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푸신
Lipofuscin리포푸신은 리소좀 [1][2]소화의 지질 함유 잔류물로 구성된 미세한 황갈색 색소 과립에 붙여진 이름이다.그것은 간, 신장, 심장 근육, 망막, 부신, 신경 세포, 그리고 신경절 [3]세포에서 발견되는 노화 또는 마모된 색소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구성 및 이직
리포푸신은 불포화지방산 산화의 산물로 보이며 막 손상 또는 미토콘드리아와 리소좀의 손상을 나타낼 수 있다.지질 함량이 많은 것 외에도 리포푸신은 수은, 알루미늄, 철, 구리, [4]아연을 포함한 당과 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리포푸신은 또한 지질(20~50%)[5]뿐만 아니라 산화 단백질(30~70%)로 구성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그것은 리포크롬의[6] 한 종류이며 특히 핵 주위에 배열되어 있다.
리포푸신 유사 물질의 축적은 형성 메커니즘과 폐기 메커니즘 사이의 불균형의 결과일 수 있다.이러한 축적은 랫드에서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류펩틴)를 투여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으며, 3개월 후에는 리포푸신 유사물질의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와 중요한 폐기 [7]메커니즘의 작용을 나타낸다.그러나 이 결과는 루펩틴 유도물질이 진짜 리포푸신인지 [8][9]의심스럽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다."진정한 리포푸신"은 [10][11][12]체외에서 분해되지 않는다는 증거가 있다. 이것이 장기간에 걸쳐 체내로 유지되는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ABCR -/- 녹아웃 마우스는 어두운 적응을 지연시켰지만 [13]콘트롤에 비해 정상적인 최종 로드 임계값입니다.강한 빛으로 망막을 표백하면 독성 카티온성 비스피리듐염인 N-레티닐리덴-N-레티닐에탄올아민(A2E)이 생성되어 건조하고 습한 노화 관련 황반변성을 [14]일으킨다.이 실험에서 ABCR은 표백 회수 중 세포 외 광수용체 표면에서 A2E의 형성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질병과의 관계
눈에 리포푸신이 축적되는 것은 퇴행성 [15]질환인 황반변성과 황반변성의 유전적인 어린 형태인 스타가르트병과 관련된 주요 위험인자이다.
말초 신경계에서 리포푸신증이라고[1] 알려진 리포푸신의 비정상적인 축적은 신경변성 질환 계열인 신경세로이드 리포푸신증과 관련이 있으며, 이들 중 가장 흔한 것은 바텐병이다.
또한 리포푸신의 병리학적 축적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특정 리소좀병, 급성 비대증, 변성위축증, 지질근증, 만성폐색성폐색성폐질환 [16]및 중심핵근증에 관련된다.대장 내 리포푸신 축적은 대장 흑색증의 원인이다.
한편, 심근 리포푸신 축적은 인간의 심장 [17]병리보다는 연대 노화를 더 직접적으로 반영한다.
가능한 치료법
칼로리 제한,[4] 비타민 E,[4] 그리고 글루타치온의 증가는 리포푸신의 생산을 줄이거나 중단시키는 것으로 보입니다.
누트로픽 약물인 피라세탐은 [18]쥐의 뇌조직에서 리포푸신 축적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기타 가능한 치료법:
습식 황반변성은 선택적 광열분해를 사용하여 치료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펄스 비집중 레이저가 주로 리포푸신이 풍부한 세포를 가열하고 죽임으로써 손상되지 않은 건강한 세포가 증식하고 [citation needed]그 틈을 메워준다.이 기술은 문신이나 간장을 지우는 피부 치료법으로도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피부를 젊게 보이게 한다.선택적으로 리포푸신을 목표로 하는 이러한 능력은 노화 방지 의학 분야의 연구 기회를 열어주었다.
소라프라잔은 동물의 [23]망막 색소 상피 세포에서 리포푸신을 제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이것은 현재 치료법이 없는 건조한 노화와 관련된 황반변성과 스타가르트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을 열어준다.그 약은 이제 유럽 [24]의약청에 의해 스타가르트병 치료를 위한 고아 약물 지정을 받았다.
기타 용도
리포푸신 정량화는 바닷가재,[25][26] 가시가재 등 다양한 갑각류에서 연령 측정에 사용된다.이 동물들은 뼈 부분이 없기 때문에, 귀뼈나 이석의 연간 증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뼈 있는 물고기와 같은 방법으로 숙성될 수 없다.어패류의 연령 판정은 생육 곡선 등 기초 생물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단계로 많은 재고 평가 방법에 필요하다.여러 연구는 다양한 갑각류 동물의 눈 줄기에 존재하는 리포푸신의 양을 수량화하면 그들의 나이를 알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이 방법은 야생 포획된 동물의 리포푸신 수치를 수족관 사육 동물에서 파생된 축적 곡선과 관련짓는 문제 때문에 아직 어업 관리에 널리 적용되지 않았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Alberts, Daniel Albert (2012).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32nd ed.). Philadelphia, PA: Saunders/Elsevier. p. 1062. ISBN 978-1-4160-6257-8.
- ^ "Medical Definition of LIPOFUSCIN". www.merriam-webster.com.
- ^ 영비, 로위 JS, 스티븐스 A, 히스 JWWhater의 기능적 조직학: 텍스트와 아틀라스.제6회엘세비어
- ^ a b c Chris Gaugler, "Lipofuscin Archived 2007-07-15 at the Wayback Machine", Stanislaus Journal of Phiothical Reviews, 1997년 5월
- ^ Double, KL; Dedov, VN; Fedorow, H; Kettle, E; Halliday, GM; Garner, B; Brunk, UT (June 2008). "The comparative biology of neuromelanin and lipofuscin in the human brain". Cellular and Molecular Life Sciences. 65 (11): 1669–82. doi:10.1007/s00018-008-7581-9. PMID 18278576. S2CID 6833509.
- ^ "lipochrome", The Free Dictionary, retrieved 2021-02-18
- ^ Katz, ML; Rice, LM; Gao, CL (1999). "Reversible accumulation of lipofuscin-like inclusions in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40 (1): 175–181. PMID 9888441.
- ^ Terman, Alexei; Brunk, Ulf T. (1999). "Is Lipofuscin Eliminated from Cells?". Investigative Ophthalmology and Visual Science. 40 (10): 2463–2464. PMID 10476822.
- ^ Davies, Sallyanne; Ellis, Steven (1999). "Lipofuscin Turnover". Investigative Ophthalmology and Visual Science. 40 (8): 1887–1888. PMID 10393067.
- ^ Terman, A, Brunk, UT (1998). "On the degradability and exocytosis of ceroid/lipofuscin in cultured rat cardiac myocytes". Mech Ageing Dev. 100 (2): 145–156. doi:10.1016/S0047-6374(97)00129-2. PMID 9541135. S2CID 34448638.
{{cite journal}}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Terman, A; Brunk, UT (1998). "Ceroid/lipofuscin formation in cultured human fibroblasts: the role of oxidative stress and lysosomal proteolysis". Mech Ageing Dev. 104 (3): 277–291. doi:10.1016/s0047-6374(98)00073-6. PMID 9818731. S2CID 44822239.
- ^ Elleder, M; Drahota, Z; Lisá, V; Mares, V; Mandys, V; Müller, J; Palmer, DN (1995). "Tissue culture loading test with storage granules from animal models of neuronal ceroid-lipofuscinosis (Batten disease): testing their lysosomal degradability by normal and Batten cells". Am J Med Genet. 57 (2): 213–221. doi:10.1002/ajmg.1320570220. PMID 7668332.
- ^ Weng J, Mata NL, Azarian SM, Tzekov RT, Birch DG, Travis GH (July 1999). "Insights into the function of Rim protein in photoreceptors and etiology of Stargardt's disease from the phenotype in abcr knockout mice". Cell. 98 (1): 13–23. doi:10.1016/S0092-8674(00)80602-9. PMID 10412977. S2CID 18605680.
- ^ Maeda A, Maeda T, Golczak M, Palczewski K (September 2008). "Retinopathy in mice induced by disrupted all-trans-retinal clearance".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3 (39): 26684–93. doi:10.1074/jbc.M804505200. PMC 2546559. PMID 18658157.
- ^ John Lacey, "Harvard Medical은 Merck와 황반변성의 잠재적 치료법을 개발하기로 합의", 2006년 5월 23일
- ^ Joakim Allaire; François Maltais; Pierre LeBlanc; Pierre-Michel Simard; François Whittom; Jean-François Doyon; Clermont Simard; Jean Jobin (2002). "Lipofuscin accumulation in the vastus lateralis muscl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Muscle and Nerve. 25 (3): 383–389. doi:10.1002/mus.10039. PMID 11870715. S2CID 22309073.
- ^ Kakimoto, Yu; Okada, Chisa; Kawabe, Noboru; Sasaki, Ayumi; Tsukamoto, Hideo; Nagao, Ryoko; Osawa, Motoki (2019). "Myocardial lipofuscin accumulation in ageing and sudden cardiac death". Scientific Reports. 9 (1): 3304. Bibcode:2019NatSR...9.3304K. doi:10.1038/s41598-019-40250-0. ISSN 2045-2322. PMC 6397159. PMID 30824797.
- ^ Paula-Barbosa, M.; et al. (1991). "The effects of Piracetam on lipofuscin of the rat cerebellar and hippocampa; neurons after long-term alcohol treatment and withdrawal".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5 (5): 834–838. doi:10.1111/j.1530-0277.1991.tb00610.x. PMID 1755517.
- ^ Roy, D; Pathak, DN; Singh, R (1983). "Effect of centrophenoxine on the antioxidative enzymes in various regions of the aging rat brain". Exp Gerontol. 18 (3): 185–97. doi:10.1016/0531-5565(83)90031-1. PMID 6416880. S2CID 29129359.
- ^ Amenta F, Ferante F 등은 아세틸-L-카르니틴 처리를 통해 노화쥐 뇌의 리포푸신 축적을 감소시켰다.아치 게론톨 노리아트르.1989년 9월~10월;9(2):147-53.
- ^ Huang, SZ; Luo, YJ; Wang, L; Cai, KY (Jan 2005). "Effect of ginkgo biloba extract on livers in aged rats". World J Gastroenterol. 11 (1): 132–5. doi:10.3748/wjg.v11.i1.132. PMC 4205372. PMID 15609412.
- ^ Shen, Li-Rong; Parnell, Laurence D.; Ordovas, Jose M.; Lai, Chao-Qiang (January 2013). "Curcumin and aging". BioFactors. 39 (1): 133–140. doi:10.1002/biof.1086. ISSN 1872-8081. PMID 23325575. S2CID 39360837.
- ^ Julien, S; Schraermeyer, U (Oct 2012). "Lipofuscin can be removed from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of monkeys". Neurobiol Aging. 33 (10): 2390–7. doi:10.1016/j.neurobiolaging.2011.12.009. PMID 22244091. S2CID 22829613.
- ^ "EU/3/13/1208". Retrieved 1 June 2021.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 Ingebrigt Uglem, Mark Belchier & Terje Svåsand (2005). "Age determination of European lobsters (Homarus gammarus L.) by histological quantification of lipofuscin". Journal of Crustacean Biology. 25 (1): 95–99. doi:10.1651/c-2448. JSTOR 1549930.
- ^ Kerry E. Maxwell; Thomas R. Matthews; Matt R. J. Sheehy; Rodney D. Bertelsen; Charles D. Derby (2007). "Neurolipofuscin is a measure of age in Panulirus argus, the Caribbean spiny lobster, in Florida". The Biological Bulletin. 213 (1): 55–66. doi:10.2307/25066618. JSTOR 25066618. PMID 17679720. S2CID 8522101.
20. 영비, 로위 JS, 스티븐스 A, 히스 JWWhater의 기능적 조직학: 텍스트와 아틀라스.제6회엘세비어
일반 리뷰용 외부 링크
- Terman A, Brunk U (2004). "Lipofuscin". Int J Biochem Cell Biol. 36 (8): 1400–4. doi:10.1016/j.biocel.2003.08.009. PMID 15147719.
- 신경과 조직학.wustl.edu
- 조직 이미지: 20301loa – 보스턴 대학교 조직학 학습 시스템
- 리포푸신 파괴와 암 파괴, FightAging.org
- Lipofuscin을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비초점 펄스 레이저, AcceleratingFuture.com