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도브 화산 지대
Meidob volcanic field메이도브 화산 지대 | |
---|---|
최고점 | |
좌표 | 15°19°N 동경 26도 28도/15.32°N 26.47°E좌표: 15°19′N 26°28′E / 15.32°N 26.47°E/ [1] |
지리 | |
메이도브 화산지대는 수단 다르푸르에 있는 홀로세 화산지대다.그것은 맨틀 플럼의 활동과 지각 구조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기원이 설명되는 아프리카의 몇몇 화산 지역 중 하나이다.메이도브는 사하라 사막의 남쪽 여백에 있다.
화산지대는 용암 흐름이 겹치면서 형성되는데, 용암이 100km/50km(62mi × 31mi)의 면적을 덮고 있으며 주로 전갈 원추형 원추형인 약 700개의 환기구에서 뿜어져 나온다.용암 돔, 낙진, 화쇄성 유동 퇴적물도 흔하다.환풍구 중에는 말하 분화구가 있는데, 현재 작은 호수가 들어 있다.이 화산지대는 바사나이트에서 트라키테에 이르는 암석들을 분출했고 다르푸르 돔으로 알려진 지질 구조적인 상승에서 솟아났다.
메이도브의 화산활동은 680만년 전에 시작되어 홀로세까지 계속되었는데, 가장 최근의 폭발은 4,900 ± 52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메이도브에는 지열 발현이 없지만, 현지인들의 전설은 들판에서 화산 폭발을 목격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름
메이도브(Meidob)라는 용어는 페이다(peida)가 '슬레이브(slave)'[2]를 뜻하는 누비아어에서 유래했다.실제 미도브족인 '메이도브족'에서처럼 '미도브족'을 잘못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3]미도브 사람들은 메이도브 언덕 지역에 산다.[4]
지형과 지형학
메이도브 화산지대는 다르푸르[5] 북부에 있으며 수단 북부에 속해 있다.[6]비르하라, 아인 바소로, 말하 마을은 화산지대에 인접해 있으며 [7]엘파셔는 화산지대에서 남서쪽으로 220km(140mi) 떨어져 있다.[8]메이도브 화산지대는 알하루지, 카메룬 선, 호가르, 제벨 마라, 티베스티 등 북아프리카의 여러 화산지대 중 하나로, 일부는 북동쪽으로 번져가는 화산성의 일부로 간주된다.[9][10]
메이도브는 동서 방향으로 100 X 50 킬로미터(62 mi × 31 mi)[9]의 면적을 덮고 있는 화산 지대다.[1]밭은 원추와 용암류로 이루어져 있는데[11], 밭 한가운데 400미터(1,300피트) 두께의 더미를 평원 형태로 형성하고 있다.[1]중심지역은 화산지대의[12] 주변부보다 높은 고도에 위치하며 최대 고도는 1800m(6000ft)이다.[5]원뿔과 용암 흐름 외에 낙진 및 화쇄성 유동 퇴적물이 특징이다.[11]이그넴브라이트는 어떤 곳에서 발생한다.[13]
용암 흐름은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 두께로 20 킬로미터(12 mi) 이상의 길이에 이른다.침식되지 않은 용암 흐름은 전형적인 AA 용암과 파회 용암의 표면 특징을 가지고 있다.[11]그 밖의 용암 흐름은 제벨 아르피누르, 제벨 시레르 등 이른바 '메사' 흐름을[a] 구성하는데, 타원형 또는 원형 모양과 가파른 옆구리가 특징이다.[14]
이 들판에는 용암 돔, 마아, 메사, 터프[7] 링, 그리고 가장 흔한 전갈 원추와 같은 약 700개의 분출구가[9] 있다.[11]전갈나무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약 80m(260ft)이며, 기저부 넓이는 500–1,500m(1600–4,900ft)이다.[15]많은 용암이 전갈색 원뿔에서 생성된다.[11]
말하 분화구(15°8)를 비롯해 밭에서 30여 마리의 마구와 분화구가 발견된다.′N 26°10′E / 15.133°N 26.167°E).[1]말하(Malha)는 깊이가 약 150m(490ft)이고 너비가 1,050m(3440ft)인 분화구다.그것은 화산지대 아래의 지하 암반으로 발굴되었고,[14] 그 자체로 높이가 100피트도 안 되는 테두리로 둘러싸여 있다.[4]말하에는 중간에 짠 호수가 있고 대수층이 먹인 샘이[5] 여러 개 들어 있으며,[16] 말하 분화구 북동쪽에 제벨 소위도르 용암밭의 용암 흐름이 분화구 우울증을 침범했다.[10]들판에는 말하 외에도 깊고 넓은 분화구가 있다.[17]
수문학
메이도브 화산지대의 남서쪽과[18] 북쪽은 와디하라로 흘러들어갔고, 이후 물을 운반할 때 북동쪽으로 흐르는 와디 마그루르로 흘러 들어간다.[19]오늘날에는 대부분의 와디 움 아파리트가 내륙 델타스의 와디 움 아파리트 끝과 같이 북동쪽으로 메이드롭을 배수하고, 과거 습기에 그들은 와디 마그루르에 도달했다.[20]이에 와디 마그루르는 와디 하와르로 제대하여 습지의 발달로 이어졌다.[21]
지질학
맨틀 플룸과 리프팅 공정은 북아프리카의 화산 활동을 담당한다;[22][9] 제벨 마라, 메이도브, 타가보 힐스와 같은 다르푸르 돔 화산 지역의 경우 가장 유력한 설명은 맨틀 플룸이다.[23]이 플룸에 의해 촉발된 화산활동의 위치는 아프리카 판의 느린 움직임보다는 지각응력장에 의해 더 많이 통제될 것이며, 왜 화산활동이 제벨 마라와 메이도브 사이에서 시작되었고 이후 돔의 반대편에 있는 이 두 분야에서 계속되었는지를 설명해준다.[13]
그 대신에, 견과내 삼중 접합으로서의 기원도[24] 제안되었지만 그것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논쟁거리가 되었다.[25]다른 제안들은 라콜리스의 존재를 포함한다.[22]아프리카 북동부의 다른 지역들에서도 화산 활동은 홍해 균열과 아파르 핫스팟에 기인하고 있다.[26]
국부적
제벨 마라와 메이도브는 다르푸르 돔으로 알려진 상류층 지하실에[9] 놓여 있는데,[22] 이곳은 프레캄브리아 시대의 다양한 화성암과 변성암, 네오프로테로동대 녹색당원, 누비아 사암을 포함한 고생대-메조대 사암으로[27] 구성되어 있다.[28]메이도브에 있는 이 바위들은 최근의 화산암 아래에 숨겨져 있지만, 들판의 폭발은 지하의 큰 암석 덩어리들을 표면으로 운반해 왔고, 퇴적물은 말하 분화구 같은 분화구에 노출되어 있다.[27]
홀로센 분출을 동반한 메이도브 화산지대와 제벨 마라는 각각 올리고세-플리스토세, 미오세 시대인 제벨쿠사, 타가보힐스보다 젊다.침식이 그들의 아볼라성 특징을 노출시켰다.[9]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화산활동은 3600만년 전 제벨쿠사 화산활동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9]
텍토닉 선은 현장의 환기구 위치와 건조한 계곡의 위치를 모두 제어한다.[30][13]중요성이 감소하기 위해서는 동북-남서, 동-서, 서북-동북 두 가지 경향이 있다.[12]이러한 선은 지역 지각 응력 영역의 변화를 나타내며 서로 다른 시기에 활성화되어 왔다.[31]
구성
메이도브 화산지대는 현무암, 현무암, 하와이산뿐만 아니라 벤모라이트, 뮤기라이트, 음노라이트, 트라키테 등이 분출해 알칼리성 화산암을 형성하고 있다.[32]분출물에는 다양한 형태의 이질석이 존재하며, 페노크리스틴에는 애기린, 양서류, 아노클라제, 아우구라이트, 비오타이트, 울보스피넬마그네사이트, 네페라인 올리빈, 아우구스티이트-디옵시딕 피록신, 산니딘 등이 있다.[33]
분출된 암석의 총 부피는 약 1,400–1,800 입방 킬로미터(340–430 cu mi)이며,[34][11] 연간 0.0002–0.0005 입방 킬로미터(4.8×10−5–0.000120 cu/a)의 속도로 분출되었다.[35]현무암과 현무암 용암 흐름은 분출된 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한다.음핵과 트라키틱 구성의[7] 화쇄와 용암 흐름은 "메사" 흐름을[14] 형성하며 밭의 중심부에 집중된다.[34][7] 더 분화된 암석은 더 최근의 암석에 널리 퍼져 있다.[36]
바사나이트는 암석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는 맨틀 녹은 제품이다.[37]깊은 마그마 챔버에서의 분절 과정과 지각 물질의 동화 작용은 기저귀와 하와이식 마그마를 생성하는 추가적인 과정과 함께 기저귀와 하와이식 마그마의[35]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37]
기후 및 식물
말하 평균 연간 온도 범위는 21–29 °C (70–84 °F)이다.[38]메이도브 화산지대는 사하라에서 사헬까지 남쪽 여백에 위치하며, 말하에서의 강수량은 대부분 여름철에 연간 170밀리미터(연간 6.7밀리미터)[16]에 달한다.[38]6000~12,000년 전 초기 홀로세에서는 강수량이 상당히[39] 높았고 메이도브 지역의 황반강수량은 주변 지역에 물을 공급했을 수 있다.[40]
용암밭은 대부분 메이드롭 화산대의 초목이 풀과 스크럽으로 이루어져 있어 척박한 곳이 대부분이다.[28]우드랜드는 와디스를[41] 따라 크레이터 안에서 자란다.[42]
분화 역사
메이도브 화산지대에서 가장 오래된 화산암은 칼륨-아곤 연대가 6.8±0.2년과 6.5±02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1]Jebel Sireif vent는 1.3 ± 0.4 - 0.6 ± 0.2만 년 전에 생성되었다.[14]화산활동은 처음에 용암 방출의 형태를 띠었다.이후 플리오세네에서 홀로세네로 가는 동안 화쇄와 라바에 의해 지배되었다.[43]
The field has been active during the Holocene, with thermoluminescence and tephrochronology dating giving ages of 14,600 ± 6,600 - 12,200 ± 3,300, 10,100 ± 1,400 at Malha crater,[b] 8,000 ± 1,600 - 7,200 ± 720, 4,150 ± 1,450 BCE, possibly 3,050 BCE and 3,000 BCE, and 4,900 ± 520 years ago for eruptions.[1][11]최근 발생한 화산 폭발 중 하나는 플리니안 폭발과 비슷한 강도를 [45]가졌으며 화산 폭발 지수 4가 일부 폭발에 할당되었다.[1]
들판에는 [35]훈증기가 없지만 온천은 존재할[46] 수 있지만 미도브의 전설은 여러 세대 전에 말하 분화구에서 불이 났고, 호수 안의 수위가 소리를 동반한[47] 변화를 겪었다고 기억한다.[35]이 전설들은 최근의 화산 활동을 반영할지도 모른다.[4]
비Volcanic history
화산학과는 별도로 메이도브에서는 아이올리언 공정과 물 침식이 활발하여 특히 밭의 여백에 퇴적 덮개를 광범위하게 생산하였다.다수의 와디스가 메이도브 화산지대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뻗어 나와 홍수가 날 때 물을 운반하고 침전물과 부유물을 운반한다.바람은 오래된 용암 흐름과 화산 지형으로 퇴적물을 운반하지만,[12] 그것의 젊음 때문에 미도브 화산 지역의 많은 지형은 거의 침식되지 않는다.[41]
초기 및 중간 홀로세에는 많은 분화구가 호수를 포함하고 있었다;[48] 이들 중 일부는 규조 퇴적물을 남겼고 담수에 사는 배척자들에 의해 서식했다.[49]이러한 호수의 형성은 현재보다 약 12,100년 전에,[50] 현재보다 8,290년 전에 시작되었다.[51]말하에서는 부분적 혹은 완전한 드라이업 에피소드가 발생했고, 첫 번째 에피소드는 현재보다 약 7000년 전에, 두 번째 에피소드는 현재보다 2,300 - 2,200년 전에 발생했다.[52]오늘날 말하 분화구만이 여전히 물 한 구역을 포함하고 있다.[12]
인간용
메이도브 화산지대는 흑요석(obsidian)의 원천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았고,[41] 푸르족은 말하 분화구에서 소금을 얻었다.[53]이 분화구는 오아시스로[8] 미도브족의 물 공급원이기도 했다.[4]
메모들
참조
- ^ a b c d e f "Meidob Volcanic Field". Global Volcanism Program. Smithsonian Institution.
- ^ Arkell, A. J. (1951). "An Old Nubian Inscription from Kordofan".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55 (4): 353–354. doi:10.2307/500239. JSTOR 500239.
- ^ Bender, M. Lionel (1995). "Roland Werner, Tìdn-áal: a study of Midob (Darfur-Nubian). Berlin: Dietrich Reimer, 1993, 169 pp., DM68, ISBN 3 496 02507 7". Africa. 65 (2): 324–325. doi:10.2307/1161204. ISSN 1750-0184. JSTOR 1161204.
- ^ a b c d Bagnold, R. A. (1933). "A Further Journey Through the Libyan Desert". The Geographical Journal. 82 (2): 103–126. doi:10.2307/1785658. JSTOR 1785658.
- ^ a b c Lampen 1928, 페이지 55.
- ^ Geißler, Marion; Breitkreuz, Christoph; Kiersnowski, Hubert (1 September 2008). "Late Paleozoic volcanism in the central part of the Southern Permian Basin (NE Germany, W Poland): facies distribution and volcano-topographic hiati". International Journal of Earth Sciences. 97 (5): 976. Bibcode:2008IJEaS..97..973G. doi:10.1007/s00531-007-0288-6. ISSN 1437-3254. S2CID 129700410.
- ^ a b c d 프란츠 외 연구진 1997, 페이지 266.
- ^ a b Mees 외 1991, 228페이지.
- ^ a b c d e f 프란츠 외 연구진 1997, 페이지 264.
- ^ a b Mees 외 1991, 페이지 229.
- ^ a b c d e f g h 프란츠 외 1997, 페이지 270.
- ^ a b c d 프란츠 외 연구진 1997, 페이지 269.
- ^ a b c d 프란츠 외 1994, 페이지 619.
- ^ a b c d 프란츠 외 연구진 1997, 페이지 272.
- ^ 프란츠 외 연구진 1997, 페이지 271.
- ^ a b 2006년 파추르 & 알트만 페이지 266.
- ^ 프란츠 외 연구진 1997, 페이지 274.
- ^ 파추르 & 알트만 2006, 페이지 276.
- ^ 파추르 & 알트만 2006, 페이지 277.
- ^ 파추르 & 알트만 2006, 페이지 259.
- ^ 파추르 & 알트만 2006, 페이지 283.
- ^ a b c 프란츠 외 1994, 페이지 614.
- ^ 프란츠 1999, 페이지 28.
- ^ 프란츠 1999 페이지 30.
- ^ 프란츠 1999 페이지 43.
- ^ Lucassen 외 2013, 페이지 183.
- ^ a b 프란츠 외 연구진 1997, 페이지 265–267.
- ^ a b Mees 외 1991, 페이지 230.
- ^ 프란츠 외 1994, 페이지 618.
- ^ 프란츠 외 연구진 1997, 페이지 267.
- ^ 프란츠 외 연구진 1997, 페이지 289.
- ^ 프란츠 1999 페이지 34.
- ^ 프란츠 1999 페이지 31.
- ^ a b Lucassen 외 2013, 페이지 189.
- ^ a b c d 프란츠 외 연구진 1997, 페이지 288.
- ^ 프란츠 외 연구진 1997, 페이지 287.
- ^ a b 프란츠 1999, 페이지 42.
- ^ a b Mees 외 1991, 페이지 231.
- ^ Mees 외 1991, 페이지 249.
- ^ Mercuri, Anna Maria; D'Andrea, A. Catherine; Fornaciari, Rita; Höhn, Alexa (2018-07-31). Plants and People in the African Past: Progress in African Archaeobotany. Springer. p. 225. ISBN 9783319898391.
- ^ a b c 파추르 & 알트만 2006, 268페이지.
- ^ 파추르 & 알트만 2006, 페이지 272.
- ^ 프란츠 1999 페이지 29.
- ^ 프란츠 외 1997, 페이지 273.
- ^ 프란츠 외 연구진 1997, 페이지 279.
- ^ Khadam, A. M. A.; Ramadan, K.; Hamouda, E. A. (2018). "Geothermal Mainstream Adoption through Risk Mitigation in Sudan". 201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Control,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ICCCEEE): 7. doi:10.1109/ICCCEEE.2018.8515898. ISBN 978-1-5386-4123-1. S2CID 53635777.
- ^ Lampen 1928, 페이지 57.
- ^ 파추르 & 알트만 2006, 페이지 271.
- ^ 파추르 & 알트만 2006, 페이지 465.
- ^ 파추르 & 알트만 2006, 페이지 291.
- ^ 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ed. (1999-10-20). Nordost-Afrika: Strukturen und Ressourcen (in German). p. 421. doi:10.1002/9783527609789. ISBN 9783527609789.
- ^ Mees, Florias; Richardson, Nigel (1994). "Holocene Sediments of the Crater Lake at Malha, Northwestern Sudan": 135.
{{cite journal}}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journal=
(도움말) - ^ Adelberger, Jörg (1991). "Salzherstellung und Salzhandel im Gebiet des Jebel Marra (Darfur/Sudan): Der Rückgang eines lokalen Gewerbes". Paideuma (in German). 37: 5–14. JSTOR 40341621.
원천
- Franz, G (3 May 1999). "Plume related alkaline magmatism in central Africa—the Meidob Hills (W Sudan)". Chemical Geology. 157 (1–2): 27–47. Bibcode:1999ChGeo.157...27F. doi:10.1016/S0009-2541(98)00195-8. ISSN 0009-2541.
- Franz, Gerhard; Breitkreuz, Christoph; Coyle, David A.; El Hur, Bushra; Heinrich, Wilhelm; Paulick, Holger; Pudlo, Dieter; Smith, Robyn; Steiner, Gesine (August 1997). "The alkaline Meidob volcanic field (Late Cenozoic, northwest Sudan)". Journal of African Earth Sciences. 25 (2): 263–291. Bibcode:1997JAfES..25..263F. doi:10.1016/S0899-5362(97)00103-6. ISSN 1464-343X.
- Franz, G.; Pudlo, D.; Urlacher, G.; Haussmann, U.; Boven, A.; Wemmer, K. (1 October 1994). "The Darfur Dome, western Sudan: the product of a subcontinental mantle plume". Geologische Rundschau. 83 (3): 614–623. Bibcode:1994GeoRu..83..614F. doi:10.1007/BF01083232. ISSN 0016-7835. S2CID 198144219.
- Lampen, E. (1928). "A Short Account of Meidob". Sudan Notes and Records. 11: 55–67. JSTOR 41715948.
- Lucassen, Friedrich; Pudlo, Dieter; Franz, Gerhard; Romer, RolfL.; Dulski, Peter (1 January 2013). "Cenozoic intra-plate magmatism in the Darfur volcanic province: mantle source, phonolite-trachyte genesis and relation to other volcanic provinces in NE Africa". International Journal of Earth Sciences. 102 (1): 183–205. Bibcode:2013IJEaS.102..183L. doi:10.1007/s00531-012-0792-1. ISSN 1437-3254. S2CID 128737594.
- Mees, Florias; Verschuren, Dirk; Nijs, Roger; Dumont, Henri (1 January 1991). "Holocene evolution of the crater lake at Malha, Northwest Sudan". Journal of Paleolimnology. 5 (3): 227–253. Bibcode:1991JPall...5..227M. doi:10.1007/BF00200347. ISSN 0921-2728. S2CID 129729861.
- Pachur, Hans-Joachim; Altmann, Norbert (2006). Die Ostsahara im Spätquartär (in German). SpringerLink. doi:10.1007/978-3-540-47625-2. ISBN 978-3-540-476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