 종들이 아프리카에서 기원했으며(호민성 분산 참조), 유라시아를 식민지화하기 위해 취항한 경로 중 하나가 시나이 반도의 사막과 레반트를 경유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는데, 이는 지구 역사상 가장 중요하고 가장 많이 점유된 장소 중 하나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곳에는 인간의 많은 문화와 전통이 살았을 뿐만 아니라, 호모 속에도 많은 종들이 살고 있었다. 또한 이 지역은 농업 발전의 중심지 중 하나이다.[1]

위치, 기후, 경로의 영향

지리적으로 이 지역은 해안 평야, 동쪽으로는 언덕 나라, 그리고 갈릴리 해와 사해로 합류하는 요르단 계곡으로 나뉜다. 강우량은 북쪽에서 남으로 감소하는데, 그 결과 이스라엘 북부 지역은 일반적으로 유다 남부 지역보다 경제적으로 발달하였다.[citation needed]

신석기 시대 이후 3개 대륙을 연결하는 3개 교역로의 중심지에 위치한 이 지역은 이집트, 시리아, 메소포타미아, 아시아 마이너로부터 종교와 문화적 영향을 받는 장소가 되었다.

  1. A 해안 루트("비아 마리스"): 가자지구블레셋 해안을 북쪽의 욥바메기도로 연결하고, 비블로를 거쳐 북쪽의 페니키아아나톨리아로 이동한다.
  2. 언덕길: 네예프, 가데스바네아, 헤브론예루살렘을 거쳐, 북쪽으로 사마리아, 세겜, 실로, 벳세안, 하솔을 거쳐 가데스다마스쿠스로 간다.
  3. "킹스 하이웨이": 요르단 동부의 에일라트에서 암만을 거쳐 다마스쿠스까지 북쪽으로 이동하며 예멘과 남아프리카에서 북쪽으로 "프랑켄스 도로"와 연결된다.

이 지역은 극심한 방탕 기간과 강수량 감소로 인해 정착과 유목 생활 방식의 상대적 중요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주기는 강수량이 줄면 농가가 양떼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고 경작되지 않는 등 가을철에 드는 기간이 늘어나는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그들은 완전히 유목민 문화로 되돌아간다. 강우량이 증가하면 중요한 수자원 주변에 정착하고 재배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시작한다. 번영의 증가는 지역 간, 그리고 결국 국제 무역의 부활로 이어진다. 마을의 성장은 주변 강대국들의 관심을 끄는 시장 도시와 도시 국가들의 번영을 촉진하는 것으로 빠르게 진행되며, 그들은 지역 무역 네트워크의 통제와 조공과 세금의 가능성을 잡기 위해 침략할 수도 있다. 전쟁은 이 지역을 유행병에 개방하게 하고, 그로 인한 인구감소, 연약한 토양의 과다 사용, 유목 목회로의 회귀로 이어진다.[citation needed]

팔래기 시대(1,850,000년 - 2만년 전)

구석기 하층 시대(185만~20만년 전)

나할 미로트 자연 보호구역에 있는 낙타 동굴 안의 전시는 레반트 지방의 선사시대 사람들의 삶을 묘사하고 있다. (아슐로 야브루디아 문화)

레반트에서 인간이 점령한 최초의 흔적은 남부 레반트(현대 이스라엘) 요르단 계곡우베이디야에 기록되어 있다. 이 사이트는 140만년 으로 날짜가 잡혔지만,[2] 추가 연구에서는 150만~120만년 전으로 시간적 맥락을 정했다.[3] 유적지에는 176만년 전동아프리카에 나타난 아슐레아 산업 특유의 석기들이 있다.[4] 조지아주 드마니시에서 185만~178만년 전으로[5] 거슬러 올라가는 이전 유적지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레반트에 있는 다른 유적지의 존재를 암시하고 있다. 아슐리안보다 앞선 올도완 산업의 석기 도구는 네게브 사막과 시리아 사막에서 발견되었으며 레반타인 회랑에 아슐리아 이전의 문화가 존재함을 뒷받침하고 있지만, 그 연대기적 맥락을 파악할 수는 없다.[6]

우베이디야 - 얼리 아슐리안 (c. 150~120만년 전)

우베이디야는 멸종된 우베이디야 호수와 나란히 존재했던 곳으로 포유류(기린, 코끼리, 사슴, 펠로로비스 등), 조류, 파충류, 양서류, 연체동물 등 아시아와 아프리카 동물 100여종이 서식하고 있었다. 이 동물들 중 일부는 화석화된 뼈에서 관찰된 잘린 자국이 뚜렷이 보이는 곳에 거주한 호미닌들에 의해 사냥되었다. 우베이디야에서 발견된 석기들은 악세사리, 곡괭이, 도마뱀붙이, 석기 등이 있다. 이 도구들은 얼리 아슐리안 산업에서 입증되었다. 이 도구들은 현무암, 석회암, 부싯돌과 같은 특정 암석 종류에 대한 선호도를 보여준다. 이는 원료를 생산하기 위해 위치시키고 선별한 호민관들에 의한 원재료에 대한 정교한 이해를 의미한다. 레반트의 다른 석기 조립품들은 얼리 아슐리안에게 증명되었지만, 우베이디야의 발견물들과 비교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데이트 증거가 부족하다. 나일강 부근의 압바시에, 이스라엘의 에브론 채석리지호르, 시리아의 알 라타미나 등이 이에 해당한다.[7]

제셔 베노트 야아코프 - 라지 플레이크 아슐리안(79만~65만년 전)

우베이디야 북부는 79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게셔 베노 야아코프("제이콥 브릿지의 딸들" – GBW)의 중요한 곳이다. 석기 조립은 아슐리안의 "Large Flake" 단계에 속하며, 앞선 박치기법을 증명한다. GBY는 거주자의 삶의 많은 측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많은 큰 포유류 뼈들이 그 곳에서 발견되었는데, 주로 초기 인간들에 의해 사냥되고 도살된 코끼리들이다. 생선뼈뿐만 아니라, 그것을 깨는 데 사용되는 견과류와 도구들이 수집되었다. 가장 초기 목조 유물인 연마 흔적이 있는 널빤지가 현장에서 발견되었으며, 화재 사용의 초기 흔적 중 하나이다. 일부 계층에서는 특정 활동이 현장의 특정 영역에 국한되는 등 생활 공간의 구성이 관찰되었다.[8]

후기 아슐리안 (c. 50만~40만년 전)

아슐리안 산업의 후기 단계는 단지 몇 개만이 발굴되었지만, 수천 개의 유적지에서 관찰되고 중동에서 명소를 발견한다. 대부분의 사이트는 데이터 가능한 충분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골란고원있는호수의 유적지는 80만 23만 3천년 전 사이의 알려지지 않은 시간대로의 아래 위와 아래를 흐르는 현무암에 기초하여 연대를 이루었다. 마야안 바루치와 이스라엘의 레바딤 채석장의 보다 정확한 날짜는 50만~40만년 전의 시기를 알려준다. 후기 아슐리아 유적지와 발견물들은 주로 오아스와 관련된 현대 사우디 아라비아, 요르단, 사우디 아라비아의 사막 지역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레바논, 시리아의 해안 평야와 갈라진 계곡 등 레반트 전역으로 퍼져 있다. 다양한 조건의 다양한 지역에서 이러한 현장의 분포는 이 기간에 더 적합한 기후(플라이스토세인치바니아 단계) 또는 더 나은 인간 적응 능력을 나타낸다. 초기 동굴 유적지도 이 단계에서 나타난다. 레반트에 있던 이전의 아슐리아 산업과는 달리, 플린트는 공구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일차 재료로, 한삭스가 일차적인 도구가 된다. 도구 제작자들은 모양과 기능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핸드 액스를 개발했고, 클리어버와 같은 다른 도구들을 대체했다. 가장 중요한 석기 조립품 중 일부는 나두이예(시리아 중부), 타분(시리아), 엄카타파, 마야안 바루치(이스라엘)에서 발견된다. 이 유적들은 수 천 개에 달하는 엄청난 양의 석기를 생산한다. 람 호수에서 발견된 중요한 발견은 인공적인 모양과 광택을 내는 증거가 있는 돌 조약돌인데, 이것은 여성의 몸을 닮아서 알려진 최초의 조각상 중 하나이다.[9]

중기 구석기 시대

중팔래기(c.기원전 25만 – 기원전 48,000년)는 이 지역을 통해 수많은 유적지(동굴과 야외 유적지)에서 알려진 무우스테리아 문화에 의해 레반트에 표현된다. 무우스테리안의 연대기적인 구획은 타분동굴의 지층적 순서에 기초한다. 중기 구석기 인간 유적으로는 네안데르탈인(케바라동굴, 아무드동굴, 타분)과 제벨 카프체 동굴, 스카훌동굴해부학적 현대인류(AMH)가 모두 있다.

고대 구석기 시대

고대 팔래오일기는 기원전 48,000 – c. 20,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에피팔래기(기원전 20,000~9,500년)

에피팔레오틱 시대(c.기원전 20,000 – C. 9,500 cal. BCE)는 문화적 변동성이 크고 마이크로 리틱스 기술이 널리 보급된 것이 특징이다. 케바란 문화의 출현(기원전 18,000–12,500년)을 시작으로, 마이크로 리틱 툴킷은 활과 화살의 출현과 연관되었다. 케바란은 이집트 파이야움에서 초기 헬완 국면에 우호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기원전 2만년 후기 빙하 막시마 이후의 기후 온난화와 관련된 시나이 전역의 사람들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케바란 계열 문화는 남터키까지 퍼져나갔다. 이 시기의 마지막 부분(c.기원전 12,500 – C. 9,500년)은 나투피아의 문화가 번성하고 수렵-채집자들 사이에서 좌식주의가 발달한 시기다.

나투피안

이 문화는 기원전 13,000년에서 9800년까지 레반트에 존재했다. 수많은 고고학적 발굴이 이 사람들에 대한 비교적 명확한 이해를 이끌어냈다. 이 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측면은 그들의 큰 공동체 크기와 앉아서 생활하는 생활방식이었다.[10] 후기 나투피안은 공동체 규모가 축소되고 유목민이 되면서 이러한 경향에서 약간의 반전을 경험했지만(아마도 후기 드라이아스로 알려진 한기의 결과일 것이다) 이러한 문화는 계속되어 신석기 혁명의 토대가 되었다고 생각된다.[11]

신석기 시대

신석기 전배지와 도자기

샤아르 하골란 지역에서 발견된 야르무키아 문화로 만들어진 신석기 시대의 부싯돌 화살촉이다.

신석기 시대는 전통적으로 전배추(AB)와 도기 단계로 나뉜다. PPNA는 그 지역의 초기 나투프 문화로부터 발전했다. 이 시기는 근동농업 경제의 전환과 발전의 시기로, 이 지역에서 최초로 알려진 메갈리스(그리고 북부 레반트에 있고 미지의 문화에서 온 고베클리 테페 이외의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메갈리스)와 함께 매장실과 태양이나 다른 별들의 자취를 추적하는 시기다.[citation needed]

게다가 신석기 시대의 레반트(이후, 찰콜리틱의)는 대규모에 관여하여 무역에까지 이르렀다.[12]

칼콜리트 시대

인상적인 규모의 무역과 장거리 무역은 찰콜리틱 (기원전 4500–3300년) 기간 동안 계속되었다. 이스라엘 길라트의 찰콜리틱 수준에서 발견된 흑요석들은 원소 분석을 통해 남부 아나톨리아에 있는 세 가지 출처를 찾아냈다. 호타미스 다우(Hotamis Dağ), 귈뤼 다우(Göllü Dağ), 그리고 네므루트 다우(Nemrut Dağ)만큼 동쪽 멀리까지, 다른 두 근원에서 동쪽으로 500km(310mi) 떨어져 있다. 이것은 이 세 곳의 아나톨리아 유적지에서 북부 비옥한 초승달까지 도달한 매우 큰 무역원을 나타낸다.[12]

가술리아 시대는 지중해 경제의 기초를 만들었고 그 이후로 그 지역을 특징지었다. 찰콜리틱 문화인 가술리아 경제는 곡물(밀과 보리), 채소 작물의 집중 원예, 덩굴과 올리브의 상업적 생산, 트랜스휴먼스와 유목 목회주의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혼합 농업 시스템이었다. 주리스 자린스에 따르면, 가술리아 문화는 그가 말하는 "서클 아라비아 유목 목회 단지"의 초기 문하타 단계에서 발전했는데, 아마도 이 지역에 세미테가 처음 나타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citation needed]

청동기 시대 초·중기

청동기 말기 데이르 엘발라에서 발견된 인류무형 관. 그 물건들은 이스라엘 박물관의 영구 전시의 일부분이다.

가나안의 도시 개발은 이집트메소포타미아 그리고 심지어 기원전 3,500년부터 하모우카르에 상당한 규모의 도시가 발달한 시리아에 비해 상당히 뒤떨어졌다. 남부 이라크의 우륵에서 온 사람들에 의해 아마도 정복된 이 도시는 일부 사람들이[13][14] 가부장적 전통 뒤에 숨어 있다고 주장하는 시리아와 남부 이라크 사이의 첫 번째 연결고리를 보았다. 기원전 2300년에 이르러 다시 사곤 제국에 편입된 에블라와 같은 초기 청동기 시대 유적지에서 도시 개발이 다시 정점을 찍기 시작했다. 에블라의 기록물은 하솔, 예루살렘,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가부장적 기록에서 언급된 소돔과 고모라에도 언급되어 있다. 악카디아 제국의 붕괴는 티그리스 동쪽에 있는 자그로스 산맥에서 유래한 키르베트 케라크 웨어 도자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도착하는 것을 보았다.[15] 일부[1]은 이 사건이 훗날 성서 전통에서 호라이트로 알려진 후리아인들의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에 도착하는 것을 기념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다음 중세 청동기 시대는 시리아에서 온 '아모리인'이 남부 이라크에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는데, 이 행사는 올브라이트(위)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우르에 아브라함 가족의 도착과 관련된 행사였다. 이 시기는 시리아와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도시 발전의 정점을 보았다. 고고학자들은 이 시기에 가장 중요한 주가 이스라엘 지역의 수도였을지도 모르는 하조르 시였음을 보여준다. 이 시기는 이집트의 나일 삼각주 지역에서 셈족들이 더 많은 숫자로 나타나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하다.

타임라인

Iron Age IIIron Age ILate Bronze AgeMiddle Bronze Age IIMiddle Bronze Age IIntermediate Bronze AgeEarly Bronze AgePottery NeolithicPre-Pottery NeolithicIron AgeBronze AgeChalcolithicNeolithic

참고 항목

참조

  1. ^ Bar-Yosef, Yosef (1998). "The Natufian culture in the Levant, threshold to the origins of agriculture". Evolutionary Anthropology. 6 (5): 159–177. doi:10.1002/(sici)1520-6505(1998)6:5<159::aid-evan4>3.0.co;2-7. S2CID 35814375.
  2. ^ Bar-Yosef (1994). "The lower paleolithic of the Near East" (8): 211–265.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3. ^ Bienvenido Martínez-Navarro, Miriam Belmaker, Ofer Bar-Yosef (2009). "The large carnivores from 'Ubeidiya (early Pleistocene, Israel): biochronological and biogeographical implications". Journal of Human Evolution. 56: 514–524 – via ScienceDirect. The biochronological analysis narrows the age range for the fossil bearing strata at ‘Ubeidiya and the Early Acheulian industry in the Jordan Valley to 1.5–1.2 Ma and is 100–200,000 years earlier than previously estimated.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4. ^ Ignacio de la Torre (2016). "The origins of the Acheulean: past and present perspectives on a major transition in human evoluti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Biological Sciences. 371: 6. JSTOR 24768985.
  5. ^ Reid Ferring, Oriol Oms, Jordi Agusti, Francesco Berna, Medea Nioradze, Teona Shelia, Martha Tappen, Abesalom Vekua, David Zhvania and David Lordkipanidze (June 28, 2011). "Earliest human occupations at Dmanisi (Georgian Caucasus) dated to 1.85–1.78 M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8: 10432. JSTOR 27978631.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6. ^ 샤론 (2014), 페이지 1359–1360
  7. ^ 샤론 (2014), 페이지 1360–1363
  8. ^ 샤론 (2014), 페이지 1363–1364
  9. ^ 샤론 (2014), 페이지 1365–1366
  10. ^ Bar-Yosef, Ofer (1989). "The origins of sedentism and farming communities in the Levant". Journal of World Prehistory. 3 (4): 447–498. doi:10.1007/bf00975111. S2CID 162966796.
  11. ^ Bar-Yosef, Ofer (1998). "On the nature of transitions: the Middle to Upper Palaeolithic and the Neolithic Revolution" (PDF). Cambridge Archaeological Journal. 8 (2): 141–163. doi:10.1017/s0959774300001815.
  12. ^ Jump up to: a b Yellin, Joseph; Levy, Thomas E.; Rowan, Yorke M. (1996). "New Evidence on Prehistoric Trade Routes: The Obsidian Evidence from Gilat, Israel". Journal of Field Archaeology. 23 (3): 361–368. doi:10.1179/009346996791973873.
  13. ^ 브라이트, 존(2000년)이스라엘의 역사" (존 녹스 프레스 웨스트민스터)
  14. ^ 올브라이트, 윌리엄 F. "아브라함에서 에즈라까지"
  15. ^ "Se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2-24. Retrieved 2007-02-26.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