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디압시다

Neodiapsida
네오디압시드과
시간 범위:
Cisuralian현재, 289-0 Ma O N
ClaudiosaurusGermaini-RedpathMuseumMontreal-June6-08.png
레드패스 박물관 초기 네오디압시드(Claudiosaurus germaini) 화석
과학적 분류 e
왕국: 애니멀리아
문: 챠다타
클래스: 파충류
Clade: 딤시다
Clade: 네오디압시다
벤튼, 1985
서브그룹

네오디압시다(Neodiapsida)는 파충류 과수의 한 분지 또는 주요 분지이며, 아레오셀리디아로 알려진 초기 원시 유형을 제외한 모든 디압시드를 포함한다.

계통학에서, 그들은 공통의 조상과 영아목의 모든 후손으로 다양하게 정의되며, "크라운디캡시드"(도마뱀, 악어, 와 그 모든 후손의 공통 조상) 또는 아라에오셀리디아보다 사우리아와 더 가까운 모든 디캡시드(Aurin and gauthier 2000)로 정의된다.

초기 또는 기초 페름기 네오디아스피드는 도마뱀처럼 생겼지만, 이미 수영(Claudiosaurus)과 활공(Weigeltisauridae)에 특화된 형태와 더 전통적인 도마뱀 같은 형태(Youngina 등)를 포함하고 있다.페름기가 끝나기 전에 네오디압시드는 다이압시드 진화 나무의 주요 가지인 레피도사우루스대룡을 낳았다.

분류

네오디압시다는 1991년 로린에 의해 계통발생학적 정의를 받았다.그는 그것을 페트롤라코사우루스보다 "Younginiformes"(나중에, 더 구체적으로, 영기나 카펜시스)[1]와 더 가까운 모든 동물들을 포함하는 가지 기반의 분지군이라고 정의했다.여기에 제시된 분지도는 파충류의 가계도를 나타내며 2013년 [2]리 씨가 발견한 관계를 간략화한 것이다.모든 유전학 연구는 거북이가 반각류 파충류라는 가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몇몇은 거북이를 대룡류에 [2][3]포함시키거나, 더 일반적으로는, 현존하는 대룡류의 [4][5][6][7]자매 집단으로 두었다. 그러나 몇몇 거북이는 대신 [8]레피도사우루스류로 회복되었다.아래 분해도에서는 [2]결과를 얻기 위해 유전자(분자)와 화석(모형학) 데이터를 조합하여 사용했다.

딤시다

아레오스셀리디아 Spinoaequalis schultzei reconstruction.jpg

네오디압시다

클라우디오사우루스Claudiosaurus white background.jpg

영기목Hovasaurus BW flipped.jpg

사우리아
레피도사우루스모르파스과

쿠에네오사우루스과Icarosaurus white background.jpg

레피도사우루스속

Rynchoccephalia(투아타라와 그 멸종된 친척)Hatteria white background.jpg

스쿼마타(눈썹과 뱀)British reptiles, amphibians, and fresh-water fishes (1920) (Lacerta agilis).jpg

대룡류

초리스토데라Hyphalosaurus mmartyniuk wiki.png

프롤라케르테아목Prolacerta broomi.jpg

트릴로포사우루스Trilophosaurus buettneri (flipped).jpg

린코사우루스과Hyperodapedon BW2 white background.jpg

대룡류(악어, 조류 및 그 멸종된 근연종)

이 두 번째 분해도는 프리처드와 네스비트의 [9]2017년 연구에 기초하고 있다.

네오디압시다

오로베네이터Orovenator.jpg

DrepanosauromorphaMegalancosaurus BW.jpg

흰가시나무과Weigeltisaurus reconstruction.png

클라우디오사우루스Claudiosaurus white background.jpg

영기니과

TangasauridaeHovasaurus BW flipped.jpg

사우리아

레피도사우루스속Zoology of Egypt (1898) (Varanus griseus).png

대룡류

프로토로사우루스Protorosaurus BW.jpg

타니스트로페과Macrocnemus BW.jpg

린코사우루스과Hyperodapedon BW2 white background.jpg

알로코토사우루스과Icarosaurus white background.jpg

프로라세르타Prolacerta broomi.jpg

아르코사우루스과Deinosuchus riograndensis.png

레퍼런스

  1. ^ Reisz, R. R., Modesto, S. P., & Scott, D. M. (2011년)새로운 초기 페름기 파충류와 초기 디아스피드 진화에서의 중요성.왕립학회 B, 278(1725): 3731-3737.
  2. ^ a b c Lee, M. S. Y. (2013). "Turtle origins: Insights from phylogenetic retrofitting and molecular scaffolds". Journal of Evolutionary Biology. 26 (12): 2729–2738. doi:10.1111/jeb.12268. PMID 24256520. S2CID 2106400.
  3. ^ Mannen, Hideyuki; Li, Steven S. -L. (Oct 1999). "Molecular evidence for a clade of turtl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13 (1): 144–148. doi:10.1006/mpev.1999.0640. PMID 10508547.
  4. ^ Zardoya, R.; Meyer, A. (1998).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suggests diapsid affinities of turtles". Proc Natl Acad Sci U S A. 95 (24): 14226–14231. Bibcode:1998PNAS...9514226Z. doi:10.1073/pnas.95.24.14226. ISSN 0027-8424. PMC 24355. PMID 9826682.
  5. ^ Iwabe, N.; Hara, Y.; Kumazawa, Y.; Shibamoto, K.; Saito, Y.; Miyata, T.; Katoh, K. (2004-12-29). "Sister group relationship of turtles to the bird-crocodilian clade revealed by nuclear DNA-coded protein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22 (4): 810–813. doi:10.1093/molbev/msi075. PMID 15625185.
  6. ^ Roos, Jonas; Aggarwal, Ramesh K.; Janke, Axel (Nov 2007). "Extended mitogenomic phylogenetic analyses yield new insight into crocodylian evolution and their survival of the Cretaceous–Tertiary boundary".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5 (2): 663–673. doi:10.1016/j.ympev.2007.06.018. PMID 17719245.
  7. ^ Katsu, Y.; Braun, E. L.; Guillette, L. J. Jr.; Iguchi, T. (2010-03-17). "From reptilian phylogenomics to reptilian genomes: analyses of c-Jun and DJ-1 proto-oncogenes". Cytogenetic and Genome Research. 127 (2–4): 79–93. doi:10.1159/000297715. PMID 20234127. S2CID 12116018.
  8. ^ Tyler R. Lyson; Erik A. Sperling; Alysha M. Heimberg; Jacques A. Gauthier; Benjamin L. King; Kevin J. Peterson (2012-02-23). "MicroRNAs support a turtle + lizard clade". Biology Letters. 8 (1): 104–107. doi:10.1098/rsbl.2011.0477. PMC 3259949. PMID 21775315.
  9. ^ Pritchard, Adam C.; Nesbitt, Sterling J. (2017-10-11). "A bird-like skull in a Triassic diapsid reptile increases heterogeneity of the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radiation of Diapsida". Royal Society Open Science. 4 (10): 170499. Bibcode:2017RSOS....470499P. doi:10.1098/rsos.170499. ISSN 2054-5703. PMC 5666248. PMID 29134065.
  • 캘러웨이, J.M.(1997), Ichthyosauria:소개: JM Callaway & EL Nicholls (에드)에서 고대 해양 파충류.학술 출판사, 페이지 3-16.
  • Laurin, Michel and Gauthier, Jacques A. (2000) Diapsid Clades의 자가 형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