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당뇨병
Neonatal diabetes신생아당뇨병 |
---|
신생아 당뇨병은 신생아와 인슐린을 생산하거나 사용하는 신체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NDM은 생후 6개월에 발생하는 모노제닉(단일 유전자에 의해 제어되는) 당뇨병의 일종이다. 유아들은 충분한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여 포도당 축적을 증가시킨다. 살아있는 신생아 10만50만 명 중 1명꼴로 발생하는 희귀질환이다.[1] NDM은 훨씬 더 흔한 1형 당뇨병으로 오인될 수 있지만, 1형 당뇨병은 보통 생후 6개월보다 늦게 발생한다. NDM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영구 신생아 당뇨병은 평생의 병이다. 과도 신생아 당뇨병(TNDM)은 신생아의 단계에서 사라지지만 나중에 다시 나타날 수 있는 당뇨병을 말한다.[1]
NDM을 유발할 수 있는 특정 유전자가 확인되었다.[2] NDM의 시작은 비정상적인 췌장 발달, 베타 세포 기능 장애 또는 가속화된 베타 세포 기능 장애로 인해 일어날 수 있다.[3] 일원성 당뇨병에 걸린 사람은 자녀나 미래세대에 물려줄 수 있다. NDM과 관련된 각각의 유전자는 서로 다른 유전 형태를 가지고 있다.
증상 및 징후
NDM의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을 포함한다.
과도한 갈증(일명 다립증)과 배뇨 증가(일명 다뇨증)는 당뇨병의 흔한 증상이다. 당뇨병에 걸린 사람은 혈당이 누적되었다. 그들의 신장은 과도한 설탕을 걸러내고 흡수하기 위해 초과 근무를 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신장은 따라가지 못하고, 과도한 설탕은 그들의 소변으로 배설되며, 이것은 당뇨병 환자의 조직에서 나오는 액체를 따라 끌고 간다.[4] 이것은 소변을 더 자주 보게 되고 탈수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당뇨병 환자는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더 많은 수분을 섭취하기 때문에 소변을 더 많이 보게 된다.[4]
신체의 영향을 받는 부위는 눈, 입, 신장, 심장, 췌장이다. 탈수증의 다른 증상으로는 두통, 갈증, 입안이 건조해지는 것, 현기증, 피로감, 어두운 색의 오줌 등이 있다.[5] 당뇨병 환자의 심한 탈수증, 저혈압, 눈이 움푹 들어간 경우, 맥박이 약하거나 심장박동이 빨라 혼란스럽거나 피로를 느끼는 경우.[5] 장기간의 탈수와 높은 혈당 때문에 당뇨병의 신장은 접근 포도당의 혈액을 걸러내고 이것을 소변으로 배설하려고 할 것이다. 신장이 혈액을 여과하고 있기 때문에, 혈액에서 물이 제거되고 있기 때문에 교체가 필요하다.[5] 이것은 당뇨병에 걸린 사람에게 혈당이 높아지면 갈증이 심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신체를 다시 수분시키려면 물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신체는 침, 눈물, 그리고 신체의 세포와 같은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만약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면, 몸은 소변으로 과도한 포도당을 혈액에서 배출할 수 없을 것이고 추가적인 탈수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5]
NDM(인슐린 결핍증)의 심각한 증상:
신체가 혈액(케톤)에서 높은 수준의 산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당뇨병 합병증이다.[6] 이것은 췌장, 지방 세포, 신장에 영향을 미친다. 이 상태는 인체가 충분한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6] 인슐린이 없거나 부족할 때 당뇨병 환자의 몸은 지방을 연료로 분해할 것이다. 이 과정은 케톤이라고 알려진 혈류에서 산의 축적을 생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케톤을 치료하지 않고 두면 케토아시디드로 이어진다. 케토아시디스의 증상은 급속하게 또는 24시간 이내에 발병한다.[6] 케토아시디스의 증상은 과도한 갈증, 잦은 배뇨, 메스꺼움 또는 구토, 복통, 피로감, 숨이 차고 혼탁한 경우 등이다.[6]
자궁에서 정상적인 속도로 자라지 않기 때문에 태아가 본인보다 작아야 할 상태.[7] 성장이 지연되면 아기는 임신, 출산, 출산 중, 그리고 출산 후에 어떤 문제가 생길 위험에 처하게 된다. 아기의 출생 체중이 정상 체중보다 90% 적음, 질 분만을 다루기 어려움, 산소 수치 감소, 저혈당(저혈당), 감염에 대한 저저항, 낮은 Apgar 점수(출생 후에 아기의 신체 상태를 검사하고 특별한 의료가 필요한지 평가하기 위해 주는 검사), 메코늄(Meconium)은 다음과 같다.호흡 문제, 불규칙한 체온, 높은 적혈구 수를 유발하는 침윤([7] 자궁에 있는 동안 스툴이 지나가는 경우)
인체에 인슐린이 너무 적거나 인슐린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을 때 발생하는 고혈당 질환이다.[8] 고혈당은 췌장, 신장, 그리고 신체의 조직에 영향을 미친다. 고혈당증의 특성화는 혈당이 높고, 소변 내 당도가 높으며, 배뇨가 잦고 갈증이 심해지는 것이다.[8]
일반적으로 70 mg/dL 미만인 극도로 낮은 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9] 영향을 받는 신체 부위, 췌장, 신장 및 정신 상태.
원인
NDM의 원인
PNDM과 TNDM은 유아의 어머니나 아버지로부터 유전적으로 물려받는다. 유전적 유산이나 유전적 돌연변이가 다르면 NDM(영구적 또는 과도적 신생아 당뇨병 멜리투스)의 진단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다음은 다른 유형의 상속 또는 돌연변이다.
- 자동 우성: 모든 세포에는 각각의 유전자의 복사본이 두 개씩 있다. 한 유전자는 엄마에게서 나오고 한 유전자는 아빠에게서 나온다. 자가 우성 유전 패턴은 유전자의 한 사본에서만 발생하는 돌연변이로 정의된다.[1] 돌연변이를 가진 부모는 유전자의 복사본을 물려줄 수 있고, 돌연변이를 가진 부모는 유전자의 복제품(또는 손상된 유전자의 복제품)을 물려줄 수 있다.[10] 자가 우성 유전에서 돌연변이를 가진 부모를 둔 아이는 돌연변이를 물려받을 확률이 50%에 이른다.[10]
- 자동 열성 - 자가 열성-일반적으로 모든 세포는 각각의 유전자-하나의 유전자를 각각 두 개의 복제본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어머니로부터 물려받고 하나는 아버지로부터 물려받는다.[1] 자가 열성 유전 패턴은 유전자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각 부모가 아이에게 영향을 미치기 위해 돌연변이 유전자를 많이 물려주는 경우 양쪽 복사본에 존재하는 돌연변이로 정의된다.[1] 그러나 영아나 아이가 한 부만 가지고 있으면 돌연변이의 매개체가 된다. 만약 두 부모 모두 열성 유전자 돌연변이의 매개체라면, 각 아이는 유전자를 물려받을 확률이 25%이다.[1]
- 자발적: 유전자 안에서 새로운 돌연변이나 변화가 일어난다.[1]
- X 연결: X염색체(성염색체 중 하나)에 돌연변이 유전자를 물려받은 사람에게 특성이나 질병이 발생했을 때.[1]
메커니즘
과도 신생아 당뇨병 멜리투스(TNDM)
TNDM은 신생아의 생애 첫 며칠에서 몇 주 사이에 발생한다. 자궁내 성장 제한(IUGR)은 일반적으로 영향을 받는 개인에서 볼 수 있으며, 모태에 있는 동안 태아의 저성장으로 정의된다.[11] 이에 비해 PNDM에 비해 TNDM의 인슐린 용량 요구량은 더 낮은 경우가 많다. TNDM은 평균 나이 12주에 스스로 해결한다. 비록 개인은 50%의 사례에서 재발할 것이다.[12] 대부분 영향을 받는 신체 부위는 췌장, 중추신경계, 신체의 다양한 조직이다.[13]
TNDM의 평균 70%는 6q24번 염색체(핵산과 유전 물질을 운반하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끈 같은 구조를 의미하는 크로모솜)의 각인된 부위(그들의 표현에 의존하는 유전자)에서 아버지 유전자의 과다 발현을 개시하는 결함에 의해 발생한다.[14] 6q24 관련 TNDM을 유발할 수 있는 세 가지 메커니즘이 있는데, 여기에는 아버지의 DNA가 6번 염색체에 단일 유전적 이소디절제(UPD)로 인해 망가지고 6q24의 유전적 복제(상속적 중복제는 6번 염색체에 극히 적은 양의 유전적 물질이 복사되는 작은 염색체 변화)가 포함된다.[15] TNDM의 마지막 가능한 원인으로는 산모의 유전자가 DNA 메틸화의 영향을 받는다(DNA 메틸화는 메틸 그룹이나 CH3-가 DNA 분자에 첨가되는 과정이다). 메틸 그룹이 촉진자 위에 위치하면, 그것은 유전자 전사를 중단한다.[12] 이전 연구에서는 TNDM 내에서 각인된 유전자의 관여가 관찰되어 왔으며, 아버지의 유전 물질이나 염색체에 의해서만 발현되어 UPD나 당뇨병의 발병을 초래하는 유전자의 유전적 발현이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16] 게놈 내의 수많은 결함으로 인해 염색체 6q24 부위에서 아버지의 탈선 유전자가 과다하게 발현되어 TNDM이 발생할 수 있다.[15]그러나 이 부위에는 TNDM과 연관될 수 있는 두 가지 유전자가 있다.
ZAC는 PLAG1에서 세포사멸(프로그래밍된 세포사망)과 세포주기억제(세포분열과 DNA복제가 세포손상이나 결함을 감지하면 정지)를 제어하는 아연손가락 단백질이다.
(편모형 아데노마 유전자와 같은 1) PLAG1은 뇌하수체 아데닐화 사이클라제 활성화 폴리펩타이드(아데닐산 사이클라제를 활성화하고 순환 아데노신 모노인산염(cAMP) 또는 cAMP는 대상 세포에서 신호 전도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두 번째 메신저)를 위한 제1형 수용체의 전사 조절기로서, 이는 이미 사용되고 있다.인슐린 분비 조절에 [12]강한 HYMAI(수형 몰 관련 및 각인된 대본)의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다.[12]
둘째, 염색체 6q24-TNDM은 6q24(PLAGL1 [ZAC], HYMAI)에서 각인된 유전자의 과다한 발현에 의해 발생한다.[17] 이러한 유전자의 공유 촉진자 내에 차등 메틸화 지역(DMR)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어머니의 PLAGL1과 HYMAI의 대립 표현은 DMR 메틸화에 의해 차단되거나 표현되지 않으며 PLAG1과 HYMA1의 아버지의 대립만 표현된다. 앞서 열거한 유전적 메커니즘은 이 두 유전자의 정상 양보다 두 배 많은 양을 생성하며 염색체 6q24 TNDM을 유발한다.
ZFP57 진
셋째, 어머니의 저메틸화 결함(전사를 억제할 메틸 그룹을 얻는 것을 막는 유전적 결함)은 고립된 유전체 각인으로부터 발생하거나 "하이메틸화 각인된 loci"(HIL)라는 결함으로 발생할 수 있다. HIL은 염색체의 고정된 위치에서 5-메틸시토신 뉴클레오티드 내 메틸 그룹의 상실로 정의된다.[17] 동형(동일한 알레르기가 두 개 있음) 또는 이형(이형 알레르기가 두 개씩 있는 것으로 정의됨) ZFP57 병원성 변종이 TNDM-HIL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지만 HIL의 다른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18][17]
더욱이 염색체 6q24 관련 TNDM을 포함하는 TNDM 환자의 절반은 어린 시절이나 어린 성인기에 당뇨병이 재발하는 것을 경험한다. 인슐린 저항성의 시작과 인슐린 요구의 증가는 사춘기와 임신이 당뇨병의 재발을 시작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12] 감기가 완화된 경우, 개인은 단식 상태에서 증상이나 베타세포 기능을 나타내지 않는다. 정맥내 포도당 부하에 대한 인슐린 분비물 반응은 당뇨병이 재발할 운명인 사람들에게 비정상적일 수 있다.[12] 6Q24 유전적 결함으로 인한 TNDM은 항상 IGR과 연관되어 있다.[12] 그 외 기여 요인은 탯줄 탈장과 확대된 혀로, 염색체 6q24 TNDM 관련 환자의 9와 30%에 존재한다.[12]
또한 유전자에 의해 시작된 TNDM, KCNJ11 또는 ABCC8 돌연변이는 TNDM과 관련된 염색체 6q24의 돌연변이와 유사하다. 통상적으로 유아의 출생 체중은 염색체 6q24 TNDM 환자에서 더 낮고 당뇨병은 더 이른 연령(재입학과 유사)에서 시작된다.[12] 6q24 염색체와 KCNJ11, ABCC8 관련 TNDM이 중복될 수 있어 치료에 필요한 유전자 진단이 필요하다.
INS 진
INS 유전자 인코딩 인슐린에서 열성 돌연변이가 발견되어 PNDM과 TNDM을 유발하였다. 당뇨병은 동질 돌연변이로 인슐린 생합성이 감소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일반적인 표현형은 출생 체중이 감소하고 평균 진단 연령이 1주일이다.[12] 이전의 연구들은 당뇨병의 재발은 평균 26주의 나이에 발생했다는 것을 보여준다.[12]
영구 신생아 당뇨병(PNDM)
PNDM은 KCNJ11과 ABCC8에서 이질화에 의해 시작된 베타 셀 ATP 민감 칼륨 채널(KATP)의 돌연변이와 연관되어 있는데, 이는 PNDM 사례의 31%와 10%의 돌연변이로 이어진다(Exeter 실험 시리즈에 기초한 결과).[12] 인슐린 유전자 돌연변이의 12%는 PNDM으로 이어진다.[citation needed]
KCNJ11 및 ABCC8 유전자와 베타세포 ATP 민감 칼륨 채널 연결
KCNJ11은 Kir6.2(칼륨 채널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를 암호화하고 ABC8은 KATP 채널의 두 구성 요소인 ATP 결합 카세트 트랜스포터 계열의 멤버인 SUR1(설포닐루레아 수용체 1종 서브 유닛)을 암호화하고 있다.[12] 이 채널은 ATP에 반응하여 닫힘으로써 포도당 대사를 인슐린 분비물과 연결시킨다. 베타세포에 혈당을 저장하면 당분해와 ATP 생성을 일으킨다.[12] ATP/adenosine diphosphate 비율이 상승하면 KATP 채널이 폐쇄되고, 칼륨 유출(이 채널에서 많은 칼륨이 흘러나옴)을 억제하여 베타 셀 막의 탈극화를 초래한다.[12] 탈분극화는 근육의 혈장막 내측과 외측 사이의 담당 차이를 상실하는 것이다. 이것은 세포 내부의 투과성 변화와 나트륨 이온의 이동 때문에 발생한다. 그런 다음 전압 게이트 채널이 열려 칼슘(Ca+)이 채널 내부로 흐르게 하고 베타 셀에서 인슐린 함유 과립을 방출하여 세포 밖으로 분자를 이동시키는 능동적 운송)을 일으킨다. KCNJ11 또는 ABCC8의 결함을 활성화하면 KATP 채널이 ATP에 덜 민감하게 되어 높은 수준의 포도당이 발생한 후 더 많은 채널이 개방 상태에 있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12] 고혈당에 대한 인슐린 반응이 실패하고 NDM으로 이어진다.[12]
진단
TNDM 및 PNDM 진단
진단 평가는 NDM에 관한 최신 문헌과 연구에 기초한다. 다음의 평가 요인은 TNDM 환자는 PNDM 환자보다 자궁내 성장지연성이 높고 케토아시드증 발생 가능성이 낮다. TNDM 환자는 당뇨 진단 연령에 젊고 인슐린 요구사항이 낮으며, 따라서 두 그룹 사이에 중복이 발생하므로 TNDM을 구별할 수 없다.PNDM 기반 임상 특징에서 획득. 당뇨병의 조기발병은 대부분의 경우 자가면역성과 무관하며 당뇨의 재발은 TNDM과 함께 흔하며 광범위한 후속 치료가 중요하다. 또한 염색체 6 결함 KCNJ11 및 ABCC8 유전자(Kir6.2, SUR1)에 대한 분자분석을 통해 유아 단계에서 PNDM을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PNDM의 약 50%는 인슐린 치료에서 설포닐루레아로 환자들을 변화시킬 때 필수적인 결과인 칼륨 채널 결함과 관련되어 있다.[citation needed]
염색체 6q24 돌연변이와 관련된 TNDM 진단
염색체의 단엽절제술은 다형성 표지의 분석이 6번 염색체에 존재한다는 증거를 제공하는 진단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염색체의 감수분리는 아이 내 다형성 제조자의 알레르기를 아이의 부모 게놈과 비교함으로써 구별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6번 염색체의 완전한 단일절제술은 입증되지만, 부분절제술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6q24번 염색체의 관심 영역에 가까운 유전자 표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염색체 복제는 또한 그 기술로 발견될 수 있다.
NDM의 의료전문가
NDM 진단시험
- 단식 혈장 포도당 검사: 당뇨병 환자가 8시간 동안 굶은 후 혈당을 측정한다. 이 검사는 당뇨병이나 당뇨병 전을 감지하는 데 쓰인다.
- 구강 포도당 내성 테스트는 개인이 적어도 8시간 동안 먹지 않고, 당뇨병 환자가 포도당이 함유된 음료를 마신 후 2시간 후에 혈당을 측정한다. 이 검사는 당뇨병이나 당뇨 전 당뇨병을 진단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 무작위 혈장 포도당 검사=의사는 개인이 마지막 식사를 했을 때와 관계없이 혈당을 검사한다. 이 검사는 증상에 대한 평가와 함께 당뇨병 진단에는 쓰이지만 당뇨 전 진단에는 쓰이지 않는다.
NDM 유전자 검사
- 유니파렌탈 절개 검사:
분석을 위해서는 태아나 아이와 부모 모두의 샘플이 필요하다. 관심 염색체는 요청서에 명시되어야 한다. 태아 샘플의 경우(만 해당): 양수(비혼합 배양 세포)가 제공되는 경우.[19] 양수는 따로 첨가하여 충전한다. 또 초리오닉 빌루스 샘플이 제공되면 유전자 검사가 추가돼 별도로 청구된다. 관심 염색체에는 마이크로 위성 표지와 중합효소 연쇄반응이 사용되어 부모와 아이의 DNA를 검사하여 단종 절제의[19] 존재를 확인한다.
- 자궁내 성장 제한
압가 점수는 아기의 신체 상태를 검사하고 특별한 치료가 필요한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출산 후 부여하는 시험이다.[20]
치료
신생아 당뇨병은 글리부라이드와 같은 경구용 황화수소로 치료하는 경우가 많다. 의사는 인슐린에서 설포닐루레아 약으로 전환하는 것이 환자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유전자 검사를 지시할 수 있다.
인슐린 주사로부터 경구용 글리벤클라미드 치료로 옮겨지는 것은 대부분의 환자에게 매우 효과적이고 안전해 보인다. 이것은 당뇨병의 모노제적 형태에 대한 분자의 이해가 어린이들에게 예상치 못한 치료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을 조명한다. 이것은 젊은 당뇨병 환자들의 삶의 질을 엄청나게 향상시키는 약리유전학적 접근법을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다.
- 롱액션 인슐린: (인슐린 글라진)-혈당 수치를 낮춰서 작용하는 호르몬이다. 주사를 맞은 후 몇 시간 후부터 작동하기 시작해 24시간 동안 계속 작동한다.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에 쓰인다. 성인의 경우 1, 2형 당뇨병을, 6세 정도의 어린이는 1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21]
- 단기 작용 인슐린(예: 노볼린 또는 벨로술린)-천연 인슐린과 유사하게 작용하며 사용량에 따라 최대 30분, 약 8시간 동안 지속된다.[22]
- 중간 인슐린: (예: NPH 인슐린)- 보통 짧은 작용 인슐린과 함께 복용한다. 중간 작용 인슐린은 주입 후 첫 시간 이내에 활성화되기 시작하고 7시간 동안 지속되는 최고 활동 기간에 들어간다.[23]
- 설포닐루레아: 이 약은 췌장에 인슐린을 분비하고 인체의 세포가 인슐린을 더 잘 사용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이 약은 A1C 수치를 1-2%[24] 낮출 수 있다(AIC는 이전 2~3개월 후 혈당 측정값으로 정의된다).
예후
NDM을 가진 유아나 성인의 결과는 질병의 매개체들 사이에 다른 결과를 가진다. 감염된 아기들 중 일부는 PNDM을 가지고 있는 반면 다른 일부는 당뇨가 재발하고 다른 환자들은 영구적인 완화를 경험할 수 있다. 당뇨병은 환자의 어린 시절이나 성인기에 재발할 수 있다. 신생아 당뇨병의 50% 정도가 TNDM일 것으로 추정됐다.[25]
신생아 단계에서 예후는 질병의 중증도(탈수 및 산도증)에 의해 결정되며, 또한 질병이 얼마나 빨리 진단되고 치료되는지에 근거한다. 관련 이상(예: 자궁의 불규칙한 성장이나 확대된 혀)은 사람의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다.[25] 장기예후는 사람의 대사 조절에 따라 달라지는데, 당뇨병 합병증의 유무와 합병증에 영향을 미친다.[25] 그 예후는 유전적 원인을 찾기 위한 유전자 분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적절한 관리로 전반적인 건강과 정상적인 뇌 발달에 대한 예후가 보통 좋다. NDM과 함께 사는 사람들은 그들의 건강관리 제공자에게서 예후를 구해야 한다.[citation needed]
최근 연구
NDM의 임상실험
- 연구기사의 제목은 "A 성공적인 전환 ABBC8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한 신생아 당뇨병 치료(NDM) 남성 영아에서 설포나미드 치료의 성공적 전환"이다.[26] 인슐린 치료에서 설포나미드 치료로 전환되는 치료에 대한 사례 연구다. NDM은 자가면역 메커니즘에 의해 개시되는 것이 아니라 K-민감ATP 채널의 돌연변이, KCNJ11, ABCC8 및 INS 유전자는 인슐린에서 설포나미드 치료로 치료법을 바꾸는 데 성공한 표적이다.[26]
- 소개: 이 연구에서는 두 달 된 수컷이 중환자실에 입원했는데, 그 이유는 그가 당뇨 케토아시스증의 징후를 보이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른 증상으로는 호흡기 감염, 자극, 탈수, 피하지방 감소, 칸디다 점액 감염 등이 있다. 유아의 가족력은 유전적으로 중요한 질병에 대해 부정적이고 맏형도 건강했다.[26]
- 실험: 현재의 치료 계획은 케토아시데스 치료로 구성되어 있다. 케토아시데스 치료는 입원과 동시에 시작되었다. 또한 피하 인슐린(0.025-0.05단위/kg/h)을 투여하고 글리코닉 프로필에 맞게 조절하여 우생균 상태로 전환하였다. 24시간 후, 인슐린의 경구 섭취가 시작되었고 피하 단기 작용 인슐린과 중간 작용 인슐린 그리고 2회 복용량의 짧은 작용 인슐린으로 치료가 계속되었다. NDM에 대한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KCNJ11, ABCC8, INS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주어졌다. 시퀀스 분석 결과 ABCC8 유전자의 환자 exon 12에서 희귀한 이기종 미스센스 돌연변이 PF577L가 나타났다. 이것은 그의 부모의 백혈구가 이 돌연변이의 징후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췌장 ATP에 민감한 칼륨 채널의 SUR1 소단위에서의 이질 돌연변이에 의한 NDM의 진단을 확인시켜준다.[26]
- 결과: 인슐린 요법에서 설포나미드로 바꾼 것은 성공적인 치료였다. 그것은 NDM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현재의 식이요법이다.[26]
- 토론/결합 : ABCC8 유전자는 췌장 ATP 민감 칼륨 채널과 상호작용하는 SUR1 단백질 서브유닛을 생성한다. 채널이 열리면 다량의 인슐린이 분비된다. ABCC8에서 발생하는 돌연변이는 응축성 고인슐린증, PNDM 또는 TNDM과 관련이 있다. 칼륨 채널에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들은 설포닐루레아 요법, 글리벤클라마이드로 포도당 수치를 개선한 결과 또한 포도당 수치를 관리하는 데 성공적이었다.
- 2006년의 한 연구는 KCNJ11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의 90%가 설포닐루레아 요법으로 성공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7]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g h "Monogenic Forms of Diabetes NIDDK".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Retrieved 2017-11-05.
- ^ 모노제닉 형태의 당뇨병: 국립당뇨병정보센터 신생아 당뇨병과 성숙-온셋당뇨병 국립보건원 소화신장질환연구소의 서비스인 국립당뇨병정보센터 영아당뇨병. NIH 간행물 번호 07-6141. 2007년 3월. 저작권 인용: 이 출판물은 저작권이 없다.
- ^ "Neonatal diabetes - Other types of diabetes mellitus - Diapedia, The Living Textbook of Diabetes". www.diapedia.org. Retrieved 2017-11-06.
- ^ a b "Diabetes symptoms: When diabetes symptoms are a concern". Mayo Clinic. Retrieved 2017-11-07.
- ^ a b c d "Dehydration & Diabetes - Symptoms, Causes and Treatment". Retrieved 2017-11-07.
- ^ a b c d "Diabetic ketoacidosis Symptoms - Mayo Clinic". www.mayoclinic.org. Retrieved 2017-11-07.
- ^ a b "IUGR Causes, Diagnosis, Complications, Treatment, and More". WebMD. Retrieved 2017-11-07.
- ^ a b "Hyperglycemia (High Blood Glucos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Retrieved 2017-11-07.
- ^ "Hypoglycemia (Low Blood Glucos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Retrieved 2017-11-07.
- ^ a b "Monogenic Forms of Diabetes NIDDK".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Retrieved 2017-11-07.
- ^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medlineplus.gov. Retrieved 2017-11-07.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Naylor, Rochelle N; Greeley, Siri Atma W; Bell, Graeme I; Philipson, Louis H (2011-06-05). "Genetics and pathophysiology of neonatal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Diabetes Investigation. 2 (3): 158–169. doi:10.1111/j.2040-1124.2011.00106.x. ISSN 2040-1116. PMC 4014912. PMID 24843477.
- ^ "Neonatal diabetes - Other types of diabetes mellitus - Diapedia, The Living Textbook of Diabetes". www.diapedia.org. Retrieved 2017-11-07.
- ^ "Imprinted Genes". www.biology-pages.info. Retrieved 2017-11-07.
- ^ a b Reference, Genetics Home. "16p11.2 duplication". Genetics Home Reference. Retrieved 2017-12-10.
- ^ Das, S.; Lese, C. M.; Song, M.; Jensen, J. L.; Wells, L. A.; Barnoski, B. L.; Roseberry, J. A.; Camacho, J. M.; Ledbetter, D. H. (December 2000). "Partial Paternal Uniparental Disomy of Chromosome 6 in an Infant with Neonatal Diabetes, Macroglossia, and Craniofacial Abnormalities".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67 (6): 1586–1591. doi:10.1086/316897. ISSN 0002-9297. PMC 1287936. PMID 11038325.
- ^ a b c Temple, Isabel Karen; Mackay, Deborah J.G.; Docherty, Louise Esther (1993). Adam, Margaret P.; Ardinger, Holly H.; Pagon, Roberta A.; Wallace, Stephanie E.; Bean, Lora J.H.; Mefford, Heather C.; Stephens, Karen; Amemiya, Anne; Ledbetter, Nikki (eds.). GeneReviews. Seattle (WA):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PMID 20301706.
- ^ "What is Homozygous? - Definition, Traits & Example - Video & Lesson Transcript Study.com". study.com. Retrieved 2017-11-07.
- ^ a b "UNIPD - Clinical: Uniparental Disomy". www.mayomedicallaboratories.com. Retrieved 2017-11-07.
- ^ Jovanovic, L.; Ilic, S.; Pettitt, D. J.; Hugo, K.; Gutierrez, M.; Bowsher, R. R.; Bastyr, E. J. (1999-09-01). "Metabolic and immunologic effects of insulin lispro in gestational diabetes". Diabetes Care. 22 (9): 1422–1427. doi:10.2337/diacare.22.9.1422. ISSN 0149-5992. PMID 10480503.
- ^ "Insulin glargine Uses, Side Effects & Warnings - Drugs.com". Drugs.com. Retrieved 2017-12-13.
- ^ "Short Acting Insulin - Regular, Neutral Insulin". Retrieved 2017-12-13.
- ^ "Intermediate Acting Insulin - Isophane, NPH Insulins". Retrieved 2017-12-13.
- ^ "Diabetes Medicine: Sulfonylureas - Diabetes Self-Management". Diabetes Self-Management. Retrieved 2017-12-13.
- ^ a b c "Permanent neonatal diabetes mellitus Genetic and Rare Diseases Information Center (GARD) – an NCATS Program". rarediseases.info.nih.gov. Retrieved 2017-12-13.
- ^ a b c d e Katanic, Dragan; Vorgučin, Ivana; Hattersley, Andrew; Ellard, Sian; Houghton, Jayne A. L.; Obreht, Dragana; Pogančev, Marija Knežević; Vlaški, Jovan; Pavkov, Danijela (2017-07-01). "A successful transition to sulfonylurea treatment in male infant with neonatal diabetes caused by the novel abcc8 gene mutation and three years follow-up".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129: 59–61. doi:10.1016/j.diabres.2017.04.021. ISSN 0168-8227. PMC 5612402. PMID 28511139.
- ^ Pearson ER; Flechtner I; Njolstad PR; et al. (2006). "Switching from insulin to oral sulfonylureas in patients with diabetes due to Kir6.2 mutation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5 (5): 467–477. doi:10.1056/nejmoa061759. PMID 16885550.
- Yorifuji, T; Kurokawa, K; Mamada, M; Imai, T; Kawai, M; Nishi, Y; Shishido, S; Hasegawa, Y; Nakahata, T (Jun 2004). "Neonatal diabetes mellitus and neonatal polycystic, dysplastic kidneys: Phenotypically discordant recurrence of a mutation in the hepatocyte nuclear factor-1beta gene due to germline mosaicism".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89 (6): 2905–8. doi:10.1210/jc.2003-031828. PMID 15181075.
- Edghill, EL; Bingham, C; Slingerland, AS; Minton, JA; Noordam, C; Ellard, S; Hattersley, AT (Dec 2006). "Hepatocyte nuclear factor-1 beta mutations cause neonatal diabetes and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support for a critical role of HNF-1beta in human pancreatic development". Diabetic Medicine. 23 (12): 1301–6. doi:10.1111/j.1464-5491.2006.01999.x. PMID 17116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