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루이사 엘리오
María Luisa Elío마리아 루이사 엘리오 | |
---|---|
태어난 | 마리아 루이사 엘리오 베르날 1926년 8월 17일 팜플로나, 스페인 |
죽은 | 2009년 7월 17일( 멕시코시티, 멕시코 | 82)
직종. | 작가, 영화제작자 |
마리아 루이사 엘리오 베르날(Maria Luisa Elio Bernal, 1926년 8월 17일 ~ 2009년 7월 17일)은 스페인의 작가, 배우, 영화배우이다.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1]영감이었어요그녀는 자서전 영화인 "빈 발코니"에서 집필하고 연기를 했는데, 이 영화는 스페인 내전 중 스페인 망명자들의 삶을 묘사한 최초의 영화 중 하나였다.
전기
1926년 8월 17일 팜플로나에서 태어난 마리아 루이사는 1920년에 결혼한 루이스 엘리오 [2]토레스와 카르멘 베르날 로페스 데 라고의 셋째이자 마지막 딸이었다.
변호사이자 판사였던 그의 아버지는 스페인 내전 당시 좌파 성향으로 고통받았고 투옥됐지만 가까스로 [2]탈출했다.1939년 말, 그는 국경으로 밀항되었고, 구르스 강제 수용소에서 잠시 시간을 보낸 후, 파리로 향했고 그의 가족과 재회했다.
1940년 2월 16일,[3] 그들은 멕시코로 떠났다.지적이고 글래머러스한 여성 마리아 루이사는 드라마 공부를 하다 문화 문단에 발을 들여놓았고 1952년 [4]역시 [2]망명자의 자녀인 조미 가르시아 아스코트와 결혼했다.
멕시코에 도착한 엘리오는 멕시코에 사는 [6]일본인 망명자 세키 사노와 [5]함께 드라마 공부를 시작했다.그녀는 시 낭송 모임의 멤버였고 신문과 잡지에 시집을 실었습니다.그녀는 또한 단편 소설, 시나리오, 그리고 멕시코 [7]TV에서 공연을 했다.
1960년, 그녀의 남편은 쿠바에 가서 쿠바 58을 [8]촬영하는 영화에 참여하도록 초대받았다.원래 이 영화를 위해 5개의 세그먼트가 계획되었지만, 최종 구성은 3개뿐이며, 그 중 2개는 가르시아 [9]아스코트가 만들었다.가르시아는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스타일의 뮤지컬 코미디인 새로운 프로젝트를 계획했지만 쿠바의 정치 상황이 [8]악화되면서 프로젝트를 포기해야 했다.이 커플은 멕시코로 돌아와 에밀리오 가르시아 리에라와 공동으로 스페인 망명자들에 대한 최초의 영화 중 하나를 제작하기 시작했다.영화 "빈 발코니"는 엘리오의 자전적인 이야기이며 그녀는 영화의 [9]대본을 썼다.그녀는 [10]그 영화에서도 연기를 했다.3인조 모두 정규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주말에만 촬영을 한 이 영화는 제작하는 데 1년이 걸렸고 비록 [8]상을 받았지만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지는 않았다.
엘리오와 그녀의 남편은 작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개인적인 친구였고 그의 걸작인 "100년의 고독"은 "Para (to) Jomi Garcia Ascot y Maria Luisa Elio"라는 비문으로 그들에게 바쳐졌다.그가 그 책을 쓰는데 걸린 18개월 동안, 그들은 매일 밤 그의 집에 가서 이야기가 [11]전개되면서 그 이야기들을 비평했다.
1968년 엘리오와 가르시아 아스코트는 이혼했다.1970년 아들 디에고(1963년생)를 데리고 스페인으로 귀국했다.그녀는 1988년에 씁쓸한[2] 귀환과 [4]그로 인한 좌절에 관한 책, Tiempo de llorar (Time to Weep)를 썼다.1995년 출간된 두 번째 책인 Cuaderno de apuntes en carne viva(살아있는 살의 노트북)는 그녀의 부서진 조각들을 다시 [12]조립하는 여정을 탐구하려고 시도했다.스페인에서 멕시코로 망명해 온 이들은 스스로를 네판틀 세대라고 불렀는데, 이것은 동시에 두 곳에 속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나후아틀어이다.어느 쪽도, 다른 쪽도 아니다.엘리오 씨는 과거와 현재 사이에 [13]끼어 미래를 보는 데 방해가 됐다고 말했다.
엘리오는 [12]2009년 7월 17일 멕시코시티 코요아칸에서 사망했다.
어워드
2007년 스페인 정부는 마리아 루이사 엘리오 베르날에게 [4][14]스페인 공로를 인정받아 가톨릭 이사벨라 기사단 장교십자장을 수여했다.
선정된 작품
- 티엠포 데 요라르, 맥시코, 엘 이퀄리스타, 1988년
- Cuaderno de apuntes en carne viva, Maxico, El Equalrista, 1995.
- Tiempo de llorar y otros relativeos, 마드리드, 터너, 2002.
필모그래피
- 마타라스 없음(1943)
- 기숙 여학교(1943년)
- 라 게라 데 로스 파스텔 (1944)
- 엘 자귀이 데 라스 루나스 (1945)
- 엔 엘 발콘 바시오 (1961년)
- Remedios Varo (1967) 내레이터 (음성)[10]
레퍼런스
- ^ "Murió la escritora y guionista María Luisa Elío, inspiradora de García Márquez". ABC Guionistas. 6 August 2009. Retrieved 14 April 2015.
- ^ a b c d "María Luisa Elío y la vida propia como fabulación" (in Spanish). Diario de Navarra. 10 August 2009. Retrieved 15 April 2015.
- ^ "Publican la biografía de la escritora navarra del exilio María Luisa Elío Bernal" (in Spanish). Donostia, Basque Country: Gara Naiz. 13 December 2009. Retrieved 16 April 2015.
- ^ a b c Sicot, Bernard (2011). "Comptes rendus: Eduardo Mateo Gambarte, María Luisa Elío Bernal. La vida como nostalgia y exilio". Bulletin Hispanique (in French). Bordeaux, France: Presses universitaires de Bordeaux. 113 (2): 807–816. doi:10.4000/bulletinhispanique.1478. Retrieved 16 April 2015.
- ^ "Elio, Maria Luisa" (in Spanish). Instituto Nacional de Bellas Artes y Literatura. October 16, 2012. Retrieved 15 April 2015.
- ^ "Seki Sano". Enciclopedia de la Literatura en México (in Spanish). Enciclopedia de la Literatura en México. Retrieved 15 April 2015.
- ^ "Catálogo de escritores: Elío, María Luisa". Literatura Bellas Artes. Coordinación Nacional de Literatura Registra y Difunde la Literatura en Mexico. 16 October 2012. Retrieved 25 May 2015.
- ^ a b c Garmendia, Arturo (18 June 2011). "Jomí García Ascot, memoria y exilio". Cine Forever (in Spanish). Cine Forever. Retrieved 15 April 2015.
- ^ a b Arias Solís, Francisco (29 January 2010). "Jomi García Ascot Por Francisco Arias Solís" (in Spanish). ArticuloZ.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Retrieved 15 April 2015.
- ^ a b "María Luisa Elio". IMDb. IMDb. Retrieved 15 April 2015.
- ^ Jaime, Victor Nunez (April 21, 2014). "María Luisa Elío, la destinataria de Cien años de soledad". El País (in Spanish). Madrid, Spain: El País. Retrieved 15 April 2015.
- ^ a b Arias Solís, Francisco (6 May 2010). "La voz de una niña de la guerra" (in Spanish). San Sebastián, Spain: Globedia. Retrieved 16 April 2015.
- ^ Tuñón, Julia (2012). "The Nepantla Generation As Portrayed in the Empty Balcony by Jomí García Ascot". In Rocha, Carolina; Seminet, Georgia (eds.). Representing history, class, and gender in Spain and Latin America children and adolescents in film (1st ed.).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pp. 40–44. ISBN 978-1137030870.
- ^ "DOF: 13/07/2007" (in Spanish). Diaro Oficial de la Federación. Retrieved 17 April 2015.
문학.
- Gambarte, Eduardo Mateo (2009). María Luisa Elío Bernal: la vida como nostalgia y exilio. Universidad de La Rioja, Servicio de Publicaciones. ISBN 978-84-96487-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