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슈칸

Luskhan
루슈칸
시간 범위:하우테리비아어, 128Ma S T K N
Luskhan 1.jpg
완모형 화석
과학적 분류 edit
왕국: 애니멀리아
문: 챠다타
클래스: 파충류
상위 순서: 용각류
주문: 플레시오사우리아속
패밀리: 청개구리과
서브패밀리: 흰가시나무아과
속: 루슈칸
피셔 2017년
종류:
L. itilensis
이항명
루스칸이틸렌시스
피셔 외, 2017년

루스칸은 러시아 백악기살았던 멸종브라카우체닌 플리오사우루스속이다. 종류이자 유일한 종은 잘 보존되고 거의 완전한 골격에서 2017년 발렌틴 피셔와 동료들에 의해 명명된 Luskhan itilensis이다.초기 확산성 브라카우체닌으로서 루스칸은 결과적으로 보다 기초적인(덜 전문화된) 플리오사우르스와 보다 파생된(더 전문화된) 플리오사우르스에서 볼 수 있는 성질의 중간 조합을 나타낸다.하지만, 루스칸은 큰 먹이를 먹는데 두개골에 적응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다른 플리오사우루스와 상당히 다르다; 대신 가느다란 코, 작은 이빨, 짧은 이빨 열은 작고 부드러운 먹이를 먹기에 적합한 두개골을 나타낸다.이러한 특징에서, 1000만 [1]년 이상 떨어진 에서 수렴적으로 이러한 특징들을 진화시키면서, 원근 관계인 어식성 폴리코틸리드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것은 플리오사우루스이다.

검출 및 명명

완모형 두개골

3차원으로 보존된 거의 완전한 플리오사우르스의 화석 골격이 Gleb N에 의해 발견되었다.2002년 러시아 서부 울랴노프스크 지역의 스란체비 루드니크 마을에서 북쪽으로 3km 떨어진 볼가 강 동쪽 둑에서 우펜스키가 발견됐습니다.이 지역의 퇴적물은 짙은 회색과 약간 모래가 있는 셰일 층과 탄산염 결절이 박혀 있는 실타이트 층으로 구성됩니다.골격은 g-5 지평선(층)[2]에서 발견되었다.그 발견 후, 그 표본은 I.A.에 보관되었다.표본 번호 YKM 68344/1_262의 [1]Goncharov Ulyanovsk 지역 지역 지식 박물관(YKM).

Uspensky는 YKM 68344/1_262에 대한 연구 논문을 공동 집필하였으며, 2017년 6월 5일 Current Biology 저널에 게재되었습니다.다른 작가로는 발렌틴 피셔, 로저 벤슨, 니콜라이 즈베르코프, 로라 소울, 막심 아르한겔스키, 올리비에 람베르, 일리야 스텐신, 패트릭 드러켄밀러가 있다.그들은 이 표본을 새로운 속과 종인 루스칸 이틸렌시스로 명명했다.루스칸이라는 속명은 몽골과 투르크 신화에 나오는 루우스, 정령, 물의 주인, 그리고 "추장"을 뜻하는 접미사 칸에서 유래했다.이틸은 볼가 강의 고대 터키어 이름이고, 그래서 이틸렌시스는 "볼가 강의"[1]라는 뜻이다.

묘사

완모형의 크기 비교

루스칸의 완모형은 길이가 6.5m(21피트)이다.비교적 짧은 목의 끝부분에서, 긴 두개골은 길쭉한 코로 가늘어지는데, 이것은 브라하우첸아과(Brachaucheninae)의 다른 구성원들처럼 눈 뒤의 두개골 영역보다 길다.그것은 1.59미터(5.2피트) 길이의 아래턱을 가지고 있다.브라카우케닌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콧구멍 위치까지 앞으로 뻗어나가는 두정골, 코는 구속되지 않지만 메가세팔로사우루스처럼 밑면에 팽창하는 것, 아래턱 뒤쪽에 있는 후관절 과정, 위턱의 치아는 크기가 같다.ed; 경추경추 늑골과 관절하는 크로노사우루스브라카우체니우스와 비슷하지만 쥐라기 플리오사우루스 및 다른 플레시오사우루스류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되어 있다; 신경관 수준 위의 등뼈에 부착되어 있는 횡돌기; 그리고 리의 2.3배에 달하는 긴 코라코이드.견갑골의 ng번째(크로노사우루스 2.[1][3][4][5]5).

러스칸은 또한 최초의 브라카우체닌 중 하나인 비 브라카우체닌 시상포니온과 비슷한 몇 가지 "원시적인" 특성을 보인다.플리오사우루스처럼, 비늘뼈주갈뼈[6]뒷돌기와 겹칩니다; 또한 대부분의 플레시오사우루스처럼 측두골뼈의 경계에서 그것들을 제외합니다.또한 각 스쿼모살에는 전구가 있고 후면으로부터 위로 뻗은 능선이 있습니다.Pliosaurus westburyensis와 마찬가지로 4중골과 관절하는 익상골의 과정이 두껍고, 상후두골의 바닥에는 U자 모양의 칼집이 있다.익상골의 바닥에 있는 플랜지는 두개골의 중간선에서 서로 접촉한다.자궁경부 바닥에는 큰 구강, 즉 구덩이가 있다.Luskhan(14)의 경추 수는 Pliosaurus(18)[7]Brachauchenius(12)[1][8] 사이의 중간 수치로 볼 수 있다.

특이하게도, 루스칸은 또한 다른 브라카우체닌에서 볼 수 있는 큰 먹이를 사냥하기 위한 적응력이 부족합니다: 코는 매우 얇습니다; 아래턱의 융합된 결합의 밑바닥에는 용골이 없습니다; 확장(또는 치아열의 틈)이 없습니다; 위턱는 바깥쪽으로 확장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ca는 없습니다;(無)형 치아아래턱 전체 길이의 비율(34%)에 대한 결합의 길이도 브라카우체닌 및 시상포니안보다 길지만, 그 대신 원거리 관련 Polycotylidae의 Symphys 범위 내에 있다.또한 폴리코틸리드처럼,[9] 치아는 더 넓게 떨어져 있고 눈구멍의 중간점 아래 턱에서 더 앞으로 끝납니다.Dolichorhynchops[10]같이, 스쿼모살의 아치는 thalassophones보다 [1]더 앞으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자동 형질

많은 독특한 캐릭터, 즉 자동모형Luskhan을 다른 모든 Plesiosaurs와 구별합니다.살라소폰족 중에서, 루스칸은 전악골에 7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는 것이 독특합니다.첫 번째 치아는 거의 수평이 되도록 프로컴번트(앞쪽으로 기울어져 있음)이며, 치아의 간격도 넓어집니다.사분율과의 봉합부로부터 대퇴골에 거친 갈고리 모양의 돌기가 생깁니다.두개골 뒤쪽에서 외후두골구멍의 맨 아래를 감싸고, 그에 따라 기저부 골격을 제외한다.익룡류의 판상층부는 바깥면에 깊은 홈이 나 있다.아틀라스(제1경부)에서, 중심간은 부풀어 올랐고 그 아래에 능선이 있다.한편, 축의 바닥(제2경부)[1]은 제3경부로부터의 혀와 같은 돌기로 덮여 있다.

어깨 거들에서는 다른 플레시오사우르스의 앞부분을 가리키는 코라코이드 앞쪽의 돌기가 루스칸에서 아래쪽으로 향하고 나머지 뼈와 수직이 되도록 되어 있다.견갑골의 칼날은 다른 시상체와 달리 [11]엘라스모사우루스과와 같이 비교적 짧으며, 기부에서 코라코이드를 가진 관절까지의 세로 거리만큼만 수직이 됩니다.상완골에서, 상완골 결절은 하단 끝의 캐피털럼 확장 위에 위치해 있습니다.앞지느러미의 척골과 반지름은 매우 작아서 뒷지느러미의 꼬리뼈와 거의 같은 크기입니다. 이 중 앞지느러미가 더 깁니다.다른 모든 피오사우루스류와는 달리, 두 뼈가 만나는 구멍은 없습니다.슬개골경골보다 훨씬 더 길다; 슬개골의 중간 매체는 슬개골에만 접촉하고 다른 슬개골과 [1]마모넥테스와는 달리 경골에 대한 관절이 없다.

분류

다음 분해도는 2015년 [12]Makhaira에 대한 설명을 위해 이전에 수정된 2014년[3] Benson과 Druckenmiller가 발표한 데이터 세트를 바탕으로 2017년 Fischer와 동료들의 분석을 따른 것이다.Luskhan은 완전하기 때문에 데이터셋에 기재되어 있는 특성의 74%에 대한 스콜링에 근거하고 있습니다.발견된 20,000그루의 가장 근소한 계통수들의 엄격한 합의에서, 막헤라는 다른 브라카우케닌들과 함께 분지군을 형성하는 대신, Pliosaurus 종들과 다지종을 형성합니다; 그러나, 가장 근소한 24그루의 합의에서, 그것은 루스카인가장 기초적인 브라카우케닌과 두 번째 근원적인 브라카우케닌입니다.[1]

플레시오사우리아속

스트라테사우루스

로말레오사우루스과

청개구리상과

청개구리과

시라시오도라콘

하우피오사우루스

아텐보로사우루스

앵구아낙스속

마모넥츠

시라소폰가

펠로뉴스테스

필리오사우루스 앤드루시

시모레스

리오페로돈

필리오사우루스

흰가시나무아과

막헤라

루슈칸

스테노린코사우루스속

크로노사우루스

메가케팔로사우루스

브라카우체니우스

진화적 맥락

막헤라, 스테노린초사우루스와 함께, 루스칸은 벨라쿠체닌의 [1]진화 과정에서 베리아시안 시대부터 바레미아 시대까지 4,000만 년의 결정적인 격차를 메우는 진화 등급을 형성합니다.스테노린코사우루스를 기술한 마리아 파라모 폰세카와 동료들은 브라카우첸아과에 포함시키면 분지군을 [4]다시 정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지만, 피셔와 동료들은 이것이 [1]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고생물학

튼튼한 두개골과 짧은 목을 가진 대부분의 시상소폰류 플리오사우루스포식자의 꼭대기 [3][6][13]틈새에 잘 적응되어 있었다.비록 톱니,[5][8][14][15] 주걱 모양의 주걱, 두개골 지붕의 강하게 발달한 볏이 브라하우체닌으로 사라졌지만, 그들의 큰 크기와 치아는 여전히 포식자의 생활 양식을 나타낸다.한편, 그들의 더 날씬한 신체 비율로, 폴리코틸리드는 빠르게 헤엄치는 [10][16]어류였을 것이다.주요 성분과 에코몰폴로지 분석에 따르면 루스칸은 두개골 특성 측면에서 다른 시라소폰에 비해 폴리코틸리드에 상당히 가깝지만 신체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루스칸은 가장 폴리코틸리드 유사 폴리오사우리드이다.초기 살라소폰인 펠로뉴스테스도 폴리코틸리드 유사하지만 루스칸보다는 [1]덜하다.

생태학적으로 말하자면, 루스칸은 아마도 작고 부드러운 동물들을 먹이로 삼았을 것이다.이것은 다른 시라소폰에 비해 가느다란 코, 긴 결합, 그리고 상대적으로 짧은 치아 열에서 나타난다.루스칸의 몇몇 특징들은 가장 뒤쪽 치아에 톱니 모양의 존재와 약한 삼면체(단면의 세모꼴) 치아의 존재와 같은 전형적인 시상포니들과 공유된다; 하지만, 이것들은 아마도 플리오사우루스 같은 [12]조상들로부터 남겨진 흔적일 것이다.따라서, 루스칸은 낮은 영양 수준을 정착시키기 위해 다코틸리드로부터 독립하여 1000만 년 후에 사라소폰족의 전형적인 정점 포식자 틈새에서 벗어났다.반면, 막헤라는 최상위 포식자로 더 적합한 바우플랜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그것의 이빨은 [1][12]루스칸보다 크다.

고생태학

루스칸이 발견된 곳에서 북쪽으로 수 미터 떨어진 암모나이트 Spetoniceras verscolor의 존재에 근거하여, g-5 지평선은 S. verscolor [1]구역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자기층서학은 이 구역이 약 1억2800만년 [17]인 백악기 초기의 하우테리브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보여준다.Makhaira S. verscolor zone에서 유래했으며, Luskhan 근처에서도 발견되었다 - 슬란체비 [12]루드니크에서 북쪽으로 600m(2,000ft).또한 S. verscolor 구역에서 발견된 크립토클리드[3] 플레시오사우루스과 아비소사우루스는 수라 강의 지류(볼가 [18]강의 지류) 근처 추바시아 지역에서 발견되었다.또한, 브라키오사우루스과 공룡의 [19]척추뼈가 발견되었다.

무척추동물의 관점에서 S. verscoloror zone은 암모나이트 S. Coronatiforme, S. pavlovae, S. incomeramus aucela, Prochinnite subsuderi, Astarteecta, Threcredia becedia begmnice, A.에 의해 추가로 특징지어진다.A. speetonensis. 절대형질 및 A. speetonensis.[2][20]복족류암풀리나스, 아벨라나 하우테리비엔시스, 클라비스칼라 안티카, 크레타드메테 방치, 에우시클루스, 후들리스텔라 푸실라, 케텔라 글라스노바에, 술코악테온스, 토르나텔라 카바노비, 트릴레마 루센세시, 투리스톨라비, 다종, 투리스톨라비노비노비노비누라.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Fischer, V.; Benson, R.B.J.; Zverkov, N.G.; Soul, L.C.; Arkhangelsky, M.S.; Lambert, O.; Stenshin, I.M.; Uspensky, G.N.; Druckenmiller, P.S. (2017). "Plasticity and Convergence in the Evolution of Short-Necked Plesiosaurs" (PDF). Current Biology. 27 (11): 1667–1676. doi:10.1016/j.cub.2017.04.052. PMID 28552354. S2CID 39217763.
  2. ^ a b c Blagovetshenskiy, I.V.; Shumilkin, I.A. (2006). "Gastropod mollusks from the Hauterivian of Ulyanovsk (Volga Region): 1. Family Aporrhaidae". Paleontological Journal. 40 (1): 34–45. doi:10.1134/S0031030106010047. S2CID 84645612.
  3. ^ a b c d Benson, R.B.J.; Druckenmiller, P.S. (2014). "Faunal turnover of marine tetrapods during the Jurassic–Cretaceous transition". Biological Reviews. 89 (1): 1–23. doi:10.1111/brv.12038. PMID 23581455. S2CID 19710180.
  4. ^ a b Páramo, M.E.; Gómez-Pérez, M.; Noé, L.F.; Etayo, F. (2016). "Stenorhynchosaurus munozi, gen. et sp. nov. a new pliosaurid from the Upper Barremian (Lower Cretaceous) of Villa de Leiva, Colombia, South America". Revista de la Academia Colombiana de Ciencias Exactas, Físicas y Naturales. 40 (154): 84–103. doi:10.18257/raccefyn.239.
  5. ^ a b McHenry, C.R. (2009). Devourer of Gods: the palaeoecology of the Cretaceous pliosaur Kronosaurus queenslandicus (PhD thesis). Newcastle: University of Newcastle. pp. 1–460.
  6. ^ a b Benson, R.B.J.; Evans, M.; Smith, A.S.; Sassoon, J.; Moore-Faye, S. (2013). "A Giant Pliosaurid Skull from the Late Jurassic of England". PLOS ONE. 8 (5): 1–34. Bibcode:2013PLoSO...865989B. doi:10.1371/journal.pone.0065989. PMC 3669260. PMID 23741520.
  7. ^ Tarlo, L.B. (1959). "Stretosaurus gen. nov., a giant pliosaur from the Kimmeridge Clay" (PDF). Palaeontology. 2 (1): 39–55.
  8. ^ a b Williston, S.W. (1907). "The skull of Brachauchenius, with observations on the relationships of the plesiosaurs".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32 (1540): 477–489. doi:10.5479/si.00963801.32-1540.477.
  9. ^ Schumacher, B.A. (2007). "A new polycotylid plesiosaur (Reptilia; Sauropterygia) from the Greenhorn Limestone (Upper Cretaceous; lower upper Cenomanian), Black Hills, South Dakota". In Martin, J.E.; Parris, D.C. (eds.). The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Late Cretaceous Marine Deposits of the Dakota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s. Vol. 427. Boulder: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pp. 133–146.
  10. ^ a b Williston, S.W. (1903). "North American Plesiosaurs : Part I". Field Colombian Museum Publication, Geological Series. 2: 1–206. doi:10.5962/bhl.title.3497.
  11. ^ Welles, S.P. (1962). "A new species of elasmosaur from the Aptian of Columbia and a review of the Cretaceous plesiosaurs".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the Geological Sciences. 44: 1–96. ISBN 9780598201485.
  12. ^ a b c d Fischer, V.; Arkhangelsky, M.S.; Stenshin, I.M.; Uspensky, G.N.; Zverkov, N.G.; Benson, R.B.J. (2015). "Peculiar macrophagous adaptations in a new Cretaceous pliosaurid". Royal Society Open Science. 2 (12): 150552. Bibcode:2015RSOS....250552F. doi:10.1098/rsos.150552. PMC 4807462. PMID 27019740.
  13. ^ Massare, J.A. (1987). "Tooth Morphology and Prey Preference of Mesozoic Marine Reptile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7 (2): 121–137. doi:10.1080/02724634.1987.10011647.
  14. ^ Schumacher, B.A.; Carpenter, K.; Everhart, M.J. (2013). "A new Cretaceous Pliosaurid (Reptilia, Plesiosauria) from the Carlile Shale (middle Turonian) of Russell County, Kansa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3 (3): 613–628. doi:10.1080/02724634.2013.722576. S2CID 130165209.
  15. ^ White, T.E. (1935). "On the skull of Kronosaurus queenslandicus Longman". Occasional Papers of the Boston Society of Natural History. 8: 219–228.
  16. ^ Adams, D.A. (1997). "Trinacromerum bonneri, new species, last and fastest pliosaur of the Western Interior Seaway". Texas Journal of Science. 49 (3): 179–198.
  17. ^ Guzhikov, A.Y.; Baraboshkin, E.Y.; Birbina, A.V. (2003). "New paleomagnetic data for the Hauterivian-Aptian deposits of the Middle Volga region: A possibility of global correlation and dating of time-shifting of stratigraphic boundaries". Russ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5 (6).
  18. ^ Berezin, A.Y. (2011). "A new plesiosaur of the family Aristonectidae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the center of the Russian platform". Paleontological Journal. 45 (6): 648–660. doi:10.1134/S0031030111060037. S2CID 129045087.
  19. ^ Arkhangelsky, M.S.; Averianov, A.O. (2003). "On the Find of a Primitive Hadrosauroid Dinosaur (Ornithischia, Hadrosauroidea) in the Cretaceous of the Belgorod Region". Paleontological Journal. 37 (1): 60–63.
  20. ^ Mutterlose, J.; Baraboshkin, E.J. (2003). "Taxonomy of the Early Cretaceous belemnite species Aulacoteuthis absolutiformis (Sinzow, 1877) and its type status" (PDF). Berliner Paläobiologische Abhandlungen. 3: 179–187.
  21. ^ Blagovetshenskiy, I.V.; Shumilkin, I.A. (2006). "Gastropod mollusks from the Hauterivian of Ulyanovsk (Volga Region): 2. Genera Khetella Beisel, 1977 and Cretadmete gen. nov". Paleontological Journal. 40 (2): 143–149. doi:10.1134/S0031030106020043. S2CID 83736583.
  22. ^ Golovinova, M.A.; Guzhov, A.V. (2009). "Early Cretaceous gastropods of the Middle-Lower Volga river region from P.A. Gerasimov's collection". Paleontological Journal. 43 (5): 506–513. doi:10.1134/S0031030109050050. S2CID 128624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